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4767B1 - 헤드 업 디스플레이, 이중상 보상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헤드 업 디스플레이, 이중상 보상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4767B1
KR101364767B1 KR1020120148924A KR20120148924A KR101364767B1 KR 101364767 B1 KR101364767 B1 KR 101364767B1 KR 1020120148924 A KR1020120148924 A KR 1020120148924A KR 20120148924 A KR20120148924 A KR 20120148924A KR 101364767 B1 KR101364767 B1 KR 101364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ub
images
main image
bright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8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만수
정재우
오형석
허윤강
금병직
Original Assignee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8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47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4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47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2Viewing or reading apparatus
    • G02B27/022Viewing apparatu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18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devices for improving the contrast of the display / brillance control visibilit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18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devices for improving the contrast of the display / brillance control visibility
    • G02B2027/012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devices for improving the contrast of the display / brillance control visibility comprising devices for attenuating parasitic image effects
    • G02B2027/0121Parasitic image effect attenuation by suitable positioning of the parasitic imag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nformation/image processing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027/0192Supplementary details
    • G02B2027/0196Supplementary details having transparent supporting structure for display mounting, e.g. to a window or a windshiel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윈드 실드(wind shield)에 생성되는 이중상(double image)을 보상할 수 있는 헤드 업 디스플레이, 이중상 보상 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메인 영상과 고스트 영상 사이에 배치되는 서브 영상의 간격을 조절하는 뎁스 조절부; 서브 영상이 상기 메인 영상으로부터 배치되는 각도를 조절하는 헤딩 앵글 조절부; 서브 영상의 밝기를 조절하는 인탠시티 조절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중상이 입체상처럼 보이도록 하여 헤드 업 디스플레이의 시인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헤드 업 디스플레이, 이중상 보상 장치 및 그 방법{HEAD UP DISPLAY, APPARATUS FOR COMPENSATION DOUBLE IMAGE AND METHOD THEREOR}
본 발명은 헤드 업 디스플레이, 이중상 보상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윈드 실드(wind shield)에 생성되는 이중상(double image)을 보상할 수 있는 헤드 업 디스플레이, 이중상 보상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head up display, HUD)는 차량의 속도나 유량 등의 정보나 나이트 비전, 후방 감시카메라의 영상 등의 영상 정보를 계기판이 아닌 윈드 실드(wind shield)에 투사시켜 운전자가 전면을 주시하면서도 쉽게 인식할 수 있어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한 것이다.
윈드 실드에 투사되는 영상은 윈드 실드의 두께나 투사 방향, 반사경 반사 특성 등에 따라 운전자에게 이중상(double image)으로 보이게 된다. 이중상은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시인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중상을 보상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헤드 업 디스플레이, 이중상 보상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상 보상 장치는 메인 영상과 고스트 영상 사이에 배치되는 서브 영상의 간격을 조절하는 뎁스 조절부, 상기 서브 영상이 상기 메인 영상으로부터 배치되는 각도를 조절하는 헤딩 앵글 조절부, 및 상기 서브 영상의 밝기를 조절하는 인탠시티 조절부를 포함한다.
상기 뎁스 조절부는 상기 서브 영상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뎁스 조절부는 상기 메인 영상과 상기 고스트 영상 간의 거리를 고려하여 복수의 서브 영상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헤딩 앵글 조절부는 상기 고스트 영상이 상기 메인 영상으로부터 제1 각도 방향으로 이격되어 나타날 때 상기 서브 영상을 상기 메인 영상으로부터 상기 제1 각도 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인탠시티 조절부는 상기 서브 영상의 밝기를 상기 메인 영상보다 어둡고 상기 고스트 영상보다 밝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인탠시티 조절부는 상기 메인 영상에서 가장 가까이 배치되는 서브 영상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서브 영상의 밝기를 낮출 수 있다.
상기 서브 영상의 디자인을 조절한 디자인 선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딩 앵글 조절부, 상기 뎁스 조절부 및 상기 인탠시티 조절부에서 조절된 값을 기반으로 상기 디자인 선택부에서 선택된 디자인으로 상기 메인 영상 및 상기 서브 영상을 생성하는 워드아트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헤드 업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구성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워드아트 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메인 영상 및 상기 서브 영상을 재구성하는 화면 구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 업 디스플레이는 메인 영상, 및 상기 메인 영상과 고스트 영상 사이에 배치되는 서브 영상을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하는 이중상 보상 장치, 및 상기 화면을 스크린에 표시하고, 스크린에 표시된 화면을 광원을 이용하여 윈드 실드에 투사하는 인디케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이중상 보상 장치는 상기 서브 영상의 개수, 간격 및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이중상 보상 장치는 상기 서브 영상이 상기 메인 영상으로부터 배치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이중상 보상 장치는 상기 고스트 영상이 상기 메인 영상으로부터 제1 각도 방향으로 이격되어 나타날 때 상기 서브 영상을 상기 메인 영상으로부터 상기 제1 각도 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이중상 보상 장치는 상기 서브 영상의 밝기를 상기 메인 영상보다 어둡고 상기 고스트 영상보다 밝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이중상 보상 장치는 상기 메인 영상에서 가장 가까이 배치되는 서브 영상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서브 영상의 밝기를 낮출 수 있다.
상기 이중상 보상 장치는 상기 서브 영상의 디자인을 저장하고, 저장된 디자인을 이용하여 상기 서브 영상의 디자인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상 보상 방법은 메인 영상과 고스트 영상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서브 영상이 상기 메인 영상으로부터 배치되는 각도를 조절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의 개수 및 간격을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의 밝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의 개수 및 간격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메인 영상과 상기 고스트 영상 간의 거리를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이 상기 메인 영상으로부터 배치되는 각도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고스트 영상이 상기 메인 영상으로부터 제1 각도 방향으로 이격되어 나타날 때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을 상기 메인 영상으로부터 상기 제1 각도 방향으로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의 밝기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의 밝기를 상기 메인 영상보다 어둡고 상기 고스트 영상보다 밝게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의 밝기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메인 영상에서 가장 가까이 배치되는 서브 영상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의 밝기를 낮추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의 디자인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중상이 입체상처럼 보이도록 하여 헤드 업 디스플레이의 시인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업 디스플레이를 간략히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상 보상 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상이 보상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상을 보상하는 서브 영상의 디자인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업 디스플레이를 간략히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헤드 업 디스플레이는 스텝핑 모터(20), 인디케이터(30), 오목 미러(반사 유닛)(50), 반사경(60) 및 이중상 보상 장치(100)를 포함한다.
인디케이터(30)는 디스플레이 패널, 광원 등을 포함한다. 인디케이터(30)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스크린이 반사경(60)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은 2차원 평면에 배치된 다중 액정 화소로 구성된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스크린 상에 화상을 표시하기 위해 화소를 활성화시킨다. 광원은 발광 다이오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광원은 반사경(60)의 대향측이 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 배후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로 광을 조사하도록 구성된다.
반사경(60)과 오목 미러(50)는 인디케이터(30)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된 표시영상이 광원에 의해 투과 조명된 영상을 차량의 윈드 실드(70)를 향해 투사한다. 윈드 실드(70)에 투사된 영상은 차량의 전방에 형성되어 차량의 운전석에서는 허상(80)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운전자는 전방의 초점 위치에 표시된 허상(80)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스텝핑 모터(20)는 오목 미러(50)를 회전축을 중심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스텝핑 모터(20)는 오목 미러(50)의 회전축에 장착된 미러측 기어(미도시)와 결합된 모터측 기어(미도시)와 함께 장착된 출력 샤프트를 가질 수 있다. 스텝핑 모터(20) 및 오목 미러(50)는 모터측 기어와 미러측 기어가 서로 결합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오목 미러(50)는 회전 가능하도록 보유 지지 부재(51)에 의해 지지된다. 스프링 부재(52)는 모터측 기어와 미러측 기어 사이의 간극에 의해 생긴 진동이나 소음을 흡수하기 위하여 보유 지지 부재(51)와 오목 미러(50) 사이에 배치된다. 오목 미러(50)는 일단부에서 보유 지지 부재(51)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된 회전축을 가진다. 오목 미러(50)의 회전축은 타단부에서 미러측 기어와 함께 장착되고, 미러측 기어는 모터측 기어에 결합된다. 오목 미러(50)는 인디케이터(30) 상에 표시된 영상이 윈드 실드(70)를 향해 투사되도록 광을 반사시킬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중상 보상 장치(100)는 윈드 실드(70)에 투사된 영상이 이중상(double image)으로 운전자에게 보이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메인 영상과 고스트 영상 사이에 하나 이상의 서브 영상을 추가한다. 메인 영상은 헤드 업 디스플레이가 운전자에게 보여주고자 하는 영상을 의미한다. 고스트 영상은 메인 영상으로부터 소정의 방향으로 이격되어 흐릿하게 보이는 영상을 의미한다. 고스트 영상은 메인 영상이 윈드 실드(70)에 투사되는 방향이나 윈드 실드(70)의 두께 등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 이중상 보상 장치(100)는 메인 영상으로부터 서브 영상이 배치되는 각도, 서브 영상의 개수 및 간격, 서브 영상의 밝기, 서브 영상의 디자인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이하, 이중상 보상 장치(1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이중상을 보상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상 보상 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상이 보상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이중상 보상 장치(100)는 헤딩 앵글 조절부(110), 뎁스 조절부(120), 인탠시티 조절부(130), 디자인 선택부(140), 워드아트 생성부(150) 및 화면 구성부(160)를 포함한다.
헤딩 앵글 조절부(110)는 메인 영상(상1)으로부터 서브 영상(상3)이 배치되는 각도(θ)를 조절한다. 예를 들어, 고스트 영상(상2)이 메인 영상(상1)으로부터 θ 각도 방향으로 이격되어 나타날 때, 헤딩 앵글 조절부(110)는 서브 영상(상3)을 메인 영상(상1)으로부터 θ 각도 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다.
뎁스 조절부(120)는 메인 영상(상1)과 고스트 영상(상2) 사이에 배치되는 서브 영상(상3)의 개수, 및 복수의 서브 영상(상3) 간의 간격(d)을 조절한다. 뎁스 조절부(120)는 메인 영상(상1)에서 첫 번째 서브 영상(상3)까지의 간격(d)을 결정하고, 결정된 간격(d)으로 복수의 서브 영상(상3)을 배치할 수 있다. 한편, 메인 영상(상1)과 고스트 영상(상2) 간의 거리(k)가 인지되는 경우, 뎁스 조절부(120)는 메인 영상(상1)과 고스트 영상(상2) 간의 거리(k)를 서브 영상(상3)의 개수(n)를 고려하여 메인 영상(상1)에서 서브 영상(상3)까지의 간격, 즉 복수의 서브 영상(상3) 간의 간격을 d = k/(n+1)로 결정할 수 있다.
인탠시티 조절부(130)는 서브 영상(상3)의 밝기를 조절한다. 일반적으로, 메인 영상(상1)은 밝게 표시되고, 고스트 영상(상2)은 어둡게 표시된다. 인탠시티 조절부(130)는 서브 영상(상3)의 밝기를 메인 영상(상1)보다는 어둡고 고스트 영상(상2)보다는 밝게 조절할 수 있다. 메인 영상(상1)으로부터 고스트 영상(상2) 사이에 복수의 서브 영상(상3)이 배치될 때, 인탠시티 조절부(130)는 메인 영상(상1)에 가장 가까이 배치되는 서브 영상(상3)부터 순차적으로 서브 영상(상3)의 밝기를 낮출 수 있다.
메인 영상(상1)의 고스트 영상(상2)이 생성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서브 영상(상3)의 서브 고스트 영상(상4)이 생성된다. 서브 고스트 영상(상4)은 고스트 영상(상2)으로부터 θ 각도 방향으로 간격 d로 생성된다. 서브 영상(상3)이 메인 영상(상1)보다 어둡게 표시되므로, 서브 고스트 영상(상4)도 고스트 영상(상2)보다 어둡게 표시된다.
디자인 선택부(140)는 서브 영상(상3)의 디자인을 조절한다. 디자인 선택부(140)는 다양한 유형의 서브 영상(상3)의 디자인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으며, 저장된 디자인 중에서 어느 하나로 서브 영상(상3)이 표시될 수 있다.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상을 보상하는 서브 영상의 디자인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메인 영상(상1)으로부터 밝기가 순차적으로 어두워지는 복수의 서브 영상(상3)이 표시된 경우이다. 복수의 서브 영상(상3)이 표시됨에 따라 복수의 서브 고스트 영상(상4)이 고스트 영상(상2)으로부터 밝기가 순차적으로 어두워지면서 생성된다.
도 4b를 참조하면, 복수의 서브 영상(상3)이 메인 영상(상1)보다 어두운 동일한 밝기로 표시된 경우이다. 복수의 서브 영상(상3)이 메인 영상(상1)보다 어두운 동일한 밝기로 표시됨에 따라 복수의 서브 고스트 영상(상4)도 고스트 영상(상2)보다 어두운 동일한 밝기로 생성된다.
도 4c를 참조하면, 복수의 서브 영상(상3)이 어두운 밝기와 밝은 밝기로 교대로 표시된 경우이다. 이때, 복수의 서브 영상(상3)의 밝기는 메인 영상(상1)의 밝기보다 전체적으로 어둡게 표시된다. 복수의 서브 고스트 영상(상4)도 어두운 밝기와 밝은 밝기로 교대로 생성된다.
도 4a 내지 4c에서 예시한 서브 영상(상3)의 디자인은 일 예시에 불과하며, 서브 영상(상3)은 다양한 디자인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도 2 내지 3을 참조하면, 디자인 선택부(140)는 도 4a 내지 4c에서 예시한 바와 같은 다양한 디자인을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으며, 사용자는 디자인 선택부(140)를 통해 어느 하나의 디자인을 선택할 수 있다.
워드아트 생성부(150)는 헤딩 앵글 조절부(110), 뎁스 조절부(120) 및 인탠시티 조절부(130)에서 조절된 값을 전달받고, 이를 기반으로 디자인 선택부(140)에서 선택된 디자인으로 메인 영상(상1) 및 서브 영상(상3)을 생성한다.
화면 구성부(160)는 헤드 업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구성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워드아트 생성부(150)에서 생성된 메인 영상(상1) 및 서브 영상(상3)을 재구성한다. 화면 구성부(160)에서 재구성된 화면이 인디케이터(30)에 전달되고, 인디케이터(30)의 스크린을 통해 표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 영상(상1)과 고스트 영상(상2) 사이에 서브 영상(상3)을 표시함으로써, 이중상이 입체상(3D-image)처럼 보이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스트 영상(상2)에 의해 헤드 업 디스플레이의 시인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헤드 업 디스플레이의 시인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중상을 제거하기 위하여 윈드 실드(70)에 별도의 컴바이너(combiner) 또는 특수 필름을 부착할 필요가 없으므로, 헤드 업 디스플레이의 생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지금까지 참조한 도면과 기재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이중상 보상 장치
110 : 헤딩 앵글 조절부
120 : 뎁스 조절부
130 : 인탠시티 조절부
140 : 디자인 선택부
150 : 워드아트 생성부
160 : 화면 구성부

Claims (22)

  1. 메인 영상과 고스트 영상 사이에 배치되는 서브 영상의 간격을 조절하는 뎁스 조절부;
    상기 서브 영상이 상기 메인 영상으로부터 배치되는 각도를 조절하는 헤딩 앵글 조절부; 및
    상기 서브 영상의 밝기를 조절하는 인탠시티 조절부를 포함하는 이중상 보상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뎁스 조절부는 상기 서브 영상의 개수를 조절하는 이중상 보상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뎁스 조절부는 상기 메인 영상과 상기 고스트 영상 간의 거리를 고려하여 복수의 서브 영상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이중상 보상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딩 앵글 조절부는 상기 고스트 영상이 상기 메인 영상으로부터 제1 각도 방향으로 이격되어 나타날 때 상기 서브 영상을 상기 메인 영상으로부터 상기 제1 각도 방향으로 배치하는 이중상 보상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탠시티 조절부는 상기 서브 영상의 밝기를 상기 메인 영상보다 어둡고 상기 고스트 영상보다 밝게 조절하는 이중상 보상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탠시티 조절부는 상기 메인 영상에서 가장 가까이 배치되는 서브 영상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서브 영상의 밝기를 낮추는 이중상 보상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영상의 디자인을 조절한 디자인 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이중상 보상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헤딩 앵글 조절부, 상기 뎁스 조절부 및 상기 인탠시티 조절부에서 조절된 값을 기반으로 상기 디자인 선택부에서 선택된 디자인으로 상기 메인 영상 및 상기 서브 영상을 생성하는 워드아트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이중상 보상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헤드 업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구성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워드아트 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메인 영상 및 상기 서브 영상을 재구성하는 화면 구성부를 더 포함하는 이중상 보상 장치.
  10. 메인 영상, 및 상기 메인 영상과 고스트 영상 사이에 배치되는 서브 영상을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하는 이중상 보상 장치; 및
    상기 화면을 스크린에 표시하고, 스크린에 표시된 화면을 광원을 이용하여 윈드 실드에 투사하는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헤드 업 디스플레이.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상 보상 장치는 상기 서브 영상의 개수, 간격 및 밝기를 조절하는 헤드 업 디스플레이.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상 보상 장치는 상기 서브 영상이 상기 메인 영상으로부터 배치되는 각도를 조절하는 헤드 업 디스플레이.
  13.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상 보상 장치는 상기 고스트 영상이 상기 메인 영상으로부터 제1 각도 방향으로 이격되어 나타날 때 상기 서브 영상을 상기 메인 영상으로부터 상기 제1 각도 방향으로 배치하는 헤드 업 디스플레이.
  14.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상 보상 장치는 상기 서브 영상의 밝기를 상기 메인 영상보다 어둡고 상기 고스트 영상보다 밝게 조절하는 헤드 업 디스플레이.
  15.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상 보상 장치는 상기 메인 영상에서 가장 가까이 배치되는 서브 영상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서브 영상의 밝기를 낮추는 헤드 업 디스플레이.
  16.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상 보상 장치는 상기 서브 영상의 디자인을 저장하고, 저장된 디자인을 이용하여 상기 서브 영상의 디자인을 조절하는 헤드 업 디스플레이.
  17. 메인 영상과 고스트 영상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서브 영상이 상기 메인 영상으로부터 배치되는 각도를 조절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의 개수 및 간격을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의 밝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중상 보상 방법.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의 개수 및 간격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메인 영상과 상기 고스트 영상 간의 거리를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중상 보상 방법.
  19.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이 상기 메인 영상으로부터 배치되는 각도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고스트 영상이 상기 메인 영상으로부터 제1 각도 방향으로 이격되어 나타날 때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을 상기 메인 영상으로부터 상기 제1 각도 방향으로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중상 보상 방법.
  20.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의 밝기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의 밝기를 상기 메인 영상보다 어둡고 상기 고스트 영상보다 밝게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중상 보상 방법.
  21.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의 밝기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메인 영상에서 가장 가까이 배치되는 서브 영상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의 밝기를 낮추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중상 보상 방법.
  22.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의 디자인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중상 보상 방법.
KR1020120148924A 2012-12-18 2012-12-18 헤드 업 디스플레이, 이중상 보상 장치 및 그 방법 KR101364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8924A KR101364767B1 (ko) 2012-12-18 2012-12-18 헤드 업 디스플레이, 이중상 보상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8924A KR101364767B1 (ko) 2012-12-18 2012-12-18 헤드 업 디스플레이, 이중상 보상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4767B1 true KR101364767B1 (ko) 2014-02-20

Family

ID=50271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8924A KR101364767B1 (ko) 2012-12-18 2012-12-18 헤드 업 디스플레이, 이중상 보상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476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2764B1 (ko) * 2014-09-23 2016-0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헤드업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및 방법
KR20190046406A (ko) * 2017-10-26 2019-05-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CN111968561A (zh) * 2020-09-04 2020-11-20 徐育 汽车抬头显示装置的消除重影方法、抬头显示装置及介质
US11719930B2 (en) 2020-09-07 2023-08-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with crosstalk correc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5555A (ko) * 1992-12-22 1994-07-21 정몽원 헤드-업 디스플레이(hud)의 이중상방지방법 및 그 문자패턴디자인
JP2006512622A (ja) * 2002-12-31 2006-04-13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偏光光源および広角p偏光反射偏光子を備えた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
KR100873409B1 (ko) * 2006-07-12 2008-12-11 헤드플레이 (바베이도스), 인코포레이션 헤드 장착 디스플레이용 다중 이미지화 장치들
KR20120020917A (ko) * 2010-08-31 2012-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디스플레이용 윈드 실드 글라스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5555A (ko) * 1992-12-22 1994-07-21 정몽원 헤드-업 디스플레이(hud)의 이중상방지방법 및 그 문자패턴디자인
JP2006512622A (ja) * 2002-12-31 2006-04-13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偏光光源および広角p偏光反射偏光子を備えた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
KR100873409B1 (ko) * 2006-07-12 2008-12-11 헤드플레이 (바베이도스), 인코포레이션 헤드 장착 디스플레이용 다중 이미지화 장치들
KR20120020917A (ko) * 2010-08-31 2012-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디스플레이용 윈드 실드 글라스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2764B1 (ko) * 2014-09-23 2016-0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헤드업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및 방법
KR20190046406A (ko) * 2017-10-26 2019-05-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80737B1 (ko) 2017-10-26 2022-12-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CN111968561A (zh) * 2020-09-04 2020-11-20 徐育 汽车抬头显示装置的消除重影方法、抬头显示装置及介质
CN111968561B (zh) * 2020-09-04 2024-02-20 徐育 汽车抬头显示装置的消除重影方法、抬头显示装置及介质
US11719930B2 (en) 2020-09-07 2023-08-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with crosstalk corre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80035B2 (en) Adjustable three-dimensional augmented reality heads up display
US8427746B2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0162175B2 (en) Dual head-up display apparatus
JP6160398B2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WO2016181749A1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
EP2905649A1 (en) Head-up display apparatus
JP2010070066A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
KR101364767B1 (ko) 헤드 업 디스플레이, 이중상 보상 장치 및 그 방법
JP6695062B2 (ja) 表示システム、制御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移動体
EP2863115B1 (en) Head-up electronic-paper display system
JP2018045143A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CN107219635A (zh) 裸眼三维显示器、抬头显示系统及其实现方法
WO2019003514A1 (ja) 虚像表示装置
JP2018120135A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
AU2016337275A1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displays
WO2019102731A1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JP6780960B2 (ja) 画像表示装置
EP2200332A1 (en) Autostereoscopic display
JPH05229366A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KR101408998B1 (ko)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CN114035324B (zh) 一种hud光路投影系统及方法
CN211741718U (zh) 抬头显示设备、成像系统和车辆
JP2018146781A (ja) 車両用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KR101642747B1 (ko)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101298037B1 (ko)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