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7075B1 - 액세스 네트워크와 코어 네트워크 사이에서 통신하기 위한 장치, 방법 및 물품 - Google Patents

액세스 네트워크와 코어 네트워크 사이에서 통신하기 위한 장치, 방법 및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7075B1
KR101367075B1 KR1020117028647A KR20117028647A KR101367075B1 KR 101367075 B1 KR101367075 B1 KR 101367075B1 KR 1020117028647 A KR1020117028647 A KR 1020117028647A KR 20117028647 A KR20117028647 A KR 20117028647A KR 101367075 B1 KR101367075 B1 KR 1013670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user device
gateway
core network
radio ac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8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1882A (ko
Inventor
푸니트 제인
Original Assignee
인텔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텔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텔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20011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1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7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70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4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user query or user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4Network layer protocols, e.g. mobile IP [Internet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2Setup of transport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2Inter-network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사용자 장치를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기법들이 개시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코어 네트워크로의 접속(attachment)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그 응답으로, 사용자 장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로부터 요청이 허가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 요청 메시지는 접속 타입을 나타내는 필드, 액세스 포인트 이름을 나타내는 필드, 및 기기의 이동성 모드 능력을 나타내는 필드 같은 여러 정보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IEEE 802.16e WiMAX 네트워크일 수 있고, 코어 네트워크는 3GPP EPC(enhanced packet core)일 수 있다.

Description

액세스 네트워크와 코어 네트워크 사이에서 통신하기 위한 장치, 방법 및 물품{TECHNIQUES FOR COMMUNICATIONS AMONG ACCESS AND CORE NETWORKS}
무선 통신 능력들이 랩탑 컴퓨터, 핸드헬드 장치(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와 같은 장치), 및 모바일 전화기를 포함하는 휴대형 장치들 안에 점점 더 통합되고 있다. 그러한 능력들의 집약은 사용자들에게 언제 어느 곳에서나 정보 자원들에 대한 접속성을 제공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 사용자들은 통상적으로 자신들의 장치를 통해 패킷 서비스를 획득하고자 한다. 패킷 서비스의 예에는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전화 통신, 메시징, 웹 브라우징, 콘텐츠(가령, 비디오 및/또는 오디오) 전달, 및 대화형 게임이 포함된다. 흔히 그러한 서비스는 외부에 있는 네트워크들에 의해 모바일 장치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로 제공된다.
그런 상황에서 외부 네트워크들로부터의 서비스 액세스는 코어 네트워크를 통해 얻어질 수 있다. 따라서 그러한 액세스를 행하는 것은 모바일 기기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및 코어 네트워크 사이에서 상호네트워킹 기법의 활용을 수반할 수 있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일반적으로 기능적으로 유사하고/하거나 구조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구성요소가 최초로 나타나는 도면은 참조 부호의 맨 왼쪽 숫자(들)로 표시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전형적 동작 환경의 도면이다.
도 2는 전형적 네트워크 동작들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3 및 4는 전형적 네트워크 상호작용들을 보인 도면들이다.
도 5는 사용자 장치에서 활용될 수 있는 구현예의 도면이다.
도 6은 액세스 서비스 네트워크 게이트웨이에서 활용될 수 있는 구현예의 도면이다.
실시예들은 사용자 장치가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기법들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코어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응답으로, 사용자 장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로부터 요청이 허가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 요청 메시지는 접속 타입을 나타내는 필드, 액세스 포인트 이름을 나타내는 필드, 및 기기의 이동성 모드 능력을 나타내는 필드 같은 여러 정보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IEEE 802.16e WiMAX 네트워크일 수 있고, 코어 네트워크는 3GPP EPC(enhanced packet core)일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종류의 네트워크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NAS(non-access stratum) 정보를 전송하는 메커니즘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메커니즘은 사용자 장치와 액세스 서비스 네트워크(ASN(access services network)) 사이에서 전달되는 새로운 시그널링 메시지들을 포함한다. 실시예들에서 이 메커니즘은 확장성이 있다. 예를 들어 그러한 새로운 새그날링 메시지은 필요할 경우 추가 및/또는 대안적 정보 요소들을 운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 명세서 전체를 통해 "일 실시예(one embodiment)" 또는 "하나의 실시예(an embodiment)"라는 언급은 그 실시예와 관련해 기술된 특정한 구성, 구조, 또는 특징이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 안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명세서 전체를 통해 여러 곳에서 "일 실시예에서(in one embodiment)"나 "하나의 실시예에서(in an embodiment)"라는 문구의 출현은 모두 반드시 같은 실시예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특정 구성, 구조, 또는 특징들이 어떤 적절한 방식으로 한 개 이상의 실시예들 안에서 결합될 수 있다.
도 1은 여기 기술되는 기법들이 활용될 수 있는 전형적 동작 환경(100)에 대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환경은 사용자 장치(102), 액세스 네트워크(104), 코어 네트워크(106), 인터넷(1080, 및 사설 네트워크(110)를 포함한다.
사용자 장치(102)는 사용자에게 모바일 통신 능력들을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 장치(102)는 모바일 전화기, 스마트폰, 무선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모바일 인터넷 장치(MID), 노트북 컴퓨터, 넷북, 넷탑 등이 될 수 있다. 실시예들이 이러한 예들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장치(102)의 모바일 통신은 한 개 이상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도모된다. 한 예로서, 도 1은 액세스 네트워크(104)와의 무선 통신에 개입하고 있는 사용자 장치(102)를 보인다. 실시예들에서, 액세스 네트워크(104)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6e WiMAX 네트워크 같은 무선 네트워크일 수 있다. 그러나, 다른 네트워크 유형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한 다른 네트워크 유형들의 예는 IEEE 802.16m 네트워크 및 IEEE 802.11 무선 랜(WLAN)을 포함하나 여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액세스 네트워크(104)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어떤 조합을 통해 구현되는 한 개 이상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네트워크(104)는 사용자 장치들과 무선 신호를 교환하는 한 개 이상의 기지국(BS)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예로서, 도 1은 여러 BS(114a-114n)를 가지는 액세스 네트워크(102)를 보인다. 이들 가운데에서 도 1은 BS(114a)와 무선 신호를 교환하는 사용자 장치(102)를 보인다. 그러나, 사용자 장치(102)가 기지국들의 어떤 조합과도 신호를 교환할 수도 있다.
한 개 이상의 기지국을 가지는 것 외에, 액세스 네트워크(104)는 액세스 서비스 네트워크 게이트웨이(access services network gateway:ASN-GW)(116)를 포함할 수 있다. ASN-GW(116)는 액세스 네트워크(104)와 사용자 장치(102)의 상호작용을 수반하는 다양한 특징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SN-GW(116)는 인증 동작 수행,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IP)(가령, 프록시 모바일 IP(PMP), 이동성 IP(MIP), 클라이언트 모바일 IP(CMIP) 등) 동작들 처리, 페이징(paging) 수행, 암호 키들의 배포 및/또는 핸드오버 기능 수행을 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들은 예들일 뿐 한정하는 것으로서 주어지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ASN-GW(116)는 이들뿐 아니라 다른 특징들의 어떤 조합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ASN-GW(116)는 코어 네트워크(106)로의 사용자 장치(102) 접속을 수반하는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접속은 사용자 장치(102)에 코어 네트워크(106)를 통한 외부 네트워크(들)(또는 액세스 포인트들)로의 액세스를 지원한다. 여기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그러한 접속 동작들은 사용자 장치(102) 및 ASN-GW(116) 사이에서의 특정 메시지 교환을 수반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106)는 사용자 장치들로의 다양한 서비스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106)는 사용자 장치(102)에 인터넷(108) 및 사설 네트워크(110) 같은 네트워크들(액세스 포인트들이라고도 칭함) 상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전형적 서비스에는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전화통신, 메시징, 웹 브라우징, 콘텐츠(가령, 비디오 및/또는 오디오) 전달, 대화형 게임 등이 포함된다(그러나 여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서 코어 네트워크(106)는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의 LTE(Long Term Evolution) 명세(가령, LTE 릴리즈 8)의 EPC(Evolved Packet Core)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들은 이러한 전형적 코어 네트워크 구현예에 국한되지 않는다.
코어 네트워크(106)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어떤 조합을 통해 구현되는 한 개 이상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은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packet data network gateway:PDN-GW)(118)를 포함하는 코어 네트워크(106)를 보인다. PDN-GW(118)는 사용자 장치(102)에 대한 트래픽 인터페이스 포인트로서 동작함으로써 사용자 장치(102)에 외부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들(또는 액세스 포인트들)로의 연결성을 지원한다. 그 외에, PDN-GW(118)는 LMA(ocal mobility anchor), HA(home agent), 패킷 필터링, 사용자 장치(102)를 위한 정책 시행 및/또는 사용자 장치(102)에 대한 요금청구 같은 한 개 이상의 다양한 부가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들이 이러한 전형적 동작들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코어 네트워크(106)의) PDN-GW (118)에 연결된 (액세스 네트워크(104)의) ASN-GW(116)를 더 보인다. 따라서 실시예들에 있어서 사용자 장치(102)는 ASN-GW(116)를 통해 PDN-GW(118)로의 액세스 권리를 누린다.
또한, 도 1은 인증, 인가 및 과금(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nd accounting: AAA) 서버(120)를 포함한다. AAA 서버(120)는 ASN-GW(116) 및/또는 PDN-GW(118)에 대한 인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은 ASN-GW(116) 및 PDN-GW(118)에 연결된 AAA 서버(120)를 더 보인다. 이러한 연결들은 한 개 이상의 전용 네트워크, 사설 및/또는 공공 네트워크(가령, 인터넷)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AAA 서버(120)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어떤 조합을 이용해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AAA 서버(120)는 사용자 장치(102)의 인증을 수반하는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02)가 로밍하고 있는 상황에서(가령, 액세스 네트워크(104)가 사용자 장치(102)의 홈 액세스 네트워크가 아닐 때), AAA 서버(120)가 프록시로서 동작할 수 있다. 이것은 AAA 서버(120)가 사용자 장치(102)와 관련되는 또 다른 AAA 서버로/로부터 인증 관련 트래픽을 중계하는 일을 수반한다. AAA 서버(120)와의 통신은 다양한 인증 프로토콜에 따라 이뤄질 수 있다. 전형적인 프로토콜들에는 EAP(extensible authentication protocol), DIAMETER, 및/또는 RADIUS(remote authentication dial in user service)가 포함된다(그러나 여기에 국한되지 않는다).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장치(102)는 코어 네트워크(106)를 통해 한 개 이상의 외부 패킷 네트워크들로의 액세스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은 전형적 패킷 네트워크들로서 인터넷(108)(가령, 글로벌 인터넷) 및 사설 네트워크(110)를 보인다. 사설 네트워크(110)는 예컨대 제한된 액세스 네트워크(가령, 법인 네트워크)일 수 있다. 이러한 외부 네트워크들은 다만 예시의 목적으로 주어진 것일 뿐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다른 외부 네트워크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일반적인 동작에 있어서, 사용자 장치(102)는 액세스 네트워크(104) 안에서 한 개 이상의 기지국(114a-114n)과 무선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이것은 사용자 장치(102)가 코어 네트워크(106)를 통해(가령, PDN-GW(118)를 통해) 외부 패킷 네트워크들과의 통신에 개입할 수 있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그러한 통신은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전화통신, 메시징, 웹 브라우징, 콘텐츠(가령, 비디오 및/또는 오디오) 전달, 대화형 게임 등(그러나 여기에 국한되지 않음)과 같은 서비스들과 관련될 수 있다.
그러한 통신은 인터넷 프로토콜(IP) 패킷의 전달을 수반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통신은 프록시 모바일 IP(PMIP) 같은 모바일 IP 프로토콜을 활용할 수 있다. 이 프로토콜들은 모바일 기기들(사용자 장치(102) 같은 것)이 영구 IP 어드레스를 유지하면서 네트워크들(가령, 액세스 네트워크들) 사이를 로밍할 수 있게 한다. 그러한 통신은 IP 터널 설정을 수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른 전형적 모바일 IP 프로토콜은 MIP 및 CMIP를 포함한다(그러나 여기에 국한하지 않는다).
일단 사용자 장치(102)가 액세스 네트워크(104)와 통신을 설정하였으면, 사용자 장치는 외부 네트워크들로부터(가령, 네트워크들(110 및/또는 112)) 서비스를 획득할 수 있게 되기 전에 코어 네트워크(106)에 대한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PDN) 연결을 가져야 한다. 이것은 액세스 네트워크(104)로의 소정 정보 제공을 수반한다.
예를 들어, WiMAX 네트워크인 액세스 네트워크(104) 및 3GPP EPC인 코어 네트워크(106)와 관련해, 사용자 장치(102)는 3GPP 액세스 포인트 이름(APN(access point name )) 및 ASN-GW(116)로의 접속 유형 파라미터 같은 소정 정보를 전달해야 할 것이다. APN은 외부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식별하고 DNS 조회를 통해 PDN-GW의 IP 어드레스 결정을 돕는다. 접속 유형 파라미터는 요청된 접속(가령, 초기 접속 또는 핸드오버 접속 또는 부가적 PDN 접속)의 특정 유형을 가리킨다. 현재 WiMAX 표준은 그러한 정보가 사용자 장치(이동국이라고도 칭함) 및 액세스 네트워크(액세스 서비스 네트워크(ASN)이라고도 칭함)로 전송되는 메커니즘을 특정하고 있지 않다.
실시예들은 두 가지 메시지의 활용을 통해 그러한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제1메시지는 사용자 장치로부터 액세스 네트워크로 전송되는 요청 메시지이다. 이 메시지는 코어 네트워크로의 접속에 필요로되는 정보를 포함한다. 제2메시지는 접속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액세스 네트워크가 사용자 장치로 알리는 해당 응답 메시지이다. 이 메시지들은 액세스 포인트 이름, 접속 유형 파라미터, 및 이동성 모드 정보 같은 기술간 NAS(non-access stratum) 정보를 전달할 목적의 총괄 컨테이너(generic container)로서 작용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들이 이러한 정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메시지들은 다른 NAS 정보를 운반할 수도 있다.
실시예들에 대한 동작들을 이하의 도면 및 첨부된 예들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기술할 것이다. 도면들 중 일부는 논리 흐름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 제시된 그러한 도면들이 특정한 논리 흐름도를 포함할 수 있으나, 그 논리 흐름도는 다만 여기 기술된 것과 같은 일반적 기능이 어떻게 구현될 수 있는지에 대한 예를 제공하는 것임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소정 논리 흐름도는 다르게 지시되지 않는 한 반드시 제시된 순서로 실행될 필요가 없다. 또한 소정 논리 흐름도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또는 이들의 어떤 조합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들은 이러한 맥락에 국한되지 않는다.
도 2는 논리 흐름도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특히, 도 2는 여기에 기술된 한 개 이상의 실시예들에 의해 실행되는 동작들을 나타낼 수 있는 논리 흐름도(200)를 예시한다. 이 흐름은 도 1과 관련해 기술된다. 그러나, 이 흐름도는 다른 상황들에서도 활용될 수 있다. 도 2는 특정 시퀀스를 보이고 있지만, 다른 시퀀스들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묘사된 동작들이 다양한 병렬 및/또는 직렬 조합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블록 202에서, 사용자 장치(102)는 액세스 네트워크(104)와 연결을 설정한다. 이것은 다양한 동작들을 수반할 수 있다. 그러한 동작들에는 다운링크(DL) 및 업링크(UL) 파라미터들 설정, 미디어 액세스 제어(MAC) 동기 설정, 레인징(ranging) 및 물리 계층(PHY) 조정 수행, 기본 능력 메시지 교환, 인증 동작, 암호화 키 설정, 네트워크 등록 등이 포함될 수 있다(그러나, 여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한 동작들의 예가 이하에서 도 3을 참조해 기술된다. 이 접속의 결과로서 사용자 장치(102)는 기지국들(114a-n) 중 한 개 이상과의 통신에 개입할 수 있다.
블록 204에서, 사용자 장치(102)는 액세스 네트워크(104)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특히, 이 메시지는 코어 네트워크(106)에 접속하라는 요청이다. 이 메시지는 다양한 정보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메시지는 접속 유형 필드, 액세스 포인트 이름(APN) 필드, 및 이동성 모드(MM) 능력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접속 유형 필드는 이 요청이 초기 접속에 대한 것인지, 핸드오버 접속에 대한 것인지, 추가 PDN 접속에 대한 것인지 여부를 가리킨다. APN 필드는 사용자 장치(102)가 액세스를 원하는 특정 외부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식별한다. 예를 들어, 도 1과 관련하여 APN 필드는 외부 네트워크(108) 및/또는 외부 네트워크(110)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식별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APN 표시는 "Label1.Label2.Label3" 같이 점(dots)으로 분리되는 라벨들을 가지는 스트링 형식으로 될 수 있다.
MM 능력 필드는 사용자 장치(102)가 활용할 수 있는 한 개 이상의 이동성 프로토콜을 가리킨다. 그러한 프로토콜들의 예는 PMIP(가령, PMIP 버전 6 어드레스 보전), MIP(가령, MIP 버전 4FA CoA(care of address), 및 클라이언트 모바일 IP(가령, CMIP 버전 6)를 포함한다.
블록 206에서 이 요청 메시지가 사용자 장치(102)와 통신하는 기지국에 의해 수신된다. 그런 다음 그 요청 메시지는 액세스 네트워크(104) 안에 있는 ASN-GW(116)로 투명하게 전달된다.
수신시 ASN-GW(116)는 블록 207에서 사용자 장치(102)가 요청 메시지 안에서 식별된 APN에 대해 인가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것은 한 개 이상의 AAA 서버(가령 AAA 서버(12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조사하는 일을 수반할 수 있다.
블록 208-210에 지시된 바와 같이, ASN-GW(116)는 사용자 장치(102)가 APN에 대해 인가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사용자 장치(102)로 응답 메시지를 준비하여 보낸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102)가 인가된 경우, ASN-GW(116)는 209 블록에서 성공(또는 요청 수락)을 나타내는 응답 메시지를 준비하여 보낸다. 그렇지 않으면, ASN-GW(116)가 블록 210에서 실패(또는 요청 거부)를 나타내는 응답 메시지를 준비하여 보낸다.
블록 209 및 210의 응답 메시지들은 특정 포맷을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 응답 메시지는 여러 정보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전형적 정보 필드들에는 응답 유형 필트, 및 선택된 이동성 모드(MM) 능력 필드가 포함된다(그러나 여기에 국한되지 않는다).
응답 유형 필드(RSP Type)는 요청이 거부되었는지("실패") 허락되었는지("성공") 여부를 가리킨다. 선택된 이동성 모드 능력은 사용자 장치(102)에 의해 사용될 이동성 프로토콜(가령, PMIP, MIP, CMIP 등)을 가리킨다.
블록 211에 의해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요청이 허락되면 동작은 블록 212로 진행할 수 있다. 블록 212에서 사용자 장치(102)는 코어 네트워크(106)에 접속한다. 실시예들에서, 이것은 사용자 장치(102)가 해당 기지국과 메시지를 교환하고, ASN-GW(116) 및 PDN-GW(118)를 통해 액세스 포인트(외부 네트워크)와 데이터 경로를 설정하는 일을 수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들에서 액세스 네트워크(104)는 WiMAX 네트워크일 수 있고, 코어 네트워크(106)는 3GPP EPC일 수 있다. 도 3은 이와 관련하여 전형적인 상호작용들을 보인 도면이다. 특히, 이 도면은 WiMAX 액세스 네트워크(350) 및 3GPP EPC(306) 내 구성요소들 사이에서 (시간축(301)을 따라) 일어나는 상호작용들을 보인다. 이 도면에서, 각각의 상호작용은 예를 들어 한 개 이상의 행위, 행동, 교환, 및/또는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WiPAX 액세스 네트워크(350)는 이동국(MS)(302), 기지국(BS)(304), 및 ASN-GW(306)을 포함한다. 또한, 도 3은 방문(visited) AAA 프록시(308) 및 홈 AAA 서버(310)를 포함하는 3GPP EPC(360)를 보인다. 이 구성요소들은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어떤 조합을 이용해 구현될 수 있다.
그 상호작용들은 도 1의 환경에서 일어날 수 있다. 예를 들어 MS(302)는 사용자 장치(102)로서 구현될 수 있고, BS(304)는 기지국들(114a-n) 들 중 하나로서 구현될 수 있고, ASN-GW(308)는 ASN-GW(116)로서 구현될 수 있고, 방문 AAA 서버(3100는 AAA 서버(120)로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들이 이러한 환경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호작용 320에서, 이동국(302)은 다운링크(DL) 채널을 획득하고, (가령 DL-MAP 메시지의 수신을 통해) 매체 액세스 제어(MAC) 동기를 얻으며, 업링크(UL) 링크 파라미터들을 얻는다.
상호작용 322에서, 초기 레인징 및 물리 계층(PHY) 조정이 이뤄질 수 있다. WiMAX 배경에서, 이것은 기지국(304)과 RNG-REQ 및 RNG-RSP 메시지들의 교환을 수반할 수 있다.
그 뒤에, 이동국(302)과 기지국(304)은 상호작용 324에서 SBC REQ 및 SBC RSP 메시지들을 교환한다. 이 메시지들은 MS(302)의 기본 능력들을 포함한다. 또한 상호작용 326에서, BS(304) 및 ASN-GW(306) 사이에서 MS 배경 초기화 프로세스가 일어난다.
도 3은 인증 프로세스(가령, EAP 프로세스)가 일어나는 상호작용 328을 더 보인다. 특히, 도 3은 MS(302), BS(304), ASN-GW(306), 방문 AAA 서버(308)(프록시로서 동작), 및 홈 AAA 서버(310)를 개입시키는 이 상호작용을 보인다.
블록 330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인증 프로세스는 성공을 나타낸다. 그 결과로서 보안 컨텍스트가 획득된다. 따라서, 상호작용 332는 인증 키(AK)를 생성하는 MS(302) 및 ASN-GW(306)을 보인다.
그 다음에 MS(302)와 BS(304)는 상호작용 334에서 보안 접속(SA(security association)) 및 트래픽 암호 키(TEK(traffic encryption key))의 생성 및 전달에 관여한다.
상호작용 336에서, MS(302)는 BS(304)에 등록한다. 이것은 WiMAX REG-REQ 및 REG-RSP 메시지들의 교환을 수반할 수 있다. 또한, 상호작용 338은 ASN-GW(306)와 함께 일어나는 등록을 보인다.
도 2와 관련하여, 상호작용 320부터 336이 블록 202에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블록(202)은 사용자 장치 및 액세스 네트워크 사이의 연결 설정을 수반한다.
도 3을 다시 참조할 때, 상호작용 336 및 338에 뒤따르는 상호작용 340이 보여진다. 상호작용은 이동국(302)에 코어 네트워크(가령, 3GPP EPC)에 접속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ASN-GW(306)에 제공하는 능력을 부여한다. 특히, 도 3은 메시지들(342 및 344)을 포함하는 상호작용(340)을 보인다.
메시지(342)는 MS(302)에 의해 전송되는 요청 메시지이다. 이 메시지는 BS(304)에 의해 수신되어 ASN-GW(306)로 투명하게 전달된다. 도 3은 3GPP EPC로의 접속을 요청할 때 EPC ATTACH REQ라고 불리는 메시지(342)를 보인다. 그러나 실시예들은 그러한 메시지들에 다른 이름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들이 WiMAX 및/또는 3GPP EPC 구현예들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메시지 344는 요청 메시지(342)에 대응되는 응답 메시지이다. 도 3은 EPC_ATTACH_RSP라고 불리는 응답 메시지(244)를 보인다. 그러나 실시예들은 그러한 메시지들에 다른 이름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들이 WiMAX 및/또는 3GPP EPC 구현예들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시지(342)는 접속 유형 필드, APN 필드, 및 MM 능력 필드를 포함한다. 도 3은 RSP 유형 필드, 및 MM 능력 필드를 포함하는 메시지(344)를 보인다. 이 메시지들(342 및 344)의 필드들은 도 2를 참조하여 위에서 기술된 방식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들이 이러한 구현예들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메시지들(342 및 344)의 교환에 이어서, MS(302) 및 BS(304) 사이에서 서비스 추가 프로세스(346)가 일어날 수 있다. WiMAX 배경 하에서, 이것은 DSA-REQ, DSA-RSP, 및 DSA-ACK 메시지들의 교환을 수반할 수 있다. 데이터 경로 설정 프로세스(348)도 BS(304) 및 ASN-GW(306) 사이에서 일어날 수 있다. 또한 ASN-GW(306) 및 EPC(360) 안의 PDN-GW 사이에서 세션 설정 시그널링이 일어날 수 있다. 그러한 시그널링은 예를 들어 프록시 바인딩 업데이트(PBU(proxy binding update)) 및 프록시 바인딩 확인(PBA(proxy binding acknowledgment)) 메시지들의 교환을 포함할 수 있다.
이 프로세스들에 뒤이어 MS(302)는 자신의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외부 네트워크)와 통신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이것은 모바일 IP 터널(가령, PMIP 터널)의 설정을 수반할 수 있다.
여기에 기술된 기법들은 여러 외부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PDN)들로의 연결에도 역시 이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4는 사용자 장치(가령, 이동국)가 두 개의 서로 다른 PDN-GW들을 통해 두 개의 PDN들로 접속을 설정하는 것을 보이는 도면이다. 특히, 도 4는 WiMAX 액세스 서비스 네트워크(ASN)(450) 및 3GPP EPC(460) 내 개체들 사이에서 (시간축(401)을 따라) 일어나는 상호작용들을 보인다. 이 도면에서, 각각의 상호작용은 예를 들어 한 개 이상의 행위, 행동, 교환, 및/또는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ASN(450)은 이동국(MS)(402) 및 WiMAX ASN-GW(40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4는 제1PDN-GW(406), 제2PDN-GW(408), vPCRF(410), AAA 프록시(412), hPCRF(414) 및 HSS/AAA(416)을 포함할 수 있다.
상호작용 420에서, MS(402)는 EPC 코어(460)에 접속한다. 이 접속은 도 3을 참조하여 기술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접속 기법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접속은 ASN-GW(404) 및 PDN-GW(406) 사이에 PMIP 터널(422)이 생성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 접속 뒤에, MS(402)는 후속 접속을 설정하고자 한다. 그에 따라 MS(402)는 ASN-GW(404)에 의해 수신되는 접속 요청 메시지(424)(EPC_ATTACH_REQ(424)로서 보여짐)를 전송한다. MS(402)는 "Additional PDN attachment(추가 PDN 접속)"에 접속 유형을 세팅한다.
참조 부호 425에 의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요청 메시지가 WiMAX ASN-GW(404) 및 EPC(460) 내 구성요소들 사이에 세션 설정 시그널링을 개시한다. 그러한 시그널링은 프록시 바인딩 업데이트(PBU(proxy binding update)) 및 프록시 바인딩 확인(PBA(proxy binding acknowledgment)) 메시지들의 교환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시그널링의 결과, 응답 메시지(426)(ePC_ATTACH_RSP(426)로 보여짐)가 MS(402)로 전송된다. 응답 메시지가 요청이 허락되었다는 것을 가리키면, 제2PDN-GW(408)와의 새 PMIP 터널(428)이 설정된다. 그에 따라 MS(402)는 EPC(460)에 대한 여러 동시적 접속을 가질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사용자 장치(102), 도 3의 MS(302), 및/또는 도 4의 MS(402) 같은 사용자 장치들에 포함될 수 있는 구현예(500)의 도면이다. 그러나 이 구현예는 다른 상황들에서도 역시 이용될 수 있다. 구현예(500)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는 안테나(502), 트랜시버 모듈(504) 및 호스트 모듈(506)을 포함하는 구현예(500)를 보인다. 또한 도 5는 호스트 모듈(506) 안에 접속 관리 모듈(508)을 보인다. 이 구성요소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어떤 조합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안테나(502)는 (기지국들 같은) 원격 장치들과의 무선 신호 교환을 위해 준비된다. 하나의 안테나가 도시되지만, 여러 안테나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은 한 개 이상의 송신 안테나 및 한 개 이상의 수신 안테나를 이용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혹은 부가적으로 실시예들은 빔포밍(beamforming)을 위한 여러 안테나들 및/또는 위상단열(phased-array) 안테나 구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시버 모듈(504)은 제어 모듈(509), 송신부(510) 및 수신부(512)를 포함한다. 동작 중에 트랜시버 모듈(504)은 안테나(502) 및 호스트 모듈(500)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송신부(510)는 제어 모듈(509)로부터 심볼들(520)을 수신하고 안테나 모듈(502)에 의한 무선 전송을 위해 해당 신호들(522)을 생성한다. 이것은 변조, 증폭 및/또는 필터링 같은 동작들을 수반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동작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반대로, 수신부(512)는 안테나(502)에 의해 수신된 신호들(524)을 얻어 해당 심볼들(526)을 생성한다. 그런 다음 트랜시버 모듈(504)이 심볼들(526)을 제어 모듈(509)로 제공한다. 이러한 심볼들(526)의 생성은 복조, 증폭, 및/또는 필터링을 포함하는(그러나 여기에 국한되지 않음) 동작들을 수반할 수 있다.
신호들(522 및 524)은 다양한 포맷들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신호들은 IEEE 802.16e WiMAX 네트워크들에서의 전송을 위해 포맷팅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들은 이러한 전형적 코어 네트워크들이나 신호 포맷들에 국한되지 않는다. 송신부(510) 및 수신부(512)는 각각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형적인 컴포넌트들로는 변조기, 복조기, 증폭기, 필터, 버퍼, 상향 컨버터, 및/또는 하향 컨버터가 포함된다. 그러한 컴포넌트들은 하드웨어(가령, 전자회로),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어떤 조합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제어 모듈(509)은 트랜시버 모듈(504)의 여러 동작들을 관리한다. 예를 들어 제어 모듈(509)은 다양한 물리 계층 및 매체 액세스 제어 기법들을 관리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 모듈(509)은 송신부(510) 및 수신부(512)와 심볼들을 교환한다. 그런 다음 제어 모듈(509)은 호스트 모듈(506)과 해당 정보(가령, 메시지들 및/또는 심볼들)를 교환할 수 있다.
호스트 모듈(506) 및 제어 모듈(509) 사이의 정보 교환은 한 개 이상의 프로토콜 및/또는 한 개 이상의 사용자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메시지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호스트 모듈(506)은 그러한 프로토콜(들) 및/또는 사용자 애플리케이션(들)에 대응되는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전형적인 프로토콜들은 다양한 매체 액세스 제어, 네트워크, 전송, 시그널링, 및/또는 세션 계층 프로토콜들을 포함한다. 전형적인 사용자 애플리케이션들은 전화통신, 메시징, 이메일, 웹 브라우징, 콘텐츠(가령, 비디오 및 오디오) 배포/수신 등을 포함한다.
한 예로서, 도 5는 트랜시버 모듈(504) 안의 제어 모듈(509)과 메시지를 교환하는 접속 관리 모듈(508)을 보인다. 특히, 접속 관리 모듈(508)은 접속 요청 메시지(530)(가령, EPC_ATTACH_REQ 메시지)를 보내는 것으로 보여진다. 접속 관리 모듈(508)은 또한 대응되는 접속 응답 메시지(532)(가령, EPC_ATTACH_RSP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여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이 메시지들은 (트랜시버 모듈(504) 및 안테나(502)를 통해) 원격 개체들로/로부터 교환된다.
그에 따라 접속 관리 모듈(508)은 접속 요청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한 생성은 사용자 활동이나 선택 같은 다양한 이벤트들에 대한 응답이 될 수 있다. 또한 접속 관리 모듈(508)은 접속 응답 메시지들을 수신하여 처리한다. 이러한 처리에 기초하여, 외부 네트워크들(액세스 포인트들이라고도 칭함)과의 통신이 일어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ASN-GW(116), 도 3의ASN-GW(306), 및/또는 도 4의 ASN-GW(404) 같은 ASN-GW들에 포함될 수 있는 구현예(600)의 도면이다. 그러나 이 구현예는 다른 상황들에서도 역시 이용될 수 있다. 구현예(600)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6은 프로세서(602), 저장 매체(604) 및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606)을 포함하는 구현예(600)를 보인다.
저장 매체(604)는 프로세서(602)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를 저장할 수 있다. 전형적인 저장 매체가 이하에서 상세히 기술된다. 프로세서(602)는 저장 매체(604) 안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다. 그러한 명령어는 여기에 기술된 것과 같은 ASN-GW 특성들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은 접속 요청 메시지(620)를 수신하고 대응하는 접속 응답 메시지(622)를 송신하는 프로세서(602)를 보인다. 프로세서(602)는 여기에 기술된 ASN-GW 기법에 따라 그러한 메시지들을 처리 및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602)는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606)과 메시지들(620 및 622)을 교환한다. 그러면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606)이 이 메시지들을 기지국과 교환한다. 여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기지국은 이 메시지들을 사용자 장치와 교환한다.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은 또한 다른 개체들(가령, AAA 서버, PDN-GW 등)과 정보 교환을 대비한다. 통신 인터페이스(606)는 트랜시버(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들) 등과 같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구성요소들은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어떤 조합을 이용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요소, 소프트웨어 요소,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요소들의 예에는 프로세서, 마이크로프로세서, 회로, 회로 소자(가령, 트랜지스터, 저항, 커패시터, 인덕터 등), 집적 회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PLD),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로직 게이트, 레지스터, 반도체 소자, 칩, 마이크로칩, 칩 셋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의 예들로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컴퓨터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시스템 프로그램, 머신 프로그램, 운영체계 소프트웨어, 미들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루틴, 서브루틴, 함수, 메소드, 절차, 공정,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 명령어 집합, 컴퓨팅 코드, 컴퓨터 코드, 코드 세그먼트, 컴퓨터 코드 세그먼트, 워드, 값, 심볼, 또는 이들의 어떤 조합이 포함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은 예를 들어 기계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나 물품을 사용해 구현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명령어나 명령어 집합을 저장하고, 기계에 의해 실행될 때 기계가 상기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 및/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한 기계에는 예를 들어 어떤 적절한 프로세싱 플랫폼, 컴퓨팅 플랫폼, 컴퓨팅 장치, 프로세싱 장치, 컴퓨팅 시스템, 프로세싱 시스템, 컴퓨터, 프로세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어떤 적절한 조합을 이용해 구현될 수 있다.
저장 매체나 물품에는 예를 들어 어떤 적절한 유형의 메모리 유닛, 메모리 소자, 메모리 물품, 메모리 매체, 저장 장치, 저장 물품, 저장 매체 및/또는 저장 유닛, 이를테면 메모리, 착탈가능하거나 비착탈가능 매체, 삭제가능하거나 삭제 불가능한 매체, 쓰기가능하거나 덮어쓰기 가능한 매체,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매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컴팩트 디스크 롬(CD-ROM), CD-R(Compact Disk Recordable), CD-RW(Compact Disk Rewriteable), 광 디스크, 마그네틱 매체, 광자기 매체, 착탈가능 메모리 카드나 디스크, 다양한 유형의 DVD(Digital Versatile Disk), 테이프, 카세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명령어는 어떤 적절한 상위 레벨, 하위 레벨, 객체 지향, 시각적, 컴파일링되고/되거나 해석된 프로그래밍 언어를 이용해 구현되는 소스 코드, 컴파일링된 코드, 해석된 코드, 실행 코드, 정적 코드, 동적 코드, 암호화된 코드 등과 같이 어떤 적절한 유형의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위에서 기술되었지만, 그것들은 예로서 제시된 것일 뿐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님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술된 기법들은 IEEE 802.16e 네트워크나 3GPP EPC 네트워크에 국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형식과 세부사항에 있어서의 다양한 변경이 이뤄질 수 있다는 것을 자명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폭과 범위는 상술한 전형적 실시예들 중 어느 것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이하의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서만 규정될 수 있다.

Claims (20)

  1. WiMax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 무선 신호를 교환하기 위한 트랜시버와,
    접속 제어 모듈(attachment control module)을 포함하되,
    상기 접속 제어 모듈은,
    3GPP EPC(enhanced packet core)를 포함하는 코어 네트워크로의 접속(attachment)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트랜시버에 의한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로의 무선 전송을 위한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트랜시버에 의한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로의 무선 전송을 위한 요청 메시지를 생성 -상기 요청 메시지는 상기 코어 네트워크로의 추가 접속을 요구하기 위한 것임- 하고,
    상기 트랜시버를 통해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요청 메시지는,
    추가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PDN) 접속을 포함하는 접속 유형(attachment type)을 나타내는 필드와,
    액세스 포인트 이름을 나타내는 필드와,
    사용자 장치의 이동성 모드 능력(mobility mode capability)을 나타내는 필드를 포함하는
    모바일 통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메시지는,
    해당 요청이 허가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필드와,
    상기 사용자 장치에 대해 선택된 이동성 모드를 나타내는 필드를 포함하는
    모바일 통신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치의 이동성 모드 능력을 나타내는 필드는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IP)을 나타내는
    모바일 통신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 이름을 나타내는 필드는 외부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식별하는
    모바일 통신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메시지가 상기 요청이 허가됨을 나타낼 때, 상기 트랜시버는 제 1 게이트웨이 및 제 2 게이트웨이와 데이터 경로를 설정하며, 상기 제 1 게이트웨이는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내에 있고 상기 제 2 게이트웨이는 상기 코어 네트워크 내에 있는
    모바일 통신 장치.
  8. 코어 네트워크로 사용자 장치를 접속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3GPP EPC를 포함하는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된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코어 네트워크로의 추가 접속을 요구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WiMax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장치에서,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요청이 허가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요청 메시지는,
    추가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PDN) 접속을 포함하는 접속 유형을 나타내는 필드와,
    액세스 포인트 이름을 나타내는 필드와,
    상기 사용자 장치의 이동성 모드 능력을 나타내는 필드를 포함하는
    코어 네트워크로 사용자 장치를 접속하기 위한 방법.
  9. 삭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 이름은 외부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식별하는
    코어 네트워크로 사용자 장치를 접속하기 위한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메시지는,
    해당 요청이 허가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필드와,
    상기 사용자 장치에 대해 선택된 이동성 모드를 나타내는 필드를 포함하는
    코어 네트워크로 사용자 장치를 접속하기 위한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메시지가 상기 요청이 허가됨을 나타낼 때, 제 1 게이트웨이 및 제 2 게이트웨이와 데이터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1 게이트웨이는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내에 있고 상기 제 2 게이트웨이는 상기 코어 네트워크 내에 있는
    코어 네트워크로 사용자 장치를 접속하기 위한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게이트웨이는 WiMAX 액세스 서비스 네트워크 게이트웨이(ASN-GW)이며, 상기 제 2 게이트웨이는 3GPP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PDN-GW)인
    코어 네트워크로 사용자 장치를 접속하기 위한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게이트웨이는 상기 요청 메시지에서 지시된 액세스 포인트 이름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는
    코어 네트워크로 사용자 장치를 접속하기 위한 방법.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상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응답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코어 네트워크로 사용자 장치를 접속하기 위한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사용자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 이름에 대해 허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코어 네트워크로 사용자 장치를 접속하기 위한 방법.
  17. 저장된 명령어를 갖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된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코어 네트워크로의 추가 접속을 요구하는 요청 메시지를 WiMax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장치에서,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요청이 허가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게 하며,
    상기 요청 메시지는,
    추가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PDN) 접속을 포함하는 접속 유형을 나타내는 필드와,
    액세스 포인트 이름을 나타내는 필드와,
    사용자 장치의 이동성 모드 능력을 나타내는 필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는 상기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응답 메시지가 상기 요청이 허가됨을 나타낼 때 제 1 게이트웨이 및 제 2 게이트웨이와 데이터 경로를 설정하게 하며, 상기 제 1 게이트웨이는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내에 있고 상기 제 2 게이트웨이는 상기 코어 네트워크 내에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19. 삭제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 이름은 외부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식별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KR1020117028647A 2009-05-01 2010-04-23 액세스 네트워크와 코어 네트워크 사이에서 통신하기 위한 장치, 방법 및 물품 KR1013670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387,435 2009-05-01
US12/387,435 US20100279731A1 (en) 2009-05-01 2009-05-01 Techniques for communications among access and core networks
PCT/US2010/032181 WO2010126787A2 (en) 2009-05-01 2010-04-23 Techniques for communications among access and core network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1882A KR20120011882A (ko) 2012-02-08
KR101367075B1 true KR101367075B1 (ko) 2014-02-24

Family

ID=43030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8647A KR101367075B1 (ko) 2009-05-01 2010-04-23 액세스 네트워크와 코어 네트워크 사이에서 통신하기 위한 장치, 방법 및 물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00279731A1 (ko)
EP (1) EP2425662A4 (ko)
JP (1) JP5382479B2 (ko)
KR (1) KR101367075B1 (ko)
CN (1) CN102461274B (ko)
TW (1) TWI416972B (ko)
WO (1) WO201012678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73745B2 (en) * 2009-12-16 2012-05-08 Momentive Specialty Chemicals Inc. Compositions useful for preparing composites and composites produced therewith
KR101752707B1 (ko) * 2011-01-03 2017-07-03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혼잡 제어 방법
KR20150029622A (ko) * 2012-05-28 2015-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성 정보 보고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CN103905413B (zh) * 2012-12-28 2017-05-03 中国移动通信集团北京有限公司 一种核心网信令传输方法及系统
US9344890B2 (en) * 2013-07-12 2016-05-17 Qualcomm Incorporated Trusted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access scenarios
US10257078B2 (en) 2016-04-01 2019-04-09 Qualcomm Incorporated Interworking with legacy radio access technologies for connectivity to next generation core network
CN114145043B (zh) * 2020-07-03 2023-08-2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47947A1 (en) * 2007-08-02 2009-02-19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gateway selection based on data service and roaming protocol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15548B2 (en) * 1991-05-13 2008-08-19 Broadcom Corporation Communication network having a plurality of bridging nodes which transmits a polling message with backward learning technique to determine communication pathway
FI110562B (fi) * 1999-10-22 2003-02-14 Nokia Corp Pakettidatapalvelu matkaviestinjärjestelmässä
KR100617814B1 (ko) * 2005-02-23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기에서 연결 절차의 종료 방법
US7532890B2 (en) * 2005-04-01 2009-05-12 Rockliffe Systems Content-based notification and user-transparent pull operation for simulated push transmission of wireless email
US8472966B2 (en) * 2005-12-30 2013-06-25 Telecom Italia S.P.A. Method of ope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and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implementing the method
US20080037586A1 (en) * 2006-04-28 2008-02-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One-To-One Relationship Between NSAPI and User-Data SAPI
EP2007162A3 (en) * 2007-06-18 2011-11-16 Motorola Mobility, Inc. Non-3GPP IP access to E-UTRAN access inter-RAT handover
KR101013654B1 (ko) * 2007-08-09 2011-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이동성 프로토콜 선택 및 관리 방법및 장치
US20110063997A1 (en) * 2007-09-07 2011-03-17 Laurence Gras Interworking between wimax and 3gpp networks
EP2079253A1 (en) * 2008-01-09 2009-07-15 Panasonic Corporation Non-3GPP to 3GPP network handover optimization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47947A1 (en) * 2007-08-02 2009-02-19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gateway selection based on data service and roaming protoc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461274A (zh) 2012-05-16
US20100279731A1 (en) 2010-11-04
JP5382479B2 (ja) 2014-01-08
TWI416972B (zh) 2013-11-21
CN102461274B (zh) 2015-11-25
EP2425662A2 (en) 2012-03-07
WO2010126787A2 (en) 2010-11-04
TW201130345A (en) 2011-09-01
WO2010126787A3 (en) 2011-02-17
JP2012525777A (ja) 2012-10-22
KR20120011882A (ko) 2012-02-08
EP2425662A4 (en) 2015-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23465B2 (en) Registration method, session establishment method, terminal, and AMF entity
US1000395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location privacy protection in wireless access system supporting small cell environment
CN108574969B (zh) 多接入场景中的连接处理方法和装置
KR101367075B1 (ko) 액세스 네트워크와 코어 네트워크 사이에서 통신하기 위한 장치, 방법 및 물품
US20230292116A1 (en) Methods supporting authent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nd related network nodes and wireless terminals
CN113382468B (zh) 本地网络设备的地址分配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2019536342A (ja) 無線デバイスをハンドオーバ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923758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plural network attachment procedures to support plural connections in a wireless access system
US2019003733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location based services and/or location based policy control
EP3001709A1 (en) Communication terminal, base station apparatus and server apparatus
CN106470465B (zh) Wifi语音业务发起方法、lte通信设备、终端及通信系统
KR102568230B1 (ko) 보안 컨텍스트를 취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와 통신 시스템
US8830954B2 (en) Protocol for communication between mobile station and WiMAX signaling forwarding function
WO2013004905A1 (en) Trusted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ccess
US10595254B2 (en) Non-access stratum based access method and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WO2016180179A1 (zh) WiFi网络中获取终端位置的方法、终端、LTE通信设备及系统
JP2017519392A (ja) Msc間ハンドオーバのためのmapを介したimeisvの指示
WO2022021355A1 (zh) 会话建立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20240056804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US20240155439A1 (en) Securing communications at a change of connection
WO2024069502A1 (en) Providing security keys to a serving network of a user equipment
CN116896773A (zh) 用于演进分组系统(eps)中的用户装备(ue)路由选择策略(ursp)的ue策略增强
CN116367139A (zh) 通信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