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5999B1 - 디스플레이 성능 선택에 따라 멀티미디어가 재생되는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성능 선택에 따라 멀티미디어가 재생되는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5999B1
KR101365999B1 KR1020070057701A KR20070057701A KR101365999B1 KR 101365999 B1 KR101365999 B1 KR 101365999B1 KR 1020070057701 A KR1020070057701 A KR 1020070057701A KR 20070057701 A KR20070057701 A KR 20070057701A KR 101365999 B1 KR101365999 B1 KR 101365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timedia
display
selection
user inpu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7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9410A (ko
Inventor
나문성
성혜영
김자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7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5999B1/ko
Publication of KR20080109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9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5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5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4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image parameters, e.g. image brightness, contr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2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 H04N21/4325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by playing back content from the storage medi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1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the content stream or additional data, e.g. lower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of the video stream for a mobile client with a small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성능 선택에 따른 멀티미디어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멀티미디어 재생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가 제공된다. 본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는, 멀티미디어가 저장된 저장부, 디스플레이 성능을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부, 및 멀티미디어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전시장, 매장등에서 사용자가 직접 제품에 대한 평가를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에 대한 홍보 효과를 거둘 수 있으며, 아울러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성능에 대한 선택 정보를 향후 마케팅 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해상도, 색재현력, 동화상특성, 명암비, 응답속도, 시야각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성능 선택에 따라 멀티미디어가 재생되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및 방법{Multimedia reproducing apparatus for reproducing the multimedia according to display performance selection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의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재생 방법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방송수신부 120 : 방송처리부
130 : 방송출력부 140 : 제어부
150 : 저장부 160 : 사용자 입력 수신부
170 : 사용자 입력부 171~176 : 성능 선택 버튼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및 그의 재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성능을 선택하는 것에 따라 성능을 측정하는데 적합한 멀티미디어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방법 및 이를 적 용한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자에 이르러 DTV, DVD플레이어, PMP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기가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있고, 이는 괄목할 만한 발전을 이룬 디지털 기술이 영상기기에 접목되어 구현이 가능하게 된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에게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를 선택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된다.
사용자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를 선택함에 있어서, 대부분 특정한 디스플레이 성능을 측정하기에 부적합한 영상을 보고서 이를 기준으로 재생 장치를 선택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성능을 쉽게 측정할 수 없어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를 선택함에 있어서 혼란을 겪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제공자도 각각의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기준을 파악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제공자는 제공하는 재생 장치의 디스플레이 성능의 장점을 극대화하고 사용자가 관심을 갖는 선택기준에 맞춰 장치를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성능에 대한 면밀한 측정을 거쳐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를 제공 받을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선택된 디스플레이 성능을 측정하는데 적합한 멀티미디어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및 그의 재생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는, 다수의 멀티미디어가 저장된 저장부; 다수의 디스플레이 성능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입력하는데 이용되는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다수의 멀티미디어 중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디스플레이 성능을 측정하는데 적합한 멀티미디어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디스플레이 성능 각각에 대한 선택 횟수들 및 상기 다수의 디스플레이 성능들에 대한 선택 순서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일정 시간 이상 상기 사용자 입력부에 의한 입력이 없는 경우, 상기 다수의 디스플레이 성능 각각에 대한 선택 횟수들 및 상기 다수의 디스플레이 성능들에 대한 선택 순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다수의 멀티미디어 중 하나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성능은, 화면에 나타나는 물체의 선명도를 나타내는 해상도, 자연색에 더 가깝게 재현하는 능력을 나타내는 색재현력, 빠른 동작의 화면에서도 끊김이나 깜빡임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동화상특성, 밝음과 어두움이 구별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명암비, 잔상이 남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응답속도 및 보는 각도에 따라 색감이 달라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시야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재생 방법은, 다수의 디스플레이 성능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및 다수의 멀티미디어 중 상기 입력단계 를 통해 선택된 디스플레이 성능을 측정하는데 적합한 멀티미디어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Digital Television)의 블럭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DTV는 방송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프로그램과 내장된 기록매체에 저장된 멀티미디어를 사용자가 시청 가능하도록 제공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DTV는 방송 수신부(110), 방송 처리부(120), 방송 출력부(130), 제어부(140), 저장부(150), 사용자 입력 수신부(160), 및 사용자 입력부(170)를 구비한다.
방송 수신부(11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되는 방송들 중 어느 하나를 선국하여 복조한다.
방송 처리부(120)는 방송 수신부(110)에서 출력되는 방송신호에 대한 신호처리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방송 처리부(120)는 방송 분리부(121), 오디오 디코딩부(122), 오디오 처리부(123), 비디오 디코딩부(124) 및 비디오 처리부(125)를 구비한다.
방송 분리부(121)는 방송 수신부(110)에서 출력되는 방송신호를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로 분리하여 출력한다. 방송신호로부터 분리된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는 방송 처리부(120)로 인가되어,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데 이용된다.
오디오 디코딩부(122)는 방송 분리부(121)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디코 딩한다. 이에 따라, 오디오 디코딩부(122)에서는 압축 해제된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게 된다.
오디오 처리부(123)는 오디오 디코딩부(122)에서 출력되는 디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DTV에 마련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가능한 포맷의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비디오 디코딩부(124)는 방송 분리부(121)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디코딩한다. 이에 따라, 비디오 디코딩부(124)에서는 압축해제된 비디오 신호가 출력되게 된다.
비디오 처리부(125)는 비디오 디코딩부(124)에서 출력되는 디코딩된 비디오 신호를 DTV에 마련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가능한 포맷의 비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이를 위해, 비디오 처리부(125)는 디코딩된 비디오 신호에 대한 컬러신호 처리 및 스케일링 등을 수행한다.
출력부(130)는 방송 처리부(120)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에 대응되는 비디오와 오디오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출력부(130)는 오디오 출력부(131)와 비디오 출력부(132)를 구비한다.
오디오 출력부(131)는 오디오 처리부(123)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거나 외부 출력단자를 통해 연결된 외부 디스플레이(예를 들면, 외부 TV)로 출력한다.
비디오 출력부(132)는 비디오 처리부(125)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거나 외부 출력단자를 통해 연결된 외부 디스플레이(예를 들면, 외부 TV)로 출력한다.
제어부(140)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160)로부터 전달받은 사용자 명령에 따라 DTV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이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방송 처리부(120)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다수의 멀티미디어 중 사용자 입력부(170)를 통해 선택된 디스플레이 성능을 측정하는데 적합한 멀티미디어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디스플레이 성능이란,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멀티미디어를 전달함에 있어서의 전달 능력을 말하는 것으로서, 이에는 해상도, 색재현력, 동화상특성, 명암비, 응답속도, 및 시야각 등이 있으며, 사용자 입력부(170)에 있는 해상도(171), 색재현력(172), 동화상특성(173), 명암비(174), 응답속도(175), 및 시야각(176)의 입력버튼을 통해 입력된다.
해상도란 화면에 나타나는 물체의 선명도를 나타내고, 색재현력이란 자연색에 더 가깝게 재현하는 능력을 나타내고, 동화상특성이란 빠른 동작의 화면에서도 끊김이나 깜빡임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이고, 명암비란 밝음과 어두움이 구별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며, 응답속도란 잔상이 남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또한, 시야각은 보는 각도에 따라 색감이 달라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또한, 제어부(140)는 다수의 디스플레이 성능 각각에 대한 선택 횟수들 및 다수의 디스플레이 성능들에 대한 선택 순서 중 적어도 하나가 저장부(150)에 저장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일정 시간 이상 사용자 입력부(170)에 의한 입력이 없는 경우, 다수의 디스플레이 성능 각각에 대한 선택 횟수들 및 다수의 디스플레이 성능들에 대한 선택 순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다수의 멀티미디어 중 하나가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10분이상 사용자 입력부(170)에 의한 입력이 없는 경우, 디스플레이 성능에 대해 기존에 선택한 횟수들을 기준으로 하여 가장 많이 선택된 순서대로 멀티미디어가 재생될 수 있다. 즉, 해상도가 10회, 색재현력이 5회, 응답속도가 20회인경우, 응답속도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가 가장 높다고 볼 수 있으므로, 응답속도를 측정하는데 적합한 멀티미디어 'E'가 가장 먼저 재생되고, 차례로 해상도와 색재현력을 측정하는데 적합한 멀티미디어 'A', 'B'가 재생될 수 있다.
저장부(150)는 메모리, HDD(Hard Disk Drive) 등으로 구현가능하다. 또한, 저장부(150)에는 다수의 멀티미디어가 저장되어 있고, 사용자 입력부(170)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다수의 디스플레이 성능 각각에 대한 선택 횟수들 및 상기 다수의 디스플레이 성능들에 대한 선택 순서 중 적어도 하나가 저장되어 있다.
사용자 입력 수신부(160)는 사용자 입력부(170)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을 제어부(140)로 전달하며, 제어부(140)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160)로부터 전달받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DTV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사용자 입력부(170)에는 DTV의 디스플레이 성능을 측정하기 위해 적합한 멀티미디어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버튼이 마련되어 있으며, 사용자 입력부(170)에 마련된 버튼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성능이 입력된다.
사용자 입력부(170)의 버튼 중 하나를 선택하면 사용자 입력 수신부(160)로 사용자 입력을 전달하고, 사용자 입력 수신부(160)는 제어부(140)에 전달받은 사용자 입력을 전달하며, 제어부(140)는 그 버튼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성능을 측정하는데 적합한 멀티미디어가 비디오 출력부(132)에 마련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재생 방법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140)는 사용자 입력부(170)를 통해 디스플레이 성능 중 해상도가 선택되었는지 판단한다(S210). 제어부(140)는 해상도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되면, 해상도를 측정하는 데 적합한 멀티미디어 A를 재생한다(S215).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사용자 입력부(170)에서 해상도(171)가 선택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사용자 입력 수신부(160)를 통해 전달받고, 이를 비디오 디코딩부(124)로 인가한다. 비디오 디코딩부(124)는 신호를 비디오 처리부(125)로 출력하고 비디오 처리부(125)는 신호처리과정을 거쳐 비디오 출력부(132)로 이 신호를 출력하며, 비디오 출력부(132)는 멀티미디어 A를 재생하게 된다(S215).
만약 해상도가 선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40)는 사용자 입력부(170)를 통해 색재현력이 선택되었는지 판단한다(S220). 색재현력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40)는 색재현력을 측정하는 데 적합한 멀티미디어 B를 재생한다(S225).
만약 색재현력이 선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40)는 사용자 입 력부(170)를 통해 동화상특성이 선택되었는지 판단한다(S230). 동화상특성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40)는 동화상특성을 측정하는 데 적합한 멀티미디어 C를 재생한다(S235).
만약 동화상특성이 선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40)는 사용자 입력부(170)를 통해 명암비가 선택되었는지 판단한다(S240). 명암비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40)는 명암비를 측정하는 데 적합한 멀티미디어 D를 재생한다(S245).
만약 명암비가 선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40)는 사용자 입력부(170)를 통해 응답속도가 선택되었는지 판단한다(S250). 응답속도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40)는 응답속도를 측정하는 데 적합한 멀티미디어 E를 재생한다(S255).
만약 응답속도가 선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40)는 사용자 입력부(170)를 통해 시야각이 선택되었는지 판단한다(S260). 시야각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40)는 시야각을 측정하는 데 적합한 멀티미디어 F를 재생한다(S265).
만약 시야각이 선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멀티미디어 G를 재생한다(S275). 여기서 멀티미디어 G는 A, B, C, D, E, 및 F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재생이 완료되면, 선택된 디스플레이 성능에 대해서 선택횟수와 선택 순서를 저장한다(S280).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해 디스플레이 성능을 측정하는데 적합한 멀티미디어 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DTV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셋톱박스, 게임기, PMP, DVD 플레이어 등으로도 구현가능하다.
예를 들어, 게임기의 경우, 사용자 입력부에 각종 게임과 관련된 입력 버튼이 마련되어 있다면, 사용자는 특정 버튼을 선택하여 원하는 게임을 곧바로 시작하거나 시청하기 원하는 게임의 데모화면을 곧바로 시청할 수 있으며, 제공자는 사용자가 버튼을 누른 횟수가 저장된 내용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관심도 조사를 통해 마케팅 자료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이상에서는, 디스플레이 성능과 관련하여, 해상도, 색재현력, 동화상특성, 명암비, 응답속도, 및 시야각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멀티미디어를 전달함에 있어서의 전달 능력을 표현할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으로도 구현가능하다.
또한, 이상에서는, 제어부가 디스플레이 성능에 대한 선택 횟수들 및 선택 순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다수의 멀티미디어 중 하나가 출력되도록 제어한다고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선택 횟수나 선택 순서 뿐 아니라, 하나의 성능을 선택하여 멀티미디어를 시청한 시간, 연속적으로 일정 성능과 관련된 멀티미디어를 시청하였는지 여부 등을 이용하여 상기 다수의 멀티미디어 중 하나가 출력되도록 구현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성능을 측정 또는 판 단하기에 적합한 멀티미디어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어, 전시장, 매장등에서 사용자가 직접 제품에 대한 평가를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에 대한 홍보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성능에 대한 선택 횟수들 또는 선택 순서가 저장부에 저장되어, 이러한 선택 정보를 향후 마케팅 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5)

  1. 다수의 멀티미디어가 저장된 저장부;
    다수의 디스플레이 성능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입력하는데 이용되는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다수의 멀티미디어 중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디스플레이 성능을 측정하는데 적합한 멀티미디어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디스플레이 성능 각각에 대한 선택 횟수들 및 상기 다수의 디스플레이 성능들에 대한 선택 순서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일정 시간 이상 상기 사용자 입력부에 의한 입력이 없는 경우, 상기 다수의 디스플레이 성능 각각에 대한 선택 횟수들 및 상기 다수의 디스플레이 성능들에 대한 선택 순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다수의 멀티미디어 중 하나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성능은,
    화면에 나타나는 물체의 선명도를 나타내는 해상도, 자연색에 더 가깝게 재현하는 능력을 나타내는 색재현력, 빠른 동작의 화면에서도 끊김이나 깜빡임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동화상특성, 밝음과 어두움이 구별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명암비, 잔상이 남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응답속도 및 보는 각도에 따라 색감이 달라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시야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5. 다수의 디스플레이 성능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및
    다수의 멀티미디어 중 상기 입력단계를 통해 선택된 디스플레이 성능을 측정하는데 적합한 멀티미디어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의 디스플레이 성능 각각에 대한 선택 횟수들 및 상기 다수의 디스플레이 성능들에 대한 선택 순서 중 적어도 하나가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방법.
KR1020070057701A 2007-06-13 2007-06-13 디스플레이 성능 선택에 따라 멀티미디어가 재생되는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및 방법 KR101365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7701A KR101365999B1 (ko) 2007-06-13 2007-06-13 디스플레이 성능 선택에 따라 멀티미디어가 재생되는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7701A KR101365999B1 (ko) 2007-06-13 2007-06-13 디스플레이 성능 선택에 따라 멀티미디어가 재생되는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9410A KR20080109410A (ko) 2008-12-17
KR101365999B1 true KR101365999B1 (ko) 2014-02-24

Family

ID=40368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7701A KR101365999B1 (ko) 2007-06-13 2007-06-13 디스플레이 성능 선택에 따라 멀티미디어가 재생되는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599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1199A (ko) * 1999-01-19 2000-08-16 구자홍 화질 테스트 장치
JP2003052060A (ja) 2001-05-31 2003-02-21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KR20040066383A (ko) * 2003-01-17 2004-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성능 검사 기능을 구비한 방송수신장치 및 그 성능 검사방법
KR20040098144A (ko) * 2003-05-13 2004-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화질 테스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1199A (ko) * 1999-01-19 2000-08-16 구자홍 화질 테스트 장치
JP2003052060A (ja) 2001-05-31 2003-02-21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KR20040066383A (ko) * 2003-01-17 2004-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성능 검사 기능을 구비한 방송수신장치 및 그 성능 검사방법
KR20040098144A (ko) * 2003-05-13 2004-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화질 테스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9410A (ko) 2008-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7532B1 (ko) 타임 쉬프트 진행 바를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한 방송수신기
KR100774168B1 (ko) 타임 쉬프트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5412427B2 (ja) コマーシャル休憩中にシステムを司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224393B1 (ko) 비디오 재생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7636127B2 (en) Video display device including video device
US20030038893A1 (en) Digital video receiver that generates background pictures and sounds for games
US20060177197A1 (en) Recording and playback apparatus and method
JP2004519968A (ja) 画像シーケンス中の位置を選択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JP2005210686A (ja) 信号出力方法およびチャンネル選択装置
US20090125939A1 (en) Television capable of and method for changing output effect based on program type
KR20090059281A (ko) 복수 개의 영상을 처리하는 영상기기 및 그 방법
US20090265739A1 (en) Method and system for channel selection in a digital broadcast reception terminal
US20130121666A1 (en) Playback device and audio selection method
CN1984293B (zh) 显示电视机输入信号的方法以及使用该方法的电视机
KR20080100609A (ko) 방송수신장치 및 그 콘텐츠 재생방법
KR101365999B1 (ko) 디스플레이 성능 선택에 따라 멀티미디어가 재생되는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및 방법
JP2013026700A (ja) 映像コンテンツ選択装置及び映像コンテンツ選択方法
JP5084022B2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コンテンツ再生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6323971A (ja) 再生装置
JP4849708B2 (ja) コンテンツ評価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2006279419A (ja) チャンネル切替制御方法、コマーシャル終了通知方法、およびテレビ放送受信装置
KR101497700B1 (ko) 영상표시기기에서 프로그램 재생 방법 및 그 장치
KR100739128B1 (ko) 디지탈 티브이의 채널 탐색 장치 및 방법
US20070214435A1 (en) Television broadcast receiver
KR101390010B1 (ko) 시청환경 설정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