KR101370433B1 - 골 접합용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골 접합용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0433B1
KR101370433B1 KR1020120121962A KR20120121962A KR101370433B1 KR 101370433 B1 KR101370433 B1 KR 101370433B1 KR 1020120121962 A KR1020120121962 A KR 1020120121962A KR 20120121962 A KR20120121962 A KR 20120121962A KR 101370433 B1 KR101370433 B1 KR 101370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e
unit
support
central unit
osteotom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1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승우
동용원
정성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노스
Priority to KR1020120121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04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0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04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0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 A61B17/808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bone plates, or for adjusting screw-to-plate lock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 A61F2/2846Support means for bone substitute or for bone graft implants, e.g. membranes or plates for covering bone defe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lant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Neur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앙 유닛; 상기 중앙 유닛의 양 단부 중 적어도 한 단부 측에 위치하고,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고정홀이 형성되는 골 고정 유닛; 및 상기 중앙 유닛의 양 단부에 배치되어 절골 부위의 마주하는 절골면을 서로 이격되게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과 상기 중앙 유닛을 연결하며 상기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골 지지 유닛을 포함하는, 골 접합용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골 접합용 디바이스{DEVICE FOR CONNECTING BONE}
본 발명은 절골 부위의 양측 골을 접합하기 위한 골 접합용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조골 증대술 또는 개방형 경골 근위부 절골술은 골을 절개한 후 골 고정물을 나사못 등으로 절골 부위 양측에 고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사용되는 골 고정물은 양측에 나사공 만이 형성된 단순한 형태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절골 부위가 받는 압력이 골 고정물과 절골 부위의 이음부인 나사못에 직접 가해진다. 더욱이, 치조골 증대술이 이루어지는 잇몸과 개방형 경골 근위부 절골술이 이루어지는 슬관절은 인체의 다른 골 부위보다 더 큰 압력을 받는 부위이다. 이러한 큰 압력을 받는 부위에 상술한 것과 같은 골 고정물을 사용하면, 모든 압력이 나사못에만 가해져 나사못이 쉽게 빠져버리거나 절골 부위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절골 부위의 양측 골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하여 양측 골 사이의 공간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절골 부위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골 접합용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골 접합용 디바이스는, 중앙 유닛; 상기 중앙 유닛의 양 단부 중 적어도 한 단부 측에 위치하고,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고정홀이 형성되는 골 고정 유닛; 및 상기 중앙 유닛의 양 단부에 배치되어 절골 부위의 마주하는 절골면을 서로 이격되게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과 상기 중앙 유닛을 연결하며 상기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골 지지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골 고정 유닛은 상기 중앙 유닛의 한 단부에 상기 골 지지 유닛과 병렬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중앙 유닛의 타 단부에 연결되는 골 지지 유닛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골 고정 유닛의 맞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골 고정 유닛은 상기 중앙 유닛의 한 단부에 둘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중앙 유닛의 타 단부에 하나가 배치되며, 상기 골 지지 유닛은 상기 중앙 유닛의 한 단부에 서로 이격된 두 개의 골 고정 유닛 사이로 하나가 배치되고, 상기 중앙 유닛의 타 단부에 하나의 골 고정 유닛의 양 측으로 둘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골 고정 유닛은 상기 절골 부위의 절골면 또는 골 외면의 형태와 서로 대응하도록 만곡 형성되는 만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골 고정 유닛은 상기 골 지지 유닛의 자유단에서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앙 유닛, 상기 골 고정 유닛, 및 상기 골 지지 유닛은 하나의 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르는 축을 중심으로 벤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앙 유닛 또는 상기 골 지지 유닛에는 상기 중앙 유닛 양측 또는 상기 골 지지 유닛 양측의 골이 서로 유착할 수 있도록 유착홀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앙 유닛 또는 상기 골 지지 유닛에는 골 이식재를 고정하기 위한 나사가 관통되는 나사홀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골 지지 유닛은 상기 절골 부위의 절골면이 서로 유착할 수 있도록 5㎜ 내지 6㎜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골 고정 유닛은, 상기 중앙 유닛의 양 단부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1 고정홀이 형성되는 제1 골 고정 유닛; 및 상기 골 지지 유닛에 가해지는 압력으로 인한 모멘트를 지탱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골 고정 유닛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2 고정홀이 형성되는 제2 골 고정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 접합용 디바이스는, 서로 반대되는 양 단부를 구비하는 중앙 유닛; 상기 양 단부 중 적어도 한 단부 측에 위치하고, 절골 부위의 골 외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골 고정 유닛; 및 상기 절골 부위의 마주하는 절골면을 서로 이격되게 지지하도록 상기 양 단부 각각에 연결되고, 상기 양 단부 중 상기 골 고정 유닛이 형성된 단부에서는 상기 골 고정 유닛과 병렬적으로 배치되는 골 지지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골 지지 유닛은 상기 중앙 유닛의 단부 중 상기 골 고정 유닛의 맞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골 고정 유닛은 상기 중앙 유닛의 한 단부에 둘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중앙 유닛의 타 단부에 하나가 배치되며, 상기 골 지지 유닛은 상기 중앙 유닛의 한 단부에 서로 이격된 두 개의 골 고정 유닛 사이로 하나가 배치되고, 상기 중앙 유닛의 타 단부에 하나의 골 고정 유닛의 양 측으로 둘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골 접합용 디바이스에 의하면, 절골 부위의 양측 골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하여 양측 골 사이의 공간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절골 부위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골 접합용 디바이스(100)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골 접합용 디바이스(100)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골 접합용 디바이스(200)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골 접합용 디바이스(300)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골 접합용 디바이스(400)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골 접합용 디바이스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골 접합용 디바이스(100)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골 접합용 디바이스(100)는 치조골 증대술 또는 개방형 경골 근위부 절골술을 통해 절개되는 골의 절골면(D)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이후 골 접합용 디바이스(100)는 절골 부위(C)의 양측 골 외면(E)에 나사못(F) 등을 이용하여 고정되고, 골이 서로 유착되는 동안 절골 부위(C) 양측을 지탱하게 된다.
다음으로, 이상의 골 접합용 디바이스(100)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골 접합용 디바이스(100)의 사시도이다.
본 도면 및 도 1을 참조하면, 골 접합용 디바이스(100)는 중앙 유닛(110), 골 고정 유닛(120), 및 골 지지 유닛(130)을 포함할 수 있다.
중앙 유닛(110)은 골 고정 유닛(120) 및 골 지지 유닛(130)이 연결되는 부분으로, 전체적으로 볼 때 골 접합용 디바이스(100)의 중심에 위치한다. 중앙 유닛(110)은 골 고정 유닛(120) 및 골 지지 유닛(130)에 가해지는 압력을 지탱하여 절골면(D)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중앙 유닛(110)은 두 개의 평행한 단부(111,113)를 가질 수 있다. 중앙 유닛(110)의 양 단부(111,113)에는 3개의 골 고정 유닛(120)과 3개의 골 지지 유닛(130)이 형성될 수 있다. 중앙 유닛(110)의 양 단부 중 한 단부(111)에는 두 개의 골 고정 유닛(120)과 하나의 골 지지 유닛(130)이 병렬적으로 배치된다. 중앙 유닛(110)의 타 단부(113)에는 하나의 골 고정 유닛(120)과 두 개의 골 지지 유닛(130)이 병렬적으로 배치된다.
중앙 유닛(110)은 시술시 요구되는 절골면(D, 도 1 참조) 사이의 길이에 따라 다양한 길이를 가지며, 예를 들어 4㎜ 내지 8㎜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중앙 유닛(110)의 폭은 시술시 요구되는 지지력에 따라 가변적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0㎜ 내지 15㎜, 구체적으로는 11㎜ 내지 13㎜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골 고정 유닛(120)은 중앙 유닛(110)의 양 단부(111,113)에서 제1 방향(A)을 따라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중앙 유닛(110)의 한 단부(111)에서 두 개의 골 고정 유닛(120)이 서로 이격되어 연장되고, 중앙 유닛(110)의 타 단부(113)에서 하나의 골 고정 유닛(120)이 연장된다. 이와 달리, 골 고정 유닛(120)은 중앙 유닛(110)의 어느 하나의 단부(111 또는 113)에서만 연장될 수도 있다.
3개의 골 고정 유닛(120)에는 고정홀(121)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골 고정 유닛(120)에 각각 하나의 고정홀(121)이 형성된다. 이와 달리, 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둘 이상의 고정홀(121)이 형성될 수도 있다. 골 고정 유닛(120)은 이 고정홀(121)을 통해 나사못(F) 등을 사용하여 골 외면(E, 도 1 참조)에 고정된다.
골 고정 유닛(120)은 시술 부위에 따라 다양한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3㎜ 내지 10㎜, 구체적으로는 4㎜ 내지 5㎜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골 지지 유닛(130)은 중앙 유닛(110)의 한 단부(111)에서 두 개의 골 고정 유닛(120) 사이로 하나가 연장되고, 타 단부(113)에서 둘이 서로 이격되어 연장된다. 3개의 골 지지 유닛(130)은 모두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연장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3개의 골 지지 유닛(130)은 절골 부위(C)의 마주하는 절골면(D, 이상, 도 1 참조)이 서로 이격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3개의 골 지지 유닛(130)은 제1 방향(A)을 따라 각각 골 고정 유닛(120)의 맞은편에 위치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골 지지 유닛(130)은 절골면(D, 도 1 참조)에 가해지는 압력은 물론, 제1 방향(A)을 따라 중앙 유닛(110)의 맞은편에 위치한 골 고정 유닛(120)에 가해지는 압력도 지탱할 수 있다.
골 지지 유닛(130)은 절골면(D)을 지지하는 지지판(131)과, 지지판(131)을 중앙 유닛(110)과 연결하는 연결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133)는 제1 방향(A)과 교차하는 제2 방향(B)을 따라 연장된다. 제1 방향(A)과 제2 방향(B)은 예를 들어 60° 내지 90°, 구체적으로는 80° 내지 90°의 각도를 이룰 수 있다. 연결부(133)가 이러한 각도로 제2 방향(B)을 따라 연장되면, 연결부(133)를 거쳐 연장되는 지지판(131)이 절골 부위의 절골면(D)과 맞닿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지지판(131)의 넓은 주면이 절골면(D)과 맞닿게 되어 절골면(D)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지지판(131)이 절골 부위(C)에 가해지는 압력을 일정 수준 흡수할 수 있어, 골 고정 유닛(120)에 가해지는 압력도 감소하여 나사못(F)에 의한 골 외면(E, 이상 도 1 참조)의 손상도 줄어든다. 이와 같이 골 지지 유닛(130)은, 절골면(D) 사이에 이식되어 절골면(D) 사이의 압력을 분담하는 골 이식재의 역할도 할 수 있어, 골 이식재가 없는 경우에도 충분한 지지력을 가질 수 있다.
골 지지 유닛(130)은 중앙 유닛(110) 및 골 고정 유닛(120)과 함께 하나의 판으로 구성될 수 있고, 또한 연결부(133)는 제2 방향(B)을 따르는 축을 중심으로 벤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골 지지 유닛(130)을 중앙 유닛(110)에 연결하는 별도의 공정이 필요 없으며, 금속판을 절단 가공한 후 단 한번의 프레스 성형을 거쳐 제조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다. 또한, 연결부(133)가 벤딩 공정을 통해 둥글게 형성되므로 시술 후 절골 부위(C) 주변 연부조직에 가해지는 손상을 줄일 수 있다.
골 지지 유닛(130)은 치조골에 사용되는 경우, 예를 들어 3㎜ 내지 8㎜, 구체적으로는 5㎜ 내지 6㎜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보통 치조골의 두께는 정상인의 경우 8㎜ 내지 12㎜에 이르고, 환자의 경우 8㎜ 내지 10㎜에 이른다. 이 경우, 골 지지 유닛(130)을 5㎜ 내지 6㎜의 길이로 구성하면, 절골면(D)과 골 이식재가 서로 2㎜ 이상 맞닿게 되어 절골 부위의 빠른 유착을 유도할 수 있음은 물론, 골 지지 유닛(130)에 요구되는 지지력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골 지지 유닛(130)은 충분한 지지력을 얻기 위해 8㎜ 이상의 길이로 연장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골 지지 유닛(130)에 후술할 유착홀(215)을 형성하여 강한 지지력과 함께 빠른 유착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골 접합용 디바이스(100)는 예를 들어 0.3㎜ 내지 3㎜, 구체적으로는 0.4㎜ 내지 0.6㎜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골 접합용 디바이스(100)는 개방형 경골 근위부 절골술에 사용하는 경우 충분한 지지력을 얻기 위해 1㎜ 내지 3㎜의 두께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0.4㎜ 내지 0.6㎜로 구성하면 두께가 얇아 절골면(D)이 접합된 후 별도의 제거 시술을 거치지 않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골 접합용 디바이스(200)의 평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중앙 유닛(210)에는 두 개의 유착홀(215)과 하나의 나사홀(217)이 형성될 수 있다.
유착홀(215)은 중앙 유닛(210) 양측의 골이 서로 유착할 수 있게 하여 시술후 골 접합 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유착홀(215)은 중앙 유닛(210)에 두 개가 형성된다. 다만, 유착홀(215)은 더 빠른 유착을 위해 셋 이상이 형성될 수도 있다. 유착홀(215)은 시술 종류에 따라 다양한 크기를 가지며, 큰 지지력이 요구되는 경우 크기와 갯수를 줄일 수 있다.
나사홀(217)은 중앙 유닛(210)에 골 이식재를 고정하기 위한 나사가 관통되는 홀이다. 나사홀(217)을 이용하여 중앙 유닛(210)에 골 이식재(블록형)를 고정하면, 마주하는 절골면(D) 사이에 골 이식재를 삽입하는 별도의 시술 절차 없이 편리하게 시술할 수 있다. 나사홀(217)은 골 이식재의 크기에 따라 여러 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유착홀(215)과 나사홀(217)은 중앙 유닛(210) 이외에 골 지지 유닛(230)에도 형성될 수 있다. 유착홀(215)이 골 지지 유닛(230)에 형성되는 경우 골 지지 유닛(230) 양측의 골이 서로 쉽게 유착할 수 있으나, 골 지지 유닛(230)의 지지력이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시술 종류에 따라 다양한 치수와 갯수를 갖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골 접합용 디바이스(300)의 사시도이다. 본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는 보다 큰 지지력이 요구되는 개방형 경골 근위부 절골술에 주로 사용된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골 고정 유닛(320)은 제1 방향(A)으로 연장되는 제1 골 고정 유닛(320a)과, 제1 골 고정 유닛(320a)에서 제2 방향(B)으로 연장되는 제2 골 고정 유닛(32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골 고정 유닛(320a) 및 제2 골 고정 유닛(320b)에는 각각 제1 고정홀(321a) 및 제2 고정홀(321b)이 형성된다.
제2 골 고정 유닛(320b)은 제2 방향(B)을 따르며, 병렬적으로 배치된 골 지지 유닛(330) 측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골 지지 유닛(330)이 받는 압력으로 인한 모멘트를 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고정홀(321b)이 제1 고정홀(321a)보다 골 지지 유닛(330)에 가까이 위치하므로 모멘트의 팔길이가 줄어들어, 골 지지 유닛(330)에 가해지는 압력으로 인한 모멘트를 효율적으로 지탱할 수 있다. 또한, 프레스 절단 성형시 낭비되는 자투리 금속판의 양을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이다.
본 도면에 도시한 제1 골 고정 유닛(320a)은 중앙 유닛(310)에서 직접 연장되지 않고, 2개의 만곡부(323a,323b)를 거쳐 제1 방향(A)을 따라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제1 골 고정 유닛(320a)은 제1 만곡부(323a)를 거쳐 제3 골 고정 유닛(320c)과 연장되고, 제3 골 고정 유닛(320c)은 제2 만곡부(323b)를 거쳐 중앙 유닛(310)의 양 단부(311,313)로 연장된다.
제1 만곡부(323a)는, 제1 골 고정 유닛(320a)이 중앙 유닛(310)과 평행을 이루도록 벤딩된다. 제2 만곡부(323b)는, 병렬적으로 배치된 제3 골 고정 유닛(320c)과 골 지지 유닛(330)이 평행을 이루도록 벤딩된다.
제3 골 고정 유닛(320c)은 병렬적으로 배치된 골 지지 유닛(330)과 평행을 이루므로, 골 지지 유닛(330)과 함께 절골면(D, 도 1 참조)의 형태에 대응할 수 있다. 골 지지 유닛(330)을 길게 연장하는 경우, 골 지지 유닛(330)에 가해지는 휨 모멘트도 커지게 되어 골 지지 유닛(330)의 지지력이 약화될 수 있다. 반면, 제3 골 고정 유닛(320c)을 골 지지 유닛(330)과 평행하게 구성하면, 제3 골 고정 유닛(320c)이 절골면(D)을 직접 지지할 수 있어, 골 지지 유닛(330)을 짧게 구성하더라도 강력한 지지력을 얻을 수 있다. 제3 골 고정 유닛(320c)과 골 지지 유닛(330)은 둘을 합쳐 예컨대 8㎜ 내지 12㎜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1 골 고정 유닛(320a)은 골 외면(E)의 형태와 서로 대응하는 제3 만곡부(323c)도 포함할 수 있다. 개방형 경골 근위부 절골술이 이루어지는 정강이뼈 상단의 경우, 상측 피질골과 하측 피질골의 골 외면(E)이 절골면(D)과 수직을 이루지 않는다. 이때, 제1 골 고정 유닛(320a)에 제3 만곡부(323c)를 형성함으로써 제1 골 고정 유닛(320a)이 정강이뼈의 골 외면(E, 이상, 도 1 참조)과 밀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골 접합용 디바이스(300)가 평평하지 않은 골 부위에도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제1 골 고정 유닛(320a)은 제3 만곡부(323c)를 통해 예를 들어 10°내지 30°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두 개의 골 지지 유닛(330)은 예를 들어 5°내지 15°, 구체적으로는 7°내지 13°의 각도를 이룰 수 있다. 본 도면의 실시예는 절골 부위(C)를 쐐기형으로 잘라내는 개방형 경골 근위부 절골술에 주로 사용된다. 따라서, 마주하는 절골면(D)이 서로 평행을 이루지 않으므로, 골 지지 유닛(330)과 제3 골 고정 유닛(320c)도 이에 대응하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골 지지 유닛(330)과 제3 골 고정 유닛(320c)이 쐐기형 절골면(D, 이상, 도 1 참조)과 맞닿게 되어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골 접합용 디바이스(300)도 하나의 판으로 구성될 수 있고, 제1 만곡부(323a), 제2 만곡부(323b), 및 제3 만곡부(323c)도 벤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골 접합용 디바이스(300)의 두께도 예를 들어 1㎜ 내지 3㎜로 두껍게 구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골 접합용 디바이스(400)의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골 고정 유닛(420)은 골 지지 유닛(430)의 자유단(435)에서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골 접합용 디바이스(400)도 중앙 유닛(410), 골 지지 유닛(430), 및 골 고정 유닛(420)이 하나의 판으로 구성되며, 골 지지 유닛(430)은 중앙 유닛(410)에서 벤딩하여 제조되고, 골 고정 유닛(420)도 골 지지 유닛(430)과 벤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골 접합용 디바이스(400)를 별도의 후속 절단 공정 없이 벤딩 공정만으로 제조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또한, 도 5의 골 접합용 디바이스(400)는 구조가 단순하여 골 고정 유닛(420) 및 골 지지 유닛(430)의 모서리를 최소화할 수 있어 절골 부위(C)의 절골면(D, 도 1 참조)과 연부조직의 손상을 줄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골 접합용 디바이스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200,300,400: 골 접합용 디바이스
110,210,310,410: 중앙 유닛 111,113,311,313: 단부
120,220,320,420: 골 고정 유닛 121,221: 고정홀
130,230,330,430: 골 지지 유닛 131: 지지판
133: 연결부 215: 유착홀
217: 나사홀 320a: 제1 골 고정 유닛
320b: 제2 골 고정 유닛 320c: 제3 골 고정 유닛
321a: 제1 고정홀 321b: 제2 고정홀
323a: 제1 만곡부 323b: 제2 만곡부
323c: 제3 만곡부 435: 자유단
A: 제1 방향 B: 제2 방향
C: 절골 부위 D: 절골면
E: 골 외면 F: 나사못

Claims (13)

  1. 중앙 유닛;
    상기 중앙 유닛의 양 단부 중 적어도 한 단부 측에 위치하고,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고정홀이 형성되는 골 고정 유닛; 및
    상기 중앙 유닛의 양 단부에 배치되어 절골 부위의 마주하는 절골면을 서로 이격되게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과 상기 중앙 유닛을 연결하며 상기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골 지지 유닛을 포함하는, 골 접합용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 고정 유닛은 상기 중앙 유닛의 한 단부에 상기 골 지지 유닛과 병렬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중앙 유닛의 타 단부에 연결되는 골 지지 유닛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골 고정 유닛의 맞은편에 배치되는, 골 접합용 디바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골 고정 유닛은 상기 중앙 유닛의 한 단부에 둘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중앙 유닛의 타 단부에 하나가 배치되며, 상기 골 지지 유닛은 상기 중앙 유닛의 한 단부에 서로 이격된 두 개의 골 고정 유닛 사이로 하나가 배치되고, 상기 중앙 유닛의 타 단부에 하나의 골 고정 유닛의 양 측으로 둘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골 접합용 디바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 고정 유닛은 상기 절골 부위의 절골면 또는 골 외면의 형태와 서로 대응하도록 만곡 형성되는 만곡부를 포함하는, 골 접합용 디바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 고정 유닛은 상기 골 지지 유닛의 자유단에서 연장되는, 골 접합용 디바이스.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유닛, 상기 골 고정 유닛, 및 상기 골 지지 유닛은 하나의 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르는 축을 중심으로 벤딩되어 형성되는, 골 접합용 디바이스.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유닛 또는 상기 골 지지 유닛에는 상기 중앙 유닛 양측 또는 상기 골 지지 유닛 양측의 골이 서로 유착할 수 있도록 유착홀이 형성되는, 골 접합용 디바이스.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유닛 또는 상기 골 지지 유닛에는 골 이식재를 고정하기 위한 나사가 관통되는 나사홀이 형성되는, 골 접합용 디바이스.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골 지지 유닛은 상기 절골 부위의 절골면이 서로 유착할 수 있도록 5㎜ 내지 6㎜의 길이를 갖는, 골 접합용 디바이스.
  10.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골 고정 유닛은, 상기 중앙 유닛의 양 단부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1 고정홀이 형성되는 제1 골 고정 유닛; 및
    상기 골 지지 유닛에 가해지는 압력으로 인한 모멘트를 지탱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골 고정 유닛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2 고정홀이 형성되는 제2 골 고정 유닛을 포함하는, 골 접합용 디바이스.
  11. 서로 반대되는 양 단부를 구비하는 중앙 유닛;
    상기 양 단부 중 적어도 한 단부 측에 위치하고, 절골 부위의 골 외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골 고정 유닛; 및
    상기 절골 부위의 마주하는 절골면을 서로 이격되게 지지하도록 상기 양 단부 각각에 연결되고, 상기 양 단부 중 상기 골 고정 유닛이 형성된 단부에서는 상기 골 고정 유닛과 병렬적으로 배치되는 골 지지 유닛을 포함하는, 골 접합용 디바이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골 지지 유닛은 상기 중앙 유닛의 단부 중 상기 골 고정 유닛의 맞은편에 배치되는, 골 접합용 디바이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골 고정 유닛은 상기 중앙 유닛의 한 단부에 둘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중앙 유닛의 타 단부에 하나가 배치되며, 상기 골 지지 유닛은 상기 중앙 유닛의 한 단부에 서로 이격된 두 개의 골 고정 유닛 사이로 하나가 배치되고, 상기 중앙 유닛의 타 단부에 하나의 골 고정 유닛의 양 측으로 둘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골 접합용 디바이스.
KR1020120121962A 2012-10-31 2012-10-31 골 접합용 디바이스 KR101370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1962A KR101370433B1 (ko) 2012-10-31 2012-10-31 골 접합용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1962A KR101370433B1 (ko) 2012-10-31 2012-10-31 골 접합용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0433B1 true KR101370433B1 (ko) 2014-03-10

Family

ID=50647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1962A KR101370433B1 (ko) 2012-10-31 2012-10-31 골 접합용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043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3860A (en) * 1992-08-25 1994-12-20 Catone; Guy A. Apparatus for and method of contouring plates for bone fixation
KR100641312B1 (ko) * 2006-05-18 2006-11-01 송은규 개방형 설상 경골 근위부 절골술용 금속고정구
US20110301609A1 (en) * 2009-02-17 2011-12-08 Obl Customised assembly including at least two osteosynthesis plates which are in turn customised
US20120271359A1 (en) * 2009-10-03 2012-10-25 Nuvasive, Inc. Bone plate system and related method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3860A (en) * 1992-08-25 1994-12-20 Catone; Guy A. Apparatus for and method of contouring plates for bone fixation
KR100641312B1 (ko) * 2006-05-18 2006-11-01 송은규 개방형 설상 경골 근위부 절골술용 금속고정구
US20110301609A1 (en) * 2009-02-17 2011-12-08 Obl Customised assembly including at least two osteosynthesis plates which are in turn customised
US20120271359A1 (en) * 2009-10-03 2012-10-25 Nuvasive, Inc. Bone plate system and related method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93751B1 (en) Orthopedic implant in the form of a plate to be fixed between two bone parts
US10064631B2 (en) Bone implants and cutting apparatuses and methods
JP4427056B2 (ja) 骨接合用固定プレート
ES2687519T3 (es) Dispositivo de fijación ósea
JP5547225B2 (ja) 軟骨下関節表面支持体を備えた骨折固定システム
US9980760B2 (en) Step off bone plates, systems, and methods of use
US8858602B2 (en) Bone defect repair device and method
KR100706291B1 (ko) 뼈 플레이트
US10143503B2 (en) Bone plate and bone plate system
US9949773B2 (en) Orthopedic bone plate and locking tab apparatus and method of use
DE69918534D1 (de) Orthopädischer monolateraler aussenfixateur
US11426219B2 (en) Intra-osseous plate system and method
PL1615598T3 (pl) Urządzenie dla spondylodezy
JP6086993B2 (ja) 骨切り術用インプラント
US20210353341A1 (en) Wedge plates and methods of use
US20120191211A1 (en) Foot and ankle implant and associated method
KR101370433B1 (ko) 골 접합용 디바이스
KR20160019245A (ko) 골 접합용 고정 플레이트
CN215688347U (zh) 一种骨头钢板组件
JPS6036271Y2 (ja) 整形用セラミツク修復部材
JPH11137565A (ja) 骨折接合具
KR20130077516A (ko) 골 접합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