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4651B1 - 열교환기 튜브 세정장치용 노즐 - Google Patents

열교환기 튜브 세정장치용 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4651B1
KR101364651B1 KR1020130001739A KR20130001739A KR101364651B1 KR 101364651 B1 KR101364651 B1 KR 101364651B1 KR 1020130001739 A KR1020130001739 A KR 1020130001739A KR 20130001739 A KR20130001739 A KR 20130001739A KR 101364651 B1 KR101364651 B1 KR 101364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nozzle
nozzle body
inlet
en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1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창식
이상철
김우성
박창환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1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46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4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4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2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actuated by lazy-tongs mechanisms or articulated l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교환기 튜브 세정장치용 노즐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유입구 및 토출구를 가지며, 튜브 내부로 삽입되는 노즐 몸체; 및 상기 노즐 몸체의 외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탄성재질의 팽창부;를 포함하고, 상기 팽창부는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물질의 압력을 받아 팽창하여 상기 노즐 몸체와 상기 튜브의 내벽면 사이를 실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열교환기 튜브 세정장치용 노즐{NOZZLE FOR A CLEANING APPARATUS OF A HEAT EXCHANGER TUBE}
본 발명은 열교환기 튜브 세정장치용 노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자력 발전소 설비에 채용되는 열교환기 튜브 내부에 세정물질을 분사하여 침전된 이물질들을 제거하는 세정장치에 사용되는 노즐에 관한 것이다.
원자력 발전설비에 사용되는 열교환기는 핵분열 과정에서 생성된 열에너지를 열매체를 통해 외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교환기는 원자로의 증기발생기의 하부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튜브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튜브 내부로 열매체(일반적으로는 물)가 흐르면서 원자로 내부에서 발생된 열 에너지를 외부로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원자력 발전설비의 운용시간이 증가할수록 상기 튜브의 내면에는 이물질이 침적되게 된다. 이러한 이물질은 열매체에 포함되거나 열매체와의 반응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특히, 방사능 오염을 최소화하여야 하는 문제로 인해서, 상기 열매체를 교환하는 것이 쉽지 않고, 폐쇄된 유로 내부를 흐르기 때문에 상기 튜브의 내부는 이물질이 침적되기 쉬운 조건을 갖게 된다.
이렇게 침적된 이물질은 열매체의 흐름을 방해할 뿐더러 열교환 효율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므로 주기적으로 제거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제거 작업은 상기 증기 발생기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서비스 홀을 통해서 이루어지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비스 홀을 통해서 이물질 제거장치를 투입한 후 외부에서 원격조정을 통해서 세정 작업을 진행한다. 이 때, 상기 튜브의 내부에 세정 물질을 고압으로 분사하거나 별도의 세정제를 튜브 내부에 주입하여 이물질을 튜브 내면으로부터 분리한 후 이를 포집장치를 통해 수거하여 폐기하게 된다.
상기 세정 물질은 노즐을 이용하여 분사되는데, 이러한 노즐로는 종래부터 다양한 형태의 것들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세정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고압으로 분사할 필요가 있으나, 이로 인해서 분사된 물질 중 일부가 튜브와 노즐 사이를 통해서 누설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실링성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노즐에 구비되는 실링부가 튜브 내면과 보다 강하게 압착되도록 하면 되지만, 이는 노즐의 삽입을 어렵게 하거나, 노즐이 튜브에 대해서 움직이지 않도록 더욱 강하게 고정해야 하므로 작업의 곤란성을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누설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면서도 튜브 내부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노즐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유입구 및 토출구를 가지며, 튜브 내부로 삽입되는 노즐 몸체; 상기 토출구의 외주부에 형성되며, 튜브 내벽면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플랜지; 및 상기 플랜지와 접하며, 상기 노즐 몸체의 외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탄성재질의 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는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물질의 압력에 의해 변형되어 상기 튜브의 내벽면을 향해 팽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실링부는 상기 노즐 몸체의 외주부에 형성된 고정홈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링부는 상기 플랜지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튜브의 단부와 접하는 엔드 플레이트를 추가적으로 구비하고, 상기 엔드 플레이트는 상기 튜브의 단부와 접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구는 상기 유입구 보다 좁은 면적을 가질 수도 있고, 동일한 면적을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유입구 및 토출구를 가지며, 튜브 내부로 삽입되는 노즐 몸체; 상기 토출구의 외주부에 결합되는 탄성 재질의 엔드 플레이트; 및 상기 노즐 몸체가 고정되고, 상기 엔드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노즐 고정판;을 포함하고, 상기 엔드 플레이트는 상기 튜브 내로 일부가 삽입되고,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물질의 압력에 의해 변형되어 상기 튜브의 내벽면을 향해 팽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유입구 및 토출구를 가지며, 튜브 내부로 삽입되는 노즐 몸체; 상기 노즐 몸체의 외주부에 형성된 고정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탄성재질의 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 몸체의 외경은 상기 튜브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물질의 압력에 의해 상기 실링부가 변형되어 상기 튜브의 내벽면을 향해 팽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홈에는 상기 노즐의 내부와 연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실링부를 튜브 내벽측으로 가압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구는 상기 유입구 보다 작은 면적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측면들에 의하면, 분사 물질의 압력에 의해 팽창되는 팽창부를 포함하고 있어서, 미분사시에는 노즐의 전체 외경이 튜브의 내경 보다 작으므로 노즐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고, 분사시에는 팽창하여 노즐을 실링하고 튜브 내벽면에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설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실링 성능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튜브 세정장치용 노즐의 일 실시예를 포함하는 튜브 세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 중 호퍼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 중 노즐 부근을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노즐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노즐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상기 노즐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세정장치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노즐의 일 실시예를 포함하는 세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증기발생기(100)는 내부에 열전달 매체로서의 물이 흐르는 복수개의 튜브(112, 114, 116)를 포함하는 열교환기를 구비하며, 내부의 방사능을 함유한 고온 고압의 1차 냉각수와 상기 튜브(162) 외부의 2차 냉각수 사이에 열교환을 일으켜 증기를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도 1은 이러한 증기발생기의 하부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증기발생기(100)의 하부에는 증기발생기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튜브 시트(110)가 위치한다.
상기 튜브들은 양 끝단이 튜브 시트(110)에 의해 고정되며 증기발생기(100)의 내부에 거꾸로 된 U자 형으로 설치된다. 튜브들의 한 쪽 끝단은 원자로(미도시)로부터의 고온의 1차 냉각수가 유입되는 제1 수실(105)과 연통되어 있고, 다른 한 쪽 끝단은 열교환을 마친 저온의 1차 냉각수가 모이는 제2 수실(104)에 연통되어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증기 발생기(100)에 의하면 운전 중 원자로(미도시)에서 배출된 방사능 물질을 함유한 1차 냉각수가 제2 수실(104)로 유입되어 튜브 시트(110)에 관통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튜브 내부로 들어가며 튜브 내부를 흐른 후 제1 수실(105)로 복귀하여 원자로로 다시 들어간다. 그리고, 1차 냉각수가 갖는 열에너지는 상기 튜브 외면에 위치하는 2차 냉각수로 전달되어 증기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렇게 발생된 증기는 터빈(미도시)으로 보내져 전력을 생산하는데 이용된다. 이때, 상기 증기 발생기의 제1 및 제2 수실(104, 105)은 분리판(106)에 의해서 구획된다.
한편, 상기 증기발생기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튜브 내부에는 사용시간이 증가함에 따라서 이물질이 쌓이게 되고, 이는 열전달 효율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튜브 내부의 압력을 증가시켜 튜브의 파손을 야기할 위험을 높이게 된다. 따라서, 적층된 이물질은 주기적으로 제거해야 할 필요가 있는데, 도 1에 이러한 튜브 세정장치의 일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세정장치는 튜브의 내부에 볼 등을 고압으로 분사하거나 브러시를 삽입하여 물리적으로 제거하거나, 세정액 등을 통해서 화학적으로 제거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우측 수실을 통해서 튜브 내부로 세정물질을 분사하는 노즐(124)을 포함한다. 상기 노즐(124)은 노즐 고정판(126)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상기 노즐 고정판(126)은 다관절 로봇(128)에 의해 임의의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관절 로봇(128)을 제어하고 상기 노즐로 세정물질을 압송하는 본체(120)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다관절 로봇 및 노즐은 상기 제1 수실(105)에 형성된 서비스 홀(105a)을 통해서 수실의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도 1에서는 두 개의 노즐을 포함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개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 수실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튜브 중 일부의 튜브에 대해서 세정작업을 진행한 후, 상기 다관절 로봇을 이용하여 노즐을 옮겨가면서 전체 튜브의 세정을 마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노즐(124)을 통해서 분사된 세정물질은 튜브 내벽면으로부터 분리된 이물질과 함께 제2 수실(104) 측으로 토출된다. 구체적으로, 튜브(114') 내부로 토출된 분사 물질들은 이물질과 함께 튜브(114)를 통해서 토출되게 된다. 따라서, 도 1에서는 두 개의 튜브에 대해서 분사가 이루어지므로, 토출측에서도 두 개의 튜브를 통해서 토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토출되는 분사물질 및 이물질을 포집하기 위한 포집장치가 상기 제2 수실(104)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포집장치는 튜브를 통해서 토출되는 분사물질 및 이물질을 포집하는 호퍼(130)를 포함한다. 상기 호퍼(130)는 전체 튜브가 아닌 3 개의 노즐로부터 토출되는 분사물질을 포집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가지며, 전체 튜브에 대해서 작업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상기 호퍼(130)를 이동시키기 위한 가이드 수단을 필요로 하는데, 도 1에서는 다관절 로봇(140)을 이러한 가이드 수단의 일 예로서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수단은 반드시 도시된 형태에 한하지 않으며, 상기 호퍼를 상기 튜브 시트에 대해서 이동시킬 수 있는 임의의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 수실에 레일을 설치하고 상기 레일을 따라서 상기 호퍼가 이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다관절 로봇(140)은 제어기(150)에 의해 제어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관절 로봇(140)은 상술한 노즐을 이동시키기 위한 다관절 로봇(128)의 이동에 대응되어 작동된다. 즉, 상기 제어기(150)는 상기 노즐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후 그에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호퍼(130)를 이동시킨다. 상기 호퍼(130)의 목표위치는 사전에 프로그래밍된 좌표 데이터에 의해 결정되며, 이러한 정보는 상기 제어기(150)의 내부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호퍼(130)의 하부에는 포집된 분사 물질 및 이물질이 이송되는 유로를 제공하는 호스(160)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호스(160)는 펌프(162)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펌프(162)는 상기 호스(160) 내부에 음압을 생성하여, 호퍼 및 호스의 내부에 존재하는 분사 물질 및 이물질을 펌프측으로 흡입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2는 상기 호퍼(130)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호퍼(130)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진공패드(132)를 포함하고, 상기 진공패드(132)는 호퍼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유입구(134) 주위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호퍼(130)는 상기 제2 수실(104)에 형성되는 서비스 홀(104a)을 통해서 유입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다. 따라서, 서비스 홀(104a)을 통과하기 위해 변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충분한 강성을 갖도록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강성은 상기 진공패드(132)가 변형될 정도로 상기 튜브시트에 대해서 압착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그로 인해서 분사 물질 및 이물질을 포집하는 과정에서 이들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진공패드(132)는 탄성을 갖는 임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 예로서 스폰지 계열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진공패드는 상술한 펌프에 의한 음압으로 인해서 호퍼가 튜브 시트에 대해서 압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입구(134)는 적어도 3 개의 노즐을 덮을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가지며, 유입구의 반대측에는 배출구(13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136)는 상술한 호스(160)와 연결된다.
한편, 상기 노즐(124) 또한 상기 튜브 내면과 안정적으로 밀착되어야만 분사된 물질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상기 노즐(124) 주위를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상기 노즐 고정판(126)은 대략 3개의 튜브를 덮을 정도의 크기를 가지며, 상술한 노즐(124) 및 누설 방지기구(125)가 상기 노즐 고정판(126)을 관통하도록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노즐 고정판(126)은 상술한 다관절 로봇에 의해 상기 튜브측으로 이동되며, 그에 따라서 노즐 고정판(126)에 장착된 노즐 및 누설 방지기구가 튜브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도 4는 상기 노즐(124)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로서, 상기 노즐(124)은 분사 물질이 유입되는 유입구(213)와 상기 분사 물질이 토출되는 토출구(212)가 형성되는 노즐 몸체(210)를 포함한다. 상기 노즐 몸체(210)의 내부에는 상기 유입구 및 토출구를 연결하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토출구가 유입구 보다 좁은 면적을 가지고 있어, 전체적으로 쓰로틀형(throttle type)의 노즐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실시예는 반드시 쓰로틀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입구와 토출구가 동일한 면적을 갖는 비쓰로틀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노즐 몸체(210)의 선단부에 플랜지(214)가 형성되며, 외주부에 형성된 나사산에 의해서 상기 노즐 고정판(126)에 체결되어 고정된다. 한편, 상기 튜브와 노즐 고정판(126)의 사이에 엔드 플레이트(230)가 배치된다. 상기 그 상부면에 고정되는 엔드 플레이트(230)의 외경은 상기 튜브의 외경과 같거나 크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서, 상기 엔드 플레이트(2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튜브의 단부와 접하게 된다.
상기 엔드 플레이트는 연성 폴리에틸렌과 같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후술할 실링부를 지지하는 한편, 상기 튜브의 단부를 통한 누설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엔드 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는 실링부(240)는 그 표면 일부가 상기 플랜지(214)와 튜브 내벽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통해서 상기 튜브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실링부는 압력을 받으면 변형될 수 있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랜지와 상기 엔드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되는 고정홈의 내부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노즐을 통해서 분사 물질이 고압으로 토출되면, 일부의 분사 물질은 상기 간극을 통해서 상기 실링부(240)로 유입되어 실링부를 가압하게 된다.
또한, 상기 플랜지(214) 역시 분사 물질로 인한 압력으로 인해 상기 실링부쪽으로 변형되면서, 실링부를 가압하게 된다.
이로 인해서, 상기 실링부가 도 4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는 수축되지만, 좌우방향으로 팽창하게 되므로 상기 튜브의 내벽에 압착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노즐 몸체와 상기 튜브의 내벽 사이를 통한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노즐 몸체를 상기 튜브 내부에 고정하는 역할도 겸하게 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노즐의 변형예(224)를 도시한 것으로서, 노즐 몸체(310)는 유입구보다 좁은 토출구(312)를 포함하고 있고, 그 외경은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노즐 몸체(310)는 상기 노즐 몸체(310)와 높이차를 두고 고정되어 고정홈을 형성하고, 여기에 실링부(330)가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실링부(330)는 중앙이 비어 있는 원판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튜브(114')의 단부와 접하고, 내측의 일부면은 상기 튜브의 내부 공간으로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노즐 몸체(310)를 상기 튜브측으로 압착시키면, 상기 실링부(330)가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노즐 몸체(310)의 단부의 일부가 상기 튜브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게 된다. 그와 함께, 상기 실링부(330) 중 상기 노즐 몸체(310)의 외주부와 인접한 부분도 함께 튜브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분사를 시작하면 분사 물질의 압력이 실링부(330)로 전달되고, 이로 인해서 실링부가 도 5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팽창하면서, 실링 및 고정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노즐의 또 다른 변형에(324)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5를 참조하면, 노즐 몸체(410)의 토출구(412)는 유입구와 동일한 내경을 가져서, 전체적으로 비쓰로틀형 노즐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상기 노즐 몸체(410)의 외주부에 형성되는 고정홈(414)에 실링부(420)가 고정되며, 상기 고정홈(414)은 상기 노즐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통공(416)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노즐 몸체(410)의 외주부와 상기 튜브의 내벽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고, 상기 실링부(420)만이 상기 튜브의 내벽과 접하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분사가 시작되면, 분사 물질은 상기 간극을 통해서 실링부로 전달되어 실링부를 좌우 방향으로 팽창시키게 된다. 이와는 별도로, 상기 분사 물질은 상기 통공(416) 및 고정홈(414)을 통해서도 상기 실링부를 반경방향 외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로 인해서, 상기 실링부 만으로 실링 및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도 4에 도시된 실시예 중에서 실링부를 제외한 예도 고려해 볼 수 있다. 도 7은 이러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7에 대한 설명 중 도 4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도 7에 도시된 노즐(424)은 기본적으로는 도 4에 도시된 노즐과 동일하지만, 상기 실링부(240)가 제외되는 대신, 플랜지(214)가 튜브의 내벽면과 접하도록 연장되는 점에서 차이를 갖는다. 이렇게 플랜지(214)를 튜브의 내벽까지 연장함으로써 상술한 실링부를 대신하여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엔드 플레이트(230)도 누설 방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엔드 플레이트(230)와 상기 플랜지(214) 사이에는 빈공간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공간은 상기 플랜지(214)가 자유롭게 변형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분사 물질의 압력으로 인해서 플랜지(214)가 도 7을 기준으로 하향으로 변형되면서 튜브의 내벽을 누르게 되고, 그에 따라서 실링 성능이 배가될 수 있다.

Claims (9)

  1. 유입구 및 토출구를 가지며, 튜브 내부로 삽입되는 노즐 몸체;
    상기 토출구의 외주부에 형성되며, 튜브 내벽면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플랜지; 및
    상기 플랜지와 접하며, 상기 노즐 몸체의 외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탄성재질의 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는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물질의 압력에 의해 변형되어 상기 튜브의 내벽면을 향해 팽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상기 노즐 몸체의 외주부에 형성된 고정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상기 플랜지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의 단부와 접하는 엔드 플레이트를 추가적으로 구비하고, 상기 엔드 플레이트는 상기 튜브의 단부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상기 유입구 보다 좁은 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에는 상기 노즐의 내부와 연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실링부를 튜브 내벽측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7. 유입구 및 토출구를 가지며, 튜브 내부로 삽입되는 노즐 몸체;
    상기 토출구의 외주부에 결합되는 탄성 재질의 엔드 플레이트; 및
    상기 노즐 몸체가 고정되고, 상기 엔드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노즐 고정판;을 포함하고,
    상기 엔드 플레이트는 상기 튜브 내로 일부가 삽입되고,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물질의 압력에 의해 변형되어 상기 튜브의 내벽면을 향해 팽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8. 유입구 및 토출구를 가지며, 튜브 내부로 삽입되는 노즐 몸체;
    상기 노즐 몸체의 외주부에 형성된 고정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탄성재질의 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 몸체의 외경은 상기 튜브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물질의 압력에 의해 상기 실링부가 변형되어 상기 튜브의 내벽면을 향해 팽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상기 유입구 보다 작은 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KR1020130001739A 2013-01-07 2013-01-07 열교환기 튜브 세정장치용 노즐 KR101364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1739A KR101364651B1 (ko) 2013-01-07 2013-01-07 열교환기 튜브 세정장치용 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1739A KR101364651B1 (ko) 2013-01-07 2013-01-07 열교환기 튜브 세정장치용 노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4651B1 true KR101364651B1 (ko) 2014-02-19

Family

ID=50271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1739A KR101364651B1 (ko) 2013-01-07 2013-01-07 열교환기 튜브 세정장치용 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465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9203A (ko) * 2016-02-23 2017-08-31 제네럴 일렉트릭 테크놀러지 게엠베하 배열회수보일러 클리닝 장치
KR101791315B1 (ko) * 2015-12-04 2017-10-27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복수기 튜브 세정장치
KR20210034221A (ko) * 2019-09-20 2021-03-30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열교환기 세관 청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청소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1497A (ja) * 1994-05-02 1995-11-14 Koei Kagaku Kogyo Kk 熱交換器チューブ洗浄方法
JP2007127351A (ja) 2005-11-04 2007-05-24 Mitsubishi Heavy Ind Ltd 原子力発電プラント用蒸気発生器のスケール除去装置
KR20080006843A (ko) * 2006-07-14 2008-01-17 김영석 한국 표준형 원자력 발전소의 증기발생기 슬러그 세척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1497A (ja) * 1994-05-02 1995-11-14 Koei Kagaku Kogyo Kk 熱交換器チューブ洗浄方法
JP2007127351A (ja) 2005-11-04 2007-05-24 Mitsubishi Heavy Ind Ltd 原子力発電プラント用蒸気発生器のスケール除去装置
KR20080006843A (ko) * 2006-07-14 2008-01-17 김영석 한국 표준형 원자력 발전소의 증기발생기 슬러그 세척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1315B1 (ko) * 2015-12-04 2017-10-27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복수기 튜브 세정장치
KR20170099203A (ko) * 2016-02-23 2017-08-31 제네럴 일렉트릭 테크놀러지 게엠베하 배열회수보일러 클리닝 장치
KR101853536B1 (ko) 2016-02-23 2018-06-20 제네럴 일렉트릭 테크놀러지 게엠베하 배열회수보일러 클리닝 장치
KR20210034221A (ko) * 2019-09-20 2021-03-30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열교환기 세관 청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청소 방법
KR102269838B1 (ko) * 2019-09-20 2021-06-29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열교환기 세관 청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청소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79701A (en) Steam generator sludge removal system
US4566406A (en) Sludge removing apparatus for a steam generator
KR101364651B1 (ko) 열교환기 튜브 세정장치용 노즐
CN102081976B (zh) 大容量完全非能动安全壳冷却系统
US7813465B2 (en) Pressure suppression and decontamin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reactor container
US20180061514A1 (en) Self-diagnosis and accident-handling unmanned nuclear reactor
SE457558B (sv) Munstycke foer infoerande av luft i en fluidiserad baedd
KR20130131433A (ko) 방사선 차폐 방법 및 장치 및 구조체의 처리 방법
KR20160081081A (ko) 모듈형 원자로 및 이를 구비하는 원전
US10249397B2 (en) Modular reactor steam generator configured to cover a reactor outer wall circumference
KR20170012265A (ko) 열 교환기 및 상기 열 교환기를 사용한 배기 가스 처리 장치
US9470414B2 (en) Method for delivering a tool to the interior of a heat exchange tube
US20140053555A1 (en) Heat transfer tube repairing apparatus and method and steam generator
KR102369045B1 (ko) 원자로 냉각 구조체
KR102282161B1 (ko) 증기발생기 전열관 검사 시스템
CN203731935U (zh) 用于氨氧化反应的在线清焦装置
KR102312973B1 (ko) 열교환기 세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열교환기
KR20100045845A (ko) 가황조의 폐열 회수 장치
CN217979889U (zh) 瓦楞纸生产用蒸汽回收设备
CN214792665U (zh) 定型机废气处理系统前置冷却器
CN203772119U (zh) 带在线清焦功能的换热器
KR102317420B1 (ko) 부유 금속산화물 제거장치
CN104279915A (zh) 固体颗粒喷射分布器及在线清焦装置
CN210154383U (zh) 一种结构改进的丙烯冷却器
JP2013185827A (ja) 遮蔽構造および遮蔽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