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0131B1 - 열교환기용 열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열교환기용 열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0131B1
KR101370131B1 KR1020130053903A KR20130053903A KR101370131B1 KR 101370131 B1 KR101370131 B1 KR 101370131B1 KR 1020130053903 A KR1020130053903 A KR 1020130053903A KR 20130053903 A KR20130053903 A KR 20130053903A KR 101370131 B1 KR101370131 B1 KR 101370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eat exchanger
bending
upper plate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3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병호
Original Assignee
오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병호 filed Critical 오병호
Priority to KR1020130053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01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0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0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08Elements constructed for building-up into stacks, e.g. capable of being taken apart for cleaning
    • F28F3/10Arrangements for sealing the marg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02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eat exchangers or parts thereof, e.g. radiators, condensers fins, headers
    • B21D53/04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eat exchangers or parts thereof, e.g. radiators, condensers fins, headers of sheet 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9/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9/0031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 F28D9/004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plates having openings therein for circulation of at least one heat-exchange medium from one conduit to an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1/00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 F28F21/08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of metal
    • F28F21/081Heat exchange elements made from metals or metal allo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0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 F28F3/04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 F28F3/04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in the form of local deformations of the element
    • F28F3/044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in the form of local deformations of the element the deformations being pontual, e.g. dimp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3/00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 F28F13/06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by affecting the pattern of flow of the heat-exchange medi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55/00Heat exchanger elements made of materials having special features or resulting from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F28F2255/08Heat exchanger elements made of materials having special features or resulting from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pressed; stamped; deep-draw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75/00Fastening; Joining
    • F28F2275/06Fastening; Joining by 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교환기에 적용되는 열판 및 그 제조방법으로, 다수개의 열판을 적층하여 발열면적을 최대화할 수 있는 열교환기에 적용하기 위해, 금속판을 절곡하고, 용접하여 완성하는 열판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이를 위해,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평판부(11a)와 상기 평판부(11a)의 횡측단부에 절곡되어 형성된 절곡홈(11b)과 상기 절곡홈(11b)의 일측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돌기(11c)로 형성된 상판(11)과 상기 상판(11)에 결합되데,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다수개의 평단면(12a)과 상기 평단면(12a)의 사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절곡뿔(12b)로 이루어진 하판(12)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판(11)과 하판(12)을 용접결합하여 완성하게 된다.

Description

열교환기용 열판 및 그 제조방법{A HEAT PLATE FOR HEAT EXCHANGER AND METHOD OF HEAT PLATE}
본 발명은 열교환기에 적용되는 열판 및 그 제조방법으로, 다수개의 열판을 적층하여 발열면적을 최대화할 수 있는 열교환기에 적용하기 위해, 금속판을 절곡하고, 용접하여 완성하는 열판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교환기는 농산물을 건조하는 건조기 및 열원을 필요로 하는 모든 곳에 사용되는 중요한 부속품이다.
상기와 같은 열교환기는 동결건조기에 적용되기도 하고, 온열을 이용하는 히팅건조기에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열교환기는 대부분 열을 공급하는 열공급부와 상기 열공급부에 공급되는 열원을 외부로 방출시키기 위한 방출부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방출부는 대부분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는 단순한 판재와 상기 판재에 부착되거나 다수개의 판재를 관통하는 열배관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단순한 구조의 열교환기는 열발산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개선하고자 다양한 기술들이 개시되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86872호(플레이트, 열교환기 및 열교환기 제조 방법, 이하 '선행기술 1'이라함)은 용접식 열교환기의 내부에서 순환되는 2개의 유체 사이에 격벽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고, 복수의 파형부(2)를 포함하는 플레이트(1)에 있어서, 파형부(2)의 전부 또는 일부가 하나 이상의 상측 융기 라인(3)상에 플레이트(1)의 파형부(2)의 공칭 높이를 초과하는 높이를 가진 하나 이상의 소정의 접촉 영역(4)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소정의 접촉 영역(4)은 열교환기를 제조할 때에 상기 플레이트(1)의 위에 제공되는 다른 플레이트의 파형부의 하측 융기 라인과 접촉하여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1)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다수개의 플레이트를 적재하는 열교환기와 관련된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87799호(환기 장치용 열교환기, 이하 '선행기술2'라 함),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7903호(열교환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및 열교환기 및 열교환 환기장치, 이하 '선행기술3'이라 함),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38347호(열교환기 및 열교환기의 제조방법, 이하 '선행기술 4'라 함)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40007호(열교환기 및 열교환 환기장치, 이하 '선행기술 5'라함)에서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 1은 플레이트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다수개의 파형 플레이트를 교차결합하는 형태로 형성하였기 때문에 열교환이 원활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으며, 그 결합력 또한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선행기술 2 내지 5는 선행기술 1과 마찬가지로 다수개의 파형을 유지하는 플레이트를 교차배치하는 형태를 유지하나, 이또한 송풍장치 등을 이용하여 열교환기를 통하여 외부로 열을 발산할 때, 그 효율이 저하되거나, 결합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선행기술 1 내지 5는 제조당시 플레이트가 제한적으로 적용되어 일률적인 열을 공급할 수 밖에 없어서, 그 사용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로 인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29662호(더블 딤플형 판령 열판 및 이를 이용한 열교환기, 이하 선행기술 '6'이라 함, : 도 1 참조)는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판의 평면에 다수개의 딤플(돌기)를 형성하고, 이렇게 형성된 금속판 한쌍을 결합하여 열판을 형성한 후, 다수개를 적재하여 열교환기를 제조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 6의 경우 돌기형태의 딤플을 형성하기 때문에 내측에 구비되는 유체 등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선제조공정으로 다수개의 금속판에 딤플(돌기)를 형성하는 과정이 복잡하여 제조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발명은 열교환기용 열판을 제공함에 있어서, 열효율이 높으며, 열교환기에 적용하기 용이한 열교환기용 열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다수개의 열판을 적재하여 열교환기를 형성하기 때문에, 열판의 갯수를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공급하는 열량을 사용처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열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열교환기용 열판을 제공함에 있어서,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평판부(11a)와 상기 평판부(11a)의 횡측단부에 절곡되어 형성된 절곡홈(11b)과 상기 절곡홈(11b)의 일측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돌기(11c)로 형성된 상판(11)과 상기 상판(11)에 결합되데,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다수개의 평단면(12a)과 상기 평단면(12a)의 사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절곡뿔(12b)로 이루어진 하판(12)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판(11)과 하판(12)을 용접결합하여 완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판(11)의 평판부(11a) 종측단부에는 상판(11)이 뒤틀리지 않도록 힘살 역할을 하는 절곡턱(11d)이 더 형성되고, 하판(12)의 평탄면(12a)의 측면에는 상판의 절곡턱(11d)에 대응하며, 하판(12)이 뒤틀리지 않도록 힘살 역할을 하는 절곡턱(12c)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절곡홈(11b)은 평판부(11a)의 상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판(12)의 평단면(12a)에는 상판(11)과 밀착용접하기 위한 다수개의 용접홀(12d)이 더 형성되며, 상기 상판(11)과 하판(12)이 결합될 때, 상판(11)의 평판부(11a)와 하판(12)의 절곡뿔(12b)의 사이에 열매개체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인 유로(10a)가 형성되는 열교환기용 열판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열교환기용 열판을 제조하는 방법은 금속판의 횡측단부를 절곡하여 절곡홈(11b)을 형성하여 상판(11)을 성형하는 단계(S10), 상기 상판을 성형하는 단계에서 절곡홈(11b)이 형성된 상판(11)의 절곡홈(11b)의 측면 단부에 삼각형상의 돌기(11c) 다수개를 형성하는 단계(S20), 상기 상판에 대응하도록 금속판의 일측단면을 절곡하여 다수개의 절곡뿔(12b)을 형성하여 하판(12)을 성형하는 단계(S30), 상기 상판(11)의 저면과 하판(12)의 평면을 마주보도록 하고 밀착 용접하는 단계(S40), 상기 단계(S40)에서 밀착용접된 상판(11)과 하판(12)의 각각의 모서리부분을 폐쇄하기 위해 용접하는 단계(S50) 및 상기 단계(S50)에서 결합된 상판(11)과 하판(12)의 절곡홈(11b)의 단부 개방부분을 밀폐하는 단계(S60)로 구성되는 열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가능하다.
또한, 상기 금속판의 횡측단부를 절곡하여 절곡홈(11b)을 형성하여 상판(11)을 성형하는 단계(S10)에는 상판(11)이 뒤틀리지 않도록 힘살의 역할을 하는 절곡턱(11d)을 금속판의 종측단부에 형성하는 과정이 더 포함되고, 상기 상판에 대응하도록 금속판의 일측단면을 절곡하여 다수개의 절곡뿔(12b)을 형성하여 하판(12)을 성형하는 단계(S30)에는 하판(12)의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해 하판(12)의 종측단부에 절곡턱(12c)을 형성하는 과정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열교환기용 열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교환기를 열효율이 높으며, 열판을 이용하여 열교환기의 제작이 용이하며 다수개의 열판을 적재하여 열교환기를 형성하기 때문에, 열판의 갯수를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공급하는 열량을 사용처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종래의 기술에 대한 대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열교환기용 열판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열교환기용 열판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열교환기용 열판의 상판(11)의 상측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열교환기용 열판의 상판(11)의 하측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 열교환기용 열판의 하판(12)의 상측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열교환기용 열판의 하판(12)의 하측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열교환기용 열판의 활용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 열교환기용 열판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당업자가 본 발명의 열교환기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은 본 발명 열교환기용 열판의 사시도이고, 도 3는 본 발명 열교환기용 열판의 단면도이다.
도 2과 도 3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열교환기용 열판은 금속판을 절곡하여 상판(11)을 성형하고 상기 상판(11)에 대응하도록 금속판을 절곡하여 하판(12)을 성형한 후, 상기 상판(11)과 하판(12)을 용접결합하여 열판(10)을 완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판(11)의 하단면과 하판(12)의 상단면을 마주보도록 하고, 결합하여 완성한다.
여기서, 상기 상판(11)의 평판부(11a)와 하판(12)의 평단면(12a)이 접하도록 하고, 상판(11)의 돌기(11c)와 하판(12)의 절곡뿔(12b)이 대응하도록 하며, 상판(11)의 절곡턱(11d)과 하판(12)의 절곡턱(12c)이 대응하도록 하여 용접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결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상판(11)과 하판(12)의 일측단부 즉, 상판(11)의 절곡홈(11b)의 양측단부에 형성된 개구부에는 각각 연결홀(13a)이 형성된 배관뚜껑판(13)과 연결홀(13a)이 형성되지 않은 마감뚜껑판(14)을 각각 결합하여 열교환판(10)을 완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열교환판(10)의 각각의 연결부위는 용접을 통하여 밀봉되도록 결합한다.
여기서, 상기 배관뚜껑판(13) 및 마감뚜껑판(14)은 상판(11)과 하판(12)의 일부분을 더 절곡하여 대체 가능하다.
이때, 상기 배관뚜껑판(13)과 마감뚜껑판(14)은 각각 열판(10)의 대각 모서리 방향에 위치하도록 결합되는데, 이는 열판(10)에 열매개체를 공급하기 위한 열분배관(20)이 결합되어 열매개체의 이송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열판(10)의 전면일측에 배관뚜껑판(13)이 구비되면, 상기 전면일측과 대각선상에 위치하는 열판(10)의 또다른 모서리에 배관뚜껑판(13)을 구비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판(11)과 하판(12)을 결합하게 되면, 하판(12)의 절곡뿔(12b)이 상판(11)과 이격되어 공간이 형성되게 되고, 상판(11)의 평판부(11a)보다 돌출되도록 절곡된 절곡홈(11b)과 그 단부가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공간이 형성된 절곡홈(11b)과 절곡뿔(12b)에 의해 유로(10a)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10a)에 열매체(스팀 또는 오일 등)이 이송되며 열원으로 사용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 열교환기용 열판의 상판(11)의 상측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열교환기용 열판의 상판(11)의 하측사시도이다.
도 4와 도 5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열판(10)을 구성하는 상판(11)은 금속판을 절곡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평판부(11a)와 상기 평판부(11b)의 횡측단부에 절곡되어 형성된 절곡홈(11b)과 상기 절곡홈(11b)의 일측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돌기(11c) 및 평판부(11a)의 종측단부에 형성되는 절곡턱(11d)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절곡홈(11b)과 절곡턱(11d)은 각각 한쌍씩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상판(11)의 절곡홈(11b)은 평판부(11a)의 일측 단부를 절곡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평판부(11a)의 상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상으로 절곡하여 완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절곡홈(11b)의 측면 단부에는 다수개의 돌기(11c)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돌기(11c)는 삼각형상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돌기(11c)의 사이에는 평탄면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돌기(11c)는 하판(12)의 절곡뿔(12b)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상판(11)과 하판(12)에 결합될 때, 절곡뿔(12b)의 내주면에 상단(11)의 돌기(11c)가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평판부(11a)의 종측단부에 형성되는 절곡턱(11d)은 평판부(11a)의 하측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이는 상판(11)과 하판(12)이 결합될 때, 하판(12)의 절곡턱(12c)이 대응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 열교환기용 열판의 하판(12)의 상측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 열교환기용 열판의 하판(12)의 하측사시도이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상판(11)과 결합되어 열판(10)을 형성하는 하판(12)은 다수개의 평단면(12a)과 상기 평단면(12a)의 사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절곡뿔(12b)로 구성되데, 상기 평단면(12a)의 하단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평단면(12a)의 측면에는 절곡턱(12c)이 더 형성된다.
이는 작업시 하판(12)의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상판(11)의 절곡턱(11d)에 대응하여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평단면(12a)의 상단면에는 다수개의 용접홀(12d)이 형성되는데, 상기 용접홀(12d)은 상판(11)과 하판(12)을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하판(12)의 평단면(12a)와 상판(11)의 평판부(11a)를 결합시키기 위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용접홀(12d)을 통하여 상판(11)의 평판부(11a)와 하판(12)의 평탄면(12a)를 결합하게 되며, 이때 스팟용접 또는 통상의 전기용접을 이용하여 결합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열교환기용 열판의 활용상태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열교환기용 열판을 적용하여 제조되는 열교환기는 다수개의 열판(10)을 적재한 후, 각각의 열판(10)에 열분배관(20)을 결합하고 다수개의 열판(10)을 지지대(30)에 의해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며 지지되도록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30)는 열판(10)의 측면 일측에 결합되는데, 다수개의 열판(10)을 적재한 후 동일한 측면에 지지대(30)를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하여 열교환기를 완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다수개의 열판(10)을 적재함에 있어, 열판(10)의 하판(12 : 도 4 참조)이 하단방향으로 향하도록 하여 적재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수개의 열판(10)중 일개의 하판(12)과 또다른 열판(10)의 상판(11)이 마주보도록 하여 적재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다수개의 열판(10)을 적재하게 되면, 일개의 열판(10)의 평면과 또다른 일개의 열판(10)의 절곡뿔(12b)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많은 양의 열을 교환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단면적을 넓게 하여 많은 양의 열을 발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열판(10)에 열매개체인 스팀 또는 오일 등이 공급되어 열기를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냉장 또는 냉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냉기 또는 저온의 오일 등이 공급되어 냉기를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열교환기에 있어서, 열판(10)의 갯수는 필요한 열량에 따라 가감하여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제공되는 열량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 열교환기용 열판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열교환기용 열판은 금속판을 절곡하여 상판(11)을 성형하고, 상기 상판(11)에 대응하는 하판(12)을 절곡하여 성형한 후, 용접결합을 통하여 완성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열판의 제조방법은 금속판의 횡측단부를 절곡하여 절곡홈(11b)을 형성하여 상판(11)을 성형하는 단계(S10), 상기 단계에서 절곡홈(11b)이 형성된 상판(11)의 절곡홈(11b)의 측면 단부에 삼각형상의 돌기(11c) 다수개를 형성하는 단계(S20), 상기 상판에 대응하도록 금속판의 일측단면을 절곡하여 다수개의 절곡뿔(12b)을 형성하여 하판(12)을 성형하는 단계(S30), 상기 상판(11)의 저면과 하판(12)의 평면을 마주보도록 하고 밀착 용접하는 단계(S40), 상기 단계(S40)에서 밀착용접된 상판(11)과 하판(12)의 각각의 모서리부분을 폐쇄하기 위해 용접하는 단계(S50) 및 상기 단계(S50)에서 결합된 상판(11)과 하판(12)의 절곡홈(11b)의 단부 개방부분을 밀폐하는 단계(S60)로 구성된다.
상기 상판(11)을 성형하는 단계(S10)는 금속판의 횡측단부를 절곡하여 평판부(11a)와 절곡홈(11b)을 만드는 과정으로, 상기 절곡홈(11b)은 금속판의 횡측단부를 상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상으로 절곡하여 완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절곡홈(11b)은 하판(12)과 결합시 유로(10a)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단계(S10)에서 형성된 절곡홈(11b)의 측면 단부에 삼각형상의 돌기(11c) 다수개를 형성하는 단계(S20)는 상판(11)이 하판(12)과 결합될 때, 하판(12)에 형성되는 절곡뿔(12b)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돌기(11c)의 종단부에 절곡뿔(12b)의 내주면이 접촉되어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단계(S20)를 거쳐 성형된 상판(11)에 상기 상판에 대응하도록 금속판의 일측단면을 절곡하여 다수개의 절곡뿔(12b)을 형성하여 하판(12)을 성형하는 단계(S30)는 금속판의 일측면을 연속적으로 절곡하여 절곡뿔(12b)를 성형하게 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금속판의 일측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삼각뿔 형상으로 절곡뿔(12b)를 형성하고 상기 다수개의 절곡뿔(12b)의 사이에 평단면(12a)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단계(S30)에서 하판(12)에 다수개의 평단면(12a)과 다수개의 절곡뿔(12b)를 형성하여 성형된 하판(12)의 평면과 상판(11)의 저면을 마주보도록 하고 밀착용접하는 단계(S40)는 상판(11)의 평판부(11a)에 하판(12)의 평단면(12a)가 밀착되도록하여 용접하게 된다.
이때, 상기 평판부(11a)와 평단면(12a)는 스팟용접 또는 통상의 전기용접을 이용하여 밀착용접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단계(S40)에서 상판(11)과 하판(12)을 밀착용접한 후, 상판(11)과 하판(12)의 각각의 모서리부분을 폐쇄하기 위해 용접하는 단계(S50)는 상판(11)과 하판(12)이 접하고 있는 각각의 모서리 부분을 용접하여 결합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판(11)의 돌기(11c)와 하판(12)의 절곡뿔(12b)이 대응되도록 한후 접합면을 용접하며, 또한, 상판(11)과 하판(12)의 각각의 종측단부의 접합면을 용접하여 폐쇄하는 것이다.
상기 단계(S50)에서 상판(11)과 하판(12)의 각각의 모서리를 용접결합 한 후 상판(11)과 하판(12)의 절곡홈(11b)의 단부 개방부분을 밀폐하는 단계(S60)는 상판(11)의 절곡홈(11b)의 개방된 단부를 밀폐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판(11)과 하판(12)을 결합하게 되면, 상판(11)의 절곡홈(11b)의 개방부에 배관뚜껑판(13)과 마감뚜껑판(14)을 결합하고 용접하여 개방된 단부를 밀폐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배관뚜껑판(13)은 일측에 연결홀(13a) 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다수개의 열판(10)을 적재하여 열교환기를 제조할 때, 열매개체를 공급하기 위한 열분배관(20)이 결합되는 것이고, 마감뚜껑판(14)은 홀이 형성되지 않은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제조공정을 통하여 본 발명의 열판(10)을 완성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금속판의 횡측단부를 절곡하여 절곡홈(11b)을 형성하여 상판(11)을 성형하는 단계(S10)에는 금속판의 종측단부에 절곡턱(11d)을 형성하는 과정 더 포함될 수 있는데, 상기 절곡턱(11d)은 상판(11)이 뒤틀리지 않도록 힘살의 역할을 하며, 또한 하판(12)을 결합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판에 대응하도록 금속판의 일측단면을 절곡하여 다수개의 절곡뿔(12b)을 형성하여 하판(12)을 성형하는 단계(S30)에는 하판(12)의 종측단부에 절곡턱(12c)을 형성하는 과정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곡턱(12c)은 상판(11)의 종측단부에 형성되는 절곡턱(11d)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것이며, 하판(12)의 뒤틀림 또한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거쳐 본 발명의 열교환기용 열판(10)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며, 열교환기에 적용할 때에는 다수개의 열판(10)을 적절하게 배치 적재하여 열교환기를 완성하게 되는 것이다.
10 : 열판 10a : 유로
11 : 상판 11a : 평판부
11b : 절곡홈 11c : 돌기
11d : 절곡턱 12 : 하판
12a : 평단면 12b : 절곡뿔
12c : 절곡턱 12d : 용접홀
20 : 열분배관 30 : 지지대

Claims (9)

  1. 열교환기용 열판에 있어서,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평판부(11a)와 상기 평판부(11a)의 횡측단부에 절곡되어 형성된 절곡홈(11b)과 상기 절곡홈(11b)의 일측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돌기(11c)로 형성된 상판(11);과
    상기 상판(11)에 결합되데,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다수개의 평단면(12a)과 상기 평단면(12a)의 사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절곡뿔(12b)로 이루어진 하판(12)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판(11)과 하판(12)을 용접결합하여 완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용 열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11)의 평판부(11a) 종측단부에는 상판(11)이 뒤틀리지 않도록 힘살 역할을 하는 절곡턱(11d)이 더 형성되고, 하판(12)의 평탄면(12a)의 측면에는 상판의 절곡턱(11d)에 대응하며, 하판(12)이 뒤틀리지 않도록 힘살 역할을 하는 절곡턱(12c)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용 열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홈(11b)은 평판부(11a)의 상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용 열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12)의 평단면(12a)에는 다수개의 용접홀(12d)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용 열판.
  5. 제 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11)과 하판(12)이 결합될 때, 상판(11)의 평판부(11a)와 하판(12)의 절곡뿔(12b)의 사이에 열매개체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인 유로(10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용 열판.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열판 다수개 중 일개의 열판의 하판(12)과 또다른 열판의 상판(11)이 마주보도록 적재하고, 각각의 열판 측면 일측에 지지대(30)를 결합하여 지지하고, 열분배관(20)을 열판에 결합하여 열교환기를 완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용 열판.
  7. 열교환기용 열판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금속판의 횡측단부를 절곡하여 절곡홈(11b)을 형성하여 상판(11)을 성형하는 단계(S10);
    상기 상판을 성형하는 단계에서 절곡홈(11b)이 형성된 상판(11)의 절곡홈(11b)의 측면 단부에 삼각형상의 돌기(11c) 다수개를 형성하는 단계(S20);
    상기 상판에 대응하도록 금속판의 일측단면을 절곡하여 다수개의 절곡뿔(12b)을 형성하여 하판(12)을 성형하는 단계(S30);
    상기 상판(11)의 저면과 하판(12)의 평면을 마주보도록 하고 밀착 용접하는 단계(S40);
    상기 단계(S40)에서 밀착용접된 상판(11)과 하판(12)의 각각의 모서리부분을 폐쇄하기 위해 용접하는 단계(S50); 및
    상기 단계(S50)에서 결합된 상판(11)과 하판(12)의 절곡홈(11b)의 단부 개방부분을 밀폐하는 단계(S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용 열판의 제조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의 횡측단부를 절곡하여 절곡홈(11b)을 형성하여 상판(11)을 성형하는 단계(S10)에는 상판(11)이 뒤틀리지 않도록 힘살의 역할을 하는 절곡턱(11d)을 금속판의 종측단부에 형성하는 과정이 더 포함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용 열판의 제조방법.
  9. 제 7항 또는 제 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에 대응하도록 금속판의 일측단면을 절곡하여 다수개의 절곡뿔(12b)을 형성하여 하판(12)을 성형하는 단계(S30)에는 하판(12)의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해 하판(12)의 종측단부에 절곡턱(12c)을 형성하는 과정이 더 포함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용 열판의 제조방법.










KR1020130053903A 2013-05-13 2013-05-13 열교환기용 열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370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3903A KR101370131B1 (ko) 2013-05-13 2013-05-13 열교환기용 열판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3903A KR101370131B1 (ko) 2013-05-13 2013-05-13 열교환기용 열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0131B1 true KR101370131B1 (ko) 2014-03-04

Family

ID=50647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3903A KR101370131B1 (ko) 2013-05-13 2013-05-13 열교환기용 열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01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4002B1 (ko) 2020-04-01 2020-07-14 대한민국(한국전통문화대학교 총장) 문화재 건조열판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7393A (ja) * 1996-01-18 1997-10-03 Matsushita Seiko Co Ltd 熱交換素子とその製造方法
KR20020078909A (ko) * 2001-04-11 2002-10-19 강상훈 기체용 판형 열교환기
KR101014241B1 (ko) 2010-07-20 2011-02-16 강창희 열교환장치
KR101190496B1 (ko) 2007-02-26 2012-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열교환기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7393A (ja) * 1996-01-18 1997-10-03 Matsushita Seiko Co Ltd 熱交換素子とその製造方法
KR20020078909A (ko) * 2001-04-11 2002-10-19 강상훈 기체용 판형 열교환기
KR101190496B1 (ko) 2007-02-26 2012-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열교환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014241B1 (ko) 2010-07-20 2011-02-16 강창희 열교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4002B1 (ko) 2020-04-01 2020-07-14 대한민국(한국전통문화대학교 총장) 문화재 건조열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59387B2 (en) Battery
US2573161A (en) Heat exchanger
US20100319893A1 (en) Heat exchange device
WO2015131758A1 (zh) 用于板式换热器的热交换板以及具有该热交换板的板式换热器
JP2014016144A (ja) 熱交換器用プレート、熱交換器、ならびに熱交換器を備えた空気冷却装置
KR970016513A (ko) 요철핀을 구비한 열교환기 및 그 열교환기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CN103868380A (zh) 一种板式热交换器
KR20090080808A (ko) 판형 열교환기
KR101370131B1 (ko) 열교환기용 열판 및 그 제조방법
CN103022587B (zh) 用于蓄电池冷却模块的无相互连接的液体散热片设计
SE1751497A1 (en) Heat exchanger and method for forming heat exchanger plates
KR101321344B1 (ko) 히터의 열교환장치의 제조방법
TWM566351U (zh) Temperature uniform plate structure
CN102095328A (zh) 带定位控制点的m型波纹板式换热器板束
JPH02293598A (ja) 二系統ボイラ用二重パイプの直線部とその製法
JP2005195190A (ja) 多板型熱交換器
TW201437599A (zh) 扁管板片及對流熱交換器
US20090084533A1 (en) Radiator With Radiating Plate Having High Efficiency
JP2012225521A (ja) 扁平状チューブにコルゲートフィンを取り付けた熱交換器
KR20150073732A (ko) 열교환 효율이 향상된 마이크로 가스터빈을 위한 주전열면을 구비한 열교환판, 및 이를 이용한 열교환기
US2784947A (en) Heat exchange assembly
CN103398620A (zh) 一种高效换热器用芯体结构
JP2000220971A (ja) プレート式熱交換器
CN204787736U (zh) 一种连续干燥器的干燥盘结构
CN213932149U (zh) 一种紧凑型集成框架结构板式换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