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3924B1 - 용탕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용탕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3924B1
KR101363924B1 KR1020120087765A KR20120087765A KR101363924B1 KR 101363924 B1 KR101363924 B1 KR 101363924B1 KR 1020120087765 A KR1020120087765 A KR 1020120087765A KR 20120087765 A KR20120087765 A KR 20120087765A KR 101363924 B1 KR101363924 B1 KR 101363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ce
molten metal
pipe
fluid
supply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7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엽
김대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20087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39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3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39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21C7/0075Treating in a ladle furnace, e.g. up-/reheating of molten steel within the ladl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21C7/04Removing impurities by adding a treating agent
    • C21C7/072Treatment with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2300/00Process aspects
    • C21C2300/02Foam cre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eatment Of Steel In Its Molten State (AREA)
  • Refinement Of Pig-Iron, Manufacture Of Cast Iron, And Steel Manufacture Other Than In Revolving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에 수강된 용탕에 침지된 상태로 유체를 배출시켜 용탕을 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유체 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상기 용탕 내부 및 외부로 분사하도록 형성되는 랜스를 포함함으로써, 랜스의 측면으로 유체를 배출시켜 랜스의 측면에 지금이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랜스의 무게 증가 현상 및 수명 단축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랜스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용탕 처리 장치 {Treatment apparatus for molten metal}
본 발명은 용탕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철 공정 중, 용탕의 버블링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불활성 가스를 분사하는 랜스에 지금(地金)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용탕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강공정은 용강을 정련하여 주편으로 만들기 위해 전로에서 용강의 1차 정련공정을 완료한 후, 전로에서 출강 완료된 래들(3)이 수강대차(미도시)에 의해서 밥(BAP)장으로 이송된 후, 용강의 성분조정 및 균질화를 위한 2차 정련을 포함한다. 이때, 밥(BAP)장은 (Bubbling, Al-wire feeding, Powder injection)의 약자로서, 용탕 처리 장치(1)를 이용하여, 출강중에 투입된 합금철의 균일용해와, 용강의 탈황을 위해 용강에 랜스(5)를 침지시키고, 상기 랜스(5)에 유체 공급 수단(7)을 통해 약 200 Nm3의 불활성 가스를 용강에 취입하여 용강의 버블링을 실시한다.
그러나, 용강의 버블링 시에 발생되는 기포에 의해 용강이 비산되고, 이에 랜스(5)의 특정 부위(예컨대, 탕면 상에 위치되는 랜스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지금(S)을 형성한다. 이때, 랜스(5)에 부착된 지금(S)은 버블링이 반복될수록 성장하게 되고, 지금(S)의 하중이 증가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랜스(5)의 무게를 증가시켜 랜스(5)의 상하 이동 및 작업성을 악화시켜 랜스(5)의 수명 저하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용강의 비산을 억제시키거나 비산된 용강이 랜스 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전자(前者)의 경우는, 가스 취입량, 랜스의 형상, 탕면과의 거리 등을 조절함으로써 비산을 어느 정도 억제할 수 있으나, 용강 내부로 가스를 취입하는 이상 비산 자체를 완전히 억제시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그리고 후자(後者)의 경우는 랜스 표면의 물성을 변화시켜 지금의 부착을 억제하는 방법이 있다. 이에, 랜스의 표면에 세라믹 계열의 내화물 성분(알루미나, 보론, 실리카 등)을 형성하는 방법이 있으나 상기 재료는 비교적으로 고가이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어 상기 방법들로는 지금이 부착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에 있어 여전히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KR 10-1151654 B KR 2002-0020116 A1
본 발명은 랜스의 표면에 지금이 부착되는 것을 억제하는 용탕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랜스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용탕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공정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용탕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용기에 수강된 용탕에 침지된 상태로 유체를 배출시켜 용탕을 처리하는 장치로서, 유체 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상기 용탕 내부 및 외부로 분사하도록 형성되는 랜스를 포함하한다.
상기 랜스는,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는 상기 유체 공급수단과 연결되고, 하부에는 상기 유체를 배출하는 하부 배출홀이 구비되는 내부취입관과, 상기 내부취입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내부취입관의 외부 일부에 배치되며, 상부는 상기 유체 공급수단과 연결되는 외부취입관, 상기 외부취입관의 하부와 연통되어, 적어도 상기 내부취입관을 감싸는 다공성 플러그 및 상기 내부취입관과 외부취입관을 감싸는 내화물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플러그는 탈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플러그는 상기 랜스가 상기 용탕에 침지된 경우, 상기 용탕의 탕면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랜스는,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는 상기 유체 공급수단과 연결되고, 하부에는 상기 유체를 배출하는 하부 배출홀이 구비되는 내부취입관과,상기 내부취입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내부취입관의 외부 일부에 배치되며, 상부는 상기 유체 공급수단과 연결되는 외부취입관 및 상기 내부취입관과 외부취입관을 감싸며, 상기 외부취입관의 하부와 연통되는 측면 배출홀이 형성되는 내화물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랜스는,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는 상기 유체 공급수단과 연결되고, 하부에는 상기 유체를 배출하는 하부 배출홀이 구비되는 내부취입관 및 상기 내부취입관의 외부를 감싸며, 상기 내부취입관과 연통되는 측면 배출홀이 구비되는 내화물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 배출홀은 상기 랜스가 상기 용탕에 침지된 경우 상기 용탕의 탕면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측면 배출홀은 수평방향 또는 하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 배출홀의 직경은 1 내지 10mm일 수 있다.
상기 내부취입관과 상기 외부취입관은 서로 다른 유체 공급 수단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용탕 처리 장치에 의하면, 용강의 비산으로 인해 랜스의 표면에 지금이 부착되는 영역에 지속적으로 불활성 기체를 공급함으로써, 랜스 외주면에 지금이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종래와 같이 지금의 부착으로 인해 랜스의 무게가 증가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랜스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랜스의 수명 향상으로 인한 랜스의 교체시기를 연장할 수 있기 때문에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이에, 공정의 생산성 및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밥(BAP)장의 버블링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용탕 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랜스의 사시도.
도 4는 도 2의 A 영역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3의 C와 C'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용탕 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도 6의 랜스의 사시도.
도 8은 도 6의 D 영역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도 7의 E와 E'의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용탕 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랜스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 영역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C와 C'의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용탕 처리 장치(10)는 용기(L)에 수강된 용탕에 침지된 상태로 유체를 배출시켜 용탕을 처리하는 장치로서, 유체 공급수단(200)으로 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상기 용탕 내부 및 외부로 분사하도록 형성되는 랜스(100)를 포함한다.
랜스(10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유체 공급 수단(200)으로부터 공급되는 가스가 수용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관의 형태로서, 랜스(100)의 높이를 기준으로 중앙 하부의 적어도 일부가 용강에 침지되어, 래들(L)에 담긴 용강에 가스를 취입하여 버블링 하기 위한 수단이다. 랜스(100)는 유체를 용강으로 배출하도록 구비되는 내부취입관(110)과, 상기 내부취입관(110)의 외부 일부에 배치되는 외부취입관(130), 상기 외부취입관(130)으로 공급되는 가스가 랜스(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다공성 플러그(170) 및 상기 다공성 플러그(170)의 상부 및 하부와, 내부취입관(110) 및 외부취입관(130)의 일부를 감싸며 형성되는 내화물층(150)을 포함한다.
내부취입관(11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유체 공급 수단(200)과 연결되고, 하부에는 유체를 배출하는 하부 배출홀(115)이 구비된다. 즉 내부취입관(110)은 랜스(100)의 가장 안측에 형성되고, 랜스(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랜스(100)의 상부 및 하부를 관통한다. 이때, 내부취입관(110)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배출홀(115)은 용강에 침지되어, 내부취입관(110)을 경유하는 불활성 가스가 하부 배출홀(115)을 통해 용강으로 취입될 수 있다.
외부취입관(130)은 랜스(100)의 상단에서부터 소정길이 하부로 연장 형성되어 내부취입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취입관(110)의 외부 일부에 배치되어, 상부가 유체 공급 수단(200)과 연결된다. 이때, 소정길이 하부로 연장 형성되는 외부취입관(130)은 다공성 플러그(170)와 연통될 수 있는 깊이까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다공성 플러그(170)의 상면까지 외부취입관(130)이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는 외부취입관(130)이 내부취입관(110)을 감싸며 형성되는 관의 형태, 즉, 링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나 있으나, 외부 취입관(130)은 다공성 플러그(170)를 통해 가스를 랜스(100)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예컨대, 가스가 취입될 수 있는 관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랜스에 형성되고, 상기 관과 다공성 플러그(170)를 연통시켜 가스가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내부취입관(110) 및 외부취입관(13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랜스(100)의 평면형상과 동일하게 원형으로 형성되었으나, 랜스(100)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할 수도 있고, 가스가 취입되고 배출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 가능하다.
다공성 플러그(170)는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고, 유체가 경유 가능하도록 다수의 공이 형성된다. 다공성 플러그(170)는 랜스(100)의 하단부로부터 약 50 내지 70 % 높이의 위치에 형성된다. 이때, 다공성 플러그(170)의 형성 범위는 용강의 버블링이 실시될 때에, 지금이 부착되는 양이 가장 많은 범위로서, 슬래그 라인(Slag line, 도 3의 (B)영역)이라고 한다. 다공성 플러그(170)는 상기 범위에 배치되어, 가스를 배출하고, 이에 용강의 비산이 발생할 때에 슬래그 라인에 지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배치되는 다공성 플러그(170)는 랜스(100)가 용탕에 침지된 경우 용탕의 탕면 상부에 배치되며, 도 4 및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취입관(110)의 외부를 감싸며 형성되고, 이에, 다공성 플러그(170)는 외부취입관(130)의 하부에 접촉 배치된다. 다공성 플러그(170)는 상기 외부취입관(130)으로부터 공급되는 유체가 경유 가능하도록 다수의 공이 형성된 세라믹 벽돌로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서는 고순도의 산화 알루미늄을 사용하여 다공성 플러그(170)를 형성하였다. 그러나, 다공성 플러그를 형성하는 재료는 이에 한정하지 않고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이 자유로우며, 내부에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고온의 환경조건의 변수에 안정적인 다양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랜스(100)에 다공성 플러그(170)가 구비되는 경우, 다공성 플러그(170)의 상부 및 하부에는 내화물층(150)이 배치된다.
내화물층(150)은 상호 이격되어 구비되는 상부 구조물(150a) 및 하부 구조물(150b)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구조물(150a)과 하부 구조물(150b) 사이에 다공성 플러그(170)가 배치된다. 이때, 상부 구조물(150a)은 랜스(100)의 상면으로부터 하부로 소정길이 연장 형성되고, 외부취입관(130)을 감싸며 형성된다. 한편, 하부 구조물(150b)은 다공성 플러그(170)의 바닥면으로부터 랜스(100)의 바닥면까지 연장 형성되고, 내부취입관(110)을 감싸며 형성된다. 내화물층(150)은 상기 내부취입관(110) 및 외부취입관(130)이 고온에 영향을 받아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온에 견딜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된다. 이때, 내화물층(150)은 적어도 1000℃이상의 고온에서 연화(軟化)하지 않고, 강도를 충분히 유지하며, 화학적 작용과 같은 변수에 견딜 수 있는 성형가능한 내화물질, 예컨대 캐스터블(castable), 산화 알루미늄(Al2O3), 산화 마그네슘(MgO), 그래파이트 계, 지르코니아 그래파이트 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유체 공급수단(200)은 상기 랜스(100)로 가스를 공급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랜스(100)에 공급되는 가스를 갖는 저장기(210) 및 저장기(210)로부터 랜스(100)로 가스가 이동하는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가스라인(230)을 포함한다. 이때, 유체 공급수단(200)은 랜스(100)의 내부취입관(110) 및 외부취입관(130)에 가스라인(230)을 연결하여 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내부취입관(110) 및 외부취입관(130) 각각에 유체 공급수단(200)을 구비하여 가스를 공급할 수도 있다. 이에, 유체 공급수단(200)을 하나만 구비하여 내부취입관(110) 및 외부취입관(130)에 가스를 공급하는 경우에는, 기존에 내부취입관(110)에 공급되는 가스의 유량 및 속도에 변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용탕 처리 장치(10)는 유체 공급수단(200)으로부터 공급되는 가스가 외부취입관(130)을 경유하여 다공성 플러그(170)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가스가 이동하게 된다. 이에 상기 통공을 통해 다공성 플러그(170) 외부로 가스가 배출되고, 이는 용강이 비산될 때 슬래그 라인(B)에 가스를 공급함으로써 지금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제 1 실시 예에 따른 용탕 처리 장치는, 랜스(100)의 슬래그 라인(B) 영역에 다공성 플러그(170)가 구비되고, 상기 다공성 플러그(170)는 랜스(10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랜스(100)의 유지보수 시 다공성 플러그(170)만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유지보수 비용이 적게 소모되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용탕 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랜스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D 영역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E와 E'의 평면도이다. 이하, 용탕 처리 장치(10') 및 상기 용탕 처리 장치(10')에 구비되는 랜스(100')는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용탕 처리 장치(10')는 용기(L)에 수강된 용탕에 침지된 상태로 유체를 배출시켜 용탕을 처리하는 장치로서, 유체 공급수단(200)으로 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상기 용탕 내부 및 외부로 분사하도록 형성되는 랜스(100')를 포함한다.
이때, 제 2 실시 예는 제 1 실시 예에서 설명한 랜스(100)의 슬래그 라인(B)영역에 다공부재(170)가 구비되지 않고, 내화물층(150')에 측면 배출홀(155)이 형성되어, 상기 측면 배출홀(155)과 외부취입관(130)이 연통되는 점 외에는 전술한 제 1 실시 예의 구성 및 작동 원리가 거의 유사하다.
도 7을 참조하면, 랜스(10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유체 공급수단(200)과 연결되고, 하부에는 유체를 배출하는 하부 배출홀(155)이 구비되는 내부취입관(110)과, 내부취입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취입관(110)의 외부 일부에 배치되며, 상부는 유체 공급수단(200)과 연결되는 외부취입관(130) 및 내부취입관(110)과 외부취입관(130)을 감싸며, 외부취입관(130)의 하부와 연통되는 측면 배출홀(155)이 형성되는 내화물층(150')을 포함한다.
내화물층(150')은 랜스(100)의 총 길이로 연장 형성되어, 내부취입관(110)의 일부 및 외부취입관(130)의 외부를 감싸며 형성된다. 즉, 내화물층(150')은 내부취입관(110) 및 외부취입관(130)의 표면을 감싸며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내화물층(150')은 랜스(100)의 하부에서 상부로 연장형성됨에 있어, 상부에 외부취입관(130)이 배치되기 때문에 상부로 연장형성될수록 좁은 폭을 갖고 형성되게 된다.
측면 배출홀(155)은 상기 외부취입관(130)과 연통되어, 랜스(100) 표면(외부)으로 가스를 배출하는 것으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취입관(110) 및 외부취입관(130)을 감싸는 내화물층(150)에 복수개 형성된다. 이때, 측면 배출홀(155)은 약 1 내지 10 mm의 크기로 형성되고, 형성범위는 랜스(100')의 총 높이(H)를 기준으로 랜스(100')의 하단부로부터 약 50 내지 70 % 높이인 슬래그 라인(B)에 형성되어 랜스(100')가 용강에 침지된 경우 용탕의 탕면 상부에 배치되며 형성된다.
한편, 도 8의 (a)에 도시된 측면 배출홀(155)은 랜스(100')를 기준으로 랜스에 교차하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측면 배출홀(155)은 도 8의 (b)에 도시된 것처럼, 홀의 방향이 하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서는 랜스(100') 측면으로 유체를 배출하기 위해 측면 배출홀(155)을 외부취입관(130)과 연통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있으나, 측면 배출홀(155)은 내부취입관(110)에 연결되어 상기 랜스(100')의 측면으로 유체를 배출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용탕 처리 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용탕으로 불활성 가스를 취입하며 용탕을 정련하는 밥(BAP)장 공정을 통해 구현되어 랜스의 표면에 지금이 부착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나 있으나, 용탕 처리 장치는 액상 원료에 분사기를 이용하여 유체를 취입할 때, 원료가 비산되어 분사기에 부착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공정에 사용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용강에 침지되는 랜스의 슬래그 라인에 지금의 부착을 방지하기 위해 랜스 표면으로 가스를 배출할 수 있도록 랜스를 형성하고, 상기 용강의 정련 중에 랜스의 표면에 지속적으로 불활성 가스를 공급함으로써, 용강의 비산으로 인해 랜스에 지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랜스의 수명을 증가시켜 장치의 유지보수 시기를 늦출 수 있고, 이는 결과적으로 공정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 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 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S : 지금 L : 래들
B : 슬래그 라인 10, 10' : 용탕 처리 장치
100, 100' : 랜스 200 : 유체 공급 수단
110 : 내부취입관 115 : 하부 배출홀
130 : 외부취입관 150, 150' : 내화물층
150a : 상부 구조물 150b : 하부 구조물
155 : 측면 배출홀 170 : 다공성 플러그

Claims (10)

  1. 용기에 출강된 용탕에 침지된 상태로 유체를 배출시켜 용탕을 처리하는 장치로서,
    유체 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상기 용탕 내부 및 외부로 분사하도록 형성되는 랜스;를 포함하고,
    상기 랜스는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는 상기 유체 공급 수단과 연결되고, 하부에는 상기 유체를 배출하는 하부 배출홀이 구비되는 내부취입관과;,
    상기 내부취입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내부취입관의 외부 일부에 배치되며, 상부는 상기 유체 공급수단과 연결되는 외부취입관;
    상기 외부취입관의 하부와 연통되어 적어도 상기 내부취입관을 감싸는 다공성 플러그; 및
    상기 내부취입관과 외부취입관을 감싸는 내화물층;을 포함하는 용탕 처리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플러그는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용탕 처리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플러그는 상기 랜스가 상기 용탕에 침지된 경우, 상기 용탕의 탕면 상부에 배치되는 용탕 처리 장치.
  5. 용기에 출강된 용탕에 침지된 상태로 유체를 배출시켜 용탕을 처리하는 장치로서,
    유체 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상기 용탕 내부 및 외부로 분사하도록 형성되는 랜스;를 포함하고,
    상기 랜스는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는 상기 유체 공급수단과 연결되고, 하부에는 상기 유체를 배출하는 하부 배출홀이 구비되는 내부취입관과;
    상기 내부취입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내부취입관의 외부 일부에 배치되며, 상부는 상기 유체 공급수단과 연결되는 외부취입관; 및
    상기 내부취입관과 외부취입관을 감싸며 상기 외부취입관의 하부와 연통되는 측면 배출홀이 형성되는 내화물층;을 포함하고,
    상기 내화물층은 상기 랜스의 하부에서 상부로 연장 형성될수록 좁은 폭을 갖고 형성되는 용탕 처리 장치.
  6. 삭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측면 배출홀은 상기 랜스가 상기 용탕에 침지된 경우 상기 용탕의 탕면 상부에 배치되는 용탕 처리 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측면 배출홀은 수평방향 또는 하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용탕 처리 장치.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측면 배출홀의 직경은 1 내지 10mm인 용탕 처리 장치.
  1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 에 있어서,
    상기 내부취입관과 상기 외부취입관은 서로 다른 유체 공급 수단에 연결되는 유체 공급 장치.
KR1020120087765A 2012-08-10 2012-08-10 용탕 처리 장치 KR101363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7765A KR101363924B1 (ko) 2012-08-10 2012-08-10 용탕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7765A KR101363924B1 (ko) 2012-08-10 2012-08-10 용탕 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3924B1 true KR101363924B1 (ko) 2014-02-18

Family

ID=50271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7765A KR101363924B1 (ko) 2012-08-10 2012-08-10 용탕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392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7812A (ja) * 1994-10-28 1996-05-21 Sumitomo Metal Ind Ltd 転炉内付着地金の除去方法
KR19980082631A (ko) * 1997-05-08 1998-12-05 김종진 착탈식 랜스지금 부착방지장치
JP2000096122A (ja) * 1998-09-18 2000-04-04 Nkk Corp 精錬炉内の地金付着抑制操業方法
JP2009174029A (ja) 2008-01-28 2009-08-06 Jfe Steel Corp 転炉操業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7812A (ja) * 1994-10-28 1996-05-21 Sumitomo Metal Ind Ltd 転炉内付着地金の除去方法
KR19980082631A (ko) * 1997-05-08 1998-12-05 김종진 착탈식 랜스지금 부착방지장치
JP2000096122A (ja) * 1998-09-18 2000-04-04 Nkk Corp 精錬炉内の地金付着抑制操業方法
JP2009174029A (ja) 2008-01-28 2009-08-06 Jfe Steel Corp 転炉操業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561452B (zh) 一种底喷粉单嘴真空脱气精炼钢液的装置及方法
JP6575355B2 (ja) 連続鋳造機
RU134090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онной продувки металла газом
KR101363924B1 (ko) 용탕 처리 장치
US10562094B2 (en) Annular weir
JP5805030B2 (ja) ストッパ
KR101322572B1 (ko) 야금 용융 및 공정 유닛
RU2720413C1 (ru) Способ донной продувки жидкого металла газом в ковше
KR101261424B1 (ko) 취련용 랜스 노즐
KR20150071387A (ko) 용강처리장치
JP7342436B2 (ja) 連続鋳造方法およびこれに用いるスライディングノズル
JPH02432Y2 (ko)
KR20150041953A (ko) 스토퍼
JP6152834B2 (ja) 鋼の連続鋳造方法
CN211005472U (zh) 底出钢式电弧炉
JP2011208267A (ja) 転炉用上吹きランス及び転炉精錬方法
RU147457U1 (ru) Пористая пробка для донной продувки металла
KR101077172B1 (ko) 전로랜스 지금부착 방지 및 제거장치
RU270691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онной продувки металла газом в ковше
CN107075594A (zh) 进入口配置及其成形方法
JPH01195239A (ja) 真空脱ガス槽内加熱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1790608B1 (ko) 용강 유동조절장치
KR101037163B1 (ko) 다각형 형상의 전로랜스 지금부착 방지 및 제거장치
RU2532243C1 (ru) Агрегат комплексной обработки жидкой стали (акос)
JP6098572B2 (ja) 溶銑の予備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