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3302B1 - 부궤환 회로 적용 음향증폭기 - Google Patents

부궤환 회로 적용 음향증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3302B1
KR101363302B1 KR1020130112500A KR20130112500A KR101363302B1 KR 101363302 B1 KR101363302 B1 KR 101363302B1 KR 1020130112500 A KR1020130112500 A KR 1020130112500A KR 20130112500 A KR20130112500 A KR 20130112500A KR 101363302 B1 KR101363302 B1 KR 101363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gative feedback
feedback circuit
amplifier
inpu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2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덕
Original Assignee
(주)성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무 filed Critical (주)성무
Priority to KR1020130112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33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3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3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1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217Class D power amplifiers; Switching amplifiers
    • H03F3/2173Class D power amplifiers; Switching amplifiers of the bridge typ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4Negative-feedback-circuit arrangements with or without positive feedback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181Low-frequency amplifiers, e.g. audio pre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165A filter circuit coupled to the input of an amplif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음 재생 능력이 강화된 부궤환 회로를 적용하도록 한 부궤환 회로 적용 음향 증폭기에 관한 것으로, 증폭기의 출력 단자와 연결된 입력 단자를 통해 증폭기의 증폭 신호를 입력받아 증폭기의 입력 단자와 연결된 출력 단자를 통해 부궤환시키는 부궤환 회로를 적용한 증폭기에 있어서, 증폭 신호를 전달받아 부궤환 회로의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 중 기 설정된 비율만큼 배분된 제1신호와 믹싱시켜, 믹싱된 신호를 부궤환 회로의 출력 단자로 부궤환시키는 저항 믹싱부; 및 부궤환 회로의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 중 기 설정된 비율만큼 배분된 제2신호를 증폭시켜, 증폭 신호를 저항 믹싱부로 전달하는 증폭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부궤환 회로 적용 음향증폭기 {Negative feedback circuit applied audio amplifier}
본 발명은 부궤환 회로 적용 음향증폭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저음 재생 능력이 강화된 부궤환 회로를 적용하도록 한 부궤환 회로 적용 음향증폭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향 증폭기에는 선형성이 우수한 A급, B급 및 AB급 증폭기가 채용되어 왔는데, 이러한 형태의 음향 증폭기는 대출력 증폭기를 구현할 경우에 막대한 전력 손실이 발생된다. 이때, 음향 증폭기에서 음성 에너지로 변환되어 출력되는 에너지 이외는 모두 열로 변환되어 버리기 때문에, 음향 증폭기의 온도가 증가되는 요인이 되며, 이를 강제로 냉각하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방대한 크기의 방열판이 필요하게 되므로, 결국 부피가 커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형태의 음향 증폭기는 선형성이 좋은 장점을 갖는 반면에 효율이 나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A급, B급 및 AB급 증폭기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 다름 아닌 D급 증폭기다. 그런데 이러한 D급 증폭기도 고속 스위칭 동작에 의해 선형성이 매우 나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성능 개선을 위하여 부궤환 회로를 사용하여 선형성을 꾀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1991-0021009호(1991.12.20 공개)는 저음 강조회로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는데, 스피커를 구동하기 위한 증폭기를 구비한 회로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에는 증폭기의 궤환점을 찾아내기 위한 저항을 연결하고, 상기의 저항에는 저음강조용 스위치를 연결하며, 상기의 저음강조용 스위치에는 스피커로부터 궤환되는 전류루프를 형성하기 위한 저항과 콘덴서를 상기 증폭기의 입력단에 연결하여, 저음 강조 시 스피커의 낮은 주파수 특성을 보상하며 전류 궤환으로 인한 이득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스위치와 저항을 연결함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001077호(1993.02.15 공개)는 스피커 구동에 따른 진동계의 운동을 검출한 후 이를 궤환시켜 진동계 운동을 제어함으로써 스피커의 저역 재생 능력을 보상할 수 있는 스피커의 저역 보상장치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중저음을 재생하는 스피커의 저역 보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로 재생되는 오디오 신호를 브리지 밸런싱하여 스피커의 보이스 코일 속도전압에 따른 진동계의 동임피던스를 검출하는 동임피던스검출부와, 상기 동임피던스검출부의 출력을 수신하며, 수신되는 동임피던스 검출신호를 원하는 저역으로 여파한 후 미분하여 가속도 성분으로 변환함으로써 상기 스피커의 최저 공진주파수를 상기 동임피던스에 비례하는 저역으로 보상하는 가속도변환부와, 상기 동임피던스검출부의 출력을 수신하며, 수신되는 동임피던스 검출신호를 원하는 저역으로 여파하여 상기 스피커의 Qo를 보상하는 속도변환부와, 상기 가속도변환부와 속도변환부의 출력을 수신하며, 상기 가속도변환신호와 속도변환신호를 합성한 후, 상기 스피커의 입력 오디오 신호에 상기 가속도 변환신호를 부궤환하고 속도신호를 정궤환시키는 합성부를 구비하여 상기 스피커 구동에 따른 진동계의 동임피던스를 이용하며 저역의 특성을 보상한 후 스피커의 진동계로 궤환시킬 수 있도록 동작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증폭기에서 부궤환 회로를 사용하여 선형성을 꾀하는 경우에도, 음이 가지고 있는 원래의 특성을 그대로 재현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증폭기에 적용된 부궤환 회로의 경우에 단순히 고정형의 저항만을 설치하여 그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대부분이었으며, 이에 고음, 중음, 저음의 전체 영역이 영향을 받게 되며, 이로 인하여 통상적으로 저음 부분이 미비한 음이 그대로 재현되며, 따라서 사람들이 들을 때에는 원음이 그대로 재현되었다고 느끼기가 어려운 단점을 가지고 있다. 즉, 종래의 증폭기에서는 저음 부분의 미비로 사람들이 원음을 그대로 느끼기에 한계가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1991-0021009호 한국등록특허 제10-0001077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 내지는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증폭기에 적용된 부궤환 회로에서 저음 재생 능력을 강화시켜 주도록 한 부궤환 회로 적용 음향증폭기를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증폭기의 출력 단자와 연결된 입력 단자를 통해 증폭기의 증폭 신호를 입력받아 증폭기의 입력 단자와 연결된 출력 단자를 통해 부궤환시키는 부궤환 회로를 적용한 증폭기에 있어서, 증폭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부궤환 회로의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 중 기 설정된 비율만큼 배분된 제1신호와 믹싱시켜, 믹싱된 신호를 상기 부궤환 회로의 출력 단자로 부궤환시키는 저항 믹싱부; 및 상기 부궤환 회로의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 중 기 설정된 비율만큼 배분된 제2신호를 증폭시켜, 증폭 신호를 상기 저항 믹싱부로 전달하는 증폭부를 포함하는 부궤환 회로 적용 증폭기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저항 믹싱부는, 상기 부궤환 회로의 출력 단자를 통해 역 방향으로 입력되는 잡음을 기 설정된 비율만큼으로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저항 믹싱부는, 단자간의 결합에 있어서 세 개의 저항을 삼각형으로 형성시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저항 믹싱부는, 상기 부궤환 회로의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 중 기 설정된 비율만큼 배분된 제1신호를 균등하게 배분하여 상호 보완하는 삼각형의 저항 믹서 방식으로 상기 증폭부를 통해 전달되는 증폭 신호와 함께 믹싱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저항 믹싱부는, 상기 부궤환 회로의 출력 단자를 통해 역 방향으로 입력되는 잡음을 차단하기 위한 역 방향 차단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부궤환 회로는, 상기 부궤환 회로의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의 전류를 상기 저항 믹싱부로 입력되는 제1신호의 제1전류와 상기 증폭부로 입력되는 제2신호의 제2전류로 분배하며, 상기 제1전류와 상기 제2전류의 크기를 기 설정된 비율에 대응하는 값으로 각각 가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저항 믹싱부는, 상기 부궤환 회로의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의 전류에 대해 기 설정된 제1비율에 해당하는 제1신호의 제1전류를 입력받기 위한 믹싱 저항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증폭부는, 상기 부궤환 회로의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의 전류에 대해 기 설정된 제2비율에 해당하는 제2신호의 제2전류를 입력받기 위한 증폭 저항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증폭부는, 상기 부궤환 회로의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 중 기 설정된 비율만큼 배분된 제2신호 중에서 저음에 해당하는 기 설정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증폭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증폭부는, 상기 부궤환 회로의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 중 기 설정된 비율만큼 배분된 제2신호 중에서 저음에 해당하는 기 설정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만을 필터링시켜 주는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증폭기에 적용된 부궤환 회로에서 저음 재생 능력을 강화시켜 줌으로써, 저음 부분에 대한 음의 보강이 탁월하며, 이로 인하여 사람이 원음을 그대로 느낄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궤환 회로 적용 증폭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증폭부의 주파수별 전압 이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은 저음 재생 능력을 강화하도록 특별하게 개선된 부궤환 회로를 적용한 증폭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러한 부궤환 회로를 사용하여 저음 부분을 강화시켜 사람이 원음을 그대로 느낄 수 있도록 해 준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궤환 회로 적용 증폭기는, 특별한 부궤환 회로를 사용하여 저음 부분을 강화시켜 주며, 이로 인하여 전체적으로 음이 풍부해지고 원음을 그대로 재현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궤환 회로 적용 증폭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궤환 회로 적용 증폭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부궤환 회로 적용 증폭기(100)는, 입력 단자(INa)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시키고 해당 증폭된 신호를 출력 단자(OUTa)를 통해 출력하는 증폭기(111, 112)에 있어서, 증폭기(111, 112)의 출력 단자(OUTa)와 연결된 입력 단자(INn)를 통해 증폭기(111, 112)의 증폭 신호를 입력받아 부궤환시키며, 해당 부궤환된 신호를 증폭기(111, 112)의 입력 단자(INa)와 연결된 출력 단자(OUTn)를 통해 출력하도록 하는 부궤환 회로(120)를 형성하도록 한다.
부궤환 회로 적용 증폭기(100)는, 부궤환 회로(120)를 상술한 바와 같이 적용한 증폭기(111, 112)에 있어서, 부궤환 회로(120)가 가변형으로 저항 믹싱부(121)와, 증폭부(122)를 포함으로써, 증폭기(111, 112)의 입력 단자(INa)로부터 부궤환 회로(120)의 출력 단자(OUTn)를 통해 입력되는 잡음을 저감시켜 줌과 동시에, 증폭기(111, 112)의 저음 영역을 강화시켜 사람이 원음을 그대로 느낄 수 있도록 해 준다.
저항 믹싱부(121)는, 증폭기(111, 112)의 입력 단자(INa)로부터 부궤환 회로(120)의 출력 단자(OUTn)를 통해 역 방향으로 입력되는 잡음을 기 설정된 비율(예를 들어, 50 ~ 70(%))만큼으로 저감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저항 믹싱부(121)는, 단자간의 결합에 있어서 세 개의 저항(R1, R2, R3)을 삼각형으로 형성시켜 구비하며, 이에 해당 삼각형의 저항 믹서 구조에 의해서, 증폭기(111, 112)의 입력 단자(INa)로부터 부궤환 회로(120)의 출력 단자(OUTn)를 통해 입력되는 잡음을 저감시켜 줌으로써, 기존의 고정형 부궤환 회로의 경우와 같이 잡음을 그대로 전달되는 구조보다 음질을 매우 좋아지도록 할 수 있다.
저항 믹싱부(121)는, 증폭기(111, 112)의 출력 단자(OUTa)로부터 부궤환 회로(120)의 입력 단자(INn)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의 일부(즉, 기 설정된 비율(예를 들어, 50 ~ 70(%))만큼 배분된 제1입력 신호)와 증폭부(122)를 통해 전달되는 증폭 신호를 믹싱시키고, 해당 믹싱된 신호를 부궤환 회로(120)의 출력 단자(OUTn)를 통해 증폭기(111, 112)의 입력 단자(INa)로 부궤환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저항 믹싱부(121)는, 상술한 삼각형의 저항 믹서 구조에 의해서, 증폭기(111, 112)의 출력 단자(OUTa)로부터 부궤환 회로(120)의 입력 단자(INn)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의 일부(즉, 제1입력 신호)를 균등하게 배분하여 상호 보완하는 삼각형의 저항 믹서 방식으로 증폭부(122)를 통해 전달되는 증폭 신호와 함께 믹싱시켜 주며, 해당 믹싱된 신호를 부궤환 회로(120)의 출력 단자(OUTn)를 통해 증폭기(111, 112)의 입력 단자(INa)로 부궤환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저항 믹싱부(121)는, 증폭기(111, 112)의 입력 단자(INa)로부터 부궤환 회로(120)의 출력 단자(OUTn)를 통해 역 방향으로 입력되는 잡음을 차단하기 위한 다이오드 등과 같은 역 방향 차단 회로(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저항 믹싱부(121)는, 믹싱 신호를 역 방향 차단 회로를 거쳐 그대로 부궤환 회로(120)의 출력 단자(OUTn)를 통해 증폭기(111, 112)의 입력 단자(INa)로 부궤환시켜 줌과 동시에, 증폭기(111, 112)의 입력 단자(INa)로부터 부궤환 회로(120)의 출력 단자(OUTn)를 통해 역 방향으로 입력되는 잡음을 역 방향 차단 회로에 의해 차단시켜 줄 수 있다.
증폭부(122)는, 부궤환 회로(120)의 입력 단자(INn)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의 다른 일부(즉, 기 설정된 비율(예를 들어, 30 ~ 50(%))만큼 배분된 제2입력 신호)를 증폭시켜 해당 증폭된 신호를 저항 믹싱부(121)로 전달해 준다.
증폭부(122)가 증폭기(111, 112)의 출력 단자(OUTa)로부터 부궤환 회로(120)의 입력 단자(INn)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의 다른 일부(즉, 기 설정된 비율(예를 들어, 30 ~ 50(%))만큼 배분된 제2입력 신호)를 증폭시키는 이유는, 증폭기(111, 112)의 출력 단자(OUTa)로부터 부궤환 회로(120)의 입력 단자(INn)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도 저항 믹싱부(121)로 인해서 기 설정된 비율(예를 들어, 50 ~ 70(%))만큼으로 감소되므로, 이를 보상해 주기 위한 것으로, 증폭부(122)에 의해 증폭된 신호가 저항 믹싱부(121)로 전달되고, 저항 믹싱부(121)로 인해 기 설정된 비율(예를 들어, 50 ~ 70(%))만큼 배분된 신호(즉, 제1입력 신호)와 믹싱되어, 증폭기(111, 112)의 출력 단자(OUTa)로부터 부궤환 회로(120)의 입력 단자(INn)를 통해 입력되는 원래의 신호로 되도록 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부궤환 회로(120)가 적용된 증폭기(111, 112)에 있어서, 증폭기(111, 112)의 출력 단자(OUTa)로부터 부궤환 회로(120)의 입력 단자(INn)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의 전류(I)는,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이, 저항 믹싱부(121)로 입력되는 제1입력 신호의 제1전류(I1)와, 증폭부(122)로 입력되는 제2입력 신호의 제2전류(I2)로 분배될 수 있다.
[수학식 1]
I = I1 + I2
저항 믹싱부(121)로 입력되는 제1입력 신호의 제1전류(I1)와 증폭부(122)로 입력되는 제2입력 신호의 제2전류(I2)의 크기는, 아래의 수학식 2와 같이, 기 설정된 비율(a:b)(예를 들어, 7:3, 6:4, 5:5 등)에 대응하는 값을 각각 가질 수 있다. 여기서, a와 b의 합은 1이다.
[수학식 2]
I1 = a/(a+b)*I
I2 = b/(a+b)*I
저항 믹싱부(121)로 입력되는 제1입력 신호의 제1전류(I1)와 증폭부(122)로 입력되는 제2입력 신호의 제2전류(I2)의 크기가 기 설정된 비율(a:b)(예를 들어, 7:3, 6:4, 5:5 등)에 대응하는 값을 각각 가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부궤환 회로(120)의 입력 단자(INn)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의 전류(I)가 기 설정된 비율(a:b)(예를 들어, 7:3, 6:4, 5:5 등)로 제1전류(I1)와 제2전류(I2)로 분배되어 저항 믹싱부(121)와 증폭부(122)에 각각 흐르도록 하기 위한 저항 값(Rmix, Ramp)을 저항 믹싱부(121)와 증폭부(122) 각각이 가지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저항 믹싱부(121)는, 믹싱 저항 값(Rmix)을 가지도록 형성시켜, 부궤환 회로(120)의 입력 단자(INn)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의 전류(I)에 대해 기 설정된 제1비율(a/(a+b))에 해당하는 제1입력 신호의 제1전류(I1)를 입력받는다. 또한, 증폭부(122)는 증폭 저항 값(Ramp)을 가지도록 형성시켜, 부궤환 회로(120)의 입력 단자(INn)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의 전류(I)에 대해 기 설정된 제2비율(b/(a+b))에 해당하는 제2입력 신호의 제2전류(I2)를 입력받는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증폭부의 주파수별 전압 이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증폭부(122)는, 증폭기(111, 112)의 출력 단자(OUTa)로부터 부궤환 회로(120)의 입력 단자(INn)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즉, 제2입력 신호) 중에서 저음 부분(즉, 저음에 해당하는 기 설정된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10 ~ 100 (Hz))의 신호)을 증폭시켜 출력한다.
저음에 해당하는 기 설정된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10 ~ 100 (Hz))의 신호에 대한 전압 이득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음 및 고음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의 신호에 대한 전압 이득보다 크다는 것을 잘 알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증폭부(122)는 NJM5532 등과 같은 OP(Operational Amplifier) 앰프를 사용하여, 증폭기(111, 112)의 출력 단자(OUTa)로부터 부궤환 회로(120)의 입력 단자(INn)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즉, 제2입력 신호) 중에서 저음 부분(즉, 저음에 해당하는 기 설정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을 증폭시키고, 해당 증폭된 신호를 저항 믹싱부(121)로 전달해 줄 수 있다.
증폭부(122)가 증폭기(111, 112)의 출력 단자(OUTa)로부터 부궤환 회로(120)의 입력 단자(INn)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즉, 제2입력 신호) 중에서 저음 부분을 증폭시키는 이유는, 증폭부(122)에 의해 증폭된 신호는 저음 부분을 강화시켜 준 신호로서 저항 믹싱부(121)로 전달되고, 저항 믹싱부(121)로 인해 기 설정된 비율(예를 들어, 50 70(%))만큼 배분된 신호와 믹싱되어 원음 그대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 예에서, 증폭부(122)는, 부궤환 회로(120)의 입력 단자(INn)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즉, 제2입력 신호) 중에서 저음 부분에 해당하는 기 설정된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10 100(Hz))의 신호만을 필터링시켜 주는 필터(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증폭부(122)는,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저음 부분에 해당하는 기 설정된 대역의 신호를 증폭시켜 해당 증폭된 신호를 저항 믹싱부(121)로 전달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부궤환 회로 적용 증폭기(100)는, 증폭기(111, 112)에 적용된 부궤환 회로(120)에서 증폭부(122)를 통해 저음 재생 능력을 강화시켜 줌으로써, 저음 부분에 대한 음의 보강이 탁월하며, 이로 인하여 사람이 원음을 그대로 느낄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부궤환 회로 적용 증폭기
111, 112: 증폭기
120: 부궤환 회로
121: 저항 믹싱부
122: 증폭부

Claims (10)

  1. 증폭기의 출력 단자와 연결된 입력 단자를 통해 증폭기의 증폭 신호를 입력받아 증폭기의 입력 단자와 연결된 출력 단자를 통해 부궤환시키는 부궤환 회로를 적용한 증폭기에 있어서,
    증폭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부궤환 회로의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 중 기 설정된 비율만큼 배분된 제1신호와 믹싱시켜, 믹싱된 신호를 상기 부궤환 회로의 출력 단자로 부궤환시키는 저항 믹싱부; 및
    상기 부궤환 회로의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 중 기 설정된 비율만큼 배분된 제2신호를 증폭시켜, 증폭 신호를 상기 저항 믹싱부로 전달하는 증폭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궤환 회로는,
    상기 부궤환 회로의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의 전류를 상기 저항 믹싱부로 입력되는 제1신호의 제1전류와 상기 증폭부로 입력되는 제2신호의 제2전류로 분배하며, 상기 제1전류와 상기 제2전류의 크기를 기 설정된 비율에 대응하는 값으로 각각 가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궤환 회로 적용 음향 증폭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믹싱부는,
    상기 부궤환 회로의 출력 단자를 통해 역 방향으로 입력되는 잡음을 기 설정된 비율만큼으로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궤환 회로 적용 음향 증폭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믹싱부는,
    단자간의 결합에 있어서 세 개의 저항을 삼각형으로 형성시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궤환 회로 적용 음향 증폭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믹싱부는,
    상기 부궤환 회로의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 중 기 설정된 비율만큼 배분된 제1신호를 균등하게 배분하여 상호 보완하는 삼각형의 저항 믹서 방식으로 상기 증폭부를 통해 전달되는 증폭 신호와 함께 믹싱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궤환 회로 적용 음향 증폭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믹싱부는,
    상기 부궤환 회로의 출력 단자를 통해 역 방향으로 입력되는 잡음을 차단하기 위한 역 방향 차단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궤환 회로 적용 음향 증폭기.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믹싱부는,
    상기 부궤환 회로의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의 전류에 대해 기 설정된 제1비율에 해당하는 제1신호의 제1전류를 입력받기 위한 믹싱 저항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궤환 회로 적용 음향 증폭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부는,
    상기 부궤환 회로의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의 전류에 대해 기 설정된 제2비율에 해당하는 제2신호의 제2전류를 입력받기 위한 증폭 저항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궤환 회로 적용 음향 증폭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부는,
    상기 부궤환 회로의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 중 기 설정된 비율만큼 배분된 제2신호 중에서 저음에 해당하는 기 설정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증폭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궤환 회로 적용 음향 증폭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부는,
    상기 부궤환 회로의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 중 기 설정된 비율만큼 배분된 제2신호 중에서 저음에 해당하는 기 설정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만을 필터링시켜 주는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궤환 회로 적용 음향 증폭기.
KR1020130112500A 2013-09-23 2013-09-23 부궤환 회로 적용 음향증폭기 KR101363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2500A KR101363302B1 (ko) 2013-09-23 2013-09-23 부궤환 회로 적용 음향증폭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2500A KR101363302B1 (ko) 2013-09-23 2013-09-23 부궤환 회로 적용 음향증폭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3302B1 true KR101363302B1 (ko) 2014-02-25

Family

ID=50271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2500A KR101363302B1 (ko) 2013-09-23 2013-09-23 부궤환 회로 적용 음향증폭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330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618U (ko) * 1989-06-19 1991-01-31
JPH03115415U (ko) * 1990-03-13 1991-11-28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618U (ko) * 1989-06-19 1991-01-31
JPH03115415U (ko) * 1990-03-13 1991-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95804B (zh) 动反馈系统
US4191852A (en) Stereophonic sense enhancing apparatus
CN110582935B (zh) 在具有多个回放路径的音频系统中进行切换
CN103516314B (zh) 低噪声放大器和不具有声表面滤波器的接收器
US9301046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inimizing distortion in an audio output stage
CN202841493U (zh) 电子二分频音频信号处理电路
WO2006021142A1 (fr) Procede de contre-reaction en boucle a double d'echantillonnage et amplificateur a contre-reaction a double echantillonnage
US8139789B2 (en) Signal amplifier circuit
JP2009081641A (ja) アンバランス−バランス変換回路
KR101363302B1 (ko) 부궤환 회로 적용 음향증폭기
CN110011624B (zh) 高集成度复合类型音频功率放大电路结构
US7023269B2 (en) Digital amplifier and methods for enhancing resolution and dynamic range of a digital amplifier
US10726873B2 (en) Polymorphic playback system with signal detection filters of different latencies
TWI707537B (zh) D類放大器電路及音訊放大方法
JP5032367B2 (ja) オーディオ信号処理回路
US20170310280A1 (en) Single signal-variant power supply for a plurality of amplifiers
GB2561410A (en) Switching in amplifier with configurable final output stage
GB2439983A (en) Frequency compensation for an audio power amplifier
JP5993733B2 (ja) ミキシング回路、それを用いた車載用オーディオ装置、オーディオコンポーネント装置、電子機器
JPH05151703A (ja) 音声出力装置
US20120140930A1 (en) Method for Driving Loudspeakers
WO2012086015A1 (ja) 増幅装置
US5191616A (en) Acoustic apparatus
US20170207750A1 (en) Very high fidelity audio amplifier
JP4351860B2 (ja) 電圧制御増幅器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ステレオオーディオ信号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