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8648B1 -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 Google Patents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8648B1
KR101368648B1 KR1020120006347A KR20120006347A KR101368648B1 KR 101368648 B1 KR101368648 B1 KR 101368648B1 KR 1020120006347 A KR1020120006347 A KR 1020120006347A KR 20120006347 A KR20120006347 A KR 20120006347A KR 101368648 B1 KR101368648 B1 KR 101368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data
networks
coverage
partia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6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5291A (ko
Inventor
이규민
김정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6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8648B1/ko
Priority to PCT/KR2013/000151 priority patent/WO2013109015A1/ko
Priority to CN201380002076.1A priority patent/CN103703696B/zh
Publication of KR20130085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5291A/ko
Priority to US14/082,500 priority patent/US1020623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8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8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04W60/005Multiple registrations, e.g. multiho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04W76/16Involving differ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e.g. a packet-switched [PS] bearer in combination with a circuit-switched [CS] bear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32Hierarchical cell stru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04W76/34Selective release of ongoing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7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dedicated repeater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Abstract

본 발명은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을 개시한다. 즉, 2 이상의 네트워크를 동시 서비스하기 위한 서비스커버리지를 구성하고,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 각각의 커버리지를 상기 서비스커버리지에 일치시키는 커버리지구성단계;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특정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수신장치에 대한 상기 서비스커버리지로의 진입이 감지될 경우, 상기 송수신장치가 상기 서비스커버리지를 통해 특정 네트워크에 접속하도록 전환하며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상기 특정 네트워크를 제외한 나머지 네트워크에 대하여 추가 접속하도록 제어하는 접속제어단계; 및 상기 서비스커버리지로 진입한 상기 송수신장치로 전달되는 데이터를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부분데이터로 분할하여 상기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송수신장치에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단계를 포함함으로써, 동시 전송 서비스의 전송 성능을 보장 및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SIMULTANEOUSLY TRANSMITTING DATA IN HETEROGENEOUS NETWORK}
본 발명은 이기종 네트워크를 이용한 데이터 동시 전송 방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기종 네트워크 동시 서비스하기 위한 서비스커버리지를 구성하고, 상기 서비스커버리지를 구성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각각에 대해 커버리지 유효범위를 일치시킨 환경에서, 서비스커버리지로 진입한 송수신장치를 대상으로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과, 이에 적용되는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업자는 다수의 무선 기술을 바탕으로 한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 국내의 경우 주요 사업자는 WCDMA, CDMA, WiBro 및 최근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인 WLAN(WiFi) 기술까지 도입하여 네트워크를 구축, 서비스하고 있다. 더불어 최근에는 LTE(Long Term Evolution) 망이 활발히 도입되고 있다.
이처럼 여러 네트워크가 혼재된 이기종 네트워크(Heterogeneous network) 환경에서 단말장치가 이를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현재 방식은, 단말장치 사용자의 직접적인 변경에 의한 네트워크 선택 방식으로 사업자 측의 개입(controllability)이 배제된 방식이기 때문에 사업자 입장을 고려할 때 소극적인 방식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폰, 태블렛 PC 등 다양한 무선 기기들이 증가하고 데이터 요금이 저렴해지며 동시에 다양한 대용량 데이터 서비스가 증가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사업자의 네트워크 부하율이 급격히 상승함에 따라 망 투자비 과다 지출 및 서비스 안정성 측면에서 위협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여러 네트워크가 혼재된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에서 네트워크의 상태에 따라 능동적으로 단말장치의 네트워크를 선택하고, 선택된 네트워크를 이용한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위한 새로운 서비스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이기종 네트워크 동시 서비스하기 위한 중계장치의 서비스커버리지를 구성하고, 상기 서비스커버리지를 구성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각각의 커버리지 유효범위를 상기 서비스커버리지에 일치시킴으로써, 서비스커버리지 상에서 이기종 네트워크 간 데이터가 전달되는 전송 망의 거리(Latency)가 동일하도록 구현한 상태에서 상기 서비스커버리지로 진입한 송수신장치를 대상으로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중계장치는, 이동통신네트워크의 매크로기지국에 속해 있는 송수신장치가, 상기 이동통신네트워크의 매크로기지국에 속해 있는 송수신장치가, 상기 이동통신네트워크의 마이크로 기지국을 포함하는, 각각의 커버리지가 유사한 2 이상의 네트워크로 구성된 동시 전송 서비스커버리지로 진입하는 것이 감지될 경우, 상기 송수신장치가 상기 매크로기지국에서 상기 마이크로 기지국을 포함한 2이상의 네트워크에 접속하도록 제어하는 접속제어부; 및 상기 서비스커버리지로 진입한 상기 송수신장치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부분데이터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송수신하는 중계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송수신장치는, 송수신장치가 이동통신네트워크의 매크로기지국에 속한 이후 상기 이동통신네트워크의 마이크로 기지국을 포함하는, 각각의 커버리지가 유사한 2 이상의 네트워크로 구성된 동시 전송 서비스커버리지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매크로기지국에서 상기 마이크로 기지국을 포함한 2이상의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서비스접속부; 및 상기 서비스커버리지로 진입하여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부분데이터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은, 이동통신네트워크의 매크로기지국에 속해 있는 송수신장치가 상기 이동통신네트워크의 마이크로 기지국을 포함하는, 각각의 커버리지가 유사한 2 이상의 네트워크로 구성된 동시 전송 서비스커버리지로 진입하는 것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송수신장치가 상기 매크로기지국에서 상기 마이크로 기지국을 포함한 2이상의 네트워크에 접속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커버리지로 진입한 상기 송수신장치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부분데이터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송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은, 송수신장치가 이동통신네트워크의 매크로기지국에 속한 이후 상기 이동통신네트워크의 마이크로 기지국을 포함하는, 각각의 커버리지가 유사한 2 이상의 네트워크로 구성된 동시 전송 서비스커버리지로 진입하는 단계; 상기 매크로기지국에서 상기 마이크로 기지국을 포함한 2이상의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커버리지로 진입하여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부분데이터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송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통신네트워크의 마이크로 기지국을 포함한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 각각의 커버리지는 상기 서비스커버리지와 동일할 수 있다.
이에,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에 의하면, 이기종 네트워크 동시 서비스하기 위한 서비스커버리지를 구성하고, 상기 서비스커버리지를 구성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각각에 대해 커버리지 유효범위를 일치시킨 환경에서, 서비스커버리지로 진입한 송수신장치를 대상으로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여 이기종 네트워크 간 데이터가 전달되는 전송 망의 거리(Latency)를 일치시킴에 따라, 이기종 네트워크 간 커버리지 불일치로 인해 네트워크 별로 상이한 시점에 핸드오프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 속도의 예측 및 데이터 동시 전송을 위한 정책 설정이 용이해지므로, 동시 전송 서비스의 전송 성능을 보장 및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중계장치가 2 이상의 네트워크를 동시에 지원하는 실시예 1과 2 이상의 네트워크를 각각 지원하는 2 이상의 중계장치를 포함하는 실시예 2를 포함할 수 있다.
2 이상의 네트워크가 3G 네트워크와 WiFi 네트워크와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인 경우에 실시예 1에 따른 중계장치는 3G 네트워크를 지원하기 위한 접속부(예를 들어, 펨토셀 기지국, 마이크로 기지국)와 WiFi 네트워크와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지원하기 위한 접속부(예를 들어, AP(Access Point))의 기능을 동시에 지원할 수 있는 반면, 실시예 2의 경우 3G 네트워크를 지원하기 위한 접속부(예를 들어, 펨토셀 기지국)와 WiFi 네트워크와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지원하기 위한 접속부(예를 들어, AP(Access Point))가 각각 별도로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3G 네트워크를 지원하기 위한 접속부(예를 들어, 펨토셀 기지국, 마이크로 기지국)에 의한 커버리지는 WiFi 네트워크와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지원하기 위한 접속부(예를 들어, AP(Access Point))의 커버리지와 동일할 수 있다.
단말장치가 매크로기지국을 이용하여 3G 네트워크에 접속한 상태에서 서비스커버리지 내로 진입하는 경우, 실시예 1에 따르면 상기 단말장치는 3G 네트워크에 대해서는 상기 매크로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중계장치에 포함된 3G 네트워크를 지원하기 위한 접속부(예를 들어, 펨토셀 기지국, 마이크로 기지국)로 핸드오버하는 한편 상기 중계장치에 함께 포함된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지원하기 위한 접속부(예를 들어, AP(Access Point))에 추가 접속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 2의 경우 상기 단말장치는 3G 네트워크를 지원하기 위한 접속부(예를 들어, 펨토셀 기지국)와 WiFi 네트워크와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지원하기 위한 접속부(예를 들어, AP(Access Point))가 각각 별도로 포함되므로 3G 네트워크에 대해서는 상기 매크로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중계장치에 포함된 3G 네트워크를 지원하기 위한 접속부(예를 들어, 펨토셀 기지국, 마이크로 기지국)로 핸드오버하며, 이와는 별도로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에 대해서는 3G 네트워크를 지원하기 위한 접속부와는 별도의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지원하기 위한 접속부(예를 들어, AP(Access Point))에 추가 접속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을 통해 단말장치는 2 이상의 네트워크에 동시 접속하여 2 이상의 네트워크를 기초로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데이터 동시 전송을 위한 동일한 방식이 양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그 구체적인 내용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시스템은, 서비스커버리지로 진입한 단말장치(200)를 대상으로 서비스 가능한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분할하여 제공함과 아울러, 단말장치(200)로부터 분할되어 수신되는 데이터를 결합하여 목적지에 전달하는 중계장치(100), 및 단일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 상태에서 서비스커버리지로의 진입에 따라 중계장치(100)와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단말장치(2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중계장치(100)는 국소의 서비스커버리지를 갖는 기지국 예컨대, 이동통신용 펨토셀 기지국 또는 WiFi AP 등을 지칭하게 되며, 이러한 중계장치(100)는 각각의 서비스커버리지 상에서 데이터를 분할하고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송수신하는 구성을 갖게 된다.
또한, 단말장치(200)는 서비스 플로우 즉,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주체에 따라 다시 말해 업링크 과정 및 다운링크 과정에 따라, 송신장치도 될 수 있으며, 수신장치도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는, 중계장치(100)와 단말장치(200) 간의 데이터 송수신에 대하여 데이터를 분할하고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송수신하는 구성을 구현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한 세션에 대하여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한 동시 링크 전송을 구현하기 위해 중계장치(100)에서 세션 분할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때, 단말장치(200)는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 각각과 연결되기 때문에 중계장치(100) 입장에서는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한 동시 링크 각각에 대하여 하나의 단말장치(200)의 링크라는 것을 인지하고 하나의 단말장치(200) 즉 하나의 주체로 관리해야만 한다. 이를 위해 단말장치(200)에 대응하여 동시 전송 서비스를 위한 별도의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가상 IP)를 할당 및 관리하는 것이 필연적으로 요구될 것이다.
여기서, 서비스커버리지 상의 이기종 네트워크는 예컨대, WCDMA, CDMA, WiBro, WLAN(WiFi) 및 LTE(Long Term Evolution)를 포함하는 다양한 네트워크가 해당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무선 패킷 서비스 네트워크(WCDMA)를 지칭하는 제1네트워크(이하, "3G 네트워크"라 칭함)와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WiFi)를 지칭하는 제2네트워크(이하, "WiFi 네트워크"라 칭함)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중계장치(100)는 이기종 네트워크를 동시 서비스하기 위한 서비스커버리지를 구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중계장치(100)는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를 동시 서비스하기 위한 서비스커버리지를 구성하고,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 각각의 커버리지를 상기 서비스커버리지에 일치시킨다.  이때, 중계장치(100)는 상기 서비스커버리지를 구성하는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 각각에 대해, 상기 서비스커버리지 상에서 데이터가 전달되는 거리(Latency)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서비스커버리지에 진입한 단말장치(200)가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 각각을 인식할 수 있는 커버리지 유효범위를 일치시키게 된다.
또한, 중계장치(100)는 단말장치(200)에 대한 서비스커버리지로의 진입을 감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중계장치(100)는 매크로(Macro)영역 상에서 단일 네트워크(예: 3G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말장치(100)가 서비스커버리지로 진입하는 것이 확인될 경우, 단말장치(100)에 대해 서비스 가능한 이기종 네트워크를 확인한다.  즉, 중계장치(100)는 서비스커버리지에 상에서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를 서비스하고 있으며, 단일 네트워크(예: 3G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말장치(200)가 서비스커버리지로 진입함에 따라, 3G 네트워크에 대한 핸드오버 시도와 아울러, 별도의 통신모듈의 활성화를 통해 WiFi 네트워크에 대한 추가 접속을 시도하는 것을 확인하게 된다.
나아가, 중계장치(100)는 단말장치(200)에 대한 상기 서비스커버리지로의 진입 감지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200)가 서비스커버리지에서 동시 서비스되는 이기종 네트워크에 접속하도록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중계장치(100)는 매크로(Macro)영역 상에서 단일 네트워크(예: 3G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말장치(100)가 서비스커버리지로 진입될 경우, 단말장치(100)에 대한 핸드오버를 지원함으로써, 매크로(Macro)영역에 서비스되던 3G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 상태를 중계장치(100)에서 서비스하는 3G 네트워크로 전환하여 접속하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중계장치(100)는 단말장치(200)의 서비스커버리지로 진입 시, 활성화된 통신모듈과의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3G 네트워크에 대한 핸드오버와 아울러, 중계장치(100)에서 서비스하는 WiFi 네트워크 추가 접속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중계장치(100)는 다운링크 과정 수행에 따라 서비스커버리지로 진입한 단말장치(200)를 대상으로 전달되는 데이터를 상기 확인된 이기종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부분데이터로서 선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중계장치(100)는 외부접속네트워크 예컨대, 3G 네트워크 또는 WiFi 네트워크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커버리지로 진입한 단말장치(200)로 전달되는 데이터가 수신될 경우, 네트워크 간에 가변 설정되는 데이터 전송비율 즉, 3G 네트워크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전송비율 및 WiFi 네트워크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2전송비율을 확인한다.  나아가, 중계장치(100)는 확인된 전송비율을 기반으로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 중 3G 네트워크로 전송할 제1부분데이터를 선택함과 아울러, 나머지 부분데이터 중 WiFi 네트워크로 전송할 제2부분데이터를 선택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중계장치(100)는 네트워크 별 특성, 현재 부하상태, 및 전송대상 데이터의 종류 등 다양한 요소를 기초로 네트워크 간 데이터 전송비율을 동적으로 가변 설정하거나, 가변 설정되는 데이터 전송비율을 별도의 외부장치(도시안됨)로부터 수신하여 설정할 수 있다.
아울러, 중계장치(100)는 선택된 부분데이터를 해당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전송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중계장치(100)는 각각의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선택된 부분데이터 다시 말해, 제1부분데이터를 3G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여, 수신장치로서의 단말장치(100)로 전송하며, 동시에 제2부분데이터를 WiFi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여 수신장치로서의 단말장치(100)에 전송하게 된다.
한편, 중계장치(100)는 업링크 과정 수행에 따라 단말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데이터를 복원하고, 복원된 데이터를 목적지에 전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중계장치(100)는 서비스커버리지에 위치하는 단말장치(200)로부터 3G 네트워크를 통해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함과 아울러, WiFi 네트워크를 통해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  또한, 중계장치(100)는 수신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에 포함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토대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단말장치(200)에서 전송하고자 한 전송대상 데이터를 복원하게 된다.  즉, 중계장치(100)는 수신되는 여러 부분데이터들에 포함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토대로 동일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갖는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인지하고 이들을 해당 부분데이터에 포함된 순서정보에 따라 조합 및 결합함으로써, 원래의 전송대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나아가, 중계장치(100)는 복원된 데이터를 외부접속네트워크 예컨대, 3G 네트워크 또는 WiFi 네트워크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전달함으로써, 단말장치(200)가 전송하고자 하는 목적지로 복원된 데이터가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단말장치(200)는 서비스커버리지로의 진입에 따라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해 중계장치(100)에 접속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장치(200)는 매크로(Macro)영역 상에서 단일 네트워크(예: 3G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 상태에서,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를 동시 서비스하는 서비스커버리지로 진입할 경우, 추가적으로 WiFi 네트워크 신호를 감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단말장치(200)는 WiFi 네트워크의 추가 접속을 위한 별도의 통신모듈을 활성화시킴으로써, 3G 네트워크의 핸드오버를 통한 중계장치(100)와의 접속과 동시에, WiFi 네트워크를 통해 중계장치(100)에 접속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커버리지를 구성하는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의 경우, 커버리지 유효범위가 상호 일치되도록 설정됨에 따라, 상기 서비스커버리지에 진입한 단말장치(100)의 경우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를 동시에 인식하게 된다.
또한, 단말장치(200)는 중계장치(100)의 접속을 통한 다운링크 과정 수행에 따라 중계장치(100)로부터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해 부분데이터를 수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장치(200)는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를 통한 중계장치(100)와의 접속 이후, 코어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가 전달될 경우, 중계장치(100)로부터 3G 네트워크를 통해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함과 아울러, WiFi 네트워크를 통해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  또한, 단말장치(200)는 수신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에 포함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토대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코어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를 복원하게 된다.
한편, 단말장치(200)는 중계장치(100)의 접속을 통한 업링크 과정을 수행할 경우, 전달대상 데이터를 접속된 이기종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부분데이터로서 선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장치(200)는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를 통한 중계장치(100)와의 접속 이후, 데이터를 코어 네트워크로 전송할 경우, 네트워크 간에 가변 설정되는 데이터 전송비율 즉, 3G 네트워크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전송비율 및 WiFi 네트워크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2전송비율을 확인한다.  나아가, 단말장치(200)는 확인된 전송비율을 기반으로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 중 3G 네트워크로 전송할 제1부분데이터를 선택함과 아울러, 나머지 부분데이터 중 WiFi 네트워크로 전송할 제2부분데이터를 선택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단말장치(200)는 네트워크 별 특성, 현재 부하상태, 및 전송대상 데이터의 종류 등 다양한 요소를 기초로 네트워크 간 데이터 전송비율을 동적으로 가변 설정하거나, 가변 설정되는 데이터 전송비율을 별도의 외부장치(도시안됨)로부터 수신하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단말장치(200)는 선택된 부분데이터를 해당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전송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장치(200)는 각각의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선택된 부분데이터 다시 말해, 제1부분데이터를 3G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여, 수신장치로서의 중계장치(100)로 전송하며, 동시에 제2부분데이터를 WiFi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여 수신장치로서의 중계장치(100)에 전송함으로써, 중계장치(100)로 하여금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의 결합을 통한 데이터 복원 이후, 복원된 데이터가 코어 네트워크를 통해 목적지에 전달되도록 한다.
나아가, 단말장치(200)는 서비스커버리지 이탈이 확인될 경우, 단일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장치(200)는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를 서비스하는 서비스커버리지에서 이탈하여 단일 네트워크(예: 3G 네트워크)를 서비스하는 매크로(Macro)영역으로 복귀할 경우, 3G 네트워크의 핸드오버를 수행함과 동시에 WiFi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통신모듈을 비활성화시킴으로써 3G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만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장치(100)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즉, 중계장치(100)는 이기종 네트워크를 동시 서비스하기 위한 서비스커버리지를 구성하는 접속부(110), 단말장치(200)에 대해 상기 서비스커버리지 상의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도록 하는 접속제어부(120), 및 단말장치(200)를 대상으로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분할하여 제공함과 아울러, 단말장치(200)로부터 분할되어 수신되는 데이터를 결합하여 목적지에 전달하는 중계처리부(13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접속부(110)는 이기종 네트워크를 동시 서비스하기 위한 서비스커버리지를 구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접속부(110)는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를 동시 서비스하기 위한 서비스커버리지를 구성하고,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 각각의 커버리지를 상기 서비스커버리지에 일치시킨다.  이때, 접속부(110)는 상기 서비스커버리지를 구성하는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 각각에 대해, 상기 서비스커버리지 상에서 데이터가 전달되는 거리(Latency)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서비스커버리지에 진입한 단말장치(200)가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 각각을 인식할 수 있는 커버리지 유효범위를 일치시키게 된다.
접속제어부(120)는 단말장치(200)에 대한 서비스커버리지로의 진입을 감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접속제어부(120)는 매크로(Macro)영역 상에서 단일 네트워크(예: 3G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말장치(100)가 서비스커버리지로 진입하는 것이 확인될 경우, 단말장치(100)에 대해 서비스 가능한 이기종 네트워크를 확인한다.  즉, 접속확인부(110)는 서비스커버리지에 상에서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를 서비스하고 있으며, 단일 네트워크(예: 3G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말장치(200)가 서비스커버리지로 진입함에 따라, 3G 네트워크에 대한 핸드오버 시도와 아울러, 별도의 통신모듈의 활성화를 통해 WiFi 네트워크에 대한 추가 접속을 시도하는 것을 확인하게 된다.
아울러, 접속제어부(120)는 단말장치(200)에 대한 상기 서비스커버리지로의 진입 감지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200)가 서비스커버리지에서 동시 서비스되는 이기종 네트워크에 접속하도록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접속제어부(120)는 매크로(Macro)영역 상에서 단일 네트워크(예: 3G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말장치(100)가 서비스커버리지로 진입될 경우, 단말장치(100)에 대한 핸드오버를 지원함으로써, 매크로(Macro)영역에 서비스되던 3G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 상태를 상기 접속부(110)에서 서비스하는 3G 네트워크로 전환하여 접속하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접속제어부(120)는 단말장치(200)의 서비스커버리지로 진입 시, 활성화된 통신모듈과의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3G 네트워크에 대한 핸드오버와 아울러, 상기 접속부(110)에서 서비스하는 WiFi 네트워크 추가 접속될 수 있도록 한다.
중계처리부(130)는 다운링크 과정 수행에 따라 서비스커버리지로 진입한 단말장치(200)를 대상으로 전달되는 데이터를 상기 확인된 이기종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부분데이터로서 선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중계처리부(130)는 외부접속네트워크 예컨대, 3G 네트워크 또는 WiFi 네트워크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커버리지로 진입한 단말장치(200)로 전달되는 데이터가 수신될 경우, 네트워크 간에 가변 설정되는 데이터 전송비율 즉, 3G 네트워크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전송비율 및 WiFi 네트워크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2전송비율을 확인한다.  나아가, 중계처리부(130)는 확인된 전송비율을 기반으로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 중 3G 네트워크로 전송할 제1부분데이터를 선택함과 아울러, 나머지 부분데이터 중 WiFi 네트워크로 전송할 제2부분데이터를 선택하게 된다.
아울러, 중계처리부(130)는 선택된 부분데이터를 해당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전송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중계처리부(130)는 각각의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선택된 부분데이터 다시 말해, 제1부분데이터를 3G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여, 수신장치로서의 단말장치(100)로 전송하며, 동시에 제2부분데이터를 WiFi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여 수신장치로서의 단말장치(100)에 전송하게 된다.
한편, 중계처리부(130)는 업링크 과정 수행에 따라 단말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데이터를 복원하고, 복원된 데이터를 목적지에 전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중계처리부(130)는 서비스커버리지에 위치하는 단말장치(200)로부터 3G 네트워크를 통해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함과 아울러, WiFi 네트워크를 통해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  또한, 중계처리부(130)는 수신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에 포함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토대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단말장치(200)에서 전송하고자 한 전송대상 데이터를 복원하게 된다.  즉, 중계처리부(130)는 수신되는 여러 부분데이터들에 포함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토대로 동일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갖는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인지하고 이들을 해당 부분데이터에 포함된 순서정보에 따라 조합 및 결합함으로써, 원래의 전송대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나아가, 중계처리부(130)는 복원된 데이터를 외부접속네트워크 예컨대, 3G 네트워크 또는 WiFi 네트워크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전달함으로써, 단말장치(200)가 전송하고자 하는 목적지로 복원된 데이터가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200)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즉, 단말장치(200)는 서비스커버리지로 진입에 따라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해 중계장치(200)에 접속하는 서비스접속부(210), 및 중계장치(100)와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통신부(22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서비스접속부(210)는 서비스커버리지로의 진입에 따라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해 중계장치(100)에 접속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접속부(210)는 매크로(Macro)영역 상에서 단일 네트워크(예: 3G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 상태에서,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를 동시 서비스하는 서비스커버리지로 진입할 경우, 추가적으로 WiFi 네트워크 신호를 감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서비스접속부(210)는 WiFi 네트워크의 추가 접속을 위한 별도의 통신모듈을 활성화시킴으로써, 3G 네트워크의 핸드오버를 통한 중계장치(100)와의 접속과 동시에, WiFi 네트워크를 통해 중계장치(100)에 접속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커버리지를 구성하는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의 경우, 커버리지 유효범위가 상호 일치되도록 설정됨에 따라, 서비스접속부(210)는 상기 서비스커버리지에 진입 시,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를 동시에 인식하게 된다.
통신부(220)는 중계장치(100)의 접속을 통한 다운링크 과정 수행에 따라 중계장치(100)로부터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해 부분데이터를 수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통신부(220)는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를 통한 중계장치(100)와의 접속 이후, 코어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가 전달될 경우, 중계장치(100)로부터 3G 네트워크를 통해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함과 아울러, WiFi 네트워크를 통해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  또한, 통신부(220)는 수신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에 포함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토대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코어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를 복원하게 된다.
한편, 통신부(220)는 중계장치(100)의 접속을 통한 업링크 과정을 수행할 경우, 전달대상 데이터를 접속된 이기종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부분데이터로서 선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통신부(220)는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를 통한 중계장치(100)와의 접속 이후, 데이터를 코어 네트워크로 전송할 경우, 네트워크 간에 가변 설정되는 데이터 전송비율 즉, 3G 네트워크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전송비율 및 WiFi 네트워크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2전송비율을 확인한다.  나아가, 통신부(220)는 확인된 전송비율을 기반으로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 중 3G 네트워크로 전송할 제1부분데이터를 선택함과 아울러, 나머지 부분데이터 중 WiFi 네트워크로 전송할 제2부분데이터를 선택하게 된다.
또한, 통신부(220)는 선택된 부분데이터를 해당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전송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통신부(220)는 각각의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선택된 부분데이터 다시 말해, 제1부분데이터를 3G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여, 수신장치로서의 중계장치(100)로 전송하며, 동시에 제2부분데이터를 WiFi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여 수신장치로서의 중계장치(100)에 전송함으로써, 중계장치(100)로 하여금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의 결합을 통한 데이터 복원 이후, 복원된 데이터가 코어 네트워크를 통해 목적지에 전달되도록 한다.
나아가, 서비스접속부(210)는 서비스커버리지 이탈이 확인될 경우, 단일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접속부(210)는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를 서비스하는 서비스커버리지에서 이탈하여 단일 네트워크(예: 3G 네트워크)를 서비스하는 매크로(Macro)영역으로 복귀할 경우, 3G 네트워크의 핸드오버를 수행함과 동시에 WiFi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통신모듈을 비활성화시킴으로써 3G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만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시스템에 따르면, 이기종 네트워크 동시 서비스하기 위한 서비스커버리지를 구성하고, 상기 서비스커버리지를 구성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각각에 대해 커버리지 유효범위를 일치시킨 환경에서, 서비스커버리지로 진입한 송수신장치를 대상으로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여 이기종 네트워크 간 데이터가 전달되는 전송 망의 거리(Latency)를 일치시킴에 따라, 이기종 네트워크 간 커버리지 불일치로 인해 네트워크 별로 상이한 시점에 핸드오프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 속도의 예측 및 데이터 동시 전송을 위한 정책 설정이 용이해지므로, 동시 전송 서비스의 전송 성능을 보장 및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전술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중계장치(100)가 이기종 네트워크를 동시 서비스하기 위한 서비스커버리지를 구성한다(S10).
바람직하게는, 중계장치(100)는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를 동시 서비스하기 위한 서비스커버리지를 구성하고,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 각각의 커버리지를 상기 서비스커버리지에 일치시킨다.  이때, 중계장치(100)는 상기 서비스커버리지를 구성하는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 각각에 대해, 상기 서비스커버리지 상에서 데이터가 전달되는 거리(Latency)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서비스커버리지에 진입한 단말장치(200)가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 각각을 인식할 수 있는 커버리지 유효범위를 일치시키게 된다.
그리고 나서, 단말장치(200)가 서비스커버리지로의 진입에 따라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해 중계장치(100)에 대한 접속을 시도한다(S20-S40).
바람직하게는, 단말장치(200)는 매크로(Macro)영역 상에서 단일 네트워크(예: 3G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 상태에서,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를 동시 서비스하는 서비스커버리지로 진입할 경우, 추가적으로 WiFi 네트워크 신호를 감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단말장치(200)는 WiFi 네트워크의 추가 접속을 위한 별도의 통신모듈을 활성화시킴으로써, 3G 네트워크의 핸드오버를 통한 중계장치(100)와의 접속과 동시에, WiFi 네트워크를 통해 중계장치(100)에 접속을 시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커버리지를 구성하는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의 경우, 커버리지 유효범위가 상호 일치되도록 설정됨에 따라, 상기 서비스커버리지에 진입한 단말장치(100)의 경우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를 동시에 인식하게 된다.
나아가, 중계장치(100)가 단말장치(200)에 대한 상기 서비스커버리지로의 진입 감지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200)가 서비스커버리지에서 동시 서비스되는 이기종 네트워크에 접속하도록 제어한다(S50).
바람직하게는, 중계장치(100)는 매크로(Macro)영역 상에서 단일 네트워크(예: 3G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말장치(100)가 서비스커버리지로 진입될 경우, 단말장치(100)에 대한 핸드오버를 지원함으로써, 매크로(Macro)영역에 서비스되던 3G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 상태를 중계장치(100)에서 서비스하는 3G 네트워크로 전환하여 접속하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중계장치(100)는 단말장치(200)의 서비스커버리지로 진입 시, 활성화된 통신모듈과의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3G 네트워크에 대한 핸드오버와 아울러, 중계장치(100)에서 서비스하는 WiFi 네트워크 추가 접속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런 다음, 중계장치(100)가 다운링크 과정 수행에 따라 서비스커버리지로 진입한 단말장치(200)를 대상으로 전달되는 데이터를 상기 확인된 이기종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부분데이터로서 선택한다(S60-S70).
바람직하게는, 중계장치(100)는 외부접속네트워크 예컨대, 3G 네트워크 또는 WiFi 네트워크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커버리지로 진입한 단말장치(200)로 전달되는 데이터가 수신될 경우, 네트워크 간에 가변 설정되는 데이터 전송비율 즉, 3G 네트워크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전송비율 및 WiFi 네트워크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2전송비율을 확인한다.  나아가, 중계장치(100)는 확인된 전송비율을 기반으로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 중 3G 네트워크로 전송할 제1부분데이터를 선택함과 아울러, 나머지 부분데이터 중 WiFi 네트워크로 전송할 제2부분데이터를 선택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중계장치(100)는 네트워크 별 특성, 현재 부하상태, 및 전송대상 데이터의 종류 등 다양한 요소를 기초로 네트워크 간 데이터 전송비율을 동적으로 가변 설정하거나, 가변 설정되는 데이터 전송비율을 별도의 외부장치(도시안됨)로부터 수신하여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중계장치(100)가 선택된 부분데이터를 해당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전송한다(S80).
바람직하게는, 중계장치(100)는 각각의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선택된 부분데이터 다시 말해, 제1부분데이터를 3G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여, 수신장치로서의 단말장치(100)로 전송하며, 동시에 제2부분데이터를 WiFi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여 수신장치로서의 단말장치(100)에 전송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단말장치(200)가 중계장치(100)의 접속을 통한 다운링크 과정 수행에 따라 중계장치(100)로부터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해 부분데이터를 수신하여 복원한다(S90).
바람직하게는, 단말장치(200)는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를 통한 중계장치(100)와의 접속 이후, 코어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가 전달될 경우, 중계장치(100)로부터 3G 네트워크를 통해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함과 아울러, WiFi 네트워크를 통해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  또한, 단말장치(200)는 수신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에 포함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토대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코어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를 복원하게 된다.
나아가, 단말장치(200)가 중계장치(100)의 접속을 통한 업링크 과정을 수행할 경우, 전달대상 데이터를 접속된 이기종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부분데이터로서 선택한다(S100).
바람직하게는, 단말장치(200)는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를 통한 중계장치(100)와의 접속 이후, 데이터를 코어 네트워크로 전송할 경우, 네트워크 간에 가변 설정되는 데이터 전송비율 즉, 3G 네트워크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전송비율 및 WiFi 네트워크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2전송비율을 확인한다.  나아가, 단말장치(200)는 확인된 전송비율을 기반으로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 중 3G 네트워크로 전송할 제1부분데이터를 선택함과 아울러, 나머지 부분데이터 중 WiFi 네트워크로 전송할 제2부분데이터를 선택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단말장치(200)는 네트워크 별 특성, 현재 부하상태, 및 전송대상 데이터의 종류 등 다양한 요소를 기초로 네트워크 간 데이터 전송비율을 동적으로 가변 설정하거나, 가변 설정되는 데이터 전송비율을 별도의 외부장치(도시안됨)로부터 수신하여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단말장치(200)가 선택된 부분데이터를 해당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전송한다(S110).
바람직하게는, 단말장치(200)는 각각의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선택된 부분데이터 다시 말해, 제1부분데이터를 3G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여, 수신장치로서의 중계장치(100)로 전송하며, 동시에 제2부분데이터를 WiFi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여 수신장치로서의 중계장치(100)에 전송함으로써, 중계장치(100)로 하여금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의 결합을 통한 데이터 복원 이후, 복원된 데이터가 코어 네트워크를 통해 목적지에 전달되도록 한다.
이와 관련하여, 중계장치(100)가 업링크 과정 수행에 따라 단말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데이터를 복원하고, 복원된 데이터를 목적지에 전달한다(S120-S130).
바람직하게는, 중계장치(100)는 서비스커버리지에 위치하는 단말장치(200)로부터 3G 네트워크를 통해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함과 아울러, WiFi 네트워크를 통해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  또한, 중계장치(100)는 수신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에 포함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토대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단말장치(200)에서 전송하고자 한 전송대상 데이터를 복원하게 된다.  즉, 중계장치(100)는 수신되는 여러 부분데이터들에 포함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토대로 동일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갖는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인지하고 이들을 해당 부분데이터에 포함된 순서정보에 따라 조합 및 결합함으로써, 원래의 전송대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나아가, 중계장치(100)는 복원된 데이터를 외부접속네트워크 예컨대, 3G 네트워크 또는 WiFi 네트워크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전달함으로써, 단말장치(200)가 전송하고자 하는 목적지로 복원된 데이터가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단말장치(200)는 서비스커버리지 이탈이 확인될 경우, 단일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S140-S150).
바람직하게는, 단말장치(200)는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를 서비스하는 서비스커버리지에서 이탈하여 단일 네트워크(예: 3G 네트워크)를 서비스하는 매크로(Macro)영역으로 복귀할 경우, 3G 네트워크의 핸드오버를 수행함과 동시에 WiFi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통신모듈을 비활성화시킴으로써 3G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만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장치(100)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이기종 네트워크를 동시 서비스하기 위한 서비스커버리지를 구성한다(S210).
바람직하게는, 접속부(110)는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를 동시 서비스하기 위한 서비스커버리지를 구성하고,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 각각의 커버리지를 상기 서비스커버리지에 일치시킨다.  이때, 접속부(110)는 상기 서비스커버리지를 구성하는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 각각에 대해, 상기 서비스커버리지 상에서 데이터가 전달되는 거리(Latency)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서비스커버리지에 진입한 단말장치(200)가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 각각을 인식할 수 있는 커버리지 유효범위를 일치시키게 된다.
그리고 나서, 단말장치(200)에 대한 서비스커버리지로의 진입을 감지한다(S220).
바람직하게는, 접속제어부(120)는 매크로(Macro)영역 상에서 단일 네트워크(예: 3G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말장치(100)가 서비스커버리지로 진입하는 것이 확인될 경우, 단말장치(100)에 대해 서비스 가능한 이기종 네트워크를 확인한다.  즉, 접속확인부(110)는 서비스커버리지에 상에서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를 서비스하고 있으며, 단일 네트워크(예: 3G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말장치(200)가 서비스커버리지로 진입함에 따라, 3G 네트워크에 대한 핸드오버 시도와 아울러, 별도의 통신모듈의 활성화를 통해 WiFi 네트워크에 대한 추가 접속을 시도하는 것을 확인하게 된다.
다음으로, 단말장치(200)에 대한 상기 서비스커버리지로의 진입 감지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200)가 서비스커버리지에서 동시 서비스되는 이기종 네트워크에 접속하도록 제어한다(S230).
바람직하게는, 접속제어부(120)는 매크로(Macro)영역 상에서 단일 네트워크(예: 3G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말장치(100)가 서비스커버리지로 진입될 경우, 단말장치(100)에 대한 핸드오버를 지원함으로써, 매크로(Macro)영역에 서비스되던 3G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 상태를 상기 접속부(110)에서 서비스하는 3G 네트워크로 전환하여 접속하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접속제어부(120)는 단말장치(200)의 서비스커버리지로 진입 시, 활성화된 통신모듈과의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3G 네트워크에 대한 핸드오버와 아울러, 상기 접속부(110)에서 서비스하는 WiFi 네트워크 추가 접속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다운링크 과정 수행에 따라 서비스커버리지로 진입한 단말장치(200)를 대상으로 전달되는 데이터를 상기 확인된 이기종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부분데이터로서 선택한다(S240-S250).
바람직하게는, 중계처리부(130)는 외부접속네트워크 예컨대, 3G 네트워크 또는 WiFi 네트워크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커버리지로 진입한 단말장치(200)로 전달되는 데이터가 수신될 경우, 네트워크 간에 가변 설정되는 데이터 전송비율 즉, 3G 네트워크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전송비율 및 WiFi 네트워크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2전송비율을 확인한다.  나아가, 중계처리부(130)는 확인된 전송비율을 기반으로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 중 3G 네트워크로 전송할 제1부분데이터를 선택함과 아울러, 나머지 부분데이터 중 WiFi 네트워크로 전송할 제2부분데이터를 선택하게 된다.
그런 다음, 선택된 부분데이터를 해당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전송한다(S260).
바람직하게는, 중계처리부(130)는 각각의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선택된 부분데이터 다시 말해, 제1부분데이터를 3G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여, 수신장치로서의 단말장치(100)로 전송하며, 동시에 제2부분데이터를 WiFi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여 수신장치로서의 단말장치(100)에 전송하게 된다.
한편, 업링크 과정이 수행될 경우, 단말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데이터를 복원하고, 복원된 데이터를 목적지에 전달한다(S270-S290).
바람직하게는, 중계처리부(130)는 서비스커버리지에 위치하는 단말장치(200)로부터 3G 네트워크를 통해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함과 아울러, WiFi 네트워크를 통해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  또한, 중계처리부(130)는 수신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에 포함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토대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단말장치(200)에서 전송하고자 한 전송대상 데이터를 복원하게 된다.  즉, 중계처리부(130)는 수신되는 여러 부분데이터들에 포함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토대로 동일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갖는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인지하고 이들을 해당 부분데이터에 포함된 순서정보에 따라 조합 및 결합함으로써, 원래의 전송대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나아가, 중계처리부(130)는 복원된 데이터를 외부접속네트워크 예컨대, 3G 네트워크 또는 WiFi 네트워크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전달함으로써, 단말장치(200)가 전송하고자 하는 목적지로 복원된 데이터가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200)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서비스커버리지로의 진입에 따라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해 중계장치(100)에 접속한다(S310-S330).
바람직하게는, 서비스접속부(210)는 매크로(Macro)영역 상에서 단일 네트워크(예: 3G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 상태에서,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를 동시 서비스하는 서비스커버리지로 진입할 경우, 추가적으로 WiFi 네트워크 신호를 감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서비스접속부(210)는 WiFi 네트워크의 추가 접속을 위한 별도의 통신모듈을 활성화시킴으로써, 3G 네트워크의 핸드오버를 통한 중계장치(100)와의 접속과 동시에, WiFi 네트워크를 통해 중계장치(100)에 접속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커버리지를 구성하는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의 경우, 커버리지 유효범위가 상호 일치되도록 설정됨에 따라, 서비스접속부(210)는 상기 서비스커버리지에 진입 시,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를 동시에 인식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중계장치(100)의 접속을 통한 다운링크 과정 수행에 따라 중계장치(100)로부터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해 부분데이터를 수신하여 복원한다(S340-S350).
바람직하게는, 통신부(220)는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를 통한 중계장치(100)와의 접속 이후, 코어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가 전달될 경우, 중계장치(100)로부터 3G 네트워크를 통해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함과 아울러, WiFi 네트워크를 통해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  또한, 통신부(220)는 수신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에 포함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토대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코어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를 복원하게 된다.
한편, 중계장치(100)의 접속을 통한 업링크 과정을 수행할 경우, 전달대상 데이터를 접속된 이기종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부분데이터로서 선택한다(S360-S370).
바람직하게는, 통신부(220)는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를 통한 중계장치(100)와의 접속 이후, 데이터를 코어 네트워크로 전송할 경우, 네트워크 간에 가변 설정되는 데이터 전송비율 즉, 3G 네트워크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전송비율 및 WiFi 네트워크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2전송비율을 확인한다.  나아가, 통신부(220)는 확인된 전송비율을 기반으로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 중 3G 네트워크로 전송할 제1부분데이터를 선택함과 아울러, 나머지 부분데이터 중 WiFi 네트워크로 전송할 제2부분데이터를 선택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선택된 부분데이터를 해당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전송한다(S380).
바람직하게는, 통신부(220)는 각각의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선택된 부분데이터 다시 말해, 제1부분데이터를 3G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여, 수신장치로서의 중계장치(100)로 전송하며, 동시에 제2부분데이터를 WiFi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여 수신장치로서의 중계장치(100)에 전송함으로써, 중계장치(100)로 하여금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의 결합을 통한 데이터 복원 이후, 복원된 데이터가 코어 네트워크를 통해 목적지에 전달되도록 한다.
나아가, 서비스커버리지 이탈이 확인될 경우, 단일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S390-S400).
바람직하게는, 서비스접속부(210)는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를 서비스하는 서비스커버리지에서 이탈하여 단일 네트워크(예: 3G 네트워크)를 서비스하는 매크로(Macro)영역으로 복귀할 경우, 3G 네트워크의 핸드오버를 수행함과 동시에 WiFi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통신모듈을 비활성화시킴으로써 3G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만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에 따르면, 이기종 네트워크 동시 서비스하기 위한 서비스커버리지를 구성하고, 상기 서비스커버리지를 구성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각각에 대해 커버리지 유효범위를 일치시킨 환경에서, 서비스커버리지로 진입한 송수신장치를 대상으로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여 이기종 네트워크 간 데이터가 전달되는 전송 망의 거리(Latency)를 일치시킴에 따라, 이기종 네트워크 간 커버리지 불일치로 인해 네트워크 별로 상이한 시점에 핸드오프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 속도의 예측 및 데이터 동시 전송을 위한 정책 설정이 용이해지므로, 동시 전송 서비스의 전송 성능을 보장 및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에 따르면, 이기종 네트워크 동시 서비스하기 위한 서비스커버리지를 구성하고, 상기 서비스커버리지를 구성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각각에 대해 커버리지 유효범위를 일치시킨 환경에서, 상기 서비스커버리지로 진입한 송수신장치를 대상으로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중계장치
110: 접속부 120: 접속제어부
130: 중계처리부
200: 단말장치
210: 서비스접속부   220: 통신부

Claims (8)

  1. 이동통신네트워크의 매크로기지국에 접속된 송수신장치가, 상기 이동통신네트워크의 마이크로 기지국을 포함하며 각각의 커버리지 유효범위가 일치하는 2 이상의 네트워크로 구성된 동시 전송 서비스커버리지로 진입하면, 상기 송수신장치가 상기 매크로기지국과의 접속을 종료하고 상기 마이크로 기지국에 접속함으로써 상기 이동통신네트워크에 접속하며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상기 이동통신 네트워크가 아닌 다른 네트워크에도 접속하여 상기 송수신장치가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에 동시에 접속하도록 제어하는 접속제어부; 및
    상기 서비스커버리지로 진입한 상기 송수신장치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부분데이터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송수신하는 중계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중계장치.
  2. 삭제
  3. 이동통신네트워크의 매크로기지국에 접속된 송수신장치가, 상기 이동통신네트워크의 마이크로 기지국을 포함하며 각각의 커버리지 유효범위가 일치하는 2 이상의 네트워크로 구성된 동시 전송 서비스커버리지로 진입하면, 상기 매크로기지국과의 접속을 종료하고 상기 마이크로 기지국에 접속함으로써 상기 이동통신네트워크에 접속하며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상기 이동통신 네트워크가 아닌 다른 네트워크에도 접속하여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에 동시에 접속하는 서비스접속부; 및
    상기 서비스커버리지로 진입하여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부분데이터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송수신장치.
  4. 삭제
  5. 이동통신네트워크의 매크로기지국에 접속된 송수신장치가, 상기 이동통신네트워크의 마이크로 기지국을 포함하며 각각의 커버리지 유효범위가 일치하는 2 이상의 네트워크로 구성된 동시 전송 서비스커버리지로 진입하는 것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송수신장치가 상기 매크로기지국와의 접속을 종료하고 상기 마이크로 기지국에 접속함으로써 상기 이동통신네트워크에 접속하며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상기 이동통신 네트워크가 아닌 다른 네트워크에도 접속하여 상기 송수신장치가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에 동시에 접속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커버리지로 진입한 상기 송수신장치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부분데이터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송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
  6. 삭제
  7. 이동통신네트워크의 매크로기지국에 접속된 송수신장치가, 상기 이동통신네트워크의 마이크로 기지국을 포함하며 각각의 커버리지 유효범위가 일치하는 2 이상의 네트워크로 구성된 동시 전송 서비스커버리지로 진입하는 단계;
    상기 매크로기지국와의 접속을 종료하고 상기 마이크로 기지국에 접속함으로써 상기 이동통신네트워크에 접속하며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상기 이동통신 네트워크가 아닌 다른 네트워크에도 접속하여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에 동시에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커버리지로 진입하여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부분데이터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송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
  8. 삭제
KR1020120006347A 2012-01-19 2012-01-19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368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6347A KR101368648B1 (ko) 2012-01-19 2012-01-19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PCT/KR2013/000151 WO2013109015A1 (ko) 2012-01-19 2013-01-09 다중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CN201380002076.1A CN103703696B (zh) 2012-01-19 2013-01-09 基于多个网络的同时数据传输方法及其设备
US14/082,500 US10206239B2 (en) 2012-01-19 2013-11-18 Simultaneous data transmission method based on multiple networks, and apparatus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6347A KR101368648B1 (ko) 2012-01-19 2012-01-19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5291A KR20130085291A (ko) 2013-07-29
KR101368648B1 true KR101368648B1 (ko) 2014-03-06

Family

ID=48799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6347A KR101368648B1 (ko) 2012-01-19 2012-01-19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206239B2 (ko)
KR (1) KR101368648B1 (ko)
CN (1) CN103703696B (ko)
WO (1) WO20131090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07516B1 (en) * 2014-10-06 2017-08-30 Motorola Mobility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net protocol (IP) flow mobility
US9532376B2 (en) * 2014-11-11 2016-12-27 Inte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licensed shared access radio
US10108647B1 (en) * 2014-12-02 2018-10-23 EMC IP Holding Company LL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stant access of backup data
US9971797B1 (en) * 2014-12-02 2018-05-15 EMC IP Holding Company LL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lustered and parallel data mining of backup data
WO2016148542A1 (ko) * 2015-03-18 2016-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산 저장 캐시 보유 보조 노드를 이용하여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GB2541392A (en) * 2015-08-14 2017-02-22 Nec Corp Communication system
US20180309864A1 (en) * 2015-11-30 2018-10-25 Koninklijke Kpn N.V. Method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Between a Local Device and a Remote Device
CN105430763A (zh) * 2015-11-30 2016-03-23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wifi数据与移动数据同时使用的数据获取方法及装置
US10440096B2 (en) * 2016-12-28 2019-10-08 Intel IP Corporation Application computation offloading for mobile edge computing
CN107949070A (zh) * 2017-12-30 2018-04-20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无线数据传输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07959561A (zh) * 2017-12-30 2018-04-24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无线数据传输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07949071A (zh) * 2017-12-30 2018-04-20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无线数据传输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08235373A (zh) * 2017-12-30 2018-06-2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无线数据传输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08289315A (zh) * 2017-12-30 2018-07-1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无线数据传输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08235374A (zh) * 2017-12-30 2018-06-2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无线数据传输方法、装置、终端、服务器及存储介质
CN108156100A (zh) * 2017-12-30 2018-06-12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无线数据传输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07959950A (zh) * 2017-12-30 2018-04-24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无线数据传输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US11140641B2 (en) * 2018-10-11 2021-10-05 Qualcomm Incorporated Cellular vehicle-to-everything out of coverage synchroniza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1118A (ko) * 2004-06-21 2005-12-2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씨디엠에이 2000과 휴대인터넷망간 핸드오프 시스템 및이를 이용한 핸드오프 방법
KR20070041096A (ko) * 2005-10-14 2007-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수의 이종 무선망들을 이용한 동시 데이터 서비스 장치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23059A (en) * 1993-07-29 1995-06-06 Motorola Inc. Method for enhancing signal quality in a simulcast communication system
US7224964B2 (en) * 2000-08-23 2007-05-29 Novatel Wireles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ed data transfer over multiple independent wireless networks
JP4494134B2 (ja) * 2004-09-01 2010-06-30 Kddi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中継局装置および基地局装置
US8238918B2 (en) * 2005-04-19 2012-08-07 Sk Telecom Co., Ltd. Hand over method from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100973427B1 (ko) * 2007-06-29 2010-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홈 셀과 매크로 셀간 핸드오버 지원장치 및 방법
KR101421251B1 (ko) * 2007-08-14 2014-07-18 한국과학기술원 중계기를 기반으로 하는 다중안테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협력 중계를 위한 장치 및 방법
US8000720B2 (en) * 2007-12-13 2011-08-1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Reducing bandwidth when transmitting content to a cellular device
KR101466573B1 (ko) * 2008-01-22 2014-12-10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단말 장치 및 통신 단말 장치에 탑재된 복수개의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KR101514647B1 (ko) * 2008-01-24 2015-04-2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종 무선 네트워크간의 데이터 트래픽을 분산하는 장치
US8490156B2 (en) * 2008-05-13 2013-07-16 At&T Mobility Ii Llc Interface for access management of FEMTO cell coverage
CN101686531B (zh) * 2008-09-24 2012-08-29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多模终端选择网络的方法及多模终端
US20100189084A1 (en) * 2009-01-26 2010-07-29 Chen Xuemin Sherman Method and system for optimal control of data delivery paths for a femtocell network
KR101075964B1 (ko) * 2009-02-02 2011-10-21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링크 중계 장치 및 방법
US8498267B2 (en) * 2009-05-01 2013-07-30 At&T Mobility Ii Llc Access control for macrocell to femtocell handover
EP2355608B1 (en) * 2009-10-30 2016-03-09 Institute for Imformation Industry Donor evolved nodeb, relay node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CN101715209A (zh) * 2009-11-11 2010-05-2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多链路传输数据的方法及系统
JP2011166251A (ja) * 2010-02-05 2011-08-25 Nec Corp マルチモード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マルチモード無線通信方法
KR101709505B1 (ko) * 2010-07-02 2017-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복수의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통신 수행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장치
US8750098B2 (en) * 2010-07-28 2014-06-10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Femtocell service through a secondary connection
US9072072B2 (en) * 2011-04-29 2015-06-3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managing simultaneous unicast and multicast/broadcast servic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084242B2 (en) * 2011-08-15 2015-07-1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On transparency of CoMP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1118A (ko) * 2004-06-21 2005-12-2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씨디엠에이 2000과 휴대인터넷망간 핸드오프 시스템 및이를 이용한 핸드오프 방법
KR20070041096A (ko) * 2005-10-14 2007-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수의 이종 무선망들을 이용한 동시 데이터 서비스 장치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073323A1 (en) 2014-03-13
KR20130085291A (ko) 2013-07-29
WO2013109015A1 (ko) 2013-07-25
CN103703696A (zh) 2014-04-02
US10206239B2 (en) 2019-02-12
CN103703696B (zh) 2018-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8648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US11184886B2 (en) Method,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for implementing carrier aggregation
US9843963B2 (en) Load balance method and relevant apparatuses
US9980192B2 (en) Traffic steering between WLAN and cellular networks
EP3322217B1 (en) Wireless hotspot switching method, mobil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EP2879432B1 (en) Method,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for handover between wireless networks
US9668168B2 (en) Method and device for mobile data offload
EP3048748A1 (en) Mobile terminal communication method, device and related equipment
EP2765821A1 (en) Multi-mode terminal service switchover method and device
US9667705B2 (en) Method of data transmission over multiple networks, and apparatus therefor
US10292186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controlling link in cooperative communication
JP6974603B2 (ja) 無線端末staのローミング
US10341823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rect mode push to talk communication protocols
US20190306774A1 (e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ccess Point Handover Method and Terminal
CN105451274A (zh) 一种网络融合的预处理方法、装置及系统
US9084167B2 (en) Wireless device communication
WO2017204790A1 (en) Connection establishment in a 5g radio access network
KR102003195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US20230032799A1 (en) Distributed access points for wireless networks
WO2015035552A1 (zh) 扇区配置方法、业务切换方法、装置及基站
KR101465687B1 (ko) 이기종 망간 접속변경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71882A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407598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371546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623933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