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9121A - 변압기의 결선 실험 장치 - Google Patents

변압기의 결선 실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9121A
KR20160099121A KR1020140193235A KR20140193235A KR20160099121A KR 20160099121 A KR20160099121 A KR 20160099121A KR 1020140193235 A KR1020140193235 A KR 1020140193235A KR 20140193235 A KR20140193235 A KR 20140193235A KR 20160099121 A KR20160099121 A KR 201600991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ormer
voltage
terminal
primary
p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3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4644B1 (ko
Inventor
서정민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93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4644B1/ko
Publication of KR20160099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9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4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4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8Testing of lines, cables or condu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8Testing of lines, cables or conductors
    • G01R31/59Testing of lines, cables or conductors while the cable continuously passes the testing apparatus, e.g. during manufac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압기의 결선 실험 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변압기가 구비되는 본체; 본체의 일면에 형성된 테스트 보드; 변압기의 1차측 권선 및 2차측 권선에 결선용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테스트 보드에 마련된 변압기 단자부; 변압기와 전기적으로 이격되도록 본체에 배치된 3상 라인부; 및 3상 라인의 각각에 결선용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테스트 보드에 마련된 연결단자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 내에 구비된 3대의 단상 변압기와 3상 라인부가 전기적으로 이격되어 다양한 결선 실험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변압기의 결선 실험 장치{TEST DEVICE FOR WIRING ELECTRIC GENERATOR}
본 발명은 변압기의 결선 실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3개의 단상 변압기 간 다양한 결선을 실험하여 결선의 형태마다 선전압의 측정 및 각변위를 시험할 수 있는 변압기의 결선 실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변압기 간 뱅크 결선이나 복수의 변압기를 병렬운전 하게 되는 경우, 변압기의 극성 및 각변위 시험이 요구된다. 3상 변압기에서 각 권선 전압간의 결선과 위상각 측정은 각변위(Angular Displacement)와 상순(phase sequence)을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단상 변압기 3대로 3상 결선된 것을 병렬 운전할 때에는 단상 변압기의 병렬운전 조건인 극성(Polarity)과 상회전(Phase Rotation) 또는 위상의 변위(Phase Deviation)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 변압기의 극성과 위상의 변위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각 변압기 사이에 큰 순환전류가 흘러 권선을 소손시킬 수 있고, 나아가 발전기가 정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변압기의 극성과 위상의 변위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변압기의 극성 및 각변위를 실험하게 된다. 변압기의 극성은 감극성이어야 하며, 각변위 시험은 벡터도를 작성하여 고-저압간 측정 단자 사이의 전압을 스칼라(scalar)량으로 비교하여야 한다.
종래에는 복수의 변압기를 병렬운전하거나 변압기간 결선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변경되는 결선에 따른 변압기의 극성 및 각변위를 시험하기 위한 장비가 존재하지 않았다. 따라서, 현장 실무자는 변압기의 극성 및 각변위를 측정하기 위하여 관련회로를 분리하거나 조립해야 한다. 이 경우, 결선 방법을 바꿈으로써 각 상간 전압의 크기와 위상변화에 불균형이 발생할 수 있다.
현장 실무자에게는 변압기의 올바른 유지관리를 위해서 기본적인 위상의 개념이해 및 각변위 시험을 위한 이론적 지식의 습득이 요구된다. 따라서, 현장 실무자로 하여금 각변위의 특성 이해를 증진시키고, 변압기의 다양한 결선으로 인한 인적실수 방지를 위해 실습 교육훈련을 할 수 있는 변압기의 결선 실험 장치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5-0051838호
본 발명은 복수의 변압기 간 다양한 결선을 실험할 수 있고, 결선에 따른 변압기의 선간전압과 각변위를 파악할 수 있는 결선 실험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변압기의 결선 실험 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변압기가 구비되는 본체; 본체의 일면에 형성된 테스트 보드; 변압기의 1차측 권선 및 2차측 권선에 결선용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테스트 보드에 마련된 변압기 단자부; 변압기와 전기적으로 이격되도록 본체에 배치된 3상 라인부; 및 3상 라인의 각각에 결선용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테스트 보드에 마련된 연결단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체 내에 구비되는 변압기는 3개일 수 있다. 이 경우, 3대의 변압기는 단상 변압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변압기 단자부 및 연결단자부는 테스트 보드 상에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변압기 단자부는 변압기의 1차측 권선의 양 단부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 1차측 입력단자; 변압기의 2차측 권선의 양 단부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 2차측 입력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3상 라인부는 전압이 인가되는 1차측 3상 라인; 및 인가된 전압이 변압되어 출력되는 2차측 3상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연결단자부는 1차측 3상 라인의 각각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차측 연결단자; 및 제2차측 3상 라인의 각각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2차측 연결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1차측 연결단자와 2차측 연결단자 간 전압을 측정하는 결선전압 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3상 라인부의 전압을 측정하는 테스트전압 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테스트전압 측정부는 1차측 3상 라인으로 인가되는 전압을 측정하는 입력 전압계; 및 2차측 3상 라인으로 출력되는 전압을 측정하는 출력 전압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 내에 구비된 3대의 단상 변압기와 3상 라인부가 전기적으로 이격되어 다양한 결선 실험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장 실무자가 3대의 단상 변압기의 다양한 결선 별 선간 전압을 확인하여 극성 및 각변위를 학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3상 라인부가 변압기와 전기적으로 이격되기 때문에 1차측 연결단자와 2차측 연결단자에 다른 변압기의 연결이 가능하여 피시험 변압기 간 결선 실험 및 선전압을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a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 결선 실험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테스트 보드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 결선 실험 장치의 결전전압 측정부가 연결되는 회로도를 도시한 모습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 결선 실험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 결선 실험 장치를 제작한 제품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 결선 실험 장치에 결선용 케이블을 연결하여 실험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예시적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 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 결선 실험 장치(1)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테스트 보드(20)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변압기의 결선 실험 장치(1)는 복수의 변압기(101, 103, 105)를 구비하는 본체(10), 테스트 보드(20), 변압기 단자부(30), 3상 라인부(40), 연결단자부(60), 테스트전압 측정부(81) 및 결선전압 측정부(83)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에는 결선 테스트의 대상이 되는 3대의 변압기(101, 103, 105)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로 3대의 변압기(101, 103, 105)는 단상 변압기일 수 있다. 변압기(101, 103, 105)의 1차측 및 2차측에는 소정의 변압 비율에 따라 서로 다른 횟수로 코일이 감겨질 수 있다.
일례로 1차측이 2차측보다 많은 횟수의 코일이 감겨진 경우 1차측 권선은 고압권선, 2차측 권선은 저압권선이 될 수 있다. 3대의 변압기(101, 103, 105)는 2차측에 감겨지는 코일의 권선 방향이 동일하게 설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3대의 변압기(101, 103, 105)는 1차측과 2차측의 방향이 상호 통일되도록 본체(10)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차측 권선은 1차측 입력단자(30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2차측 권선은 2차측 입력단자(303)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1차측 입력단자(301)와 2차측 입력단자(303)는 테스트 보드(20)에 노출되어 외부의 결선 케이블과 연결될 수 있다.
변압기 단자부(30)는 변압기(101, 103, 105)의 1차측 권선 및 2차측 권선에 결선용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테스트 보드(20)에 마련된다. 결선용 케이블은 변압기의 단자와 단자를 연결하거나, 변압기의 단자와 3상 라인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변압기 단자부(30)는 변압기(101, 103, 105)의 1차측 권선의 양 단부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 1차측 입력단자(301)를 포함할 수 있다. 변압기 단자부(30)는 변압기(101, 103, 105)의 2차측 권선의 양 단부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 2차측 입력단자(303)를 포함할 수 있다. 1차측 입력단자(301) 및 2차측 입력단자(303)는 테스트 보드(20)상에 노출될 수 있다.
3상 라인부(40)는 전압이 인가되는 1차측 3상 라인(401) 및 인가된 전압이 변압되어 출력되는 2차측 3상 라인(403)을 포함할 수 있다. 3상 라인부(40)는 변압기(101, 103, 105)와 전기적으로 이격되도록 본체(10)에 배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변압기에서 사용되는 3상 라인은, 3상 교류전압을 발생하는 발전기로부터 입력되는 1차 전압이 인가되는 선단자를 U단자, V단자, W단자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1차 전압이 변압되어 2차 전압이 출력되는 선단자는 u단자, v단자, w단자로 구분할 수 있다.
1차측 3상 라인(401)은 U단자, V단자, W단자의 라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2차측 3상 라인(403)은 u단자, v단자, w단자의 라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1차측 3상 라인(401)은 본체(10) 내에 2차측 3상 라인(403)과 전기적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연결단자부(60)는 1차측 3상 라인(401)의 각각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1차측 연결단자(601); 및 2차측 3상 라인(403)의 각각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2차측 연결단자(603)를 포함할 수 있다. 1차측 연결단자(601)는 1차측 3상 라인(401)의 U단자, V단자, W단자 라인과 각각 대응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2차측 연결단자(603)는 2차측 3상 라인(403)의 u단자, v단자, w단자 라인과 각각 대응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1차측 연결단자(601) 및 2차측 연결단자(603)는 테스트 보드(20) 상에 노출될 수 있다. 결선 실험을 위한 본 발명의 특성상 1차측 연결단자(601) 및 2차측 연결단자(603)는 전기적으로 개방(Open)되어있다. 결선 실험을 수행하는 실무자는 1차측 연결단자(601) 및 2차측 연결단자(603)와 변압기(101, 103, 105)를 결선 케이블로 연결함으로써 1차측 3상 라인(401)에 인가되는 전압이 변압되어 2차측 3상 라인(403)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테스트 보드(20)는 본체(1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테스트 보드(20)에는 변압기 단자부(30) 및 연결단자부(60)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변압기 단자부(30) 및 연결단자부(60)는 테스트 보드(20) 상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 1차측 연결단자(601) 및 2차측 연결단자(603)는 테스트 보드(20) 상에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1차측 연결단자(601)와 2차측 연결단자(603) 사이에는 변압기 단자부(30)가 배치될 수 있다.
현장 실무자는 변압기 단자부(30) 및 연결단자부(60)에 별도의 결선용 케이블을 연결하여 변압기(101, 103, 105)의 결선 형태를 실험할 수 있다. 테스트 보드(20)에는 테스트전압 측정부(81) 및 결선전압 측정부(83)에서 측정된 전압값을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테스트전압 측정부(81)는 3상 라인부(60)의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테스트전압 측정부(81)는 1차측 3상 라인(401)으로 인가되는 전압을 측정하는 입력 전압계(811)를 구비할 수 있다. 테스트 전압 측정부(81)는 2차측 3상 라인(403)으로 출력되는 전압을 측정하는 출력 전압계(813)를 구비할 수 있다.
입력 전압계(811)는 1차측 3상 라인(401)의 U단자, V단자, W단자의 선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입력 전압계(811)는 U-V 단자 라인의 선전압, V-W 단자 라인의 선전압, W-V 단자 라인의 선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출력 전압계(813)는 2차측 3상 라인(401)의 u단자, v단자, w단자의 선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출력 전압계(813)는 u-v 단자 라인의 선전압, v-w 단자 라인의 선전압, w-v 단자 라인의 선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3상 절환 스위치(815)는 입력 전압계(811) 및 출력 전압계(813)의 U, V, W 단자 라인 또는 u, v, w단자 라인 중 측정되는 라인을 스위칭할 수 있다.
입력 전압계(811)에서 측정되는 1차 전압은 테스트 시험을 위하여 인가된 전압으로 이해될 수 있다. 출력 전압계(811)에서 측정되는 전압은 실무자가 결선 케이블을 이용하여 변압기(101, 103, 105)와 3상 라인부(60)의 결선이 완료된 후, 인가된 1차 전압이 변압되어 출력되는 전압으로 이해될 수 있다. 입력 전압계(811) 및 출력 전압계(813)의 전압은 테스트 보드(20) 상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결선전압 측정부(83)는 1차측 연결단자(601)와 2차측 연결단자(603) 간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로, 결선전압 측정부(83)는 V-v 단자 라인, V-w 단자 라인, W-w 단자 라인의 선전압을 측정하는 전압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결선전압 측정부(83)에서 측정된 선전압은 테스트 보드(20)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변압기의 결선 실험을 수행하는 실무자는 테스트 보드(20)에서 총 6개의 전압계를 한번에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 결선 실험 장치의 결전전압 측정부(83)가 연결된 회로도를 도시한 모습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 결선 실험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다. 테스트 보드(20) 상에는 변압기 결선 실험 장치(1)를 온오프하는 스위치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 결선 실험 장치를 제작한 제품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 결선 실험 장치에 결선용 케이블을 연결하여 실험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변압기의 극성을 시험하는 실험례는 다음과 같다.
실험례1
변압기(101)의 1차측 입력단자(301)를 결선 케이블을 이용하여 Common 연결한다. 1차측 입력단자(301) 중 하나는 1차측 연결단자(601) 중 U 단자에 연결한다. 1차측 입력단자(301) 중 나머지 하나는 1차측 연결단자(601) 중 V 단자에 연결한다.
변압기(101)의 2차측 입력단자(303) 중 하나를 2차측 연결단자(603) 중 u 단자에 연결한다. 2차측 입력단자(303) 중 나머지 하나는 2차측 연결단자(603) 중 v 단자에 연결한다. 이후, 테스트 전압을 인가하여 입력 전압, 출력 전압, 선간 전압을 측정 기록한다. 측정 기록된 전압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1) 결선전압 측정부(83)에서 측정된 V-v 단자의 선전압값: 112[V]
2) 입력 전압계(811)의 측정값: 224[V]
3) 출력 전압계(813)의 측정값: 112[V]
상기 전압 값의 해석은 다음과 같이 할 수 있다. 결선전압 측정부(83)에서 측정된 V-v 단자의 선전압값이 입력 전압계(811)의 측정값과 출력 전압계(813)의 측정값의 차이값에 해당한다면 변압기(103)는 감극성(Subtractive Polarity)이다. 결선전압 측정부(83)에서 측정된 V-v 단자의 선전압값이 입력 전압계(811)의 측정값과 출력 전압계(813)의 측정값의 합에 해당한다면 변압기(103)는 가극성(Additive)이다.
변압기의 각변위를 시험하는 실험례는 다음과 같다.
실험례2
Figure pat00001
각 변위는 시계방향으로 뒤진 것을 (-)로 간주하므로, 상기 그림에서 △-Y 결선의 각 변위는 ??30ㅀ이다. 상기의 경우, 각변위 시험방법의 일례를 벡터도(Dy11)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02
실험과정을 설명하면 1차측 입력단자(H1, H2)와 2차측 입력단자(X1, X2)를 결선 케이블을 이용하여 하기의 회로도와 같이 연결한다.
Figure pat00003
1차측 연결단자(601)의 U 단자와 2차측 연결단자(603)의 u 단자를 결선 케이블을 이용하여 Common 연결한다. 제1 변압기(101)의 1차측 입력단자 H1과 제3 변압기(105)의 1차측 입력단자 H2를 결선 케이블을 이용하여 Common 연결한다. 제1 변압기(101) 및 제3 변압기(105)의 H1과 H2를 Common 연결한 단자는 1차측 연결단자(601)의 U단자에 연결한다.
제2 변압기(103)의 1차측 입력단자 H1과 제1 변압기(101)의 1차측 입력단자 H2를 결선 케이블을 이용하여 Common 연결한다. 제1 변압기(101) 및 제2 변압기(103)의 H1과 H2를 Common 연결한 단자는 1차측 연결단자(601)의 V 단자에 연결한다.
제3 변압기(105)의 1차측 입력단자 H1과 제2 변압기(103)의 1차측 입력단자 H2를 결선 케이블을 이용하여 Common 연결한다. 제3 변압기(105) 및 제2 변압기(103)의 H1과 H2를 Common 연결한 단자는 1차측 연결단자(601)의 W 단자에 연결한다. 제1 변압기(101), 제2 변압기(103), 제3 변압기(105) 각각의 2차측 입력 단자는 Common 연결한다.
제1 변압기(101)의 2차측 입력단자 X1 단자를 2차측 연결단자(601)의 u 단자에 연결한다. 제2 변압기(103)의 2차측 입력단자 X1 단자를 2차측 연결단자(601)의 v 단자에 연결한다. 제3 변압기(105)의 2차측 입력단자 X1 단자를 2차측 연결단자(601)의 w 단자에 연결한다.
상기의 결선이 완료된 후 측정된 전압은 다음과 같이 해석할 수 있다.
V-v 선전압의 크기와 V-w 선전압의 크기와 W-w 선전압의 크기가 모두 동일하고, W-v 선전압의 크기가 V-v 선전압의 크기보다 클 경우 Dy11 결선은 감극성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의 결선 실험 장치(1)는 테스트전압 측정부(81) 및 결선전압 측정부(83)에서 측정된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와 같은 원리로 위상을 분석하는 전력분석기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1: 변압기의 결선 실험 장치 10: 본체
101, 103, 105: 변압기 20: 테스트 보드
30: 변압기 단자부 301: 1차측 입력단자
303: 2차측 입력단자 40: 3상 라인부
401: 1차측 3상 라인 403: 2차측 3상 라인
60: 연결단자부 601: 1차측 연결단자
603: 2차측 연결단자 81: 테스트전압 측정부
811: 입력 전압계 813: 출력 전압계
815: 3상 절환 스위치 83: 결선전압 측정부

Claims (10)

  1. 하나 이상의 변압기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면에 형성된 테스트 보드;
    상기 변압기의 1차측 권선 및 2차측 권선에 결선용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테스트 보드에 마련된 변압기 단자부;
    상기 변압기와 전기적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본체에 배치된 3상 라인부; 및
    상기 3상 라인의 각각에 결선용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테스트 보드에 마련된 연결단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의 결선 실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에 구비되는 변압기는 3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의 결선 실험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에 구비되는 변압기는 단상 변압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의 결선 실험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압기 단자부 및 상기 연결단자부는 상기 테스트 보드 상에 이격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의 결선 실험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압기 단자부는 상기 변압기의 1차측 권선의 양 단부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 1차측 입력단자;
    상기 변압기의 2차측 권선의 양 단부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 2차측 입력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의 결선 실험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상 라인부는 전압이 인가되는 1차측 3상 라인; 및
    인가된 전압이 변압되어 출력되는 2차측 3상 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의 결선 실험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자부는 상기 1차측 3상 라인의 각각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1차측 연결단자; 및
    상기 2차측 3상 라인의 각각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2차측 연결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의 결선 실험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1차측 연결단자와 상기 2차측 연결단자 간 전압을 측정하는 결선전압 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의 결선 실험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3상 라인부의 전압을 측정하는 테스트전압 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의 결선 실험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전압 측정부는 상기 1차측 3상 라인으로 인가되는 전압을 측정하는 입력 전압계; 및 상기 2차측 3상 라인으로 출력되는 전압을 측정하는 출력 전압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의 결선 실험 장치.
KR1020140193235A 2014-12-30 2014-12-30 변압기의 결선 실험 장치 KR101654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3235A KR101654644B1 (ko) 2014-12-30 2014-12-30 변압기의 결선 실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3235A KR101654644B1 (ko) 2014-12-30 2014-12-30 변압기의 결선 실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9121A true KR20160099121A (ko) 2016-08-22
KR101654644B1 KR101654644B1 (ko) 2016-09-08

Family

ID=56854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3235A KR101654644B1 (ko) 2014-12-30 2014-12-30 변압기의 결선 실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46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7640A (ko) * 2016-12-29 2018-07-09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변전설비 전력제어 실습장치
KR102025533B1 (ko) * 2018-07-18 2019-09-26 한국전력공사 변압기의 고장유형 자동 판별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8564A (ko) * 1995-11-28 1997-06-24 엄길용 트랜스포머 전모델 시험장치 및 시험 방법
KR20050051838A (ko) 2003-11-28 2005-06-02 홍광주 전력손실을 줄이기 위한 3상 변압기의 2차측 코일의 결선방법 및 결선구조
KR101364239B1 (ko) * 2013-10-10 2014-02-17 주식회사 대양일렉콤 3상 회로 시험기
KR101445087B1 (ko) * 2013-05-01 2014-10-02 한국전기연구원 Lvrt 시험을 위한 순간전압저하 발생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8564A (ko) * 1995-11-28 1997-06-24 엄길용 트랜스포머 전모델 시험장치 및 시험 방법
KR20050051838A (ko) 2003-11-28 2005-06-02 홍광주 전력손실을 줄이기 위한 3상 변압기의 2차측 코일의 결선방법 및 결선구조
KR101445087B1 (ko) * 2013-05-01 2014-10-02 한국전기연구원 Lvrt 시험을 위한 순간전압저하 발생 장치
KR101364239B1 (ko) * 2013-10-10 2014-02-17 주식회사 대양일렉콤 3상 회로 시험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7640A (ko) * 2016-12-29 2018-07-09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변전설비 전력제어 실습장치
KR102025533B1 (ko) * 2018-07-18 2019-09-26 한국전력공사 변압기의 고장유형 자동 판별 장치
WO2020017693A1 (ko) * 2018-07-18 2020-01-23 한국전력공사 변압기의 고장유형 자동 판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4644B1 (ko) 2016-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67048B2 (ja) 変流器のレシオ比及び極性判定方法、並びにその装置
JP6373019B2 (ja) 模擬電力供給装置及び正常計量確認装置
CN104297532B (zh) 电压互感器检定用接线装置
JP3208336U (ja) 校正試験装置
KR101654644B1 (ko) 변압기의 결선 실험 장치
CN109283421B (zh) 一种铁路牵引变电所低电压通电检测试验方法及装置
RU2670143C1 (ru) Стенд для обучения и повышения квалификации электротехнического и электротехнологического персонала
CN107912059A (zh) 开关装置、测试装置及变压器测量装置的开关装置操作方法
CN104007294B (zh) 架空线路参数测量接线装置
CN203849294U (zh) 架空线路参数测量接线装置
CN104155627B (zh) 一种特高压电容式电压互感器的误差特性检测方法
CN103743994A (zh) 低压带负荷测试方法及装置
JP6300881B1 (ja) 校正試験装置
CN103176048B (zh) 一种快速测量变压器三角形接线方式绕组直流电阻的方法
JP5679480B2 (ja) 間接交流メガー測定器および絶縁抵抗測定方法
GB2444850A (en) An apparatus for assisting measurement of the resistances of LV ring main circuits
CN103778829A (zh) 电能计量互感器二次压降及负荷测试培训系统
CN210742369U (zh) 一种工作电压测试装置的测试电路及装置
CN106501750A (zh) 一种电压互感器现场误差检测二次接线装置
JPH0143653Y2 (ko)
CN104931740B (zh) 用于零磁通ct二次电子模块试验接线的快速转换装置
KR20220049774A (ko) 변압기 결선 장치
CN205643676U (zh) 一种互感器二次端子短接系统
CN218974562U (zh) 同名端检测系统
CN116482581B (zh) 一种变电站电压互感器开口三角电压二次回路测试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