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7415B1 - 무선 디바이스의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디바이스의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7415B1
KR101367415B1 KR1020070109843A KR20070109843A KR101367415B1 KR 101367415 B1 KR101367415 B1 KR 101367415B1 KR 1020070109843 A KR1020070109843 A KR 1020070109843A KR 20070109843 A KR20070109843 A KR 20070109843A KR 101367415 B1 KR101367415 B1 KR 101367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wireless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9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4000A (ko
Inventor
이충훈
구자남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9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7415B1/ko
Priority to US12/099,005 priority patent/US8165526B2/en
Publication of KR20090044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4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7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7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디바이스의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 디바이스가 물리적으로 접촉되는 접촉면 인터페이스를 통해 무선통신채널을 형성하는데 필요한 기초정보를 서로 교환 및 등록하고 접촉된 상태에서 통신 프로토콜 설정을 완료하는 무선 디바이스의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에 의하면, 접촉 인터페이스를 통해 자동으로 통신기초정보가 교환 및 등록되고 무선통신채널이 형성되기 때문에 무선 디바이스를 매우 편리하고 간편하게 무선 연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무선 디바이스, 휴대 단말, 접촉 인터페이스, 무선 연결, 통신 프로토콜.

Description

무선 디바이스의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An connecting apparatus of wireless device and connec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무선 디바이스의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통신이 가능한 디바이스 또는 휴대단말을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연결시키는 장치 및 방법과 관련된다.
최근 정보통신 기술의 비약적 발전에 따라 크기가 작고 휴대가 용이한 무선 디바이스가 많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러한 무선 디바이스로는 다른 단말과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휴대폰, PDA, PMP와 같은 휴대 단말 장치가 대표적이다. 특히 이러한 무선 디바이스들은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코자 본래 기능 이외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수행하는 경우가 빈번하며 이러한 경우 다른 디바이스와의 연결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대표적인 무선 디바이스인 휴대폰을 예로 들면, 휴대폰의 본래 기능은 타인과 통화를 하기 위한 것이나, MP3 플레이어 기능이 탑재되면서 음악을 듣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러한 경우 휴대폰 자체에 내장된 스피커를 이용하여 음악을 들을 수도 있으나, 필요한 경우 이어폰을 이용하여 음악을 들어야 하는 경우도 발생 가능하며 이어폰을 이용하는 경우 위 휴대폰과 이어폰이 신호적으로 연결되어야 할 것이다.
종래에는 정보 전달의 안정성 측면에서 유선이어폰을 휴대폰에 꽂아서 두 기기를 서로 연결하는 것이 통상적이었다. 그러나 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신호를 전달하는 물리적인 매체가 없어도 안정적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고 각종 기기에 선이 달려 있으면 조작시 매우 불편하기 때문에 휴대폰과 이어폰을 무선으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식이 등장하게 되었다. 블루투스 이어폰, 블루투스 휴대폰이 그 대표적인 예가 되겠다.
디바이스 간의 무선 연결은 각 디바이스를 연결하는 선이 없어서 간편하기는 하지만, 무선 통신의 특성상 별도의 세팅(setting)과정을 거쳐야 한다는 불편함도 수반하게 되었다. 즉 무선 연결을 위해서는 선행적으로 양 디바이스 간에 무선통신채널이 형성되어 있어야 하며, 이러한 무선통신채널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데이터패킷의 크기는 어떻게 할 것인지, 통신 방식은 어떤 것을 사용할 것이지 등등의 통신 프로토콜(protocol)이 설정되어야 한다.
위에서 예로든 블루투스 방식의 휴대폰 및 이어폰의 경우, 휴대폰과 이어폰을 연결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휴대폰을 직접 조작하여 휴대폰과 이어폰을 연결시키게 된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휴대폰을 조작하여 블루투스 모드를 수행시키면 휴대폰은 주변의 블루투스 기기를 검색하여 이를 표시하고 사용자는 표시된 내용을 보고 연결하고자 하는 이어폰을 선택 및 등록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사용자가 각 무선 디바이스의 고유 정보를 인지하고 있어야만 가능한 제한적인 방법이다. 또한 무선 연결을 위한 각종 정보를 일일이 휴대폰을 조작하여 입력하여야 하기 때문에 매우 불편하다. 특히 다른 무선이어폰을 사용하고자 연결 대상을 교체하는 경우 처음부터 위 과정을 반복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도 오래 걸리고 번거롭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 무선 통신이 가능한 디바이스들을 보다 효율적이고 간편하게 연결시키는 무선 디바이스의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접촉되는 접촉면 인터페이스를 통해 무선통신채널을 형성하는데 필요한 기초정보를 서로 교환 및 등록하고 접촉된 상태에서 통신 프로토콜 설정을 완료하는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을 제안한다.
보다 구제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의 연결장치는, 무선 디바이스가 접촉되며, 접촉을 통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접촉부;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접촉되면, 미리 저장되어 있는 통신기초정보를 상기 접촉부를 통해 상호 교환하여 이를 등록하고, 상기 등록된 통신기초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에 대한 프로토콜을 설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설정된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 또는 수신하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통신기초정보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고유식별자, 주소 또는 사용될 통신프로토콜에 관한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의 연결장치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접촉되면 그룹식별코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그룹식별코드를 상기 접촉부를 통해 전송하여 접촉된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그룹식별코드를 부여하는 그룹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그룹설정부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접촉이 해제된 이후에 설정 된 기준시간 이내에 다른 무선 디바이스가 접촉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설정된 기준시간 이내에 다른 무선 디바이스가 접촉되는 경우, 상기 접촉이 해제되기 이전의 무선 디바이스에 부여되었던 그룹식별코드와 동일한 그룹식별코드를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의 연결장치는, 상기 접촉된 무선 디바이스의 정상작동여부를 분석하기 위한 테스팅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생성된 테스팅신호를 상기 접촉부를 통해 접촉된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테스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의 연결방법은, 두 개의 무선 디바이스가 서로 접촉되면, 상기 무선 디바이스 간의 접촉면을 통한 유선통신채널을 형성하는 단계; 미리 저장되어 있는 통신기초정보를 로드하여 상기 유선통신채널을 통해 상호 교환하고 이를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등록된 통신기초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에 대한 프로토콜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두 개의 무선 디바이스가 서로 접촉되면 그룹식별코드를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접촉이 해제된 이후 설정된 기준시간 이내에 다른 무선 디바이스가 접촉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기준시간 이내에 다른 무선 디바이스가 접촉되는 경우, 상기 접촉이 해제되기 이전의 무선 디바이스에 부여되었던 그룹식별코드와 동일한 그룹식별코드를 접촉된 무선 디바이스에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로 연결되는 두 개의 무선 디바이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서로 연결되는 두 개의 무선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휴대 단말, 즉 휴대폰, PDA, PMP, 무선이어폰, 무선헤드셋 등이 될 수 있다. 다만,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디바이스(100)는 휴대폰으로, 제2디바이스(200)는 무선이어폰 또는 무선헤드셋인 것을 도시하였다.
휴대폰의 경우 통화기능 이외에도 소정의 음원파일을 재생하는 기능이 탑재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며, 사용자는 휴대폰에서 재생되는 음악을 듣기 위해 무선이어폰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운전 중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휴대폰과 무선으로 연결된 무선헤드셋을 이용하여 전화통화를 하는 경우도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1디바이스(100)(예컨대, 휴대폰)와 상기 제2디바이스(200)(예컨대, 무선이어폰 또는 무선헤드셋)는 필요시 서로 무선으로 연결되어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디바이스(200)는 상기 제1디바이스(100)에 마운팅(mounting)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마운팅이란 제2디바이스(200)가 제1디바이스(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로 장착 또는 탑재되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제1디바이스(100)에는 제2디바이스(200)가 마운팅될 수 있도록 제2디바이스(200)의 외형과 동일한 오목홈이 형성되고 제2디바이스(200)가 상기 오목홈에 삽입/고정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제2디바이스(200)가 제1디바이스(100)에 마운팅되는 경우 양 디바이스 간에 소정의 접촉면이 형성됨은 당연하다. 이때 각 디바이스(100)(200)는 상기 접촉면을 통해 무선 통신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서로 교환하고 무선통신채널을 형성한다. 이후 제2디바이스(200)가 제1디바이스(100)로부터 떨어지면 앞서 설정된 무선통신채널을 이용하여 무선통신을 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무선이어폰(200)을 휴대폰(100)에 장착하여 소지하고 있다가 사용시 무선이어폰(200)을 휴대폰(100)로부터 분리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무선이어폰(200)이 휴대폰(100)에 장착되어 있을 때(즉, 양 기기 간에 접촉면이 형성되어 있을 때), 이미 무선통신을 위한 각종 정보를 서로 교환하여 프로토콜(protocol)을 설정해 놓은 상태이기 때문에 별도의 셋팅(setting)과정 없이 즉시 무선통신을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의 연결장치에 관한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의 연결장치는 접촉부(101)(201), 제어부(102)(202) 및 무선통신부(103)(203)를 구비하며, 저장부(104), 그룹설정부(105) 및 테스팅부(1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촉부(101)(201)는 접촉된 양 무선 디바이스(100)(200)간에 물리적인 접촉을 통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접촉부(101)(201)는 정보가 전송될 수 있도록 무선 디바이스(100)(20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플러그, 소켓 또는 접촉단자 등이 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00)(200)가 접촉부(101)(201)에 접촉되면, 접촉부(101)(201)는 접촉인식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02)(202)로 인가하고, 제어부(102)(202)는 상기 접촉인식신호에 응답하여 접촉부(101)(201)를 통해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유선통신채널 또는 접촉인터페이스를 설정한다.
또한, 제어부(102)(202)는 접촉인식신호를 수신하여 통신기초정보를 접촉부(102)(202)를 통해 상호 교환하고 이를 등록한다.
상기 통신기초정보는 무선통신채널을 형성하기 위해 필요한 각종 통신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무선 디바이스의 고유식별자(예컨대, ID 또는 시리얼넘버), 주소(예컨대, ip 어드레스) 또는 사용될 통신프로토콜에 관한 정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통신기초정보는 저장부(104)(204)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상태이며, 제어부(102)(202)는 접촉부(101)(201)의 접촉인식신호에 응답하여 저장부(104)(204)에 저장되어 있는 통신기초정보를 로드(load)하게 되는 것이다.
로딩된 통신기초정보는 접촉부(101)(201)를 통해 서로 교환 및 등록된다. 예 컨대, 제2디바이스(200)가 제1디바이스(100)에 마운팅 또는 접촉되면, 제1디바이스(100)의 통신기초정보는 제2디바이스(200)로 전송되고, 제2디바이스(200)의 통신기초정보는 제1디바이스(100)로 전송되어 각 디바이스(100)(200)는 서로 상대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등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통신기초정보는 저장부(104)(204)에 별도로 저장되어 필요시 로드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2)(202)는 등록된 통신기초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에 대한 프로토콜을 설정한다. 상기 무선 통신에 대한 프로토콜 설정은 이후 양 디바이스(100)(200) 간의 접촉이 해제된 이후 무선 통신을 위한 것으로 무선통신채널을 형성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토콜 설정은 상기 통신기초정보가 포함된 소정의 데이터 패킷을 핸드쉐이킹(handshaking)하는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1디바이스(100)와 제2디바이스(200) 사이에서 상기 통신기초정보가 포함된 요청메시지(401), 응답메시지(402) 및 인지메시지(403)가 순차적으로 교환되면서 프로토콜 핸드쉐이킹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무선통신부(103)(203)는 상기 설정된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 또는 수신하여 양 디바이스(100)(200) 간의 무선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상기 무선통신부(103)(203)는 제어부(102)(202)로부터 상기와 같이 설정된 프로토콜 형식에 따른 데이터패킷을 인가받아 이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거나 전송받은 RF 신호를 패킷데이터로 변환하는 RF 모듈이 사용될 수 있다.
테스팅부(106)는 접촉된 무선 디바이스(200)의 정상작동여부를 분석하기 위한 테스팅신호를 생성하여 생성된 테스팅신호를 접촉부(101)(201)를 통해 상기 무선 디바이스(200)로 전송한다. 예컨대, 무선이어폰(제2디바이스, 200)이 휴대폰(제1디바이스, 100)에 접촉되는 경우 소정의 부저음신호를 발생하여 무선이어폰(200)으로 전송하게 되며, 사용자는 무선이어폰(200)에서 발생되는 부저음의 유무에 따라 각 블록의 기능 유지 여부를 점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별도의 조작 없이도 무선 디바이스를 접촉하는 것에 의해 무선통신채널이 자동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무선 디바이스를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무선 디바이스가 일대일로 연결되는 방식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하나의 무선 디바이스에 여러 개의 무선 디바이스가 그룹으로 지정되어 연결되는 방식도 가능하다. 예컨대, 휴대폰에 3개의 무선이어폰을 연결하여 그룹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며, 이와 같은 그룹지정은 상기 그룹설정부(105)가 담당한다.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그룹설정부(105)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서, 제1디바이스(100)에 3개의 제2디바이스(301)(302)(303)가 연결된다고 가정하자. 먼저, A 디바이스(301)가 접촉되면 그룹설정부(105)는 그룹식별코드를 생성한다. 여기서 그룹식별코드는 접촉부(101)의 접촉인식신호를 수신하여 임의적으로 생성하거나 사용자의 그룹지정명령이 있는 경우 사용자 지정에 의해 생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A 디바이스(301)가 접촉되어 임의로 ‘a’라 는 그룹식별코드가 생성되었다.
또한, 그룹설정부(105)는 생성된 그룹식별코드를 접촉부(101)를 통해 A 디바이스(301)로 전송하여 그룹식별코드를 부여한다. 전술하였듯이, A 디바이스(301)가 제1디바이스(100)에 접촉되면 접촉부(101)에 의한 통신 인터페이스가 형성되고 이를 통해 정보교환이 가능하므로 생성된 그룹식별코드를 전송함과 동시에 이를 등록(예컨대, 저장부(104)에 저장)하여 A 디바이스(301)에 그룹식별코드를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A 디바이스(301)의 접촉이 해제되면, 그룹설정부(105)는 다른 무선 디바이스(302)(303)가 접촉될 때까지의 시간을 카운팅(counting)한다. 즉, A 디바이스(301)의 접촉이 해제된 이후 B 디바이스(302)가 접촉된 경우, 그룹설정부(105)는 그 시간 간격이 설정된 기준 시간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설정된 기준 시간 이내에 B 디바이스(302)가 접촉되었다면, A 디바이스(301)에 부여되었던 그룹식별코드와 동일한 그룹식별코드, 즉 'a'라는 그룹식별코드를 부여하게 된다.
C 디바이스(303)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그룹설정부(105)는 B 디바이스(302)의 접촉이 해제된 이후 C 디바이스(303)가 설정된 기준 시간 이내에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C 디바이스(303)는 기준 시간 이내에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아서 그룹식별코드가 부여되지 않았다. 그러나 이와 달리 새로운 그룹식별코드(예컨대, ‘b')를 생성하여 부여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그룹식별코드가 부여되는 경우 무선통신부(103)는 동일한 그룹식별코드가 부여된 무선 디바이스들(301)(302)에 대해 동일한 데이터를 다중 전송하여 그룹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다수의 무선 디바이스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접촉하기만 하면 동일한 그룹식별코드가 부여되고 동일한 그룹으로 지정되기 때문에 다수의 무선 디바이스를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의 연결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두 개의 무선 디바이스가 접촉되면(S101), 접촉면을 통한 통신인터페이스, 즉 유선통신채널을 형성한다(S102). 이어서 무선 디바이스의 고유식별자(예컨대, ID 또는 시리얼넘버), 주소(예컨대, ip 어드레스) 또는 사용될 통신프로토콜에 관한 정보와 같은 통신기초정보를 로드한다(S103). 이때 상기 통신기초정보는 미리 저장되어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다음으로, 로딩된 통신기초정보를 상기 단계 S102에서 형성된 유선통신채널을 통해 교환 및 등록하고(S104), 상기 통신기초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을 설정한다(S105). 이때 무선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의 설정은 상기 통신기초정보의 교환과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후 접촉이 해제되면 상기 설정된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를 무선으로 주고받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그룹을 지정하여 무선 디바이스를 연결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최초 초기화(S401) 상태에서 무선 디바이스가 접촉되면 주등록(S402)을 실행한다. 여기서 주등록(S402)이란 두 개의 무선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의 무선 디바이스가 다른 무선 디바이스에 그룹식별코드를 부여하는 것을 말한다. 주등록(S402) 이후 무선 디바이스의 접촉이 해제되고 다른 디바이스가 접촉하는 경우 이러한 접촉이 설정된 기준시간 이내의 접촉인 경우에만 추가등록(S403)이 수행되고 상기 기준시간을 초과하여 접촉된 경우에는 다시 초기화(S401) 상태로 복귀된다. 여기서 추가등록(S403)이란 상기 주등록(S402)단계에서 부여되었던 그룹식별코드와 동일한 그룹식별코드를 부여하여 다수의 무선 디바이스를 그룹으로 지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추가등록(S403)이 수행된 이후 또 다른 무선 디바이스가 설정된 기준시간 내에 접촉되면 다시 추가등록(S403)이 반복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의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에 의하면, 무선 디바이스에 구비된 접촉부를 통해 각종 정보가 교환 및 등록되고 교환된 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설정하기 때문에 별도의 조작없이 무선 디바이스를 접촉하는 것만으로 양 디바이스가 서로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다수의 무선 디바이스를 연결하는 경우에도 일정한 시간 간격 이내에서 순차적으로 접촉과 접촉해제를 반복하는 것에 의해 동일한 그룹으로 지정되고 그룹통신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무선 디바이스의 연결 절차가 매우 간소해진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의 연결장치에 대한 시스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토콜 핸드쉐이킹 수행시 교환되는 데이터 패킷을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의 연결장치에 대한 시스템 구성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의 연결방법에 대한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 제 1 디바이스 200 : 제 2 디바이스
101 : 접촉부 102 : 제어부
103 : 무선통신부 104 : 저장부
105 : 그룹설정부 106 : 테스팅부

Claims (14)

  1. 무선 디바이스가 접촉되며, 물리적인 접촉을 통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접촉부;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접촉되면, 미리 저장되어 있는 통신기초정보를 상기 접촉부를 통해 유선통신 방식으로 상호 교환하여 이를 등록하고, 상기 등록된 통신기초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에 대한 프로토콜을 설정하는 제어부;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접촉부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설정된 프로토콜에 따라 무선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 또는 수신하는 무선통신부; 및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접촉되면 그룹식별코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그룹식별코드를 상기 접촉부를 통해 전송하여 접촉된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그룹식별코드를 부여하는 그룹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디바이스의 연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기초정보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고유식별자, 주소 또는 사용될 통신프로토콜에 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디바이스의 연결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식별코드는 임의로 생성되거나 사용자 지정에 의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디바이스의 연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설정부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접촉이 해제된 이후에 설정된 기준시간 이내에 다른 무선 디바이스가 접촉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설정된 기준시간 이내에 다른 무선 디바이스가 접촉되는 경우, 상기 접촉이 해제되기 이전의 무선 디바이스에 부여되었던 그룹식별코드와 동일한 그룹식별코드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디바이스의 연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부는 동일한 그룹식별코드가 부여된 무선 디바이스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데이터를 다중 전송하여 그룹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디바이스의 연결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된 무선 디바이스의 정상작동여부를 분석하기 위한 테스팅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생성된 테스팅신호를 상기 접촉부를 통해 접촉된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테스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디바이스의 연결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 간에 정보가 전송될 수 있도록 하는 플러그, 소켓 또는 접촉단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디바이스의 연결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서로 접촉되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서로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디바이스의 연결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휴대폰, PDA, PMP, 무선이어폰 또는 무선헤드셋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디바이스의 연결장치.
  11. 두 개의 무선 디바이스가 서로 접촉되면, 상기 무선 디바이스 간의 물리적인 접촉면을 통한 유선통신채널을 형성하는 단계;
    미리 저장되어 있는 통신기초정보를 로드하여 상기 유선통신채널을 통해 상호 교환하고 이를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등록된 통신기초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에 대한 프로토콜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두 개의 무선 디바이스가 서로 접촉되면 그룹식별코드를 생성하여 이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디바이스의 연결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기초정보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고유식별자, 주소 또는 사용될 통신프로토콜에 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디바이스의 연결방법.
  13. 삭제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접촉이 해제된 이후 설정된 기준시간 이내에 다른 무선 디바이스가 접촉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기준시간 이내에 다른 무선 디바이스가 접촉되는 경우, 상기 접촉이 해제되기 이전의 무선 디바이스에 부여되었던 그룹식별코드와 동일한 그룹식별코드를 접촉된 무선 디바이스에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디바이스의 연결방법.
KR1020070109843A 2007-10-30 2007-10-30 무선 디바이스의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KR101367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9843A KR101367415B1 (ko) 2007-10-30 2007-10-30 무선 디바이스의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US12/099,005 US8165526B2 (en) 2007-10-30 2008-04-07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wireless devi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9843A KR101367415B1 (ko) 2007-10-30 2007-10-30 무선 디바이스의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4000A KR20090044000A (ko) 2009-05-07
KR101367415B1 true KR101367415B1 (ko) 2014-02-26

Family

ID=40583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9843A KR101367415B1 (ko) 2007-10-30 2007-10-30 무선 디바이스의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165526B2 (ko)
KR (1) KR1013674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74929A1 (ko) * 2021-10-27 2023-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이어버드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36602B2 (en) * 2009-03-30 2011-10-1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ding function specific access to a mobile terminal via an external device
US8515412B2 (en) 2009-11-25 2013-08-20 At&T Mobility Ii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user settings for over-the-air upgrades
JP2012109944A (ja) * 2010-10-29 2012-06-07 Buffalo Inc 無線lanシステム、通信装置、設定情報の共有方法
US9083537B2 (en) 2011-10-11 2015-07-14 General Electric Company Device and method for energy management in a househol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45316A1 (en) * 2001-08-31 2003-03-06 Soemin Tjong Point-to-point data communication implemented with multipoint network data communication components
US20050180545A1 (en) * 2000-07-19 2005-08-18 Paradyne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ubscriber loop testing
WO2006068115A1 (ja) * 2004-12-20 2006-06-2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無線通信装置、通信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625A (ja) 1997-06-16 1999-01-12 Sony Corp データ通信装置及びデータ通信方法
JP2002082774A (ja) 2000-09-08 2002-03-22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格納媒体
JP4729808B2 (ja) * 2001-05-15 2011-07-20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ピュータ本体とワイヤレス周辺機器間の接続方式、並びにコンピュータ
JP4005348B2 (ja) 2001-12-12 2007-11-07 富士通テン株式会社 無線端末
JP4585324B2 (ja) 2005-01-26 2010-11-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気機器の制御方法、及び電気機器の制御システム
KR20070009855A (ko) 2005-07-14 2007-01-19 (주)플러스빅 이기종의 스마트홈 프로토콜 디바이스 통합 네트워크제어기
KR20070066025A (ko) 2005-12-21 2007-06-27 주식회사 팬택 블루투스 디바이스간의 연결 장치 및 방법
US7734299B2 (en) * 2007-03-20 2010-06-08 Microsoft Corporation Facilitating use of a device based on short-range wireless technolog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80545A1 (en) * 2000-07-19 2005-08-18 Paradyne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ubscriber loop testing
US20030045316A1 (en) * 2001-08-31 2003-03-06 Soemin Tjong Point-to-point data communication implemented with multipoint network data communication components
WO2006068115A1 (ja) * 2004-12-20 2006-06-2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無線通信装置、通信制御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74929A1 (ko) * 2021-10-27 2023-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이어버드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111380A1 (en) 2009-04-30
KR20090044000A (ko) 2009-05-07
US8165526B2 (en) 2012-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826342B1 (en) Pairing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headset
KR10135785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연결 장치 및 방법
KR100735382B1 (ko) 블루투스 기기의 보안 통신 방법 및 장치
US7596353B2 (en) Enhanced bluetooth communication system
US2009006177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port communication distribution
KR101367415B1 (ko) 무선 디바이스의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TW200524362A (en) Method and system of completing bluetooth for the pairing procedure by wired interface
JP6210607B2 (ja) オーディオポートを用いた遠隔システム構成
CN110650408B (zh) 一种耳机及防丢方法、系统、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881846B (zh) 无线通信系统及装置、无线通信设置方法
US20210050960A1 (en) Electronic device for retransmitting data in bluetooth network environment and method thereof
CN102077507A (zh) 通过设备的物理坞接来自动传递信息
WO2012083080A2 (en) Wireless network interface with infrastructure and direct modes
AU2008268591A1 (en) Communication of information between a host device and an accessory via an intermediate device
KR20200045367A (ko) 블루투스 통신을 사용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CN113366439A (zh) 一种连接蓝牙设备方法及设备
KR102514692B1 (ko) 다중 무선 통신 프로토콜들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KR20200110086A (ko) 무선 통신 링크의 설정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N104364777B (zh) 协议翻译适配器
CN102723971A (zh) 一种蓝牙设备及其蓝牙配对方法
KR20210051932A (ko) 블루투스 연결 정보 공유를 통한 소스 기기 전환 방법 및 장치
CN101484884A (zh) 用于多端口通信分配的系统和方法
WO2020101147A1 (ko) Ieee 802.11 표준에 정의된 tdls 세션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연결되는 전자 장치
US20110014870A1 (en) Method, system and adapter for connecting a plurality of devices
KR20190069247A (ko) 외부 전자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