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9379B1 - 전자유도 센서를 이용한 인체상태 및 동작 판단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유도 센서를 이용한 인체상태 및 동작 판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9379B1
KR101369379B1 KR1020120031810A KR20120031810A KR101369379B1 KR 101369379 B1 KR101369379 B1 KR 101369379B1 KR 1020120031810 A KR1020120031810 A KR 1020120031810A KR 20120031810 A KR20120031810 A KR 20120031810A KR 101369379 B1 KR101369379 B1 KR 101369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an body
sensor
state
induced voltage
determina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1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9783A (ko
Inventor
박만규
전진홍
Original Assignee
전진홍
에프엔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진홍, 에프엔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진홍
Priority to KR1020120031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9379B1/ko
Publication of KR20130109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9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9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9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1Determining geometric values, e.g. centre of rotation or angular range of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for multiple sensor units attached to the patient, e.g. using a body or personal area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omet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자유도 센서를 이용한 인체상태 및 동작 판단 시스템은 인체에 굴곡이 발생하는 지점에 배치되는 전자유도 센서의 센서 값 변화량을 통해 인체의 3차원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으며,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원거리에서도 인체의 상태와 운동 상태를 간단하고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유도 센서를 이용한 인체상태 및 동작 판단 시스템{Human Body State Detecting System Using electromagnetic induction sensor}
본 발명은 인체 상태 판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근육, 관절, 및 척추와 같이 인체의 형태에 대해 상태 변화(굽힙, 신체 둘레길이 변화)를 유발하는 지점에 전자유도 센서를 배치하고, 배치된 전자유도 센서에 의해 인체의 자세를 판단하는 전자유도 센서를 이용한 인체 상태, 및 동작판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상태를 판단하는 이른바 모션 디텍팅(motion detecting) 기술에는 다수의 마크를 이용하여 센싱되는 인체 신호를 토대로 인체의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 및 다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인체의 움직임을 촬영하고 이를 분석함으로써 인체의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이 있다.
마크를 이용한 기술은 피부에 마크를 직접 붙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단순히 인체의 움직임만을 판단할 수 있을 뿐 인체 부위에 힘이 들어간 정도를 판단할 수 없고, 인체 부위의 3차원적 변화를 판단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카메라를 이용한 기술은 우선 고가의 카메라를 이용한다는 점에서 비용이 높고, 마크를 이용한 기술과 마찬가지로 인체 부위의 3차원적 변화를 판단할 수 없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상술한 두 기술은 공통적으로 산업 현장에 적용되기 어려우며, 나아가 화재 현장, 구급 상황 등 급박하고 위험한 환경에 더욱 적용되기 어렵고, 한정된 장소나 공간 내에서만 적용이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에 굴곡이 발생하는 지점과 근육의 상태변화로 인하여 둘레길이가 발생하는 지점에 전자유도 센서를 배치하여 인체의 자세, 및 운동상태를 3차원으로 판단 가능한 전자유도 센서를 이용한 인체상태 및 동작 판단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전자계를 발생하는 발생부와 상기 전자계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한 조로 구성되며,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전자계에 대응하는 유도전압을 생성하고, 인체의 변화 부위에 적어도 하나 착용 가능한 센서모듈, 및 상기 센서모듈의 유도전압의 크기를 토대로 상기 관절의 상태 변화를 산출하여 인체의 상태 변화를 판단하는 인체 상태 분석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유도전압의 크기는 상기 관절의 각도 변화에 따라 가변되는 전자유도 센서를 이용한 인체상태 및 동작 판단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한 바에 따라 본 발명은 인체에 굴곡이 발생하는 지점 또는 인체의 둘레길이의 변화가 발생하는 지점에 배치되는 전자유도 센서의 센서 값 변화량을 통해 인체의 3차원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으며,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경우, 원거리에서도 인체의 상태와 운동 상태를 간단하고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유도 작용에 의해 인체의 자세와 운동 변화를 유발하는 관절과 굴곡 지점에 설치하므로 인체의 자세 변화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상태 및 동작 판단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럭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2는 팔 관절에 센서모듈이 부착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인체의 팔이 곧게 편 상태의 일 예에 대한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도 4는 센서모듈이 겨드랑이와 팔 사이에 배치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인체의 팔이 곧게 편 상태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센서모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럭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7은 센서모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럭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8은 의복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센서모듈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인체 상태 분석 모듈의 일 예에 대한 블럭개념도를 도시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상태 및 동작 판단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럭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인체 상태 판단 시스템은 센서모듈(100), 인체 상태 분석 모듈(20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300)를 포함하며, 센서모듈(100)은 발생부(110), 및 유도 수신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센서모듈(100)은 인체, 또는 의복에 부착될 수 있으며, 인체의 관절 부위, 척추 부위, 몸체와 팔 사이, 또는 두 다리 사이와 같이 인체의 형태가 변화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센서모듈(100)은 허벅지, 종아리, 허리, 팔 등과 같이 근육의 수축에 의해 둘레길이가 변화되는 부분의 인체 또는 의복에 부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센서모듈(100)이 관절부분에 설치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센서모듈(100)은 전자계를 생성하는 발생부(110)와 전자유도 작용에 의해 발생부(110)에서 생성된 전자계를 수신하는 유도 수신부(120)로 구성되며, 발생부(110)와 유도 수신부(120)는 관절, 척추, 몸체와 팔 사이, 및 두 다리 사이에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관절 부위, 척추 부위, 몸체와 팔, 및 두 다리 사이에 센서모듈(100)이 배치될 때, 관절의 회전각에 따라 가변되는 발생부(110)와 유도 수신부(120) 사이의 거리가 가변되며, 거리의 가변에 따라 유도 수신부(120)에 유도되는 전자계의 크기가 가변될 수 있다. 전자계의 가변에 의해 유도 수신부(120)는 상이한 유도전압을 생성하며, 인체 상태 분석 모듈(200)은 유도전압의 크기를 참조하여 관절의 회전각을 판단하거나, 몸체에서 팔이 이격된 거리를 판단하거나, 또는 척추의 회전각을 파악할 수 있다.
센서모듈(100)은 좌우 팔의 관절 부위, 좌우 측 허리 부위, 다리 사이, 겨드랑이와 팔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 모듈(100)이 관절 부위에 배치되는 경우 관절의 회전각에 대한 유도전압을 출력하고, 허리 부위에 배치되는 경우, 허리의 각도 변화에 대응하는 유도전압을 출력하며, 겨드랑이와 팔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 팔이 몸체에서 이격되는 거리에 대응하는 유도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이는 도 2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팔 관절에 센서모듈(100)이 부착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 팔의 외측에 발생부(110-1)가 배치되고, 내측에 유도 수신부(120-1)가 배치된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에서, 팔이 45도 정도 구부러진 상태에서 발생부(110-1)와 유도 수신부(120-1) 사이의 거리는 d1으로 정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은 인체의 팔이 곧게 편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발생부(110-1)와 유도 수신부(120-1) 사이의 거리는 d2로 정의될 수 있다.
즉, 팔 관절의 회전각에 따라 발생부(110-1)와 유도 수신부(120-1) 사이의 거리는 증감될 수 있으며, 발생부(110-1)에서 생성하는 전자계는 거리(d1, d2)에 따라 유도 수신부(120-1)에 전달되는 량이 증감될 수 있다. 유도 수신부(120-1)는 수신되는 전자계 량에 대응하는 유도전압을 생성하므로, 유도 수신부(102a)에서 생성되는 유도전압의 크기에 따라 팔 관절의 회전각이 정의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4는 센서모듈(100)이 겨드랑이와 팔 사이에 배치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4에서 참조부호 120-2 가 유도 수신부에 해당하고, 참조부호 110-2가 발생부라고 가정할 때, 유도 수신부(120-2)와 발생부(110-2) 사이의 거리는 d3로 정의될 수 있다. 이때, 발생부(110-2)는 겨드랑이와 마주하는 의복의 내측, 또는 팔 내측에 부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는 인체의 팔이 곧게 편 상태의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 유도 수신부(120-2)와 발생부(110-2) 사이의 거리는 d4로 정의될 수 있다. 즉, d3와 d4의 거리에 의해 몸체와 팔 사이가 이격된 거리가 정의될 수 있으며, 거리 d3와 d4에 대해 미리 정의된 데이터가 있을 경우, 유도 수신부(120-2)에서 생성되는 유도전압의 크기에 따라 몸체와 팔 사이의 거리가 간단히 파악될 수 있는 것이다.
인체 상태 분석모듈(200)은 인체의 각 부위에 배치되는 센서모듈(100)에서 출력되는 유도전압의 크기를 참조하여 인체의 3차원 상태를 파악하고 그 결과를 별도의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하거나, 또는 다양한 포멧의 데이터로 가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인체 상태 분석모듈(200)은 센서모듈(100)이 배치되는 위치에 따른 유도전압에 대한 기준데이터를 구비할 수 있다. 기준데이터는 센서모듈(100)의 위치에 따라 관절이나 척추의 회전각이거나, 또는 팔과 몸체, 또는 다리 사이의 이격 거리일 수 있다.
도 6은 센서모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럭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센서모듈(100)은 고주파를 생성하는 발생부(110-3), 및 유도 수신부(120-3)를 한 조로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발생부(110-3)는 발진기(111-3), 및 유도 안테나(112-3)을 포함할 수 있다. 발진기(111-3)는 미리 설정된 고주파를 생성하고, 생성된 고주파를 코일(112-3)로 인가하며, 고주파가 코일(112-3)을 통과할 때, 코일(112-3) 주변에는 전자계가 유도될 수 있다.
유도 수신부(120-3)는 유도 안테나(122-3), 및 증폭기(121-3)로 구성될 수 있다. 유도 수신부(120-3)는 금속 박판, 금속 막대, 및 기타 발생부(110-3)에서 생성되는 전자계를 유도할 수 있는 전도체로 구성될 수 있다. 유도 안테나(120-3)에 전자유도된 전자계는 증폭기(121-3)로 인가되고, 증폭기(121-3)는 수신된 전자계에 대응하는 유도전압(Vo)을 생성할 수 있다. 발생부(110-3)와 유도 수신부(120-3) 사이의 거리가 감소할 때, 유도전압(Vo)의 크기는 증가하며, 반대의 경우 감소될 수 있다.
도 7은 센서모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럭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센서모듈(100)은 자성체(110-4), 및 홀 센서(120-4)를 한 조로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자성체(110-4)는 고정된 자계를 생성하고, 홀 센서(120-4)는 자성체(110-4)에서 발생하는 자계를 수신하며, 수신되는 자계의 량에 대응하는 유도전압(Vo)을 생성한다. 홀 센서(120-4)는 n형 반도체로 구성되는 센서로서, 인가되는 자계에 대응하는 유도전압(Vo)을 생성할 수 있다. 홀 센서(120-4)를 이용하는 경우 발생부(110-4)는 고정된 자계를 생성하는 자석, 네오디움, 및 기타 다양한 자성체를 이용할 수 있다.
도 8은 의복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센서모듈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센서모듈(100a ∼ 100j)에 부착될 수 있다. 의복에 부착되는 위치는 도면에서 좌측 팔 관절, 우측 팔 관절, 좌우 허리, 척추, 겨드랑이 부위, 다리 사이, 및 좌우 다리 관절에 위치할 수 있다.
센서모듈(100a, 100b, 100c, 100d)은 팔과 다리의 관절에 위치하므로, (100a, 100b, 100c, 100d)에서 출력되는 유도전압은 관절의 회전각에 대응할 수 있다.
센서모듈(100e, 100f)은 양측 허리에 위치하므로, 센서모듈(100e, 100f)에서 출력되는 유도전압은 좌우 허리의 회전각에 대응할 수 있다.
센서모듈(100h, 100i, 100j)은 몸체와 팔 사이, 또는 다리 사이에 위치하므로, 몸체와 팔 사이의 거리, 또는 다리 사이의 거리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센서모듈(100h, 100i, 100j)에서 출력되는 유도전압은 거리에 대한 값이 될 수 있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인체 상태 분석 모듈의 일 예에 대한 블럭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인체 상태 분석 모듈(200)은 통신부(210), 증폭부(220),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230), 데이터 가공 모듈(240), 전송 모듈(260), 수신 모듈(260), 연산모듈(250)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유도 수신부(120)에서 발생되는 유도전압을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유도 수신부(120)와 전선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부(201)는 유도 수신부(120)와 RFID 통신, 지그비 통신, 블루투스 통신, 및 와이브로 통신 중 하나에 따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증폭부(220)는 통신부(21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할 수 있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230)는 증폭부(220)의 출력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데이터 가공 모듈(240)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23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가공하여 출력할 수 있다. 데이터 가공 모듈(240)이 수행하는 데이터 가공에는 데이터 처리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디지털 신호를 소정의 샘플링 레이트로 샘플링하는 가공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가공 모듈(240)이 수행하는 데이터 가공에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23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소정의 통신 규격 형태의 신호로 변환하는 가공이 포함될 수도 있다.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할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송 모듈(260)은 가공된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전송 모듈(260)은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가공된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으며, 지그비 통신망, 블루투스 통신망, 와이브로 통신망, 무선 인터넷 망 등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신 모듈(260)은 전송 모듈(26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연산모듈(250)은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관절의 회전각, 또는 몸체와 팔, 또는 다리 사이의 이격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연산모듈(250)은 각 센서(100a ∼ 100j) 별 유도전압에 대한 기준데이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산모듈(250)은 각 센서(100a ∼ 100j) 중 어느 것이 회전각에 대응하는지, 또, 어느 것이 거리에 대응하는지에 대해 파악하고 있어야 하며, 이는 각 센서(100a ∼ 100j)에 부여하는 고유 아이디에 의존할 수 있다. 또한, 연산모듈(250)은 각 센서(100a ∼ 100j)에 부여된 고유 아이디에 따라 회전각과 유도전압 사이의 데이터, 및 거리와 유도전압 사이의 데이터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산모듈(250)은 각 센서모듈(100a ∼ 100j)에서 제공되는 유도전압을 참조하여 인체의 3차원 형상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정보는 별도의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될 수 있으며, 각 센서모듈(100a ∼ 100j)과 전기적으로 결선되는 경우, 도 8에 도시된 벨트 부분에 착용되거나, 또는 각 센서모듈(100a ∼ 100j)과 무선 통신하는 외부 컴퓨터, 또는 기타 전자기기에서 표시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데이터 가공 모듈(240)과 연산모듈(250) 사이를 연결하는 전송 모듈(260) 및 수신 모듈(260)은 인체 상태 분석 모듈(200)에서 불필요한 요소가 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술한 광신호 통신부(210), 증폭부(220),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230), 데이터 가공 모듈(240), 및 전송 모듈(260)은 인체에 부착되는 별도의 인체 상태 센싱 장치로 구현되고, 상기 수신 모듈(260) 및 연산모듈(250)은 인체에서 분리된 별도의 인체 상태 판단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인체 상태 센싱 장치와 상기 인체 상태 판단 장치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는 전송 모듈(260)과 수신 모듈(260)에 의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체 상태 판단 시스템을 이용하면 관찰자는 인체와 떨어진 원격에서 인체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체 상태 판단 시스템의 특징에 기초하여 상기 인체 상태 판단 시스템은 종래의 인체 상태 판단 기술과 달리 산업현장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체 상태 판단 시스템은 화재 현장, 사고 현장, 수중, 우주 공간 등 위험하고 긴급한 환경에서도 활용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110 : 발생부 120 : 유도 수신부
200 : 인체 상태 분석 모듈 210 : 통신부
220 : 증폭부 230 :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
240 : 데이터 가공 모듈 250 : 연산모듈
260 : 전송모듈

Claims (11)

  1. 전자계를 발생하는 발생부와 상기 전자계를 수신하는 유도 수신부를 한 조로 구성되며, 상기 유도 수신부는 상기 전자계에 대응하는 유도전압을 생성하고, 인체의 관절 부위, 척추, 변위점 및, 근육변화에 의해 둘레길이가 변화하는 신체의 변위부분 중 어느 일 측에 적어도 하나 착용 가능한 센서모듈; 및
    상기 센서모듈의 유도전압의 크기를 토대로 인체의 상태 변화를 산출하여 인체의 상태 변화를 판단하는 인체 상태 분석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유도전압의 크기는 상기 관절의 각도 변화에 따라 가변되며,
    상기 센서모듈은,
    상기 관절, 척추 및 인체의 둘레길이의 변화 중 어느 하나의 인체 변화에 따라 상기 발생부와 상기 유도 수신부의 거리가 가변되며,
    상기 가변되는 거리에 상응하는 유도전압이 상기 유도 수신부에 유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도 센서를 이용한 인체상태 및 동작 판단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생부는,
    고주파를 생성하는 발진부; 및
    상기 고주파를 방출하는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도 센서를 이용한 인체상태 및 동작 판단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수신부는,
    상기 고주파를 수신하는 유도 안테나; 및
    상기 유도 안테나에서 수신된 고주파를 증폭하는 증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도 센서를 이용한 인체상태 및 동작 판단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생부는,
    자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도 센서를 이용한 인체상태 및 동작 판단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수신부는,
    상기 자성체와의 거리에 따른 유도전압을 출력하는 홀 센서; 및
    상기 홀 센서의 유도전압을 증폭하는 증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도 센서를 이용한 인체상태 및 동작 판단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상태 분석 모듈은,
    센서모듈의 유도전압을 증폭하는 증폭기;
    상기 증폭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및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토대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모듈의 유도전압의 크기에 따른 상기 관절, 및 척추 중 어느 하나의 각도 변화를 산출하고, 산출된 각도 변화를 참조하여 인체의 상태 변화를 판단하는 연산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도 센서를 이용한 인체상태 및 동작 판단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상태 분석모듈은,
    상기 센서모듈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도 센서를 이용한 인체상태 및 동작 판단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은,
    척추에 부착되어 허리의 각도에 대응하는 유도전압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도 센서를 이용한 인체상태 및 동작 판단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은,
    인체의 팔과 몸체, 및 두 다리 사이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어 상기 팔과 다리의 거리 변화에 따른 유도전압을 생성하고 이를 상기 인체 상태 분석모듈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도 센서를 이용한 인체상태 및 동작 판단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상태 분석 모듈은,
    상기 센서모듈의 유도전압의 크기에 따라 몸체를 기준으로 상기 팔과 다리의 위치를 판단하여 인체의 상태 변화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도 센서를 이용한 인체상태 및 동작 판단 시스템.
KR1020120031810A 2012-03-28 2012-03-28 전자유도 센서를 이용한 인체상태 및 동작 판단 시스템 KR101369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1810A KR101369379B1 (ko) 2012-03-28 2012-03-28 전자유도 센서를 이용한 인체상태 및 동작 판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1810A KR101369379B1 (ko) 2012-03-28 2012-03-28 전자유도 센서를 이용한 인체상태 및 동작 판단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9783A KR20130109783A (ko) 2013-10-08
KR101369379B1 true KR101369379B1 (ko) 2014-03-06

Family

ID=49631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1810A KR101369379B1 (ko) 2012-03-28 2012-03-28 전자유도 센서를 이용한 인체상태 및 동작 판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93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9848B1 (ko) * 2017-06-28 2020-03-1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웨어러블 자세 측정 장치
CN107741196B (zh) * 2017-12-04 2019-11-12 成都思悟革科技有限公司 一种人体姿态获得方法及系统
CN107981867B (zh) * 2017-12-04 2020-08-11 成都思悟革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电磁场动作捕捉的膝盖康复辅助装置
CN111307173B (zh) * 2018-12-12 2023-09-12 成都思悟革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交变电磁场定位与惯性传感器互相校准的方法
KR102303494B1 (ko) * 2020-04-06 2021-09-1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웨어러블 자세 측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29943A (ja) 2003-01-30 2004-08-19 Eiichi Bando 顎運動の測定装置
KR20100063595A (ko) * 2008-12-03 2010-06-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기전도성 섬유를 이용한 무구속 움직임 측정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29943A (ja) 2003-01-30 2004-08-19 Eiichi Bando 顎運動の測定装置
KR20100063595A (ko) * 2008-12-03 2010-06-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기전도성 섬유를 이용한 무구속 움직임 측정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9783A (ko) 2013-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9379B1 (ko) 전자유도 센서를 이용한 인체상태 및 동작 판단 시스템
KR101899129B1 (ko) 섬유센서를 이용한 운동자세 분석 장치 및 방법
EP3492012B1 (en) Method and system of obtaining human posture
CN104317403B (zh) 一种用于手语识别的可穿戴设备
KR102177136B1 (ko) 착용형 근력 측정 장치 및 시스템
JP6526026B2 (ja) 物体の動作判定方法及びシステム
US10914567B2 (en) Magnetic sensor based proximity sensing
JP6969877B2 (ja) サイズ測定装置及びサイズ測定システム
CN104020446A (zh) 一种智能护理床中自主导航定位系统及定位导航方法
US20170071477A1 (en) System for detecting core body temperature and method for the same
KR20180093752A (ko)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JP2011525975A (ja) 関節チェーンの運動を表わす情報決定のための自律的システム及び方法
CN103095341A (zh) 数据传输控制方法及电子设备
KR101988206B1 (ko) 적외선카메라를 이용한 온도측정 시스템
WO2012029103A1 (ja) 人体位置検出装置及び人体位置検出方法
KR101158521B1 (ko) 광신호를 이용한 인체상태 및 동작 판단 시스템 및 인체 상태 판단 방법
KR101654156B1 (ko) 센서 모듈의 데이터 송수신을 이용한 모션 캡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션 캡쳐 방법
Mazurek et al. Fusion of measurement data from impulse-radar sensors and depth sensors when applied for patients monitoring
KR101133223B1 (ko) 광신호를 이용한 인체상태 및 동작 판단 시스템
CN107752174B (zh) 一种基于电磁场动作捕捉技术的手套
CN207424807U (zh) 一种用于vr显示眼镜的头部动作捕捉系统
CN109984733B (zh) 一种光纤传感组件、服装、运动姿态监测系统和方法
US20210082261A1 (en) Systems and methods to allow operators to sense distance and/or direction using haptic feedback
KR100373758B1 (ko) 2축 2센서 방식에 의한 인체 동작 범위 인지용 무선모션캡처장치
CN209147933U (zh) 光纤位移传感器及数据手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