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4239B1 - 3상 회로 시험기 - Google Patents

3상 회로 시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4239B1
KR101364239B1 KR1020130120729A KR20130120729A KR101364239B1 KR 101364239 B1 KR101364239 B1 KR 101364239B1 KR 1020130120729 A KR1020130120729 A KR 1020130120729A KR 20130120729 A KR20130120729 A KR 20130120729A KR 101364239 B1 KR101364239 B1 KR 101364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switching
switching unit
signal
phase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0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용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양일렉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양일렉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양일렉콤
Priority to KR1020130120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42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4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4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86Features relating to contacting the IC under test, e.g. probe heads; chu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30Marginal testing, e.g. by varying supply voltage
    • G01R31/3004Current or voltage tes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02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particular to three-phase electromagnetic rel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nd Detecting Electric Faul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압, 전류 가변을 위한 교류 3상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공급된 교류 3상 전원전압의 크기를 피시험기기의 성능 측정 대상에 따라 조정하는 전압가변부, 상기 전압가변부로부터 조정된 전압을 일정 전압 크기로 변환하는 변압기, 상기 변압기의 1차와 2차의 상결선과 벡터 상변위에 따라 상기 변압기 출력전압을 위상 가변시키되, 0°~ 330°의 위상 가변 범위에 30°의 위상각 공차를 둔 12개의 위상각(0°, 30°, 60°, 90°, 120°, 150°, 180°, 210°, 240°, 270°, 300°, 330°) 중에서 입력 제어 신호에 따라 어느 하나의 특정 위상각으로 가변시켜 피시험기기로 전달하는 위상가변부, 상기 피시험기기의 성능 시험 측정용 전류를 발생하여 상기 피시험기기로 전달하는 전류 발생부, 상기 피시험기기에 전달되는 전압, 전류를 계측하는 출력 계측부 및, 상기 위상가변부에서 출력된 전압의 가변 동작을 제어하거나 상기 전류발생부에서 출력된 전류의 가변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위상가변부의 위상 가변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3상 회로 시험기에 관한 것으로, 전압, 전류 및 위상가변을 통하여 수배전반에 대하여 성능시험을 용이하게 시험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시험기의 위상가변이 가능해져 수배전반의 위상제어가 필요한 장비에 대해서도 성능을 측정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3상 회로 시험기{Test equipment for switch board}
본 발명은 3상 회로 시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배전반의 계측기(V-M, A-M,PF-M VAR-M, KW-M, KWH-M), 보호계전기(OCR, OCGR, UVR, OVR, OVGR, SGR, DGR, 3E-R), 차단기(VCB, ACB, OCB, GCB, ATS) 등을 시험하여 배선의 오결선 및 계측기, 보호계전기, 차단기 등의 동작 상태를 시험할 수 있는 장치로 3상 전압, 전류 및, 위상가변이 가능한 3상 회로 시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계통의 감시, 제어 및 보호를 위한 수배전반의 사고 발생시에는 파급효과가 매우 크므로, 수배전반에 사용되는 전력기기들의 고품질과 신뢰성을 요구하게 되며, 이러한 전력기기들에 대한 성능 평가가 중요하다.
이에 따라 수배전반의 성능시험시 감시장치 및 보호기능의 이상유무를 확인하여야 하며. 이를 확인하기 위한 3상 회로 시험기가 필요하다.
3상 회로 시험기는 전압, 전류의 가변 및 온/오프(ON/OFF) 제어 뿐만 아닐, 위상가변도 제어가 가능하여야 한다.
왜나하면, 위상제어가 필요한 장비의 성능을 측정하는 경우도 발생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수배전반에 대하여 성능 시험시 위상제어가 용이하게 시험가능하도록 위상제어기능을 포함한 3상 회로 시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3상 회로 시험기는,
전압, 전류 가변을 위한 교류 3상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공급된 교류 3상 전원전압의 크기를 피시험기기의 성능 측정 대상에 따라 조정하는 전압가변부, 상기 전압가변부로부터 조정된 전압을 일정 전압 크기로 승압하는 변압기, 상기 변압기의 1차와 2차의 상결선과 벡터 상변위에 따라 상기 변압기 출력전압을 위상 가변시키되, 0°~ 330°의 위상 가변 범위에 30°의 위상각 공차를 둔 12개의 위상각(0°, 30°, 60°, 90°, 120°, 150°, 180°, 210°, 240°, 270°, 300°, 330°) 중에서 입력 제어 신호에 따라 어느 하나의 특정 위상각으로 가변시켜 피시험기기로 전달하는 위상가변부, 상기 피시험기기의 성능 시험 측정용 전류를 발생하여 상기 피시험기기로 전달하는 전류 발생부, 상기 피시험기기에 전달되는 전압, 전류를 계측하는 출력 계측부 및, 상기 위상가변부에서 출력된 전압의 가변 동작을 제어하거나 상기 전류발생부에서 출력된 전류의 가변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위상가변부의 위상 가변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변압기는 제1, 2, 3 트랜스포머를 구비하고, 상기 위상가변부는 상기 변압기의 제1 트랜스포머 1차 측에 연결된 제1, 2접점을 가진 제1 스위칭 모듈과 상기 제2 트랜스포머 1차 측에 연결된 제1, 2 접점을 가진 제2 스위칭 모듈, 상기 제3 트랜스포머 1차 측에 연결된 제1, 2 접점을 가진 제3 스위칭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제1, 2, 3 스위칭 모듈의 제1 접점 상호 간은 동일 신호 라인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2, 3 스위칭 모듈의 제2 접점은 각기 다른 신호라인으로 연결되어 분리된 제1 스위칭부, 상기 변압기의 제1 트랜스포머 2차 측의 일끝단에 제1 접점이 연결되고 상기 제3 트랜스포머 2차 측의 일끝단에 제2 접점이 연결된 제4 스위칭 모듈, 상기 제2 트랜스포머 2차 측의 일끝단에 제1 접점이 연결되고 상기 제1 트랜스포머 2차 측의 타끝단에 제2 접점이 연결된 제5 스위칭 모듈, 상기 제3 트랜스포머 2차 측의 타끝단에 제1 접점이 연결되고 상기 제2 트랜스포머 2차 측의 타끝단에 제2 접점이 연결된 제6 스위칭 모듈을 구비한 제2 스위칭부, 상기 제2 스위칭부의 제4 스위칭 모듈의 제1, 2 접점과 각기 연결되는 제7 스위칭 모듈과 상기 제5 스위칭 모듈의 제1, 2 접점과 연결되는 제8 스위칭 모듈, 상기 제6 스위칭 모듈의 제1, 2 접점과 연결되는 제9 스위칭 모듈을 구비한 제3 스위칭부, 상기 제2 스위칭부의 제5 스위칭 모듈의 제1, 2 접점과 상기 제8 스위칭 모듈 사이의 신호 라인에 연결된 제10 스위칭 모듈과 상기 제6 스위칭 모듈의 제1, 2접점과 상기 제9 스위칭 모듈 사이의 신호 라인 일단에 연결된 제11 스위칭 모듈, 상기 제4 스위칭 모듈의 제1, 2접점과 상기 제7 스위칭 모듈 사이의 신호 라인 일단에 연결된 제12 스위칭 모듈을 구비한 제4 스위칭부 및, 상기 제6 스위칭 모듈의 제1, 2접점과 상기 제9 스위칭 모듈 및 상기 제11 스위칭 모듈 사이의 신호 라인 일단에 연결된 제13 스위칭 모듈과 상기 제4 스위칭 모듈의 제1, 2접점과 상기 제7 스위칭 모듈 및 상기 제12 스위칭 모듈 사이의 신호 라인 일단에 연결된 제14 스위칭 모듈, 상기 제5 스위칭 모듈의 제1, 2접점과 제8 스위칭 모듈 사이의 신호 라인 일단에 연결된 제15 스위칭 모듈을 구비한 제5 스위칭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0°위상각 가변시 상기 제3 스위칭부로 온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고, 30°위상각 가변시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상기 제3 스위칭부로 온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고, 60°위상각 가변시 상기 제2 스위칭부와 제5 스위칭부로 온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고, 90°위상각 가변시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제2 스위칭부 및 제5 스위칭부로 온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고, 120°위상각 가변시 상기 제5 스위칭부로 온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고, 150°위상각 가변시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제5 스위칭부로 온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고, 180°위상각 가변시 제2 스위칭부와 제4 스위칭부로 온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고, 210°위상각 가변시 제1 스위칭부와 제2 스위칭부 및 제4 스위칭부로 온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고, 240°위상각 가변시 제4 스위칭부로 온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고, 270°위상각 가변시 제1 스위칭부와 제4 스위칭부로 온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고, 300°위상각 가변시 제2 스위칭부와 제3 스위칭부로 온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고, 330°위상각 가변시 제1 스위칭부와 제2 스위칭부 및 제3 스위칭부로 온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0°, 30°, 60°, 90°, 120°, 150°, 180°, 210°, 240°, 270°, 300°, 330°의 12개의 위상각 선택 모드를 가지고 상기 제어부의 위상각 가변 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용 셀렉터 스위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셀렉터 스위치는 0°위상각 선택 모드시 상기 제3 스위칭부로 온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는 제1 접속 경로와, 30°위상각 선택 모드시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상기 제3 스위칭부로 온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는 제2 접속 경로와, 60°위상각 선택 모드시 상기 제2 스위칭부와 제5 스위칭부로 온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는 제3 접속 경로와, 90°위상각 선택 모드시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제2 스위칭부 및 제5 스위칭부로 온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는 제4 접속 경로와, 120°위상각 선택 모드시 상기 제5 스위칭부로 온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는 제5 접속 경로와, 150°위상각 선택 모드시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제5 스위칭부로 온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는 제6 접속 경로와, 180°위상각 선택 모드시 제2 스위칭부와 제4 스위칭부로 온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는 제7 접속 경로와, 210°위상각 선택 모드시 제1 스위칭부와 제2 스위칭부 및 제4 스위칭부로 온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는 제8 접속 경로와, 240°위상각 선택 모드시 제4 스위칭부로 온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는 제9 접속 경로와, 270°위상각 선택 모드시 제1 스위칭부와 제4 스위칭부로 온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는 제10 접속 경로와, 300°위상각 선택 모드시 제2 스위칭부와 제3 스위칭부로 온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는 제11 접속 경로와, 330°위상각 선택 모드시 제1 스위칭부와 제2 스위칭부 및 제3 스위칭부로 온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는 제12 접속 경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압, 전류 및 위상가변을 통하여 수배전반에 대하여 성능시험을 용이하게 시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시험기의 위상가변이 가능해져 수배전반의 위상제어가 필요한 장비에 대해서도 성능을 측정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3상 회로 시험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위상가변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위상가변부의 동작을 정리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조작용 셀렉터 스위치를 구비한 사용자 조작 패널을 도시한 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3상 회로 시험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장치는 전압, 전류 가변을 위한 교류 3상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01), 상기 공급된 교류 3상 전원전압의 크기를 피시험기기의 성능 측정 대상에 따라 조정하는 전압가변부(102), 상기 전압가변부(102)로부터 조정된 전압을 일정 전압 크기로 변환하는 변압기(103), 상기 변압기(103)의 1차와 2차의 상결선과 벡터 상변위에 따라 상기 변압기(103) 출력전압을 위상 가변시키되, 0°~ 330°의 위상 가변 범위에 30°의 위상각 공차를 둔 12개의 위상각(0°, 30°, 60°, 90°, 120°, 150°, 180°, 210°, 240°, 270°, 300°, 330°) 중에서 입력 제어 신호에 따라 어느 하나의 특정 위상각으로 가변시켜 피시험기기로 전달하는 위상가변부(104), 상기 피시험기기의 성능 시험 측정용 전류를 발생하여 상기 피시험기기로 전달하는 전류 발생부(105), 상기 피시험기기에 전달되는 전압, 전류를 계측하는 출력 계측부(106) 및, 상기 위상가변부(104)에서 출력된 전압의 가변 동작을 제어하거나 상기 전류발생부(105)에서 출력된 전류의 가변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위상가변부(104)의 위상 가변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0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다.
여기서, 전압가변부(102)는 교류 3상 전원전압의 크기를 조정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OVR(Over Voltage Relay)의 기능을 테스트하기 위해 과전압을 인가할 때, 최고 높은 값과 낮은 값을 인가하는 경우와 같이 피시험기기의 성능 측정 대상에 따라 전압을 가변시키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따라 조정 가능하다.
위상가변부(104)는 변압기(103)의 1차와 2차의 상결선과 벡터 상변위에 따라 상기 변압기(103) 출력전압을 위상 가변시키되, 0°~ 330°의 위상 가변 범위에 30°의 위상각 공차(公差)를 둔 12개의 위상각(0°, 30°, 60°, 90°, 120°, 150°, 180°, 210°, 240°, 270°, 300°, 330°) 중에서 제어부(107)로부터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어느 하나의 특정 위상각으로 가변시켜 피시험기기로 전달하는 것이다.
전류발생부(105)는 피시험기기의 성능 시험 측정용 전류를 발생하여 상기 피시험기기로 전달하는 것으로, 종래 전류발생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출력 계측부(106)는 피시험기기에 전달되는 전압, 전류를 계측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달하는 것이다.
제어부(107)는 위상가변부(104)에서 출력된 전압의 가변 동작을 피시험기기의 종류와 용량에 따라 제어하거나, 전류발생부(105)에서 출력된 전류의 가변 동작을 피시험기기의 종류와 용량에 따라 제어하며, 위상가변부(104)의 위상 가변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인 위상 가변 동작을 도 2와 도 3을 참조해 후술한다.
도 2는 도 1의 위상가변부(104)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의 위상가변부(104)는 변압기(103)에 제1, 2, 3 트랜스포머가 구비된 경우, 상기 위상가변부(104)는 제1, 2, 3, 4, 5 스위칭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스위칭부(PX)는 상기 변압기의 제1 트랜스포머 1차 측에 연결된 제1, 2접점을 가진 제1 스위칭 모듈(도 2에서 가장 위에 위치한 스위칭 모듈)과 상기 제2 트랜스포머 1차 측에 연결된 제1, 2 접점을 가진 제2 스위칭 모듈(도 2에서 중간에 위치한 스위칭 모듈), 상기 제3 트랜스포머 1차 측에 연결된 제1, 2 접점을 가진 제3 스위칭 모듈(도 2에서 가장 아래에 위치한 스위칭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제1, 2, 3 스위칭 모듈의 제1 접점 상호 간은 동일 신호 라인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2, 3 스위칭 모듈의 제2 접점은 각기 다른 신호라인으로 연결되어 분리된다.
제2 스위칭부(SX)는 상기 변압기의 제1 트랜스포머 2차 측의 일끝단에 제1 접점이 연결되고 상기 제3 트랜스포머 2차 측의 일끝단에 제2 접점이 연결된 제4 스위칭 모듈(도 2에서 가장 위치한 스위칭 모듈), 상기 제2 트랜스포머 2차 측의 일끝단에 제1 접점이 연결되고 상기 제1 트랜스포머 2차 측의 타끝단에 제2 접점이 연결된 제5 스위칭 모듈(도 2에서 중간에 위치한 스위칭 모듈), 상기 제3 트랜스포머 2차 측의 타끝단에 제1 접점이 연결되고 상기 제2 트랜스포머 2차 측의 타끝단에 제2 접점이 연결된 제6 스위칭 모듈(도 2에서 가장 아래에 위치한 스위칭 모듈)을 구비한 것이다.
제3 스위칭부(F1)는 상기 제2 스위칭부의 제4 스위칭 모듈의 제1, 2 접점과 각기 연결되는 제7 스위칭 모듈(도 2에서 가장 위에 위치한 스위칭 모듈)과 상기 제5 스위칭 모듈의 제1, 2 접점과 연결되는 제8 스위칭 모듈(도 2에서 중간에 위치한 스위칭 모듈), 상기 제6 스위칭 모듈의 제1, 2 접점과 연결되는 제9 스위칭 모듈(도 2에서 가장 아래 위치한 스위칭 모듈)을 구비한 것이다.
제4 스위칭부(F2)는 상기 제2 스위칭부의 제5 스위칭 모듈의 제1, 2 접점과 상기 제8 스위칭 모듈 사이의 신호 라인에 연결된 제10 스위칭 모듈(도 2에서 가장 위에 위치한 스위칭 모듈)과 상기 제6 스위칭 모듈의 제1, 2접점과 상기 제9 스위칭 모듈 사이의 신호 라인 일단에 연결된 제11 스위칭 모듈(도 2에서 가장 중간에 위치한 스위칭 모듈), 상기 제4 스위칭 모듈의 제1, 2접점과 상기 제7 스위칭 모듈 사이의 신호 라인 일단에 연결된 제12 스위칭 모듈(도 2에서 가장 아래에 위치한 스위칭 모듈)을 구비한 것이다.
제5 스위칭부(F3)는 상기 제6 스위칭 모듈의 제1, 2접점과 상기 제9 스위칭 모듈 및 상기 제11 스위칭 모듈 사이의 신호 라인 일단에 연결된 제13 스위칭 모듈(도 2에서 가장 위치에 위치한 스위칭 모듈)과 상기 제4 스위칭 모듈의 제1, 2접점과 상기 제7 스위칭 모듈 및 상기 제12 스위칭 모듈 사이의 신호 라인 일단에 연결된 제14 스위칭 모듈(도 2에서 중간에 위치한 스위칭 모듈), 상기 제5 스위칭 모듈의 제1, 2접점과 제8 스위칭 모듈 사이의 신호 라인 일단에 연결된 제15 스위칭 모듈(도 2에서 가장 아래 위치한 스위칭 모듈)을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스위칭 모듈은 마그네틱 스위치, 릴레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위상가변부(104)의 동작을 정리한 표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의 위상가변부(104)의 동작은 Δ-Y 결선 변압기에서 선간전압이 상전압보다 30°위상이 앞서는 원리를 적용한 것이다.
구체적인 동작은 도 1의 제어부(107)가 0°위상각 가변시 상기 제3 스위칭부(F3)로 온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고, 30°위상각 가변시 상기 제1 스위칭부(PX)와 상기 제3 스위칭부(F1)로 온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고, 60°위상각 가변시 상기 제2 스위칭부(SX)와 제5 스위칭부(F3)로 온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고, 90°위상각 가변시 상기 제1 스위칭부(PX)와 제2 스위칭부(SX) 및 제5 스위칭부(F3)로 온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고, 120°위상각 가변시 상기 제5 스위칭부(F3)로 온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고, 150°위상각 가변시 상기 제1 스위칭부(PX)와 제5 스위칭부(F3)로 온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고, 180°위상각 가변시 제2 스위칭부(SX)와 제4 스위칭부(F2)로 온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고, 210°위상각 가변시 제1 스위칭부(PX)와 제2 스위칭부(SX) 및 제4 스위칭부(F2)로 온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고, 240°위상각 가변시 제4 스위칭부(F2)로 온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고, 270°위상각 가변시 제1 스위칭부(PX)와 제4 스위칭부(F2)로 온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고, 300°위상각 가변시 제2 스위칭부(SX)와 제3 스위칭부(F1)로 온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고, 330°위상각 가변시 제1 스위칭부(PX)와 제2 스위칭부(SX) 및 제3 스위칭부(F1)로 온 신호가 인가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조작용 셀렉터 스위치를 구비한 사용자 조작 패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3상 회로 시험기는 0°, 30°, 60°, 90°, 120°, 150°, 180°, 210°, 240°, 270°, 300°, 330°의 12개의 위상각 선택 모드를 가지고 상기 제어부의 위상각 가변 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용 셀렉터 스위치를 더 구비한 것이다.
상기 셀렉터 스위치는 제1 ~ 제N 단자(단자별로 2 포트(제1 포트와 제2 포트로 구성됨)를 지원함)를 이용해 제1 접속 경로 ~ 제12 접속 경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셀렉터 스위치는 0°위상각 선택 모드시 상기 제3 스위칭부로 온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는 제1 접속 경로(예를 들어, 0°위상각 선택 모드시 제1 단자의 제1 포트와 제2 포트를 접촉시켜 제3 스위칭부로 온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고)와, 30°위상각 선택 모드시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상기 제3 스위칭부로 온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는 제2 접속 경로와, 60°위상각 선택 모드시 상기 제2 스위칭부와 제5 스위칭부로 온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는 제3 접속 경로와, 90°위상각 선택 모드시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제2 스위칭부 및 제5 스위칭부로 온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는 제4 접속 경로와, 120°위상각 선택 모드시 상기 제5 스위칭부로 온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는 제5 접속 경로와, 150°위상각 선택 모드시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제5 스위칭부로 온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는 제6 접속 경로와, 180°위상각 선택 모드시 제2 스위칭부와 제4 스위칭부로 온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는 제7 접속 경로와, 210°위상각 선택 모드시 제1 스위칭부와 제2 스위칭부 및 제4 스위칭부로 온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는 제8 접속 경로와, 240°위상각 선택 모드시 제4 스위칭부로 온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는 제9 접속 경로와, 270°위상각 선택 모드시 제1 스위칭부와 제4 스위칭부로 온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는 제10 접속 경로와, 300°위상각 선택 모드시 제2 스위칭부와 제3 스위칭부로 온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는 제11 접속 경로와, 330°위상각 선택 모드시 제1 스위칭부와 제2 스위칭부 및 제3 스위칭부로 온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는 제12 접속 경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접속 경로 ~ 제12 접속 경로는 제어부와 연결되며, 제어부는 접속된 경로에 따라 위상가변부의 스위칭시킬 특정 접점으로 제어 신호를 보내어 위상각을 가변시키게 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제2 접속 경로와 연결된 경우,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상기 제3 스위칭부로 온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여 30°로 위상각을 가변시키게 된다.
그렇게 하여, 시험기의 위상가변이 가능해져 수배전반의 위상제어가 필요한 장비에 대해서도 성능을 측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전원공급부 102 : 전압가변부
103 : 변압기 104 : 위상 가변부
105 : 전류 발생부 106 : 출력 계측부
107 : 제어부

Claims (3)

  1. 전압, 전류 가변을 위한 교류 3상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공급된 교류 3상 전원전압의 크기를 피시험기기의 성능 측정 대상에 따라 조정하는 전압가변부;
    상기 전압가변부로부터 조정된 전압을 일정 전압 크기로 승압하는 변압기;
    상기 변압기의 1차와 2차의 상결선과 벡터 상변위에 따라 상기 변압기 출력전압을 위상 가변시키되, 0°~ 330°의 위상 가변 범위에 30°의 위상각 공차를 둔 12개의 위상각(0°, 30°, 60°, 90°, 120°, 150°, 180°, 210°, 240°, 270°, 300°, 330°) 중에서 입력 제어 신호에 따라 어느 하나의 특정 위상각으로 가변시켜 피시험기기로 전달하는 위상가변부;
    상기 피시험기기의 성능 시험 측정용 전류를 발생하여 상기 피시험기기로 전달하는 전류 발생부;
    상기 피시험기기에 전달되는 전압, 전류를 계측하는 출력 계측부; 및
    상기 위상가변부에서 출력된 전압의 가변 동작을 제어하거나 상기 전류발생부에서 출력된 전류의 가변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위상가변부의 위상 가변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3상 회로 시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압기는
    제1, 2, 3 트랜스포머를 구비하고,
    상기 위상가변부는
    상기 변압기의 제1 트랜스포머 1차 측에 연결된 제1, 2접점을 가진 제1 스위칭 모듈과 상기 제2 트랜스포머 1차 측에 연결된 제1, 2 접점을 가진 제2 스위칭 모듈, 상기 제3 트랜스포머 1차 측에 연결된 제1, 2 접점을 가진 제3 스위칭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제1, 2, 3 스위칭 모듈의 제1 접점 상호 간은 동일 신호 라인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2, 3 스위칭 모듈의 제2 접점은 각기 다른 신호라인으로 연결되어 분리된 제1 스위칭부;
    상기 변압기의 제1 트랜스포머 2차 측의 일끝단에 제1 접점이 연결되고 상기 제3 트랜스포머 2차 측의 일끝단에 제2 접점이 연결된 제4 스위칭 모듈, 상기 제2 트랜스포머 2차 측의 일끝단에 제1 접점이 연결되고 상기 제1 트랜스포머 2차 측의 타끝단에 제2 접점이 연결된 제5 스위칭 모듈, 상기 제3 트랜스포머 2차 측의 타끝단에 제1 접점이 연결되고 상기 제2 트랜스포머 2차 측의 타끝단에 제2 접점이 연결된 제6 스위칭 모듈을 구비한 제2 스위칭부;
    상기 제2 스위칭부의 제4 스위칭 모듈의 제1, 2 접점과 각기 연결되는 제7 스위칭 모듈과 상기 제5 스위칭 모듈의 제1, 2 접점과 연결되는 제8 스위칭 모듈, 상기 제6 스위칭 모듈의 제1, 2 접점과 연결되는 제9 스위칭 모듈을 구비한 제3 스위칭부;
    상기 제2 스위칭부의 제5 스위칭 모듈의 제1, 2 접점과 상기 제8 스위칭 모듈 사이의 신호 라인에 연결된 제10 스위칭 모듈과 상기 제6 스위칭 모듈의 제1, 2접점과 상기 제9 스위칭 모듈 사이의 신호 라인 일단에 연결된 제11 스위칭 모듈, 상기 제4 스위칭 모듈의 제1, 2접점과 상기 제7 스위칭 모듈 사이의 신호 라인 일단에 연결된 제12 스위칭 모듈을 구비한 제4 스위칭부; 및
    상기 제6 스위칭 모듈의 제1, 2접점과 상기 제9 스위칭 모듈 및 상기 제11 스위칭 모듈 사이의 신호 라인 일단에 연결된 제13 스위칭 모듈과 상기 제4 스위칭 모듈의 제1, 2접점과 상기 제7 스위칭 모듈 및 상기 제12 스위칭 모듈 사이의 신호 라인 일단에 연결된 제14 스위칭 모듈, 상기 제5 스위칭 모듈의 제1, 2접점과 제8 스위칭 모듈 사이의 신호 라인 일단에 연결된 제15 스위칭 모듈을 구비한 제5 스위칭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0°위상각 가변시 상기 제3 스위칭부로 온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고, 30°위상각 가변시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상기 제3 스위칭부로 온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고, 60°위상각 가변시 상기 제2 스위칭부와 제5 스위칭부로 온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고, 90°위상각 가변시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제2 스위칭부 및 제5 스위칭부로 온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고, 120°위상각 가변시 상기 제5 스위칭부로 온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고, 150°위상각 가변시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제5 스위칭부로 온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고, 180°위상각 가변시 제2 스위칭부와 제4 스위칭부로 온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고, 210°위상각 가변시 제1 스위칭부와 제2 스위칭부 및 제4 스위칭부로 온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고, 240°위상각 가변시 제4 스위칭부로 온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고, 270°위상각 가변시 제1 스위칭부와 제4 스위칭부로 온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고, 300°위상각 가변시 제2 스위칭부와 제3 스위칭부로 온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고, 330°위상각 가변시 제1 스위칭부와 제2 스위칭부 및 제3 스위칭부로 온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상 회로 시험기.
  3. 제 2 항에 있어서,
    0°, 30°, 60°, 90°, 120°, 150°, 180°, 210°, 240°, 270°, 300°, 330°의 12개의 위상각 선택 모드를 가지고 상기 제어부의 위상각 가변 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용 셀렉터 스위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셀렉터 스위치는
    0°위상각 선택 모드시 상기 제3 스위칭부로 온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는 제1 접속 경로와, 30°위상각 선택 모드시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상기 제3 스위칭부로 온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는 제2 접속 경로와, 60°위상각 선택 모드시 상기 제2 스위칭부와 제5 스위칭부로 온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는 제3 접속 경로와, 90°위상각 선택 모드시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제2 스위칭부 및 제5 스위칭부로 온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는 제4 접속 경로와, 120°위상각 선택 모드시 상기 제5 스위칭부로 온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는 제5 접속 경로와, 150°위상각 선택 모드시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제5 스위칭부로 온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는 제6 접속 경로와, 180°위상각 선택 모드시 제2 스위칭부와 제4 스위칭부로 온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는 제7 접속 경로와, 210°위상각 선택 모드시 제1 스위칭부와 제2 스위칭부 및 제4 스위칭부로 온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는 제8 접속 경로와, 240°위상각 선택 모드시 제4 스위칭부로 온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는 제9 접속 경로와, 270°위상각 선택 모드시 제1 스위칭부와 제4 스위칭부로 온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는 제10 접속 경로와, 300°위상각 선택 모드시 제2 스위칭부와 제3 스위칭부로 온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는 제11 접속 경로와, 330°위상각 선택 모드시 제1 스위칭부와 제2 스위칭부 및 제3 스위칭부로 온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는 제12 접속 경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상 회로 시험기.



KR1020130120729A 2013-10-10 2013-10-10 3상 회로 시험기 KR101364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0729A KR101364239B1 (ko) 2013-10-10 2013-10-10 3상 회로 시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0729A KR101364239B1 (ko) 2013-10-10 2013-10-10 3상 회로 시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4239B1 true KR101364239B1 (ko) 2014-02-17

Family

ID=50271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0729A KR101364239B1 (ko) 2013-10-10 2013-10-10 3상 회로 시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42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9121A (ko) * 2014-12-30 2016-08-22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변압기의 결선 실험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4936A (ko) * 2007-11-01 2009-05-0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교류 및 직류 계측 기능을 가지는 복합 계측 장치
KR20100117893A (ko) * 2009-04-27 2010-11-04 주식회사 신양산전 배전반 전류 감시 장치
KR101003814B1 (ko) 2010-10-05 2010-12-23 가보 주식회사 전기적회로 이상감지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및 그 제어방법
JP2011155749A (ja) 2010-01-26 2011-08-11 East Japan Railway Co 配電盤内電路試験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4936A (ko) * 2007-11-01 2009-05-0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교류 및 직류 계측 기능을 가지는 복합 계측 장치
KR20100117893A (ko) * 2009-04-27 2010-11-04 주식회사 신양산전 배전반 전류 감시 장치
JP2011155749A (ja) 2010-01-26 2011-08-11 East Japan Railway Co 配電盤内電路試験装置
KR101003814B1 (ko) 2010-10-05 2010-12-23 가보 주식회사 전기적회로 이상감지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9121A (ko) * 2014-12-30 2016-08-22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변압기의 결선 실험 장치
KR101654644B1 (ko) 2014-12-30 2016-09-08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변압기의 결선 실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67048B2 (ja) 変流器のレシオ比及び極性判定方法、並びにその装置
CN104793028A (zh) 一种三相多功能试验电源装置及其试验方法
CN105116181A (zh) 电压阶跃装置及矿用直流电源检测装置
CN103760441A (zh) 一种配电箱多功能调试台
KR101364239B1 (ko) 3상 회로 시험기
US20140009127A1 (en) Static var compensator
CA2985127C (en) Switch apparatus, test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 switch apparatus for a measuring device for a transformer
RU2670143C1 (ru) Стенд для обучения и повышения квалификации электротехнического и электротехнологического персонала
US20120313655A1 (en) Electrical test equipment having switchable intermediate-voltage line- leakage and run test power source
CN110703146A (zh) 励磁涌流测量仪
CN101493479A (zh) 电流生成电路及方法、电能表校验仪
CN102707117A (zh) 继电保护多功能试验仪
CN204330904U (zh) 一种变频器测试装置
CN101267164A (zh) 一种交流电压瞬变装置
CN203838295U (zh) 一种测量耐压和泄漏电流的电气治具
KR101654644B1 (ko) 변압기의 결선 실험 장치
JP2009058235A (ja) 電路及び電気機器の漏れ電流測定装置及び方法
KR101614255B1 (ko) 복수 개 피더의 전류 흐름 감시 장치 및 이를 적용한 배전반
CN109959824A (zh) 一种电缆电阻在线测试电路
CN218675206U (zh) 一种辅机控制板单板测试台
JP2014180173A (ja) エンジン発電機
KR200496233Y1 (ko) 차단기 시험용 멀티 인터페이스 모듈
JP7064949B2 (ja) キュービクルのモニタ装置
JP3732864B2 (ja) 系統保護装置試験装置
CN108508244A (zh) 一种大电流发生装置及其大电流产生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