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5174B1 - 검색정보 생성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 Google Patents

검색정보 생성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5174B1
KR101365174B1 KR1020080003385A KR20080003385A KR101365174B1 KR 101365174 B1 KR101365174 B1 KR 101365174B1 KR 1020080003385 A KR1020080003385 A KR 1020080003385A KR 20080003385 A KR20080003385 A KR 20080003385A KR 101365174 B1 KR101365174 B1 KR 101365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search
screens
searched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3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7424A (ko
Inventor
양경혜
임은영
곽지영
조봉현
황상웅
성주연
허지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3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5174B1/ko
Priority to US12/138,578 priority patent/US8666995B2/en
Publication of KR20090077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7424A/ko
Priority to US14/158,199 priority patent/US992825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5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5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3Querying
    • G06F16/532Query formulation, e.g. graphical query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3Querying
    • G06F16/435Filtering based on additional data, e.g. user or group profiles
    • G06F16/437Administration of user profiles, e.g. generation, initialisation, adaptation, distribu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2Query formulation
    • G06F16/90324Query formulation using system sugges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3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컨텐츠에 대한 효율적인 네비게이션이 가능하게 하는 검색정보 생성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가 제공된다. 본 검색정보 생성방법에 따르면, 검색된 화면들 중 일부를 추출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화면들을 이용하여 검색 정보를 생성한다. 이에 의해, 보다 간편한 방법으로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검색 정보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검색된 화면 자체를 검색 정보로 생성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효율적인 네비게이션이 가능하게 하는 검색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검색 정보, 화면 정보, 히스토리

Description

검색정보 생성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Method for generating the search information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검색정보 생성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컨텐츠에 대한 효율적인 네비게이션이 가능하게 하는 검색정보 생성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에 관한 것이다.
괄목할 만한 발전을 이룬 디지털 기술이 각종 디지털 전자기기에 접목되어 구현되고,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충분한 양의 저장공간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됨에 따라, 디지털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컨텐츠의 종류와 양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특히, 근래에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보급이 확산되면서,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컨텐츠들을 접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컨텐츠의 숫자가 늘어나게 되어도 디스플레이에 대한 공간적 측면에서의 비효율성 때문에 컨텐츠가 증가하는 수만큼 디스플레이의 크기가 대형화될 수는 없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디지털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컨텐츠가 한정된 크기의 디스플레이에 모두 표시되기 어렵게 되며, 이러한 다수의 컨텐츠는 여러 페이지에 나뉘어 사용자 에게 제공된다.
그러나, 원하는 컨텐츠를 제공받기 위해서, 사용자는 페이지를 열고 닫는 과정을 수차례 반복한 후에야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를 얻을 수 있게 된다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또한, 이미 열어보았던 페이지에 존재하는 컨텐츠가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에 가장 근접하다고 판단될 경우, 어떤 페이지에서 열어보았는지 기억하는 것이 쉽지 않아, 열어보았던 페이지들을 다시 검색해야 하는 문제가 존재한다.
이처럼, 디지털 컨텐츠가 증가함에 따라 컨텐츠 선택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의 폭이 넓어질수록, 다수의 컨텐츠를 상대로 하는 번거로운 검색과정을 통해 원하는 컨텐츠를 제공받게 되기 때문에, 사용자 입장에서는 보다 간편한 방법으로 디지털 컨텐츠들을 네비게이션할 수 있도록 하는 관리방법이 모색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검색된 화면 자체를 이용한 검색정보 생성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검색정보 생성방법은, 검색된 화면들 중 일부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화면들을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화면들을 이용하여 검색에 이용되는 정보인 검색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 함한다.
여기서, 상기 검색 정보는, 상기 저장된 화면들이, 검색되었던 순서대로 나열되어 있는 검색 히스토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추출단계는, 먼저 추출된 화면에 포함된 화면 정보를 기초로 상기 먼저 추출된 화면과 주종관계에 있는 다른 화면을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화면 정보는, 상기 화면에 표시된 아이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검색정보 생성방법은, 검색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검색명령에 따라 검색된 화면과 상기 저장된 화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화면과의 유사성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명령에 따라 검색된 화면과 상기 저장된 화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화면이 유사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검색정보 또는 상기 검색정보에 포함된 화면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검색명령에 따라 검색된 화면과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검색된 화면들은, 검색어를 이용하여 검색된 화면들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검색정보 생성방법은, 상기 생성된 검색 정보를 상기 검색어와 함께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추출단계는, 검색이 완료된 상태의 화면에서부터 검색이 시작된 상태의 화면까지 역추적하여 상기 검색된 화면들 중 일부를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추출단계는, 기설정된 시간범위까지 상기 검색된 화면들 중 일부를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추출된 화면은, 상기 검색된 화면이 제공되는 페이지에서 가장 오랜 시간 디스플레이된 화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기는, 화면들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검색된 화면들 중 일부의 화면들을 추출하여 상기 저장부로 전달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화면들을 이용하여 검색에 이용되는 정보인 검색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검색 정보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화면들이, 검색되었던 순서대로 나열되어 있는 검색 히스토리에 관한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먼저 추출된 화면에 포함된 화면 정보를 기초로 상기 먼저 추출된 화면과 주종관계에 있는 다른 화면을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화면 정보는, 상기 화면에 표시된 아이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본 영상기기는, 검색명령을 수신하는 사용자명령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명령 수신부를 통해 검색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검색명령에 따라 검색된 화면과 상기 저장된 화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화면을 비교하고, 상기 검색된 화면과 상기 저장된 화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화면이 유사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검색정보 또는 상기 검색정보에 포함된 검색이 완료된 상태의 화면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검색명령에 따라 검색된 화면과 함께 디스플레이하 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검색된 화면들은, 검색어를 이용하여 검색된 화면들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검색 정보가 상기 검색어와 함께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검색이 완료된 상태의 화면에서부터 검색이 시작된 상태의 화면까지 역추적하여 상기 검색된 화면들 중 일부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시간범위까지 상기 검색된 화면들 중 일부를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추출된 화면은, 상기 검색된 화면이 제공되는 페이지에서 가장 오랜 시간 디스플레이된 화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보다 간편한 방법으로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검색 정보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검색된 화면 자체를 검색 정보로 생성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효율적인 네비게이션이 가능하게 하는 검색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C(100)를 구비한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서버(10) 및 인터넷(30)을 멀티 미디어 시스템과 함께 도시하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시스템은 입력부(50), 디스플레이(70) 및 PC(100)를 구비하며, 인터넷(30)을 통해 외부 서버(10)와 연결된다.
외부 서버(10)는 사용자에게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며, 서버(10)의 DB(Data base)에는 사용자에게 제공될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다.
입력부(50)는 PC(100)를 동작시키기 위한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다. 이러한, 입력부(50)는 마우스 또는 키보드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70)는 PC(100)에서 출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특히, 디스플레이(70)는 PC(100)가 서버(10)부터 제공받은 컨텐츠 또는 이러한 컨텐츠가 포함된 웹 페이지(web page)를 디스플레이한다.
PC(100)는 인터넷(30)에 연결되어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인터넷(30)을 통해 서버(10)의 DB에 저장된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게 해준다. 이러한 PC(10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0), 사용자명령 수신부(130), 제어부(150) 및 저장부(170)를 구비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0)는 PC(100)와 인터넷(30)을 연결해 주며, 인터넷(30)을 통해 서버(10)의 DB에 저장된 컨텐츠를 수신하거나 PC(100)에 저장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이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0)는 인터넷(30) 뿐만 아니라 다른 외부 네트워크와 PC(100)를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저장부(170)는 PC(100)에서 사용되는 파일들을 저장한다. 특히, 저장부(170) 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와 관련된 파일들이 저장되어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컨텐츠와 관련된 파일로는 문서 파일, 사진 파일, 동영상 파일 또는 음악파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저장부(170)는 사용자에 의해 검색된 화면들을 저장한다. 특히, 저장부(170)는 사용자의 검색 작업에 의해 검색된 화면들 중 최종 검색 결과 화면과 주종관계에 있는 일부의 화면들을 저장하고, 검색 작업에 의한 화면의 검색 히스토리를 저장한다.
주종관계란, 일방이 타방에 대해 주된 관계에 있고, 타방이 일방에 대해 종된 관계에 있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A'화면과 'B'화면이 존재하는 경우, 'A'화면이 'B'화면에 대해 주된 관계에 있다면, 'B'화면은 'A'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아이템 중 어느 하나와 링크되어 있는 화면이 된다. 따라서 'A'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특정 아이템을 선택하면, 제어부(150)는 선택된 아이템과 링크된 'B'화면을 디스플레이시킨다.
즉, 'B'화면은 'A'화면에 대한 하위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관계는 'B'화면이 'A'화면에 종된 관계라고 표현하여도 위와 동일한 의미가 된다.
검색 히스토리는 사용자가 검색한 일련의 화면들 중 최종 검색 결과 화면과 주종관계에 있는 화면들에 대해 검색되었던 순서대로 기록해 놓은 검색 정보이다.
즉, 검색 히스토리는 검색된 화면에 표시된 텍스트 등을 중심으로 하여 기록된 것이 아니라 검색된 화면 자체의 이미지를 중심으로 하여, 검색된 내용들을 기 록해 놓은 검색 정보이다.
검색어를 이용한 검색 작업이 수행된 경우, 저장부(170)는 검색 작업에 사용된 검색어를 검색 히스토리와 함께 저장한다.
제어부(150)는 PC(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50)는 사용자명령 수신부(130)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서버에서 제공되는 컨텐츠에 대한 검색 작업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검색 작업시 제공되는 컨텐츠 또는 이러한 컨텐츠가 포함된 웹 페이지가 디스플레이(70)에 표시되도록 한다.
제어부(150)는 검색 작업에 의해 검색된 화면들 중 일부의 화면들을 추출하여 저장부(170)로 전달하며, 저장부(170)는 제어부(150)로부터 수신한 화면들을 저장한다.
특히, 제어부(150)는 검색 작업에 의해 검색된 화면들 중 검색 작업이 완료된 화면을 중심으로 주종관계에 있는 화면을 추출하고, 추출된 화면들을 이용하여 검색 히스토리를 생성한다. 검색 히스토리를 생성하는 구체적인 설명에 대해서는 도 2a 내지 도 2g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검색 명령에 따라 현재 검색된 화면과 저장부(170)에 저장된 화면들을 비교하여 유사한 화면이 존재하면, 유사한 것으로 판단된 화면에 대한 검색 히스토리 또는 이러한 검색 히스토리 내의 일부 화면을 현재 검색된 화면과 함께 디스플레이(70)에 표시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에 대해 서는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2a 내지 도 2g은 검색 히스토리 생성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검색 히스토리 생성과 관련된 동작에 대해서 시간적 순서에 따라 도시된 도 2a 내지 도 2g을 참고하여 화면을 중심으로 상세하게 기술한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a 내지 도 2g를 정상순으로 참조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획득하는 과정에 대해 먼저 설명한 후, 도 2a 내지 도 2g를 역순으로 참조하여 검색 히스토리를 생성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는 사용자가 'Stevie Wonder'라는 가수의 'Isn't she lovely?'라는 음악을 검색하기 위해 'NICE MUSIC'이라는 사이트에 접속한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첫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PC(100)가 인터넷(30)을 통해 서버(10)에 접속된 경우, 제어부(150)는 서버(10)로부터 이러한 웹 페이지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화면(200)에는 현재 사이트의 명칭인 'NICE MUSIC' 아이템(210) 및 분류기준에 따른 아이템(220)이 도시된다. 분류기준에 따른 아이템(200)은 신곡을 제공하기 위한 'NEW'아이템(221), 팝을 제공하기 위한 'POP'아이템(223), 영화음악을 제공하기 위한 'OST'아이템(225) 및 뮤직비디오를 제공하기 위한 'MUSIC VIDEO'아이템(227)을 구비한다.
사용자가 입력부(50)를 통해 이러한 아이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되면, 제어부(150)는 선택된 아이템에 링크되어 있는 웹 페이지를 서버(10)로부터 수신하여 화면(200)에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도 2b는 사용자가 원하는 곡을 찾기 위해 도 2a의 화면에서 'NEW' 아이템(221)을 선택한 경우에 출력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화면(200)의 상단부에는 분류기준에 따른 아이템 목록(220)이 출력되고, 화면(200)의 중앙에는 선택된 아이템의 하위 아이템 목록(230)이 출력된다.
분류기준에 따른 아이템 목록(220)은 'NEW'아이템(221), 'POP'아이템(223), 'OST'아이템(225) 및 'MUSIC VIDEO'아이템(227)을 구비하며, 탭 형태로 선택가능하도록 사용자에 제공된다.
도 2a의 화면에서 선택되지 않은 아이템(223, 225, 227)과 달리 선택된 아이템(221)은 하위 아이템 목록(230)과 일체화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현재 선택된 상위 아이템이 무엇인지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화면과 이전에 디스플레이되던 화면 간의 주종관계를 알 수 있게 된다. 즉, 도 2b의 상단부에 표시된 분류기준에 따른 아이템 목록(220)을 보고, 도 2b의 화면이 도 2a의 화면에 대한 종속적인 관계에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게 된다.
사용자는 탭 형태로 된 분류기준에 따른 아이템 목록(220)에서 선택되지 않았던 다른 아이템(223, 225, 227)을 선택하여 화면을 전환할 수도 있다.
'NEW'아이템(221)의 하위 아이템 목록(230)은 순위기준에 따른 아이템 목록으로서, 1위부터 10위까지의 노래 검색을 위한 '1~10'아이템(231), 11위부터 20위까지의 노래 검색을 위한 '11~20'아이템(233), 21위부터 30위까지의 노래 검색을 위한 '21~30'아이템(235) 및 31위부터 40위까지의 노래 검색을 위한 '31~40'아이 템(237)을 구비한다.
사용자가 입력부(50)를 통해 이러한 아이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되면, 제어부(150)는 선택된 아이템에 링크되어 있는 웹 페이지를 서버(10)로부터 수신하여 화면(200)에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도 2c는 사용자가 원하는 곡을 찾기 위해 도 2a의 화면에서 'POP' 아이템(221)을 선택한 경우 또는 도 2b의 화면에서 탭 형식으로 된 'POP' 아이템(221)을 선택한 경우, 화면(200)에 디스플레이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도 2a 내지 도 2f는 시간적 순서에 따라 디스플레이(70)에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기 때문에, 도 2c는, 'NEW'아이템에 대한 화면상에서 또는 그 하위 아이템인 '1~10'아이템(231), '11~20'아이템(233), '21~30'아이템(235) 및'31~40'아이템(237)에 대한 화면상에서 원하는 정보를 찾지 못할 경우, 'POP'아이템에 대한 화면에서 원하는 정보를 찾기 위해 되돌아와 검색하게 되는 화면이라고 할 수 있다.
화면(200)의 상단부에는 분류기준에 따른 아이템 목록(220)이 출력되고, 화면(200)의 중앙에는 선택된 아이템의 하위 아이템 목록(240)이 출력된다.
분류기준에 따른 아이템 목록(220)은 'NEW'아이템(221), 'POP'아이템(223), 'OST'아이템(225) 및 'MUSIC VIDEO'아이템(227)을 구비하며, 탭 형태로 선택가능하도록 사용자에 제공된다.
도 2a의 화면에서 선택되지 않은 아이템(223, 225, 227)과 달리 선택된 아이템(221)은 하위 아이템 목록(240)과 일체화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현재 선택된 상위 아이템이 무엇인지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화면과 이전에 디스플레이되던 화면 간의 주종관계를 알 수 있게 된다.
'POP'아이템(223)의 하위 아이템 목록(240)은 검색기준에 따른 아이템 목록으로서, 가수별 검색을 위한 'SINGER'아이템(241), 곡명별 검색을 위한 'TITLE'아이템(243), 날짜별 검색을 위한 'DATE'아이템(245) 및 앨범별 검색을 위한 'ALBUM'아이템(247)로 구성된다.
사용자가 입력부(50)를 통해 이러한 아이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되면, 제어부(150)는 선택된 아이템에 링크되어 있는 웹 페이지를 서버(10)로부터 수신하여 화면(200)에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도 2d는 사용자가 원하는 곡을 찾기 위해 도 2c의 화면에서 'SINGER' 아이템(241)을 선택한 경우, 화면(200)에 디스플레이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화면(200)의 상단부에는 탭 형식으로 된 검색기준에 따른 아이템 목록(240)이 출력되고, 화면(200)의 중앙에는 선택된 아이템의 하위 아이템 목록(250)이 출력된다.
검색기준에 따른 아이템 목록(240)은 'SINGER'아이템(241), 'TITLE'아이템(243), 'DATE'아이템(245) 및 'ALBUM'아이템(247)을 구비한다.
선택되지 않은 아이템(243, 245, 247)과 달리 선택된 아이템(241)은 하위 아이템 목록(250)과 일체화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현재 선택된 상위 아이템이 무엇인지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화면과 이전 에 디스플레이되던 화면 간의 주종관계를 알 수 있게 된다.
'SINGER'아이템(241)의 하위 아이템 목록(250)은 가수별 검색을 위한 가수의 이름을 나열한 아이템 목록으로서, 알파벳 순서대로 가수의 이름이 화면(200)에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는 알파벳 순서로 표시된 가수의 이름 중 선택하고자 하는 '50. Stevie Wonder'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고, 제어부(150)는 선택된 아이템에 링크되어 있는 웹 페이지를 서버(10)로부터 수신하여 화면(200)에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도 2e는 사용자가 원하는 곡을 찾기 위해 '50. Stevie Wonder'아이템을 선택한 경우, 디스플레이(70)에 출력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도 2e는 선택된 아이템이 제공하는 웹 페이지 중 두 번째 웹 페이지를 도시하였으며, 이는 사용자가 첫 번째 웹 페이지를 검색하였으나, 원하는 컨텐츠를 찾지 못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화면(200)의 상단부에는 현재 검색하고 있는 가수의 이름인 'Stevie Wonder'아이템(260)이 표시되고, 화면(200)의 중앙에는 선택된 웹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곡명에 대한 하위 아이템 목록(270)이 출력된다. 또한 화면(200)의 하단부에는 전체 웹 페이지 중 현재 선택된 웹 페이지의 번호를 알리도록 '2'가 하이라이트 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현재 선택된 아이템과 링크된 웹 페이지 중 두 번째 웹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노래 아이템 중 원래 찾고자 했던 '10. Isn't she lovely?'를 선택할 수 있고, 제어부(150)는 선택된 아이템에 링크되어 있는 컨텐츠 를 서버(10)로부터 수신하여 화면(200)에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도 2f는 사용자가 '10. Isn't she lovely?' 아이템을 선택한 경우, 디스플레이(70)에 출력되는 음악 재생기에 대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은 검색 과정을 통해 사용자는 원하는 컨텐츠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도 2a 내지 도 2f에 도시된 일련의 과정을 거쳐 검색을 하게 되는 경우에 있어서, 제어부(150)가 검색 히스토리를 생성하는 과정에 대해 도 2a 내지 도 2f를 역순으로 참조하며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제어부(150)는 검색이 완료된 최종 화면을 추출하여 저장부(170)에 저장한다. 즉, 제어부(150)는 도 2e에 도시된 화면 자체를 추출하여 저장부(170)에 저장한다.
제어부(150)는 추출된 최종 화면에 표시된 화면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 작업시 디스플레이(70)에 표시되었던 화면들 중 가장 인접한 화면을 추출한다.
여기서, 화면 정보는 화면에 표시된 아이템에 관한 정보이다. 따라서, 최종 화면에 표시된 화면 정보는, 최종 화면인 도 2e에 존재하는 아이템들인 'Stevie Wonder'아이템(260), 5개의 곡명에 대한 아이템(270) 및 웹 페이지 번호에 대한 아이템(280)이 된다.
즉, 제어부(150)는 'Stevie Wonder'아이템(260), 5개의 곡명에 대한 아이템(270) 및 웹 페이지 번호에 대한 아이템(280)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70)에 표시되었던 화면들 중 가장 인접한 화면을 추출한다.
검색 과정에서 디스플레이되었던 다수의 화면들과 'Stevie Wonder'아이 템(260), 5개의 곡명에 대한 아이템(270) 및 웹 페이지 번호에 대한 아이템(280) 각각을 비교해보면, 도 2d의 화면의 중앙에 표시된 가수 이름에 대한 아이템 목록(250)에서 '50.Stevie Wonder'아이템이 도 2e의 화면의 상단부에 표시된 'Stevie Wonder'아이템(260)과 유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50)는 'Stevie Wonder'아이템(260)으로부터 도 2d의 화면이 도 2e의 화면과 관련된 가장 인접한 화면이며, 도 2e의 화면이 도 2d의 화면에 종속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국, 검색이 완료된 최종 화면인 도 2e의 화면과 가장 인접한 화면은, 검색이 완료된 최종 화면에 종된 화면이 된다.
도 2d의 화면이 도 2e의 화면과 관련된 가장 인접한 화면이기 때문에, 제어부(150)는 도 2d에 도시된 화면 자체를 추출하여 저장부(170)에 저장한다.
이 경우, 도 2f에 도시된 화면은 음악재생기에 대한 화면으로서, 현재 출력되는 화면과 별도의 창을 통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검색이 완료된 최종 화면이 아니므로 검색 히스토리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제외된다.
그러나, 도 2f에 도시된 화면을 최종 화면으로 가정하여 검색 히스토리를 생성하는 과정에 포함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 방법으로, 도 2f에 도시된 화면의 아이템 중 'Isn't she lovely?'아이템(290)으로부터 도 2e의 화면이 도 2f의 화면과 관련된 가장 인접한 화면임을 알 수 있으며, 도 2f의 화면으로부터 도 2e의 화면을 추출하고, 도 2e의 화면으로부터 도 2d의 화면을 추출하게 된다.
도 2d의 화면은 '41.S Akosh'아이템의 윗부분과 '50. Stevie Wonder'아이템의 아랫부분이 생략되어 표시되어 있다. 디스플레이되어야 할 아이템이 화면에 모두 표시되지 않을 경우, 도 2e와 같이 다수의 페이지로 나누어 아이템을 표시할 수도 있지만, 도 2d와 같이 한 페이지에 모두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한 페이지에 모든 아이템을 표시하기는 하였으나, 디스플레이되는 아이템은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현재 페이지에서 화면을 상하로 조절하는 동작을 통해 원하는 컨텐츠가 존재하는지 검색하게 되며, 가장 오랜 시간 디스플레이시켰던 화면이 사용자가 원하는 화면으로 가정하게 된다.
따라서, 검색된 페이지를 추출하는 과정에서도, 제어부(150) 도 2d의 화면이 포함된 페이지에서 가장 오랜 시간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추출하게 된다.
제어부(150)는 추출된 도 2d의 화면에 표시된 화면 정보를 이용하여 또다시 검색 작업시 디스플레이(70)에 표시되었던 화면들 중 가장 인접한 화면을 추출하게 된다.
결국, 제어부(150)는 도 2d의 화면에 표시된 'SINGER'아이템(241)을 이용하여 도 2c의 화면을 추출하여 저장하며, 도 2c의 화면에 표시된 'POP'아이템(223)을 이용하여 도 2a의 화면을 추출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도 2b의 화면은 'NEW'아이템(221)에 해당하는 검색기준에 따른 아이템 목록을 표시하고 있어서, 도 2d의 화면에 표시된 아이템들과 도 2d의 화면에 표시된 아이템들 간에 유사성을 발견할 수 없기 때문에, 제어부(150)는 도 2d의 화면에 표시된 아이템을 이용하여 2b의 화면을 추출할 수 없게 된다.
결과적으로, 제어부(150)는 도 2e의 화면, 도 2d의 화면, 도 2c의 화면 및 도 2a의 화면을 차례로 추출하여 저장한다.
물론, 검색이 완료된 상태의 최종 화면에서부터 검색이 시작된 상태의 최초 화면까지 검색된 화면들 중 일부를 추출하지 않고, 검색이 완료된 상태의 최종 화면에서부터 기설정된 시간범위까지 검색된 화면들 중 일부를 추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오랜 시간 이전에 검색된 부분은 검색 히스토리에 포함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되기 부적절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10분이라는 시간범위가 설정되면, 제어부(150)는 검색이 완료된 상태의 최종 화면이 추출된 시간으로부터 10분 이내에 검색된 화면만을 추출하고, 최종 화면이 추출된 시간으로부터 11분 되는 시점에 사용자가 검색하였던 화면은 사용자가 다른 검색을 하여 디스플레이된 화면일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추출하지 않는다.
제어부(150)는 저장된 화면들을 이용하여 검색 히스토리를 생성한다. 검색 히스토리는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검색한 일련의 화면에 대해 기록해 놓은 검색 정보로서, 검색된 화면 자체의 이미지를 중심으로 하여, 검색된 내용들을 기록해 놓은 검색 정보이다.
제어부(150)는 생성된 검색 히스토리를 저장부(170)에 저장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검색어를 사용하지 않고 검색 작업을 수행하였기 때문에 검색어는 저장되지 않는다. 그러나, 검색어를 이용하여 검색 작업을 수행할 경우, 검색어가 검색 히스토리와 함께 저장부(170)에 저장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g는 도 2c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원하는 곡을 찾기 위해 'POP' 아이템을 선택한 경우, 디스플레이(70)에 출력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도 2g는 도 2c의 화면을 대신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화면을 도시한 것이며, 도 2c와 같이 탭 형태로 아이템을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트리 형태로 아이템을 제공할 수도 있음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화면(200)의 좌측에는 분류기준에 따른 아이템 목록이 트리 형태로 출력되고, 화면(200)의 우측에는 선택된 아이템의 하위 아이템 목록이 출력된다.
좌측에 출력되는 트리 형태의 아이템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아이템(300)은 이중 박스 표시를 통해 하이라이트 처리가 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현재 선택된 상위 아이템이 무엇인지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화면과 이전에 디스플레이되던 화면 간의 주종관계를 알 수 있게 된다.
도 2g의 화면에는 'NEW'아이템, 'POP'아이템, 'OST'아이템 및 'MUSIC VIDEO'아이템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도 2a의 화면이 도 2g의 화면과 관련된 가장 인접한 화면임을 알 수 있다.
물론,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이며, 탭 형태 또는 트리 형태의 아이템 표시 방법 뿐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는 아이템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검색 히스토리를 디스플레이(70)에 출력하는 동작에 대해 도 3a 내지 도 3c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기술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사용자가 도 2a 내지 도 2f에 도시된 일련의 과정들을 거쳐 원하는 컨텐츠를 검색하고 제어부(150)가 검색 히스토리를 저장한 후, 사용자에 의한 검색 명령이 있는 경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에 의한 검색 명령이 있는 경우, 제어부(150)는 검색 명령에 따라 검색이 시작된 화면을 추출하여, 기저장된 화면들과 유사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유사한 것으로 판단되면, 유사한 것으로 판단된 화면에 대한 검색 히스토리 또는 이러한 검색 히스토리 내의 일부 화면을 현재 검색된 화면과 함께 디스플레이(70)에 표시한다.
특히, 제어부(150)는 현재 검색된 화면 중 검색 히스토리 내의 화면과 유사한 것으로 판단된 특정 부분의 주변에 검색 히스토리 또는 검색 히스토리 내의 일부 화면을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3a는 'POP'아이콘의 우측에 도 2e의 화면에 대한 축소화면이 부가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즉, 도 3a에서는 유사한 것으로 판단된 화면에 대한 검색 히스토리 내의 일부 화면을 현재 검색된 화면과 함께 디스플레이(70)에 표시한 모습을 도시하였다.
도 3b는 'POP'아이콘의 하측에 도 2a, 도 2c, 도 2d 및 도 2e의 화면에 대한 축소화면이 부가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즉, 도 3b에서는 유사한 것으로 판단된 화면에 대한 검색 히스토리를 현재 검색된 화면과 함께 디스플레이(70)에 표시한 모습을 도시하였다.
도 3c는 검색어를 사용한 검색 작업에 있어서, 유사한 것으로 판단된 화면에 대한 검색 히스토리 내의 일부 화면을 현재 검색된 화면과 함께 디스플레이(70)에 표시한 모습을 도시하였다.
'Stevie Wonder'라는 검색어를 이용한 사용자에 의한 검색 명령이 있는 경우, 제어부(150)는 검색 명령에 따라 검색이 시작된 화면을 추출하여, 기저장된 화면들과의 유사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경우, 검색이 시작된 화면에는 도 3c와 같이 'NEWS'아이템(360), 'CAFE'아이템(370) 및 'SITE'아이템(380)을 포함할 수 있다.
'NEWS'아이템(360)의 아래에는 'A'(361) 및 'B'(365)와 같이 각각의 뉴스 컨텐츠에 대한 아이템이 표시되고, 'CAFE'아이템(370)의 아래에는 'C'(371) 및 'D'(375)와 같이 각각의 카페 컨텐츠에 대한 아이템이 표시되며, 'SITE'아이템(380)의 아래에는 'E'(381) 및 'F'(385)와 같이 각각의 웹 사이트 컨텐츠에 대한 아이템이 표시된다.
따라서, 제어부(150)는 기저장된 화면들과 각각의 아이템(361, 365, 371, 375, 381, 385)을 비교하여, 유사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유사한 것으로 판단된 아이템 'E'의 우측에 유사한 것으로 판단된 화면에 대한 검색 히스토리 내의 일부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로 하여금 원하는 컨텐츠에 대한 편리하고 빠른 검색이 가능하게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정보 생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우선, 제어부(150)는 검색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10).
검색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S410-Y), 제어부(150)는 검색이 완료된 최종 화면을 추출한다(S420).
제어부(150)는 추출된 최종 화면에 표시된 아이템을 이용하여 주종관계에 있는 다른 화면을 추출한다(S430).
또한, 제어부(150)는 추출된 화면에 표시된 아이템을 이용해 주종관계에 있는 또 다른 화면을 추출한다(S440).
제어부(150)는 검색이 시작된 최초 화면이 추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450), 최초 화면이 추출되지 않았다면(S450-N), 최초 화면이 추출될 때까지 S440단계의 동작을 반복한다.
제어부(150)가 최초 화면이 추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450), 최초 화면이 추출되었다면(S450-Y), 제어부(150)는 추출된 화면을 저장부(170)로 전달하여 저장되도록 한다(S460).
이후, 제어부(150)는 저장된 화면들의 히스토리를 생성하고 저장부(170)에 저장되도록 한다(S470).
도 5는 생성된 검색정보를 이용하여 검색 작업시 히스토리를 출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우선, 제어부(150)는 사용자에 의한 검색 명령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10).
검색이 시작되었으면(S510-Y), 제어부(150)는 검색이 시작된 화면을 추출한다(S520).
제어부(150)는 저장부(170)에 저장된 화면들의 히스토리와 현재 검색이 시작된 화면을 비교한다(S530).
비교결과, 저장부(170)에 저장된 화면들의 히스토리와 현재 검색이 시작된 화면이 유사한 것으로 판단되면(S540-Y), 제어부(150)는 유사한 것으로 판단된 화면이 속하는 검색 히스토리에 저장된 화면 중 일부 또는 검색 히스토리 전체를 오버랩하여 화면에 표시한다(S550).
이상에서는, 인터넷을 통해 서버와 연결된 PC를 구비한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이다. 따라서, 인터넷과 연결되지 않은 경우나 PC를 구비하지 않은 경우에도, 다수의 컨텐츠 또는 파일이 존재하는 어떤 시스템이나 장치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검색하는 과정에서 화면들을 추출/저장하지 않고, 검색 히스토리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역순으로 화면들을 추출/저장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다. 따라서, 정상순으로 컨텐츠를 검색하는 과정에서 화면이 이동될 때마다 미리 화면들을 추출/저장하는 것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이상에서는, 역순으로 검색 히스토리를 생성하였으나, 이 역시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어서, 다른 순서로 검색 히스토리를 생성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웹 페이지가 긴 경우, 검색된 화면이 제공 되는 페이지에서 가장 오랜 시간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추출/저장하는 것으로 구현하였으나, 별도의 기준을 마련하여 다른 방법으로 추출/저장될 화면을 선정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주종관계에 있는 화면들을 모두 추출하여 히스토리를 생성하였으나, 주종관계에 있는 화면들 중 일부만을 추출하여 히스토리를 생성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검색이 시작된 상태의 화면까지 역추적하여 검색된 화면들 중 일부를 추출하거나, 기설정된 시간 범위까지 검색된 화면들 중 일부를 추출하는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이 역시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검색이 완료된 상태로부터 세 번째 화면까지 추출하는 등 다른 방법을 사용해서 검색 히스토리 생성을 위한 화면들을 추출하는 것으로 구현하는 것도 무방하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 져서는 안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C(100)를 구비한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a 내지 도 2g은 검색 히스토리 생성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
도 3a 내지 도 3c는 사용자가 도 2a 내지 도 2f에 도시된 일련의 과정들을 거쳐 원하는 컨텐츠를 검색하고 제어부(150)가 검색 히스토리를 저장한 후, 사용자에 의한 검색 명령이 있는 경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정보 생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 그리고,
도 5는 생성된 검색정보를 이용하여 검색 작업시 히스토리를 출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Claims (20)

  1. 검색된 화면들 중 일부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화면들을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화면들을 이용하여 검색에 이용되는 정보인 검색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검색정보 생성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정보는,
    상기 저장된 화면들이, 검색되었던 순서대로 나열되어 있는 검색 히스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정보 생성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단계는,
    먼저 추출된 화면에 포함된 화면 정보를 기초로 상기 먼저 추출된 화면과 주종관계에 있는 다른 화면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정보 생성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정보는,
    상기 화면에 표시된 아이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 색정보 생성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검색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검색명령에 따라 검색된 화면과 상기 저장된 화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화면과의 유사성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명령에 따라 검색된 화면과 상기 저장된 화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화면이 유사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검색정보 또는 상기 검색정보에 포함된 화면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검색명령에 따라 검색된 화면과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정보 생성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된 화면들은,
    검색어를 이용하여 검색된 화면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정보 생성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검색 정보를 상기 검색어와 함께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정보 생성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단계는,
    검색이 완료된 상태의 화면에서부터 검색이 시작된 상태의 화면까지 역추적하여 상기 검색된 화면들 중 일부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정보 생성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단계는,
    기설정된 시간범위까지 상기 검색된 화면들 중 일부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정보 생성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화면은,
    상기 검색된 화면이 제공되는 페이지에서 가장 오랜 시간 디스플레이된 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정보 생성방법.
  11. 화면들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검색된 화면들 중 일부의 화면들을 추출하여 상기 저장부로 전달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화면들을 이용하여 검색에 이용되는 정보인 검색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기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정보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화면들이, 검색되었던 순서대로 나열되어 있는 검색 히스토리에 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먼저 추출된 화면에 포함된 화면 정보를 기초로 상기 먼저 추출된 화면과 주종관계에 있는 다른 화면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정보는,
    상기 화면에 표시된 아이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15. 제 11항에 있어서,
    검색명령을 수신하는 사용자명령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명령 수신부를 통해 검색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검색명령에 따라 검색된 화면과 상기 저장된 화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화면을 비교하고, 상기 검색된 화면과 상기 저장된 화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화면이 유사한 것 으로 판단되면, 상기 검색정보 또는 상기 검색정보에 포함된 검색이 완료된 상태의 화면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검색명령에 따라 검색된 화면과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된 화면들은,
    검색어를 이용하여 검색된 화면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검색 정보가 상기 검색어와 함께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18.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검색이 완료된 상태의 화면에서부터 검색이 시작된 상태의 화면까지 역추적하여 상기 검색된 화면들 중 일부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19.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시간범위까지 상기 검색된 화면들 중 일부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20.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화면은,
    상기 검색된 화면이 제공되는 페이지에서 가장 오랜 시간 디스플레이된 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KR1020080003385A 2008-01-11 2008-01-11 검색정보 생성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KR101365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3385A KR101365174B1 (ko) 2008-01-11 2008-01-11 검색정보 생성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US12/138,578 US8666995B2 (en) 2008-01-11 2008-06-13 Method of generating search information and image apparatus using the same
US14/158,199 US9928253B2 (en) 2008-01-11 2014-01-17 Method of generating search information and image apparatus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3385A KR101365174B1 (ko) 2008-01-11 2008-01-11 검색정보 생성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7424A KR20090077424A (ko) 2009-07-15
KR101365174B1 true KR101365174B1 (ko) 2014-02-21

Family

ID=40851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3385A KR101365174B1 (ko) 2008-01-11 2008-01-11 검색정보 생성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8666995B2 (ko)
KR (1) KR1013651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26205A4 (en) * 2012-03-13 2016-03-23 Cognilore Inc METHOD OF NAVIGATING THROUGH DIGITAL CONTENTS
US10430418B2 (en) * 2013-05-29 2019-10-0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text-based actions from a source application
US11263221B2 (en) 2013-05-29 2022-03-0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earch result contexts for application launch
KR20140141026A (ko) * 2013-05-31 2014-12-1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방법.
KR102317619B1 (ko) * 2016-09-23 2021-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482A (ko) * 2000-07-15 2000-11-06 오성훈 검색 결과의 이미지 출력 방법 및 시스템
KR20020090949A (ko) * 2002-10-08 2002-12-05 (주)유라비젼 전자 앨범 및 전자 앨범의 이미지 데이터 검색방법
KR20060008670A (ko) * 2004-07-23 2006-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방송채널 탐색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08787A (en) * 1995-05-29 1998-01-1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Menu display device
US6834130B1 (en) * 1998-02-18 2004-12-21 Minolta Co., Ltd. Image retrieval system for retrieving a plurality of images which are recorded in a recording medium, and a method thereof
US6678891B1 (en) * 1998-11-19 2004-01-13 Prasara Technologies, Inc. Navigational user interface for interactive television
US6667751B1 (en) * 2000-07-13 2003-12-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Linear web browser history viewer
GB2402587B (en) * 2003-06-02 2006-09-13 Yisia Young Suk Lee A hand held display device and method
US7418670B2 (en) * 2003-10-03 2008-08-26 Microsoft Corporation Hierarchical in-place menus
US20070250711A1 (en) * 2006-04-25 2007-10-25 Phonified Llc System and method for presenting and inputting information on a mobile device
JP4906072B2 (ja) * 2006-05-01 2012-03-28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ならびに情報処理方法
US20070271230A1 (en) * 2006-05-19 2007-11-22 Hart Matt E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history trails for previous search sessions
US7853566B2 (en) * 2006-08-04 2010-12-14 Apple Inc. Navigation of electronic backups
US20080154915A1 (en) * 2006-12-20 2008-06-26 Microsoft Corporation Network-based recommendations
US8504922B2 (en) * 2006-12-29 2013-08-06 Microsoft Corporation Enhanced user navigation to previously visited areas in a media environm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482A (ko) * 2000-07-15 2000-11-06 오성훈 검색 결과의 이미지 출력 방법 및 시스템
KR20020090949A (ko) * 2002-10-08 2002-12-05 (주)유라비젼 전자 앨범 및 전자 앨범의 이미지 데이터 검색방법
KR20060008670A (ko) * 2004-07-23 2006-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방송채널 탐색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7424A (ko) 2009-07-15
US8666995B2 (en) 2014-03-04
US20140136562A1 (en) 2014-05-15
US20090182721A1 (en) 2009-07-16
US9928253B2 (en) 2018-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0271B1 (ko) 메타데이터 태깅 시스템, 이미지 검색 방법, 디바이스 및 이에 적용되는 제스처 태깅방법
US10031649B2 (en) Automated content detection, analysis, visual synthesis and repurposing
US874551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accessing content
US8806380B2 (en) Digital device and user interface control method thereof
US7739597B2 (en) Interactive media frame display
US8615716B2 (en) Content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content display control method
KR101967036B1 (ko) 비디오 콘텐츠를 검색하는 방법들, 시스템들, 및 매체들
US10067657B2 (en) User configurable quick groups
US8812498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podcast content
US20110289457A1 (en) Electronic rea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iewing files
US839726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KR20070020208A (ko) 콘텐트를 프로그램에서 위치지정하는 방법 및 장치
CN109857901B (zh) 信息展示方法和装置、以及用于信息搜索的方法和装置
KR101365174B1 (ko) 검색정보 생성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CN101320381A (zh) 具有词典功能的电子设备
JP2008123239A (ja) キーワード抽出検索方式およびモバイル端末
US20130276039A1 (en) Characteristic karaoke vod system and operating process thereof
KR101522553B1 (ko)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컨텐트 재생목록 생성방법 및 장치
JP5494493B2 (ja) 情報検索装置、情報検索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9069875A (ja) コンテンツ検索装置、コンテンツ検索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20110050823A (ko) 지식노드 연결구조를 생성하기 위한 검색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 및 방법
CN100493167C (zh) 数字影像播放系统及其播放方法
Damm et al. A concept for using combined multimodal queries in digital music libraries
KR20070112681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파일 검색 장치 및 방법
WO2004003790A1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