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6333B1 -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6333B1
KR101366333B1 KR1020120009008A KR20120009008A KR101366333B1 KR 101366333 B1 KR101366333 B1 KR 101366333B1 KR 1020120009008 A KR1020120009008 A KR 1020120009008A KR 20120009008 A KR20120009008 A KR 20120009008A KR 101366333 B1 KR101366333 B1 KR 101366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panel
portable terminal
metal
metal deco
dec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9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7820A (ko
Inventor
김기환
권성용
안선모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9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6333B1/ko
Publication of KR20130087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7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6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6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04M1/0283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for providing a decorative aspect, e.g. customization of casings, exchangeable facepl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미려한 외관과 내구성이 증진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윈도우 패널; 상기 윈도우 패널의 일측에 구비되는 메탈 데코; 그리고 기 윈도우 패널과 상기 메탈 데코를 수용하는 프론트 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윈도우 패널과 상기 메탈 데코가 전면을 이루는 휴대 단말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hand-held terminal uni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미려한 외관과 내구성이 증진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간편하게 제작된 장치를 의미하며, 전화기, 컴퓨터, 카메라, PMP, MP3 플레이어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모바일 폰, 스마트 폰, 태블릿 피씨, 스마트 패드 등과 같은 장치들도 휴대 단말기라 할 수 있다.
최근에는 휴대 단말기를 통한 통화뿐만 아니라 인터넷 접속, 동영상이나 음원 청취, 파일 수신 등 다양한 기능을 사용자가 휴대 중에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단순 통화에서 다양한 디스플레이를 구현하기 위해서 디스플레이에 대한 성능이 날로 발전 되고 있다.
특히, 휴대 전화기로 사용되는 휴대 단말기는 취급의 용이를 위해서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크기가 작아야 하나, 최근에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구현을 위해서 화면의 크기가 점차 커지고 있다.
도 1은 종래 휴대 단말기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종래 휴대용 단말기(2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2),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구비되는 윈도우 패널(4)을 포함하는 형태가 일반적인데 상기 케이스(2)는 상부케이스(21)와 하부케이스(23)로 구비되고, 상기 윈도우 패널(4)은 상기 상부 케이스(21)에 구비되었다.
한편 휴대용 단말기(200)의 전원인 배터리(6)는 도 1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케이스(21) 내에 케이스 단자(213)과 연결되도록 구비되었다. 즉, 상부 케이스(21)에 형성되는 배터리 수용부(211)에 상기 배터리(6)가 수용된다.
많은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200)의 전면은 윈도우 패널로 이루어지고, 후면은 하부케이스(23)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200)의 측면들은 상부 케이스(21)만으로 이루어지거나, 상부 케이스(21)과 하부 케이스(2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윈도우 패널(4)은 투명 유리 재질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4b)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4b) 하부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휴대 단말기(200) 외부에서 화면을 볼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4b)의 상부에는 상부 윈도우 패널(4a)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하부 윈도우 패널(4c)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윈도우 패널(4)은 하나의 구성이나 하부의 구성들에 의해 공간적으로 상부 윈도우 패널(4a), 디스플레이부(4b) 그리고 하부 윈도우 패널(4c)로 구획된다고 할 수 있다.
상부 윈도우 패널(4a)의 하부에는 카메라 모듈(5)과 수신 모듈(7)이 구비될 수 있고, 하부 윈도우 패널(4c)에는 각종 키 모듈(8)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키 모듈(8)은 터치에 의해 작동하거나 변위에 의해 작동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 단말기(200)의 전면은 상부 케이스(21)이 이루는 테두리(9)를 제외하고는 윈도우 패널(4)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투명한 윈도우 패널(4)로 인해 휴대 단말기(200)의 전면을 미려한 외관으로 구성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디스플레이부(4b)를 제외한 상부 윈도우 패널(4a)과 하부 윈도우 패널(4c)을 통해서는 휴대 단말기(200) 내부를 볼 수 없도록 차단만 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미련한 외관, 특히 휴대 단말기 전면의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한편, 상기 윈도우 패널(4)은 유리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파손 우려가 있다. 특히, 윈도우 패널(4)에 직접 가해지는 외부 충격뿐만 아니라 테두리(9)로부터 직접 전해져 오는 외부 충격에 의해 윈도우 패널(4)의 파손 우려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는 휴대 단말기(200)가 지면에 떨어질 때 모서리 부분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많이 나타날 수 있다. 이 경우 충격을 받는 부분이 매우 좁고 이러한 충격은 테두리(9)를 통해 직접 윈도우 패널(4)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고가의 윈도우 패널(4) 손상으로 인해 수리비가 많이 드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9-081651호에 개시된 것과 같이 케이스에 금속을 구비한 구조에서 윈도우 패널의 손상이 더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휴대 단말기의 전면을 미려한 외관으로 구성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윈도우 패널의 손상을 방지하여 내구성이 우수하고 사용이 편리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조립이 용이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특히 휴대 단말기의 측면 모서리 부분에 발생되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윈도우 패널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윈도우 패널; 기 윈도우 패널의 일측에 구비되는 메탈 데코; 그리고 상기 윈도우 패널과 상기 메탈 데코를 수용하는 프론트 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윈도우 패널과 상기 메탈 데코가 전면을 이루는 휴대 단말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메탈 데코는 상기 윈도우 패널의 상측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휴대 단말기의 상부 측면을 이루는 상부 프레임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프레임은 상기 프론트 프레임과 별도의 구성으로 서로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 프레임과 프론트 프레임을 통해 휴대 단말기 전면의 테두리들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테두리 내부에 상기 메탈 데코와 윈도우 패널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의 상면은 상기 휴대 단말기의 상부로부터 상기 상부 프레임, 상기 메탈 데코 그리고 상기 윈도우 패널의 순서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론트 프레임은, 상기 메탈 데코가 수용되는 메탈 데코 수용부; 상기 윈도우 패널이 수용되는 윈도우 패널 수용부; 그리고 상기 메탈 데코 수용부와 상기 윈도우 패널 수용부 사이에서 상기 메탈 데코 수용부와 상기 윈도우 패널 수용부를 구획하는 구획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구획부는 상부로 돌출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탈 데코의 하면에는 상기 구획부의 돌출 높이에 대응되는 단차부가 형성되며, 상기 단차부는 상기 구획부를 덮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탈 데코와 상기 윈도우 패널의 상면 중 서로 마주보는 모서리에는 챔퍼 또는 라운드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탈 데코와 단차부 구성으로 인해 메탈 데코를 통해 윈도우 패널로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메탈 데코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의 대부분은 상기 구획부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메탈 데코는 상기 프론트 프레임의 전방으로부터 결합되고, 상기 메탈 데코의 하면에는 상기 프론트 프레임과의 결합을 위한 홈 또는 돌기가 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전면 폭 방향 테두리는 상기 프론트 프레임에 의해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상부 측면을 이루며 상기 프론트 프레임과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전면 길이 방향 상부 테두리는 상기 상부 프레임에 의해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먼저 상기 상부 프레임에 발생되는 충격은 많은 부분 상기 프론트 프레임에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윈도우 패널로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휴대 단말기의 전면을 미려한 외관으로 구성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윈도우 패널의 손상을 방지하여 내구성이 우수하고 사용이 편리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조립이 용이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특히 휴대 단말기의 측면 모서리 부분에 발생되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윈도우 패널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상부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휴대 단말기에서 메탈 데코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의 메탈 데코의 하부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충격 전달 경로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도 5의 AA' 단면도;
도 7은 도 5의 BB'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은 전술한 종래의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종래 휴대 단말기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상면 중 일부를 간략하게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는 특히 휴대 단말기(100)의 상면의 구성을 특징으로 하며,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 단말기(100)의 상부 상면의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특징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동일한 특징이 휴대 단말기(100)의 하면이나 하부 상면 등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100)의 상면은 윈도우 패널(10)과 메탈 데코(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메탈 데코(20)는 윈도우 패널(1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윈도우 패널(10)과 메탈 데코(20)를 통해 실질적으로 휴대 단말기(100)의 상면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윈도우 패널(10)과 메탈 데코(20)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론트 프레임(3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프레임(30)은 실질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상면을 이루는 구성들이 장착되기 위한 프레임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 패널(10)과 메탈 데코(20)가 장착된 후에는 특히 측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프론트 프레임(30)은 적어도 휴대 단말기의 폭 방향의 테두리(31)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폭 방향 테두리(31)를 통해 윈도우 패널(10)과 메탈 데코(20)이 폭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프론트 프레임(30)은 휴대 단말기의 길이 방향 하부의 테두리를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윈도우 패널(10)은 하나의 패널(10)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위치에 따라 달리 일컬어질 수 있다. 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10b)와 디스플레이부(10b)의 상부에 위치되는 상부 윈도우 패널(10a)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 않은 하부 윈도우 패널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하부 윈도우 패널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윈도우 패널(10a)과 메탈 데코(20) 사이에는 스피커(60) 내지는 통화 수신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60)와 메탈 데코(20) 등을 통해 휴대 단말기의 상부와 하부가 명확히 구분될 수 있게 된다.
상부 윈도우 패널(10a)에는 카메라 모듈이나 플레시 모듈 등이 휴대 단말기 외부와 연통되도록 복수 개의 홀(70)이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특히 상기 메탈 데코가 상기 상부 윈도우 패널(10a)의 상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 전면의 상부 테두리(41)와 상기 윈도우 패널(10) 사이에 상기 메탈 데코(2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는 장방형의 형상을 갖는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전면 테두리 형상도 장방형이며 윈도우 패널(10)의 형상도 장방형일 수 있다. 이러한 형상에 대응되도록 상기 메탈 데코(20)는 휴대 단말기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메탈 데코(20)의 폭 방향 길이는 상기 윈도우 패널(10)의 폭 방향 길이와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는 메탈 데코(20)의 폭 방향 길이가 윈도우 패널(10)의 폭 방향 길이와 서로 동일한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메탈 데코(20)는 먼저 미려한 외관 형성을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즉, 금속 광택을 갖도록 표면 처리가 되어 있어 미려한 외관 형성을 가능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탈 데코(20)는 플라스틱 사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고급스러운 외관을 구성하기 위하여 금속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3에는 메탈 데코(20)가 제거된 상태 또는 장착되기 전 상태의 휴대 단말기(100)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메탈 데코(20)의 배면이 도시되어 있다.
프론트 프레임(30)은 상기 메탈 데코(20)가 수용되는 메탈 데코 수용부(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메탈 데코 수용부(32)에 상기 메탈 데코(20)의 배면이 안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메탈 데코와 메탈 데코 수용부(32)의 결합 방법은 본딩, 후크 결합, 양면 테이프 등 다양하게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양자 간의 결합을 보다 견고히 하기 위하여 돌기와 상기 돌기와 대응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돌기와 홈은 메탈 데코나 메탈 데코 수용부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는 메탈 데코 수용부(32)에 형성된 돌기(33)와 홈(34)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4에는 상기 돌기(33)에 대응되는 홈(21)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 전면에서 상기 메탈 데코의 결합 및 분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메탈 데코 수용부(32)는 상기 메탈 데코(20)의 두께에 대응하여 하방으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메탈 데코(20)가 상기 메탈 데코 수용부(32)에 수용되면 메탈 데코(20)의 상면은 상기 프론트 프레임(30)의 측면 테두리(31)과 높이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측면 테두리(31)의 높이는 장착된 상기 윈도우 패널(10)의 상면의 높이와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론트 프레임(3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윈도우 패널(10)이 수용되는 윈도우 패널 수용부(36, 도 6 참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프론트 프레임(30)의 전면에 상기 메탈 데코(20)와 윈도우 패널(10)이 나란히 장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의 전면에서 상기 메탈 데코(20)와 윈도우 패널(10)은 서로 밀착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론트 프레임(30)은 상기 메탈 데코 수용부(32)와 윈도우 패널 수용부(36) 사이에서 양자를 구획하는 구획부(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획부(35)는 상기 메탈 데코(20)와 윈도우 패널(10) 사이를 구획하여 정확한 위치에 메탈 데코(20)와 윈도우 패널(10)이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특징 외에도 상기 구획부(35)는 휴대 단말기의 외부 충격이 상기 윈도우 패널(10)로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외부 충격이 전달되는 경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가 지면으로 떨어지는 경우 모서리 부분 먼저 지면과 충돌하여 충격이 휴대 단말기 내부로 전해진다. 특히, 휴대 단말기의 상측면은 길이가 짧기 때문에 충격을 받는 면적이 좁다. 이러한 외부 충격은 상부 테두리(41)를 통해 메탈 데코(20)로 전달되고, 다시 상기 윈도우 패널(10)로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메탈 데코(20)와 상기 윈도우 패널(10)이 접하는 부분에서 충격이 전달되어 윈도우 패널(10)의 파손 우려가 있다. 물론, 상기 메탈 데코(20)를 플라스틱 사출 형태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자체의 탄성에 의해 전달되는 충격이 완화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미려한 외관을 이루기 위해 금속 재질로 메탈 데코(20)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금속 재질의 특성상 충격이 그대로 전달될 우려가 있다.
휴대 단말기(100)의 외부 충격이 메탈 데코(20)를 통해 윈도우 패널(1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구획부(35)가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론트 프레임(30)은 플라스틱 사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재질 특성 상 충격이 어느 정도 흡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구획부(35)는 상기 프론트 프레임(3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별도의 구성으로 상기 구획부(35)는 상기 프론트 프레임(30)에 결합되는 구성일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이종 재질, 예를 들어 충격 흡수력이 더욱 뛰어난 고무 재질이나 실리콘 재질 등으로 상기 구획부(35)가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미려한 외관 구성을 위해서 상기 구획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10)의 전면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미려한 외관 구성을 위해 메탈 데코(20)를 통해 금속 광택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였는데, 플라스틱 재질이나 고무 재질 등의 구성이 외부로 노출되면 오히려 미려한 외관을 해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구획부(35)의 높이는 상기 프론트 프레임(30)의 측면 테두리(31)의 높이 보다는 낮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구획부(35)를 상기 메탈 데코(20)가 덮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획부(35)에 대응되어 상기 메탈 데코(20)의 하면에는 단차부(23)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차부(23)의 깊이는 상기 구획부(35)의 높이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탈 데코(20)는 비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메탈 데코와 구획부(35)의 특징으로 인해 상기 구획부는 휴대 단말기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실질적으로 메탈 데코에 의해 전달되는 충격은 상기 구획부(35)로 전달된다. 따라서, 직접적으로 메탈 데코에서 윈도우 패널(10)로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윈도우 패널(10), 메탈 데코(10) 그리고 프론트 프레임(30)의 결합 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도 5의 AA'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상면은 상부 프레임(40), 메탈 데코(20) 그리고 윈도우 패널(10) 순서로 구비된다. 즉, 휴대 단말기의 상면은 상측 최외각에 발생되는 충격은 상부 프레임(40)을 통해 메탈 데코(20)로 전달되고, 메탈 데코(20)에서 다시 구획부(35)로 전달된다. 따라서, 윈도우 패널(10)으로 전달되는 충격이 최소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 프레임(40)은 상기 프론트 프레임(30)과 별도의 구성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휴대 단말기의 상측에서 상기 프론트 프레임(30)과 결합되는 구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프레임(40)으로부터 직접 상기 프론트 프레임(30)으로 전달되는 충격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획부(35)는 상기 메탈 데코 수용부(32)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러나 구획부(35)의 돌출 높이는 상기 메탈 데코(20)의 두께보다 작다. 그리고, 상기 메탈 데코(20)의 하면에는 단차부(22)가 형성된다. 상기 단차부(22)는 상기 구획부(35)를 덮도록 상기 프론트 프레임(30)과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구획부(35)는 휴대 단말기의 전면으로 노출되지 않는다.
상기 구획부(35)는 양쪽의 메탈 데코 수용부(32)와 윈도우 패널 수용부(36)을 공간적으로 구획한다. 따라서, 상기 구획부(35)는 휴대 단말기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윈도우 패널 중심부는 디스플레이를 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 하부에는 디스플레이 패널(80)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프론트 프레임(30)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80)이 수용되기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 수용부(37)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윈도우 패널(10)과 상기 윈도우 패널 수용부(36) 사이에는 미도시된 투명 양면 테이프가 구비되어 윈도우 패널(10)이 상기 윈도우 패널 수용부(36)과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상면, 특히 상기 메탈 데코(20)와 윈도우 패널(10) 사이에는 간격이 최소화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이러한 간격을 통해 외부에서 이물질이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메탈 데코(20)와 윈도우 패널(10)은 서로 맞닿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러한 맞닿음을 통해서 충격이 전달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맞닿음 면적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윈도우 패널의 상부 모서리 부분(11)과 상기 메탈 데코의 하부 모서리 부분(24)에는 챔퍼 또는 라운드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챔퍼 또는 라운드를 통해 상기 메탈 데코(20)와 윈도우 패널(10)이 서로 맞닿을 수 있고, 이와 동시에 맞닿는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 상면이 연속적으로 구현됨과 동시에 간격을 없앨 수 있어 미려한 외관 구현 및 이물질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도 5의 BB'의 단면도이다.
BB'의 단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탈 데코(20)과 윈도우 패널(10) 사이에 스피커(60)가 구비된다. 상기 스피커(60)는 음성을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장치로 플라스틱 사출로 제작되는 스피커 하우징(61)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피커 하우징(61)은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상면에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구성으로 스피커(60)의 일부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 하우징(61)의 양측에는 하부로 연장되는 지지부(62, 63)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피커 하우징과 상기 지지부의 단면은 채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어느 하나의 지지부 또는 양쪽 지지부의 하부에는 평면부(64)가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는 하측의 지지부(63)에 평면부(64)가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평면부(64)는 프론트 프레임(30)의 윈도우 패널 지지부(36)과 동일 평면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윈도우 패널(10)의 일부는 상기 평면부(64)의 상면에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스피커(60)의 평면부(64)와 상기 윈도우 패널(10) 사이의 결합 관계에 의해 상기 스피커(60)가 휴대 단말기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평면부(64)와 윈도우 패널(10)의 일부분의 상면에는 불투명 재질의 시트(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정색 시트가 구비될 수 있다. 물론, 디스플레이부에 대응되는 윈도우 패널(10) 부분에는 이러한 시트가 구비되지 않거나, 투명 재질의 시트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시트는 양면 테이프일 수 있으며, 이러한 시트를 통해서 휴대 단말기 내부, 예를 들어 프론트 프레임(30)이 휴대 단말기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피커 하우징(61)과 상기 지지부(62, 63)는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플라스틱 사출 재질 특성과 그 형상의 특성으로 인해 메탈 데코(20)으로부터 상기 윈도우 패널(10)으로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현저히 방지할 수 있다. 왜냐하면 스피커(60) 자체에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고, 상기 지지부에서의 탄성 변형을 통해서도 충격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지지부(62)는 구획부(35)의 측면과 맞닿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탈 데코(20)로 전해지는 충격의 대부분은 상기 구획부(35)로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구획부(35)로 전달되는 충격은 구획부(35) 자체의 특성으로 인해 상기 지지부(62)로 전달되는 것을 현저히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스피커(60)를 통해 윈도우 패널(10)으로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현저히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메탈 데코(20)와 상기 스피커 하우징(61) 사이의 간격 그리고 상기 윈도우 패널(10)과 상기 스피커 하우징(61) 사이의 간격은 마찬가지로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물론, 서로 맞닿도록 구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며 맞닿는 면적이 최소화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스피커 하우징(61)과 맞닿는 부분, 즉 스피커 하우징의 상측과 하측, 상기 메탈 데코(20)의 하측 그리고 상기 윈도우 패널(10)의 상측 모서리 부분에는 챔퍼 또는 라운드가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40)은 상기 프론트 프레임(30)과 별도의 구성이다. 즉, 상부 프레임(40)은 프론트 프레임(30)과 결합하여 휴대 단말기의 상부 테두리를 형성하기 위한 구성이라 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프레임(40)에는 후크(43)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후크(43)에 대응되는 홈(48)이 상기 프론트 프레임(30)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후크(43)와 홈(48)의 결합을 통해 상부 프레임(40)이 상기 프론트 프레임(30)과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폭 방향 테두리는 상기 프론트 프레임(30)을 통해서 형성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길이 방향 상측 테두리는 상기 상부 프레임(40)을 통해서 형성된다고 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탈 데코(20)의 하면, 특히 단차부(23)에는 상기 스피커 하우징(61)의 형상과 대응되는 홈부(22)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홈부(22)는 상기 스피커 하우징(61)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스피커 하우징(61)이 견고히 프론트 프레임(30)에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윈도우 패널(10)은 휴대 단말기의 상면을 구성하고, 플라스틱 사출 재질로 형성되는 프레임을 통해 둘러싸인다. 따라서, 외부 충격은 프레임을 통해 흡수되어 윈도우 패널(10)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특히, 휴대 단말기의 상면 중 양측면 테두리는 프론트 프레임(3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물론, 휴대 단말기의 상면 중 하부 테두리도 상기 프론트 프레임(3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한편, 휴대 단말기 상면의 미려한 외관과 충격 전달 방지를 위한 메탈 데코(20)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메탈 데코와 상기 윈도우 패널도 상기 프레임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특히, 휴대 단말기의 상면 모서리의 테두리는 상기 프론트 프레임(30)과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메탈 데코를 통해 상기 윈도우 패널로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100 : 휴대 단말기 10 : 윈도우 패널
20 : 메탈 데코 30 : 프론트 프레임

Claims (11)

  1. 윈도우 패널;
    상기 윈도우 패널의 일측에 구비되는 메탈 데코; 그리고
    상기 윈도우 패널과 상기 메탈 데코를 수용하는 프론트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프론트 프레임은,
    상기 메탈 데코가 수용되는 메탈 데코 수용부;
    상기 윈도우 패널이 수용되는 윈도우 패널 수용부; 그리고
    상기 메탈 데코 수용부와 상기 윈도우 패널 수용부 사이에서 상기 메탈 데코 수용부와 상기 윈도우 패널 수용부를 구획하는 구획부를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 패널과 상기 메탈 데코가 전면을 이루는 휴대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 데코는 상기 윈도우 패널의 상측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상부 측면을 이루는 상부 프레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상면은 상기 휴대 단말기의 상부로부터 상기 상부 프레임, 상기 메탈 데코 그리고 상기 윈도우 패널의 순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는 상부로 돌출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 데코의 하면에는 상기 구획부의 돌출 높이에 대응되는 단차부가 형성되며, 상기 단차부는 상기 구획부를 덮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 데코와 상기 윈도우 패널의 상면 중 서로 마주보는 모서리에는 챔퍼 또는 라운드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 데코는 상기 프론트 프레임의 전방으로부터 결합되고, 상기 메탈 데코의 하면에는 상기 프론트 프레임과의 결합을 위한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전면 폭 방향 테두리는 상기 프론트 프레임에 의해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상부 측면을 이루며 상기 프론트 프레임과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전면 길이 방향 상부 테두리는 상기 상부 프레임에 의해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120009008A 2012-01-30 2012-01-30 휴대용 단말기 KR101366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9008A KR101366333B1 (ko) 2012-01-30 2012-01-30 휴대용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9008A KR101366333B1 (ko) 2012-01-30 2012-01-30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7820A KR20130087820A (ko) 2013-08-07
KR101366333B1 true KR101366333B1 (ko) 2014-02-21

Family

ID=49214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9008A KR101366333B1 (ko) 2012-01-30 2012-01-30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633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81651A (ja) * 2007-09-26 2009-04-16 Fujitsu Ltd 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81651A (ja) * 2007-09-26 2009-04-16 Fujitsu Ltd 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7820A (ko) 2013-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4611B1 (ko) 핸드헬드 장치 인클로저
KR101463218B1 (ko) 휴대용 단말기
JP6255165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の破損防止構造を備える携帯用端末機
US8885867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50029733A (ko) 휴대형 전자제품
US20130051595A1 (en) Electronic device with sound chamber
CN106385473B (zh) 壳体、指纹模组和移动终端
US20140092564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KR20110009710U (ko) 휴대폰 보호케이스
KR102099721B1 (ko) 이동 단말기
KR20230011224A (ko) 휴대폰 케이스
CN106444985B (zh) 移动终端
KR101366333B1 (ko) 휴대용 단말기
US20130050977A1 (en) Housing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CN210137344U (zh) 一种电子设备
JP5905796B2 (ja) 携帯端末
JP2013106195A (ja) 携帯端末
US9402325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protect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20007810A1 (en) Touch-sensitive display apparatus
US20130135795A1 (en) Electronic device
KR20160145353A (ko) 휴대폰 모서리 케이스
JP2014033393A (ja) 携帯端末
KR20100005201U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액정표시부 보호구조
KR200242607Y1 (ko) 무선단말기의 액정표시부 고정 구조
KR102112557B1 (ko) 전자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