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4083B1 - 다중 인스턴스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다중 인스턴스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4083B1
KR101364083B1 KR1020120065781A KR20120065781A KR101364083B1 KR 101364083 B1 KR101364083 B1 KR 101364083B1 KR 1020120065781 A KR1020120065781 A KR 1020120065781A KR 20120065781 A KR20120065781 A KR 20120065781A KR 101364083 B1 KR101364083 B1 KR 101364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tance
content
identifier
information
user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5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42507A (ko
Inventor
박부식
신대교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65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4083B1/ko
Publication of KR20130142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2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4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4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35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involving non-standard use of addresses for implementing network functionalities, e.g. coding subscription information within the address or functional addressing, i.e. assigning an address to a fun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4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 H04L61/450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using standardised directories; using standardised directory access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22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located in transportation means, e.g. personal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제어 장치가 MOST(Media Oriented System Transport) 네트워크의 다중 인스턴스를 제어 방법으로서, 복수 인스턴스 장치가 연결된 상기 MOST 네트워크를 스캔하여, 각 인스턴스 장치의 콘텐트 정보를 포함하는 인스턴스 장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복수 인스턴스 장치의 인스턴스 장치 정보를 콘텐트 기반으로 정렬하여 콘텐트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콘텐트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콘텐트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인스턴스 장치는 인스턴스 식별자로 구분된 기능블록이 구현된 장치이다.

Description

다중 인스턴스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MULTIPLE INSTANCES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다중 인스턴스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MOST(Media Oriented System Transport)는 자동차의 멀티미디어 장치를 위한 통신 프로토콜이다. 유럽의 주요 자동차 제조사와 유관 기업들은 MOST 협력기구(Cooperation)를 설립하고, POF(Plastic Optical Fiber)를 통신 매체로 사용하는 링 형태의 망구조를 개발하였다. 현재 주요 자동차 제조사들은 MOST 방식의 멀티미디어 통신 프로토콜을 적용한 다양한 차량을 출시하고 있다.
MOST 프로토콜은 멀티미디어 기능을 기능블록(Function Block)으로 표준화하여 MOST 장치 사이의 호환성을 유지한다. 그리고, MOST 프로토콜은 같은 링망에 존재하는 동일한 기능블록을 구분하기 위해 인스턴스 식별자(Instance Identifier, InstID)를 이용한다. 예를 들면, 앞좌석의 DVD 플레이어와 뒷좌석의 DVD 플레이어는 같은 기능블록을 가지지만, 각 DVD 플레이어에 다른 인스턴스가 부여되어 각 DVD 플레이어를 구분할 수 있다.
지금까지의 MOST 시스템은 인스턴스 식별자를 통해 미디어 장치를 구분할 수 있지만, 인스턴스 기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지금까지의 MOST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사용할 장치를 먼저 선택하게 하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떨어지고 운행 중 사고 위험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중 인스턴스를 통합 관리하여 콘텐트 기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차량의 다중 인스턴스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어 장치가 MOST(Media Oriented System Transport) 네트워크의 다중 인스턴스를 제어 방법으로서, 복수 인스턴스 장치가 연결된 상기 MOST 네트워크를 스캔하여, 각 인스턴스 장치의 콘텐트 정보를 포함하는 인스턴스 장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복수 인스턴스 장치의 인스턴스 장치 정보를 콘텐트 기반으로 정렬하여 콘텐트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콘텐트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콘텐트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인스턴스 장치는 인스턴스 식별자로 구분된 기능블록이 구현된 장치이다.
상기 방법은 상기 콘텐트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선택된 선택 콘텐트의 인스턴스 식별자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확인한 인스턴스 식별자가 부여된 인스턴스 장치로 상기 선택 콘텐트의 실행을 위한 명령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스턴스 장치 정보는 장치 식별자, 기능블록 식별자, 그리고 인스턴스 식별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인스턴스 장치는 동일한 기능블록이 구현된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MOST(Media Oriented System Transport) 네트워크의 다중 인스턴스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로서, 복수 인스턴스 장치가 연결된 상기 MOST 네트워크를 스캔하여, 각 인스턴스 장치의 콘텐트 정보를 포함하는 인스턴스 장치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수집부, 상기 정보수집부에서 수집한 상기 복수 인스턴스 장치의 인스턴스 장치 정보를 콘텐트 기반으로 정렬하여 콘텐트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콘텐트 데이터베이스 생성부, 상기 콘텐트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콘텐트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선택 콘텐트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그리고 상기 콘텐트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상기 선택 콘텐트의 인스턴스 식별자를 확인하고, 확인한 인스턴스 식별자가 부여된 인스턴스 장치로 상기 선택 콘텐트의 실행을 위한 명령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어명령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스턴스 장치는 인스턴스 식별자로 구분된 기능블록이 구현된 장치이다.
상기 인스턴스 장치 정보는 장치 식별자, 기능블록 식별자, 그리고 인스턴스 식별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인스턴스 장치는 동일한 기능블록이 구현된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동일한 기능블록을 가지는 다중 인스턴스 환경에서 콘텐트 기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므로, 사용자가 인스턴스 장치를 선택하는 단계를 거치지 않고 콘텐트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고, 차량용 인터페이스 사용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MOST 네트워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MOST 장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 인스턴스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화면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다중 인스턴스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 인스턴스 서비스 절차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기존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기존의 다중 인스턴스 서비스 절차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위치 정보 변경 방법의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다중 인스턴스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MOST 네트워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MOST 네트워크(10)는 복수의 MOST 장치(100, 200, 300, 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MOST 장치는 MOST(Media Oriented System Transport) 프로토콜이 구현된 장치이다. MOST 네트워크(10)는 MOST 장치들(100-400)을 링 모양으로 연결하여 구성한다. 이때, MOST 장치(100)는 네트워크 마스터(Network Master)이고, 나머지 MOST 장치(200-400)는 네트워크 슬레이브(Network Slave)일 수 있다.
네트워크 마스터인 MOST 장치(100)는 다른 MOST 장치(200-400)를 스캔하여 MOST 장치(200-400)의 정보를 수집한다. 특히, MOST 장치(100)는 MOST 장치(200-400)의 정보를 기초로 각 장치에 구현된 기능블록(Function Block)을 확인한다. 기능블록은 MOST 프로토콜에 정해진 기능이 구현된 객체로서, 예를 들면, 오디오디스크플레이어(AudioDiskPlayer), 비디오디스크플레이어(VideoDiskPlayer) 등 각종 미디어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MOST 장치(100)는 스캔하여 획득한 정보를 레지스트리에 저장한다. 네트워크 마스터의 레지스트리를 중앙 레지스트리(Central Registry)라고 한다. 그리고 노드 추가, 위치 변경, 노드 삭제 등으로 MOST 네트워크가 변경되는 경우, MOST 장치(100)는 중앙 레지스트리를 갱신한다.
네트워크 슬레이브인 MOST 장치(200-400)는 자신의 레지스트리에 중앙 레지스트리의 일부를 저장해 둔다. 네트워크 슬레이브의 레지스트리를 비중앙 레지스트리(Decentral Registry)라고 한다. 네트워크 슬레이브는 비중앙 레지스트리를 통해 MOST 네트워크의 다른 장치들이 가지고 있는 기능블록을 알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MOST 장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각 MOST 장치(100-400)는 물리계층(Physical Layer)(2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제어기(MOST Network Interface Controller)(30), 네트워크 서비스계층(Network Service)(40), 어플리케이션 계층(50)을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 계층(50)은 하나 이상의 기능블록(Function Block, FBlock)(51. 52)을 포함할 수 있다.
MOST 장치는 MOST 프로토콜에 따라 기능블록을 구현함으로써 MOST 장치 사이의 호환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MOST 장치는 복수의 기능블록을 탑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OST 장치가 TVTuner 기능블록과 DVDVidePlayer 기능블록을 탑재한 경우, MOST 장치는 TV튜너와 DVD비디오플레이어를 제공한다.
MOST 프로토콜은 표 1과 같이 정의되어 있다.
Elemet Size Description
DeviceID 16 bits Target device address
FBlockID 8 bits FBlock identifier
InstID 8 bits Instance of the FBlock
FktID 12 bits Function identifier
OPType 4 bits Operation
Length 16 bits Length of data field
Data 0 to 65535 bytes Data field
MOST 장치는 물리적으로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장치 식별자(DeviceID), 기능블록을 식별하기 위한 기능블록 식별자(FBlockID), 그리고 인스턴스 식별자(InstID)를 가진다. 예를 들면, 오디오디스크플레이어(AudioDiskPlayer) 기능블록의 식별자는 0x31, 그리고 비디오디스크플레이어(VideoDiskPlayer) 기능블록의 식별자는 0x34로 정의되어 있다.
동일한 기능블록이 구현되어 있지만, 각 기능블록이 제공하는 콘텐트는 서로 다르기 때문에, 각 기능블록이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아니다. 만약 동일한 기능블록의 장치들이 MOST 네트워크에 함께 노출되는 경우, 기능블록 식별자(FBlockID)가 동일하여 MOST 장치를 구분할 수 없다. 따라서, MOST 네트워크 마스터가 각 MOST 장치의 기능블록을 구분하기 위해 인스턴스 식별자(InstID)를 부여한다.
다음에서, 동일한 기능블록을 가지는 다수의 MOST 장치로 이루어진 다중 인스턴스 환경에서 다중 인스턴스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 인스턴스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MOST 네트워크는 동일한 기능이 구현된 복수의 인스턴스 장치(500, 600), 인스턴스 장치(500, 600)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700), 그리고 인스턴스 장치(500, 600)의 관련 미디어를 재생하는 재생 장치(800, 820)를 포함할 수 있다. 재생 장치(800)는 앰플리파이어(amplifier)이고, 재생 장치(820)는 스피커일 수 있다. 여기서, 인스턴스 장치는 인스턴스 식별자(InstID)로 구분된 기능블록이 구현된 장치이다. 만약, MOST 장치가 복수의 기능블록을 가지는 경우, MOST 장치는 복수의 인스턴스 장치를 포함한다. 설명을 위해, 인스턴스 장치(500, 600) 각각은 기능블록 식별자(FBlockID)가 0x31인 오디오디스크플레이어(AudioDiskPlayer) 기능블록을 가지는 것으로 가정한다.
두 인스턴스 장치(500, 600)는 동일한 기능블록을 가진다. 이때, 인스턴스 장치(500, 600)는 동일한 기능블록에 대해 서로 다른 인스턴스 식별자(InstID), 예를 들면, 0x01과 0x02를 가진다. 그리고, 인스턴스 장치(500)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트, 예를 들면, 타이틀A, B, C를 보유하고, 인스턴스 장치(600)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트, 예를 들면, 타이틀D, E, F를 보유할 수 있다. 인스턴스 장치(500, 600)는 제어 장치(700)의 명령에 따라 해당 콘텐트를 재생 장치(800, 820)로 전달한다.
제어 장치(700)는 MOST 네트워크를 스캔하여 복수의 인스턴스 장치(500, 600)의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인스턴스 장치의 정보는 장치 식별자(DeviceID), 기능블록 식별자(FBlockID), 인스턴스 식별자(InstID), 그리고 콘텐트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어 장치(700)는 오디오디스크정보 수집 메시지(AudioDiskInfo.Get)를 통해 각 인스턴스 장치(500, 600)의 콘텐트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AudioDiskInfo(FktID= 0x420)는 오디오디스크플레이어 (AudioDiskPlayer) 기능블록이 가지고 있는 오디오 콘텐트의 타이틀명, 트랙번호 등의 정보를 제공한다. 제어 장치(700)는 표 1과 같은 인스턴스 장치(500)의 정보와, 표 2와 같은 인스턴스 장치(600)의 정보를 획득한다.
DeviceID 0x400
FBlockID 0x31
InstID 0x01
콘텐트 타이틀A
타이틀B
타이틀C
DeviceID 0x420
FBlockID 0x31
InstID 0x02
콘텐트 타이틀D
타이틀E
타이틀F
제어 장치(700)가 네트워크 마스터라면, 제어 장치(700)는 인스턴스 장치(500, 600)의 정보를 중앙 레지스트리에 저장한다. 제어 장치(700)가 네트워크 슬레이브라면, 비중앙 레지스트리에 인스턴스 장치(500, 600)의 정보를 저장한다.
제어 장치(700)는 복수의 인스턴스 장치(500, 600)의 정보를 콘텐트 기반으로 정렬한 콘텐트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한다. 콘텐트 데이터베이스는 예를 들면, 표 4와 같이 콘텐트에 해당 콘텐트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위치 식별자들을 대응하여 저장한다. 위치 식별자는 장치 식별자(DeviceID), 기능블록 식별자(FBlockID), 그리고 인스턴스 식별자(InstID)를 포함한다.
콘텐트명 DeviceID FBlockID InstID
타이틀 A 0x400 0x31 0x01
타이틀 B 0x400 0x31 0x01
타이틀 C 0x400 0x31 0x01
타이틀 D 0x420 0x31 0x02
타이틀 E 0x420 0x31 0x02
타이틀 F 0x420 0x31 0x02
제어 장치(700)는 콘텐트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콘텐트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차량 내에 동일한 기능블록을 가진 인스턴스 장치가 복수 개 존재하더라도, 사용자는 원하는 콘텐트가 어느 인스턴스 장치에 있는지 검색할 필요없이 콘텐트 이름만으로 원하는 콘텐트를 이용할 수 있다.
제어 장치(700)는 콘텐트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콘텐트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트의 인스턴스 식별자(InstID)를 확인한다. 제어 장치(700)는 확인한 인스턴스 식별자(InstID)의 인스턴스 장치로 명령 메시지를 보내 콘텐트 실행, 예를 들면, 콘텐트 선택이나 재생 등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화면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제어 장치(700)는 네트워크 서비스부(710), 정보수집부(730), 콘텐트 데이터베이스 생성부(75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770), 그리고 제어명령생성부(790)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서비스부(710)는 MOST 네트워크 내의 다른 장치와의 통신을 담당한다. 네트워크 서비스부(710)는 인스턴스 장치와 메시지를 주고받는 미들웨어 소프트웨어로서, MOST 프로토콜의 API를 이용하여 MOST 메시지를 교환한다.
정보수집부(730)는 MOST 네트워크를 스캔하여 MOST 네트워크 내의 인스턴스 장치 정보를 획득한다. 인스턴스 장치의 정보는 표 2 또는 표 3과 같이 장치 식별자(DeviceID), 기능블록 식별자(FBlockID), 인스턴스 식별자(InstID), 그리고 콘텐트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수집부(730)는 예를 들면, 네트워크 서비스부(710)를 통해 AudioDiskPlayer.AudioDiskInfo.Get 메시지를 보내고, AudioDiskPlayer로부터 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다.
콘텐트 데이터베이스 생성부(750)는 정보수집부(730)가 수집한 정보를 기초로 콘텐트 기반으로 정렬한 콘텐트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한다. 콘텐트 데이터베이스는 예를 들면, 표 4와 같이 콘텐트별로 콘텐트에 관계된 장치 식별자(DeviceID), 기능블록 식별자(FBlockID), 그리고 인스턴스 식별자(InstID)가 대응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770)는 콘텐트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콘텐트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도 5를 참고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770)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다중 인스턴트 장치에 저장된 콘텐트를 나열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900)을 제공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77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900)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선택 콘텐트를 입력받는다.
제어명령생성부(79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770)로부터 선택 콘텐트를 전달받는다. 제어명령생성부(790)는 콘텐트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선택 콘텐트의 인스턴스 식별자(InstID)를 확인한다. 그리고 제어명령생성부(790)는 선택 콘텐트에 관련된 명령(command) 메시지를 생성한다. 제어명령생성부(790)는 네트워크 서비스부(710)를 통해 확인한 인스턴스 식별자(InstID)의 인스턴스 장치로 명령 메시지를 전달한다. 예를 들면, 제어명령생성부(790)는 AudioDiskPlayer.TrackPosition.Set, AudioDiskPlayer.ActiveDisk.Set 등의 명령 메시지를 보내어 원하는 콘텐트를 선택하고, AudioDiskPlayer.DeckStatus.Set(Play)를 보내 콘텐트를 재생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다중 인스턴스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제어 장치(700)는 MOST 네트워크를 스캔하여 복수의 인스턴스 장치의 정보를 수집한다(S610). 여기서, 인스턴스 장치의 정보는 장치 식별자(DeviceID), 기능블록 식별자(FBlockID), 인스턴스 식별자(InstID), 그리고 콘텐트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장치(700)는 수집한 복수의 인스턴스 장치의 정보를 콘텐트 기반으로 정렬하여 콘텐트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한다(S620). 콘텐트 데이터베이스는 콘텐트에 관계된 인스턴스 장치의 정보를 콘텐트별로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로서, 해당 콘텐트에 관련된 장치 식별자(DeviceID), 기능블록 식별자(FBlockID), 그리고 인스턴스 식별자(Inst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장치(700)는 콘텐트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콘텐트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S630).
제어 장치(700)는 콘텐트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콘텐트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트의 인스턴스 식별자(InstID)를 확인한다(S640).
제어 장치(700)는 선택 콘텐트에 관련된 명령 메시지를 확인한 인스턴스 식별자(InstID)를 가진 장치로 전송한다(S650).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 인스턴스 서비스 절차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8은 기존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9는 기존의 다중 인스턴스 서비스 절차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7을 참고하면, 제어 장치(700)는 콘텐트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들 들어, 사용자가 DVD 플레이어의 목록 보기를 요청하는 경우, 제어 장치(700)는 모든 DVD 플레이어에 저장된 영화 목록을 제공한다.
반면, 도 8을 참고하면, 기존 제어 장치는 인스턴스 장치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기존 제어 장치는 사용자에게 장치를 선택하도록 요청하고, 선택된 장치의 콘텐트를 표시한다.
따라서, 도 9를 참고하면, 기존 제어 장치는 사용자가 DVD 플레이어의 목록 보기를 요청하는 경우, 제어 장치(700)는 첫 번째부터 N 번째 DVD 플레이어에 저장된 영화 목록을 각각 제공한다. 즉, N개의 인스턴스 장치가 있고 각각의 인스턴스 장치에 영화목록을 요청하는 동작을 수행할 경우에 사용자가 수행해야 하는 절차의 횟수가 인스턴스 장치의 개수에 비례해서 늘어난다.
이와 같이, 다중 인스턴스에 대한 고려 없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계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차량용 응용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거쳐야 하는 절차가 상대적으로 많아져 사용성이 떨어지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위치 정보 변경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제어 장치(700)는 인스턴스 장치(500), 예를 들면 오디오디스크플레이어에 디스크가 여러 개인 경우 디스크의 위치 정보를 알 수 있고 디스크의 위치를 바꿀 수 있다. 제어 장치(700)는 콘텐트의 디스크 위치, 디스크 내에서의 트랙 위치 혹은 파일 경로 이름의 정보를 획득해야 한다. 이를 통해 제어 장치(700)는 해당 콘텐트를 재생시킬 때 필요한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있다. 제어 장치(700)는 획득한 정보를 표 5와 같이 콘텐트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하여 관리할 수 있다.
콘텐트명 DeviceID FBlockID InstID Filesystem Play time
타이틀 A 0x400 0x31 0x01 ISO9660 4min
타이틀 B 0x400 0x31 0x01 ISO9660 3min
타이틀 C 0x400 0x31 0x01 ISO9660 1h30min
타이틀 D 0x420 0x31 0x02 ISO9660 5min
타이틀 E 0x420 0x31 0x02 ISO9660 2h
타이틀 F 0x420 0x31 0x02 ISO9660 1h45min
제어 장치(700)는 AudioDiskPlayer.ActiveDisk(FktID = 0x412)를 오디오디스크플레이어에 전송하여, Set(MagazinPos)으로 MagazinPos 위치의 디스크를 변경하도록 한다.
제어 장치(700)는 AudioDiskPlayer.MediaInfo(FktID = 0x413)를 오디오디스크플레이어에 전송하여, MediaTitle, MediaType, MediaFilesystem, FirstTrack, LastTrack, PlayTime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동일한 기능블록을 가지는 다중 인스턴스 환경에서 콘텐트 기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므로, 사용자가 인스턴스 장치를 선택하는 단계를 거치지 않고 콘텐트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고, 차량용 인터페이스 사용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7)

  1. 제어 장치가 MOST(Media Oriented System Transport) 네트워크의 다중 인스턴스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동일한 기능블록을 가지는 복수 인스턴스 장치가 연결된 상기 MOST 네트워크를 스캔하여, 각 인스턴스 장치의 콘텐트 정보를 포함하는 인스턴스 장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복수 인스턴스 장치의 인스턴스 장치 정보를 콘텐트 기반으로 정렬하고, 각 인스턴스 장치에 저장된 콘텐트를 통합하여 콘텐트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콘텐트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콘텐트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인스턴스 장치는 인스턴스 식별자로 구분되고,
    상기 콘텐트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복수 인스턴스 장치에 저장된 콘텐츠를 혼합하여 표시하는 다중 인스턴스 제어 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콘텐트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선택된 선택 콘텐트의 인스턴스 식별자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확인한 인스턴스 식별자가 부여된 인스턴스 장치로 상기 선택 콘텐트의 실행을 위한 명령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다중 인스턴스 제어 방법.
  3. 제1항에서,
    상기 인스턴스 장치 정보는 장치 식별자, 기능블록 식별자, 그리고 인스턴스 식별자를 더 포함하는 다중 인스턴스 제어 방법.
  4. 제1항에서,
    상기 복수 인스턴스 장치는 동일한 기능블록이 구현된 장치인 다중 인스턴스 제어 방법.
  5. MOST(Media Oriented System Transport) 네트워크의 다중 인스턴스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로서,
    동일한 기능블록을 가지는 복수 인스턴스 장치가 연결된 상기 MOST 네트워크를 스캔하여, 각 인스턴스 장치의 콘텐트 정보를 포함하는 인스턴스 장치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수집부,
    상기 정보수집부에서 수집한 상기 복수 인스턴스 장치의 인스턴스 장치 정보를 콘텐트 기반으로 정렬하여 콘텐트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콘텐트 데이터베이스 생성부,
    상기 콘텐트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콘텐트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선택 콘텐트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그리고
    상기 콘텐트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상기 선택 콘텐트의 인스턴스 식별자를 확인하고, 확인한 인스턴스 식별자가 부여된 인스턴스 장치로 상기 선택 콘텐트의 실행을 위한 명령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어명령생성부
    를 포함하고,
    상기 인스턴스 장치는 인스턴스 식별자로 구분되고, 상기 콘텐트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복수 인스턴스 장치에 저장된 콘텐츠를 혼합하여 표시하는 다중 인스턴스 제어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인스턴스 장치 정보는 장치 식별자, 기능블록 식별자, 그리고 인스턴스 식별자를 더 포함하는 다중 인스턴스 제어 장치.
  7. 제5항에서,
    상기 복수 인스턴스 장치는 동일한 기능블록이 구현된 장치인 다중 인스턴스 제어 장치.
KR1020120065781A 2012-06-19 2012-06-19 다중 인스턴스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KR101364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5781A KR101364083B1 (ko) 2012-06-19 2012-06-19 다중 인스턴스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5781A KR101364083B1 (ko) 2012-06-19 2012-06-19 다중 인스턴스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2507A KR20130142507A (ko) 2013-12-30
KR101364083B1 true KR101364083B1 (ko) 2014-02-20

Family

ID=49986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5781A KR101364083B1 (ko) 2012-06-19 2012-06-19 다중 인스턴스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408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8239A (ko) * 2003-06-03 2006-02-28 노키아 코포레이션 매체 콘텐트 채널들을 용이하게 하는 시스템, 방법 및 장치
KR20070121519A (ko) * 2006-06-21 2007-12-2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이씨유를 이용한 차량 아이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20652A (ko) * 2006-06-30 2009-02-26 사이언티픽 아틀란타, 인코포레이티드 보유 규칙 적용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20218A (ko) * 2009-08-21 2011-03-02 아바야 인코포레이티드 아이덴티티 정보 푸싱 방법 및 통신 디바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8239A (ko) * 2003-06-03 2006-02-28 노키아 코포레이션 매체 콘텐트 채널들을 용이하게 하는 시스템, 방법 및 장치
KR20070121519A (ko) * 2006-06-21 2007-12-2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이씨유를 이용한 차량 아이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20652A (ko) * 2006-06-30 2009-02-26 사이언티픽 아틀란타, 인코포레이티드 보유 규칙 적용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20218A (ko) * 2009-08-21 2011-03-02 아바야 인코포레이티드 아이덴티티 정보 푸싱 방법 및 통신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2507A (ko) 2013-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87191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313482B1 (ko) 저장 디바이스상의 파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826109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5763170B2 (ja) ホームエンターテイメントネットワークについてのネットワーク装置
US20100094834A1 (en) Bridging in a media sharing system
EP255553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content list associating local media content to broadcast programs.
US2007004790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reproducing content provided by said apparatus
JP2005102194A (ja) サービス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
JP2014003403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並びに情報通信システム
JP5314840B2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及びコンテンツ再生方法
CN101998093A (zh) 传输系统、再现设备、传输方法和程序
KR100871562B1 (ko) 동영상의 분산 녹화 및 재생을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1364083B1 (ko) 다중 인스턴스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WO2014121604A1 (zh) 一种共享录制方法、装置、服务器和机顶盒
CN101072292A (zh) 设备链接系统的设备升级方法
JP2008530681A (ja) UPnPネットワーク・サーバ提供の、ネットワーク・コンテンツの集約ビュー
KR20140071263A (ko) 화면 구성 정보를 이용한 컨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
JP5579239B2 (ja) コンテンツ処理装置
KR101197752B1 (ko) 동영상의 분산 녹화 및 재생을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
JP2014011618A (ja) コンテンツ編集装置、コンテンツ処理装置、コンテンツ編集プログラム、及びコンテンツ編集方法
JP5052664B2 (ja) コンテンツ送受信装置、コンテンツ送受信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送受信プログラム
US20120124674A1 (en) Right management apparatus, right management program, and content playback system
US10009571B2 (en) Reproducing device,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2013051611A (ja) コンテンツリスト表示装置、コンテンツリスト表示方法、コンテンツ情報提供装置、及びコンテンツ情報提供方法
JP2017033061A (ja) コンテンツ配信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配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