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9801B1 - 자동변속차량용 변속케이블의 변속레버 동작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자동변속차량용 변속케이블의 변속레버 동작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9801B1
KR101369801B1 KR1020110119944A KR20110119944A KR101369801B1 KR 101369801 B1 KR101369801 B1 KR 101369801B1 KR 1020110119944 A KR1020110119944 A KR 1020110119944A KR 20110119944 A KR20110119944 A KR 20110119944A KR 101369801 B1 KR101369801 B1 KR 1013698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lever
flow
shift
vehicle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9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4529A (ko
Inventor
김종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팩
Priority to KR1020110119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9801B1/ko
Publication of KR20130054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4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9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98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변속차량용 변속케이블의 변속레버 동작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결합부에 구비되는 마그네트; 일단이 상기 연결구에 힌지 연결되며, 타단이 결합부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변속레버의 조작시 상기 연결구의 직선 이동에 따라 일정각도로 회동되면서 길이가 가변되는 유동부재; 상기 유동부재가 회동될 때, 상기 유동부재의 타단부와 함께 회동되는 금속부재; 상기 금속부재의 회동시 상기 마그네트와 상기 금속부재 사이에서 형성되는 자기장의 자력이 변화되는 것을 검출하는 홀센서; 상기 홀센서에서 검출된 자력의 정보를 전달받아 엔진의 구동을 제어하는 엔진 제어유닛을 포함함으로써, 차량의 정차시 변속케이블의 이동을 감지하여 변속레버의 동작을 검출하여 엔진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하여, 차량의 정지시 변속레버를 중립으로 위치시킬 때 엔진이 정지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연료의 소모를 줄일 수 있어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변속차량용 변속케이블의 변속레버 동작 검출장치{SHIFT LEVER MOTION DETECTING DEVICE OF SHIFT CABLE ASSY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변속차량용 변속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변속 케이블 앗세이에서 변속레버의 동작을 검출하여 엔진을 정지시키거나 구동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연료 소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자동변속차량용 변속케이블의 변속레버 동작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엔진으로부터 발생되는 구동력을 주행상태에 알맞게 변환시키도록 된 변속기를 갖추고 있는바, 이러한 변속기는 주행상태에 따라 변속이 자동으로 이뤄지도록 된 자동변속기와, 운전자가 변속을 수동으로 행하도록 된 수동변속기로 크게 구분된다.
자동변속기는 차실 내에 설치된 레버변속을 전후 방향으로 회동하여 각 변속 레인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사용자의 조작력은 하나의 변속케이블에 의해 자동변속기의 레버에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자동변속기는 차량의 구동방식(전륜구동 또는 후륜구동)에 따라 다르나, 엔진과 변속기의 입력축 사이에 설치되는 토오크 컨버터와, 이 토오크 컨버터에 연결되는 파워 트레인(혹은 다단 변속기어 메카니즘)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파워 트레인 중에서 어느 하나의 기어단을 선택하기 위한 유압자동 마찰요소를 포함한다.
유압자동 마찰요소는 트랜스미션 컨트롤 유니트(TCU: Transmission control unit)에 의해 유압의 흐름 방향을 결정하게 되는 유압 제어시스템에 의해 제어된다. 여기서, 유압 제어시스템은 유압의 흐름 방향을 제어함으로써, 유성기어장치의 선기어, 유성캐리어 및 링기어 중에서 어느 하나의 요소를 각각 입력, 출력 및 반력으로 선택하여, 요구되는 변속비와 동력을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자동변속기가 탑재된 자동차는 운전자가 변속 레버의 P-R-N-D-2-L 레인지 중에서 하나를 수동으로 선택함에 따라 유압 제어시스템에 의해 제어되어 전진 1속에서 4속까지와 후진 1속 변속이 이루어진다.
이렇게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자동변속기의 변속레버는 전후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되며 운전자가 원하는 레인지에 위치되는 것으로, 변속레버 케이블 앗세이에 의해 변속레버의 조작력이 변속기로 전달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자동변속기 케이블 앗세이(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구(11), 케이블 로드(12), 가이드관(13), 취부소켓(14), 변속케이블을 포함한다.
연결구(11)는 변속케이블을 변속레버에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변속케이블의 단부에 고정되는 케이블 로드(12)에 고정되어 변속레버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케이블 로드(12)는 연결구(11)와 변속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일단이 연결구(11)에 연결되고 타단이 변속케이블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가이드관(13)은 케이블 로드(12)가 끼워지며, 변속레버의 조작시 케이블 로드(12)의 왕복이동을 가이드하게 된다.
이 가이드관(13)의 외주에는 취부소켓(14)이 결합되어 있으며, 이 취부소켓(14)은 변속기 케이블 앗세이(10)를 차체에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변속기 케이블 앗세이에 연결되는 변속레버는 통상 P R N D 2 L 레인지의 순서로 조작되도록 구성되므로, 차량을 운행시 D 레인지에 위치시킨 상태에 있다가 잠시 정차하게 될 경우에는 N 레인지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차량을 정차한 후에 주행하거나 후진하기 위해서는 변속레버를 당기거나 밀어서 N 레인지에서 D 레인지나 R 레인지로 시키는 변속레버의 조작력이 변속기 케이블을 통해 변속기로 전달되도록 변속레버가 당겨지거나 밀리는 이동에 따라 변속기 케이블도 왕복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변속기 케이블 앗세이를 갖는 차량이 D 레인지로 주행중에 있다가 정차하기 위하여 N 레인지로 전환하더라도 차량의 엔진은 항상 구동상태에 있으므로 연료가 지속적으로 소모되므로, 연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변속레버의 조작력을 변속기로 전달하는 변속 케이블 앗세이에서 변속레버의 동작을 감지하여, 엔진을 구동시키거나 정지시킴으로써, 연비를 향상시킬 수 이는 자동변속차량용 변속케이블의 변속레버 동작검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변속레버에 연결되는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에 일단이 연결되어 변속기로 상기 변속레버의 조작력을 전달하는 케이블 로드와, 상기 케이블 로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관과, 상기 가이드관을 차체에 고정하는 취부소켓을 포함하는 자동변속 차량용 변속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 구비되는 마그네트; 일단이 상기 연결구에 힌지 연결되며, 타단이 결합부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변속레버의 조작시 상기 연결구의 직선 이동에 따라 일정각도로 회동되면서 길이가 가변되는 유동부재; 상기 유동부재가 회동될 때, 상기 유동부재의 타단부와 함께 회동되는 금속부재; 상기 금속부재의 회동시 상기 마그네트와 상기 금속부재 사이에서 형성되는 자기장의 자력이 변화되는 것을 검출하는 홀센서; 상기 홀센서에서 검출된 자력의 정보를 전달받아 엔진의 구동을 제어하는 엔진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동부재는, 상기 연결구에 일단이 힌지 고정되는 제1유동바와; 상기 제1유동바의 타단에 일단부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타단이 상기 결합부에 힌지 결합되는 제2유동바를 포함하되, 상기 변속레버의 조작시 길이가 가변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금속부재는, 상기 유동부재의 제2유동바의 타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연결구의 이동시 상기 제2유동바의 타단부와 함께 일정각도로 회동되도록 구성되는 철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금속부재는, 상기 마그네트의 자력에 반응하여 자기장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2유동바의 타단부가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변속 케이블의 이동을 감지하는 것으로, 운전자가 조작하는 변속레버의 동작을 검출하여 엔진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차량의 정지시 연료가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차량의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변속 차량용 변속 케이블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차량용 변속케이블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부 단면도.
도 4는 도 3의 변속레버 동작검출장치에서 변속레버가 중립에 위치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5a와 도 5b는 도 3의 변속레버 동작검출장치에서 변속레버가 후진과 주행에 위치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차량용 변속케이블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부 상세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차량용 변속케이블의 변속레버 동작검출장치에서 변속레버가 중립에 위치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5a와 도 5b는 도 4의 변속레버 동작검출장치에서 변속레버가 후진과 주행에 위치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차량용 변속케이블은, 변속레버(L)에 연결되는 연결구(110)와, 연결구(110)에 일단이 연결되는 케이블 로드(120)와, 케이블 로드(12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관(130)과, 가이드관(130)에 결합되어 변속케이블을 차체에 고정하는 취부소켓(140)을 포함하며, 변속레버의 조작시 케이블 로드(120)의 이동을 감지하여 변속레버(L)의 조작을 검출하여 엔진(30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변속레버 동작검출장치를 더 포함한다.
먼저, 연결구(110)는 변속레버(L)의 하단부에 결합되도록 중앙에 연결홀이 형성된다. 따라서, 연결구(110)는 변속레버(L)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연결돌부(미도시)가 끼워져서 연결홀에 돌출된 후에 별도의 고정핀으로 고정된다.
케이블 로드(120)는 일단이 연결구(110)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후술하는 가이드관(130)에 끼워져서 변속레버(L)의 조작에 따라 왕복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이 케이블 로드(120)의 타단에는 도시하지 않은 와이어가 연결되어 변속기로 연결되어 변속레버(L)의 조작력을 변속기로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변속케이블은 변속레버(L)의 조작에 의해 왕복 이동되도록 구성되는데, 변속레버(L)의 조작에 따라 왕복 이동될 때 차체에 부딪히거나 차량의 주행시 차량의 유동에 의해 차체에 반복하여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체에 결합하는 결합구조가 구비된다. 즉, 변속케이블은 후술하는 취부소켓(140)에 의해 차체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케이블 로드(120)를 취부소켓(140)으로 차체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케이블 로드(120)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고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관(130)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 가이드관(130)은 취부소켓(140)에 고정됨과 동시에 케이블 로드(120)가 끼워져서 왕복 이동되는 통로가 되는 것이다. 즉, 가이드관(130)은 케이블 로드(120)가 끼워져서 원활한 왕복 이동되는 것을 가이드하고, 케이블 로드(120)를 차체에 고정하기 위한 취부소켓(140)을 고정하기 위한 부품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취부소켓(140)과 연결구(110)에는 차량의 운행중 변속 케이블의 이동을 감지하여 변속레버(L)의 동작을 검출하여 엔진(30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변속레버 동작검출장치가 구비되며, 이 변속레버 동작검출장치는 결합부재(210), 마그네트(220), 유동부재(230), 금속부재(240), 홀센서(250), 엔진 제어유닛(Engine Control Unit : ECU)(260)을 포함한다.
먼저, 결합부재(210)는 대략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취부소켓(140)의 가이드관(130)에 일단이 고정되며, 타단이 케이블 로드(120)의 위쪽에 일정높이로 위치되어 후술하는 유동부재(230)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 결합부재(210)의 타단에는 후술하는 유동부재(230)가 연결되는 결합부가 구비되며, 이 결합부는 유동부재(230)의 단부가 끼워지는 결합홈으로 형성된다. 즉, 결합부인 결합홈에 유동부재(230)의 단부가 끼워져서 결합홈의 외측면에서 핀부재로 힌지 고정되어 회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결합부재(210)의 결합부에는 후술하는 금속부재(240)에 대응하여 자기장을 형성하는 마그네트(220)가 구비된다.
마그네트(220)는 결합부(211)인 결합홈의 내측 일면에 구비되되, 유동부재(230)의 단부를 힌지 고정하는 핀부재(212)에 끼워져서 결합홈의 내측 일면에 고정되는 것이다. 즉, 마그네트(220)는 결합홈의 내측 일면에 접착제로 고정되거나 결합홈의 내측에 홈을 형성하여 끼워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유동부재(230)는 일단부가 연결구(110)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부가 결합부재(210)의 결합부에 힌지 연결되어 변속레버(L)의 조작시 연결구(110)의 직선 이동에 따라 회동되면서 길이가 가변되도록 구성된다.
이 유동부재(230)는 연결구(110)에 일단이 힌지 고정되는 제1유동바(231)와, 제1유동바(231)의 타단에 일단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타단이 결합부에 힌지 결합되는 제2유동바(232)를 포함한다.
제1유동바(231)는 일단이 연결구(110)에 힌지 고정되되, 연결구(110)에 위쪽으로 돌출 형성되는 힌지돌부에 힌지 고정된다.
그리고, 제2유동바(232)는 일단이 제1유동바(231)의 타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결합부의 결합홈에 끼워져서 핀부재로 힌지 고정된다.
여기서, 제1유동바(231)의 타단과 제2유동바(232)의 일단이 상호 슬라이드되도록 결합되어 결합된 상태로 상호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1유동바(231)가 관으로 형성되면 제2유동바(232)의 일단이 제1유동바(231)의 타단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구성하거나, 제2유동바(232)가 관으로 형성되면 제1유동바(231)의 타단이 제2유동바(232)의 일단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제1유동바(231)의 타단에 제2유동바(232)의 일단이 끼워져서 슬라이드되는 구성을 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즉, 유동부재(230)는 제1유동바(231)와 제2유동바(232)가 상호 슬라이드되도록 결합됨으로써, 변속레버(L)의 조작시 회동되면서 길이가 가변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금속부재(240)는 유동부재(230)의 유동에 따라 유동되도록 결합부에 힌지 결합되는 유동부재(230)의 타단부에 구비된다. 즉, 금속부재(240)가 구비되는 유동부재(230)의 타단부가 결합부를 중심으로 일정각도로 회동될 때 함께 회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금속부재(240)는 유동부재(230)의 제2유동바(232)의 타단부에 고정되어 연결구(110)의 직선 이동시 제2유동바(232)의 타단부가 일정각도로 회동될 때 함께 회동되도록 얇은 판부재로 구성된다. 이 금속부재(240)는 자석에 붙는 철재질로 형성되되, 표면에 코팅층이 형성되어 부식이 방지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금속부재(240)는 비철재질이나 비금속재질에 철을 혼합시켜서 일체로 형성하여, 마그네트(220)와 대응하여 자기장을 형성하는 구성이면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금속부재(240)는 결합부재(210)의 결합부에 힌지 결합되도록 제2유동바(232)의 타단부를 철로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유동바(232)의 타단부를 자력에 반응하는 철재질로 별도로 형성하여 일체로 구성하거나, 제2유동바(232)를 하나의 철재질로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홀센서(250)는 마그네트(220)와 금속부재(240) 사이에 형성되는 자기장의 자력이 변화하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 결합부재(210)에 구비되되 결합홈의 내측 일면에 구비된다. 여기서, 홀센서(250)는 금속부재(240)가 일정각도로 회동될 때,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홀센서(250)는 금속부재(240)가 일정각도로 회동될 때 마그네트(220)와 금속부재(240) 사이에 형성되어 변화되는 자기장의 자력을 검출하여 전류로 전환한 후에 후술하는 엔진 제어유닛(260)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엔진 제어유닛(260)은 홀센서(25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근거로 기설정된 정보와 비교하여 변속레버(L)의 위치를 판단한 후에 엔진(300)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엔진 제어유닛(260)에는 변속레버(R)의 위치 즉, 주행(D)레인지, 중립(N)레인지, 후진(R)레인지 등에 대응되는 자력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이 자력의 정보는 다수의 실험에 의해 산출되어 설정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차량용 변속케이블의 변속레버 동작검출장치의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차량이 주행중이거나 후진중일 때, 변속레버(L)는 주행(D) 레인지나 후진(R) 레인지에 위치되어 있으며, 변속레버(L)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연결구(110)는 좌측으로 이동되어 있거나 우측으로 이동되어 있는 상태로 정지된 상태로 있게 된다. 이때, 마그네트(220)와 금속부재(240) 사이에 자기장은 형성되되 자기장을 형성하는 자력의 변화를 없는 것이다.
이후에, 차량의 주행중 차량을 신호대기, 차량의 정체 또는 기타 목적으로 일시 정지하거나, 차량을 후진한 후에 차량을 일시 정지하고자 운전자는 변속레버(L)를 조작하여 주행(D) 레인지나 후진(R) 레인지에서 중립(N) 레인지로 이동시키게 된다.
먼저, 변속레버(L)가 후진(R)레인지에서 중립(N)레인지로 이동되면 연결구(110)가 도 5a에서 좌측으로 직선 이동하면 도 4와 같은 상태가 되는데, 이때, 유동부재(230)는 좌측으로 연결구(110)와 함께 직선 이동하면서 제1유동바(231)의 일단과 제2유동바(232)의 타단을 중심으로 일정각도로 회동하게 된다. 이때, 제1유동바(231)의 타단과 제2유동바(232)의 일단이 상호 슬라이드되어 제1유동바(231)에 제2유동바(232)가 일정길이만큼 끼워짐으로써 유동부재(230)의 길이는 짧아지게 된다.
또한, 변속레버(L)가 주행(D) 레인지에서 중립(N) 레인지로 이동되면 연결구가 도 5b에서 우측으로 직선 이동하면 도 4와 같은 상태가 되는데, 이때, 유동부재(230)는 우측으로 연결구(110)와 함께 직선 이동하면서 제1유동바(231)의 일단과 제2유동바(232)의 타단을 중심으로 일정각도로 회동하게 된다. 이때, 제1유동바(231)의 타단과 제2유동바(232)의 일단이 상호 슬라이드되어 제1유동바(231)에서 제2유동바(232)가 일정길이만큼 빠짐으로써 유동부재(230)의 길이는 길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유동부재(230)가 연결구(110)의 직선 이동에 따라 이동되면서 회동될 때, 유동부재(230)의 타단부 즉, 제2유동바(232)의 타단부에 구비되는 금속부재(240)는 일정각도로 회동된다. 이때, 금속부재(240)와 마그네트(220) 사이에 형성되는 자기장의 자력이 변화하게 된다. 이 자력의 변화를 홀센서(250)가 검출하여 전류로 전환한 후에 이를 엔진 제어유닛(260)으로 전송하게 된다.
그러면, 엔진 제어유닛(260)은 홀센서(250)로부터 전송되는 자력의 정보와 기설정된 자력의 정보를 비교하여 변속레버(L)가 위치되어 있는 변속레인지를 파악한 후에, 이를 토대로 엔진(300)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변속레버(L)가 도 4와 같이, 중립(N) 레인지에 위치된 것으로 판단되면 엔진 제어유닛(260)은 엔진(300)이 정지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또한, 차량을 정지하고 있다가 후진이나 주행하고자 변속레버(L)를 조작하여, 중립(N) 레인지에서 후진(R) 레인지나 주행(D) 레인지로 이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변속레버(L)가 중립(N) 레인지에서 후진(R) 레인지로 이동되면 연결구(110)가 도 4의 상태에서 우측으로 직선 이동하면서 도 5a의 상태가 되는데 이때, 유동부재(230)는 우측으로 연결구(110)와 함께 직선 이동하면서 제1유동바(231)의 일단과 제2유동바(232)의 타단을 중심으로 일정각도로 회동하게 된다. 이때, 제1유동바(231)의 타단과 제2유동바(232)의 일단이 상호 슬라이드되어 제1유동바(231)에 제2유동바(232)가 일정길이만큼 빠짐으로써 유동부재(230)의 길이는 길어지게 된다.
또한, 변속레버(L)가 중립(N) 레인지에서 주행(D) 레인지로 이동되면 연결구(110)가 도 4의 상태에서 좌측으로 직선 이동하면서 도 5b의 상태가 되는데 이때, 유동부재(230)는 좌측으로 연결구(110)와 함께 직선 이동하면서 제1유동바(231)의 일단과 제2유동바(232)의 타단을 중심으로 일정각도로 회동하게 된다. 이때, 제1유동바(231)의 타단과 제2유동바(232)의 일단이 상호 슬라이드되어 제1유동바(231)에 제2유동바(232)가 일정길이만큼 끼워짐으로써 유동부재(230)의 길이는 짧아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유동부재(230)가 연결구(110)의 직선 이동에 따라 이동되면서 회동될 때, 유동부재(230)의 타단부 즉, 제2유동바(232)의 타단부에 구비되는 금속부재(240)는 일정각도로 회동된다. 이때, 금속부재(240)와 마그네트(220) 사이에 형성되는 자기장의 자력이 변화하게 된다. 이 자력의 변화를 홀센서(250)가 검출하여 전류로 전환한 후에 이를 엔진 제어유닛(260)으로 전송하게 된다.
그러면, 엔진 제어유닛(260)은 홀센서(250)로부터 전송되는 자력의 정보와 기설정된 자력의 정보를 비교하여 변속레버(L)가 위치되어 있는 변속레인지를 파악한 후에, 이를 토대로 엔진(300)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변속레버(L)가 도 5a나 도 5b와 같이, 후진(R) 레인지나 주행(D) 레인지에 위치된 것으로 판단되면 엔진 제어유닛(260)은 엔진(300)을 구동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변속 케이블의 이동을 금속부재(240), 마그네트(220), 홀센서(250)로 감지하는 것으로, 운전자가 조작하는 변속레버(L)의 동작을 검출하여 엔진(300)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차량의 정지시 연료가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차량의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10 : 연결구 120 : 케이블 로드
130 : 가이드관 140 : 취부소켓
210 : 결합부재 220 : 마그네트
230 : 유동부재 231 : 제1유동바
232 : 제2유동바 240 : 금속부재
250 : 홀센서 260 : 엔진 제어유닛
300 : 엔진

Claims (4)

  1. 변속레버에 연결되는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에 일단이 연결되어 변속기로 상기 변속레버의 조작력을 전달하는 케이블 로드와, 상기 케이블 로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관과, 상기 가이드관을 차체에 고정하는 취부소켓을 포함하는 자동변속차량용 변속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에 결합부가 구비되는 결합부재;
    상기 결합부에 구비되는 마그네트;
    일단이 상기 연결구에 힌지 연결되며, 타단이 결합부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변속레버의 조작시 상기 연결구의 직선 이동에 따라 일정각도로 회동되면서 길이가 가변되는 유동부재;
    상기 유동부재가 회동될 때, 상기 유동부재의 타단부와 함께 회동되는 금속부재;
    상기 금속부재의 회동시 상기 마그네트와 상기 금속부재 사이에서 형성되는 자기장의 자력이 변화되는 것을 검출하는 홀센서;
    상기 홀센서에서 검출된 자력의 정보를 전달받아 엔진의 구동을 제어하는 엔진 제어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차량용 변속케이블의 변속레버 동작검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부재는,
    상기 연결구에 일단이 힌지 고정되는 제1유동바와;
    상기 제1유동바의 타단에 일단부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타단이 상기 결합부에 힌지 결합되는 제2유동바를 포함하되,
    상기 변속레버의 조작시 길이가 가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차량용 변속케이블의 변속레버 동작검출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부재는,
    상기 유동부재의 제2유동바의 타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연결구의 이동시 상기 제2유동바의 타단부와 함께 일정각도로 회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차량용 변속케이블의 변속레버 동작검출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부재는,
    상기 마그네트의 자력에 반응하여 자기장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2유동바의 타단부가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차량용 변속케이블의 변속레버 동작검출장치.
KR1020110119944A 2011-11-17 2011-11-17 자동변속차량용 변속케이블의 변속레버 동작 검출장치 KR1013698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9944A KR101369801B1 (ko) 2011-11-17 2011-11-17 자동변속차량용 변속케이블의 변속레버 동작 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9944A KR101369801B1 (ko) 2011-11-17 2011-11-17 자동변속차량용 변속케이블의 변속레버 동작 검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4529A KR20130054529A (ko) 2013-05-27
KR101369801B1 true KR101369801B1 (ko) 2014-03-07

Family

ID=48663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9944A KR101369801B1 (ko) 2011-11-17 2011-11-17 자동변속차량용 변속케이블의 변속레버 동작 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98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4362B1 (ko) * 2017-06-20 2019-02-01 경창산업주식회사 변속 레벨의 상태를 감지하는 변속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KR101944364B1 (ko) * 2017-06-20 2019-02-01 경창산업주식회사 변속 레벨의 변화를 감지하는 변속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KR102042466B1 (ko) * 2018-04-18 2019-11-08 경창산업주식회사 변속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8250A (ja) 1999-12-01 2001-06-12 Sakae Riken Kogyo Kk 変速機用シフト装置
JP2007099258A (ja) 2005-09-07 2007-04-19 Tokai Rika Co Ltd シフトセレクタ
KR20110024518A (ko) * 2009-09-02 2011-03-09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변속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8250A (ja) 1999-12-01 2001-06-12 Sakae Riken Kogyo Kk 変速機用シフト装置
JP2007099258A (ja) 2005-09-07 2007-04-19 Tokai Rika Co Ltd シフトセレクタ
KR20110024518A (ko) * 2009-09-02 2011-03-09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변속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4529A (ko) 2013-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6927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transmission of a saddle-type vehicle
CN102428298B (zh) 带有机械式驻车锁操纵装置的线控换档设备
KR101369801B1 (ko) 자동변속차량용 변속케이블의 변속레버 동작 검출장치
JP6214778B2 (ja) オートバイ用後進装置
CN105626845A (zh) 电气动复合控制变速器操纵装置、操纵方法及该商用车
CN107869578B (zh) 用于电子换档系统的杆设备
KR101311205B1 (ko) 자동변속차량용 변속케이블의 변속레버 동작 검출장치
KR101183840B1 (ko) 자동변속차량용 변속케이블의 변속레버 동작검출장치
EP1167836A3 (en) Shift-assisting device for a transmission
KR100446989B1 (ko) 수동변속기 장착용 자동변속장치
KR101177023B1 (ko) 수동변속차량용 변속케이블의 변속레버 동작검출장치
EP2515003B1 (en) Shifting device
EP3091256B1 (en) Shift by wire shifting device
CN107859738A (zh) 一种新型商用车变速器选换档执行机构及商用车变速器
US20140053674A1 (en) Shift-by-wire gearshift device for an automatic vehicle transmission
KR100661726B1 (ko) 차량용 자동변속장치
KR101205206B1 (ko)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장치
KR101302241B1 (ko)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장치
CN102862572B (zh) 有级变速器汽车手动半自动两用驾驶控制系统专用执行件
KR102184262B1 (ko) Amt 변속기용 전자기 구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변속방법
EP0078047A2 (en) Gear shift mechanism for transmission
JP6622417B2 (ja) 変速機制御装置
KR101916833B1 (ko) 자동화 변속기의 변속기구
KR101682191B1 (ko) 차량용 변속 장치
KR101167901B1 (ko) 변속 자동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