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6253B1 - 영상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6253B1
KR101366253B1 KR1020070073123A KR20070073123A KR101366253B1 KR 101366253 B1 KR101366253 B1 KR 101366253B1 KR 1020070073123 A KR1020070073123 A KR 1020070073123A KR 20070073123 A KR20070073123 A KR 20070073123A KR 101366253 B1 KR101366253 B1 KR 101366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ection
center position
correction value
video signal
correction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3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3044A (ko
Inventor
히데히토 오가와
마사유키 오타와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90003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6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62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2Automatic gai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7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토대로 휘도를 제어하여 소비전력의 절감과 고화질화가 가능한 영상 신호 처리 장치, 영상 신호 처리 방법, 프로그램, 및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표시 화면을 복수개의 분할 영역으로 분할하고, 입력된 영상 신호를 토대로 분할 영역마다 평균 휘도를 산출하는 평균 휘도 산출부와, 분할 영역마다 평균 휘도를 토대로 보정 중심 위치를 설정하는 보정 중심 설정부와, 보정 중심 위치를 기점으로 표시 화면의 표시 위치에 따른 보정값을 설정하는 보정값 설정부와, 보정값을 토대로 영상 신호의 게인(Gain)을 조정하는 게인 조정부를 구비하는 영상 신호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영상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표시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signal, and apparatus for display}
본 발명은 신호 처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영상 신호 처리 장치, 영상 신호 처리 방법, 프로그램, 및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CRT 디스플레이(Cathode Ray Tube display)를 대신하는 표시 장치로서, 0LED 디스플레이(0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또는 유기 EL 디스플레이(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isplay)라고도 불린다.), FED(Field Emission Display;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PDP(Plasma Display Panel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자발광형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다양한 표시 장치의 개발에서는, 적은 소비전력으로 고화질화를 꾀하는 것이 기술적인 목표로 되어 있다. 이러한 가운데, 소비 전력을 절감시키면서 고화질화를 꾀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는 경우에 있어서, 항상 화면의 물리적인 중심점을 기점으로 하여 화면 가장자리를 향해 휘도를 내림으로써 소비전력을 절감시키는 기술로는, 예를 들어, 특허 제3115727호 공보를 들 수 있다.
그렇지만, 화면의 물리적인 중심점을 기점으로 하여 화면 가장자리를향해 휘도를 내리는 기술을 이용한 종래의 표시 장치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가 나타내는 영상(또는 화상)이 어떠한 영상이었다 해도, 항상 화면의 물리적인 중심점을 기점으로 화면 가장자리를 향해 휘도가 내려가도록 영상 신호를 처리한다. 따라서, 종래의 표시 장치에서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가 어던 영상을 나타내고 있는지에 대해 고려되지 않았으며, 입력되는 영상 신호가 나타내는 영상(즉, 실제로 표시되는 영상)에 따라서는, 소비전력의 절감과 함께 화질의 저하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표시 장치에서의 문제를 나타낸다.
(종래의 표시 장치에서의 문제)
도 1은 기존 표시 장치에서의 문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기존의 표시 장치는 표시되는 영상 중 중요한 정보는 화면 중앙부에 존재한다는 전제 하에 해당 중앙부의 휘도는 내리지 않고 화면 가장자리를 향해 휘도를 내림으로써 소비전력의 절감과 고화질화를 꾀하고 있다.
그렇지만,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의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영상은 화면의 중앙부에 중요한 정보(예를 들어, 인물 등)가 존재한다고는 할 수 없다. 여기서, 종래의 표시 장치는 도 1A에 나타내는 인물(중요한 정보)이 화면에 대해 오른쪽 가장자리에 표시되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영상 신호가 입력된 경우라도, 항상 화면의 물리적인 중심점을 기점으로 하여 화면 가장자리를 향해 휘도가 내려가도록 영상 신호를 처리한다. 즉, 기존의 표시 장치는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요한 정보(예를 들어, 인물 등)가 표시되는 부분의 휘도가 내려간 영상을 표 시하게 된다. 따라서, 기존의 표시 장치에서는 휘도 제어에 의한 소비전력의 절감과 함께 화질 저하를 초래하는 경우가 있으며, 고화질화는 바랄 수도 없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바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토대로 휘도를 제어하여 소비전력의 절감과 고화질화가 가능한 새로운 개량된 영상 신호 처리 장치, 영상 신호 처리방법, 프로그램, 및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의하면, 표시 화면을 복수개의 분할 영역으로 분할하고, 입력된 영상 신호를 토대로 상기 분할 영역마다 평균 휘도를 산출하는 평균 휘도 산출부와, 상기 분할 영역마다 평균 휘도를 토대로 보정 중심 위치를 설정하는 보정 중심 설정부와, 상기 보정 중심 위치를 기점으로 하여 상기 표시 화면의 표시 위치에 따른 보정값를 설정하는 보정값 설정부와, 상기 보정값을 토대로 상기 영상 신호의 게인을 조정하는 게인 조정부를 구비하는 영상 신호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영상 신호 처리 장치는 평균 휘도 산출부, 보정 중심 설정부, 보정값 설정부, 게인 조정부를 구비할 수 있다. 평균 휘도 산출부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가 나타내는 영상(또는, 화상. 이하, 영상 신호는 대응하는 영상 또는 화상을 나타낼 수 있는 것으로 설명한다.)을 표시하는 표시 화면을 복수개의 분할 영역으로 구분하고, 입력된 영상 신호를 토대로 분할 영역마다 평균 휘도를 산출할 수 있다. 보정 중심 설정부는 분할 영역마다 평균 휘도를 토대로 보정 중심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보정값 설정부는 보정 중심 설정부에서 설정된 보정 중심 위치를 기점으로 하여 표시 화면의 표시 위치에 따른 보정값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보정값 설정부는, 예를 들어, 보정 중심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표시 화면의 주변을 향해 게인을 감쇠시키기 위한 보정값을 설정할 수 있다. 게인 조정부는 보정값 설정부가 설정한 표시 화면의 표시 위치에 따른 보정값을 토대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게인을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영상 신호 처리 장치는 표시 화면에 표시한 경우에 소비전력을 억제하면서 고화질화를 꾀할 수 있도록 영상 신호의 휘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정값 설정부는 상기 보정 중심 위치를 기점으로 하여 상기 표시 화면의 화면 가장자리를 향해 영상 신호의 게인을 감쇠시키는 보정값을 설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표시 화면에 표시한 경우에 소비전력을 억제하면서 고화질화를 꾀할 수 있도록 영상 신호의 휘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 상기 보정값 설정부는 상기 보정 중심 위치의 미리 규정된 기준 위치에 대한 편차(slippage)량에 따라 영상 신호의 게인의 감쇠율을 변경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더 나은 고화질화를 꾀할 수 있다.
또, 상기 보정값 설정부는 상기 보정 중심 설정부가 설정한 상기 보정 중심 위치가 제1 보정 중심 위치에서 제2 보정 중심 위치로 변화한 경우에는, 상기 제1 보정 중심 위치에 대응하는 보정값에서 상기 제2 보정 중심 위치에 대응하는 보정값으로 단계적으로 보정값를 변화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더 나은 고화질화를 꾀할 수 있다.
또, 상기 보정 중심 설정부는 상기 분할 영역마다 평균 휘도가 최대인 분할 영역의 중심점을 상기 보정 중심 위치에 설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표시 화면에 표시한 경우에 소비전력을 억제하면서 고화질화를 꾀할 수 있도록 영상 신호의 휘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 상기 보정 중심 설정부는 상기 분할 영역마다 평균 휘도가 최대가 되는 분할 영역이 복수개 있는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예비 설정 위치를 상기 보정 중심 위치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표시 화면에 표시한 경우에 소비전력을 억제하면서 고화질화를 꾀할 수 있도록 영상 신호의 휘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의하면, 표시 화면을 복수개의 분할 영역으로 분할하고, 입력된 영상 신호를 토대로 상기 분할 영역마다 평균 휘도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분할 영역마다 평균 휘도를 토대로 보정 중심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보정 중심 위치를 기점으로 하여 상기 표시 화면의 표시 위치에 따른 보정값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보정값을 토대로 상기 영상 신호의 게인을 조정하는 단계를 갖는 영상 신호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이러한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표시 화면에 표시한 경우에 소비전력을 억제하면서 고화질화를 꾀할 수 있도록 영상 신호의 휘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의하면, 표시 화면을 복수개의 분할 영역으로 분할하고, 입력된 영상 신호를 토대로 상기 분할 영역마다 평균 휘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분할 영역마다 평균 휘도를 토대로 보정 중심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보정 중심 위치를 기점으로 상기 표시 화면의 표시 위치에 따른 보정값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보정값을 토대로 상기 영상 신호의 게인을 조정하는 단계를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이러한 프로그램에 의해, 표시 화면에 표시한 경우에 소비전력을 억제하면서 고화질화를 꾀할 수 있도록 영상 신호의 휘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4 관점에 의하면, 자발광형 표시 장치로서, 입력된 영상 신호를 보정하는 영상 신호 보정부와, 상기 영상 신호 보정부가 보정한 영상 신호를 토대로 영상을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영상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영상 신호 보정부는 상기 표시 화면을 복수개의 분할 영역으로 분할하고, 입력된 영상 신호를 토대로 상기 분할 영역마다 평균 휘도를 산출하는 평균 휘도 산출부와, 상기 분할 영역마다 평균 휘도를 토대로 보정 중심 위치를 설정하는 보정 중심 설정부와, 상기 보정 중심 위치를 기점으로 상기 표시 화면의 표시 위치에 따른 보정값을 설정하는 보정값 설정부와, 상기 보정값을 토대로 상기 영상 신호의 게인을 조정하는 게인 조정부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표시 장치는 영상 신호 보정부와 영상 표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영상 신호 보정부는 평균 휘도 산출부, 보정 중심 설정부, 보정값 설정부, 게인 조정부를 구비할 수 있고,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토대로 보정 중심 위치를 설정하며, 해당 보정 중심 위치를 기점으로 표시 화면의 표시 위치에 따라 영상 신호의 게인을 보정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신호 보정부는, 예를 들어, 보정 중심 위치를 중심 으로 표시 화면의 주변을 향해 게인을 감쇠시키기 위한 보정값을 설정할 수 있다. 영상 표시부는 영상 신호 보정부가 보정한 영상 신호를 토대로 영상을 표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표시부는 예를 들어, 매트릭스 모양으로 배치된 화소를 가지고, 영상 신호에 따라 인가되는 전압/전류에 의해 각 화소가 자발광함으로써 영상을 표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표시 장치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토대로 휘도를 제어하여 소비전력의 절감과 고화질화를 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토대로 휘도를 제어하여 소비전력의 절감과 고화질화를 꾀할 수 있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가진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첨부함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영상 신호 처리 장치에서의 처리 개요)
우선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영상 신호 처리 장치에서의 처리 개요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영상 신호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처리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처리 개요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영상 신호 처리 장치뿐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에도 적합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영상 신호 처리 장치는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문제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토대로 영상 신호를 보정하는 기점(이하, 「보정 중심 위치」라고 한다.)을 적당히 설정하고, 설정된 보정 중심 위치를 중심으로 표시 화면 가장자리를 향해 연속적으로 영상 신호의 게인을 감쇠시킨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연속적」은 이산값이 모이는 것에 따른 의사적 연속을 포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영상 신호 처리 장치는 이하의 (I)∼(III)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영상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I) 보정 중심 위치의 선택 처리 1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력되는 영상 신호가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화면을 복수개의 분할 영역으로 구분하고,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토대로 해당 분할 영역마다 영상 신호의 평균 휘도를 산출한다.
또한, 도 2A에서는 A1∼A24의 24영역으로 구분된 예를 나타내고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분할 영역수가 24영역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두 말할 필요도 없다.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분할 영역수는, 예를 들어, 미리 규정된 수일 수도 있고, 또는, 영상 신호 처리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이나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해상도 등에 따라 적당히 설정될 수도 있다.
(II) 보정 중심 위치의 선택 처리 2
분할 영역마다 산출된 평균 휘도 중 가장 평균 휘도가 높은 분할 영역의 중심 위치를 영상 신호의 보정 중심 위치로 설정한다(원칙 처리). 또한, 예를 들어, 가장 평균 휘도가 높은 분할 영역이 복수개 존재하는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예비 설정 위치를 영상 신호의 보정 중심 위치로 설정할 수도 있다(예외 처리).
(III) 영상 신호의 보정 처리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정된 보정 중심 위치를 중심으로 표시 화면의 가장자리를 향해 연속적으로 영상 신호의 게인을 감쇠시키고, 휘도를 조정한다. 여기서, 도 2B에서는 보정 중심 위치로 분할 영역 A8이 설정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영상 신호 처리 장치는 도 2 및 상기 (I)∼(III)에 나타내는 처리를 함으로써 휘도를 제어하고,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소비전력의 절감을 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영상 신호 처리 장치는 보정 중심 위치를 평균 휘도가 높은 위치(즉, 중요한 정보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 영역의 중심 위치)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도 1B에 나타내는 문제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영상 신호 처리 장치와 마찬가지로 휘도를 제어한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화상,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영상 신호 처리 장치와 마찬가지로, 도 1B에 나타내는 문제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토대로 휘도를 제어하여 소비전력의 절감과 고화질화를 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영상 신호 처리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성 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형태에 관한 영상 신호 처리 장치)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여기서, 도 3에서는 하나의 영상 신호를 나타내고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입력되는 영상 신호가 R, G, B 각 색마다 독립된 신호일 수도 있다.
또, 이하에서는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에 입력되는 영상 신호는 예를 들어, 디지털 방송 등에서 이용되는 디지털 신호라고 설명하는데,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아날로그 방송 등에서 이용되는 아날로그 신호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에 입력되는 영상 신호는, 예를 들어, 방송국에서 송신되어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가 수신한 것이라고 할 수 있는데,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에 입력되는 영상 신호는 LAN(Local Area Network)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가 수신한 것일 수도 있고, 또는,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가 구비하는 기억부에 저장된 영상 파일이나 화상 파일을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가 독출한 것일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평균 휘도 산출부(102), 보정 중심 설정부(104), 보정값 설정부(106) 및 게인 조정부(108)를 구비할 수 있다.
또,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어, MPU(Micro Processing Unit) 등으로 구성되어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 전체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제어부 (도시하지 않음)나, 제어부가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나 연산 파라미터 등의 제어용 데이터가 기록된 ROM(Read Only Memory;도시하지 않음), 제어부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등을 1차 기억하는 RAM(Random Access Memory;도시하지 않음), 평균 휘도 산출부(102)에서의 평균 휘도의 산출이나 보정값 설정부(106)에서의 보정값 설정에 이용되는 데이터 등을 기억할 수 있는 기억부(도시하지 않음), 방송국 등으로부터 송신되는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도시하지 않음), 사용자가 조작가능한 조작부(도시하지 않음) 등을 구비할 수도 있다.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어, 데이터의 전송로로서의 버스(bus)에 의해 상기 각 구성 요소 사이를 접속할 수 있다. 여기서, 기억부(도시하지 않음)로는,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Hard Disk) 등의 자기 기록 매체나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 광자기 디스크(Magneto Optical Disk)를 들 수 있는데,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조작부(도시하지 않음)로는, 예를 들어, 키보드(keyboard)나 마우스(mouse) 등의 조작 입력 장치나 버튼, 방향 키, 혹은 이들의 조합 등을 들 수 있는데,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평균 휘도 산출부(102)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토대로 소정 기간에 있어서의 휘도의 평균값을 산출한다. 평균 휘도 산출부(102)가 평균 휘도를 산출하는 소정 기간으로는, 예를 들어, 1 프레임 기간을 들 수 있는데,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후술하는 게인 조정부(108)에서 영상 신호의 게인을 조정하는 주기와 맞춘 기간으로 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평균 휘도 산출부(102)가 평균 휘도를 산출하는 소정 기간을 1 프레임 기간으로 설명한다.
또, 평균 휘도 산출부(102)는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력되는 영상 신호가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화면을 복수개의 분할 영역으로 구분하고,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토대로 해당 분할 영역마다 영상 신호의 평균 휘도를 산출할 수 있다. 평균 휘도 산출부(102)가 평균 휘도를 산출하기 위해 이용하는 분할 영역의 수나 사이즈 등의 정보는, 예를 들어, 평균 휘도 산출부(102)가 기억 수단을 구비하고, 해당 기억 수단에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여기서, 평균 휘도 산출부(102)가 구비하는 기억 수단으로는, 예를 들어,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and Programmable Read 0nly Memory), 플래쉬 메모리, MRAM(Magneto Resistive Random Access Memory), FeRAM(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y), PRAM(Phasechange Random Access Memory)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를 들 수 있는데,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평균 휘도 산출부(102)가 평균 휘도를 산출하기 위해 이용하는 분할 영역의 수나 사이즈 등의 정보는, 예를 들어,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의 기억부(도시하지 않음)에 기억되며, 평균 휘도 산출부(102)가 해당 기억부(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적당히 독출할 수도 있다는 것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
평균 휘도 산출부(102)가 산출하는 소정 기간에서의 평균 휘도의 산출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상가 평균(산술 평균)을 이용하는 것을 들 수 있는데,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상승 평균(기하 평균)이나 가중 평균을 이용하여 산출할 수도 있다.
보정 중심 설정부(104)는 평균 휘도 산출부(102)가 분할 영역마다 산출한 평균 휘도를 토대로 보정 중심 위치를 설정한다. 여기서, 보정 중심 설정부(104)는, 예를 들어, 이하의 (A), (B)에 따라 보정 중심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A) 원칙 처리
평균 휘도 산출부(102)가 산출한 분할 영역 각각의 평균 휘도를 비교하고, 평균 휘도가 가장 높은 분할 영역의 중심 위치를 보정 중심 위치로 설정한다.
보정 중심 설정부(104)는 예를 들어, 하나의 분할 영역을 선택 후보 영역으로 가선택하고, 해당 하나의 분할 영역의 평균 휘도와 다른 분할 영역의 평균 휘도를 비교하여 평균 휘도가 높은 분할 영역을 새로운 선택 후보 영역으로 한다. 상기 비교를 반복함으로써 보정 중심 설정부(104)는 평균 휘도가 가장 높은 분할 영역을 특정할 수 있다. 또, 하나의 분할 영역의 평균 휘도와 다른 분할 영역의 평균 휘도가 같은 경우에는, 예를 들어, 해당 평균 휘도의 값을 가진 분할 영역이 복수개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세울 수 있다(당연히 평균 휘도의 값이 갱신된 경우에는 플래그는 해제되게 된다.). 여기서, 보정 중심 설정부(104)가 비교하는 분할 영역이나 분할 영역 각각의 평균 휘도의 값, 상기 플래그 등의 각종 정보는, 예를 들어, 보정 중심 설정부(104)가 기억 수단을 구비하고, 해당 기억 수단에 저장될 수도 있다. 보정 중심 설정부(104)가 구비하는 기억 수단으로는, 예를 들어, SDRAM(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나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등의 휘발성 메모리(volatile memory)를 들 수 있는데,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플래쉬 메모리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일 수도 있다. 또한, 보정 중심 설정부(104)에서의 평균 휘도의 비교 방법이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두 말할 필요도 없다.
(B) 예외 처리: 평균 휘도가 가장 높은 분할 영역이 복수개 있는 경우
상기 (A)에 나타내는 원칙 처리가 이뤄진 결과, 평균 휘도가 가장 높은 분할 영역이 복수개 존재하는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예비 설정 위치를 보정 중심 위치로 설정한다.
여기서, 상기 예비 설정 위치로는, 예를 들어,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화면의 메카 센타의 위치(즉, 표시 화면의 물리적인 중심점의 위치)를 들 수 있는데,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상기 예비 설정 위치는, 예를 들어, 고정 위치로 할 수 있는데,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예비 설정 위치는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의 조작부(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적당히 변경할 수도 있다.
보정값 설정부(106)는 보정 중심 설정부(104)가 설정한 보정 중심 위치를 토대로, 영상 신호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값을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화면의 표시 위치에 따라 설정한다. 이하, 보정값 설정부(106)에서의 보정값의 설정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제1 보정값 설정 방법]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보정값 설정부(106)에서의 제1 보정값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여기서, 도 4A는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화면을 나타내고 있고, 또 도 4B는 도 4A에 나타내는 표시 화면의 표시 위치(Position)와 영상 신호의 보정후의 목표 게인(Gain)과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4에 있어서 각 표시 위치에서의 목표 게인(Gain)은 보정값 설정 부(106)가 설정하는 보정값에 각각 대응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보정 중심 위치(C1)로 분할 영역(A8)의 중심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이 때, 보정값 설정부(106)는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정 중심 위치(C1)를 기점으로 표시 화면의 가장자리를 향해 게인을 감쇠시키는 보정값을 설정한다. 또한, 도 4B에서는 표시 위치(Position)의 일 예로서 수평 방향을 나타내고 있는데, 수직 방향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보정 중심 위치를 기점으로 표시 화면의 가장자리를 향해 게인을 감쇠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보정값 설정부(106)는 보정 중심 위치를 기점으로 주변을 향해 게인을 감쇠시키기 위한 보정값을 설정할 수 있다.
제1 보정값 설정 방법을 이용하는 보정값 설정부(106)는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정 중심 위치(C1)로부터 표시 화면 가장자리까지의 거리(d1, d2)와, 게인의 하락폭(g1)을 이용하여 표시 화면의 표시 위치(Position)에 따른 보정값을 설정할 수 있다.
또, 게인의 하락폭(g1)은 미리 설정된 게인의 상한값 및 하한값에 의해 규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B에서는 상한값으로 “1.0”이 설정되어 있고, 보정 중심 위치(C1)에서는 영상 신호의 게인은 변화하지 않는다.또, 도 4B에서는 하한값으로“0.8”이 설정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상한값 및 하한값이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두 말할 필요도 없다. 또, 상기 게인의 상한값 및 하한값의 값은 고정된 값으로 할 수 있지만,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의 조작부(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사용 자 입력에 따라 적당히 변경할 수도 있다.
보정값 설정부(106)가 보정값를 설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상한값이나 하한값 등의 정보는, 예를 들어, 보정값 설정부(106)가 기억 수단을 구비하고, 해당 기억 수단에 저정할 수 있다. 여기서, 보정값 설정부(106)가 구비하는 기억 수단으로는, 예를 들어, EEPROM이나 플래쉬 메모리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를 들 수 있는데,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보정값 설정부(106)가 보정값을 설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상한값이나 하한값 등의 정보 등의 정보는, 예를 들어,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의 기억부(도시하지 않음)에 기억되고, 보정값 설정부(106)가 해당 기억부(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적당히 독출할 수도 있음은 두 말할 필요도 없다.
따라서, 보정값 설정부(106)는 제1 보정값 설정 방법을 이용함으로써보정 중심 위치를 기점으로 표시 화면의 화면 가장자리를 향해 영상 신호의 게인을 감쇠시키는 보정값을 설정할 수 있다.
[제2 보정값 설정 방법]
도 4에 나타내는 제1 보정값 설정 방법에서는 표시 화면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의 게인을 보정 중심 위치에 따르지 않고 게인의 하한값까지 감쇠시키는 보정값을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냈다. 그렇지만,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보정값 설정 방법은 도 4에 나타내는 제1 보정값 설정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래서, 다음에 제2 보정값 설정 방법으로 보정 중심 위치에 따라 게인의 하한값을 변동시키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보정값 설정부(106)에서의 제2 보정값 설 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여기서, 도 5A는 도 4A와 같이,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화면을 나타내고 있다. 또 도 5B는 도 4B와 마찬가지로, 도 5A에 나타내는 표시 화면의 표시 위치(Position)와 영상 신호의 보정 후의 목표 게인(Gain)과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보정 중심 위치(C1)로서 분할 영역(A8)의 중심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이 때, 보정값 설정부(106)는 제1 보정값 설정 방법과 마찬가지로, 보정 중심 위치(C1)를 기점으로 표시 화면의 가장자리를 향해 게인을 감쇠시키는 보정값을 설정한다.
여기서, 도 5B를 참조하면, 표시 화면 가장자리(Left)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의 게인의 하한값(L)과, 표시 화면 가장자리(Right)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의 게인의 하한값(0.8)에서 서로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표시 화면 가장자리(Left)와 표시 화면 가장자리(Right)에서 영상 신호의 게인의 하한값을 동일하게 한 경우, 보정 중심 위치의 위치에 따라서는, 한 쪽의 표시 화면 가장자리의 휘도가 극단적으로 내려가 버리는 일이 있기( 즉, 게인의 감쇠율이 커지기)때문이다.
따라서, 제1 보정값 설정 방법을 이용하는 보정값 설정부(106)는 보정 중심 위치의 미리 규정된 기준 위치에 대한「편차(slippage)량」에 따라 영상 신호의 게인의 하한값을 적당히 설정함으로써 영상 신호의 게인의 감쇠율을 변경한다.
여기서, 「편차량」은, 예를 들어, 표시 화면의 중심 위치(도 5B의 Center)를 기준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B에서는 편차량은 z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편차량은 도 5B의 편차량(z)과 같이 표시 화면의 일 방향(예를 들어, 표시 화면의 수평 방향)에 따른 거리에 대응하는 값으로 할 수 있는데,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기준 위치(예를 들어, 메카 센터)와 보정 중심 위치 사이의 유클리드 거리일 수도 있다.
보정값 설정부(106)는 예를 들어, 편차량(z)과 게인의 하한값(L)이 대응된 룩업 테이블(Look Up Table)을 이용하여 결정된 편차량(z)에 따른 게인의 하한값(L)을 설정할 수 있다. 보정값 설정부(106)가 보정값을 설정하기 위해 이용하는 룩업 테이블 등의 정보는, 예를 들어, 보정값 설정부(106)가 구비하는 기억 수단에 기억할 수 있는데,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의 기억부(도시하지 않음)에서 적당히 독출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 실시형태에 관한 게인의 하한값(L)의 설정 수단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게인의 하한값에 편차량에 따른 값을 가산함으로써 게인의 하한값(L)을 설정할 수도 있다.
제2 보정값 설정 방법을 이용하는 보정값 설정부(106)는 제1 보정값 설정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보정 중심 위치(C1)에서 표시 화면 가장자리까지의 거리(d1, d2)와, 게인의 하락폭(g1), 게인의 하한값(L)에 의해 규정되는 게인의 하락폭(g2)을 이용하여 표시 화면의 표시 위치(Position)에 따른 보정값을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보정값 설정부(106)는 제2 보정값 설정 방법을 이용함으로써보정 중심 위치를 기점으로 표시 화면의 화면 가장자리를 향해 영상 신호의 게인을 감쇠시키는 보정값을 설정할 수 있다.
[제3 보정값 설정 방법]
보정 중심 설정부(104)는 평균 휘도가 가장 높은 분할 영역이 복수개 존재하는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예비 설정 위치를 보정 중심 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예외 처리). 그래서, 다음에 제3 보정값 설정 방법으로 보정 중심 설정부(104)에서 예외 처리가 이루어진 경우에서의 보정값 설정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보정값 설정부(106)에서의 제3 보정값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여기서, 도 6A는 도 4A와 마찬가지로,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화면을 나타내고 있다. 또, 도 6B는 도 4B와 마찬가지로, 도 6A에 나타내는 표시 화면의 표시 위치(Position)와 영상 신호의 보정 후의 목표 게인(Gain)과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도 6A는 평균 휘도가 가장 높은 분할 영역이 A8과 A18이었던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며, 영상 신호를 보정하는 기점으로 보정 중심 위치(CO)(예비 설정 위치)가 표시 화면의 메카 센터의 위치(즉, 표시 화면의 물리적인 중심점의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이 때, 보정값 설정부(106)는 제1 보정값 설정 방법과 마찬가지로, 보정 중심 위치(C0)를 기점으로 표시 화면의 가장자리를 향해 게인을 감쇠시키는 보정값을 설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예비 설정 위치는 도 6에 나타내는 표시 화면의 메카 센터의 위치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표시 화면의 임의의 위치에 설정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예비 설정 위치는, 예를 들어, 미리 규정된 고정위치일 수도 있고, 또는, 영상 신호 처리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부터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적당히 설정(변경)될 수도 있다.
제3 보정값 설정 방법을 이용하는 보정값 설정부(106)는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정 중심 위치(C0)에서 표시 화면 가장자리까지의 거리(dO)와, 게인의 하락폭(g1)을 이용하여 표시 화면의 표시 위치(Position)에 따른 보정값을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보정값 설정부(106)는 제3 보정값 설정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보정 중심 위치를 기점으로 표시 화면의 화면 가장자리를 향해 영상 신호의 게인을 감쇠시키는 보정값을 설정할 수 있다.
[제4 보정값 설정 방법]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보정값 설정부(106)는 상술한 제1∼제3 보정값 설정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1프레임 기간(소정 기간)마다 보정 중심 위치에 따른 보정값을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상술한 제1∼제3 보정값 설정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각 프레임에 있어서 소비전력을 저감시키면서, 각 프레임에 표시 화면에 표시되는 화상의 화질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정값 설정부(106)는 상술한 제1∼제3 보정값 설정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각 프레임마다 영상 신호를 보정하는데 적합한 보정값을 설정할 수 있다. 그렇지만, 각 프레임 단위로 적합한 보정값를 설정했다 하더라도, 복수의 프레임 단위로 본 경우에 화질 측면에서 예기치 않는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제4 보정값 설정 방법이 대상으로 하는 문제〕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보정값 설정부(106)에서의 제4 보정값 설정 방법이 대상으로 하는 문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어 느 프레임에서의 보정 중심 위치 및 보정값을 나타내고 있고, 또 도 7C 및 도 7D는 도 7A 및 도 7B에 나타내는 프레임의 다음 프레임에서의 보정 중심 위치 및 보정값을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정 중심 위치가 분할 영역(A8)의 보정 중심 위치(C1)(도 7A; 제1 보정 중심 위치)에서 분할 영역(Al1)의 보정 중심 위치(C2)(도 7C; 제2 보정 중심 위치)로 변화한 경우, 표시 화면의 표시 위치에 따른 보정값도 또한 각각의 보정 중심 위치에 따른 것으로 설정된다. 그렇지만, 도 7B와 도 7D를 비교하면 알 수 있듯이, 1프레임의 천이로 표시 화면의 표시 위치에 따른 보정값이 급격히 변화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프레임의 천이로 표시 화면의 표시 위치에 따른 보정값이 급격하게 변화한 경우에는, 휘도의 변화가 표시 화면에 노골적으로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경우에는, 가령 프레임마다 적합한 영상 신호의 보정이 이루어졌다 하더라도 표시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의 화질의 저하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다음에 도 7에 나타내는 상기 문제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제4 보정값 설정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제4 보정값 설정 방법의 문제 해결 어프로치〕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보정값 설정부(106)에서의 제4 보정값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제4 보정값 설정 방법에서는 도 7에 나타내는 상기 문제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보정값을 단계적으로 변화시킨다. 예를 들어, 도 8은 도 7A에 나타내는 보정 중심 위치(C1)(제1 보정 중심 위치)에서 도 7C에 나타내는 보정 중심 위치(C2)(제2 보정 중심 위치)로 4 프레임 기간에 단계적으로 변화시키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제4 보정값 설정 방법을 이용하는 보정값 설정부(106)는 보정 중심 위치가 보정 중심 위치(C1)에서 보정 중심 위치(C2)로 변화하면, 예를 들어, C1-C2 사이의 거리를 4등분 한 중간 보정 중심 위치(도 8의「C1-1」∼「C1-3」)를 결정한다. 보정값 설정부(106)는 1 프레임째에 중간 보정 중심 위치(C1-1)를 기점으로 한 보정값을 설정하고(도 8B), 2 프레임째에 중간 보정 중심 위치(C1-2)를 기점으로 한 보정값을 설정한다(도 8C). 마찬가지로, 보정값 설정부(106)는 3 프레임째에 중간 보정 중심 위치(C1-3)를 기점으로 한 보정값을 설정하며(도 8D), 그리고 4 프레임째에 목표로 하는 보정 중심 위치인 보정 중심 위치(C2)를 기점으로 한 보정값을 설정한다(도 8E).
따라서, 제4 보정값 설정 방법을 이용하는 보정값 설정부(106)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프레임의 천이로 급격히 보정값이 변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도 7에 나타내는 상기 문제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도 8에서는 보정 중심 위치(C1)에서 보정 중심 위치(C2)로 4 프레임 기간에 보정 중심 위치를 단계적으로 변화시켜 보정값을 설정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상기 4 프레임 기간내에 목표로 하는 보정 중심 위치가 변화하는(즉, 보정 중심 설정부(104)가 새로운 보정 중심 위치를 설정하는) 경우도 있다. 상기한 경우에는 보정값 설정부(106)는 예를 들어, 현프레임에서의 보정 중심 위치와 보정 중심 설정 부(104)가 설정한 새로운 보정 중심 위치로부터 새로운 중간 보정 중심 위치를 결정하여 보정값의 설정을 할 수 있다.
보정값 설정부(106)가 보정값을 설정하기 위해 이용하는 현프레임에서의 보정 중심 위치나 목표로 하는 보정 중심 위치(보정 중심 설정부(104)가 설정하는 보정 중심 위치), 중간 보정 중심 위치 등의 정보는, 예를 들어, 보정값 설정부(106)이 기억 수단을 구비하고, 해당 기억 수단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보정값 설정부(106)가 구비하는 기억 수단으로는, 예를 들어, SDRAM이나 SRAM 등의 휘발성 메모리를 들 수 있는데,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플래쉬 메모리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일 수도 있다. 또한, 보정값 설정부(106)가 예를 들어,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의 기억부(도시하지 않음)에 상기 각종 정보를 기록하고, 기억부(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적당히 상기 각종 정보를 독출할 수도 있음은 두 말할 필요도 없다.
[제5 보정값 설정 방법]
보정값 설정부(106)는 상술한 제1∼제4 보정값 설정 방법을 적절히 조합함으로써 보정 중심 위치를 기점으로 표시 화면의 화면 가장자리를 향해 영상 신호의 게인을 감쇠시키는 보정값을 설정할 수 있다.
상술한 제1∼제5 보정값 설정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보정값 설정부(106)는 보정 중심 위치를 기점으로 표시 화면의 화면 가장자리를 향해 영상 신호의 게인을 감쇠시키는 보정값을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보정값 설정부(106)는 표시 화면의 표시 위치에 따른 보정값을 설정할 수 있다.
다시 한 번 도 3을 참조하여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에 대해 설명한다. 게인 조정부(108)는 보정값 설정부(106)에서 설정된 보정값을 이용하여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게인을 조정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게인 조정부(108)는 예를 들어, 영상 신호와 보정값 설정부(106)에서 설정된 표시 화면의 표시 위치에 따른 보정값을 곱함으로써 영상 신호의 게인을 감쇠시킨다.
또, 게인 조정부(108)는 예를 들어, 표시 화면의 표시 위치와 보정값이 대응된 룩업 테이블을 기억하고, 해당 룩업 테이블에서 표시 화면의 표시 위치에 따른 보정값을 독출할 수도 있다. 여기서, 게인 조정부(108)는 보정값 설정부(106)로부터 보정값이 전달될 때마다 상기 룩업 테이블의 보정값의 값을 갱신할 수 있다.
여기서, 게인 조정부(108)가 영상 신호의 게인 조정에 이용하는 룩업 테이블 등은 예를 들어, 게인 조정부(108)가 기억 수단을 구비하고, 해당 기억 수단에 저장할 수 있다. 게인 조정부(108)가 구비하는 기억 수단으로는 예를 들어, EEPROM이나 플래쉬 메모리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를 들 수 있는데,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게인 조정부(108)가 영상 신호의 게인 조정에 이용하는 룩업 테이블 등은 예를 들어,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의 기억부(도시하지 않음)에 기억되고, 게인 조정부(108)가 보정값의 값을 적당 갱신시키는 동시에, 해당 기억부(도시하지 않음)에서 적절히 독출할 수도 있음은 두 말할 필요도 없다.
게인 조정부(108)는 게인을 조정한 영상 신호를, 예를 들어,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화면을 구비하는 표시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게인 조정부(108)가 게인을 조정한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처는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 어, 게인 조정부(108)는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가 구비하는 기억부(도시하지 않음)에 게인을 조정한 영상 신호를 기억시킬 수도 있고, 또는, 유선/무선 네트워크 등을 통해 PC(Personal Computer) 등의 외부 컴퓨터로 출력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토대로 분할 영역마다 평균 휘도를 산출하고, 산출한 분할 영역마다 평균 휘도를 토대로 평균 휘도가 가장 높은 분할 영역의 중심점을 보정 중심 위치로 설정한다(원칙 처리).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설정한 보정 중심 위치를 기점으로 표시 화면의 화면 가장자리를 향해 영상 신호의 게인을 감쇠시키는 보정값을 설정한다. 그리고,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설정된 표시 화면의 표시 위치에 따른 보정값을 입력된 영상 신호로 곱함으로써 영상 신호의 게인을 보정한다(감쇠시킨다).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평균 휘도가 가장 높은 분할 영역(즉, 중요한 정보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 영역)의 휘도를 가장 높게 설정하고, 보정 중심 위치를 기점으로 표시 화면의 화면 가장자리를 향해 휘도가 내려가도록 영상 신호의 게인을 보정할 수 있으므로,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가 보정한 영상 신호가 나타내는 영상(또는 화상)을 표시 화면에 표시한 경우에는, 도 1B에 나타내는 종래의 표시 장치에서의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표시 화면에 표시한 경우에 소비전력을 억제하면서 고화질화를 꾀할 수 있도록 영상 신호의 휘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설정한 보정 중심 위치의 미리 규정된 기준 위치에 대한 편차량에 따라, 영상 신호의 게인 감쇠율을 적당히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더욱 고화질화를 꾀할 수 있도록 영상 신호의 휘도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표시 화면에 표시한 경우에 있어서의 휘도의 급격한 변화에 따른 화질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단계적으로 보정값을 변화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더욱 고화질화를 꾀할 수 있도록 영상 신호의 휘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를 예로 들어 설명는데,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PDP, OLED 디스플레이, FED 등의 자발광형 표시 장치나, PC, 서버(Server) 등의 컴퓨터, 휴대 전화 등의 휴대형 통신 장치 등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에의 적용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에 관한 프로그램)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를 컴퓨터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에 의해,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토대로 소비전력의 저감과 고화질화를 꾀할 수 있도록 영상 신호의 휘도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영상 신호 처리방법)
이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영상 신호 처리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영상 신호 처리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에서의 영상 신호 처리 방법에 대해 설명하는데,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영상 신호 처리 방법은 후술하는 본 발 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영상 신호가 입력되면,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분할 영역마다 평균 휘도를 산출한다(S100). 여기서, 단계 S100에서의 분할 영역마다의 평균 휘도는 예를 들어, 1 프레임 기간에서의 평균 휘도로 할 수 있는데,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단계 S100에서의 평균 휘도의 산출은 예를 들어, 상가평균을 이용하는 것을 들 수 있는데,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상승 평균이나 가중 평균을 이용하여 산출할 수도 있다.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단계 S100에서 산출된 분할 영역마다의 평균 휘도를 토대로 보정 중심 위치를 설정한다(S102).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단계 S102에서, 예를 들어, 평균 휘도가 가장 높은 분할 영역의 중심점을 보정 중심 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또, 평균 휘도가 가장 높은 분할 영역이 복수개 존재하는 경우에는,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예비 설정 위치를 보정 중심 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예비 설정 위치로는, 예를 들어,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화면의 메카 센터의 위치를 들 수 있는데,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단계 S102에서 설정된 보정 중심 위치를 토대로 영상 신호가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 화면에 표시시키는 경우에 있어서의 표시 화면의 표시 위치에 따른 보정값을 설정한다(S104). 여기서, 단계 S104에서의 보정값의 설정은, 예를 들어, 상술한 제1∼제5 보정값 설정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104에서 설정된 보정값을 토대로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입력된 영상 신호의 게인을 조정한다(S106). 여기서, 단계 S104에서는 보정 중심 위치를 기점으로 표시 화면의 가장자리를 향해 게인을 감쇠시키는 보정값이 설정되므로, 단계 S106에서 조정되는 영상 신호는 표시 화면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만큼 게인이 감쇠한 것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영상 신호 처리 방법은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토대로 분할 영역마다 평균 휘도를 산출하고, 산출한 분할 영역마다의 평균 휘도를 토대로 보정 중심 위치를 설정한다. 그리고, 설정한 보정 중심 위치를 기점으로 표시 화면의 표시 위치에 따른 보정값을 설정하고, 설정한 보정값을 토대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게인을 조정한다.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영상 신호 처리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평균 휘도가 가장 높은 분할 영역(즉, 중요한 정보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 영역)의 휘도를 가장 높게 설정하고, 보정 중심 위치를 기점으로 표시 화면의 화면 가장자리를 향해 휘도가 내려가도록 영상 신호의 게인을 보정할 수 있으므로,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가 보정한 영상 신호가 나타내는 영상(또는 화상)을 표시 화면에 표시한 경우에는, 도 1B에 나타내는 종래의 표시 장치에서의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영상 신호 처리 방법은 표시 화면에 표시한 경우에 소비전력을 억제하면서 고화질화를 꾀할 수 있도록 영상 신호의 휘도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
이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영상 신호 처리 장치를 적용한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2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한, 도 10에 나타내는 표시 장치(200)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의 일 실시형태이고, 본 발명의 실시형태가 도 10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두 말할 필요도 없다. 또 이하에서는 표시 장치(200)에 입력되는 영상 신호가 예를 들어, 디지털 방송 등에 이용되는 디지털 신호라고 설명하는데,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아날로그 방송 등에 이용되는 아날로그 신호로 할 수도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200)는 영상 신호 보정부(202)와 영상 표시부(204)를 구비할 수 있다.
또, 표시 장치(200)는 예를 들어, MPU 등으로 구성되어 표시 장치(200) 전체를 제어할 수 있는 표시 장치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나, 표시 장치 제어부가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나 연산 파라미터 등의 제어용 데이터가 기록된 ROM(도시하지 않음), 표시 장치 제어부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등을 1차 기억하는 RAM(도시하지 않음), 영상 신호 보정부(202)에서 영상 신호의 보정에 사용되는 데이터 등을 기억 가능한 표시 장치 기억부(도시하지 않음), 사용자가 조작 가능한 표시 장치 조작부(도시하지 않음), 방송국 등으로부터 송신되는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할 수도 있다. 표시 장치(200)는 예를 들어, 데이터의 전송로로서의 버스에 의해 상기 각 구성 요소 사이를 접속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 장치 기억부(도시하지 않음)로는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등의 자기 기록 매체나 플래쉬 메모리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를 들 수 있는데,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또, 표시장치 조작부로는 예를 들어, 키보드나 마우스 등의 조작입력 장치나 버튼, 방향 키, 혹은, 이들의 조합 등을 들 수 있는데,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영상 신호 보정부(202)는 예를 들어, 도 3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와 똑같은 구성을 가진다. 따라서, 영상 신호 보정부(202)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토대로 분할 영역마다 평균 휘도를 산출하여 표시 화면의 표시 위치에 따른 보정값을 설정하고, 영상 신호의 게인을 보정할 수 있다.
영상 표시부(204)는 영상 신호 보정부(202)에서 보정된 영상 신호를 토대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영상 표시부(204)의 구성예]
영상 표시부(204)는 표시부(206)와 행구동부(208), 열구동부(210), 전원 공급부(212) 및 표시 제어부(214)를 구비할 수 있다.
표시부(206)는 행렬상에 배치된 복수의 화소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D(Standard Definition) 해상도의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는 적어도 640× 480=307200(데이터선× 주사선)의 화소를 가지고, 컬러 표시를 위해 해당 화소가 빨강색(Red), 녹색(Green), 청색(Blue)의 서브 픽셀(subpixel)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640× 480× 3=921600(데이터선× 주사선× 서브 픽셀의 수)의 서브 픽셀을 가진다.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HD(High Definition) 해상도의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는 1920× 1080의 화소를 가지고, 컬러 표시의 경우에는 1920× 1080× 3의 서브 픽셀을 가진다.
또, 표시부(206)는 예를 들어, 화소마다 인가하는 전압량/전류량을 제어하기 위한 화소 회로(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을 수도 있다. 화소 회로는 예를 들어, 인가되는 주사 신호 및 전압 신호에 의해 전류량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 소자 및 드라이브 소자와 전압 신호를 유지하기 위한 축전기, 콘덴서로 구성된다. 상기 스위치 소자 및 상기 드라이브 소자는, 예를 들어,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로 구성된다.
행구동부(208) 및 열구동부(210)는 표시부(206)가 가진 복수의 화소에 전압 신호를 인가하여 각 화소를 발광시킬 수 있다. 여기서, 행구동부(208) 및 열구동부(210)는 한 쪽이 화소의 ON/OFF를 결정하는 전압 신호(주사 신호)를 인가하고, 다른 쪽이 표시시키는 영상에 따른 전압 신호(영상 신호)를 인가하는 역할을 한다.
또, 행구동부(208) 및 열구동부(210)의 구동 방식으로는, 예를 들어,상기 행렬상에 배치된 화소마다 발광시키는 점순차 구동 주사 방식, 상기 행렬상에 배치된 화소를 1열마다 발광시키는 선순차 구동 주사 방식, 그리고, 상기 행렬상에 배치된 모든 화소를 발광시키는 면순차 구동 주사 방식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나타내는 표시 장치(200)의 영상 표시부(204)는 행구동부(208)와 열구동부(210)의 2개의 구동부를 구비하고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가 하나의 구동부로 구성할 수 있음은 두 말할 필요도 없다.
전원 공급부(212)는 행구동부(208) 및 열구동부(210)에 전원을 공급하고, 행구동부(208) 및 열구동부(210)에는 전압이 인가된다. 또, 전원 공급부(212)가 행구동부(208) 및 열구동부(210)에 인가하는 전압의 크기는 영상 신호 보정부(202)에 의해 보정된 영상 신호에 따라 가변한다.
표시 제어부(214)는 예를 들어, MPU 등으로 구성되고, 영상 신호 보정부(202)에 의해 보정된 영상 신호에 따라 행구동부(208) 및 열구동부(210)의 한 쪽에 화소의 ON/OFF를 결정하는 전압을 화소에 인가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입력하고, 또 다른 쪽에 영상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또, 표시 제어부(214)는 영상 신호 보정부(202)에 의해 보정된 영상 신호에 따라 전원 공급부(212)에 의한 행구동부(208) 및 열구동부(210)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200)는 도 10에 나타내는 구성을 가짐으로써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보정하고, 해당 보정된 영상 신호를 토대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200)는 영상 신호 보정부(202)를 구비하고,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영상 신호 처리 장치와 마찬가지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토대로 분할 영역마다 평균 휘도를 산출하고, 산출한 분할 영역마다의 평균 휘도를 토대로 평균 휘도가 가장 높은 분할 영역의 중심점을 보정 중심 위치로 설정한다(원칙 처리). 또 표시 장치(200)는 설정한 보정 중심 위치를 기점으로 표시 화면의 화면 가장자리를 향해 영상 신호의 게인을 감쇠시키는 보정값을 설정한다. 그리고, 표시 장치(200)는 설정된 표시 화면의 표시 위치에 따른 보정값을, 입력된 영상 신호로 곱함으로써 영상 신호의 게인을 보정한다(감쇠시킨다). 따라서, 표시 장치(200)는 평균 휘도가 가장 높은 분할 영역(즉, 중요한 정보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 영역)의 휘도를 가장 높게 설정하고, 보정 중심 위치를 기점으로 표시 화면의 화면 가장자리를 향해 휘도가 내려가도록 영상 신호의 게인을 보정할 수 있다.
또, 표시 장치(200)는 영상 표시부(204)를 구비하고, 영상 신호 보정부(202)에 의해 보정된 영상 신호가 나타내는 영상(또는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신호 보정부(202)는 보정 중심 위치를 기점으로 표시 화면(영상 표시부(204)의 표시부(206))의 가장자리를 향해 게인을 감쇠시키도록 영상 신호를 보정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200)는 영상 신호 보정부(202)가 보정한 영상 신호가 나타내는 영상(또는 화상)을 표시 화면에 표시한 경우에는, 도 1B에 나타내는 종래의 표시 장치에서의 문제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200)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토대로 영상 신호의 휘도를 제어함으로써 표시 화면에 표시한 경우에 소비전력을 억제하면서 고화질화를 꾀할 수 있다.
또, 표시 장치(200)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영상 신호 처리 장치와 마찬가지로, 설정한 보정 중심 위치의 미리 규정된 기준 위치에 대한 편차량에 따라 영상 신호의 게인의 감쇠율을 적당히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200)는 더욱 고화질화를 꾀할 수 있도록 영상 신호의 휘도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표시 장치(200)는 표시 화면에 표시한 경우에 있어서의 휘도의 급격한 변화에 따른 화질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단계적으로 보정값을 변화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200)는 더욱 고화질화를 꾀할 수 있도록 영상 신호의 휘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표시 장치(200)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PDP, OLED 디스플레이, FED 등의 자발광형의 다양한 표시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텔레비전(Television) 방송을 수신하는 수신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표시 장치(200)에 관한 프로그램)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200)를 컴퓨터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에 의해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토대로 영상 신호의 휘도를 제어함으로써 표시 화면에 표시한 경우에 소비전력을 억제하면서 고화질화를 꾀할 수 있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두 말할 필요도 없다. 당업자라면,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각종 변경예 또는 수정예를 생각해낼 수 있음은 분명하며, 그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어, 도 3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 및 도 10에 나타내는 표시 장치(200)에서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가 디지털 신호라고 설명했지만,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영상 신호 처리 장치 및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가, 예를 들어, A/D 컨버터(Analogto Digital converter)를 각각 구비하고,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영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며, 해당 변환 후의 영상 신호를 처리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영상 신호 처리 장치 및 본 발 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는, 예를 들어, 각 구성 요소를 아날로그 회로로 구성함으로써아날로그 신호(영상 신호)를 처리할 수도 있다.
또, 도 10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200)는 영상 신호 보정부(202)와 영상 표시부(204)를 구비하고 있는데,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영상 신호 보정부(202)와 영상 표시부(204)가 구비하는 표시 제어부(214)를 일체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이라도, 표시 제어부가 입력된 영상 신호를 보정하고, 보정한 영상 신호를 토대로 열구동부, 행구동부, 전원 공급부 등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200)와 마찬가지로 보정된 영상 신호를 토대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은 당업자가 쉽게 변경할 수 있는 정도의 것이며, 본 발명의 등가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정보 처리 기능을 갖는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장치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비록 상기 설명이 다양한 실시예들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신규한 특징들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되었지만, 본 기술 분야에 숙달된 기술을 가진 사람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상기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의 형태 및 세부 사항에 서 다양한 삭제, 대체, 및 변경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설명에서보다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다.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안의 모든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섭된다.
도 1은 종래의 표시 장치에서의 문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영상 신호 처리 장치에서의 처리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보정값 설정부에서의 제1 보정값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보정값 설정부에서의 제2 보정값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보정값 설정부에서의 제3 보정값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보정값 설정부에서의 제4 보정값 설정 방법이 대상으로 하는 문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보정값 설정부에서의 제4 보정값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영상 신호 처리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부호의 설명>
100 .... 영상 신호 처리 장치
102 .... 평균 휘도 산출부
104 .... 보정 중심 설정부
106 .... 보정값 설정부
108 .... 게인 조정부
200 .... 표시 장치
202 .... 영상 신호 보정부
204 .... 영상 표시부

Claims (14)

  1. 표시 화면을 복수개의 분할 영역으로 분할하고, 입력된 영상 신호를 토대로 상기 분할 영역마다 평균 휘도를 산출하는 평균 휘도 산출부;
    상기 분할 영역마다 평균 휘도를 토대로 보정 중심 위치를 설정하는 보정 중심 설정부;
    상기 보정 중심 위치를 기점으로 하여 상기 표시 화면의 표시 위치에 따른 보정값를 설정하는 보정값 설정부; 및
    상기 보정값을 토대로 상기 영상 신호의 게인을 조정하는 게인 조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정값 설정부는 상기 보정 중심 설정부가 설정한 상기 보정 중심 위치가 제1 보정 중심 위치에서 제2 보정 중심 위치로 변화한 경우, 상기 제1 보정 중심 위치에 대응하는 보정값으로부터 상기 제2 보정 중심 위치에 대응하는 보정값으로 단계적으로 보정값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신호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값 설정부는 상기 보정 중심 위치를 기점으로 하여 상기 표시 화면의 화면 가장자리를 향해 영상 신호의 게인을 감쇠시키는 보정값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신호 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값 설정부는 상기 보정 중심 위치의 미리 규정된 기준 위치에 대한 편차(slippage)량에 따라 영상 신호의 게인의 감쇠율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신호 처리 장치.
  4. 삭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중심 설정부는 상기 분할 영역 중에서 평균 휘도가 최대인 분할 영역의 중심점을 상기 보정 중심 위치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신호 처리 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중심 설정부는 상기 분할 영역 중에서 평균 휘도가 최대가 되는 분할 영역이 복수 개 있는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예비 설정 위치를 상기 보정 중심 위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신호 처리 장치.
  7. (a) 표시 화면을 복수개의 분할 영역으로 분할하고, 입력된 영상 신호를 토대로 상기 분할 영역마다 평균 휘도를 산출하는 단계;
    (b) 상기 분할 영역마다 평균 휘도를 토대로 보정 중심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
    (c) 상기 보정 중심 위치를 기점으로 하여 상기 표시 화면의 표시 위치에 따른 보정값을 설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보정값을 토대로 상기 영상 신호의 게인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c) 단계는, 상기 (b) 단계에서 설정된 상기 보정 중심 위치가 제1 보정 중심 위치에서 제2 보정 중심 위치로 변화한 경우, 상기 제1 보정 중심 위치에 대응하는 보정값으로부터 상기 제2 보정 중심 위치에 대응하는 보정값으로 단계적으로 보정값을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신호 처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보정 중심 위치를 기점으로 하여 상기 표시 화면의 화면 가장자리를 향해 영상 신호의 게인을 감쇠시키는 보정값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신호 처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보정 중심 위치의 미리 규정된 기준 위치에 대한 편차(slippage)량에 따라 영상 신호의 게인의 감쇠율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신호 처리 방법.
  10. 삭제
  11.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분할 영역 중에서 평균 휘도가 최대인 분할 영역의 중심점을 상기 보정 중심 위치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신호 처리 방법.
  12.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분할 영역 중에서 평균 휘도가 최대가 되는 분할 영역이 복수 개 있는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예비 설정 위치를 상기 보정 중심 위치로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신호 처리 방법.
  13. 영상 신호 처리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영상 신호 처리 방법은,
    (a) 표시 화면을 복수개의 분할 영역으로 분할하고, 입력된 영상 신호를 토대로 상기 분할 영역마다 평균 휘도를 산출하는 단계;
    (b) 상기 분할 영역마다 평균 휘도를 토대로 보정 중심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
    (c) 상기 보정 중심 위치를 기점으로 하여 상기 표시 화면의 표시 위치에 따른 보정값을 설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보정값을 토대로 상기 영상 신호의 게인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c) 단계는, 상기 (b) 단계에서 설정된 상기 보정 중심 위치가 제1 보정 중심 위치에서 제2 보정 중심 위치로 변화한 경우, 상기 제1 보정 중심 위치에 대응하는 보정값으로부터 상기 제2 보정 중심 위치에 대응하는 보정값으로 단계적으로 보정값을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14. 자발광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입력된 영상 신호를 보정하는 영상 신호 보정부; 및
    상기 영상 신호 보정부가 보정한 영상 신호를 토대로 영상을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영상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 신호 보정부는,
    상기 표시 화면을 복수개의 분할 영역으로 분할하고, 입력된 영상 신호를 토대로 상기 분할 영역마다 평균 휘도를 산출하는 평균 휘도 산출부;
    상기 분할 영역마다 평균 휘도를 토대로 보정 중심 위치를 설정하는 보정 중심 설정부;
    상기 보정 중심 위치를 기점으로 하여 상기 표시 화면의 표시 위치에 따른 보정값을 설정하는 보정값 설정부; 및
    상기 보정값을 토대로 상기 영상 신호의 게인을 조정하는 게인 조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정값 설정부는 상기 보정 중심 설정부가 설정한 상기 보정 중심 위치가 제1 보정 중심 위치에서 제2 보정 중심 위치로 변화한 경우, 상기 제1 보정 중심 위치에 대응하는 보정값으로부터 상기 제2 보정 중심 위치에 대응하는 보정값으로 단계적으로 보정값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KR1020070073123A 2007-06-28 2007-07-20 영상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표시 장치 KR1013662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169978 2007-06-28
JP2007169978A JP5147311B2 (ja) 2007-06-28 2007-06-28 映像信号処理装置、映像信号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044A KR20090003044A (ko) 2009-01-09
KR101366253B1 true KR101366253B1 (ko) 2014-02-20

Family

ID=40325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3123A KR101366253B1 (ko) 2007-06-28 2007-07-20 영상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147311B2 (ko)
KR (1) KR1013662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05044B2 (en) 2020-06-12 2023-07-1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36622B2 (ja) * 2009-12-17 2013-07-17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1366964B1 (ko) * 2009-12-30 2014-02-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JPWO2021020157A1 (ko) * 2019-07-31 2021-02-04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6728A (ja) 2000-10-10 2002-04-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表示装置
JP2006135601A (ja) 2004-11-05 2006-05-25 Mitsubishi Electric Corp 撮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84262B2 (ja) * 2003-08-08 2008-04-30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 輝度補正回路、輝度補正方法及び映像表示装置並びに映像表示方法
JP4903577B2 (ja) * 2004-11-05 2012-03-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映像信号変換装置、映像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6728A (ja) 2000-10-10 2002-04-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表示装置
JP2006135601A (ja) 2004-11-05 2006-05-25 Mitsubishi Electric Corp 撮像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05044B2 (en) 2020-06-12 2023-07-1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044A (ko) 2009-01-09
JP5147311B2 (ja) 2013-02-20
JP2009010676A (ja) 200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77157B2 (en) Apparatus for processing image signal, program,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signal
CN107452327B (zh) 显示装置及用于对显示装置的像素进行补偿的模块和方法
KR100922042B1 (ko) 휘도보정시스템 및 휘도보정알고리듬
KR20080101679A (ko) 표시 장치, 영상 신호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JP2009282158A (ja) 表示装置
KR20130064552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열화보상방법
JP2007529778A (ja) 低輝度での画素間の非均一性改善を伴う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ディスプレイ
KR20080101675A (ko) 표시 장치,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2014122997A (ja) 表示装置、画像処理装置、表示方法、および電子機器
KR100850721B1 (ko) 영상 보정 장치, 영상 보정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및 영상 표시 장치
US7812792B2 (en) Electron emissio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JPWO2008153055A1 (ja) 表示装置、映像信号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897141B1 (ko) 전자방출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US9601048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1366253B1 (ko) 영상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표시 장치
JP2010002770A (ja) 映像信号処理装置、映像信号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表示装置
JP2010015008A (ja) 映像信号処理装置、映像信号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表示装置
KR20200015292A (ko)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JP6853750B2 (ja) 輝度制御装置、発光装置および輝度制御方法
JP2016109939A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駆動方法
JP2010109794A (ja) 映像信号処理装置、映像信号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表示装置
CN110853581B (zh) 显示面板的亮度调整方法及存储介质
JP2008185905A (ja) 映像表示装置
JP2014026003A (ja) 表示装置、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2013068792A (ja) 表示装置、表示方法およ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