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7857B1 -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연결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연결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7857B1
KR101357857B1 KR1020060129521A KR20060129521A KR101357857B1 KR 101357857 B1 KR101357857 B1 KR 101357857B1 KR 1020060129521 A KR1020060129521 A KR 1020060129521A KR 20060129521 A KR20060129521 A KR 20060129521A KR 101357857 B1 KR101357857 B1 KR 101357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uetooth
connection
devices
class
connec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9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6525A (ko
Inventor
류영석
박상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9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7857B1/ko
Priority to US11/958,812 priority patent/US8055197B2/en
Publication of KR20080056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6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7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7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7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for locating or positioning the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04M1/6066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including a wireless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연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블루투스 연결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블루투스 연결 이벤트 발생시 연결 가능한 블루투스 장치들과의 블루투스 연결품질 또는 수신전계강도를 측정하여 가장 근접한 블루투스 장치를 선택하고 가장 근접한 블루투스 장치와 연결하기 때문에 블루투스 장치의 표기명을 확인하지 않아도 연결이 가능하여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블루투스(BLUETOOTH), 블루투스 검색, HCI(Host Cotroller Interface)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연결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BLUETOOTH CONNECTION IN PORTABLE TERMINAL}
도 1은 블루투스 모듈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로 연결 가능한 블루투스 장치의 검색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블루투스 장치에서 블루투스 연결을 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장 근접한 블루투스 장치와 블루투스 연결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가장 근접한 블루투스 장치를 검색하여 블루투스 연결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연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블루투스 연결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블루투스 연결 이벤트 발생시 가 장 근접한 블루투스 장치를 선택하여 연결하는 블루투스 연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블루투스 통신기술의 발달로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한 블루투스 장치들이 많아지고 있다. 통상적으로 블루투스라는 것은 2.4GHz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1Mbps의 속도로 각종 단말기 및 블루투스 장치들과 무선 접속을 하도록 한 규약이다. 블루투스 모듈을 가지는 블루투스 장치는 주변의 다른 블루투스 장치와 무선 통신을 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주변의 블루투스 장치를 검색하고, 검색한 블루투스 장치를 선택하고, 인증이 필요한 경우는 페어링(pairing)을 하여 두 블루투스 장치간의 통신 허가 상태를 만들어서 통신을 시작한다. 아래에서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위한 블루투스 장치 검색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블루투스 모듈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로 연결 가능한 블루투스 장치의 검색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블루투스 모듈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주변의 연결 가능한 블루투스 장치(120, 122, 124, 126)를 검색하여 검색결과 리스트(102)를 출력하고 검색결과 리스트(102)에서 연결하고자 하는 불루트스 장치를 선택한다. 도 1과 같이 주변의 연결 가능한 블루투스 장치(120, 122, 124, 126)가 많으면 사용자는 연결하고자 하는 블루투스 장치를 선택하는데 어려움을 느끼게 된다. 예를 들어 연결 가능한 블루투스 장치 검색결과 같은 이름을 가지는 연결 가능한 블루투스 장치(120, 122)가 다수 검색될 때가 있으며, 연결 가능한 주변 블 루투스 장치 검색으로 검색한 블루투스 장치 이름은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제품을 구별하기 어려운 제품번호 등으로 되어있어 블루투스 장치를 선택하는데 어려움을 가중시킨다.
그러면 종래의 블루투스를 연결하는 과정을 아래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블루투스 장치에서 블루투스 연결을 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르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종래의 블루투스 장치는 200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블루투스 연결 요청을 수신하면, 202단계로 진행하여 연결 요청 신호인 HCI(Host Cotroller Interface) Inquire 신호를 송출하고 그에 따른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연결 가능한 블루투스 장치들을 검색하고, 204단계로 진행하여 검색한 연결 가능한 블루투스 장치들을 리스트(102)로 출력하고, 206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로부터 상기 리스트(102)에서 연결할 블루투스 장치를 선택받고, 208단계로 진행하여 선택받은 블루투스 장치와 페어링을 통해 블루투스 연결을 하고, 210단계로 진행하여 블루투스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206단계에서 사용자는 연결 가능한 블루투스 장치들을 나타내는 리스트(102)에서 연결할 장치를 선택함에 있어서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어려움이 있다. 일반적으로 블루투스가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주로 연결하는 블루투스 장치에는 블루투스 헤드셋, 블루투스 헤드폰, 블루투스 핸즈프리 킷 또는, 다른 블루투스 휴대용 단말기가 대부분이다. 이 경우,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연결할 블루투스 장치들을 서로 근접하게 위치시킨 상태로 블루투스 연결을 시 도함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연결 가능한 모든 블루투스 장치를 검색하여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것이 아닌. 가장 근접한 블루투스 장치를 확인하여 가장 근접한 블루투스 장치로 연결하는 장치 및 방법이 요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연결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블루투스 연결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블루투스 연결 이벤트 발생시 가장 근접한 블루투스 장치를 선택하여 연결하는 블루투스 연결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블루투스 연결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블루투스 연결 이벤트 발생시 가장 근접한 클래스 2의 블루투스 장치를 선택하여 연결하는 블루투스 연결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블루투스 연결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블루투스 연결 이벤트 발생시 연결 가능한 블루투스 장치들과의 블루투스 연결품질 또는 수신전계강도를 측정하여 가장 근접한 블루투스 장치를 선택하고 가장 근접한 블루투스 장치와 연결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 기의 블루투스 연결 장치는, 블루투스 디바이스들을 검색하기 위한 연결요청 신호를 송출하고,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블루투스 모듈과, 근전 블루투스 연결 요청시에 검색하는 블루투스 장치들이 속한 클래스를 확인하여 클래스 2에 속하지 않은 블루투스 장치들은 삭제하는 클래스 선택부와, 상기 근전 블루투스 연결 요청시 검색한 블루투스 장치들 중에서 가장 근접한 위치의 블루투스 장치를 선택하는 근접장치 선택부와, 상기 근접 블루투스 연결 요청을 감지하면, 상기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상기 연결요청 신호를 송출하고 수신하는 상기 응답신호를 이용하여 연결 가능한 블루투스 장치들을 검색하고, 상기 클래스 선택부를 통해 상기 클래스 2의 연결 가능한 블루투스 장치들을 확인하고, 상기 근접장치 선택부를 통해 상기 클래스 2의 연결 가능한 블루투스 장치들 중에서 가장 근접한 블루투스 장치를 선택받고, 상기 선택받은 블루투스 장치와 블루투스 연결을 하도록 제어하는 블루투스 연결 처리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연결 장치는, 블루투스 디바이스들을 검색하기 위한 연결요청 신호를 송출하고,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블루투스 모듈과, 근전 블루투스 연결 요청시 검색한 블루투스 장치들 중에서 가장 근접한 위치의 블루투스 장치를 선택하는 근접장치 선택부와, 상기 근접 블루투스 연결 요청을 감지하면, 상기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상기 연결요청 신호를 송출하고 수신하는 상기 응답신호를 이용하여 연결 가능한 블루투스 장치들을 검색하고, 상기 연결 가능한 블루투스 장치들 중에서 가장 근접한 블루투스 장치를 선택받고, 상기 선택받은 블루투스 장치와 블루투스 연 결을 하도록 제어하는 블루투스 연결 처리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연결 방법은, 근접한 블루투스 연결 요청의 발생을 감지하면, 연결요청 신호를 송출하고 그에 따른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연결 가능한 블루투스 장치들을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연결 가능한 블루투스 장치들 중에서 클래스 2에 속한 블루투스 장치만 남기고 다른 클래스에 속한 블루투스 장치들을 삭제하는 과정과, 상기 클래스 2의 연결 가능한 블루투스 장치들 중에서 가장 근접한 블루투스 장치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한 블루투스 장치와 블루투스 연결을 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연결 방법은, 근접한 블루투스 연결 요청의 발생을 감지하면, 연결요청 신호를 송출하고 그에 따른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연결 가능한 블루투스 장치들을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연결 가능한 블루투스 장치들 중에서 가장 근접한 블루투스 장치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한 블루투스 장치와 블루투스 연결을 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블루투스 연결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블루투스 연결 이벤트 발생시 연결 가능한 블루투스 장치들과의 블루투스 연결품질 또는 수신전계강도를 측정하여 가장 근접한 블루투스 장치를 선택하고 가장 근접한 블루투스 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다음에서 도 3을 참조하여 그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장 근접한 블루투스 장치와 블루투스 연결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는 제어부(300), 블루투스 연결 처리부(302), 클래스 선택부(304), 근접장치 선택부(306) 및, 블루투스 모듈(308)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블루투스 모듈(308)은 상기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주변의 블루투스 디바이스들을 검색하기 위한 연결요청 신호인 HCI(Host Cotroller Interface) Inquire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검색된 블루투스 디바이스들로부터 주소 정보 및 서비스 정보들을 수신한다. 그리고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블루투스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상기 블루투스 연결 처리부(302)는 근접 블루투스 연결 요청을 감지하면, 상기 블루투스 모듈(308)을 통해 HCI Inquire신호를 송출하고 수신하는 응답신호를 이용하여 연결 가능한 블루투스 장치들을 검색하고, 상기 클래스 선택부(304)를 통해 선택받은 클래스의 연결 가능한 블루투스 장치들 중에서 가장 근접한 블루투스 장치를 상기 근접장치 선택부(306)를 통해 선택받고 선택받은 블루투스 장치로 페어링을 하여 연결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클래스 선택부(304)는 상기 블루투스 연결 처리부(302)에서 검색한 상기 연결 가능한 블루투스 장치들 중에서 클래스 2 장치만을 남기고 다른 클래스의 장치들은 삭제한다.
이렇게 상기 클래스 선택부(304)에서 클래스 2만을 남기고 다른 클래스의 블루투스 장치의 정보를 삭제하는 이유는 휴대용 단말기가 주로 연결하는 블루투스 장치들은 대부분 클래스 2에 속하며 클래스 1의 경우 클래스 2보다 출력세기가 더 세기 때문에 상기 근접장치 선택부(306)에서 연결하고자 하는 클래스 2의 블루투스장치보다 더 근접하다고 오판할 수 있기 때문이다.
블루투스 규격에서 클래스 종류를 살펴보면, 블루투스 장치를 3개의 클래스로 구분하고 있다. 클래스별 사용장치는 아래 <표 1>과 같다.
클래스 종류 사용장치
class 1 Point-of-Sales systems
Bar code and RFID scanners
Medical measurement and data transfer systems
Automotive inspection and measurement systems
Telemetry and machine-to-machine interfaces
PDAs and other portable terminals
Industrial PCs and Laptops
USB dongles
class 2 Cellular phones
Wireless headphones, headsets
Automobile Hands-free kit
class 3 현재 사용하는 장치가 거의 없음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클래스 2에는 주로 연결하는 장치들은 블루투스 헤드셋, 블루투스 헤드폰, 블루투스 핸즈프리 킷 또는, 다른 블루투스 이동통신 단말기들이 있다. 휴대용 단말기에서 블루투스 연결하기 전에 장치들을 서로 근접하게 위치시키고 연결을 시도하는 대부분의 블루투스 장치들은 클래스 2에 속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클래스 2에 장치에 대해 근접 블루투스 연결을 시도한다.
상기 근접장치 선택부(306)는 상기 클래스 선택부(304)를 통해 확인한 클래스 2의 연결 가능한 블루투스 장치들이 송신한 HCI Inquire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이용하여 가장 근접한 장치를 선택하고, 선택한 블루투스 장치의 정보를 상기 블루투스 연결 처리부(302)로 제공한다.
상기 근접장치 선택부(306)에서 가장 근접한 장치를 판단하는 기준은 클래스 2의 연결 가능한 블루투스 장치들 중에서 연결 품질(Link Quality)이 가장 높거나 또는 수신전계강도(RSSI :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가 가장 높은 블루투스 장치를 가장 근접한 단말기로 판단한다.
이때, 연결 품질(Link Quality)이나 수신전계강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블루투스 규격 "Bluetooth Specification Version 2.0 + EDR"에서 정의하는 HCI(Host Controller Interface) 명령(command) 중에서 "HCI_Read_Link_Quality"를 통해 연결 품질을 측정하고, "HCI_Read_RSSI"을 통해서 수신전계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블루투스 연결 처리부(302), 상기 클래스 선택부(304) 및, 상기 근접장치 선택부(306)를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블루투스 연결 처리부(302), 상기 클래스 선택부(304) 및, 상기 근접장치 선택부(306)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를 별도로 구성하여 도시한 것은 각 기능들을 구별하여 설명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실제로 제품을 구현하는 경우에 이들 모두를 제어부(300)에서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들 중 일부만을 상기 제어부(300)에서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근접한 블루투스 장치와 블루투스 연결을 하는 방법을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가장 근접한 블루투스 장치를 검색하여 블루투스 연결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는 400단계에서 근접한 블루투스 연결 요청의 발생을 감지하면, 402단계로 진행하여 연결요청 신호인 HCI(Host Cotroller Interface) Inquire 신호를 송출하고 그에 따른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연결 가능한 블루투스 장치들을 검색하고, 404단계로 진행하여 검색한 연결 가능한 블루투스 장치들 중에서 클래스 2에 속한 블루투스 장치만 남기고 다른 클래스에 속한 블루투스 장치들을 삭제하고, 406단계로 진행하여 클래스 2에 속한 연결 가능한 블루투스 장치들의 연결품질 혹은 수신전계강도를 측정한다. 이때, 연결품질이나 수신전계강도는 블루투스 규격에서 정의하는 HCI 명령을 통해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406단계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408단계로 진행하여 클래스 2에 속한 연결 가능한 블루투스 장치들 중에서 측정한 연결품질이 가장 높거나 또는 수신전계강도가 가장 높은 블루투스 장치를 가장 근접한 블루투스 장치로 판단하여 선택하고, 410단계로 진행하여 선택한 블루투스 장치와 페어링을 통해 블루투스 연결을 하고, 412단계로 진행하여 블루투스 서비스를 제공한다.
분명히, 청구항들의 범위내에 있으면서 이러한 실시예들을 변형할 수 있는 많은 방식들이 있다. 다시 말하면, 이하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는 많은 다른 방식들이 있을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블루투스 연결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블루투스 연결 이벤트 발생시 연결 가능한 블루투스 장치들과의 블루투스 연결품질 또는 수신전계강도를 측정하여 가장 근접한 블루투스 장치를 선택하고 가장 근접한 블루투스 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연결할 블루투스 장치를 선택할 필요없이 근접한 블루투스 장치로 연결하기 때문에 블루투스 장치의 표기명을 확인하지 않아도 연결이 가능하여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8)

  1.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연결 장치에 있어서,
    블루투스 장치들을 검색하기 위한 연결요청 신호를 송출하고,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블루투스 모듈과,
    근접 블루투스 연결 요청시에 검색하는 블루투스 장치들이 속한 클래스를 확인하여 클래스 2에 속하지 않은 블루투스 장치들은 삭제하는 클래스 선택부와,
    상기 근접 블루투스 연결 요청시 검색한 블루투스 장치들 중에서 가장 근접하게 위치하고 블루투스 연결을 위한 페어링용 블루투스 장치를 선택하는 근접장치 선택부 및
    상기 근접 블루투스 연결 요청을 감지하면, 상기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상기 연결요청 신호를 송출하고 수신하는 상기 응답신호를 이용하여 연결 가능한 블루투스 장치들을 검색하고, 상기 클래스 선택부를 통해 상기 클래스 2의 연결 가능한 블루투스 장치들을 확인하고, 상기 근접장치 선택부를 통해 상기 클래스 2의 연결 가능한 블루투스 장치들 중에서 상기 페어링용 블루투스 장치를 선택받고, 선택받은 상기 페어링용 블루투스 장치와 블루투스 연결을 위한 페어링을 제어하는 블루투스 연결 처리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연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래스 선택부에서 선택하는 상기 클래스 2는,
    블루투스 헤드셋, 블루투스 헤드폰, 블루투스 핸즈프리 킷 및, 다른 블루투스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연결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장치 선택부는,
    상기 클래스 2의 연결 가능한 블루투스 장치들 중에서 상기 연결요청 신호에 따른 상기 응답신호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는 연결품질(Link Quality)이 가장 높은 블루투스 장치를 상기 페어링용 블루투스 장치로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연결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장치 선택부는,
    상기 클래스 2의 연결 가능한 블루투스 장치들의 상기 연결품질을 블루투스 규격에서 정의하는 "HCI_Read_Link_Quality"를 통해 측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연결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장치 선택부는,
    상기 클래스 2의 연결 가능한 블루투스 장치들 중에서 상기 연결요청 신호에 따른 상기 응답신호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는 수신전계강도(RSSI :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가 가장 높은 블루투스 장치를 상기 페어링용 블루투스 장치로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연결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장치 선택부는,
    상기 클래스 2의 연결 가능한 블루투스 장치들의 상기 수신전계강도를 블루투스 규격에서 정의하는 "HCI_Read_RSSI"를 통해 측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연결 장치.
  7.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연결 장치에 있어서,
    블루투스 장치들을 검색하기 위한 연결요청 신호를 송출하고,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블루투스 모듈과,
    근접 블루투스 연결 요청시 검색한 블루투스 장치들 중에서 가장 근접하게 위치하고 블루투스 연결을 위한 페어링용 블루투스 장치를 선택하는 근접장치 선택부 및
    상기 근접 블루투스 연결 요청을 감지하면, 상기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상기 연결요청 신호를 송출하고 수신하는 상기 응답신호를 이용하여 연결 가능한 블루투스 장치들을 검색하고, 상기 연결 가능한 블루투스 장치들 중에서 상기 페어링용 블루투스 장치를 선택받고, 선택받은 상기 페어링용 블루투스 장치와 블루투스 연결을 위한 페어링을 제어하는 블루투스 연결 처리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연결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장치 선택부는,
    상기 연결 가능한 블루투스 장치들 중에서 상기 연결요청 신호에 따른 상기 응답신호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는 연결품질(Link Quality)이 가장 높은 블루투스 장치를 상기 페어링용 블루투스 장치로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연결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장치 선택부는,
    상기 연결 가능한 블루투스 장치들 중에서 상기 연결요청 신호에 따른 상기 응답신호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는 수신전계강도(RSSI :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가 가장 높은 블루투스 장치를 상기 페어링용 블루투스 장치로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연결 장치.
  10.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연결 방법에 있어서,
    근접한 블루투스 연결 요청의 발생을 감지하면, 연결요청 신호를 송출하고 그에 따른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연결 가능한 블루투스 장치들을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연결 가능한 블루투스 장치들 중에서 클래스 2에 속한 블루투스 장치만 남기고 다른 클래스에 속한 블루투스 장치들을 삭제하는 과정과,
    상기 클래스 2의 연결 가능한 블루투스 장치들 중에서 가장 근접하게 위치하고 블루투스 연결을 위한 페어링용 블루투스 장치를 선택하는 과정 및
    선택한 상기 페어링용 블루투스 장치와 블루투스 연결을 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연결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클래스 2는,
    블루투스 헤드셋, 블루투스 헤드폰, 블루투스 핸즈프리 킷 및, 다른 블루투스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연결 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클래스 2의 연결 가능한 블루투스 장치들 중에서 가장 근접하게 위치하고 블루투스 연결을 위한 페어링용 블루투스 장치를 선택하는 과정은,
    상기 클래스 2의 연결 가능한 블루투스 장치들 중에서 상기 연결요청 신호에 따른 상기 응답신호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는 연결품질(Link Quality)이 가장 높은 블루투스 장치를 상기 페어링용 블루투스 장치로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연결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래스 2의 연결 가능한 블루투스 장치들 중에서 가장 근접하게 위치하고 블루투스 연결을 위한 페어링용 블루투스 장치를 선택하는 과정은,
    상기 클래스 2의 연결 가능한 블루투스 장치들의 상기 연결품질을 블루투스 규격에서 정의하는 "HCI_Read_Link_Quality"를 통해 측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연결 방법.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클래스 2의 연결 가능한 블루투스 장치들 중에서 가장 근접하게 위치하고 블루투스 연결을 위한 페어링용 블루투스 장치를 선택하는 과정은,
    상기 클래스 2의 연결 가능한 블루투스 장치들 중에서 상기 연결요청 신호에 따른 상기 응답신호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는 수신전계강도(RSSI :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가 가장 높은 블루투스 장치를 상기 페어링용 블루투스 장치로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연결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클래스 2의 연결 가능한 블루투스 장치들 중에서 가장 근접하게 위치하고 블루투스 연결을 위한 페어링용 블루투스 장치를 선택하는 과정은,
    상기 클래스 2의 연결 가능한 블루투스 장치들의 상기 수신전계강도를 블루투스 규격에서 정의하는 "HCI_Read_RSSI"를 통해 측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연결 방법.
  16.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연결 방법에 있어서,
    근접한 블루투스 연결 요청의 발생을 감지하면, 연결요청 신호를 송출하고 그에 따른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연결 가능한 블루투스 장치들을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연결 가능한 블루투스 장치들 중에서 가장 근접하게 위치하고 블루투스 연결을 위한 페어링용 블루투스 장치를 선택하는 과정 및
    선택한 상기 페어링용 블루투스 장치와 블루투스 연결을 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연결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가능한 블루투스 장치들 중에서 가장 근접하게 위치하고 블루투스 연결을 위한 페어링용 블루투스 장치를 선택하는 과정은,
    상기 연결 가능한 블루투스 장치들 중에서 상기 연결요청 신호에 따른 상기 응답신호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는 연결품질(Link Quality)이 가장 높은 블루투스 장치를 상기 페어링용 블루투스 장치로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연결 방법.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가능한 블루투스 장치들 중에서 가장 근접하게 위치하고 블루수트 연결을 위한 페어링용 블루투스 장치를 선택하는 과정은,
    상기 연결 가능한 블루투스 장치들 중에서 상기 연결요청 신호에 따른 상기 응답신호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는 수신전계강도(RSSI :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가 가장 높은 블루투스 장치를 상기 페어링용 블루투스 장치로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연결 방법.
KR1020060129521A 2006-12-18 2006-12-18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연결 장치 및 방법 KR101357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9521A KR101357857B1 (ko) 2006-12-18 2006-12-18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연결 장치 및 방법
US11/958,812 US8055197B2 (en) 2006-12-18 2007-12-18 Apparatus and method for bluetooth connection in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9521A KR101357857B1 (ko) 2006-12-18 2006-12-18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연결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6525A KR20080056525A (ko) 2008-06-23
KR101357857B1 true KR101357857B1 (ko) 2014-02-05

Family

ID=39527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9521A KR101357857B1 (ko) 2006-12-18 2006-12-18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연결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055197B2 (ko)
KR (1) KR1013578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75432B2 (en) 2003-10-16 2010-08-17 Nokia Corporation Termina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interacting with a signaling tag
US20090319673A1 (en) * 2008-04-24 2009-12-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mated Wireless Device Pairing
KR101544431B1 (ko) 2008-11-21 2015-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채널을 사용하는 단말기에서 블루투스 기기의 연결 장치 및 방법
KR101497974B1 (ko) * 2009-02-02 2015-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장치간(m2m) 네트워크를 생성하는 모바일 장치 및 장치간 네트워크를 생성하는 방법
US20110021147A1 (en) * 2009-07-21 2011-01-27 Tout Walid R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connectivity status of short range wireless devices
US10083467B2 (en) * 2009-11-06 2018-09-25 Walmart Apollo, Llc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a customer at a point-of-sale via a wireless link within a retail store
US20110136442A1 (en) * 2009-12-09 2011-06-09 Echostar Technologies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a user of an entertainment device via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9021101B2 (en) * 2010-03-17 2015-04-28 Apple Inc. Using a property of a received signal to determine a device for forming a network connection
KR20120017821A (ko) * 2010-08-20 2012-02-2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8462734B2 (en) 2010-10-20 2013-06-11 Nokia Corporation Wireless docking with out-of-band initiation
KR20120052599A (ko) * 2010-11-16 2012-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통신 모듈 기반의 빠른 기기 검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US8554970B2 (en) 2011-04-18 2013-10-08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reating a wireless docking group
US8965286B2 (en) 2011-05-13 2015-02-24 Nokia Corporation Inquiry response event control
US8929816B2 (en) 2011-05-13 2015-01-06 Nokia Corporation Multiple apparatus selection via touch
US8929817B2 (en) 2011-05-13 2015-01-06 Nokia Corporation Sensor-based touch inquiry control
US8965285B2 (en) 2011-05-13 2015-02-24 Nokia Corporation Touch inquiry
US8544054B2 (en) * 2011-05-20 2013-09-24 Echostar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device pairing
US9288228B2 (en) 2011-08-05 2016-03-15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onnection setup in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US20130093962A1 (en) * 2011-10-14 2013-04-18 Echostar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airing a remote control to video or audio components using ultrasound signals
KR101835176B1 (ko) 2011-12-12 2018-03-06 그린픽 테크놀로지즈 엔.브이. 무선 시스템에서 결속하는 리스폰더 기기
US8538333B2 (en) 2011-12-16 2013-09-17 Arbitron Inc. Media exposure linking utilizing bluetooth signal characteristics
US9363840B2 (en) * 2012-03-07 2016-06-07 Nokia Technologies Oy Application based connectivity event triggering
KR101949373B1 (ko) 2012-03-30 2019-02-1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의 블루투스 연결 방법 및 장치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US9729211B2 (en) * 2012-11-19 2017-08-08 Bose Corporation Proximity based wireless audio connection
US10250837B2 (en) * 2012-12-05 2019-04-02 DISH Technologies L.L.C. User proximity recognition and hands-free control
KR20140146954A (ko) * 2013-06-18 2014-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기기
CN103297099B (zh) * 2013-06-26 2015-08-19 上海合合信息科技发展有限公司 蓝牙通信方法及蓝牙通信设备
US9497787B2 (en) 2013-11-25 2016-11-15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managing concurrent connections between wireless dockee devices in a wireless docking environment
CN103701887A (zh) * 2013-12-20 2014-04-02 成都三零瑞通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基于蓝牙的物品管控方法及蓝牙管控标签装置
KR20150074545A (ko) * 2013-12-24 2015-07-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내 블루투스 연결 단말기 위치 판단방법
US9445032B2 (en) * 2014-03-24 2016-09-13 Broadcom Corporation Auto-pairing control device
US20150282088A1 (en) * 2014-03-27 2015-10-01 Intel IP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cross point bluetooth communication
US9860297B2 (en) 2014-06-02 2018-01-02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media selection for moving user
US9635690B2 (en) 2014-06-24 2017-04-25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improving security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9338635B2 (en) 2014-07-01 2016-05-10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evice tracking
US9591554B2 (en) 2014-09-10 2017-03-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anagement capabilities for a wireless docking experience
US9265080B1 (en) 2014-10-01 2016-02-16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multi-device output mode configuration
US10110331B2 (en) 2014-12-12 2018-10-23 Razer (Asia-Pacific) Pte. Ltd. Radio communication devic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radio communication device
US10298567B1 (en) * 2014-12-16 2019-05-21 Amazon Technologies, Inc. System for providing multi-device access to complementary content
US20190035042A1 (en) * 2016-06-22 2019-01-31 Michael J. Attar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User Biometrics as a Boarding Pass for Public Transportation
US20180115858A1 (en) * 2016-10-21 2018-04-2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connecting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US10356587B2 (en) * 2016-12-06 2019-07-16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Wearable device as service enabler
CN107835518B (zh) * 2017-10-09 2021-09-14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选择性连接和搜索蓝牙的控制方法、移动终端及存储介质
CN110460983A (zh) * 2019-08-06 2019-11-15 RealMe重庆移动通信有限公司 蓝牙名称搜索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3411794A (zh) * 2021-06-01 2021-09-1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连接方法、蓝牙耳机、终端及计算机存储介质
CN116760895B (zh) * 2023-08-11 2023-11-21 小米汽车科技有限公司 生成dbc文件的系统和电子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94778A1 (en) * 2001-01-18 2002-07-18 Cannon Joseph M. Bluetooth connection quality indicator
KR20020071153A (ko) * 2001-03-05 2002-09-12 삼성전자 주식회사 근거리 이동무선통신시스템에서 장치 클래스를 이용한질의 결과 검출 방법
KR20060062413A (ko) * 2004-12-03 2006-06-12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블루투스를 이용한 무선망에서의 단말기 접속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4368B1 (ko) * 2000-10-18 2002-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사설 네트워크 및 이를 이용한통신 방법
US20050227724A1 (en) * 2004-04-12 2005-10-13 Chieh-Chih Tsai Wireless network and method for determining nearest wireless device
EP1596538A1 (en) * 2004-05-10 2005-11-16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 and device for bluetooth pair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94778A1 (en) * 2001-01-18 2002-07-18 Cannon Joseph M. Bluetooth connection quality indicator
KR20020071153A (ko) * 2001-03-05 2002-09-12 삼성전자 주식회사 근거리 이동무선통신시스템에서 장치 클래스를 이용한질의 결과 검출 방법
KR20060062413A (ko) * 2004-12-03 2006-06-12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블루투스를 이용한 무선망에서의 단말기 접속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6525A (ko) 2008-06-23
US20080146151A1 (en) 2008-06-19
US8055197B2 (en) 2011-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785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연결 장치 및 방법
KR100659253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블루투스 장치 검색 방법
EP2355563A1 (en) Method for automatic pairing to a wireless network
KR101727553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다수의 블루투스 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EP2080325B1 (en) Pairing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devices
US906006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with bluetooth devices in a terminal using audio channel
KR100744297B1 (ko) 블루투스 디바이스를 검색 및 연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964077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블루투스 디바이스와 연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080039136A1 (en) Networking of bluetooth system
CN102047694A (zh) 用户经由无线传输进行内容交换
US20100093280A1 (en) Bluetooth connection method and apparatus
WO2014210122A1 (en) Methods for authenticating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US2018011585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necting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KR101450536B1 (ko)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블루투스통신 방법
US20140179232A1 (en) Communication system for establishing a wireless connection between two devices based on the permission status
US20120051262A1 (en) Location Based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Auto-Configuration
US9002273B2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detection of a bluetooth device
JP5246025B2 (ja) 無線端末、無線端末制御方法、無線端末制御プログラム
KR101921207B1 (ko)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기능 수행 방법 및 장치
EP3062475B1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KR20140119917A (ko) 무선 통신 연결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단말기 및 무선 통신 시스템
CN110087223B (zh) 通信连接方法、通信设备及存储介质
CN113766406A (zh) 一种耳机测试的方法、系统及装置
KR20120083151A (ko) 동일한 아이디를 가진 복수의 가입자 확인 모듈을 이용한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0660464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블루투스 기기 연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