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9412B1 - 전동식 연필깎이 - Google Patents

전동식 연필깎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9412B1
KR101369412B1 KR1020130009418A KR20130009418A KR101369412B1 KR 101369412 B1 KR101369412 B1 KR 101369412B1 KR 1020130009418 A KR1020130009418 A KR 1020130009418A KR 20130009418 A KR20130009418 A KR 20130009418A KR 101369412 B1 KR101369412 B1 KR 101369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cil
outer body
cap
pencil sharpener
c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9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민
Original Assignee
김광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민 filed Critical 김광민
Priority to KR1020130009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94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9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9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23/00Sharpeners for pencils or leads
    • B43L23/002Sharpeners for pencils or leads with continuous conveying means for the penc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23/00Sharpeners for pencils or leads
    • B43L23/008Sharpeners for pencils or leads with rotating cutting bodies

Landscapes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식 연필깍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필을 수동으로 직접 돌려서 깍지 않고 연필을 깍는 커터를 구동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며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한 커팅유닛을 구비함으로써, 연필을 깍기 위하여 사용자가 직접 연필을 돌리거나, 연필을 장착한 연필깍이의 커터를 돌리기 위하여 별도로 힘을 가하여 회전을 하지 않아도 편리하게 깍을 수 있고,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도록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가 내장되어 있어 사용자의 제품 사용편리성을 높이고 연필을 사용하는 어느 장소에서도 휴대하여 사용 가능한 전동식 연필깎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연필을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캡; 상기 캡의 하부에 결합되는 외부몸체; 연필을 깎는 커터와, 상기 커터를 구동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며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커팅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전동식 연필깎이{PENCIL SHARPENER}
본 발명은 전동식 연필깍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필을 수동으로 직접 돌려서 깍지 않고 연필을 깍는 커터를 구동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며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한 커팅유닛을 구비함으로써,
연필을 깍기 위하여 사용자가 직접 연필이나 커터를 돌릴 필요가 없고, 동력원으로 배터리를 사용함으로써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휴대하고 다니면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제품 사용 편리성이 뛰어난 전동식 연필깎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필깎이는 외부에서 사용자가 레버를 통해 커터를 회전시켜 연필을 깍는 수동식 구조가 주로 사용되었다.
근래에는 모터를 통해 커터를 회전시켜 연필을 깍는 자동식(전동식) 연필깎이들이 개발되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연필을 깎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전동식(자동식) 연필깍이는 손에 장애가 있거나 다친 사용자들이 쉽게 연필을 깎을 수 있도록 하여 연필 사용에 지장을 주지 않고 신속하고 편리하게 연필을 깎을 수 있어 유용하다.
하지만 이러한 일반적인 전동식 연필깎이는 별도의 전원이 필요하여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작동시킬 수 없고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일부 작업실 또는 외부 환경에서 필요할 때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에 사용자가 방, 교실, 사무실 등 어디서나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별도의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연필을 깎을 수 있는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사용편의성을 높인 연필깎이를 개시하고자 한다.
연필깎이에 관련된 종래기술로써, 다음과 같은 기술들이 알려져 있다.
특허등록 제10-0998229호(등록일자 2010년11월29일)는 “전동 연필 깎이”에 관한 것으로, 전기로 작동하여 연필을 깍는 전동 연필 깎이에 있어서,
중심축;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중심축을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중심축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중심축의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의 힌지 축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중심축에 힌지 결합되는 레버; 상기 중심축이 회전될 때 그 중심축과 동일 선상에 배치되는 상기 연필을 깎아 낼 수 있도록 상기 레버에 결합되는 절삭날;상기 레버의 회전축에 대해 상기 절삭날이 위치한 곳의 반대쪽이 더 무거워지도록 상기 레버에 결합되는 무게추; 및 상기 연필이 삽입되어 상기 절삭날의 위치로 가이드되는 삽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중심축과 레버가 수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는 전기로 작동하는 모터에 의해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장소에서만 사용이 가능하고,
상기와 같은 내부구성이 복잡하고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연필깎이는 무게가 무거워지고 상대적으로 크기가 커져 휴대하기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간단하게 분리해서 내부를 구석구석 청소하기 어려워 장기적으로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특허공개 제10-2007-0105834호(공개일자 2007년10월31일)는 “전동연필깎이”에 관한 것으로, 하나의 기기이면서, 절삭이 완료된 시점에 절삭날을 연필로부터 떼어내는 구조의 불필요한 깎기 방지기구와, 심끝조절기구와, 부러진 심 제거기구의 기능 모두를 가지는 전동연필깎이를 제공한다. 또한, 연필직경 조정기구를 가지는 전동연필깎이도 제공할 수 있다. 본체커버와, 전력에 의한 구동기구와, 회전작동 전달기구와, 연필을 회전절삭하는 회전절삭날이 설치된 절삭기구와, 연필로부터 회전절삭날을 해제하는 불필요한 깎기 방지기구와, 깎을 연필의 심끝 직경을 조절하는 심끝조절기구와, 부러져서 장치 안에 남겨진 심을 장치로부터 꺼내는 부러진 심 제거기구로 이루어지는 전동연필깎이에 있어서, 불필요한 깎기 방지기구가 절삭날(커터날)과, 커터 샤프트와, 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절삭이 완료된 시점에 절삭날을 연필로부터 떼어내는 구조이며, 심끝조절기구가 심끝조절다이얼과, 회전운동하는 심끝조절나사와,기어 샤프트와, 연결봉과, 플레이트와, 스톱퍼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부러진 심 제거기구가 버튼과, 기어 샤프트와, 연결봉과, 플레이트와, 스톱퍼로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 공개특허는 내부 구성요소들이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어 고장이 쉽거나 함부로 들고 다니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고, 많은 구성요소들이 밀집되어 있어 그 무게도 많이 나갈 수 밖에 없어 자주 사용하는 어린이나 기타 손이 불편하신 분들은 휴대하기 어려워 한정된 공간에서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연필을 깎는 커터와, 상기 커터를 구동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며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커팅유닛을 구비하여 언제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는 전동식 연필깎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커팅된 연필 가루가 저장되고, 외부몸체와 분리가 가능하도록 결합된 내부몸체를 구비하여 연필이 깎인 후 생성되는 연필 가루나 쓰레기와 같은 생성물을 편리하게 분리·배출할 수 있어 제품을 깨끗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전동식 연필깎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캡의 결합돌기가 외부몸체의 날개부 하부면에 회전 이동되면서 밀폐 결합되어, 내부몸체에 쌓인 연필 가루 및 쓰레기들이 외부로 새어나가거나 캡이 갑자기 분리되어 쏟아지지 않아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휴대하고 다니면서 사용할 수 있는 전동식 연필깎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캡과 내부몸체 및 외부몸체는 날개부, 지지부 및 결합돌기를 구비하고 있어 사용자가 쉽게 캡과 분리하여 연필 가루 및 쓰레기들을 배출할 수 있도록 열고 닫을 수 있어 제품의 사용편리성을 높인 전동식 연필깎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 내부몸체에는 가이드홈, 외부몸체에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내부몸체와 외부몸체가 서로 어긋나는 방향으로 결합되지 않도록 유도하여 사용자가 잦은 사용으로 인하여 자주 내부몸체와 외부몸체를 교체할 때에도 가이드돌기에 따라 쉽게 내부몸체의 방향이 어긋나지 않게 삽입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사용편리성을 높인 전동식 연필깎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전동식 연필깎이는
연필을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캡;
상기 캡의 하부에 결합되는 외부몸체;
연필을 깎는 커터와,
상기 커터를 구동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며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커팅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전동식 연필깎이는
상기 외부몸체의 상부에는 외측으로 연장된 날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몸체의 상부에는 상기 날개부에 얹혀져 지지되는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캡의 내면 하부에는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날개부 및 지지부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관통되는 관통홈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관통홈으로 관통된 후 일측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외부몸체의 날개부 하부면에 걸려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전동식 연필깎이는
상기 내부몸체의 외면에는 상하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몸체의 내면에는 상기 가이드홈과 결합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홈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지지부의 폭은 상기 외부몸체의 두께 보다 길어 상기 결합돌기가 후크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연필깎이는 구동전원을 공급하며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커팅유닛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어 제품의 사용편리성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아울러 외부몸체의 내부 상부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내부몸체는 쉽게 분리가 가능하여 내부 청소가 가능하여 내부몸체 내부 또는 하부에 구비된 커팅유닛이 연필 가루 및 쓰레기들에 의해서 오작동 또는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장기적으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캡의 결합돌기가 외부몸체의 날개부 하부면에서 회전하여 끼움 결합되어서, 연필이 커팅되어 생성되는 연필 가루 및 쓰레기들이 사용자의 의도와는 다르게 외부로 새어나가거나 캡이 갑자기 분리되어 쏟아지지 않도록 방지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휴대하고 다니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캡과 내부몸체 및 외부몸체의 컴펙트한 구조에 의해서 소형화로 제작할 수 있고,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를 쉽게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하여 전동식 연필깎이를 편리하게 들고 다니면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전동식 연필깎이의 결합도.
도 2 는 본 발명의 전동식 연필깎이의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전동식 연필깎이의 단면도와 캡과 몸체의 결합단면 확대도 및 변형예.
도 4 는 본 발명의 전동식 연필깎이의 저면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전동식 연필깎이 중 받침대의 측면도 및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연필깎이(S)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특정하면, 도시한 그대로의 상태에서 상하, 좌우, 전후를 나누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연필깎이(S)는 크게 캡(10), 내부몸체(20), 외부몸체(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캡(10)은 연필(P)이 삽입되는 삽입부(11), 연필(P)이 내부몸체(20)로 정확히 안착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부(13), 캡(10)의 내면 하부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결합돌기(15), 통공(17)을 포함한다.
상기 삽입부(11)는 연필이 삽입되는 삽입공(11a)과 삽입경사부(11b)를 포함한다. 상기 삽입경사부(11b)는 사용자가 연필(P)을 쉽게 삽입·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공(11a)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캡(10)의 가이드부(13)는 가이드원통(13a), 지지대(13b)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원통(13a)은 연필(P)이 삽입과정에서 기울어지지 않도록 상기 캡(10)의 삽입공(11a)과 상응하는 직경의 통공을 가진 원통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원통(13a)은 상기 삽입공(11a)과 가이드원통(13a)의 통공이 상응하도록 결합되어, 연필(P)이 삽입과정에서 상기 가이드원통(13a)을 따라 자연스럽게 커터로 도달될 수 있다.
또 상기 지지대(13b)는 상기 가이드원통(13a)이 기울어지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도록 역삼각형 모양의 패널로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지지대(13b)는 상기 캡(10)과 상기 가이드원통(13a)이 결합하여 상기 가이드원통(13a)이 기울어지지 않고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캡(10)의 통공(17)은 커팅유닛(21)에 의해 커팅된 연필(P) 가루나 부스러기들이 쌓인 정도를 알 수 있도록 캡(10)의 상부에 일부 관통된 홈의 형상으로 구비된다.
굳이 사용자가 연필(P) 가루나 부스러기들의 양을 확인하고자 캡을 열었다가 닫을 불편함을 줄일 수 있어 사용자의 제품 사용편리성을 높여 준다.
아울러 상기 캡(10)의 결합돌기(15)는 캡(10)과 상기 내부몸체(20) 및 외부몸체(30)와 결합하여 고정 및 지지하는 수단으로써 하기에 설명하는 내부몸체(20)와 외부몸체(30)에 형성된 지지부(22) 및 날개부(32)에 형성된 관통홈(22a)(32a)으로 관통된 후 일측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외부몸체(30)의 날개부(32) 하부면에 걸려 결합된다.
하기에 구체적으로 설명하므로 중복 설명되는 부분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연필깎이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음으로 상기 내부몸체(20)는 커팅유닛(21) 및 제1 내지 제3 장착부(26)(27)(2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내부몸체(20)의 커팅유닛(21)은 연필을 깎는 커터(21a)와, 상기 커터(21a)를 구동시키는 모터(21b)와, 상기 모터(21b)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며 충전 가능한 배터리(21c)를 포함한다.
도 3은 편의에 의하여 상기 커터(21a), 모터(21b), 배터리(21c)를 도시하기 위하여 내부몸체(20)의 제2장착부(27) 및 제 3 장착부(28)를 생략하였다.
상기 커팅유닛(21)의 커터(21a)는 원기둥형상의 원통 내면에 형성된 날카로운 면을 가진 금속재질의 칼이 경사를 이루며 장착되며, 상기 원통이 회전하면서 연필(P)이 상기 칼에 의해 점차적으로 깎인다.
또 상기 커팅유닛(21)의 모터(21b)는 일반적으로 쓰이는 연필깎이(S)나 소형 전자제품에 사용되는 모터(21b)로 낮은 전압으로 구동이 가능하고 가벼운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커팅유닛(21)의 배터리(21c)는 일반적으로 유통되는 전기 또는 USB 충전지를 사용할 수 있고, 리튬-이온 배터리(21c) 등 충전이 가능하고 부피가 작은 전지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내부몸체(20)의 제1장착부(26)는 가이드홈(26a), 전극기판(26b), 지지부(22), 트레이(26d), 너트부(26e)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장착부(26)의 가이드홈(26a)은 제2장착부(27) 및 제3장착부(28)에도 형성되어 있어 함께 설명하도록 하겠다.
상기 가이드홈(26a)은 상기 외부몸체(30)의 가이드돌기(33)가 삽입·결합된다.
또 상기 가이드홈(26a)은 상기 가이드돌기(33)의 결합에 의해서 상기 내부몸체(20)의 제1 내지 제3 장착부(26)(27)(28)가 일 방향으로 결합되어 정 위치되도록 지지한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홈(26a)과 가이드돌기(33)의 결합으로 인하여 외부몸체(30)와 캡(10)과의 결합까지 제 위치시킬 수 있어 전체적으로 연필깎이(S)의 정위치 시킬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해준다.
또한 상기 제1장착부(26)의 전극기판(26b)은 전선(미도시)과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장착부(26)의 지지부(22)는 상기 제1장착부(26) 상부 외측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외부몸체(30)에 형성된 날개부(32)에 얹힐 수 있다. 상기 지지부(22)는 하기 설명하는 외부몸체(30)의 날개부(32)와 함께 설명하기로 하겠다.
또 상기 제1장착부(26)의 트레이(26d)는 상기 연필(P)이 커팅되어 생성되는 연필(P) 가루 및 부스러기를 바로 버리지 않고 일정량 저장할 수 있는 공간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장착부(26)의 너트부(26e)는 상기 제2장착부(27)와 제3장착부(28)의 제1볼트홀(28b) 및 제2볼트홀(27b)을 지나 볼트의 수나사부(미도시)와 최종적으로 회전하여 결합되는 암나사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볼트(미도시)는 상기 외부몸체(30)의 볼트삽입공(35)을 통해 볼트 머리가 볼트삽입공(35)에 걸리고 볼트의 수나사부가 제3장착부(28)의 제1볼트홀(28b), 제2장착부(27)의 제2볼트홀(27b)를 관통하여 최종적으로 상기 제1장착부(26)의 너트부(26e)와 회전 결합되어 외부몸체(30)와 내부몸체(20)가 견고하고 단단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전동식 연필깎이(S)에서,
상기 내부몸체(20)의 제2장착부(27)는 가이드홈(27a)과 제2볼트홀(27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홈(27a)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제2볼트홀(27b)은 하부에 상기 제3장착부(28)의 제1볼트홀(28b)의 단부 일부가 내삽되고, 상부에 상기 제1장착부(26)의 너트부(26e)의 단부 일부가 내삽되어 제1볼트홀(28b)와 너트부(26e)를 일치시켜 볼트가 정확하게 삽입되도록 유도한다.
상기 제1볼트홀(28b)과 제2볼트홀(27b)와 너트부(26e)의 결합으로 인하여 전체적으로 제1장착부(26)와 제2장착부(27) 및 제3장착부(28)가 정확하게 일치하여 각 장착부(26)(27)(28)이 서로 일치하는 방향대로 견고하게 볼트 결합을 이룰 수 있다.
상기 각 볼트홀(28b)(27b)는 복 수개 이루어져 더욱 단단하게 결합하여 각 장착부(26)(27)(28)에 장착된 커팅유닛(21) 또한 견고하게 결합되어 전동으로 인한 진동에 의하여 커팅유닛(21)이 흔들리지 않아 연필(P)이 일부 깎이지 않거나, 매끄럽게 깎이지 않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필깎이(S)는 연필(P)의 깎임 정도, 각도, 매끄러운 정도에 따라 제품의 질을 결정하는데 상기 커팅유닛(21)의 커터(21a)의 각도는 일반적으로 연필깎이에 많이 쓰이고 있는 평균 12~12.5도 사이가 바람직하다. 이외의 각도로는 너무 뭉툭하거나 예리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두께의 연필로 깎지 못하거나 잘 부러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동식 연필깎이에서,
상기 내부몸체(20)의 제3장착부(28)는 가이드홈(28a), 제1볼트홀(28b), 모터장착부(28c), 배터리장착부(28d), 모터(21b)의 회전에 따라 최종적으로 커팅유닛(21)의 커터(21a)가 회전할 수 있도록 톱니바퀴(미도시)를 장착할 수 있는 제1 내지 제3 축공(28e)(28f)(28g)를 포함한다.
상기 제3장착부(28)의 가이드홈(28a) 및 제1볼트홀(28b)는 상기에 설명하였기에 추가 설명은 생략하겠다.
상기 제3장착부(28)의 모터장착부(28c)는 모터가 장착되어 안정적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모터를 감싸는 원통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통의 하부에는 모터와 연결할 수 있는 전선이 통과될 수 있도록 일부 홈(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3장착부(28)의 배터리장착부(28d)는 복 수개의 배터리가 내삽되어 전원공급할 수 있도록 중앙부위가 중심쪽으로 일부 라운드 진 타원형상의 기둥으로 형성된다.
상기 배터리는 시중에 유통되는 AAA 나 AA와 같은 건전지와 같은 크기나 형상의 충전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3장착부(28)의 배터리장착부(28d)는 배터리(21c)를 장착할 뿐만 아니라 상기 외부몸체(30)에 형성된 지지턱(31)에 얹혀져 제3장착부(28)의 안정된 지지를 뒷받침할 수 있는 지지돌기(28D)가 더 포함된다.
상기 지지돌기(28D)는 상기 외부몸체(30)의 하부에 형성된 지지턱(31)의 상단과 맞닿아 상기 제3장착부(28)가 상기 모터(21b)에 의한 진동을 하부로 전달할 수 있어 커터(21a)가 흔들려 연필(P)이 매끄럽게 깎이지 못하는 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내부몸체(20) 중 가장 최하부에 위치한 제3장착부(28)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면 제2 및 제1 장착부(27)(26)까지 흔들림 없이 커팅유닛(21)이 원활하게 구동되어 연필(P)이 매끄럽게 깎이고, 심이 부러지지지 않고 정밀하게 커팅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연필 가루가 저장된 내부몸체(20)의 일부는 하부에서부터 연필 가루가 쌓여 올라가서 일정 지점까지 도달하면 사용자에게 알림을 울리는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하고 있어 연필 가루의 교체시기를 사용자에게 미리 알려 연필 가루를 미리 비워둘 수 있도록 사용편의성을 높여줄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외부몸체(30)는 지지턱(31), 날개부(32), 가이드돌기(33), 볼트삽입공(35)이 포함된다.
먼저 상기 지지턱(31)은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장착부(28d)의 지지돌기(28D)이 얹혀져 제3장착부(28)를 안정적으로 장착되도록 역삼각형 모양으로 상기 외부몸체(30)내부 하부에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날개부(32)는 상기 캡(10)의 내면 하부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결합돌기(15)가 관통되는 관통홈(32a)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외부몸체(30)의 날개부(32)는 상기 내부몸체(20)의 지지부(22)가 얹혀지고, 상기 내부몸체(20)는 상기 외부몸체(30)의 날개부(32)에 의하여 하부로 더 이상 빠지지 않고 얹혀진 상태에서 상기 캡(10)과 함께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날개부(32) 및 지지부(22)에 형성된 관통홈(32a)(22a)은 상기 캡(10)의 결합돌기(15)가 관통된 후 일측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외부몸체(30)의 날개부(32) 하부면에 걸려 끼움결합으로 하여 단단하고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홈(22a)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지지부(22)의 폭은 상기 외부몸체(30)의 두께보다 길어 상기 결합돌기(15)가 후크식으로 결합되어 억지끼움이 이루어져 회전 이동하여 결합하지 않고 곧바로 결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캡(10)을 회전이동하면서 상기 외부몸체(30) 및 내부몸체(20)가 같이 돌아가거나,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외부몸체(30) 및 내부몸체(20)가 서로 다른 방향 및 어긋나는 방향으로 결합되지 않도록 내부몸체(20)에 가이드홈(26a)(27a)(28a)과 외부몸체(30)의 내면에 가이드돌기(3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외부몸체(30)의 가이드 돌기(33)와 내부몸체(20)의 가이드홈(26a)(27a)(28a)은 복 수개 구비되어져 상기 외부몸체(30)와 내부몸체(20)가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 상기 캡(10)의 결합돌기(15)는 상기 외부몸체(30)의 날개부(32) 하부면에 끼움 결합하여 상기 캡(10)이 밀착할 수 있고, 상기 지지부(22) 및 날개부(32)에 형성된 관통홈(22a)(32a)을 관통할 수 있도록 상기 관통홈(22a)(32a)의 홈과 상응한 너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볼트삽입공(35)은 받침대(40)를 끼우기 전에 볼트로 삽입하여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내부몸체(20)와 외부몸체(30)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볼트머리는 걸리고 볼트의 나사부(미도시)만 삽입하도록 복 수개로 구비된다.
한편,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대(40)는 외부몸체(30) 하부에 탈착 결합이 가능하도록 끼움돌기(41), 결합부(42), 배터리안착부(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대(40)의 끼움돌기(41)는 상기 외부몸체 하부에 형성된 끼움홈(미도시)에 삽입되어 상기 받침대(40)가 분리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상기 결합부(42)는 끼움턱(42a), 분리턱(42b), 삽입고정대(42c)로 이루어진다.
상기 끼움턱(42a)은 상기 삽입고정대(42c)가 하부에서부터 밀어서 삽입되면 ‘딸깍’소리가 나면서 끼움결합되고, 끼움결합 후 분리가 되지 않도록 고정 및 지지한다.
상기 분리턱(42b)은 외부몸체(30)의 분리공간부(미도시)가 마련되어 있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약간의 힘만 가하면 상기 받침대(40)를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삽입고정대(42c)는 탄성을 가진 굴곡된 형상으로 융기모양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굴곡된 형상의 융기부(미도시)가 상기 외부몸체(30)의 수용부(미도시)에 내삽된다.
상기 배터리안착부(43)는 배터리(21c)를 장착한 후 분리되지 않도록 원기둥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배터리안착부(43)는 배터리(21c)의 (+)(-)극의 각 단부가 (+)극에는 조금 더 높은 원기둥 형상으로, (-)극에는 조금 더 낮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도 3의 [B]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변형예로써, 상기 내부몸체(20)에 쌓인 연필 가루나 쓰레기들이 외부로 쉽게 배출되지 않도록 상기 캡(10)의 하부에 차단부재(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부재(18)는 고무 또는 스폰지 등 상기 결합돌기(15)가 회전이동하여 밀착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회전이동 후 밀착되어 결합 후 더욱 세밀한 연피 가루나 부스러기 등이 빠려나가지 못하도록 상기 연필깎이(S)의 밀폐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캡의 삽입부(11) 및 통공(17)을 차단할 수 있는 뚜껑(미도시)을 상기 캡(10)의 상부 끼우면 상기 밀폐성을 높인 연필깎이는 연필가루나 쓰레기들을 외부에서 깨끗하게 배출하고, 사무실이나 교실 내에서는 밀폐성이 높아 눈에 보이지 않는 먼지 가루들을 흡입할 수 없도록 하여 사용자의 건강을 고려한 신뢰성 높은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연필깎이(S)에 관련된 통상의 공지된 기술을 생략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를 추측 및 추론하고 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연필깎이(S)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 연필깎이 P: 연필
10: 캡 11: 삽입부
11a: 삽입공 15: 결합돌기
18: 차단부재 20: 내부몸체
21: 커팅유닛 21a: 커터
21b: 모터 21c: 배터리
22: 지지부
26: 제1장착부
27: 제2장착부 26a, 27a, 28a: 가이드홈
30: 외부몸체 31: 지지턱
32: 날개부 33: 가이드돌기
35: 볼트삽입공 40: 받침대
41: 끼움돌기 42: 결합부
42a: 끼움턱 42b: 분리턱
42c: 삽입고정대 43: 배터리안착부

Claims (4)

  1. 연필이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캡;
    상기 캡의 하부에 결합되는 외부몸체;

    연필을 깎는 커터와,
    상기 커터를 구동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며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커팅유닛;

    상기 커팅유닛이 장착되고, 컷팅된 연필 가루가 저장되고, 상기 외부몸체의 내부 상부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내부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외부몸체의 상부에는 외측으로 연장된 날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몸체의 상부에는 상기 날개부에 얹혀져 지지되는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캡의 내면 하부에는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날개부 및 지지부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관통되는 관통홈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관통홈으로 관통된 후 일측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외부몸체의 날개부 하부면에 걸려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연필깎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몸체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받침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연필깎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몸체에는 상기 연필이 커팅되어 생성되는 가루 및 부스러기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으로 형성하는 트레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연필깎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몸체의 외면에는 상하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몸체의 내면에는 상기 가이드홈과 결합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홈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지지부의 폭은 상기 외부몸체의 두께 보다 길어 상기 결합돌기가 후크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연필깎이.
KR1020130009418A 2013-01-28 2013-01-28 전동식 연필깎이 KR101369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9418A KR101369412B1 (ko) 2013-01-28 2013-01-28 전동식 연필깎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9418A KR101369412B1 (ko) 2013-01-28 2013-01-28 전동식 연필깎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9412B1 true KR101369412B1 (ko) 2014-03-04

Family

ID=50647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9418A KR101369412B1 (ko) 2013-01-28 2013-01-28 전동식 연필깎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941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72357A (zh) * 2017-09-30 2018-02-09 中山市民众镇接源小学 一种能高速刨笔的电动铅笔刨
CN108481965A (zh) * 2018-04-19 2018-09-04 马金明 送料装置及卷笔刀
KR20180119255A (ko) * 2017-04-25 2018-11-02 김민구 전동장치가 부착된 연필깎이
KR102076491B1 (ko) * 2018-11-09 2020-02-12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반도체 회로를 이용한 연필깎이 기능이 구비된 연필꽂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2915Y1 (ko) 1997-10-10 1999-12-15 김기석 연필캡 기능이 구비된 화장용 연필깎기
US20050268471A1 (en) * 2004-06-03 2005-12-08 Marie Ralston Electric pencil sharpener
US7472728B1 (en) 2005-06-08 2009-01-06 Beauty Points, Inc. Electrically powered rapid sharpening cosmetic pencil sharpener
KR200463533Y1 (ko) * 2011-02-01 2012-11-0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연필깎이를 포함하는 커터날 수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2915Y1 (ko) 1997-10-10 1999-12-15 김기석 연필캡 기능이 구비된 화장용 연필깎기
US20050268471A1 (en) * 2004-06-03 2005-12-08 Marie Ralston Electric pencil sharpener
US7472728B1 (en) 2005-06-08 2009-01-06 Beauty Points, Inc. Electrically powered rapid sharpening cosmetic pencil sharpener
KR200463533Y1 (ko) * 2011-02-01 2012-11-0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연필깎이를 포함하는 커터날 수거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9255A (ko) * 2017-04-25 2018-11-02 김민구 전동장치가 부착된 연필깎이
KR101965639B1 (ko) 2017-04-25 2019-08-13 김민구 전동장치가 부착된 연필깎이
CN107672357A (zh) * 2017-09-30 2018-02-09 中山市民众镇接源小学 一种能高速刨笔的电动铅笔刨
CN108481965A (zh) * 2018-04-19 2018-09-04 马金明 送料装置及卷笔刀
CN108481965B (zh) * 2018-04-19 2024-04-26 马金明 送料装置及卷笔刀
KR102076491B1 (ko) * 2018-11-09 2020-02-12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반도체 회로를 이용한 연필깎이 기능이 구비된 연필꽂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9412B1 (ko) 전동식 연필깎이
US10478825B2 (en) Portable electric and hand operated herb grinder
US20060092674A1 (en) Powered hand held devices
CN105517757B (zh) 组合锐磨具组件
US8667867B2 (en) Powered bottle opening device with integrated wrapper cutter
US8459317B2 (en) Hand-cranked pencil sharpeners
US20140209211A1 (en) Energy-storage pen implement sharpener
US8955227B2 (en) Can opener
JP2007050619A (ja) 鉛筆削り器
CN107139623B (zh) 自动送笔削笔器
JP3211331U (ja) 切削装置
US6637481B2 (en) Apparatus for sharpening a writing instrument
CN208601563U (zh) 一种旋转式手动剃须刀
US7278214B2 (en) Electric pencil sharpener
CN206578860U (zh) 便携式电动工具
KR101965639B1 (ko) 전동장치가 부착된 연필깎이
CN215739592U (zh) 一种多用途个人清洁装置
CN107089084B (zh) 双腔自动削笔器
CN210819654U (zh) 剃须刀
US8016004B2 (en) More silent and robust electric pencil sharpener
JP2008023753A (ja) 鉛筆削り器
CN211429368U (zh) 一种方位可调式夹持机构及手机支架
CN214252444U (zh) 一种电力施工用的电力检测仪器
CN209970793U (zh) 便于携带的剃须刀
CN217728816U (zh) 一种电动手动功能一体式剃须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