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6109B1 - 염도계를 이용한 염도 측정시스템 - Google Patents

염도계를 이용한 염도 측정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6109B1
KR101366109B1 KR1020130137049A KR20130137049A KR101366109B1 KR 101366109 B1 KR101366109 B1 KR 101366109B1 KR 1020130137049 A KR1020130137049 A KR 1020130137049A KR 20130137049 A KR20130137049 A KR 20130137049A KR 101366109 B1 KR101366109 B1 KR 101366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alinity
value
sample
measu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7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인호
최연규
박규성
지은정
박인규
김권석
Original Assignee
대윤계기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윤계기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윤계기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7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61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6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6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liqu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28Electrolytic cell components
    • G01N27/30Electrodes, e.g. test electrodes; Half-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416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2Foo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염도계를 이용한 염도 측정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시료의 염분의 농도 및 온도 측정을 통하여, 시료에 포함된 나트륨의 농도값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게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몸체의 내부에 내장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몸체의 내부에 내장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되는 배터리와, 상기 몸체의 일단부에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되되, 상기 일단의 반대인 타단은 시료에 담겨지거나 접촉되도록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전극 및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염도계를 이용한 염도 측정시스템이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동작을 선택하는 키선택부; 상기 전극에 의하여 측정되는 시료의 전기 전도도값을 검출하는 전도도측정부와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하여 측정되는 시료의 온도값을 검출하는 온도 측정부를 구비하는 시료정보 검출부; 상기 시료의 온도값에 따른 전기 전도도값 대비 나트륨의 농도값 또는 염분의 농도값을 미리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측정된 시료의 전기 전도도값과 온도값을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온도값에 따른 전기 전도도값 대비 나트륨의 농도값 또는 염분의 농도값과 비교하여, 상기 측정된 시료의 전기 전도도값과 온도값에 해당되는 나트륨의 농도값과 염분의 농도값을 산출하는 메인 제어부; 및 상기 산출된 시료의 전기 전도도값과 온도값에 해당되는 나트륨의 농도값과 염분의 농도값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염도계를 이용한 염도 측정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염도계를 이용한 염도 측정시스템{SYSTEM FOR DETECTING SALINITY USING SALINOMET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염도계를 이용한 염도 측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소금은 음식물의 맛을 내는 가장 중요한 식품이다. 대체로 음식물은 주방일을 맡은 사람이 직접 맛을 보아 관능 검사로서 측정한다.
그러나 현대에 이르러서는 조리법과 음식 습관이 모두 다양해지고 있으며, 음식물의 조리 기술이 대형화, 공업화되고 있으며, 또는 표준화되는 과정을 맞이하고 있다. 이와 같이 조리기술이 표준화되는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것이 음식물 특히 국물의 염도를 객관적인 지표로서 나타내는 것이다.
종래의 염도 측정 기술로서는 염도센서를 통해 흐르는 맥동 전류를 증폭하여 적분 콘덴서에 충전하고, 적분된 콘덴서의 전류를 비교기의 일측 단자에 일정한 시간동안 인가하고, 비교기의 타측 단자에 증폭시킨 온도 센서의 검출 전류를 인가하여, 비교기의 출력단에서 온도 보상 염도 전류를 얻고, 비교기 출력을 버퍼를 통해 A/D변환기에서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고, 디지털 값을 LCD모듈에 표시하도록 구성한 것이었다.
이러한 종래 염도계는, 다수의 부품들이 내장되도록 전면케이스 및 후면케이스로 이루어진 케이스가 구비된다.
이러한 케이스는 전면케이스 또는 후면케이스 내부에 다수의 부품들을 내장시킨 후 전면케이스 및 후면케이스를 결합시킨 후 그 대응 둘레를 초음파 융착시켜서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종래의 염도계는 케이스 전체가 하나의 부품으로 고정되므로 내부의 부품들에 고장이 발생될 경우 수리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종래 이러한 염도계는 사용하다가 고장이 발생되면 제대로 수리하지 못하고 그대로 폐기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면케이스와 후면케이스를 고정하기 위해서 이음부위를 서로 맞댄 후 초음파 융착하는데, 전면케이스 및 후면케이스의 대응 둘레 전체가 제대로 융착되지 못하였으며, 일부가 들뜨는 접착 불량 문제가 빈번히 대두되었다.
한편, 종래의 염도계에는 시료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전극의 내부에 온도 센서가 내장된다. 이와 같이 온도 센서가 전극에 내장되므로 시료의 열이 온도 센서에 전달되려면, 먼저 시료의 열이 전극에 전달되고 전극에 전달된 열이 다시 온도 센서에 전달되므로 온도의 측정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온도 센서가 시료의 온도를 직접 측정하지 못하고 전극을 통해서 측정하므로 온도 센서에 의한 시료의 온도감지가 그만큼 늦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정확하고 신속한 측정이 어렵다.
이러한 종래 염도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출원번호 제10-2008-101739호와 같은 염도계가 개발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의 염도계는, 중공형 몸체와, 몸체의 내부에 내장되고 표시부가 연결된 인쇄회로기판과, 몸체에 내장되고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되는 베터리와, 몸체의 단부에 삽입되고 전극구멍들 및 온도 센서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셀블록과, 셀블록의 두 전극구멍들에 삽입되고 일단이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되며 타단이 시료에 담겨져 염도를 측정하는 전극들과, 셀블록의 온도 센서구멍에 삽입되고 일단이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되며 타단이 시료에 접촉되는 온도 센서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종래의 염도계는, 휴대가 가능하여 가정에서 요리를 하거나 식당, 음식점에서 빈번하게 염도 측정은 가능하나, 이러한 측정 결과를 관리하여 체계적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928040호 '염도계 '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64907호 '이온선택성 전극을 이용한 염화이온 측정시스템 및 세정장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시료의 염분의 농도 및 온도 측정을 통한 정확한 염도 측정 데이터와 함께 염도 측정 위치를 관리할 수 있는 염도계를 이용한 염도 측정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염도계는, 몸체의 내부에 내장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몸체의 일단부에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되되, 상기 일단의 반대인 타단은 시료에 담겨지거나 접촉되도록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전극 및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염도계이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전극에 의하여 측정되는 시료의 전기 전도도값을 검출하는 전도도측정부와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하여 측정되는 시료의 온도값을 검출하는 온도 측정부를 구비하는 시료정보 검출부; 상기 시료의 온도값에 따른 전기 전도도값 대비 나트륨의 농도값 또는 염분의 농도값을 미리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측정된 시료의 전기 전도도값과 온도값을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온도값에 따른 전기 전도도값 대비 나트륨의 농도값 또는 염분의 농도값과 비교하여, 상기 측정된 시료의 전기 전도도값과 온도값에 해당되는 나트륨의 농도값 또는 염분의 농도값을 산출하는 메인 제어부; 상기 산출된 시료의 전기 전도도값과 온도값에 해당되는 나트륨의 농도값 또는 염분의 농도값을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산출된 시료의 전기 전도도값과 온도값에 해당되는 나트륨의 농도값 또는 염분의 농도값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및 동작을 선택하는 키선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키선택부로부터 동작 선택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시료정보 검출부가 상기 시료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하거나 온도값을 측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염도계를 이용한 염도 측정시스템은, 시료의 전기 전도도값과 온도값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시료의 전기 전도도값과 온도값에 해당되는 나트륨의 농도값 또는 염분의 농도값을 산출하는 염도계; 상기 염도계로부터 상기 나트륨의 농도값 또는 염분의 농도값을 전송받아 표시하고, 상기 시료의 전기 전도도값과 온도값이 측정된 지점의 위치 정보를 판별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나트륨의 농도값 또는 염분의 농도값과 위치 정보를 전송받아 관리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염도계 및 관리 서버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시료의 전기 전도도값과 온도값을 측정하는 측정 지점의 위치를 GPS, WiFi, Cell ID 측위 방식으로 측정하는 신호 측정부; 상기 신호 측정부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상기 신호 측정부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신호 측정부에서 측정된 결과와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서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측정 지점에서의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판별하되, 상기 염분의 농도값과 상기 판별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할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염도계에 의하여 측정된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외부 관리서버에 전송할 수 있도록 신호처리하는 신호 처리부; 상기 신호 측정부에서 측정된 데이터 중 GPS, WiFi 측위 방식으로 측정된 데이터가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신호 판단부; 상기 신호 판단부에서 상기 신호 측정부에서 측정된 데이터 중 GPS, WiFi 측위 방식으로 측정된 데이터가 없다고 판단하면 주변의 무선신호 정보가 있는 확인하는 무선신호 확인부; 및 상기 신호 판단부에서 상기 신호 측정부에서 측정된 데이터 중, GPS, WiFi 측위 방식으로 측정된 데이터가 있다고 판단하면 GPS, WiFi 측위 방식으로 측정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판별하고, GPS, WiFi 측위 방식으로 측정된 데이터가 없으면 상기 무선신호 확인부에서 확인된 무선신호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판별하는 위치 판별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신호 정보는 WiFi AP 리스트, Cell ID 및 PSC 리스트일 수 있다.
상기 무선신호 확인부는 주변의 무선신호 정보 중 현재 WiFi AP 리스트를 체크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이전 WiFi AP 리스트와 비교하는 제1 비교부; 및 상기 주변의 무선신호 정보 중 현재 Cell ID를 체크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이전 Cell ID와 비교하는 제2 비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비교부에서 현재 WiFi AP 리스트와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이전 WiFi AP 리스트 간의 매칭률이 제 1 기준값을 초과하고, 상기 제2 비교부에서 현재 Cell ID와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이전 Cell ID가 동일하면, 상기 위치 판별부는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GPS 또는 WiFi 측위 방식으로 측정되어 저장된 위치값을 사용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판별할 수 있다.
상기 제1 비교부에서 현재 WiFi AP 리스트와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이전 WiFi AP 리스트 간의 매칭률이 제 1 기준값보다 작으면, 상기 위치 판별부는 상기 신호 측정부에서 Cell ID 측위 방식으로 측정된 위치값을 사용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판별할 수 있다.
상기 염도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은 근거리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블루투스, 지그비, 와이파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도계를 이용한 염도 측정시스템은 염도계를 통하여 측정된 시료의 나트륨의 농도값 또는 염분의 농도값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여 표시하고, 또한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관리 서버에 시료의 나트륨의 농도값 또는 염분의 농도값과 측정된 위치 정보를 전송하여 관리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나트륨의 농도값 또는 염분의 농도값과 그 측정 위치 정보에 대한 객관적인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도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염도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염도계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염도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염도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염도계를 이용한 염도 측정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제어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도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도계는, 몸체(10)의 내부에 내장되고 몸체(10) 외부에 형성된 표시부(150)에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100)과, 몸체(10)의 내부에 내장되고 인쇄회로기판(100)에 연결되는 배터리(13a)와, 몸체(10)의 일단부에 설치되고 일단이 인쇄회로기판(100)에 연결되되, 일단의 반대인 타단은 시료(S)에 담겨지거나 접촉되도록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전극(21) 및 온도 센서(22)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0)는 중공형상을 가지고, 그 외측면에 관통구멍(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10)의 양단부에는 각각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수나사부 내측 둘레에는 배터리캡(13) 및 조인트(미도시)와의 수밀을 유지하도록 패킹들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00)은 몸체(10)의 내부에 내장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00)에는 키선택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10)의 관통구멍(11)에 대향되도록 표시부(15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몸체(10)의 상단에는 배터리(13a)가 그 둘레를 감싸는 배터리캡(13)에 의하여 내장된다. 상기 배터리(13a)는 인쇄회로기판(100)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극(21)은 몸체(10)의 일단부에 형성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극(21)의 일단은 인쇄회로기판(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단이 시료에 담겨져 염도를 측정한다.
상기 온도 센서(22)는 몸체(10)의 일단부에 형성된다. 상기 온도 센서(22)는 그 일단이 인쇄회로기판(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단은 외부에 노출되어서 시료에 직접 접촉되어 시료의 온도값을 측정한다.
도 2는 도 1의 염도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1의 염도계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도계의 인쇄회로기판(100)은 전원공급부(110), 키선택부(12), 시료정보 검출부(130), 메모리부(121), 메인 제어부(123), 통신부(125) 및 표시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공급부(110)는 본 염도계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한다. 즉, 상기 전원공급부(110)는 본체의 일단부의 배터리캡(13)에 의하여 둘러싸인 배터리(13a)로부터 인쇄회로기판(100)의 구성들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키선택부(12)는 본 염도계의 동작을 선택하도록, 인쇄회로기판(100)의 표면 상에 돌출되어 본 염도계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키선택부(12)는 전원공급부(110)에 연결되어 전원의 공급여부를 스위칭하는 전원키(12a)와, 메인 제어부(123)에 연결되어 시료정보 검출부(130)의 전기전도도 측정 또는 온도값 측정 동작을 선택하는 모드선택키(12b)와, 메인 제어부(123)에 연결되어 표시부(150)에 표시된 정보를 정지시키거나 메모리부(121)의 저장내용을 교정하도록 하는 홀드및교정키(12c)를 포함한다.
상기 시료정보 검출부(130)는 전극(21)에 의하여 측정되는 시료의 전기 전도도값과, 온도 센서(22)에 의하여 측정되는 시료의 온도값을 검출한다. 이러한 시료정보 검출부(130)는 전극(21)에 연결되는 전도도측정부(132)와 온도 센서(22)에 연결되는 온도측정부(133)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시료정보 검출부(130)는 메인 제어부(123)의 제어에 의하여 전도도측정부(132)가 전극(21)으로부터 시료의 전기전도도값을 전달받고, 온도측정부(133)가 온도 센서(22)로부터 시료의 온도값을 전달받아 후술하는 메인 제어부(123)로 전달한다.
상기 메모리부(121)는 시료의 온도값에 따른 전기 전도도값 대비 나트륨의 농도값 또는 염분의 농도값을 미리 저장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21)는 시료의 온도값에 따른 전기 전도도값 대비 나트륨의 농도값 또는 염분의 농도값을 미리 설정된 자리수로 LCD(152)에 표시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다.
상기 메인 제어부(123)는 시료정보 검출부(130)에 의하여 측정된 시료의 전기 전도도값과 온도값을 메모리부(121)에 저장된 온도값에 따른 전기 전도도값 대비 나트륨의 농도값 또는 염분의 농도값과 비교하여, 시료정보 검출부(130)에 의하여 측정된 시료의 전기 전도도값과 온도값에 해당되는 나트륨의 농도값 또는 염분의 농도값을 산출한다. 상기 메인 제어부(123)는 키선택부(12)로부터 동작 선택 신호를 수신하여, 시료정보 검출부(130)가 시료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하거나 온도값을 측정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시료정보 검출부(130)와 메인 제어부(123) 사이에는 신호 중계부(13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신호 중계부(131)는 시료정보 검출부(130)에 의하여 검출된 시료의 전기전도도값과 온도값을 주파수 신호로 변환하여 메인 제어부(123)로 전달한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110)와 메인 제어부(123) 사이에는 전원공급부(110)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관리하는 전원관리부(122)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제어부(123)과 신호 중계부(131) 사이에는 신호 중계부(131)로부터 공급된 주파수 신호를 메인 제어부(123)로 전달하는 외부 펄스 인터럽트(124)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통신부(125)는 메인 제어부(123)에 의하여 산출된 시료의 전기 전도도값과 온도값에 해당되는 나트륨의 농도값 또는 염분의 농도값을 외부로 전송한다. 즉, 상기 통신부(125)는 시료의 전기 전도도값과 온도값에 해당되는 나트륨의 농도값 또는 염분의 농도값을 근거리 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된 외부의 사용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통신부(125)는 나트륨의 농도값 또는 염분의 농도값을 관리하는 관리 서버에 직접 전송하도록 해당 통신 프로토콜을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21), 전원관리부(122), 메인 제어부(123) 및 외부 펄스 인터럽트(124)는 별도의 인쇄회로기판(120)으로 구현가능하고, 이와 더불어 상기 신호 중계부(131), 전도도 측정부(132) 및 온도 측정부(133)도 별도의 다른 인쇄회로기판(130)으로 구현가능하다.
상기 표시부(150)는 메인 제어부(123)에 의하여 산출된 시료의 전기 전도도값과 온도값에 해당되는 나트륨의 농도값과 염분의 농도값을 표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부(150)는 LCD 제어부(151)와 LCD(152)를 포함하고, 이때 메인 제어부(123)가 LCD 제어부(151)로 하여금 LCD(152)에 시료의 온도값과 나트륨의 농도값 또는 염분의 농도값이 표시되게 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표시부(150)는 키선택부(12)의 모드선택에 따라 전극(21)에 의하여 측정된 시료의 전기전도도값에 따른 시료의 염분의 농도값 또는 나트륨의 농도값을 네자리수(예를 들면, 0.412%)로 표시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염도계의 동작을 살펴보자면, 우선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키(12a)를 누르면, 인쇄회로기판(100)의 전원 관리부(122)에서 전원이 공급되고 표시부(150)가 켜진다. 그런 다음, 상기 메인 제어부(123)의 통제에 따라서 외부 펄스 인터럽트(124)에 신호를 기다리게 된다. 이때, 전극들(22)에 시료가 접촉하면 전극(21)과 전극(21)간에 형성되는 전기적인 신호, 즉 전기 전도도값의 변화에 따른 신호가 커넥터(140)를 통하여 전도도 측정부(132)에 전달된다. 그런 다음, 상기 전기 전도도값을 전도도 측정부(132)에서 시료의 전도도값의 변화에 따른 주파수로 변환하는 신호중계부(131)를 거쳐 외부 펄스 인터럽트(124) 및 메인 제어부(123)에 전달한다. 또한, 상기 시료의 전기 전도도를 읽은 뒤 온도 센서(22)의 온도값을 커넥터(140)를 통해 온도 측정부(133)를 거쳐 외부 펄스 인터럽트(124) 및 메인 제어부(123)로 전달한다. 상기 신호중계부(131)는 전도도 측정부(132)에서 읽은 신호와 온도 측정부(133)에서 읽은 신호의 값을 정확하게 외부 펄스 인터럽트(124)의 신호를 전도도 신호와 온도 신호로 구분하여 메인 제어부(123)로 전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도계는, 전원키(12a) ON 상태를 확인(S11)하고, LCD(152) 전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초기화(S12)한다. 그런 다음, 측정 시료에 담겨 있는 전극들(21)을 통해 입력되는 전기 전도도값과 온도 센서(22)의 온도값을 읽는다(S13, S14). 그런 다음 상기 메인 제어부(123)는 상기 측정된 전기 전도도값과 온도값을 메모리부(121)의 데이터와 비교 분석을 한다(S15). 이때, 상기 메모리부(121)는 메인 제어부(123)에서 요청한 자료(온도에 따른 전도도의 기준값과 교정시 저장된 기준값)를 메인 제어부(123)로 전송한다. 만약, 상기 키선택부(12)에 의하여 동작이 염분 측정모드로 선택되어 있는 경우(S17), 상기 메인 제어부(123)는 연산을 통해서 염분 측정치를 LCD(152) 출력으로 보낸다. 또한, 상기 키선택부(12)에 의하여 동작이 나트륨 측정모드로 선택되어 있는 경우(S18), 상기 메인 제어부(123)는 연산을 통해서 나트륨 측정치를 LCD(152) 출력으로 보낸다. 또한, 상기 키선택부(12)에 의하여 동작이 온도 표시 모드로 선택되어 있는 경우(S19), 상기 메인 제어부(123)는 온도값을 LCD(152) 출력으로 보낸다. 그런 다음 상기 표시부(150)는 수식 연산 후 보내온 결과치를 LCD(152) 화면에 표시(S20)한다. 또한, 상기 메인 제어부(123)는 산출된 시료의 전기 전도도값과 온도값에 해당되는 나트륨의 농도값 또는 염분의 농도값을 근거리 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된 외부의 사용자 단말에 전송(S30)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50)는 표시 후 측정치가 안정이 되는 과정을 확인한 다음, LCD(152) 화면 상단에 HOLD 라는 문자가 표시(S21)되고, LCD(152) 화면에 측정치가 자동으로 정지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동작은 키선택부(12)의 홀드및교정키(12c)를 통하여 수동으로 HOLD 가 실행될 수 있다. 상기 HOLD의 해제는 측정 중인 전극(21)에서 센서를 빼내어 측정치가 0(%, mg)이 되었다가 다시 측정을 수행하면 자동으로 HOLD가 해제되고, 또 다른 방법으로 HOLD가 되어있는 상태에서 다시 HOLD를 누르면 HOLD가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들(21)을 표준 교정 시료에 담구고 홀드및교정키(12c)를 길게 5초 이상 누르면 교정 모드(S22)로 진입하고, 자동으로 표준 교정 시료에서 표준 전도도값과 온도값을 확인하는 루틴으로 이동한다(S23, S24). 또한, 상기 교정 지시가 확인된 후 교정시료의 온도 및 전기 전도도를 측정하여 메모리부(121)에 저장된 교정 자료값을 신규로 갱신(S16)한다. 그러나, 일정시간 (예를 들면, 3분)동안 측정을 하지 않거나 키선택부(12)의 입력이 없다면 전원을 OFF 루틴으로 이동하여, 전원을 종료한다.
그런 다음, 상기 메인 제어부(123)는 메모리부(121)에 저장된 온도에 따른 전기 전도도값 대비 나트륨의 농도값 또는 염분의 농도값을 온도 테이블과 비교 분석한 후 LCD(152)에 쓸 준비를 한다. 이후 상기 키선택부(12)의 모드 선택에 따라 전극들(21)에서 읽은 비교 연산을 해 얻어진 나트륨의 농도값 염분에 농도값을 표시할지 아니면 온도를 표시 할 지 여부를 결정하여 LCD(152)에 표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염도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염도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염도계(1)에 의하여 산출된 나트륨의 농도값 또는 염분의 농도값을 전송받아 LED 모듈(151')에 표시할 수 있는 염도계를 도시한 것으로서, LED 모듈(151')을 제외한 다른 구성들은 도 1 내지 도 3의 염도계와 동일하여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염도계에서의 디스플레이부는 LCD 모듈(150')과 다수 개의 LED로 이루어진 LED 모듈(151')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LED 모듈(151')는 다수 개의 LED를 이용하여 시료의 온도값과 나트륨의 농도값 및 염분의 농도값을 점등되는 개수로 표시할 수 있다. 즉, 이러한 LED 모듈 LED 모듈(151')은 키선택부(12)의 모드선택에 따라 전극(21)에 의하여 측정된 시료의 전기전도도값에 따른 시료의 염분의 농도값 또는 나트륨의 농도값의 크기를 LED의 점등개수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섯 개의 LED가 있을 경우, 한 개의 LED가 점등되는 것부터 다섯 개의 LED가 점등되는 것까지 각각 일정 농도값의 크기로 제한하여, 하나의 LED가 점등되는 때에는 0.1%, 두 개의 LED가 점등되는 때에는 0.2%, 세 개의 LED가 점등되는 때에는 0.3%, 네 개의 LED가 점등되는 때에는 0.4%, 다섯 개의 LED가 점등되는 때에는 0.5% 이상의 농도값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5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염도계(1)에 의하여 산출된 나트륨의 농도값 또는 염분의 농도값을 전송받아 표시할 수 있는 염도계를 도시한 것으로서, 배터리 캡(13')과 커넥터 모듈(140')의 구성이 도 1 내지 도 3의 염도계(1)의 구성과 상이할 뿐, 배터리 캡(13')과 커넥터 모듈(140')을 제외한 다른 구성들은 도 1 내지 도 3의 염도계와 동일하여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염도계는 배터리 캡(13')과, 몸체(10)와 전극부(20)를 연결하는 커넥터 모듈(140')의 구조에 회전 가능한 단차 구조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염도계를 이용한 염도 측정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7은 도 6의 제어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염도계(1)에 의하여 산출된 나트륨의 농도값 또는 염분의 농도값을 전송받아 표시하고, 시료의 전기 전도도값과 온도값이 측정된 지점의 위치 정보를 판별하는 사용자 단말(30)과, 사용자 단말(30)로부터 나트륨의 농도값 또는 염분의 농도값과 위치 정보를 전송받아 관리하는 관리 서버(40)로 이루어진 염도 측정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염도계를 이용한 염도 측정시스템에 사용되는 사용자 단말(30)은, 통신 인터페이스부(350), 신호 측정부(320), 데이터 저장부(330), 디스플레이부(340), 배터리부(360) 및 제어부(31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신호 측정부(320)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30)의 위치를 판별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신호 측정부(320)는 일반적으로 사용자 단말(30)에 구비된 GPS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30)의 위치를 판별하여 해당 위치 정보를 나트륨의 농도값 또는 염분의 농도값과 함께 관리 서버(4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350)는 염도계(1) 및 관리 서버(4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장치로서, 염도계(1) 및 관리 서버(40)와 유무선으로 연결되며, 염도계(1)로부터 감지된 나트륨의 농도값 또는 염분의 농도값을 수신하여, 이를 시료의 전기 전도도값과 온도값이 측정된 지점의 위치 정보와 함께 관리 서버(40)로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350)는 염도계(1) 및 관리 서버(40)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은 블루투스, 지그비, 와이파이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통신 방식의 종류에 대하여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350)는 염도계(1) 및 관리 서버(40)와 유선 연결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유선 연결 방식으로는 USB, HDMI, DVI, RGB, Composite 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에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30)이 스마트 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일 경우에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50)는 염도계(1) 및 관리 서버(40)와 와이파이 방식, 지그비 방식, 블루투스 방식, 3G, 4G, LTE, LTE-A 방식 및 그 등가 방식 등의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적용할 수도 있다.
상기 신호 측정부(320)는 무선신호를 측정하여 염도계(1)에 의하여 염도가 측정되는 측정 지점의 위치를 측정한다. 즉, 상기 신호 측정부(32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WiFi(Wireless Fidelity), Cell ID 측위 방식으로 염도계(1)에 의하여 염도가 측정되는 측정 지점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30)의 위치를 측정한다. 통상적으로 GPS 측위 방식은 오차 범위가 평균 30m이고, WiFi 측위 방식은 오차 평균 범위가 60m이며, Cell ID 측위 방식은 오차 범위가 500m ~ 2.5km이다. 즉, GPS 측위 방식과 WiFi 측위 방식은 비교적 측위 오차가 작은 범위에 속한다. 그러나, 상기 GPS 측위 방식은 실내 공간에서 측정이 어렵고 불안정하며, 상기 WiFi 측위 방식은 WiFi DB가 구축된 지역에서만 측정이 가능하다. 반면, Cell ID 측위 방식은 비교적 넓은 커버리지를 갖고 있으며, 사용자 단말(30)의 통신이 가능한 곳에서는 거의 다 측정되는 것으로 보아도 무방하다. 따라서, 상기 신호 측정부(320)는 GPS, WiFi, Cell ID 측위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30)의 위치를 측정한다. 또한, 상기 신호 측정부(320)는 주기적으로 무선신호를 측정하여 사용자 단말(30)의 위치를 측정한다. 더불어, 상기 신호 측정부(320)는 사용자 단말(30) 주변의 무선신호 정보도 측정한다. 여기서, 주변의 무선신호 정보란 WiFi AP(Access Point) 리스트, Cell ID 및 PSC(기지국 고유 번호) 리스트 등을 말한다.
상기 데이터 저장부(330)는 신호 측정부(320)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즉, 상기 데이터 저장부(330)는 신호 측정부(320)에서 GPS, WiFi 및 Cell ID 측위 방식으로 측정된 결과를 저장한다. 더불어, 상기 데이터 저장부(330)는 사용자 단말(30)의 주변의 무선신호 정보도 저장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저장부(330)는 사용자 단말(30)의 기능을 구현하는 데 필요한 각종 제어프로그램, 단말기 정보, 개인 정보, 측정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측정 정보는 사용자 단말(30)의 식별자와 위치 정보와 함께 분리 저장된다.
상기 제어부(310)는 데이터 저장부(330)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과 염도 측정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사용자 단말(30)의 전반적인 동작을 수행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30)은 일반적인 통화 모드와 염도 측정모 드로 동작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사용자 단말(30)이 염도 측정모드로 동작되는 경우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부(310)는 염도계(1)에서 측정된 결과와 데이터 저장부(330)에서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측정 지점에서의 사용자 단말(30)의 위치를 최종적으로 판별한다.
이러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310)는 신호 처리부(311), 신호 판단부(312), 무선신호 확인부(313) 및 위치 판별부(314)를 포함한다.
상기 신호 처리부(311)는 염도계(1)에 의하여 측정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340) 및 관리 서버(40)에 전송할 수 있도록 신호처리한다. 즉, 상기 신호 처리부(311)는 증폭부(미도시)와 A/D 변환부(미도시)를 구비하여, 전극들에서 감지된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부에서 일정 레벨 증폭후 A/D 변환부에서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와 같이 출력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340)에 전송되어 외부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신호 판단부(312)는 신호 측정부(320)에서 측정된 데이터 중 GPS, WiFi 측위 방식으로 측정된 데이터가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상기 신호 판단부(312)는 신호 측정부(320)에서 측정된 결과를 분석하여, 그 중에서 비교적 오차 범위가 작은 GPS 또는 WiFi 측위 방식으로 측정된 결과가 있는지 판단한다. 본 발명에서는 GPS 음영지역 또는 WiFi 측위에서의 측위 실패시 측위 오차를 최소화하는 방법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상기 신호 판단부(312)는 GPS 또는 WiFi 측위 방식으로 측정된 결과가 없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무선신호 확인부(313)는 신호 판단부(312)에서 신호 측정부(320)에서 측정된 데이터 중 GPS, WiFi 측위 방식으로 측정된 데이터가 없다고 판단하면 주변의 무선신호 정보가 있는 확인한다. 즉, 상기 무선신호 확인부(313)는 사용자 단말(30)이 이동 중이어서 측정이 불가능하거나, 이동 중이 아님에도 주변 무선환경이 불안정하여 측정이 불가능한 경우를 확인한다. 따라서, 상기 무선신호 확인부(313)는 사용자 단말(30)이 실제적으로 이동을 한 것인지 아닌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무선신호 정보는 WiFi AP(Access Point) 리스트, Cell ID 및 PSC(기지국 고유번호)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신호 확인부(313)는 제1 비교부(313a), 제2 비교부(313b) 및 제3 비교부(313c)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비교부(313a)는 주변의 무선신호 정보 중 현재 WiFi AP 리스트를 체크하여 데이터 저장부(330)에 저장된 이전 WiFi AP 리스트와 비교한다. 즉, 상기 제1 비교부(313a)는 신호 측정부(320)로부터 측정된 무선신호 정보가 있다고 판단되면, 현재 WiFi AP 리스트를 확인하여 데이터 저장부(330)에 저장된 WiFi AP 리스트와 비교한다. 한편, 상기 신호 측정부(320)는 사용자 단말(30) 주변의 무선신호를 주기적으로 측정하고, 상기 데이터 저장부(330)는 신호 측정부(320)로부터 측정된 무선신호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데이터 저장부(330)에 저장된 WiFi AP 리스트는 이전에 측정되어 저장된 이전 WiFi AP 리스트이다.
상기 제2 비교부(313b)는 주변의 무선신호 정보 중 현재 Cell ID를 체크하여 데이터 저장부(330)에 저장된 이전 Cell ID와 비교한다. 즉, 상기 제2 비교부(313b)는 제1 비교부(313a)에서 현재 WiFi AP 리스트와 데이터 저장부(330)에 저장된 이전 WiFi AP 리스트 간의 매칭률이 제1 기준값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다음으로 제2 비교부(313b)가 현재 Cell ID를 확인하여 데이터 저장부(330)에 저장된 Cell ID와 비교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저장부(330)에 저장된 Cell ID는 이전에 측정되어 저장된 이전 Cell ID이다.
상기 제3 비교부(313c)는 주변의 무선신호 정보 중 현재 PSC 리스트를 확인하여 데이터 저장부(330)에 저장된 PSC 리스트와 비교한다. 즉, 상기 제3 비교부(313c)는 제2 비교부(313b)에서 현재 Cell ID와 데이터 저장부(330)에 저장된 이전 Cell ID가 동일하지 않으면, 현재 PSC 리스트를 확인하여 데이터 저장부(330)에 저장된 PSC 리스트와 비교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저장부(330)에 저장된 PSC 리스트는 이전에 측정되어 저장된 이전 PSC 리스트이다.
또한, 상기 제1 비교부(313a), 제2 비교부(313b) 및 제3 비교부(313c)는 각각의 비교 결과를 위치 판별부(314)로 전송한다.
상기 위치 판별부(314)는 신호 판단부(312)에서 신호 측정부(320)에서 측정된 데이터 중, GPS, WiFi 측위 방식으로 측정된 데이터가 있다고 판단하면 GPS, WiFi 측위 방식으로 측정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30)의 위치를 판별한다.
또한, 상기 위치 판별부(314)는, 신호 판단부(312)에서 신호 측정부(320)에서 측정된 데이터 중, GPS, WiFi 측위 방식으로 측정된 데이터가 없다고 판단하면 무선신호 확인부(313)에서 확인된 무선신호 정보에 따라 사용자 단말(30)의 위치를 판별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위치 판별부(314)는 제1 비교부(313a)에서 현재 WiFi AP 리스트와 데이터 저장부(330)에 저장된 이전 WiFi AP 리스트 간의 매칭률이 제 1 기준값을 초과하고, 제2 비교부(313b)에서 현재 Cell ID와 데이터 저장부(330)에 저장된 이전 Cell ID가 동일하면, 사용자 단말(30)이 이동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데이터 저장부(330)에 GPS 또는 WiFi 측위 방식으로 측정되어 저장된 위치값을 사용하여 사용자 단말(30)의 위치를 판별한다. 여기서, 상기 제1 기준값은 매칭률이 90%이상인 것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위치 판별부(314)는 신호 측정부(320)로부터 측정된 무선신호 정보가 있다고 판단되면, 현재 WiFi AP 리스트를 확인하여 데이터 저장부(330)에 저장된 WiFi AP 리스트와 비교한다. 상기 위치 판별부(314)는 현재 WiFi AP 리스트와 데이터 저장부(330)에 저장된 이전 WiFi AP 리스트 간의 매칭률이 제1 기준값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다음으로 현재 Cell ID를 확인하여 데이터 저장부(330)에 저장된 Cell ID와 비교한다.
또한, 상기 위치 판별부(314)는 신호 측정부(320)에서 GPS 또는 WiFi 측위 방식으로 측정된 결과가 없는 경우에, 현재 WiFi AP 리스트와 데이터 저장부(330)에 저장된 이전 WiFi AP 리스트 간의 매칭률이 제1 기준값보다 크고, 비록 현재 Cell ID가 이전 Cell ID와 동일하지 않더라도, 현재 PSC 리스트와 데이터 저장부(330)에 저장된 이전 PSC 리스트 간의 매칭률이 제2 기준값보다 크면, 사용자 단말(30)이 이동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데이터 저장부(330)에 저장된 위치값을 사용하여 사용자 단말(30)의 위치를 판별한다. 여기서, 상기 제2 기준값은 매칭률이 90%이상인 것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위치 판별부(314)는 제1 비교부(313a)에서 현재 WiFi AP 리스트와 데이터 저장부(330)에 저장된 이전 WiFi AP 리스트 간의 매칭률이 제 1 기준값보다 작으면, 사용자 단말(30)이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여, 신호 측정부(320)에서 Cell ID 측위 방식으로 측정된 위치값을 사용하여 사용자 단말(30)의 위치를 판별한다. 예를 들어, 상기 위치 판별부(314)는 신호 측정부(320)로부터 측정된 무선신호 정보가 있다고 판단되면, 현재 WiFi AP 리스트를 확인하여 데이터 저장부(330)에 저장된 WiFi AP 리스트와 비교한다. 상기 위치 판별부(314)는 제1 비교부(313a)에서 현재 WiFi AP 리스트와 데이터 저장부(330)에 저장된 이전 WiFi AP 리스트 간의 매칭률이 제1 기준값보다 작으면, 신호 측정부(320)에서 측정된 Cell ID로 측정된 위치값을 사용하여 사용자 단말(30)의 위치를 판별한다. 이때, 상기 위치 판별부(314)는 사용자 단말(30)이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므로, 데이터 저장부(330)에 저장된 이전의 주변 무선신호 정보를 삭제한다.
또한, 상기 위치 판별부(314)는 신호 측정부(320)에서 GPS 또는 WiFi 측위 방식으로 측정된 결과가 없는 경우에, 주변 무선신호 마저 없으면, 사용자 단말(30)의 주변 환경이 변한 것으로 판단하여, 현재 측정된 Cell ID를 사용하여 사용자 단말(30)의 위치를 판별한다. 예를 들어, 상기 위치 판별부(314)는 신호 측정부(320)로부터 측정된 무선신호 정보가 없다고 판단되면, 신호 측정부(320)에서 측정된 Cell ID를 사용하여 사용자 단말(30)의 위치를 판별한다. 또한, 상기 위치 판별부(314)는 데이터 저장부(330)에 저장된 이전의 주변 무선신호 정보를 삭제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30)의 주변 무선환경을 감지하여 사용자 단말(30)의 이동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 단말(30)의 이동이 없다고 판단될 경우 이전에 저장된 위치값을 사용하여 사용자 단말(30)의 위치를 판별하므로, 염도를 측정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30)의 측위 정확도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GPS 신호가 불안정하거나 WiFi AP등의 수신신호가 불안정한 동일장소에서 측위 결과의 안정성이 보장된다. 또한, 동일장소에서 측위 불안정으로 인해 다양한 측위 방식별 결과를 얻게 될 경우 상대적으로 오차가 작은 측위 방식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측위 정확도가 향상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30)의 주변 무선환경을 감지하여 염도가 측정된 정확한 위치를 판별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염도 측정 데이터와 함께 염도 측정 위치를 관리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부(360)는 제어부(310)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배터리부(360)는 일차전지 또는 이차전지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관리 서버(40)는 사용자 단말(30)로부터 전송된 나트륨의 농도값 또는 염분의 농도값과 그 측정 위치를 기초하여 각 위치별 염도에 관한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관리한다. 예를 들면, 상기 관리 서버(40)는 전국 방방 곡곡의 음식점들과 음식물의 염도에 관한 데이터를 소비자에게 서비스하는 업체의 서버일 수 있고, 이러한 경우 관리 서버(40)는 각각의 음식점의 음식물(특히, 국물)의 염도를 측정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30)로부터 전송받아, 이러한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소비자에게 서비스할 수 있게 된다. 이럴 경우, 소비자의 기호에 맞는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게 하고, 이에 따라 국민 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염도계를 이용한 염도 측정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염도계 10: 몸체
11: 관통구멍 12: 키선택부
13: 배터리캡 21: 전극
22: 온도센서 30: 사용자 단말
40: 관리 서버 100: 인쇄회로기판
110: 전원공급부 121: 메모리부
122: 전원관리부 123: 메인 제어부
124: 외부 펄스 인터럽트 125: 통신부
130: 시료정보 검출부 131: 신호 중계부
132: 전도도 측정부 133: 온도 측정부
150: 표시부 310: 제어부
311: 신호 처리부 312: 신호 판단부
313: 무선신호 확인부 314: 위치 판별부
320: 신호 측정부 330: 데이터 저장부
340: 디스플레이부 350: 통신 인터페이스부
360: 배터리부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시료의 전기 전도도값과 온도값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시료의 전기 전도도값과 온도값에 해당되는 나트륨의 농도값 또는 염분의 농도값을 산출하는 염도계(1); 상기 염도계(1)로부터 상기 나트륨의 농도값 또는 염분의 농도값을 전송받아 표시하고, 상기 시료의 전기 전도도값과 온도값이 측정된 지점의 위치 정보를 판별하는 사용자 단말(30); 및 상기 사용자 단말(30)로부터 상기 나트륨의 농도값 또는 염분의 농도값과 위치 정보를 전송받아 관리하는 관리 서버(40)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30)은
    상기 염도계(1) 및 관리 서버(4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부(350); 상기 시료의 전기 전도도값과 온도값을 측정하는 측정 지점의 위치를 GPS, WiFi, Cell ID 측위 방식으로 측정하는 신호 측정부(320); 상기 신호 측정부(320)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330); 상기 신호 측정부(320)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40); 및 상기 신호 측정부(320)에서 측정된 결과와 상기 데이터 저장부(330)에서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측정 지점에서의 사용자 단말(30)의 위치를 판별하되, 상기 나트륨의 농도값 또는 염분의 농도값과 상기 판별된 사용자 단말(30)의 위치 정보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350)를 통하여 상기 관리 서버(40)에 전송할 수 있는 제어부(310)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310)는
    상기 염도계(1)에 의하여 측정된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340) 및 외부관리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도록 신호처리하는 신호 처리부(311); 상기 신호 측정부(320)에서 측정된 데이터 중 GPS, WiFi 측위 방식으로 측정된 데이터가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신호 판단부(312); 상기 신호 판단부(312)에서 상기 신호 측정부(320)에서 측정된 데이터 중 GPS, WiFi 측위 방식으로 측정된 데이터가 없다고 판단하면 주변의 무선신호 정보가 있는 확인하는 무선신호 확인부(313); 및 상기 신호 판단부(312)에서 상기 신호 측정부(320)에서 측정된 데이터 중, GPS, WiFi 측위 방식으로 측정된 데이터가 있다고 판단하면 GPS, WiFi 측위 방식으로 측정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30)의 위치를 판별하고, GPS, WiFi 측위 방식으로 측정된 데이터가 없으면 상기 무선신호 확인부(313)에서 확인된 무선신호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30)의 위치를 판별하는 위치 판별부(314)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신호 정보는 WiFi AP 리스트, Cell ID 및 PSC 리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도 측정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신호 확인부(313)는
    주변의 무선신호 정보 중 현재 WiFi AP 리스트를 체크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부(330)에 저장된 이전 WiFi AP 리스트와 비교하는 제1 비교부(313a); 및
    상기 주변의 무선신호 정보 중 현재 Cell ID를 체크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부(330)에 저장된 이전 Cell ID와 비교하는 제2 비교부(313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도 측정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교부(313a)에서 현재 WiFi AP 리스트와 데이터 저장부(330)에 저장된 이전 WiFi AP 리스트 간의 매칭률이 제 1 기준값을 초과하고, 상기 제2 비교부(313b)에서 현재 Cell ID와 데이터 저장부(330)에 저장된 이전 Cell ID가 동일하면,
    상기 위치 판별부(314)는 상기 데이터 저장부(330)에 GPS 또는 WiFi 측위 방식으로 측정되어 저장된 위치값을 사용하여 사용자 단말(30)의 위치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도 측정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교부(313a)에서 현재 WiFi AP 리스트와 데이터 저장부(330)에 저장된 이전 WiFi AP 리스트 간의 매칭률이 제 1 기준값보다 작으면,
    상기 위치 판별부(314)는 상기 신호 측정부(320)에서 Cell ID 측위 방식으로 측정된 위치값을 사용하여 사용자 단말(30)의 위치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도 측정시스템.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염도계(1)와 상기 사용자 단말(30)은 근거리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도 측정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블루투스, 지그비, 와이파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도 측정시스템.
KR1020130137049A 2013-11-12 2013-11-12 염도계를 이용한 염도 측정시스템 KR101366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7049A KR101366109B1 (ko) 2013-11-12 2013-11-12 염도계를 이용한 염도 측정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7049A KR101366109B1 (ko) 2013-11-12 2013-11-12 염도계를 이용한 염도 측정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6109B1 true KR101366109B1 (ko) 2014-02-24

Family

ID=50271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7049A KR101366109B1 (ko) 2013-11-12 2013-11-12 염도계를 이용한 염도 측정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610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5748B1 (ko) * 2014-07-31 2015-12-09 대윤계기산업(주) 스마트폰을 이용한 염도 및 당도 측정 시스템
KR20180081259A (ko) 2017-01-06 2018-07-16 김만중 고객 맞춤형 반찬 플랫폼 장치
KR20180081260A (ko) 2017-01-06 2018-07-16 김만중 음식물의 염도 및 나트륨 측정 장치
KR20180112937A (ko) * 2017-04-05 2018-10-15 원경훈 정밀 계측장비용 다기능 데이터 전송 모듈
CN110320244A (zh) * 2019-07-29 2019-10-11 山东省科学院海洋仪器仪表研究所 一种基于正交锁相放大技术的海水盐度测量系统及方法
KR102302277B1 (ko) * 2021-04-07 2021-09-14 주식회사 하나로총판 가리비 관자까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8751B1 (ko) * 2003-09-08 2004-04-28 대윤계기산업 주식회사 티디에스/염분 측정기
JP2009030981A (ja) * 2007-07-24 2009-02-12 Tanita Corp 液体成分測定装置、基準液、液体成分測定方法
KR20100116516A (ko) * 2009-04-22 2010-11-01 손윤호 전자식 염도계
KR20130006898A (ko) * 2011-06-24 2013-01-18 이재식 스마트폰을 이용한 방사능 측정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8751B1 (ko) * 2003-09-08 2004-04-28 대윤계기산업 주식회사 티디에스/염분 측정기
JP2009030981A (ja) * 2007-07-24 2009-02-12 Tanita Corp 液体成分測定装置、基準液、液体成分測定方法
KR20100116516A (ko) * 2009-04-22 2010-11-01 손윤호 전자식 염도계
KR20130006898A (ko) * 2011-06-24 2013-01-18 이재식 스마트폰을 이용한 방사능 측정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5748B1 (ko) * 2014-07-31 2015-12-09 대윤계기산업(주) 스마트폰을 이용한 염도 및 당도 측정 시스템
KR20180081259A (ko) 2017-01-06 2018-07-16 김만중 고객 맞춤형 반찬 플랫폼 장치
KR20180081260A (ko) 2017-01-06 2018-07-16 김만중 음식물의 염도 및 나트륨 측정 장치
KR20180112937A (ko) * 2017-04-05 2018-10-15 원경훈 정밀 계측장비용 다기능 데이터 전송 모듈
KR101973257B1 (ko) * 2017-04-05 2019-04-26 원경훈 정밀 계측장비용 다기능 데이터 전송 모듈
CN110320244A (zh) * 2019-07-29 2019-10-11 山东省科学院海洋仪器仪表研究所 一种基于正交锁相放大技术的海水盐度测量系统及方法
KR102302277B1 (ko) * 2021-04-07 2021-09-14 주식회사 하나로총판 가리비 관자까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6109B1 (ko) 염도계를 이용한 염도 측정시스템
US20150068924A1 (en) Blood glucose measurement module, smart phone combinable with the blood glucose measurement module, and blood glucose measurement method using the same
KR20150109059A (ko) 홈 게이트웨이에서 스마트 플러그와 연결된 전자장치의 자동 매핑 방법 및 그 장치
KR101575748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염도 및 당도 측정 시스템
JP2004258029A (ja) 移動通信端末機の受信感度表示装置及びその方法
CN108924885B (zh) 信息获取方法及装置
WO2013051992A1 (en) A device, a system and a method for alcohol measurement
CN111092671B (zh) 信号强度上报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设备
CN205594110U (zh) 一种电能表串户检测装置
CN205280712U (zh) 一种智能水质监测系统
US20170207647A1 (en) Power management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power adapter
US20120276894A1 (en) Measuring device, communication device, monitoring system and program
EP306770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smart plug
US20140172309A1 (en) Context aware blood glucose measurement system
KR20110085066A (ko) 휴대용 피부 수분 자동 측정 장치 그 방법
KR101829710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배터리 소모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205280139U (zh) 一种便携式智能水质检测装置
MY180522A (en) Break detection apparatus
CN211581796U (zh) 一种基于NB-IoT的智能测温手环装置及系统
JP2014230471A (ja) 電力供給デバイス、及び電力供給プログラム
KR20140115586A (ko) 이동식 소모 전류 측정 장치, 전류 측정 단말 및 소모 전류 측정 방법
CN105472554B (zh) 一种室内对象推荐方法及用户终端
WO2023103355A1 (zh) 用于冷媒量判断的方法、装置、空调器和存储介质
JP6913893B2 (ja) 受光量計測システム
EP3499928B1 (en) Determining signal quality in a low-power wide-area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