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3557B1 - Plantable retaining wall structure - Google Patents

Plantable retaining wall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3557B1
KR101363557B1 KR1020130076591A KR20130076591A KR101363557B1 KR 101363557 B1 KR101363557 B1 KR 101363557B1 KR 1020130076591 A KR1020130076591 A KR 1020130076591A KR 20130076591 A KR20130076591 A KR 20130076591A KR 101363557 B1 KR101363557 B1 KR 101363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vegetation
vegetation block
block
retaining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65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근효
이규원
이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앤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앤앤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앤앤이
Priority to KR1020130076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355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3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35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14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 E04B2/16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 E04B2/20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by filling material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in small channels in, or in grooves between, th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Resins including glasfi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1Wood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taining wall and a plantable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to a retaining wall for allowing ornamental plants to sustainably grow on the front surface of a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a plantable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the sam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taining wall for allowing ornamental plants to sustainably grow on the front surface of a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a plantable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the same in order to resolve the problems of a conventional retaining wall which is not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is not familiar to pedestrians and residents because of its concrete surface.

Description

식생 옹벽 축조물{PLANTABLE RETAINING WALL STRUCTURE}Vegetation Retaining Wall Construction {PLANTABLE RETAINING WALL STRUCTURE}

본 발명은 옹벽 블록과 이를 이용한 식생 옹벽 축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옹벽 축조물 전면 부분에 관상용 식물이 지속적으로 생장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옹벽 블록과 이를 이용한 식생 옹벽 축조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taining wall block and a vegetation retaining wall construction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taining wall block and a vegetation retaining wall construction using the same to ensure that the ornamental plant is continuously grown in the front part of th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옹벽(擁壁: Retaining Wall)이란 토압력에 저항하여 흙이 무너지지 않게 세워지는 벽체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지표지반의 안정된 경사보다 가파른 흙을 쌓거나 또는 산을 깎을 때에 발생하는 지반 붕괴를 막기 위해 만든 구조물이다.A retaining wall is a wall that is built up against earth pressure to prevent the earth from falling, and it is usually made to prevent the earth from collapsing when building a steep slope or slashing a mountain It is a structure.

이러한 종래의 옹벽 종류로는 블록쌓기 옹벽과, 중력(重力)식 콘크리트 옹벽 및 특수 철근 콘크리트 옹벽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쌓기 옹벽은 예로부터 널리 쓰이는 축벽(築壁)이 이에 속하며 현재는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하여 시공을 한다. 또한, 예를 들어, 중력식 콘크리트 옹벽은 콘크리트 자체의 중량으로 지반의 붕괴를 막아내는 구조로서 비교적 높이가 낮은 경우에 주로 채택된다. 또한, 예를 들어, 특수 철근 콘크리트 옹벽은 옹벽의 높이가 커져서 중력식 콘크리트 옹벽으로는 경제적이지 않거나 벽면을 수직으로 하여 용지(用地)의 이용을 유리하게 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이용된다.Examples of such conventional retaining walls include block retaining walls, gravity concrete retaining walls, and special reinforcing concrete retaining walls. For example, the block piling retaining wall belongs to a widely used axial wall (building wall) from now on, and it is constructed by using a concrete block now. Also, for example, a gravity concrete retaining wall is a structure that prevents the collapse of the ground by the weight of the concrete itself, and is mainly adopted when the height is relatively low. In addition, for example, special reinforced concrete retaining walls are used when the height of retaining walls is so large that it is not economical for the gravity concrete retaining walls or if it is necessary to make the wall vertical so that the use of the paper is advantageous.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옹벽들은 모두 콘크리트 외관 구조를 가지게 되므로 자연 친화적이지 못하며, 주변 보행자 또는 거주자들에게도 친숙하지 못하다.However, these conventional retaining walls all have a concrete appearance structure, so they are not friendly to nature, and are not familiar to nearby pedestrians or residents.

이에 따라, 수목의 식생이 가능하고 외관이 유려하며, 특히 식생된 수목을 지속적으로 생장시킬 수 있는 식생 옹벽 축조물의 도입이 요구된다.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vegetation retaining wall construction that is capable of vegetation of trees and has a beautiful appearance, and is capable of continuously growing vegetated trees.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착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옹벽 축조물 전면 부분에 관상용 식물이 지속적으로 생장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옹벽 블록과 이를 이용한 식생 옹벽 축조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taining wall block and a vegetation retaining wall construction using the same to ensure that the ornamental plants can continuously grow in the front part of th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상술한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형태는, 식생 가능한 옹벽 축조물로서, 제 1 식생 블록과 제 2 식생 블록이 연달아 나열되어 구성되는 하층 구조물과, 상기 하층 구조물의 상층부에 설치되는 상층 구조물로서, 좌측 제 3 식생 블록 및 우측 제 3 식생 블록이 연달아 나열되어 구성되는, 상기 상층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식생 블록은 바닥면, 전면벽, 좌측벽, 우측벽 및 후방의 연통 개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식생 블록은 바닥면, 전면벽, 좌측벽, 우측벽 및 후면벽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후면벽의 상부 중앙에는 봉 형태의 지반 보강재 통과용 관통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후면벽의 상부 좌측 및 우측의 각각에는 띠 형태의 지반 보강재가 걸쳐지는 제 1 틈새부 및 제 2 틈새부가 더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좌측 제 3 식생 블록은 바닥면, 전면벽, 좌측벽, 우측벽, 후면벽 및 경사 절각면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경사 절각면은 상기 전면벽의 일 부분으로부터 상기 우측벽의 일 부분까지 경사지게 자른 형상의 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우측 제 3 식생 블록은 상기 좌측 제 3 식생 블록과 거울 대칭되는 구조 이루어지는 식생 가능한 옹벽 축조물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antable retaining wall structure, which is provided with a lower layer structure in which a first vegetation block and a second vegetation block are arranged in a row, and an upper layer portion of the lower layer structure. An upper layer structure comprising the upper layer structure in which a left third vegetation block and a right third vegetation block are arranged in a row, the first vegetation block communicating with a bottom surface, a front wall, a left wall, a right wall, and a rear wall. The second vegetation block is made of an open portion, and consists of a bottom surface, a front wall, a left wall, a right wall and a rear wall, and a through groove for passing ground reinforcement in the form of a rod is formed in the upper center of the rear wall. Each of the upp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ar wall further includes a first gap portion and a second gap portion through which a strip-shaped ground reinforcing material extends, and the left third expression The block consists of a bottom surface, a front wall, a left wall, a right wall, a rear wall, and an inclined articulation surface, wherein the inclined articulation surface is formed by a surface cut inclined from a part of the front wall to a part of the right wall. And the right third vegetation block provides a vegetabl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comprising a structure that is mirror symmetric with the left third vegetation block.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 1 식생 블록의 상기 좌측벽 및 상기 우측벽의 각각의 외면에는 결합 수단(M)이 삽입 또는 해제될 수 있는 블록 결합용 홈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each of the outer surface of the left side wall and the right side wall of the first vegetation block may be formed in each of the block coupling groove that can be inserted or released coupling means (M).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 2 식생 블록의 상기 좌측벽 및 상기 우측벽의 각각의 외면에는 결합 수단(M)이 삽입 또는 해제될 수 있는 블록 결합용 홈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each of the outer surface of the left side wall and the right side wall of the second vegetation block may be formed in each of the block coupling groove that can be inserted or released coupling means (M).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좌측 제 3 식생 블록의 상기 좌측벽의 외면에는 결합 수단(M)이 삽입 또는 해제될 수 있는 블록 결합용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우측 제 3 식생 블록은 상기 좌측 제 3 식생 블록과 거울 대칭되는 구조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outer surface of the left side wall of the left third vegetation block can be formed a block coupling groove that can be inserted or released coupling means (M), the right third vegetation block is the left The third vegetation block and a mirror symmetrical structure can be made.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 1 식생 블록의 상부에는, 상기 좌측 제 3 식생 블록의 상기 경사 절각면과 상기 우측 제 3 식생 블록의 상기 경사 절각면에 의해 이루어지는 반전된 V 자 형태의 식생용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inverted V-shaped vegetation spac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vegetation block by the inclined joint surface of the left third vegetation block and the inclined joint surface of the right third vegetation block An addition can be formed.

또한, 상술한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형태는, 식생 가능한 옹벽 축조물로서, 좌측 하단 식생 블록과 우측 하단 식생 블록이 연달아 나열되어 구성되는 하층 구조물과, 상기 하층 구조물의 상층부에 설치되는 상층 구조물로서, 상단 식생 블록이 연달아 나열되어 구성되는, 상기 상층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우측 하단 식생 블록은 바닥면, 전면벽, 좌측벽 및 우측벽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우측 하단 식생 블록의 상기 좌측벽과 상기 전면벽 사이에는 제 1 연통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우측 하단 식생 블록의 후방 부분에는 제 2 연통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좌측 하단 식생 블록은 상기 우측 하단 식생 블록과 거울 대칭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단 식생 블록은 바닥면, 전면벽, 좌측벽, 우측벽, 후면벽 및 상단벽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바닥면 중의 상기 전면벽과 만나는 영역과 상기 전면벽 중의 상기 바닥면과 만나는 영역이 개방되어 있는 식생 가능한 옹벽 축조물을 제공한다.In additio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vegetable retaining wall structure, the lower left vegetation block and the lower right vegetation block is arranged in a row arranged in the upper layer portion of the lower layer structure An upper layer structure to be installed, wherein the upper vegetation block comprises the upper structure, which is arranged in succession, wherein the lower right vegetation block is composed of a bottom surface, a front wall, a left wall and a right wall, of the lower right vegetation block A first communication opening is formed between the left wall and the front wall, and a second communication opening is formed at a rear portion of the lower right vegetation block, and the lower left vegetation block is mirror symmetric with the lower right vegetation block. The upper vegetation block is made of a bottom surface, front wall, left wall, right wall, rear wall And a top wall, wherein the area that meets the front wall of the bottom surface and the area that meets the bottom surface of the front wall are open.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우측 하단 식생 블록의 상기 우측벽의 외면에는 결합 수단(M)이 삽입 또는 해제될 수 있는 블록 결합용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좌측 하단 식생 블록은 상기 우측 하단 식생 블록과 거울 대칭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outer surface of the right side wall of the lower right vegetation block can be formed a block coupling groove that can be inserted or released coupling means (M), the lower left vegetation block is the lower right vegetation It may have a structure that is mirror symmetric with the block.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상단 식생 블록의 상기 좌측벽 및 상기 우측벽의 각각의 외면에는 결합 수단(M)이 삽입 또는 해제될 수 있는 블록 결합용 홈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each of the outer surface of the left side wall and the right side wall of the upper vegetation block may be formed in each of the block coupling groove that can be inserted or released coupling means (M).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좌측 하단 식생 블록 및 상기 우측 하단 식생 블록의 상부에는 상기 상단 식생 블록에 의해 이루어지는 직사각 형태의 식생용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a rectangular vegetation space portion formed by the upper vegetation block may be formed on the upper left lower vegetation block and the upper right lower vegetation block.

또한, 상술한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형태는, 옹벽 블록으로서, 바닥면, 전면벽, 좌측벽, 우측벽 및 후면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면벽의 상부 중앙에는 봉 형태의 지반 보강재 통과용 관통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후면벽의 상부 좌측 및 우측의 각각에는 띠 형태의 지반 보강재가 걸쳐지는 제 1 틈새부 및 제 2 틈새부가 더 형성되어 있는 옹벽 블록을 제공한다.In additio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taining wall block, which consists of a bottom surface, a front wall, a left wall, a right wall and a rear wall, the rod in the upper center of the rear wall It provides a retaining wall block formed with a through groove for passing the ground reinforcement in the form, and each of the upper left and right of the rear wall is further formed with a first gap and a second gap through which the strip reinforcement is laid. .

바람직한 실시에에 따라 상기 옹벽 블록은 콘크리트재, 석재,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합성수지재, 목재, 또는 금속재 중의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retaining wall block may be formed of any one of concrete, stone,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synthetic resin, wood, or metal.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식생 옹벽 축조물 구조의 일부분을 나타낸 도면.
도 2a 및 도 2b는 상기 도 1의 식생 옹벽 축조물 구조에 적용되는 제 1 식생 블록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a 및 도 3b는 상기 도 1의 식생 옹벽 축조물 구조에 적용되는 제 2 식생 블록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상기 도 1의 식생 옹벽 축조물 구조에 적용되는 제 3 식생 블록(30a, 30b)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식생 옹벽 축조물 구조의 일부분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상기 도 5의 식생 옹벽 축조물 구조에 적용되는 하단 식생 블록(50a, 50b)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a 및 도 7b는 상기 도 5의 식생 옹벽 축조물 구조에 적용되는 상단 식생 블록(6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식생 옹벽 축조물 구조와 제 2 실시예에 따른 식생 옹벽 축조물 구조가 조합된 종합 옹벽 축조물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계단식 식생 옹벽 축조물 구조 및 이에 적용된 계단식용 식생 블록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식생 옹벽 축조물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1 is a view showing a part of the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and 2B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first vegetation block applied to the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structure of FIG.
3A and 3B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second vegetation block applied to the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structure of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third vegetation block (30a, 30b) applied to the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of FIG.
5 is a view showing a portion of a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structu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lower vegetation blocks (50a, 50b) applied to the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of FIG.
7A and 7B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upper vegetation block 60 applied to the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structure of FIG.
8 is a view showing a composite retaining wall structure structure in which the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structu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re combined.
9A to 9C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stepped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the stepped vegetation block applied thereto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A to 10C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 및 그 작용들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설명되는 것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re set forth to assist in understand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1 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식생 옹벽 축조물 구조(1)의 일부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a와 도 2b는 식생 옹벽 축조물 구조(1)에 적용되는 제 1 식생 블록(1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a와 도 3b는 식생 옹벽 축조물 구조(1)에 적용되는 제 2 식생 블록(2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식생 옹벽 축조물 구조(1)에 적용되는 제 3 식생 블록(30a, 30b)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portion of the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structure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a and 2b is a view of the first vegetation block 10 applied to the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structure (1) 3A and 3B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second vegetation block 20 applied to the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structure 1, and FIG. 4 is a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structure 1.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third vegetation block (30a, 30b) to be applied to.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식생 옹벽 축조물 구조(1)는 제 1 식생 블록(10)과 제 2 식생 블록(20)이 교번적으로 반복되는 형태로 직선 나열되는 제 1 층 구조물과, 상기 제 1 층 구조물의 상층부로서 거울 대칭 구조를 이루는 좌측 제 3 식생 블록(30a) 및 우측 제 3 식생 블록(30b)이 교번적으로 반복되는 형태로 직선 나열되는 제 2 층 구조물이 소정 높이까지 반복 축조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First, referring to FIG. 1, the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structure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nearly arranged in a form in which the first vegetation block 10 and the second vegetation block 20 are alternately repeated. The second layer in which the first layer structure and the left third vegetation block 30a and the right third vegetation block 30b, which form a mirror symmetric structure as an upper layer of the first layer structure, ar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alternately repeating. The structure is made of a structure that is repeatedly constructed to a predetermined height.

이에 따라, 제 1 층 구조물과 제 2 층 구조물의 사이에는 식생용 공간부(40)가 형성되며, 이 식생용 공간부(40)는 옹벽 축조물 구조(1)의 배면에 위치되는 토사 지반과 직접 연결되는 토사 충진용 공간부(S)와 연통되는 구조를 이루게 되므로, 토사 충진용 공간부(S)에 식재된 화초 등에 대해 지속적으로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으며, 특히 토사 충진용 공간부(S)에 식재된 화초 등의 뿌리가 제 1 식생 블록(10)의 연통 개방부(150)(도 2a 참조)를 통하여 토사 지반으로 뻗어나갈 수 있으므로, 가뭄 등의 특별한 상황이 아니라면 화초 등이 고사할 가능성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vegetation space portion 40 is formed between the first layer structure and the second layer structure, and the vegetation space portion 40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soil ground loc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structure 1. Since it forms a structure in communication with the connected soil filling space (S),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supply nutrients to plants and the like planted in the soil filling space (S), in particular to the soil filling space (S) Roots such as planted plants may extend to the soil ground through the communication opening 150 (see FIG. 2A) of the first vegetation block 10, so that the plants may die unless there is a special situation such as a drought. It can be completely blocked.

이하에서는, 도 2a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제 1 층 구조물을 구성하는 제 1 식생 블록(10)과 제 2 식생 블록(20) 및 제 2 층 구조물을 구성하는 좌측 제 3 식생 블록(30a)과 우측 제 3 식생 블록(30b)의 구조를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S. 2A to 4, the first vegetation block 10 constituting the first layer structure, the second vegetation block 20, and the left third vegetation block 30a constituting the second layer structure will be described. And the structure of the right third vegetation block 30b.

먼저, 도 2a를 참조하면, 제 1 층 구조물을 구성하는 제 1 식생 블록(10)은 기본적으로 바닥면(110), 전면벽(120), 좌측벽(130) 및 우측벽(140)으로 구성되며, 제 1 식생 블록(10)의 후측부분은 개방부(이하, "연통 개방부")(150)를 이루고 있으므로, 옹벽 축조시 제 1 식생 블록(10)의 내부 공간부(이하, "토사 충진용 공간부")(S)는 옹벽 축조물 구조(1)의 배면에 위치된 토사 지반까지 연통되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First, referring to FIG. 2A, the first vegetation block 10 constituting the first layer structure basically includes a bottom surface 110, a front wall 120, a left wall 130, and a right wall 140. Since the rear side portion of the first vegetation block 10 forms an open portion (hereinafter, “communication opening portion”) 150, an inner space portion of the first vegetation block 10 (hereinafter, “soil and sand”) is formed when the retaining wall is constructed. Filling space portion ") (S) is to form a structure in communication with the earth and sand ground locat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1).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 1 식생 블록(10)의 좌측벽(130) 및 우측벽(140)의 각각의 외면에는 결합 수단(M)이 삽입 또는 해제될 수 있는 블록 결합용 홈(131, 14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식생 블록(10)과 제 2 식생 블록(20)을 서로 면접시킨 이후에 그 면접하는 부분의 블록 결합용 홈(131, 141)에 결합 수단(M)을 삽입하는 방법을 통하여 제 1 식생 블록(10)과 제 2 식생 블록(20)을 서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도 2a 및 이후의 도면들에서는 결합 수단(M)이 사각 기둥 형상을 갖고, 블록 결합용 홈(131, 141)이 이것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하겠지만, 이것은 설명을 위한 단순 예시일 뿐이며, 그 밖의 원 기둥 형상, 삼각 기둥 형상 등의 입체 형상 또는 판상 형상 등으로 이루어진 결합 수단 및 그에 대응하는 형상의 블록 결합용 홈이 또한 고려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each of the outer surface of the left side wall 130 and the right side wall 140 of the first vegetation block 10 grooves for joining blocks 131, 141 into which the coupling means M can be inserted or released. ) May be formed. Accordingly, after the first vegetation block 10 and the second vegetation block 20 are interviewed with each other, the coupling means M is inserted into the block coupling grooves 131 and 141 of the portions to be interviewed. The first vegetation block 10 and the second vegetation block 20 may be firmly fixed to each other. Meanwhile, in FIG. 2A and the subsequent drawings, the coupling means M has a rectangular columnar shape, and the block coupling grooves 131 and 141 have a shape corresponding thereto, but this is a simple example for explana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other means of joining, consisting of a three-dimensional or plate-like shape such as a circular columnar shape, a triangular columnar shape, and the like, and a groove for block-blocking of a shape corresponding thereto may also be considered.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 1 식생 블록(10)의 좌측벽(130) 및 우측벽(140)의 각각의 외면에는 블록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토사 충진용 홈(132, 142)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식생 블록(10)과 제 2 식생 블록(20)을 서로 면접시킨 이후에 그 면접하는 부분의 토사 충진용 홈(132, 142)에 토사를 충진(또한, 그 이후에 다짐 작업을 수행)한 경우에는, 그 충진된 토사의 마찰력에 의해 제 1 식생 블록(10)과 제 2 식생 블록(20)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의 블록이 미끄러지거나 어긋나거나 붕괴되는 등의 상황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each of the outer surface of the left side wall 130 and the right side wall 140 of the first vegetation block 10 is further formed with soil filling grooves (132, 142) to prevent the collapse of the block. Can be. Accordingly, after the first vegetation block 10 and the second vegetation block 20 are interviewed with each other, the earth and sand is filled in the soil filling grooves 132 and 142 at the portion to be interviewed (and the compaction work thereafter. In this case, any one or more of the first vegetation block 10 and the second vegetation block 20 can be slipped, displaced or collapsed by the frictional force of the filled soil. do.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 1 식생 블록(10)의 좌측벽(130) 및 우측벽(140)의 각각의 내면에는 토사 충진용 공간부(S)를 구분짓는 경계를 이루는 구획 돌출부(133, 143)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inner surface of each of the left side wall 130 and the right side wall 140 of the first vegetation block 10, the partition projections 133, 143 forming a boundary for separating the soil filling space (S) ) May be further formed.

다음으로, 도 2b를 참조하면, 옹벽을 축조함에 있어서, 제 1 층 구조물을 구성하는 식생 블록들간의 결합은 제 1 식생 블록(10)과 제 1 식생 블록(10), 또는 제 2 식생 블록(20)과 제 2 식생 블록(20), 또는 제 1 식생 블록(10)과 제 2 식생 블록(20)간이 서로 면접하는 형태로 나열될 수도 있지만, 그 블록들 간의 사이에 별도의 판넬(P)을 개재하는 방식으로 나열될 수도 있다.Next, referring to FIG. 2B, in constructing the retaining wall, the coupling between the vegetation blocks constituting the first layer structure may include the first vegetation block 10 and the first vegetation block 10, or the second vegetation block ( 20) and the second vegetation block 20, or the first vegetation block 10 and the second vegetation block 20 may be arranged in the form of an interview with each other, a separate panel (P) between the blocks May be listed in such a way as to intervene.

예를 들어,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의 제 1 식생 블록(10)에 형성된 블록 결합용 홈(141)과 우측의 제 1 식생 블록(10)에 형성된 블록 결합용 홈(131)에 판넬(P)의 양측단을 각각 삽입하는 방식으로 좌측의 제 1 식생 블록(10)과 우측의 제 1 식생 블록(10)을 서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도 2b에는 좌측의 제 1 식생 블록(10)과 우측의 제 1 식생 블록(10) 사이에 판넬(P)이 삽입되어 서로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제 2 식생 블록(20)들간 또는 제 1 식생 블록(10)과 제 2 식생 블록(20) 간에도 판넬(P)이 삽입되어 서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2B, a panel is provided in the block coupling groove 141 formed in the first vegetation block 10 on the left side and the block coupling groove 131 formed in the first vegetation block 10 on the right side. The first vegetation block 10 on the left side and the first vegetation block 10 on the right side may be firmly fixed to each other by inserting both ends of (P). Meanwhile, although FIG. 2B illustrates that the panel P is inserted between the first vegetation block 10 on the left side and the first vegetation block 10 on the right side, the panel P is firmly fixed to each other.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panel P can also be inserted and firmly fixed to each other or between the first vegetation block 10 and the second vegetation block 20.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식생 옹벽 축조물 구조(1)를 구성하는 제 1 층 구조물 및 제 2 층 구조물의 각 블록은 콘크리트, 자연석, 인조석,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합성수지재, 목재, 또는 금속재 중의 어느 하나의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판넬(P)은 콘크리트, 자연석, 인조석,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합성수지재, 목재, 또는 금속재 중의 어느 하나의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each block of the first layer structure and the second layer structure constituting the vegetation retaining wall construction structure 1 is any one of concrete, natural stone, artificial stone,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synthetic resin, wood, or metal material. It may be composed of a material. Similarly, the panel P may be made of any one material of concrete, natural stone, artificial stone,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synthetic resin material, wood, or metal material.

다음으로, 도 3a를 참조하면, 제 1 층 구조물을 구성하는 제 2 식생 블록(20)은 기본적으로 바닥면(210), 전면벽(220), 좌측벽(230), 우측벽(240) 및 후면벽(250)으로 구성되며, 그 바닥면(210)과 전면벽(220)과 좌측벽(230)과 우측벽(240)과 후면벽(250)의 사이에는 소정 내부 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Next, referring to FIG. 3A, the second vegetation block 20 constituting the first layer structure is basically a bottom surface 210, a front wall 220, a left wall 230, a right wall 240, and It is composed of a rear wall 250,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S) is form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210 and the front wall 220 and the left wall 230 and the right wall 240 and the rear wall 250 Can be.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 2 식생 블록(20)의 좌측벽(230) 및 우측벽(240)의 각각의 외면에는 결합 수단(M)이 삽입 또는 해제될 수 있는 블록 결합용 홈(231, 24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식생 블록(20)과 제 1 식생 블록(10)을 서로 면접시킨 이후에 그 면접하는 부분의 블록 결합용 홈(231, 241)에 결합 수단(M)을 삽입하는 방법을 통하여 제 2 식생 블록(20)과 제 1 식생 블록(10)을 서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each of the outer surface of the left wall 230 and the right wall 240 of the second vegetation block 20, the coupling means (M) for the block coupling grooves (231, 241) can be inserted or released ) May be formed. Accordingly, after the second vegetation block 20 and the first vegetation block 10 are interviewed with each other, the coupling means M is inserted into the block coupling grooves 231 and 241 of the part to be interviewed. The second vegetation block 20 and the first vegetation block 10 may be firmly fixed to each other.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 2 식생 블록(20)의 좌측벽(230) 및 우측벽(240)의 각각의 외면에는 블록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토사 충진용 홈(232, 242)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식생 블록(20)과 제 1 식생 블록(10)을 서로 면접시킨 이후에 그 면접하는 부분의 토사 충진용 홈(S)에 토사를 충진(또한, 다짐 작업도 수행)한 경우에는, 그 충진된 토사의 마찰력에 의해 제 2 식생 블록(20)과 제 1 식생 블록(10)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의 블록이 미끄러지거나 어긋나거나 붕괴되는 등의 상황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each of the outer surface of the left side wall 230 and the right side wall 240 of the second vegetation block 20 is further formed with soil filling grooves (232, 242) to prevent the collapse of the block Can be. Accordingly, after the second vegetation block 20 and the first vegetation block 10 are interviewed with each other, the earth and sand is filled in the soil filling groove S of the portion to be interviewed (and also the compaction operation is performed).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ituation in which any one or more of the second vegetation block 20 and the first vegetation block 10 slips, shifts or collapses due to the frictional force of the filled soil.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 2 식생 블록(20)의 후면벽(250)에는 옹벽 축조시에 블록(20)의 뒤쪽에 위치되는 토사 지반으로부터 연장되는 봉 형태의 지반 보강재(A)(예컨대,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앵커나 소일 네일)가 관통하는 구조의 관통홈(251)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홈(251)을 관통한 봉 형태의 지반 보강재(A)의 선단에는 상기 지반 보강재(A)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조의 지지 플레이트(A-1)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A-1)를 압착 고정하는 고정용 너트(A-2)가 설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back wall 250 of the second vegetation block 20 has a rod-like ground reinforcement A extending from the soil ground located behind the block 20 when the retaining wall is constructed (eg, FIG. Through holes 251 having a structure through which anchors or sole nails, as shown in 3b), may be formed.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3b, the support plate (A-1) and the structure of preventing the separation of the ground reinforcement (A) at the tip of the rod-shaped ground reinforcement (A) through the through groove 251 A fixing nut A-2 for compressing and fixing the support plate A-1 may be installed.

다시 도 3a를 참조하면,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 2 식생 블록(20)의 후면벽(250)과 좌측벽(230) 사이 및 후면벽(250)과 우측벽(240) 사이에는, 옹벽 축조시에 블록(20)의 뒤쪽에 위치되는 토사 지반으로부터 연장되는 띠 형태의 지반 보강재(B)(예컨대, 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은 그리드)가 걸쳐지는 구조의 제 1 틈새부(252a) 및 제 2 틈새부(252b)가 더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3A,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retaining wall construction between the back wall 250 and the left wall 230 and between the back wall 250 and the right wall 240 of the second vegetation block 20. A first gap portion 252a and a second structure having a band-like ground reinforcement B (eg, a grid as shown in FIG. 3C) that extends from the soil ground located behind the block 20 at the time. The gap portion 252b may be further formed.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제 2 층 구조물을 구성하는 좌측 제 3 식생 블록(30a)은 기본적으로 바닥면(310), 전면벽(320), 좌측벽(330), 우측벽(340), 후면벽(350) 및 경사 절각면(360)으로 구성되며, 여기서 경사 절각면(360)은 전면벽(320)과 우측벽(340)을 경사지게 자른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Next, referring to FIG. 4, the left third vegetation block 30a constituting the second layer structure basically has a bottom surface 310, a front wall 320, a left wall 330, and a right wall 340. , The rear wall 350 and the inclined articulation surface 360, wherein the inclined articulation surface 360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front wall 320 and the right wall 340 are inclinedly cut.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좌측 제 3 식생 블록(30a)의 좌측벽(330)의 외면에는 결합 수단(M)이 삽입 또는 해제될 수 있는 블록 결합용 홈(331)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an outer surface of the left side wall 330 of the left third vegetation block 30a may be formed with a block coupling groove 331 through which the coupling means M may be inserted or released.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좌측 제 3 식생 블록(30a)의 좌측벽(330) 및 우측벽(340)의 각각의 내면에는 토사 충진용 공간부(S)를 구분짓는 경계를 이루는 구획 돌출부(333, 343)가 더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inner surface of each of the left side wall 330 and the right side wall 340 of the left third vegetation block (30a) partition projections 333 forming a boundary for separating the soil filling space (S), 343 may be further formed.

한편, 제 2 층 구조물을 구성하는 우측 제 3 식생 블록(30b)(도 1 참조)은 좌측 제 3 식생 블록(30a)과 거울 대칭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right third vegetation block 30b (see FIG. 1) constituting the second layer structure may be configured to have a mirror symmetry with the left third vegetation block 30a.

다시 도 1을 함께 참조하면,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옹벽 축조시에는 좌측 제 3 식생 블록(30a)의 경사 절각면(360)과 우측 제 3 식생 블록(30b)의 경사 절각면(360)이 제 1 식생 블록(10)의 토사 충진용 공간부(S) 위에 놓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식생 블록(10)의 토사 충진용 공간부(S) 위에는 좌측 제 3 식생 블록(30a)의 경사 절각면(360)과 우측 제 3 식생 블록(30b)의 경사 절각면(360)에 의해 이루어지는 반전된 V 자 형태의 식생용 공간부(40)가 형성된다. 즉, 식생용 공간부(40)는 옹벽 축조물 구조(1)의 배면에 위치되는 토사 지반과 직접 연결되는 토사 충진용 공간부(S)와 연통되는 구조를 이루게 되므로, 토사 충진용 공간부(S)에 식재된 화초 등에 대해 지속적으로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으며, 특히 토사 충진용 공간부(S)에 식재된 화초 등의 뿌리가 제 1 식생 블록(10)의 연통 개방부(150)를 통하여 외부의 토사 지반으로 뻗어나갈 수 있으므로, 가뭄 등의 특별한 상황이 아니라면 화초 등이 고사할 가능성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게 된다.
Referring again to FIG.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when the retaining wall is constructed, the inclined interfacial surface 360 of the left third vegetation block 30a and the inclined interfacial surface 360 of the right third vegetation block 30b are formed. The first vegetation block 10 may be disposed to be placed on the soil filling space (S). Accordingly, the inclined angled surface 360 of the left third vegetation block 30a and the inclined angled surface 360 of the right third vegetation block 30b on the soil filling space S of the first vegetation block 10. The inverted V-shaped vegetation space portion 40 formed by) is formed. That is, since the vegetation space portion 40 forms a structure in communication with the soil filling space (S) tha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soil ground loc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1), the soil filling space (S) Nutrients can be continuously supplied to plants and the like planted, and the roots of plants and the like planted in the soil part S for filling soils through the communication opening 150 of the first vegetation block 10. Since it can extend to the ground, it is possible to completely block the possibility that the flowers will die unless there is a special situation such as a drought.

[제 2 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식생 옹벽 축조물 구조(2)의 일부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식생 옹벽 축조물 구조(2)에 적용되는 하단 식생 블록(50a, 50b)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식생 옹벽 축조물 구조(2)에 적용되는 상단 식생 블록(6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 part of the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structure 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tructure of the lower vegetation blocks (50a, 50b) applied to the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structure (2)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upper vegetation block 60 applied to the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2.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식생 옹벽 축조물 구조(2)는 좌측 하단 식생 블록(50a)과 우측 하단 식생 블록(50b)이 교번적으로 반복되는 형태로 직선 나열되는 제 1 층 구조물과, 상기 제 1 층 구조물의 상층부로서 상단 식생 블록(60)이 직선 나열되는 제 2 층 구조물이 소정 높이까지 반복 축조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First, referring to FIG. 5, the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nearly arranged in a form in which the lower left vegetation block 50a and the lower right vegetation block 50b are alternately repeated. The first layer structure and the second layer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vegetation block 60 is arranged in a straight line as the upper layer portion of the first layer structure are repeatedly constructed to a predetermined height.

이에 따라, 제 1 층 구조물과 제 2 층 구조물 사이에는 식생용 공간부(70)가 형성되며, 이 식생용 공간부(70)는 옹벽 축조물 구조(2)의 배면에 위치되는 토사 지반과 직접 연결되는 토사 충진용 공간부(S)와 연통되는 구조를 이루게 되므로, 토사 충진용 공간부(S)에 식재된 화초 등에 대해 지속적으로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으며,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토사 충진용 공간부(S)에 식재된 화초 등의 뿌리가 두 개의 하단 식생 블록(50a, 50b)의 연통 개방부들(550)을 통하여 토사 지반으로 뻗어나갈 수 있으므로(도 7a 참조), 도 1에 나타낸 제 1 실시예의 식생 옹벽 축조물 구조(2)에 비해 화초 등의 생존 가능성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a vegetation space portion 70 is formed between the first layer structure and the second layer structure, and the vegetation space portion 70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soil ground loc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structure 2. Since the structure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soil filling space (S) that is being made,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supply nutrients to the plants and the like planted in the soil filling space (S), in particular in this embodiment the soil filling space ( Since roots of plants and the like planted in S) can extend to the soil ground through the communication openings 550 of the two lower vegetation blocks 50a and 50b (see FIG. 7A),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 Compared with the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2),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rease the viability of flowers and the like.

이하에서는, 도 6과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제 1 층 구조물을 구성하는 좌측 하단 식생 블록(50a)과 우측 하단 식생 블록(50b) 및 제 2 층 구조물을 구성하는 상단 식생 블록(60)의 구조를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S. 6 and 7A and 7B, the lower left vegetation block 50a constituting the first layer structure, the lower right vegetation block 50b and the upper vegetation block 60 constituting the second layer structure will be described. Explain the structure of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제 1 층 구조물을 구성하는 우측 하단 식생 블록(50b)은 기본적으로 바닥면(510), 전면벽(520), 좌측벽(530) 및 우측벽(540)으로 구성되며, 우측 하단 식생 블록(50b)의 좌측벽(530)과 전면벽(520)의 사이에는 제 1 연통 개방부(530-1)가 형성되어 있고, 우측 하단 식생 블록(50b)의 후측 부분에는 제 2 연통 개방부(550)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연통 개방부(530-1)는 옹벽 축조시에 우측 하단 식생 블록(50b)이 좌측 하단 식생 블록(50a)에 면접하도록 조립되는 경우에 있어서, 우측 하단 식생 블록(50b)의 토사 충진용 공간부(S)가 좌측 하단 식생 블록(50a)의 토사 충진용 공간부(S)와 서로 연통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제 2 연통 개방부(550)는 옹벽 축조시에 토사 충진용 공간부(S)가 옹벽 축조물 구조(2)의 배면에 위치된 토사 지반까지 연통되는 구조를 이루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First, referring to FIG. 6, the lower right vegetation block 50b constituting the first layer structure basically includes a bottom surface 510, a front wall 520, a left wall 530, and a right wall 540. The first communication opening 530-1 is formed between the left wall 530 and the front wall 520 of the lower right vegetation block 50b, and the rear portion of the lower right vegetation block 50b The second communication opening 550 is formed. Here, in the case where the first lower right vegetation block 50b is assembled to interview the lower left vegetation block 50a at the time of th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the first communication opening 530-1 is earth and sand of the right lower vegetation block 50b. The filling space (S) is to function to communicate with the earth and sand filling space (S) of the lower left vegetation block (50a). In addition, the second communication opening 550 functions to form a structure in which the earth and sand filling space S communicates with the earth and sand ground loc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2 when the retaining wall is constructed.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우측 하단 식생 블록(50b)의 우측벽(540)의 외면에는 결합 수단(M)이 삽입 또는 해제될 수 있는 블록 결합용 홈(54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우측 하단 식생 블록(50b)의 우측벽(540)과 좌측 하단 식생 블록(50a)의 좌측벽(530)을 서로 면접시키는 경우에는, 우측 하단 식생 블록(50b)의 블록 결합용 홈(541) 및 좌측 하단 식생 블록(50a)의 대응 홈에 결합 수단(M)을 삽입하는 방법을 통하여 우측 하단 식생 블록(50b)과 좌측 하단 식생 블록(50a)을 서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outer surface of the right side wall 540 of the lower right vegetation block 50b may be formed with a block coupling groove 541 through which the coupling means M can be inserted or released. Accordingly, when the right side wall 540 of the lower right vegetation block 50b and the left side wall 530 of the lower left vegetation block 50a are interviewed with each other, the groove for joining the blocks of the lower right vegetation block 50b ( 541 and the lower right vegetation block 50b and the lower left vegetation block 50a can be firmly fixed to each other by inserting the coupling means M into the corresponding grooves of the lower left vegetation block 50a.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우측 하단 식생 블록(50b)의 우측벽(540)의 외면에는 블록의 외면에는 블록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토사 충진용 홈(542)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우측 하단 식생 블록(50b)과 좌측 하단 식생 블록(50a)을 서로 면접시킨 이후에 그 면접하는 부분의 토사 충진용 홈에 토사를 충진(또한, 그 이후에 다짐 작업을 수행)한 경우에는, 그 충진된 토사의 마찰력에 의해 좌측 하단 식생 블록(50a)과 우측 하단 식생 블록(50b)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의 블록이 미끄러지거나 어긋나거나 붕괴되는 등의 상황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outer surface of the right side wall 540 of the lower right vegetation block 50b may be further formed with a soil filling groove 542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lock to prevent the collapse of the block. Accordingly, when the bottom right vegetation block 50b and the bottom left vegetation block 50a are interviewed with each other, and then the soil is filled in the soil filling groove at the portion to be interviewed (also, a compaction operation is performed thereafter).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ituation such that any one or more blocks of the lower left vegetation block 50a and the lower right vegetation block 50b slip, shift or collapse due to the frictional force of the filled soil.

바람직한 실시에에 따라, 우측 하단 식생 블록(50b)의 좌측벽(530) 및 우측벽(540)의 각각의 내면에는 토사 충진용 공간부(S)를 구분짓는 경계를 이루는 구획 돌출부(533, 543)가 더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respective inner surfaces of the left side wall 530 and the right side wall 540 of the lower right vegetation block 50b form partition projections 533 and 543 which form a boundary separating the soil filling space S. ) May be further formed.

다시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좌측 하단 식생 블록(50)은 우측 하단 식생 블록(50b)과 거울 대칭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Referring again to FIG. 5, the lower left vegetation block 50 may be formed in a mirror symmetrical structure with the lower right vegetation block 50b.

옹벽의 축조시에 있어서, 우측 하단 식생 블록(50b)의 제 1 연통 개방부(530-1)가 좌측 하단 식생 블록(50a)의 대응되는 제 1 연통 개방부(530-1)와 면접할 경우에는, 화초 등이 식생되는 공간인 우측 하단 식생 블록(50b)의 토사 충진용 공간부(S)와 좌측 하단 식생 블록(50a)의 토사 충진용 공간부(S)가 서로 연결되는 구조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식생용 공간부(70)를 통하여 옹벽 축조물 구조(2)의 외부에 드러나는 화초 등의 생존 공간이 더욱 확장되므로, 영양분의 수급 등에 있어서 식생에 매우 유리한 환경이 조성될 수 있다. 또한, 식생용 공간부(70)를 통하여 옹벽 축조물 구조(2)의 외부에 드러나는 화초 등의 뿌리가 우측 하단 식생 블록(50b)의 제 2 연통 개방부(550)와 좌측 하단 식생 블록(50a)의 제 2 연통 개방부(550)를 통해 동시에 배면쪽 토사로 뻗어나갈 수 있으므로(도 7a 참조), 화초 등의 생존에 절대적으로 유리하다.When the retaining wall is constructed, when the first communication opening 530-1 of the lower right vegetation block 50b is interviewed with the corresponding first communication opening 530-1 of the lower left vegetation block 50a. There is formed a structure in which the soil filling part S of the lower right vegetation block 50b, which is a space in which plants and the like are planted, and the soil filling part S of the lower left vegetation block 50a are connected to each other. . Accordingly, since the living space such as a flower tha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2 through the vegetation space portion 70 is further expanded, a very favorable environment for vegetation may be created in the supply and demand of nutrients. In addition, the roots of the flowers and the like, which ar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2 through the vegetation space 70, the second communication opening 550 and the lower left vegetation block 50a of the lower right vegetation block 50b. Since the second communication opening 550 can simultaneously extend to the back side earth and sand (see FIG. 7A), it is absolutely advantageous for survival of flowers and the like.

다음으로,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제 2 층 구조물을 구성하는 상단 식생 블록(60)은 기본적으로 바닥면(610), 전면벽(620), 좌측벽(630), 우측벽(640), 후면벽(650) 및 상단벽(660)으로 구성되며, 바닥면(610) 중의 전면벽(620)과 만나는 부분의 소정 면적(도면에서는 사각형상의 면적)과 전면벽(620) 중의 바닥면(610)과 만나는 부분의 소정 면적(도면에서는 사각형상의 면적)이 개방되어 있다.Next, referring to FIGS. 7A and 7B, the top vegetation block 60 constituting the second layer structure basically has a bottom surface 610, a front wall 620, a left wall 630, and a right wall 640. ), A rear wall 650, and a top wall 660, and a predetermined area (a square area in the drawing) of a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610 that meets the front wall 620 and a bottom surface of the front wall 620. The predetermined area (square area in the figure) of the part which meets 610 is opened.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단 식생 블록(60)의 좌측벽(630) 및 우측벽(640)의 각각의 외면에는 결합 수단(M)이 삽입 또는 해제될 수 있는 블록 결합용 홈(631, 64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 수단(M)은 필요에 따라 결합용 판넬(P)로 대체될 수 있음은 앞서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옹벽 축조물 구조(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outer surface of each of the left side wall 630 and the right side wall 640 of the upper vegetation block 60, the block coupling grooves 631 and 641 into which the coupling means M can be inserted or released. This can be formed. Here, the coupling means (M) can be replaced by the coupling panel (P) as needed, as described in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structure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단 식생 블록(60)의 좌측벽(630) 및 우측벽(640)의 각각의 외면에는 블록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토사 충진용 홈(632, 642)이 더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each of the outer surface of the left side wall 630 and the right side wall 640 of the upper vegetation block 60 may be further formed with the soil filling grooves 632, 642 to prevent the collapse of the block. have.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식생 옹벽 축조물 구조(1)와 제 2 실시예에 따른 식생 옹벽 축조물 구조(2)가 조합된 종합 옹벽 축조물 구조(3)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8 is a view showing the combined retaining wall structure structure 3 in which the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structure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structure 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re combined.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종합 옹벽 축조물 구조(3)는 제 1 식생 블록(10)과 제 3 식생 블록(30a, 30b)에 의해 형성되는 반전된 V 자 형태의 식생용 공간부(40)를 구비하고 있고, 동시에, 하단 식생 블록(50a, 50b)과 상단 식생 블록(60)에 의해 형성되는 직사각 형태의 식생용 공간부(70)를 구비하고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integrated retaining wall structure structure 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verted V-shaped vegetation space part formed by the first vegetation block 10 and the third vegetation blocks 30a and 30b ( 40, and at the same time, a rectangular vegetation space portion 70 formed by the lower vegetation blocks 50a and 50b and the upper vegetation block 60 is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종합 옹벽 축조물 구조(3)는 이러한 반전된 V 자 형태의 식생용 공간부(40)와 직사각 형태의 식생용 공간부(70)를 통하여 화초 등을 옹벽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The comprehensive retaining wall structure structure 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expose the flowers and the like to the outside of the retaining wall through the inverted V-shaped vegetation space portion 40 and the rectangular vegetation space portion 70.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종합 옹벽 축조물 구조(3)를 이용할 경우에는, V 자 형태의 식생용 공간부(40)와 직사각 형태의 식생용 공간부(70)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 화초 등의 뿌리가 옹벽 축조물(3)의 배면에 위치한 토사로까지 뻗어나가게 할 수 있으므로, 화초 등의 식생에 유리하다.Particularly, in the case of using the integrated retaining wall structure structure 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oots of flowers and the lik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V-shaped vegetation space portion 40 and the rectangular vegetation space portion 70 are exposed. Since it can extend to the earthenware which is located in the back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3, it is advantageous for vegetation, such as a flower.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종합 옹벽 축조물 구조(3)를 이용할 경우에는, 직사각 형태의 식생용 공간부(70)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 화초 등의 뿌리가 두 개의 하단 식생 블록(50a, 50b)을 통하여 동시에 토사 지반으로 뻗어나갈 수 있으므로, 화초 등의 생존 가능성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using the integrated retaining wall structure structure 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oots of the flowers and the lik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rectangular vegetation space portion 70 has two lower vegetation blocks 50a and 50b. At the same time, because it can be extended to the soil ground,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rease the viability of flowers and the like.

[제 3 실시예][Third Embodiment]

도 9a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계단식 식생 옹벽 축조물 구조(4)에 적용되는 계단식용 식생 블록(1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9A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stepped vegetation block 10 'applied to the stepped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structure 4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a를 참조하면, 계단식용 식생 블록(10')은 도 2a에 나타낸 제 1 식생 블록(10)의 좌측벽(130) 및 우측벽(140)이 각각 돌출부(P)가 더 형성된 좌측벽(130') 및 우측벽(140')으로 변경된 것을 제외하고, 도 2a에 나타낸 제 1 식생 블록(10)과 그 구조가 동일하다. Referring to FIG. 9A, the stepped vegetation block 10 ′ includes a left wall 130 and a right wall 140 of the first vegetation block 10 shown in FIG. 2A, each having a protrusion P formed therein. 130 ') and the right wall 140'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vegetation block 10 shown in Fig. 2A.

여기서, 계단식용 식생 블록(10')의 좌측벽(130') 및 우측벽(140')에 형성된 돌출부(P)는 하단에 설치되어 있는 블록의 후면벽에 걸쳐지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계단식용 식생 블록(10')의 좌측벽(130') 및 우측벽(140')에 형성된 돌출부(P)가 그 하단에 설치되어 있는 블록의 후면벽에 걸쳐질 경우, 계단식용 식생 블록(10')은 돌출부(P)의 두께만큼 그 하단의 블록보다 후방측으로 후퇴하게 된다.Here, the protrusions P formed on the left side wall 130 'and the right side wall 140' of the stepped vegetation block 10 'serves to span the rear wall of the block installed at the bottom. Specifically, when the projections P formed on the left side wall 130 'and the right side wall 140' of the stepped vegetation block 10 'span the rear wall of the block provided at the bottom thereof, the stepped vegetation The block 10 'is retracted to the rear side of the block at the lower end by the thickness of the protrusion P.

도 9b 및 도 9c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계단식 식생 옹벽 축조물 구조(4)를 각각 정면 및 측면에서 보여주는 도면들이다.9b and 9c show the stepped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structure 4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from the front and the side, respectively.

도 9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계단식 식생 옹벽 축조물 구조(4)은 제 1 식생 블록(10)과 제 1 식생 블록(10)을 판넬(P)로 연결시킨 형태가 연달아 나열되는 베이스 구조물과, 상기 베이스 구조물로부터 후방측으로 후퇴되는 상층 구조물로서 계단식용 식생 블록(10')과 계단식용 식생 블록(10')을 판넬(P)로 연결시킨 구조를 갖는 상기 상층 구조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상층 구조물의 상부에는 상기 상층 구조물로부터 후방측으로 후퇴되는 다른 상층 구조물로서 계단식용 식생 블록(10')과 계단식용 식생 블록(10')을 판넬(P)로 연결시킨 구조를 갖는 구조물이 더 설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상층 구조물 위에 후방측으로 후퇴되는 다른 상층 구조물을 더 설치하는 과정을 수회 반복하는 방식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도 9c에 나타낸 바와 같은 계단식 식생 옹벽 축조물 구조(4)를 완성할 수 있다.9B, the stepped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structure 4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hape in which the first vegetation block 10 and the first vegetation block 10 are connected by a panel P. And the upper structur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stepped vegetation block 10 'and a stepped vegetation block 10' are connected by a panel P as a base structure to be listed, and an upper layer structure which is retracted from the base structure to the rear side. . In addition, a structur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stepped vegetation block 10 'and the stepped vegetation block 10' are connected to the panel P as another upper layer structure that is retreated to the rear side from the upper layer structure on the upper part of the upper layer structure. It can be further installed, and thus, by repeatedly repeating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other upper structure retreating to the rear side on the upper structure several times, to complete the stepped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structure 4 as shown in Figure 9c can do.

도 9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계단식 식생 옹벽 축조물 구조(4)는 계단식용 식생 블록(10')과 계단식용 식생 블록(10') 사이의 판넬(P)로 차단된 공간상에 토사가 일정 높이까지 축적되므로, 이 판넬(P)로 차단된 공간 내부에 화초 등을 식생할 수 있다. 또한, 이 판넬(P)로 차단된 공간 내부의 화초 등은 판넬(P) 상부의 빈 공간을 통하여 옹벽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C, the stepped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structure 4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locked by a panel P between the stepped vegetation block 10 'and the stepped vegetation block 10'. Since the soil is accumulated to a certain height in the space, it is possible to plant plants and the like inside the space blocked by this panel (P). In addition, flowers and the like inside the space blocked by the panel P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retaining wall through the empty space above the panel P.

특히,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계단식 식생 옹벽 축조물 구조(4)를 이용할 경우에는, 간단한 구조의 식생 블록(10')을 반복 조립하는 방법만으로 계단식 옹벽 축조물(4)을 구현할 수 있다.
In particular, when using the stepped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structure 4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ped retaining wall structure 4 may be implemented only by repeatedly assembling the vegetation block 10 'having a simple structure.

[제 4 실시예][Fourth Embodiment]

도 10a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식생 옹벽 축조물 구조(2')의 일부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b는 식생 옹벽 축조물 구조(2')에 적용되는 하단 식생 블록(50a', 50b')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0c는 식생 옹벽 축조물 구조(2')에 적용되는 상단 식생 블록(6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10A is a view showing a part of the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2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B shows the lower vegetation blocks 50a' and 50b 'applied to the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2'. FIG. 10C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upper vegetation block 60 applied to the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2 '.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식생 옹벽 축조물 구조(2')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식생 옹벽 축조물 구조(2)의 하단 식생 블록(50a, 50b)이 하단 식생 블록(50a', 50b')으로 대체되었다는 점을 제외하고 나머지 구성요소들이 모두 동일하다.In the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structure 2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vegetation blocks 50a and 50b of the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structure 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have lower vegetation blocks 50a' and 50b '. All other components are identical except that they are replaced with).

먼저 도 10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식생 옹벽 축조물 구조(2')는 좌측 하단 식생 블록(50a')과 우측 하단 식생 블록(50b')이 교번적으로 반복되는 형태로 직선 나열되는 제 1 층 구조물과, 상기 제 1 층 구조물의 상층부로서 상단 식생 블록(60)이 직선 나열되는 제 2 층 구조물이 소정 높이까지 반복 축조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First, referring to FIG. 10A, the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2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orm in which the lower left vegetation block 50a' and the lower right vegetation block 50b 'are alternately repeated. The first layer structure is arranged in a straight line, and the second layer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vegetation block 60 is arranged in a straight line as an upper layer of the first layer structure is repeatedly constructed to a predetermined height.

제 1 층 구조물과 제 2 층 구조물 사이에는 식생용 공간부(70)가 형성되며, 이 식생용 공간부(70)는 옹벽 축조물 구조(2')의 배면에 위치되는 토사 지반과 직접 연결되는 토사 충진용 공간부(S)와 연통되는 구조를 이루게 되므로, 토사 충진용 공간부(S)에 식재된 화초 등에 대해 지속적으로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으며,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토사 충진용 공간부(S)에 식재된 화초 등의 뿌리가 두 개의 하단 식생 블록(50a', 50b')의 연통 개방부들(550)을 통하여 토사 지반으로 뻗어나갈 수 있으므로, 화초 등의 생존 가능성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A vegetation space portion 70 is formed between the first layer structure and the second layer structure, and the vegetation space portion 70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earth and sand ground loc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structure 2 '. Since the structure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filling space (S),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supply nutrients to the plants and the like planted in the soil filling space (S), in particular in this embodiment the soil filling space (S) Roots, such as plants planted in the can extend to the soil ground through the communication openings 550 of the two lower vegetation blocks (50a ', 50b'),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rease the viability of the flowers and the like.

도 10b를 참조하면, 제 1 층 구조물을 구성하는 우측 하단 식생 블록(50b')은 기본적으로 바닥면(510), 전면벽(520), 좌측벽(530) 및 우측벽(540')으로 구성되며, 우측 하단 식생 블록(50b')의 좌측벽(530)에는 제 1 연통 개방부(530-1)가 형성되어 있고, 우측 하단 식생 블록(50b')의 우측벽(540')은 좌측벽(53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우측벽(540')에는 좌측벽(530)에는 제 1 연통 개방부(530-1)와 대응되는 형상의 제 3 연통 개방부(540'-1)가 형성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0B, the lower right vegetation block 50b ′ constituting the first layer structure basically includes a bottom surface 510, a front wall 520, a left wall 530, and a right wall 540 ′. A first communication opening 530-1 is formed in the left side wall 530 of the lower right vegetation block 50b ', and the right side wall 540' of the lower right vegetation block 50b 'is the left side wall. It is formed in the shape corresponding to 530. That is, the right side wall 540 'is formed with a third communication opening 540'-1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mmunication opening 530-1 in the left wall 530.

따라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식생 옹벽 축조물 구조(2')는 제 1 층 구조물을 구성하는 복수의 블록들의 좌측벽의 일부(530-1)와 우측벽의 일부(540'-1)가 모두 개방된 구조를 이루므로 제 1 층 구조물을 구성하는 복수의 블록들 모두가 서로 연통하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Accordingly, the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2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ortion 530-1 and a portion 540'-1 of the left side wall of the plurality of blocks constituting the first layer structure. ) Are all open structures, so that all of the plurality of blocks constituting the first layer structur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한편, 제 2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제 2 연통 개방부(550)는 옹벽 축조시에 토사 충진용 공간부(S)가 옹벽 축조물 구조(2)의 배면에 위치된 토사 지반까지 연통되는 구조를 이루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On the other hand, as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second communication opening portion 550 forms a structure in which the earth and sand filling space S communicates with the earth and sand ground loc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2 when the retaining wall is constructed. Function.

옹벽의 축조시에 있어서, 우측 하단 식생 블록(50b')과 좌측 하단 식생 블록(50a')을 면접할 경우에는 화초 등이 식생되는 공간인 우측 하단 식생 블록(50b')의 토사 충진용 공간부(S)와 좌측 하단 식생 블록(50a')의 토사 충진용 공간부(S)가 서로 연결되는 구조가 형성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토사 충진용 공간부(S)가 서로 연결되는 구조가 제 1 층 구조물 전체에서 형성되므로, 제 1 층 구조물을 구성하는 복수의 블록들 모두가 서로 연통하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연통 구조에 의할 경우 화초 등의 생존 공간이 더욱 확장될 수 있으므로, 영양분의 수급 등에 있어서 식생에 매우 유리한 환경이 조성될 수 있다. 또한, 식생용 공간부(70)를 통하여 옹벽 축조물 구조(2)의 외부에 드러나는 화초 등의 뿌리가 우측 하단 식생 블록(50b')의 제 2 연통 개방부(550)와 좌측 하단 식생 블록(50a')의 제 2 연통 개방부(550)를 통해 동시에 배면쪽 토사로 뻗어나갈 수 있으므로 화초 등의 생존에 절대적으로 유리하다는 점은 앞서 제 2 실시예에 따른 식생 옹벽 축조물 구조(2)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In the case of building the retaining wall, when the lower right vegetation block 50b 'and the lower left vegetation block 50a' are interviewed, the space part for soil filling of the lower right vegetation block 50b ', which is a space where plants and the like, are planted. A structure in which S and the soil filling space S of the lower left vegetation block 50a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s formed.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structure in which the soil filling spaces 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s formed in the entire first layer structure, all of the blocks constituting the first layer structur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such a communication structure, since the living space such as flowers can be further expanded, a very favorable environment for vegetation can be created in the supply and demand of nutrients. In addition, the roots of flowers and the like, which are exposed to the exterior of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2 through the vegetation space part 70, have a second communication opening 550 and a lower left vegetation block 50a of the lower right vegetation block 50b ′. Since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extend to the back side earth and sand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opening 550 of '), it is absolutely advantageous for the survival of flowers and the like, as described in the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structure 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same.

한편, 제 2 층 구조물을 구성하는 상단 식생 블록(60)은 앞서 제 2 실시예에 따른 식생 옹벽 축조물 구조(2)를 통하여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 설명을 생략하도록 하다.Meanwhile, since the upper vegetation block 60 constituting the second layer structure has been described above through the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structure 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2)

식생 가능한 옹벽 축조물로서,
제 1 식생 블록(10)과 제 2 식생 블록(20)이 연달아 나열되어 구성되는 하층 구조물과,
상기 하층 구조물의 상층부에 설치되는 상층 구조물로서, 좌측 제 3 식생 블록(30a) 및 우측 제 3 식생 블록(30b)이 연달아 나열되어 구성되는, 상기 상층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식생 블록(10)은 바닥면(110), 전면벽(120), 좌측벽(130), 우측벽(140) 및 후방의 연통 개방부(15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식생 블록(20)은 바닥면(210), 전면벽(220), 좌측벽(230), 우측벽(240) 및 후면벽(25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후면벽(250)의 상부 중앙에는 봉 형태의 지반 보강재 통과용 관통홈(25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후면벽(250)의 상부 좌측 및 우측의 각각에는 띠 형태의 지반 보강재가 걸쳐지는 제 1 틈새부(252a) 및 제 2 틈새부(252b)가 더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좌측 제 3 식생 블록(30a)은 바닥면(310), 전면벽(320), 좌측벽(330), 우측벽(340), 후면벽(350) 및 경사 절각면(36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경사 절각면(360)은 상기 전면벽(320)의 일 부분으로부터 상기 우측벽(340)의 일 부분까지 경사지게 자른 형상의 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우측 제 3 식생 블록(30b)은 상기 좌측 제 3 식생 블록(30a)과 거울 대칭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식생 가능한 옹벽 축조물.
As a plantabl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A lower layer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vegetation block 10 and the second vegetation block 20 are arranged in a row,
As an upper layer structure installed in the upper layer of the lower layer structure, the upper third structure 30a and the right third vegetation block 30b comprises the upper structure, which is configured in a row,
The first vegetation block 10 is made of a bottom surface 110, the front wall 120, the left wall 130, the right wall 140 and the rear communication opening 150,
The second vegetation block 20 consists of a bottom surface 210, a front wall 220, a left wall 230, a right wall 240, and a back wall 250, and an upper portion of the back wall 250. A rod-shaped ground reinforcement through-hole 251 is formed in the center thereof, and a first gap portion 252a and a first band portion 252a through which a band-shaped ground reinforcement extends in each of the upp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ar wall 250. 2 gap portion 252b is further formed,
The left third vegetation block 30a is composed of a bottom surface 310, a front wall 320, a left wall 330, a right wall 340, a rear wall 350 and an inclined articulation surface 360, The inclined articulated surface 360 is formed of a surface that is inclinedly cut from a portion of the front wall 320 to a portion of the right wall 340,
The right third vegetation block (30b) has a structure that is mirror-symmetrical with the left third vegetation block (30a), vegetabl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식생 블록(10)의 상기 좌측벽(130) 및 상기 우측벽(140)의 각각의 외면에는 결합 수단(M)이 삽입 또는 해제될 수 있는 블록 결합용 홈(131, 141)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식생 가능한 옹벽 축조물.
The method of claim 1,
On each outer surface of the left side wall 130 and the right side wall 140 of the first vegetation block 10, block coupling grooves 131 and 141 into which the coupling means M can be inserted or released, respectively. Vegetabl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form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식생 블록(20)의 상기 좌측벽(230) 및 상기 우측벽(240)의 각각의 외면에는 결합 수단(M)이 삽입 또는 해제될 수 있는 블록 결합용 홈(231, 241)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식생 가능한 옹벽 축조물.
The method of claim 1,
On each outer surface of the left side wall 230 and the right side wall 240 of the second vegetation block 20, block coupling grooves 231 and 241 into which the coupling means M can be inserted or released, respectively. Vegetabl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form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제 3 식생 블록(30a)의 상기 좌측벽(330)의 외면에는 결합 수단(M)이 삽입 또는 해제될 수 있는 블록 결합용 홈(3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우측 제 3 식생 블록(30b)은 상기 좌측 제 3 식생 블록(30a)과 거울 대칭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식생 가능한 옹벽 축조물.
The method of claim 1,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eft side wall 330 of the left third vegetation block 30a, a block coupling groove 331 through which the coupling means M can be inserted or released is formed, and the right third vegetation block ( 30b) has a structure that is mirror symmetrical with the left third vegetation block (30a), vegetabl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식생 블록(10)의 상부에는, 상기 좌측 제 3 식생 블록(30a)의 상기 경사 절각면(360)과 상기 우측 제 3 식생 블록(30b)의 상기 경사 절각면(360)에 의해 이루어지는 반전된 V 자 형태의 식생용 공간부(40)가 형성되는, 식생 가능한 옹벽 축조물.
The method of claim 1,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vegetation block 10 is formed by the inclined articulation surface 360 of the left third vegetation block 30a and the inclined articulation surface 360 of the right third vegetation block 30b. Vegetabl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is formed, the inverted V-shaped vegetation space portion 40 is formed.
식생 가능한 옹벽 축조물로서,
좌측 하단 식생 블록(50a)과 우측 하단 식생 블록(50b)이 연달아 나열되어 구성되는 하층 구조물과,
상기 하층 구조물의 상층부에 설치되는 상층 구조물로서, 상단 식생 블록(60)이 연달아 나열되어 구성되는, 상기 상층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우측 하단 식생 블록(50b)은 바닥면(510), 전면벽(520), 좌측벽(530) 및 우측벽(54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우측 하단 식생 블록(50b)의 상기 좌측벽(530) 중의 상기 전면벽(520)과 만나는 부분에는 제 1 연통 개방부(530-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우측 하단 식생 블록(50b)의 후방 부분에는 제 2 연통 개방부(55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좌측 하단 식생 블록(50a)은 상기 우측 하단 식생 블록(50b)과 거울 대칭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단 식생 블록(60)은 바닥면(610), 전면벽(620), 좌측벽(630), 우측벽(640), 후면벽(650) 및 상단벽(66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바닥면(610) 중의 상기 전면벽(620)과 만나는 부분과 상기 전면벽(620) 중의 상기 바닥면(610)과 만나는 부분이 개방되어 있는, 식생 가능한 옹벽 축조물.
As a plantabl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A lower structure comprising a lower left vegetation block 50a and a lower right vegetation block 50b arranged in a row,
An upper layer structure installed in the upper layer of the lower layer structure, the upper vegetation block 60 comprises the upper layer structure, which is configured in a row,
The lower right vegetation block 50b includes a bottom surface 510, a front wall 520, a left wall 530, and a right wall 540, and the left wall 530 of the lower right vegetation block 50b. A first communication opening portion 530-1 is formed at a portion that meets the front wall 520, and a second communication opening portion 550 is formed at a rear portion of the lower right vegetation block 50b. And
The lower left vegetation block 50a is made of a mirror symmetrical structure with the lower right vegetation block 50b,
The upper vegetation block 60 is composed of a bottom surface 610, a front wall 620, a left wall 630, a right wall 640, a back wall 650 and the top wall 660, the bottom surface A vegetation-retaining wall construction, in which a portion of the 610 that meets the front wall 620 and a portion of the front wall 620 that meets the bottom surface 610 are opened.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 하단 식생 블록(50b)의 상기 우측벽(540)의 외면에는 결합 수단(M)이 삽입 또는 해제될 수 있는 블록 결합용 홈(54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좌측 하단 식생 블록(50a)은 상기 우측 하단 식생 블록(50b)과 거울 대칭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식생 가능한 옹벽 축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outer surface of the right side wall 540 of the lower right vegetation block 50b is formed with a block coupling groove 541 into which the coupling means M can be inserted or released, and the lower left vegetation block 50a. The vegetation-bearing retaining wall made of a structure that is mirror-symmetrical with the lower right vegetation block (50b).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식생 블록(60)의 상기 좌측벽(630) 및 상기 우측벽(640)의 각각의 외면에는 결합 수단(M)이 삽입 또는 해제될 수 있는 블록 결합용 홈(631, 641)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식생 가능한 옹벽 축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Block joining grooves 631 and 641 are formed on outer surfaces of the left side wall 630 and the right side wall 640 of the upper vegetation block 60, through which coupling means M can be inserted or released. Vegetabl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하단 식생 블록(50a) 및 상기 우측 하단 식생 블록(50b)의 상부에는 상기 상단 식생 블록(60)에 의해 이루어지는 직사각 형태의 식생용 공간부(70)가 형성되는, 식생 가능한 옹벽 축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vegetation-retaining wall construction is formed on the upper left of the lower left vegetation block (50a) and the right lower vegetation block (50b) is formed of a rectangular vegetation space portion 70 made by the upper vegetation block (60).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식생 블록(20)은 콘크리트재, 석재,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합성수지재, 목재, 또는 금속재 중의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식생 가능한 옹벽 축조물.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vegetation block 20 is formed of any one of concrete, stone,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synthetic resin, wood, or metal, vegetabl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KR1020130076591A 2013-07-01 2013-07-01 Plantable retaining wall structure KR1013635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6591A KR101363557B1 (en) 2013-07-01 2013-07-01 Plantable retaining wall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6591A KR101363557B1 (en) 2013-07-01 2013-07-01 Plantable retaining wall stru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3557B1 true KR101363557B1 (en) 2014-02-27

Family

ID=50271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6591A KR101363557B1 (en) 2013-07-01 2013-07-01 Plantable retaining wall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3557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2998A (en) * 2014-10-30 2016-05-13 주식회사 이앤앤이 Retaining wall block, plantable wall structure and method manufacturing the same
KR101844684B1 (en) * 2016-11-07 2018-04-02 남홍우 Retaining wall structure
AU2017202174B2 (en) * 2016-04-11 2022-02-24 Clarke, Robert John MR Modular Cantilever Masonry Block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7438U (en) * 1993-06-07 1994-12-22 前田製管株式会社 Block for building green retaining wall
KR200376814Y1 (en) * 2004-12-09 2005-03-10 이춘우 Revetment Block Unit for Plants in Ground
KR100870150B1 (en) * 2008-06-05 2008-11-24 태화건설(주) A multi-function block for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100100222A (en) * 2009-03-05 2010-09-15 정지석 Block for reveting wal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7438U (en) * 1993-06-07 1994-12-22 前田製管株式会社 Block for building green retaining wall
KR200376814Y1 (en) * 2004-12-09 2005-03-10 이춘우 Revetment Block Unit for Plants in Ground
KR100870150B1 (en) * 2008-06-05 2008-11-24 태화건설(주) A multi-function block for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100100222A (en) * 2009-03-05 2010-09-15 정지석 Block for reveting wall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2998A (en) * 2014-10-30 2016-05-13 주식회사 이앤앤이 Retaining wall block, plantable wall structure and method manufacturing the same
KR101669036B1 (en) 2014-10-30 2016-10-26 주식회사 이앤앤이 Retaining wall block, plantable wall structure and method manufacturing the same
AU2017202174B2 (en) * 2016-04-11 2022-02-24 Clarke, Robert John MR Modular Cantilever Masonry Block System
KR101844684B1 (en) * 2016-11-07 2018-04-02 남홍우 Retaining wall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6268B1 (en) Structure of gabion wall with vegetation steel fram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101363557B1 (en) Plantable retaining wall structure
KR100536620B1 (en) A block for a retaining wall and a residences of fishes
KR100514576B1 (en) Slope stable construction method
CN103243739A (en) Reinforced retaining wall ecological panel structure with self-interlocking function
KR101385172B1 (en) Retaining wall structure with planting device
KR20110006585A (en) A planted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029317B1 (en) Block for revetment construction
KR20140123351A (en) Soil bag for vegetation gusset plate
CN108487269B (en) Construction method of ecological assembly type frame support form
KR102317257B1 (en) artificial mountain with cave
KR102107751B1 (en) Construction Method Using Planting Block
KR101012655B1 (en) Block for a breast wall can live plant
KR101182776B1 (en) Step type retaining wall block
CN207109850U (en) A kind of ecological afforestation retaining wall
KR101047283B1 (en) The constructing method of planting stone embankment using block and reinforcement planting block
KR100995097B1 (en) Method for constructing wall block
KR100778066B1 (en) Construction structure making for breast wall
KR100662028B1 (en) Construction bio-block for retaining wall
KR101419487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hollow block with artificial rock form
KR101041683B1 (en) Block for revetment construction
KR102238975B1 (en) Terrace type planting block for slope recovery and reinforce
KR101669036B1 (en) Retaining wall block, plantable wall structure and method manufacturing the same
KR200446445Y1 (en) Block for plants
KR100938829B1 (en) Breast wall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