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7911B1 - 절수용 개폐수단이 장착된 샤워기 - Google Patents

절수용 개폐수단이 장착된 샤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7911B1
KR101367911B1 KR1020110050630A KR20110050630A KR101367911B1 KR 101367911 B1 KR101367911 B1 KR 101367911B1 KR 1020110050630 A KR1020110050630 A KR 1020110050630A KR 20110050630 A KR20110050630 A KR 20110050630A KR 101367911 B1 KR101367911 B1 KR 1013679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shower
closing
water
sa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0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2053A (ko
Inventor
탁경석
Original Assignee
탁경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탁경석 filed Critical 탁경석
Priority to KR1020110050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7911B1/ko
Publication of KR20120132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2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7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7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8Roses; Shower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02Manually-actuated controlling means, e.g. push buttons, levers or trig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4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spou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절수용 개폐수단이 장착된 샤워기의 제공에 목적이 있으며, 기술구성으로는 분리 가능한 구조의 샤워기 본체(A)와, 샤워기 본체(A)의 내부에 냉온수가 유통되도록 유로를 형성하면서 상기 샤워기 본체(A)의 내부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물을 유출시키거나 차단시켜 주는 절수용 개폐수단(B)으로 이루어진 절수용 샤워기에 있어서, 상기 샤워기 본체(A)는 헤드부(A-1)와 손잡이부(A-2, A-3)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게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절수용 개폐수단(B)은 통공(1c),(5c)이 형성된 상, 하부케이스(1a,1b) 내부로 개폐변(2a,2b), 개폐추(3) 및 개폐막(4)이 상호 결합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상, 하부케이스(1a,1b)의 외부로 유출구 측에는 보조밸브(5a,5b)가 설치되고, 유입구 측에는 개폐변(2c)이 개폐변(2b)에 결합되면서 상, 하부케이스(1a,1b)는 내외부로 물이 유통될 수 있게 구성되며, 또 상, 하부케이스(1a,1b)의 외면 주연부 및 상, 하면에 돌기(e,h)가 다수개 형성되어 샤워기 본체(A)의 내부면과 상, 하부케이스(1a,1b) 사이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하여 유로가 형성되게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는 샤워기의 사용상태 즉, 사용방향에 따라 샤워기로부터 분사되는 물이 자동으로 개폐됨으로 인하여 불필요하게 소비되는 물을 절약하는 작용효과가 있으며, 또한, 보조밸브의 작동에 의해 샤워기의 사용상태와 관계없이 샤워기로부터 단수가 되지 않도록 하면서 샤워를 할 수 있도록 하여 샤워기를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절수용 개폐수단이 장착된 샤워기{A shower combinated water control valve}
본 발명은 욕실 등에 설치되는 샤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샤워기의 사용 상태에 따라 샤워기로부터 분출되는 물을 개폐하여 소비되는 물의 양을 절약하는 절수용 개폐수단을 장착한 샤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의 욕실 또는 공중목욕탕의 샤워기는 수도전에 연결된 플렉시블 호스(관)를 통해 흐르는 냉온수를 샤워기 헤드로부터 분사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샤워기는 대부분 수도전에 설치된 개폐밸브에 의해 개폐되므로 샤워하는 과정에 물의 사용이 불필요한 경우에도 개폐밸브가 설치된 위치상의 문제로 그 조작이 불편하여 개폐밸브를 개방한 채로 샤워하는 경우가 많아 물의 낭비가 초래되어 왔다.
이러한 물의 낭비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물의 사용량을 제어하여 단수할 수 있는 장치가 많이 제안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샤워기 몸체의 손잡이 부분에 개폐변을 설치하여 사용할 때에는 손잡이를 누르고 있으면 물이 공급되고,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손잡이를 놓으면, 단수되어 물이 공급되지 않도록 한 샤워기가 알려져 있으나, 샤워기를 사용하는 동안 계속해서 개폐변을 누르고 있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으며, 국내 특허공보 등록번호제10-0278822호, 국내 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709731호 및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08517호에 샤워기 헤드가 수평으로 놓여지거나 샤워기 헤드가 호스 연결 부분 보다 낮은 상태가 되면 단수가 이루어지는 샤워기용 절수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나, 샤워기가 수평상태만 되어도 단수가 되는 등 불필요하게 단수가 되어 샤워기 작동에 불편함이 많고, 또 샤워기의 전체적인 구조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본 출원인이 출원하였으나, 취하한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실1999-33632호에 샤워기를 일정각도로 세우면 자동적으로 물이 공급되고 샤워기를 수평 이하로 기울일 경우 물이 차단되게 하는 샤워기용 자동절수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나, 수압이 높은 경우 개폐추가 배출공으로부터 이탈이 잘 되지 아니하여 개폐작동이 원활하지 못하고, 또 밸브와 결합되는 배출공의 위치적 문제로 배출공으로부터 밸브의 이탈이 잘 이루어지지 아니하여 샤워기의 개폐에 따른 작동에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선행기술이 지니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창출한 욕실 등에 설치되는 샤워기의 제공에 목적이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샤워기의 사용상태 즉, 사용방향에 따라 사용자의 의지와 무관하게 샤워기로부터 분출되는 물이 자동적으로 개폐되어 소비되는 물의 양을 절약하는 절수용 개폐수단이 장착된 샤워기의 제공에 목적이 있으며, 특히, 높은 수압에도 개폐추의 원활한 작동에 의해 물의 개폐가 잘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면서 보조밸브를 설치하여 샤워기의 사용방향에 관계없이 샤워기로부터 단수가 되지 않도록 하여 샤워기의 사용을 보다 편리하게 구성한 욕실 등에 설치되는 샤워기의 제공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절수용 개폐수단이 장착된 샤워기의 목적달성 내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수단은 가정의 욕실 또는 공중목욕탕의 수도전에 연결된 플렉시블 호스(관)에 결합되는 분리 가능한 구조의 샤워기 본체(A)와, 샤워기 본체(A)의 내부에 냉온수가 유통되도록 유로를 형성하면서 상기 샤워기 본체(A)의 내부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물을 유출시키거나 차단시켜 주는 절수용 개폐수단(B)으로 이루어진 절수용 샤워기에 있어서, 상기 샤워기 본체(A)는 헤드부(A-1)와 손잡이부(A-2, A-3)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게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절수용 개폐수단(B)는 통공(1c),(5c)이 형성된 상, 하부케이스(1a,1b) 내부로 개폐변(2a,2b), 개폐추(3) 및 개폐막(4)이 상호 결합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상, 하부케이스(1a,1b)의 외부로 유출구 측에는 보조밸브(5a,5b)가 설치되고, 유입구 측에는 개폐변(2c)이 개폐변(2b)에 결합되면서 상, 하부케이스(1a,1b)는 개폐변(2a,2b,2c)의 중심에 형성된 유로(F)를 통하여 상기 통공(1c),(5c)으로 물이 유통될 수 있게 구성되며, 또 상, 하부케이스(1a,1b)의 외면 주연부 및 상, 하면에 돌기(e,h)가 다수개 형성되어 샤워기 본체(A)의 내부면과 상, 하부케이스(1a,1b) 사이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하여 유로(F)가 형성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절수용 개폐수단이 장착된 샤워기는 가정의 욕실 또는 목욕탕의 수도전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수도전의 밸브가 개방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를 사용하는 경우, 절수용 개폐수단(B)의 작동에 의해 샤워기 본체(A)의 헤드부(A-1)가 상측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면, 물이 계속해서 분사되고, 필요한 경우 샤워기 본체(A)의 헤드부(A-1)를 하측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면, 분사되는 물이 차단(단수)되므로 샤워기의 사용상태에 따라 물이 자동으로 개폐에 되며, 또한, 필요한 경우 샤워기에서 물이 분사되는 상태에서 샤워기 본체(A)의 헤드부(A-1)를 일측방향(수동방향)으로 회전시켜 보조밸브(5a,5b)가 개방(작동)된 상태로 사용하면, 샤워기 본체(A)의 헤드부(A-1)의 방향에 관계없이 물이 차단되지 않고 계속해서 분사되도록 하여 샤워기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절수용 개폐수단이 장착된 샤워기는 샤워기의 사용상태 즉, 사용방향에 따라 사용자의 의지와 무관하게 샤워기로부터 분사되는 물이 자동으로 개폐됨으로 인하여 불필요하게 소비되는 물을 절약하는 작용효과가 있으며, 또한, 보조밸브의 작동에 의해 샤워기의 사용상태와 관계없이 샤워기로부터 단수가 되지 않도록 하면서 샤워를 할 수 있도록 하여 샤워기를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하고 있을 뿐 아니라 샤워기의 사용이 간편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특징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절수용 개폐수단이 장착된 샤워기의 외형 및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절수용 개폐수단이 장착된 샤워기의 절수용 개폐수단(B)의 전체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절수용 개폐수단이 장착된 샤워기에서 물이 분사되는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절수용 개폐수단이 장착된 샤워기에서 물이 차단되는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절수용 개폐수단이 장착된 샤워기의 보조밸브가 개방 및 차단되는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절수용 개폐수단이 장착된 샤워기에서 절수용 개폐수단(B)의 상부케이스, 개폐막 및 개폐추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기재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절수용 개폐수단이 장착된 샤워기의 외형 및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상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절수용 개폐수단이 장착된 샤워기는 샤워기 본체(A)와 그 내부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물을 유출시키거나 차단시켜 주는 절수용 개폐수단(B)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샤워기 본체(A)는 헤드부(A-1)와 손잡이부(A-2, A-3)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부호 M은 절수용 개폐수단(B)의 개폐기능을 중지시키기 위하여 샤워 헤드부(A-1)를 회전시키는 방향을 나타내며, 부호 P 및 S는 기밀성을 위해 장착되는 팩킹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절수용 개폐수단이 장착된 샤워기의 절수용 개폐수단(B)의 전체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절수용 개폐수단(B)은 유출구 측의 상부케이스(1a) 및 유입구 측의 하부케이스(1b)가 결합되어 내부로 물이 유입 및 유출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관형상의 케이스로 이루어지며, 통공(1c)은 상부케이스(1a)의 일 측면에 형성되고, 통공(5c)은 상부 케이스(1a)의 단부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 하부 케이스(1a,1b)의 내부에는 개폐변(2a,2b), 개폐추(3) 및 개폐막(4)이 상호 결합되고, 상부케이스(1a)의 외측 단부면에는 보조밸브(5a,5b)가 설치되고, 상기 하부케이스(1b)의 단부면 내측으로 개폐변(2b)이 결합된 개폐변(2a)이 하부케이스(1b)를 관통되게 안치되면서 하부케이스(1b)의 단부의 외측으로부터 개폐변(2c)이 하부 케이스(1b)를 관통하는 개폐변(2a)에 결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개폐변(2a,2b,2c)은 상, 하부케이스(1a,1b)의 내부로 유입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결합되어 있으나, 샤워기의 사용상태(방향)에 따라 하부 케이스(1b)의 밑면에 의해 이동이 차단되게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개폐막(4)은 그 일 측 단부는 개폐추(3)의 상부 일 측면에 결합(부착)되고, 다른 일 측 단부는 개폐막(4)이 통공(1c)을 개폐할 수 있도록 통공(1c)과 일직선상으로 위치하는 상, 하부케이스(1a,1b)로 이루진 케이스 중간 내측 일면에 결합되어 개폐추가(3)가 상, 하부케이스(1a,1b)의 내부 공간에서 자중에 의해 이동함에 따라 개폐막(4)이 통공(1c)을 개폐하는 것에 의해 수압작용으로 개폐변(2a,2b,2c)이 작동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개폐막(4)의 재질은 통공(1c)을 밀폐 또는 개방할 수 있는 정도의 폭을 갖는 합성수지 필름 또는 얇은 고무시트로 이루어지고, 재질에 특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상, 하부케이스(1a,1b)는 그 외면 주연부와 상, 하면(유입구 및 유출구 측)에 돌기(e,h)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어 상, 하부케이스(1a,1b)가 샤워기 본체(A)의 내부에 장착될 때, 샤워기 본체(A)의 내면과 상, 하부케이스(1a,1b) 사이에 일정간격이 유지되도록 하여 유로(F)가 형성되게 구성되어 있다(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유로(F) 참조).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서 발명에 따른 절수용 개폐수단이 장착된 샤워기의 사용상태 및 작동관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절수용 개폐수단이 장착된 샤워기에서 물이 분사되는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워기 본체(A)의 헤드부(A-1)가 상방향으로 향하도록 할 경우, 즉, 샤워를 하기 위하여 샤워기 본체(A)의 헤드부(A-1)가 위로 향하게 샤워기를 세우면, 개폐추(3)가 자중에 의해 하부 케이스(1b)로 낙하(이동)하면서 개폐추(3)의 일면측에 결합(부착)되어 있는 개폐막(4)을 잡아당겨 상부 케이스(1a)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통공(1c)을 개방시킴과 동시에 개폐추(3)의 첨단부분이 개폐변(2a)의 중심에 형성된 유로에 삽입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상부에 설치된 보조밸브(5a,5b)는 닫혀 있어 작동하지 않는 상태임).
상기 도 4의 사용상태에 대한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샤워기 본체(A)로 물이 유입되면, 물의 수압에 의해 개폐변(2a,2b,2c)이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개폐변(2c)의 하부 즉, 호스(H)가 결합된 유입구 측에 틈(유로)이 형성되므로 이를 통하여 샤워기 본체(A)의 내면과 상, 하부케이스(1a,1b) 사이에 형성된 유로(F) 및 상부 케이스 상측부에 형성된 유로(F)로 물이 유통되면서 샤워 헤드부(A-1)로 물이 공급되어 외부로 물이 분사되고, 이와 동시에 유입되는 물은 개폐변(2a,2b, 2c)의 중심에 형성된 유로(F)를 통하여 상, 하부 케이스(1a,1b) 내부로도 물이 유입되면서 상부케이스(1a)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통공(1c)을 통하여 샤워 헤드부(A-1)로 물이 공급되어 외부로 물이 분사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사용상태가 유지되는 동안 샤워기에서는 계속해서 물이 분사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절수용 개폐수단이 장착된 샤워기에서 물이 차단되는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로서, 도 5도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워기 본체(A)의 헤드부(A-1)가 하방향으로 향하도록 할 경우, 즉, 샤워하는 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샤워기 본체(A)의 헤드부(A-1)를 아래쪽으로 향하게 하면, 개폐추(3)가 자중에 의해 상부 케이스(1a)로 낙하(이동)함과 동시에 개폐추(3)의 일면측에 결합(부착)되어 있는 개폐막(4)을 감싸면서 상부 케이스(1a)에 형성된 통공(1c)을 긴밀하게 밀폐시키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이 상태에서도 보조밸브(5a,5b)는 닫혀 있어 작동하지 않는 상태임).
상기 도 5 및 도 6의 사용상태에 대한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샤워기 본체(A)의 헤드부(A-1)를 아래쪽으로 위치되게 하면, 개폐추(3)의 이동(낙하)에 따라 개폐막(4)이 케이스(1a)의 일측면에 형성된 통공(1c)을 긴밀하게 밀폐시킨 상태이기 때문에 상, 하부 케이스(1a,1b)의 내부로 유입되는 물은 밀폐된 통공(1c)을 통해서는 유출될 수가 없으며, 계속해서 유입되는 물에 의해 상, 하부 케이스(1a,1b)의 내부는 수압(압력)이 상승하게 되며, 상승되는 수압으로 인하여 개폐변(2a,2b,2c)이 상측(유입구측)으로 이동하면서 개폐변(2c)이 유입구(호스가 결합된 측)의 유로를 차단(밀폐)하게 되는 작용에 따라 물은 개폐변(2a,2b,2c)의 유로(F)로만 유입되고, 샤워기 본체(A) 내부로 물은 더 이상 유입되지 못하며, 개폐변(2a,2b,2c)의 유로(F)로 유입되는 물도 상, 하부 케이스(1a,1b)의 내부수압이 증가함에 따라 종국적(유입되는 수압과 평행상태)으로는 물의 공급이 차단(단수)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절수용 개폐수단이 장착된 샤워기의 보조밸브가 개방 및 차단되는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종단면도,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보조밸브(5a)는 상, 하 및 4방향으로 유로가 형성되도록 통공이 형성된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보조밸브(5b)는 통공(5c)을 밀폐할 수 있는 정도의 직경을 갖는 볼베어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도 7에 도시된 보조밸브(5a), 보조밸브(5b) 및 통공(5c)에 의한 밸브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도 7의 (a)도는 보조밸브가 차단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샤워기 본체(A)의 헤드부(A-1)가 상 방향으로 향하고 있는 상태 즉, 물이 분사되고 있는 사용상태이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워기 본체(A)의 헤드부(A-1)와 손잡이부(A-2)가 서로 긴밀하게 결합되면서 보조밸브(5a)가 보조밸브(5b)를 압착하여 보조밸브(5b)에 의해 통공(5c)이 밀폐된 상태이므로 보조밸브(5a) 및 보조밸브(5b)가 작동되지 않는다.
상기 도 7의 (a)도와 같은 사용상태에서는 상기 도 4 및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동개폐수단(B)의 작용에 의해 샤워기의 방향에 따라 자동적으로 물이 차단되거나 공급되어진다.
그리고 도 7의 (b)도는 보조밸브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샤워기 본체(A)의 헤드부(A-1)가 상방향으로 향하고 있는 상태에서 본체(A)의 헤드부(A-1)를 일측방향 즉, 수동측(부호 M참조)으로 회전시켜 헤드부(A-1)와 상부 손잡이(A-2)를 일정 거리로 이격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도 7의 (b)도와 같은 사용상태는 통공(5c)을 통하여 유입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보조밸브(5a) 및 보조밸브(5b)가 헤드부(A-1)와 손잡이(A-2)를 이격시킨 거리만큼 이동(상승)하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는 샤워기 본체(A)의 헤드부(A-1)를 하방향으로 향하게 하더라도 즉, 도 6과 같은 사용상태가 되어도 통공(5c)이 개방되어 있어 상, 하부케이스(1a,1b) 내부로 물이 유입되어도 압력이 상승되지 않으므로 개폐변(2c)에 의해 유입구(호스가 결합된 측)의 유로가 차단되지 못하여 유입구 측에서는 물이 계속 유입되며, 또 상, 하부케이스(1a,1b) 내부로 유입되는 물은 통공(5c)을 통하여 유출구 측으로 유출되므로 샤워기의 방향에 관계없이 물은 계속해서 분사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절수용 개폐수단이 장착된 샤워기에서 절수용 개폐수단(B)의 상부케이스, 개폐막 및 개폐추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개폐막(4)은 그 일측 단부가 상부 케이스(1a) 내부의 일측 주연부에 결합(접합)되고, 타의 일측 단부는 개폐추(3)의 일측면에 결합(접합)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샤워기의 방향에 따라 개폐추(3)가 상, 하부 케이스(1a, 1b)의 내부 공간에서 이동할 때 개폐막을 밀거나 잡아당기면서 통공(1c)을 밀폐 또는 개방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절수용 개폐수단이 장착된 샤워기의 사용상태를 보다 간단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샤워기는 가정의 욕실 또는 목욕탕의 수도전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수도전의 밸브가 개방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를 자동상태에서 샤워할 때는, 헤드부의 위치를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하면서 사용하는 상태에 따라 절수용 개폐수단(B)이 작동하여 샤워기에서 물이 분사되거나 차단되어 불필요한 물의 소비가 방지되며, 또 필요한 경우 샤워기의 헤드부를 수동상태로 하기 위하여 헤드부를 일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보조밸브의 작동으로 인하여 샤워기 헤드부의 상, 하 방향에 관계없이 물을 계속해서 분사되게 하면서 사용할 수가 있다.
A: 샤워기 본체 A-1,A-2: 손잡이부
M: 자동,수동표시 P: 팩킹
B: 절수용 개폐수단 1a: 상부케이스
1b: 하부케이스 1c: 통공
2a, 2b, 2c: 개폐변 3: 개폐추
4: 개폐막 5a, 5b: 보조밸브
5c: 통공 S: 팩킹, 부호
e,h: 돌기 F: 유로
H: 호스(관)

Claims (5)

  1. 샤워기 본체(A)와, 샤워기 본체(A)의 내부에 냉,온수가 유통되도록 유로를 형성하면서 상기 샤워기 본체(A)의 내부에 장착되어, 샤워기 본체(A)의 사용방향에 따라 샤워기 본체(A)의 내부로 유입되는 물을 유출시키거나 차단시켜 주는 절수용 개폐수단(B)으로 이루어진 샤워기에 있어서,
    상기 샤워기 본체(A)는 헤드부(A-1), 손잡이부(A-2), (A-3)가 분리 가능하도록 나사 결합되는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절수용 개폐수단(B)은 유출구 측의 상부케이스(1a) 및 유입구 측의 하부케이스(1b)가 결합되어 내부로 물이 유입 및 유출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관형상의 케이스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케이스(1a)는 그 일 측면에 통공(1c)과 그 단부면에 통공(5c)이 각각 형성되고, 그 단부면 외측으로는 보조밸브(5a,5b)가 설치되고,
    상기 하부케이스(1b)는 그 단부면의 내측으로 개폐변(2a)에 결합된 개폐변(2b)이 안치되면서 하부케이스(1b)의 단부의 외측으로부터 개폐변(2c)이 개폐변(2a)에 결합되게 하고,
    상기 상, 하부케이스(1a,1b)로 이루어진 케이스의 내부로는 개폐추(3)가 이동 가능하게 내장되면서, 개폐추(3)의 하부 일 측면에 일정 폭을 갖는 합성수지시트 또는 고무시트 형상의 개폐막(4)의 일측 단부가 결합됨과 동시에, 개폐막(4)의 타측 단부는 개폐막(4)이 통공(1c)을 개폐할 수 있도록 통공(1c)과 일직선상으로 위치하는 상, 하부케이스(1a,1b)로 이루진 케이스 중간 내측 일면에 결합시켜 개폐추(3)가 상, 하부 케이스(1a),(1b)로 이루어진 케이스의 내부에서 이동할 때 개폐막(4)이 통공(1c)을 개폐하는 것에 의해 수압작용으로 개폐변(2a,2b,2c)이 작동하여 상, 하부케이스(1a,1b)로 이루진 케이스의 내부 및 개폐변(2a,2b,2c)의 중심에 형성된 유로(F)를 통하여 상기 통공(1c),(5c)으로 물이 유통 및 차단될 수 있게 구성하고,
    또 상, 하부케이스(1a,1b)로 이루진 케이스의 외 측면의 상, 중 및 하부와 외측 양 단면의 가장자리에 돌기(e,h)를 다수개 형성하여 샤워기 본체(A)의 내측면과 상, 하부케이스(1a,1b)로 이루진 케이스의 외측면 사이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유로(F)가 형성되는 것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용 개폐수단이 장착된 샤워기.
  2. 제1항에 있어서, 보조밸브(5b)는 상기 헤드부(A-1)의 좌우 회전에 따라 보조밸브(5a)의 상하 이동에 의해 통공(5c)을 밀폐 및 개방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용 개폐수단이 장착된 샤워기.
  3. 제2항에 있어서, 보조밸브(5a)는 상, 하면에 통공이 형성되면서, 측면에도 직교되는 4방향으로 통공이 형성되어 유로가 형성된 원통형상이고, 보조밸브(5b)는 볼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용 개폐수단이 장착된 샤워기.
  4. 삭제
  5. 삭제
KR1020110050630A 2011-05-27 2011-05-27 절수용 개폐수단이 장착된 샤워기 KR101367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0630A KR101367911B1 (ko) 2011-05-27 2011-05-27 절수용 개폐수단이 장착된 샤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0630A KR101367911B1 (ko) 2011-05-27 2011-05-27 절수용 개폐수단이 장착된 샤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2053A KR20120132053A (ko) 2012-12-05
KR101367911B1 true KR101367911B1 (ko) 2014-02-27

Family

ID=47515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0630A KR101367911B1 (ko) 2011-05-27 2011-05-27 절수용 개폐수단이 장착된 샤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791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3632U (ko) * 1999-05-08 1999-08-16 탁경식 샤워기용자동절수장치
KR200237088Y1 (ko) 2001-01-11 2001-09-26 주식회사 케이엔텍 절수 장치
KR100463974B1 (ko) 2002-12-27 2005-01-03 오승근 샤워기용 절수장치
KR20050080119A (ko) * 2005-07-14 2005-08-11 주식회사 케이엔텍 샤워기용 절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3632U (ko) * 1999-05-08 1999-08-16 탁경식 샤워기용자동절수장치
KR200237088Y1 (ko) 2001-01-11 2001-09-26 주식회사 케이엔텍 절수 장치
KR100463974B1 (ko) 2002-12-27 2005-01-03 오승근 샤워기용 절수장치
KR20050080119A (ko) * 2005-07-14 2005-08-11 주식회사 케이엔텍 샤워기용 절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2053A (ko) 201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13129A1 (zh) 残留水快排花洒
US9393578B2 (en) Water shower system
RU2694042C1 (ru) Водоотводной терминал с функцией отвода чистой воды
KR101367911B1 (ko) 절수용 개폐수단이 장착된 샤워기
JP2002194782A (ja) 止水機能付シャワーヘッド
KR100964838B1 (ko) 구강 세정기
KR101264541B1 (ko) 자폐식 급수밸브
KR20090120226A (ko) 세면대용 절수밸브
US20210324620A1 (en) Anti-backflow device and bidet
KR101279860B1 (ko) 수전금구
KR200444870Y1 (ko) 비데용 콘트롤밸브의 유로선택 조절장치
KR200354280Y1 (ko) 원터치식 급,단수 기능을 가지는 수도콕
KR20120004030U (ko) 복수 방향의 토수 구조를 갖는 수도꼭지
KR100992711B1 (ko) 샤워기헤드
CN202301971U (zh) 一种节水水龙头
KR20150145030A (ko) 이중 물탱크 구조의 양변기 및 이를 이용한 절수 시스템
CN203604725U (zh) 旋转出水嘴巴及手喷出水双模式水龙头
KR20110030193A (ko) 위생 도기 급수 장치
KR101609108B1 (ko) 누름버튼이 구비되어 자동으로 물내림되는 수도꼭지용 물절약기
CN215673735U (zh) 一种能排残留水的龙头
US10662628B1 (en) Bathtub spout to prevent water damage to adjacent wall structures
KR101786005B1 (ko) 터치 개폐식 수전
KR200349639Y1 (ko) 두 개의 토수구로 구성된 수도꼭지
KR100950815B1 (ko) 절수형 수도밸브
KR200488579Y1 (ko) 잔수 배출방지용 샤워기 헤드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