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6105B1 - 차량표식 노출 지원장치 - Google Patents

차량표식 노출 지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6105B1
KR101366105B1 KR1020120078635A KR20120078635A KR101366105B1 KR 101366105 B1 KR101366105 B1 KR 101366105B1 KR 1020120078635 A KR1020120078635 A KR 1020120078635A KR 20120078635 A KR20120078635 A KR 20120078635A KR 101366105 B1 KR101366105 B1 KR 101366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isplay base
support
storage box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8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2268A (ko
Inventor
남상욱
신대로
Original Assignee
(주)에핏라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핏라이트 filed Critical (주)에핏라이트
Priority to KR1020120078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6105B1/ko
Publication of KR20140012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2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6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61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0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using luminous text or symbol displays in or on the vehicle, e.g. static tex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B60Q1/3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mounted in the vicinity, e.g. in the middle, of a rear wind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05Manufacturers' emblems, name plates, bonnet ornaments, mascots or the like; Mount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Vehicle Waterproofing, Decoration, And Sanit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표식 노출 지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차량의 일부에 <수납박스>, <차량표식(예컨대, 차량에 구비된 엠블럼, 심볼, 로고, 기호, 번호, 이미지 등)을 구비한 표시베이스> 등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수납박스의 내부에 <도광체>, <광원>, <표시베이스를 지지하는 지지체>, <지지체와 링크되어 있는 이동유발체(예컨대, 모터, 유압실린더, 공압실린더, 전/자기 탈/부착 유도장치 등)>, <차량을 제어하는 차량 제어모듈과 신호 연결된 상태에서, 차량 제어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차량상황신호에 따라, 이동유발체를 구동시켜, 이동유발체에 링크되어 있던 지지체 및 지지체에 의해 지지되어 있던 표시베이스의 전방이동 또는 후방이동을 유발시킴과 아울러, 광원을 구동시키거나 또는 오프시켜, 해당 광원으로부터 출력되는 광선이 도광체를 통해 표시베이스 및 차량표식의 주변을 밝힐 수 있도록 하거나, 표시베이스 및 차량표식의 주변을 밝히고 있던 광선이 멸광될 수 있도록 하는 차량표식 노출 컨트롤러> 등을 추가 설치하고, 이를 통해, 차량이 특수한 환경(예컨대, 야간, 흐린 날, 우천 시 등)에 처해있을 경우에도, 차량에 부착된 차량표식(예컨대, 차량에 구비된 엠블럼, 심볼, 로고, 기호, 번호, 이미지 등)이 광원으로부터 출력되는 최적의 간접 감성조명에 의해 고 품질/고 강도의 시각적 노출패턴을 이룰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 제조업체 측에서 주간/야간, 흐린 날, 맑은 날, 우천 시 등을 불문하고 차량표식을 통한 자사의 홍보효과를 별다른 문제점 없이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차량표식 노출 지원장치{The apparatus which supports a exposure of a mark for a car}
본 발명은 차량에 구비된 차량표식(예컨대, 차량에 구비된 엠블럼, 심볼, 로고, 기호, 번호, 이미지 등)의 시각적 노출을 강화시켜주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일부에 <수납박스>, <차량표식을 구비한 표시베이스> 등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수납박스의 내부에 <도광체>, <광원>, <표시베이스를 지지하는 지지체>, <지지체와 링크되어 있는 이동유발체(예컨대, 모터, 유압실린더, 공압실린더, 전/자기 탈/부착 유도장치 등)>, <차량을 제어하는 차량 제어모듈과 신호 연결된 상태에서, 차량 제어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차량상황신호에 따라, 이동유발체를 구동시켜, 이동유발체에 링크되어 있던 지지체 및 지지체에 의해 지지되어 있던 표시베이스의 전방이동 또는 후방이동을 유발시킴과 아울러, 광원을 구동시키거나 또는 오프시켜, 해당 광원으로부터 출력되는 광선이 도광체를 통해 표시베이스 및 차량표식의 주변을 밝힐 수 있도록 하거나, 표시베이스 및 차량표식의 주변을 밝히고 있던 광선이 멸광될 수 있도록 하는 차량표식 노출 컨트롤러> 등을 추가 설치하고, 이를 통해, 차량이 특수한 환경(예컨대, 야간, 흐린 날, 우천 시 등)에 처해있을 경우에도, 차량에 부착된 차량표식이 광원으로부터 출력되는 최적의 간접 감성조명에 의해 고 품질/고 강도의 시각적 노출패턴을 이룰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 제조업체 측에서 주간/야간, 흐린 날, 맑은 날, 우천 시 등을 불문하고 차량표식을 통한 자사의 홍보효과를 별다른 문제점 없이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는 차량표식 노출 지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차량용 제동램프는 차량의 후미에 배치된 구조를 취하면서, 예컨대, 운전자에 의해 브레이크가 작동되는 경우, 일련의 경고용 광선(예컨대, 빨간색 광선)을 차량의 뒤편으로 점등시킴으로써, 선후 차량 간 접촉사고, 선후 차량 간 충돌사고 등을 미리 방지하는 일련의 경고 고지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차량용 제동램프는 별다른 추가 조치 없이, 단순히 차량의 제동시점에 맞춰 일련의 경고용 광선을 풀(Full) 점등시키는 지극히 고전적인 기능만을 무모하게 반복 수행하고 있었기 때문에, 그 <경고각인 유도성능>이 좀처럼 개선되지 못하는 심각한 문제점을 일으킬 수밖에 없었으며, 결국, 차량 운전자 측에서는 BL의 정상적인 배치에도 불구하고 불필요한 차량사고 위험에 수시로 노출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출원인은 국내특허출원 제10-2012-11057호(명칭: 차량용 제동램프 운영장치)를 통해, 차량용 제동램프의 경고각인 유도성능을 대폭 개선시킴과 아울러, 이 차량용 제동램프가 고전적인 차량제동 표시기능 이외에도, 차량의 비상상태(예컨대, 정차상태, 수리상태, 주차상태, 고장상태 등)를 외부에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로 보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 운전자 측에서 불필요한 차량사고 위험을 안정적으로 회피할 수 이점, 자가 차량의 품질을 고급화할 수 있는 이점 등을 효과적으로 향유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술을 제안하기도 하였다.
한편, 차량에는 상술한 제동램프 이외에도 각종 차량표식(예컨대, 차량에 구비된 엠블럼, 심볼, 로고, 기호, 번호, 이미지 등)이 추가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통상, 차량 제조업체 측에서는 이 차량표식을 자사의 이미지를 홍보하는 일련의 홍보매체로써 폭 넓게 활용하고 있다.
물론, 이러한 차량표식이 보다 우수한 홍보매체로써 활용될 수 있으려면, 주간/야간, 흐린 날, 맑은 날, 우천 시 등을 불문하고 외부에 지속적으로 노출될 수 있는 탄력적인 패턴을 이루어야 한다.
그러나, 상황이 이러함에도 불구하고, 앞의 국내특허출원 제10-2012-11057호를 포함한 대부분의 종래 차량에는 단지 상술한 제동램프만이 단편적으로 구비되어 있었을 뿐, 예컨대, 야간, 흐린 날, 우천 시 등과 같이 차량표식의 시각적 노출이 어려운 환경 하에서 해당 차량표식의 노출을 지원해줄 수 있는 별도의 전용장치가 전혀 구비되어 있지 아니하였기 때문에(물론, 종래의 차량에는 상기 제동램프 이외에도, 미등, 안개등 등이 추가로 구비되어 있기는 하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앞의 제동램프와 마찬가지로 차량표식의 시각적 노출에는 아무런 기여도 하지 못하게 된다), 차량 제조업체 측에서는 차량이 특수한 환경(예컨대, 야간, 흐린 날, 우천 시 등)에 처해있을 경우, 차량표식의 정상적인 배치에도 불구하고, 이를 통한 일련의 자사 홍보효과를 전혀 획득할 수 없었으며, 결국, 그에 따른 각종 유/무형의 피해를 고스란히 감수할 수밖에 없었다.
국내특허출원 제10-2012-11057호(명칭: 차량용 제동램프 운영장치)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일부에 <수납박스>, <차량표식(예컨대, 차량에 구비된 엠블럼, 심볼, 로고, 기호, 번호, 이미지 등)을 구비한 표시베이스> 등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수납박스의 내부에 <도광체>, <광원>, <표시베이스를 지지하는 지지체>, <지지체와 링크되어 있는 이동유발체(예컨대, 모터, 유압실린더, 공압실린더, 전/자기 탈/부착 유도장치 등)>, <차량을 제어하는 차량 제어모듈과 신호 연결된 상태에서, 차량 제어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차량상황신호에 따라, 이동유발체를 구동시켜, 이동유발체에 링크되어 있던 지지체 및 지지체에 의해 지지되어 있던 표시베이스의 전방이동 또는 후방이동을 유발시킴과 아울러, 광원을 구동시키거나 또는 오프시켜, 해당 광원으로부터 출력되는 광선이 도광체를 통해 표시베이스 및 차량표식의 주변을 밝힐 수 있도록 하거나, 표시베이스 및 차량표식의 주변을 밝히고 있던 광선이 멸광될 수 있도록 하는 차량표식 노출 컨트롤러> 등을 추가 설치하고, 이를 통해, 차량이 특수한 환경(예컨대, 야간, 흐린 날, 우천 시 등)에 처해있을 경우에도, 차량에 부착된 차량표식(예컨대, 차량에 구비된 엠블럼, 심볼, 로고, 기호, 번호, 이미지 등)이 광원으로부터 출력되는 최적의 간접 감성조명에 의해 고 품질/고 강도의 시각적 노출패턴을 이룰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 제조업체 측에서 주간/야간, 흐린 날, 맑은 날, 우천 시 등을 불문하고 차량표식을 통한 자사의 홍보효과를 별다른 문제점 없이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차량의 일부에 설치되는 수납박스와; 차량표식을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차량표식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수납박스에 설치되는 표시베이스와; 상기 수납박스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로, 상기 표시베이스 측으로 광선을 전달하는 도광체와; 상기 수납박스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로, 상기 도광체의 측면에 배치되는 광원과; 상기 수납박스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로, 상기 표시베이스를 지지하는 지지체와; 상기 수납박스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로, 상기 지지체와 링크되어 있는 이동유발체와; 상기 수납박스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로, 상기 차량을 제어하는 차량 제어모듈과 신호 연결되며, 상기 차량 제어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차량상황신호에 따라, 상기 이동유발체를 구동시켜, 상기 이동유발체에 링크되어 있던 상기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에 의해 지지되어 있던 상기 표시베이스의 전방이동 또는 후방이동을 유발시킴과 아울러, 상기 광원을 구동시키거나 오프시켜, 해당 광원으로부터 출력되는 광선이 상기 도광체를 통해 상기 표시베이스 및 상기 차량표식의 주변을 간접적으로 밝힐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표시베이스 및 상기 차량표식의 주변을 밝히고 있던 광선이 멸광될 수 있도록 하는 차량표식 노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표식 노출 지원장치를 개시한다.
이때, 상기 차량표식 노출 컨트롤러는 상기 차량 제어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차량상황신호가 차량주변 어두움 감지신호 또는 차량점등 온(On) 신호인 경우, 상기 이동유발체를 구동시켜, 상기 이동유발체에 링크되어 있던 상기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에 의해 지지되어 있던 상기 표시베이스의 후방이동을 유발시킴과 아울러, 상기 광원을 구동시켜, 해당 광원으로부터 출력되는 광선이 상기 도광체를 통해 상기 표시베이스 및 상기 차량표식의 주변을 간접적으로 밝힐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차량의 일부에 <수납박스>, <차량표식(예컨대, 차량에 구비된 엠블럼, 심볼, 로고, 기호, 번호, 이미지 등)을 구비한 표시베이스> 등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수납박스의 내부에 <도광체>, <광원>, <표시베이스를 지지하는 지지체>, <지지체와 링크되어 있는 이동유발체(예컨대, 모터, 유압실린더, 공압실린더, 전/자기 탈/부착 유도장치 등)>, <차량을 제어하는 차량 제어모듈과 신호 연결된 상태에서, 차량 제어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차량상황신호에 따라, 이동유발체를 구동시켜, 이동유발체에 링크되어 있던 지지체 및 지지체에 의해 지지되어 있던 표시베이스의 전방이동 또는 후방이동을 유발시킴과 아울러, 광원을 구동시키거나 또는 오프시켜, 해당 광원으로부터 출력되는 광선이 도광체를 통해 표시베이스 및 차량표식의 주변을 밝힐 수 있도록 하거나, 표시베이스 및 차량표식의 주변을 밝히고 있던 광선이 멸광될 수 있도록 하는 차량표식 노출 컨트롤러> 등을 추가 설치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차량에 부착된 차량표식(예컨대, 차량에 구비된 엠블럼, 심볼, 로고, 기호, 번호, 이미지 등) 측에서는 차량이 특수한 환경(예컨대, 야간, 흐린 날, 우천 시 등)에 처해있을 경우에도, 광원으로부터 출력되는 최적의 간접 감성조명에 의해 고 품질/고 강도의 시각적 노출패턴을 이룰 수 있게 되며, 결국, 차량 제조업체 측에서는 주간/야간, 흐린 날, 맑은 날, 우천 시 등을 불문하고 차량표식을 통한 자사의 홍보효과를 별다른 문제점 없이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표식 노출 지원장치의 차량 내 설치패턴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표식 노출 지원장치의 세부적인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표식 노출 지원장치의 세부적인 기능수행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표식 노출 지원장치의 기능수행에 따른 표시베이스 및 이에 설치된 차량표식의 노출패턴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표식 노출 지원장치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현체제 하에서, 차량(1)의 일부, 예컨대, 차량(1)의 후면(1a)에는 본 발명의 차량표식 노출 지원장치(100)의 설치/매립을 위한 수납박스 설치 트랜치(2)가 추가 배치된다(물론, 이러한 수납박스 설치 트랜치(2)의 배치 위치는 상황에 따라, 차량의 손잡이, 트렁크 손잡이, 차량의 옆면, 차량의 전면 등으로 다양한 변형을 이룰 수 있다).
이처럼, 차량(1)의 후면(1a)에 수납박스 설치 트랜치(2)가 추가 배치된 상황에서, 본 발명의 차량표식 노출 지원장치(100)는 수납박스 설치 트랜치(2) 내에 매립/설치된 후, 수납박스 고정용 돌기(103)에 형성된 수납박스 고정용 홀(104) 및 수납박스 고정나사(105)를 통해 차량(1)의 일부, 예컨대, 차량(1)의 후면(1a)에 고정 설치되는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물론, 이러한 차량표식 노출 지원장치(100)의 고정구조는 상황에 따라 다양한 변형을 이룰 수 있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표식 노출 지원장치(100)는 자신의 전면(101a)을 차량(1)의 외부로 노출시킨 상태에서, 차량(1)의 일부, 예컨대, 차량(1)의 후면(1a)에 설치되는 수납박스(101)와, 차량표식(E)(예컨대, 차량에 구비된 엠블럼, 심볼, 로고, 기호, 번호, 이미지 등)을 구비한 상태에서, 차량표식(E)이 차량(1)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수납박스(101)의 전면(101a)에 설치되는 표시베이스(110)와, 수납박스(101)의 후면에 설치되면서, 이 수납박스(101)의 수납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수납박스 커버(102)를 포함하는 구성을 취하게 된다(물론, 수납박스(101) 및 표시베이스(110)의 사이즈, 형상 등은 본 발명의 장치가 설치되는 용도, 장소 등에 따라 다양한 변형을 이룰 수 있다).
이때, 표시베이스(110)는 예컨대, 원통형 형상을 이루면서(물론, 이러한 표시베이스(110)의 형상은 상황에 따라 다양한 변형을 이룰 수 있다), 광선 투과에 유리한 재질, 예컨대, 아크릴 재질을 가지게 되며, 이 상황에서, 수납박스(101)의 내부 수납공간에는 도광체(140), 광원모듈(120), 지지체(152), 지지체 가이드 프레임(150), 이동유발체(132), 차량표식 노출 컨트롤러(160) 등이 추가 배치된다(물론, 이러한 도광체(140), 광원모듈(120), 지지체(152), 지지체 가이드 프레임(150), 이동유발체(132) 등의 사이즈, 형상 역시 본 발명의 장치가 설치되는 용도, 장소 등에 따라 다양한 변형을 이룰 수 있다).
이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모듈(120)은 광원 제어 기판(121)과, 이 광원 제어 기판(121) 상에 배치된 광원(122)(예컨대, LED 칩)이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물론, 이러한 광원으로는 LED 칩 이외에도 형광 램프 등의 다양한 광선 출력체가 교체 선택될 수 있다) .
여기서, 도광체(140)는 수납박스(101)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로, 광원블록(120) 내의 광원(122)(예컨대, LED 칩)으로부터 출력되는 광선을 표시베이스(110) 측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광원블록(120) 내의 광원(122)(예컨대, LED 칩)은 수납박스(101)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로, 도광체(140)의 측면에 배치되면서, 광원 제어 기판(121)의 제어에 따라, 일련의 광선을 도광체(140) 측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도 3 참조). 이 경우, 도광체(140)의 후면에는 광원(122)으로부터 출력된 광선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반사체(170)가 추가 배치된다.
또한, 지지체(152)는 수납박스(101)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로, 반사체(170) 및 도광체(140)를 관통하면서, 표시베이스(11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지지체 가이드 프레임(150)은 수납박스(101)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로, 지지체 가이드 슬릿(151)을 통해 지지체(152)와 결합되면서, 이 지지체 가이드 슬릿(151)을 통해 지지체(152)의 전방이동경로, 후방이동경로 등을 정의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나아가, 이동유발체(132), 예를 들어, 모터(130)는 수납박스(101)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로, 톱니바퀴(131)를 통해 지지체(152)와 링크되는 구조를 형성하면서(물론, 이 경우, 지지체(152)에는 톱니바퀴(131)와의 링크를 위한 톱니 패턴이 추가 배치된다), 후술하는 차량표식 노출 컨트롤러(160)의 제어에 의한 자가 구동을 통해 톱니바퀴(131)를 회전시켜, 지지체(152)의 전방이동 또는 후방이동을 유발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이동유발체(132)로는 상술한 모터(130) 이외에도, <유압발생을 위한 유압발생기, 실린더 튜브, 유압발생에 따라 전후 이동하는 피스톤, 지지체(152)에 링크된 상태에서, 피스톤의 전후 움직임을 지지체 측으로 전달하는 링크 바 등의 구성요소를 구비한 유압실린더>, <공압발생을 위한 공압발생기, 실린더 튜브, 공압발생에 따라 전후 이동하는 피스톤, 지지체(152)에 링크된 상태에서, 피스톤의 전후 움직임을 지지체 측으로 전달하는 링크 바 등의 구성요소를 구비한 공압실린더>, <전/자기 발생을 위한 전/자기 발생체(예컨대, 자석), 지지체(152)에 링크된 상태에서, 전/자기의 발생에 따라 전후(또는 좌우)로 움직이는 링크 바, 전/자기의 외부 누출을 차단하기 위한 전/자기 차폐체 등의 구성요소를 구비한 전/자기 탈/부착 유도장치> 등이 교체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기반 인프라가 갖추어진 상태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박스(101)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던 차량표식 노출 컨트롤러(160) 측에서는 차량(1)을 제어하는 차량 제어모듈(10)과 신호 연결되는 구조를 형성하면서(이 경우, 차량표식 노출 컨트롤러(160) 및 차량 제어모듈(10)의 신호경로 상에는 이들 간의 전기적인 교신을 지원하는 회로체가 추가 배치될 수도 있다), 차량 제어모듈(10)로부터 출력되는 차량상황신호(예컨대, 차량주변 어두움 감지신호, 차량점등 온(On) 신호, 차량주변 밝음 감지신호 또는 차량점등 오프(Off) 신호, 차량시동 오프신호 등)에 따라, 이동유발체(132), 예컨대, 모터(130)를 구동시켜, <톱니바퀴(131)를 통해 모터(130)에 링크되어 있던 지지체(152) 및 이 지지체(152)에 의해 지지되어 있던 표시베이스(110)>의 후방이동 또는 전방이동을 유발시킴과 아울러(도 4 및 도 5 참조), 앞의 차량상황신호(예컨대, 차량주변 어두움 감지신호, 차량점등 온(On) 신호, 차량주변 밝음 감지신호 또는 차량점등 오프(Off) 신호, 차량시동 오프신호 등)에 따라, 광원(122)을 구동시키거나 또는 오프시켜, 해당 광원(122)으로부터 출력되는 광선이 도광체(140)를 통해 표시베이스(110) 및 차량표식(E)의 주변을 밝힐 수 있도록 하거나, 표시베이스(110) 및 차량표식(E)의 주변을 밝히고 있던 광선이 멸광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 경우, 차량표식 노출 컨트롤러(160)는 컨트롤러 보호박스(161)에 의해 보호되는 구조를 취하게 된다.
이때, 차량 제어모듈(10)로부터 출력되는 차량상황신호가 예컨대, 차량주변 어두움 감지신호, 차량점등 온(On) 신호(예컨대, 미등 온 신호, 안개등 온 신호 등) 등인 경우(즉, 차량 주변이 어둡다는 것을 의미하는 상황신호인 경우), 차량표식 노출 컨트롤러(160) 측에서는 이동유발체(132), 예컨대, 모터(130)를 구동시켜, <톱니바퀴(131)를 통해 모터(130)에 링크되어 있던 지지체(152) 및 이 지지체(152)에 의해 지지되어 있던 표시베이스(110)>의 후방이동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발시킴과 아울러, 광원 제어 기판(121)의 제어를 통해 광원(122)을 구동시켜, 해당 광원(122)으로부터 출력되는 광선이 도광체(140)를 통해 표시베이스(110) 및 차량표식(E)의 주변을 간접적으로 밝힐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되며, 결국, 차량표식(E)(예컨대, 차량에 구비된 엠블럼, 심볼, 로고, 기호, 번호, 이미지 등) 측에서는 자신을 둘러싼 둥근 원반형태(물론, 이러한 발광형태는 표시베이스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변형을 이룰 수 있다)의 간접적인 감성조명을 배경으로 하면서, 매우 우수한 시각적 노출패턴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차량(1)의 일부에 <수납박스(101)>, <차량표식(E)을 구비한 표시베이스(110)> 등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수납박스(101)의 내부에 <도광체(140)>, <광원(122)>, <표시베이스(110)를 지지하는 지지체(152)>, <지지체(152)와 링크되어 있는 이동유발체(132)(예컨대, 모터)>, <차량(1)을 제어하는 차량 제어모듈(10)과 신호 연결된 상태에서, 차량 제어모듈(10)로부터 출력되는 차량상황신호에 따라, 이동유발체(132)를 구동시켜, 이 이동유발체(132)에 링크되어 있던 지지체(152) 및 지지체(152)에 의해 지지되어 있던 표시베이스(110)의 후방이동을 유발시킴과 아울러, 광원(122)을 구동시켜, 해당 광원(122)으로부터 출력되는 광선이 도광체(140)를 통해 표시베이스(110) 및 차량표식(E)의 주변을 간접적으로 밝힐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는 차량표식 노출 컨트롤러(160)> 등을 추가 설치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차량(1)에 부착된 차량표식(E) 측에서는 차량(1)이 특수한 환경(예컨대, 야간, 흐린 날, 우천 시 등)에 처해있을 경우에도, 광원(122)으로부터 출력되는 최적의 간접 감성조명에 의해 고 품질/고 강도의 시각적 노출패턴을 이룰 수 있게 되며, 결국, 차량 제조업체 측에서는 주간/야간, 흐린 날, 맑은 날, 우천 시 등을 불문하고 차량표식(E)(예컨대, 차량에 구비된 엠블럼, 심볼, 로고, 기호, 번호, 이미지 등)을 통한 자사의 홍보효과를 별다른 문제점 없이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앞의 차량 제어모듈(10)로부터 출력되는 차량상황신호가 차량주변 밝음 감지신호, 차량시동 오프(Off) 신호, 차량점등 오프 신호(예컨대, 미등 오프 신호, 안개등 오프 신호 등) 등인 경우(즉, 차량 주변이 밝다는 것을 의미하는 상황신호 이거나, 차량의 운행이 종료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는 상황신호인 경우), 차량표식 노출 컨트롤러(160) 측에서는 이동유발체(132), 예컨대, 모터(130)를 구동시켜, <톱니바퀴(131)를 통해 모터(130)에 링크되어 있던 지지체(152) 및 이 지지체(152)에 의해 지지되어 있던 표시베이스(110)>의 전방이동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발시킴과 아울러, 광원 제어 기판(121)의 제어를 통해 광원(122)을 오프시키게 된다(물론, 광원이 이미 오프되어 있는 경우에는 오프상태를 그대로 유지시키게 된다).
물론, 이 상황에서, 만약, 광원(122)으로부터 출력되는 광선이 도광체(140)를 통해 표시베이스(110) 및 차량표식(E)의 주변을 간접적으로 밝히고 있었을 경우, 이 광선은 광원의 오프에 따라 자연스럽게 멸광될 수 있게 되며, 결국, 차량 측에서는 불필요한 전력낭비를 미리 차단 받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차량(1)이 처한 상황이 <차량표식(E)의 시각적 노출이 태양 광을 통해 주로 이루어지게 되는 평상 시(예컨대, 주간 시, 맑은 날 등) 상황>이거나, 차량의 운행이 종료된 상황이어서, 차량 제어모듈(10)로부터 출력되는 차량상황신호가 차량주변 밝음 감지신호, 차량점등 오프 신호(예컨대, 미등 오프 신호, 안개등 오프 신호 등), 차량시동 오프(Off) 신호 등인 경우, 표시베이스(110)를 차량 외측으로 전방이동 시킴으로써, 차량표식(E)의 시각적 노출효과가 좀더 강도 높게 달성될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이 상황에서, 본 발명에서는 표시베이스(110)에 구비된 차량표식(E)에 발광을 위한 발광체, 바람직하게, 크롬 도금체 또는 니켈 도금체를 추가 코팅시키는 조치를 강구하게 된다.
물론, 상술한 발광체(예컨대, 크롬 도금체 또는 니켈 도금체)가 추가 코팅된 상황 하에서, 차량표식(E) 측에서는 좀더 강도 높은 시각적 노출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되며, 결국, 차량 제조업체 측에서는 주간/야간, 흐린 날, 맑은 날, 우천 시 등을 불문하고 차량표식(E)을 통한 자사의 홍보효과를 좀더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황에 따라 다양한 변형을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차량 주변의 밝고 어두움을 자체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본 발명에 따른 지원장치(100)의 기반 인프라 내에 추가 구비시킬 수도 있다. 물론, 이 경우, 차량표식 노출 컨트롤러(160) 측에서는 차량 제어모듈(10)과의 통신 없이도 차량 주변의 밝고 어두움을 자체 감지한 후, 그에 상응하는 액션(예컨대, 이동유발체(132)를 구동시켜, 이 이동유발체(132)에 링크되어 있던 지지체(152) 및 지지체(152)에 의해 지지되어 있던 표시베이스(110)의 후방이동을 유발시킴과 아울러, 광원(122)을 구동시켜, 해당 광원(122)으로부터 출력되는 광선이 도광체(140)를 통해 표시베이스(110) 및 차량표식(E)의 주변을 간접적으로 밝힐 수 있도록 유도하는 액션)을 독자적으로 취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로, 본 발명에서는 차량표식 노출 컨트롤러(160)를 차량 제어모듈(10)의 개입 없이 차량 내 센서와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하는 조치를 취할 수도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차량표식 노출 컨트롤러(160) 측에서는 차량 제어모듈(10)과의 통신 없이 센서와의 직접통신을 통해 차량 주변의 밝고 어두움을 감지한 후, 그에 상응하는 액션(예컨대, 이동유발체(132)를 구동시켜, 이 이동유발체(132)에 링크되어 있던 지지체(152) 및 지지체(152)에 의해 지지되어 있던 표시베이스(110)의 후방이동을 유발시킴과 아울러, 광원(122)을 구동시켜, 해당 광원(122)으로부터 출력되는 광선이 도광체(140)를 통해 표시베이스(110) 및 차량표식(E)의 주변을 간접적으로 밝힐 수 있도록 유도하는 액션)을 독자적으로 취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특정 분야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구조물의 시각적 노출 강화가 필요한 여러 분야에서, 전반적으로 유용한 효과를 발휘한다.
그리고,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E: 차량표식 1: 차량 1a: 차량의 후면 2: 수납박스 설치 트랜치
10: 차량 제어모듈 100: 차량표식 노출 지원장치 101: 수납박스
101a: 수납박스 전면 102: 수납박스 커버 103: 수납박스 고정용 돌기
104: 수납박스 고정용 홀 105: 수납박스 고정나사 110: 표시베이스
120: 광원모듈 121: 광원 제어 기판 122: 광원 130: 모터
131: 톱니바퀴 132: 이동유발체 140: 도광체
150: 지지체 가이드 프레임 151: 지지체 가이드 슬릿
152: 지지체 160: 차량표식 노출 컨트롤러
161: 컨트롤러 보호박스 170: 반사체

Claims (6)

  1. 삭제
  2. 차량의 일부에 설치되는 수납박스와;
    차량표식을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차량표식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수납박스에 설치되는 표시베이스와;
    상기 수납박스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로, 상기 표시베이스 측으로 광선을 전달하는 도광체와;
    상기 수납박스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로, 상기 도광체의 측면에 배치되는 광원과;
    상기 수납박스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로, 상기 표시베이스를 지지하는 지지체와;
    상기 수납박스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로, 상기 지지체와 링크되어 있는 이동유발체와;
    상기 수납박스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로, 상기 차량을 제어하는 차량 제어모듈과 신호 연결되며, 상기 차량 제어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차량상황신호에 따라, 상기 이동유발체를 구동시켜, 상기 이동유발체에 링크되어 있던 상기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에 의해 지지되어 있던 상기 표시베이스의 전방이동 또는 후방이동을 유발시킴과 아울러, 상기 광원을 구동시키거나 오프시켜, 해당 광원으로부터 출력되는 광선이 상기 도광체를 통해 상기 표시베이스 및 상기 차량표식의 주변을 간접적으로 밝힐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표시베이스 및 상기 차량표식의 주변을 밝히고 있던 광선이 멸광될 수 있도록 하는 차량표식 노출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표식 노출 컨트롤러는 상기 차량 제어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차량상황신호가 차량주변 어두움 감지신호 또는 차량점등 온(On) 신호인 경우, 이동유발체를 구동시켜, 상기 이동유발체에 링크되어 있던 상기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에 의해 지지되어 있던 상기 표시베이스의 후방이동을 유발시킴과 아울러, 상기 광원을 구동시켜, 해당 광원으로부터 출력되는 광선이 상기 도광체를 통해 상기 표시베이스 및 상기 차량표식의 주변을 간접적으로 밝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표식 노출 지원장치.
  3. 차량의 일부에 설치되는 수납박스와;
    차량표식을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차량표식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수납박스에 설치되는 표시베이스와;
    상기 수납박스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로, 상기 표시베이스 측으로 광선을 전달하는 도광체와;
    상기 수납박스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로, 상기 도광체의 측면에 배치되는 광원과;
    상기 수납박스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로, 상기 표시베이스를 지지하는 지지체와;
    상기 수납박스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로, 상기 지지체와 링크되어 있는 이동유발체와;
    상기 수납박스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로, 상기 차량을 제어하는 차량 제어모듈과 신호 연결되며, 상기 차량 제어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차량상황신호에 따라, 상기 이동유발체를 구동시켜, 상기 이동유발체에 링크되어 있던 상기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에 의해 지지되어 있던 상기 표시베이스의 전방이동 또는 후방이동을 유발시킴과 아울러, 상기 광원을 구동시키거나 오프시켜, 해당 광원으로부터 출력되는 광선이 상기 도광체를 통해 상기 표시베이스 및 상기 차량표식의 주변을 간접적으로 밝힐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표시베이스 및 상기 차량표식의 주변을 밝히고 있던 광선이 멸광될 수 있도록 하는 차량표식 노출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표식 노출 컨트롤러는 상기 차량 제어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차량상황신호가 차량주변 밝음 감지신호 또는 차량점등 오프(Off) 신호인 경우, 상기 이동유발체를 구동시켜, 상기 이동유발체에 링크되어 있던 상기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에 의해 지지되어 있던 상기 표시베이스의 전방이동을 유발시킴과 아울러, 상기 광원을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표식 노출 지원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베이스에 구비된 상기 차량표식에는 발광을 위한 발광체가 추가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표식 노출 지원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체는 크롬 도금체 또는 니켈 도금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표식 노출 지원장치.
  6.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체의 후면에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력된 광선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반사체가 추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표식 노출 지원장치.
KR1020120078635A 2012-07-19 2012-07-19 차량표식 노출 지원장치 KR101366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8635A KR101366105B1 (ko) 2012-07-19 2012-07-19 차량표식 노출 지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8635A KR101366105B1 (ko) 2012-07-19 2012-07-19 차량표식 노출 지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2268A KR20140012268A (ko) 2014-02-03
KR101366105B1 true KR101366105B1 (ko) 2014-02-26

Family

ID=50263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8635A KR101366105B1 (ko) 2012-07-19 2012-07-19 차량표식 노출 지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61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6026A (ko) 2021-09-06 2023-03-14 한인정밀화학(주) 리튬 이차 전지용 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20230067432A (ko) 2021-11-08 2023-05-16 한인정밀화학(주) 리튬 이차 전지용 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20230123041A (ko) 2022-02-14 2023-08-23 한인정밀화학(주) 리튬 이차 전지용 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20240020911A (ko) 2022-08-09 2024-02-16 주식회사 엔켐 리튬 이차 전지용 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20240020909A (ko) 2022-08-09 2024-02-16 주식회사 엔켐 리튬 이차 전지용 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20240020910A (ko) 2022-08-09 2024-02-16 주식회사 엔켐 리튬 이차 전지용 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9277A (ja) 2000-01-19 2001-07-24 Fusae Kido 自動車用の表示装置
KR200409106Y1 (ko) * 2005-12-07 2006-02-20 김현석 포켓식 슬라이딩 스트로브 경광등
KR200409508Y1 (ko) * 2005-11-01 2006-02-24 승보 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차량용 의장문자 발광장치
KR200421087Y1 (ko) * 2006-04-14 2006-07-10 주식회사 용산 차량용 알림 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9277A (ja) 2000-01-19 2001-07-24 Fusae Kido 自動車用の表示装置
KR200409508Y1 (ko) * 2005-11-01 2006-02-24 승보 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차량용 의장문자 발광장치
KR200409106Y1 (ko) * 2005-12-07 2006-02-20 김현석 포켓식 슬라이딩 스트로브 경광등
KR200421087Y1 (ko) * 2006-04-14 2006-07-10 주식회사 용산 차량용 알림 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2268A (ko) 2014-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6105B1 (ko) 차량표식 노출 지원장치
US6520669B1 (en) Flexible substrate mounted solid-state light sources for exterior vehicular lighting
US6644839B2 (en) Lighted wheel rim system
JP2007238063A (ja) タイヤ用蛍光マーク
US7150554B2 (en) Dark look LED automotive lighting
US20210197711A1 (en) Hybrid backup light with integrated warning light
CN201881996U (zh) 车灯式车标
WO2016024620A1 (ja) 照明装置および照明システム
CN102529835A (zh) 一种车标志标识或车号牌的发光方法
KR101734258B1 (ko) 차량용 위험 표시 장치
KR20040097076A (ko) 자체적인 발광수단으로 위치파악과 경고신호를 발령하는 점멸식 발광헬멧
KR20130021509A (ko) 횡단보도 표지장치
JP2013079498A (ja) 逆光対策道路標識板
CN2887717Y (zh) 自行车路灯系统
KR20180076634A (ko) 차량용 램프
CN219277684U (zh) 一种安装有照明投影灯的骑行车
CN117308018B (zh) 一种多功能型汽车大灯
KR102550071B1 (ko) 차량용 퍼들램프 구조
JP2010262889A (ja) 車輌用灯具
KR102178511B1 (ko) 차량 탑재형 비상표지 장치
KR200434738Y1 (ko) 발광 교통표지판
CN206637483U (zh) 一种可调光的车灯装置
JP2008189286A (ja) 側面発光体による車両表示装置
JP2009275424A (ja) 自発光式デリネータ
KR200208897Y1 (ko) 야간에식별이용이한자동차번호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