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3082B1 -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기반의 단말장치 및 그 입력 이벤트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기반의 단말장치 및 그 입력 이벤트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3082B1
KR101363082B1 KR1020120050495A KR20120050495A KR101363082B1 KR 101363082 B1 KR101363082 B1 KR 101363082B1 KR 1020120050495 A KR1020120050495 A KR 1020120050495A KR 20120050495 A KR20120050495 A KR 20120050495A KR 101363082 B1 KR101363082 B1 KR 101363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event
screen
input event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0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7035A (ko
Inventor
신승호
Original Assignee
신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승호 filed Critical 신승호
Priority to KR1020120050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3082B1/ko
Publication of KR20130127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7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3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30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기반의 단말장치 및 그 입력 이벤트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단말장치는 입력 이벤트가 기 정의된 특정 입력 이벤트인지 판단하는 이벤트 감지부; 및 상기 기 정의된 특정 입력 이벤트로 판단되면, 화면 상에 출력된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각각의 그래픽 아이콘 중에서 상기 입력 이벤트가 발생한 그래픽 아이콘이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의 셋업 화면을 상기 화면 상에 팝업하는 이벤트 처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기반의 단말장치 및 그 입력 이벤트 처리 방법{TERMINAL UNIT WITH GRAPHIC USER INTERFACE AND METHOD FOR PROCESSING INPUT EVENT THEREOF}
본 발명은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기반의 단말장치 및 그 입력 이벤트 처리 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현재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디바이스에서 사용되는 일부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사용자 니즈(needs)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설정, 알림 설정, 개인정보 공개 레벨, 소셜 네트워크 연계 여부, 쿠키 삭제, 3G에서의 사용 금지 등을 설정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의 셋업 메뉴를 설정하려면, 종래에는 어플리케이션의 셋업 메뉴를 일일히 검색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항목을 선택한 후, 원하는 기능을 설정하여야 한다. 통상, 4번~ 5번의 조작을 해야만 일단 셋업 메뉴에 진입할 수 있다. 예컨대 홈 버튼을 클릭하면 팝업되는 배경 화면에서'설정'아이콘을 클릭한다. 그리고 '설정' 아이콘이 출력하는 설정 화면에서 원하는 어플리케이션까지 스크롤 업 또는 스크롤 다운한 후, 원하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클릭한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의 설정 화면이 출력되면, 원하는 기능을 설정한다. 이처럼, 4~5 스텝(step)의 과정을 거치도록 되어 있어 사용자는 여러 차례의 조작을 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별로 셋업 메뉴에 접근하는 방식이 어플리케이션 마다 달라 당황하거나 또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 설정이 있는지도 모르는 경우도 대단히 많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최소한의 사용자 조작만으로 어플리케이션의 셋업 메뉴에 접근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기반의 단말장치 및 그 입력 이벤트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기반의 단말장치는, 입력 이벤트가 기 정의된 특정 입력 이벤트인지 판단하는 이벤트 감지부; 및 상기 기 정의된 특정 입력 이벤트로 판단되면, 화면 상에 출력된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각각의 그래픽 아이콘 중에서 상기 입력 이벤트가 발생한 그래픽 아이콘이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의 셋업 화면을 상기 화면 상에 팝업하는 이벤트 처리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이벤트 처리부는,
상기 특정 입력 이벤트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식별자를 검출하여 상기 셋업 화면을 팝업할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하는 앱 확인 모듈; 및 상기 앱 확인 모듈이 확인한 어플리케이션의 셉업 화면을 상기 화면 상에 팝업하고, 상기 셉업 화면 상에서 입력받은 설정값을 저장하는 퀵 설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앱 확인 모듈이 확인한 어플리케이션은, 실행시 상기 퀵 설정 모듈이 저장한 설정값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퀵 설정 모듈은,
상기 셋업 화면을 모달 윈도우 창 형태로 팝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퀵 설정 모듈은,
상기 앱 확인 모듈이 확인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복수의 설정 메뉴 중에서 개발자에 의해 선택된 일부 설정 메뉴가 포함된 셋업 화면을 팝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벤트 처리부는,
상기 입력 이벤트를 토대로 입력 제스처를 해석하는 제스처 분석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퀵 설정 모듈은,
상기 입력 제스처에 따른 팝업 방식으로 상기 셋업 화면을 상기 화면 상에 팝업할 수 있다.
또한, 단말장치는,
사용자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른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 신호를 입력 이벤트로 변환하는 이벤트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스처 분석 모듈은,
상기 입력 이벤트의 이동 변위를 계산하여 상기 입력 제스처를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벤트 감지부는,
기 정의된 둘 이상의 입력 이벤트가 연속적으로 입력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벤트 감지부는,
상기 각각의 그래픽 아이콘 중에서 하나의 그래픽 아이콘을 선택하는 제1 입력 이벤트 및 상기 하나의 그래픽 아이콘을 선택한 상태에서 입력된 제스처에 따른 제2 입력 이벤트가 수신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벤트 감지부는,
상기 제2 입력 이벤트가 상기 하나의 그래픽 아이콘을 선택한 상태에서 상기 하나의 그래픽 아이콘을 기 정의된 방향으로 스크롤하는 제스처 이벤트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스처 분석 모듈은,
상기 제2 입력 이벤트의 이동 변위를 계산하여 이동 방향을 확인하고, 상기 이동 방향에 따라 사전 정의된 팝업 방식으로 상기 셋업 화면을 상기 화면 상에 팝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기반의 단말장치가 입력 이벤트를 처리하는 방법은,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각각의 그래픽 아이콘을 화면 상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그래픽 아이콘이 표시된 영역에서 발생한 입력 이벤트가 기 정의된 특정 입력 이벤트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기 정의된 특정 입력 이벤트로 판단되면, 상기 각각의 그래픽 아이콘 중에서 상기 입력 이벤트가 발생한 그래픽 아이콘이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의 셋업 화면을 상기 화면 상에 팝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팝업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입력 이벤트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식별자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식별자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셋업 화면을 상기 화면 상에 팝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팝업하는 단계 이후,
상기 셉업 화면 상에서 입력받은 설정값을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식별자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상기 설정값을 실행시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팝업하는 단계는,
상기 셋업 화면을 모달 윈도우 창 형태로 팝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팝업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식별자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복수의 설정 메뉴 중에서 개발자에 의해 선택된 일부 설정 메뉴가 포함된 셋업 화면을 팝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팝업하는 단계 사이에
상기 입력 이벤트를 토대로 입력 제스처를 해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팝업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제스처에 따른 팝업 방식으로 상기 셋업 화면을 상기 화면 상에 팝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 이벤트는,
사용자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른 입력 신호로부터 변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기 정의된 둘 이상의 입력 이벤트가 연속적으로 입력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각각의 그래픽 아이콘 중에서 하나의 그래픽 아이콘을 선택하는 제1 입력 이벤트 및 상기 하나의 그래픽 아이콘을 선택한 상태에서 입력된 제스처에 따른 제2 입력 이벤트가 수신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입력 이벤트가 상기 하나의 그래픽 아이콘을 선택한 상태에서 상기 하나의 그래픽 아이콘을 기 정의된 방향으로 스크롤하는 제스처 이벤트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 제스처를 해석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입력 이벤트의 이동 변위를 계산하여 이동 방향을 확인하고,
상기 팝업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방향에 따라 사전 정의된 팝업 방식으로 상기 셋업 화면을 상기 화면 상에 팝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선택한 상태에서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특정 방향으로 스크롤하면,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가 사용하는 기능으로만 구성된 셋업 메뉴로 접근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일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정을 위한 옵션을 검색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 편의를 향상시키며 어플리케이션 이용성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처리부의 세부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 이벤트 처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퀵 설정 화면예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기반의 단말장치 및 그 입력 이벤트 처리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단말장치(1)는 입력부(100), 표시부(200), 저장부(3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이러한 단말장치(1)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 기반의 단말장치이다. 즉 단말장치(1)는 단말장치(1)의 화면에 출력되는 그래픽 아이콘(graphic icon)을 클릭하면, 정의된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단말장치(1)는 예컨대 데스크탑 컴퓨터, ATM(automated teller machine), 키오스크와 이에 준하는 고정 단말과, 휴대형 전화, 스마트 폰, UMPC(Ultra Mobile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장치(1)는 모바일 전용 운영체제가 탑재된 단말로서, 예를들어 구글의 안드로이드(Android) 플랫폼 또는 애플이 ios 플랫폼이 탑재된 단말일 수 있다.
단말장치(1)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입력부(100)는 사용자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른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400)로 출력한다. 즉 입력부(100)는 화면 상의 커서(cursor) 또는 포인터(pointer)를 손가락 움직임을 통해 생성 및 이동시켜 PC(Personal Computer)에서와 동일한 포인팅 기술을 구현하는 포인팅 디바이스일 수 있다.
여기서, "손가락"은 일반적인 손가락 외에도 신체의 다른 부위로 이해될 수 있으며, 굳이 신체가 아니라도 입력부(100)가 움직임을 파악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다른 대체 가능한 물체가 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00)는 사용자 손가락의 물리적 접촉을 감지하거나 또는 사용자 손가락에 반사되는 광을 감지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터치 패널, 광 포인팅 장치 등이 될 수 있다.
표시부(200)는 단말장치(1)의 외부에 구비되어 단말장치(1)의 동작에 따른 정보를 화면 상에 출력한다. 표시부(200)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각각의 그래픽 아이콘을 화면 상에 출력한다. 여기서, 그래픽 아이콘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기본적인 구성요로서, 선택되거나 활성화될 수 있다.
표시부(200)는 어플리케이션 수행 중에 발생하는 화면 데이터를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 조작 상태 및 기능 설정정보 등을 표시한다.
표시부(200)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이하 'LCD'라 칭하기로 한다)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표시부(200)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표시부(200)는 입력부(100)에 포함된다.
저장부(300)는 후술할 제어부(400)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들을 저장한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의 셋업 화면에서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의 기능 세팅값을 저장한다.
제어부(400)는 단말장치(1)의 전반적인 동작 및 단말장치(1)의 내부 블록들(100, 200, 300, 400)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400)는 입력부(100)로부터 전달되는 입력 신호에 따른 입력 이벤트를 처리하여 퀵 설정을 구현한다. 이때, 퀵 설정은 사용자가 1??2회의 직관적인 조작으로 자신이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의 기본 설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라 정의한다.
여기서, 제어부(400)는 이벤트 생성부(410), 이벤트 감지부(420) 및 이벤트 처리부(430)를 포함한다.
이벤트 생성부(410)는 입력부(100)로부터 전달받은 입력 신호를 입력 이벤트로 변환한다. 여기서, 입력부(100)가 터치 인터페이스 방식의 입력 수단일 경우, 입력 이벤트는 터치 이벤트일 수 있다.
이벤트 감지부(420)는 이벤트가 발생될 때 그 사실을 통보받는 객체로서, 프로그래머에 의해 작성되는 클래스 객체인 이벤트 리스너(EventListener)를 말한다. 이러한 이벤트 감지부(420)는 이벤트 생성부(410)로부터 전달받은 입력 이벤트가 기 정의된 특정 입력 이벤트인지 판단한다.
이때, 이벤트 감지부(420)는 기 정의된 둘 이상의 입력 이벤트가 정의된 특정 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입력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이벤트 감지부(420)는 화면 상에 표시된 각각의 그래픽 아이콘 중에서 하나의 그래픽 아이콘을 선택하는 제1 입력 이벤트 및 하나의 그래픽 아이콘을 선택한 상태에서 입력된 제스처에 따른 제2 입력 이벤트가 수신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입력 이벤트는 스크롤 동작에 따른 입력 이벤트일 수 있다. 따라서, 이벤트 감지부(420)는 화면 상에 표시된 특정 그래픽 아이콘을 사용자가 터치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스크롤하는 제스처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벤트 처리부(430)는 입력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이를 가로채서 이에 반응하도록 그 실행 코드에 연결되게 하는 처리기 또는 실제의 실행을 담당하는 코드인 이벤트 핸들러(Event Handler)를 말한다. 이러한 이벤트 처리부(430)는 이벤트 감지부(420)가 기 정의된 특정 입력 이벤트로 판단하면, 입력 이벤트가 발생한 그래픽 아이콘이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의 셋업 화면을 화면 상에 팝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구성도로서, 단말 계층 구조를 통해 나타낸 단말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장치(1)는 도 1에서 이미 설명한 입력부(100), 표시부(200)와, 커널 계층 모듈(500), 하드웨어 추상화 계층(HAL) 모듈(600), API 계층 모듈(700), n(n≥1)개의 어플리케이션(800) 및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모듈(9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커널 계층(Kernel Layer) 모듈(500), 하드웨어 추상화 계층(HAL) 모듈(600), API 계층 모듈(700),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모듈(900)은 단말 플랫폼을 구성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입력 조작 또는 단말 내부의 동작에 따라 발생하는 어떠한 이벤트가 해당 애플리케이션에 전달되기 위해서는 커널 계층 모듈(500)에서부터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모듈(900)을 거쳐 전달되는 과정이 요구된다.
이때, 커널 계층 모듈(500)은 이벤트 생성부(410)를 포함하는데, 이벤트 생성부(410)는 하드웨어 계층(미도시)에 위치하는 입력부(100)로부터 입력 신호를 입력받아 입력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모듈(900)은 이벤트 감지부(420) 및 이벤트 처리부(430)를 포함한다. 이때, 이벤트 감지부(420)는 이벤트 생성부(410)로 직접 접근하여 입력 이벤트들을 획득하고, 획득한 입력 이벤트들 중에서 기 정의된 특정 입력 이벤트를 구분하여 이벤트 처리부(430)로 전달한다. 그러면, 이벤트 처리부(430)는 전달받은 입력 이벤트를 해석한 후, 앞서 기술한 퀵 설정을 구현한다.
또한, n개의 어플리케이션(800)은 이벤트 처리부(430)의 퀵 설정을 통해 저장된 세팅값을 실행시 적용한다.
여기서, 이벤트 감지부(420) 및 이벤트 처리부(430)의 동작은 종래의 단말 운영체제 내의 제스처 인터페이스를 콘트롤하는 구성의 소스 코드를 변경 또는 추가하여 구현된다.
n개의 어플리케이션(800)은 단말장치(1)에 설치될 때, 셋업 기능(App Setup)에 대한 옵션들을 표 1과 같은 의사코드(Pseudo code)를 이용하여 홈스크린 확장기능(Expaned Feature for Home Screen)에 등록한다.
여기서, 홈스크린 확장기능은 인스톨하는 앱(또는 애플리케이션)의 "Setup" 가능한 항목들을 저장하고 있다가 "앱 터치 후 상하 제스쳐 핸들러"로부터 앱 셋업을 호출되는 경우 해당 앱의 셋업부분만 모아서 화면에 로딩해주는 "앱 설정화면 로드" 부분에 셋업항목을 전달해주는 백그라운드 서비스 혹은 커스터마이징된 커널에 존재하는 부가기능을 말한다.

Function register_scroll_setup( appid, options ) {
// appid 로 app 을 구분하고,
// options 에는 해당 앱이 가져야하는 옵션에 대한 값을 전달한다.

If ( options.hasOption(camera_enable) ) {
register_app_ui( appid, camera_enable);
}
If ( options.hasOption(3g_enable) ) {
register_app_ui( appid, 3g_enable);
}
If ( options.hasOption(wifi_enable) ) {
register_app_ui( appid, wifi_enable);
}

// 이벤트 핸들러가 읽을 수 있는 공간에 옵션에 대한 값을 기록
}
또한, 이벤트 처리부(430)는 표 2와 같은 같은 의사코드를 이용하여 퀵 설정을 구현한다.
Function load_scroll_setup( appid, registered_options ) {
// register_scroll_setup 으로 등록한 옵션들에 대한 값을 read

If ( registered_option.hasOption(camera_enable) ) {
create_app_ui( camera_enable);
}
If ( registered_option.hasOption(3g_enable) ) {
create_app_ui(3g_enable);
}
If ( registered_option.hasOption(wifi_enable) ) {
create_app_ui(wifi_enable);
}
// create_app_ui를 통해 등록된 항목들에 대한 UI를 화면에 출력

}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처리부의 세부적인 구성도로서,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이벤트 처리부(430)의 기능을 블록으로 구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벤트 처리부(430)는 앱 확인 모듈(431), 제스처 분석 모듈(432) 및 퀵 설정 모듈(433)을 포함한다.
앱 확인 모듈(431)은 이벤트 감지부(420)가 구분한 기 정의된 특정 입력 이벤트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식별자(앱 ID)를 검출하여 셋업 화면을 팝업할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한다.
제스처 분석 모듈(432)은 이벤트 감지부(420)가 구분한 기 정의된 특정 입력 이벤트를 토대로 입력 제스처를 해석한다.
이때, 입력 이벤트는 두 개의 입력 이벤트로 구현될 수 있는데,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제1 입력 이벤트 및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한 상태에서 스크롤하는 제스처에 따른 제2 입력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기재한 것처럼, 여기서, 제1 입력 이벤트 및 제2 입력 이벤트는 터치 이벤트일 수 있다.
이때, 제스처 분석 모듈(432)은 제2 입력 이벤트의 이동 변위를 계산하여 이동 방향을 해석한다.
퀵 설정 모듈(433)은 앱 확인 모듈(431)이 확인한 어플리케이션의 셉업 화면을 화면 상에 팝업하고, 셉업 화면 상에서 입력받은 세팅값을 저장한다.
이때, 퀵 설정 모듈(433)은 셋업 화면을 모달 윈도우(modal window) 형태로 팝업할 수 있다. 여기서, 모달 윈도우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개념에서 자식 윈도로 부모 윈도로 돌아가기 전에 사용자의 상호동작을 요구하는 창을 말한다.
또한, 퀵 설정 모듈(433)은 제스처 분석 모듈(432)이 해석한 제스처 즉 스크롤 방향에 따라 사전 정의된 팝업 방식으로 셋업 화면을 팝업한다. 예컨대 상??>하 방향의 스크롤이라면, 셋업 화면을 화면 상단에 표출할 수 있다. 혹은 하??>상 방향의 스크롤이라면, 셋업 화면을 화면 하단에 표출할 수 있다.
이때, 퀵 설정 모듈(433)이 팝업하는 셋업 화면은 어플리케이션의 셋업 메뉴 전부가 아닌 일부 설정 메뉴들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복수의 설정 메뉴 중에서 개발자에 의해 선택된 일부 설정 메뉴가 포함된 셋업 화면을 팝업할 수 있다.
이제, 단말장치(1)가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퀵 설정을 위한 입력 이벤트를 처리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도 1~ 도 3과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 이벤트 처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벤트 감지부(420)는 이벤트 생성부(410)로부터 입력 이벤트를 수집한다(S101).
다음, 이벤트 감지부(420)는 수집한 입력 이벤트를 구분(S103)하여 기 정의된 특정 입력 이벤트인지를 판단한다(S105). 즉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 그래픽 아이콘을 터치 한 후 상, 하로 스크롤하여 발생한 입력 이벤트 인지를 판단한다.
이때, 기 정의된 특정 입력 이벤트로 판단되면, 앱 확인 모듈(431)은 입력 이벤트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식별자를 확인한다(S107).
다음, 제스처 분석 모듈(432)은 입력 이벤트의 제스처를 해석한다(S109).
이때, 입력 이벤트는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입력 신호에 따른 제1 입력 이벤트와 선택한 어플리케이션을 스크롤하는 제2 입력 이벤트를 포함한다. 예컨대 어플리케이션을 터치후 업 또는 다운 스크롤한 이벤트를 포함한다. 그러면, 제스처 분석 모듈(432)은 제2 입력 이벤트의 이동 변위를 해석하여 이동 방향을 확인한다.
다음, 퀵 설정 모듈(433)은 S109 단계에서 확인한 제스처에 따른 팝업 방식으로 셋업 화면을 화면 상에 출력한다(S111).
다음, 퀵 설정 모듈(433)은 사용자가 셋업 화면에서 수정 또는 입력(S113)한 세팅값을 해당 어플리케이션과 매칭하여 저장부(300)에 저장한 후, S111 단계에서 출력된 팝업을 해제한다(S115).
한편, S115 단계에서 기 정의된 특정 입력 이벤트가 아닌 경우, 입력 이벤트를 해결하기 위한 이벤트 처리부(미도시)를 호출하여 해당 입력 이벤트에 의한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S117).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퀵 설정 화면예시도이다.
도 5와 같이, 단말장치(1)의 표시부(200)는 화면 상에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그래픽 아이콘(201)을 출력한다. 이때, 사용자가 특정 그래픽 아이콘(201)을 선택한 상태에서 스크롤 업 또는 스크롤 다운한다. 그러면, 도 6과 같이, 표시부(200)는 화면 상단에 사용자가 선택한 그래픽 아이콘(201)의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셋업 화면(203)이 풀 다운되면서 펼쳐지도록 출력한다. 사용자는 이러한 셋업 화면(203)에서 어플리케이션에 필요한 설정을 완료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20)

  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기반의 단말장치로서,
    입력 이벤트가 기 정의된 특정 입력 이벤트인지 판단하는 이벤트 감지부; 및
    상기 기 정의된 특정 입력 이벤트로 판단되면, 화면 상에 출력된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각각의 그래픽 아이콘 중에서 상기 입력 이벤트가 발생한 그래픽 아이콘이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의 셋업 화면을 상기 화면 상에 팝업하는 이벤트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감지부는,
    상기 각각의 그래픽 아이콘 중에서 하나의 그래픽 아이콘을 선택하는 제1 입력 이벤트 및 상기 하나의 그래픽 아이콘을 선택한 상태에서 입력된 제스처에 따른 제2 입력 이벤트가 수신되는지 판단하는 단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처리부는,
    상기 특정 입력 이벤트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식별자를 검출하여 상기 셋업 화면을 팝업할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하는 앱 확인 모듈; 및
    상기 앱 확인 모듈이 확인한 어플리케이션의 셉업 화면을 상기 화면 상에 팝업하고, 상기 셉업 화면 상에서 입력받은 설정값을 저장하는 퀵 설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앱 확인 모듈이 확인한 어플리케이션은,
    실행시 상기 퀵 설정 모듈이 저장한 설정값을 적용하는 단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퀵 설정 모듈은,
    상기 셋업 화면을 모달 윈도우 창 형태로 팝업하는 단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퀵 설정 모듈은,
    상기 앱 확인 모듈이 확인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복수의 설정 메뉴 중에서 개발자에 의해 선택된 일부 설정 메뉴가 포함된 셋업 화면을 팝업하는 단말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처리부는,
    상기 입력 이벤트를 토대로 입력 제스처를 해석하는 제스처 분석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퀵 설정 모듈은,
    상기 입력 제스처에 따른 팝업 방식으로 상기 셋업 화면을 상기 화면 상에 팝업하는 단말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사용자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른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 신호를 입력 이벤트로 변환하는 이벤트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스처 분석 모듈은,
    상기 입력 이벤트의 이동 변위를 계산하여 상기 입력 제스처를 해석하는 단말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감지부는, 기 정의된 둘 이상의 입력 이벤트가 연속적으로 입력되는지 판단하는 단말장치.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감지부는,
    상기 제2 입력 이벤트가 상기 하나의 그래픽 아이콘을 선택한 상태에서 상기 하나의 그래픽 아이콘을 기 정의된 방향으로 스크롤하는 제스처 이벤트인지를 판단하는 단말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처 분석 모듈은,
    상기 제2 입력 이벤트의 이동 변위를 계산하여 이동 방향을 확인하고, 상기 이동 방향에 따라 사전 정의된 팝업 방식으로 상기 셋업 화면을 상기 화면 상에 팝업하는 단말장치.
  1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기반의 단말장치가 입력 이벤트를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장치는 입력부, 표시부, 저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가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각각의 그래픽 아이콘을 상기 표시부의 화면 상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각각의 그래픽 아이콘이 표시된 영역에서 생성된 입력 신호를 상기 입력부로부터 전달받아 변환시킨 입력 이벤트가 기 정의된 특정 입력 이벤트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기 정의된 특정 입력 이벤트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각각의 그래픽 아이콘 중에서 상기 입력 이벤트가 발생한 그래픽 아이콘이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의 셋업 화면을 상기 표시부의 화면 상에 팝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각각의 그래픽 아이콘 중에서 하나의 그래픽 아이콘을 선택하는 제1 입력 이벤트 및 상기 하나의 그래픽 아이콘을 선택한 상태에서 입력된 제스처에 따른 제2 입력 이벤트가 수신되는지 판단하는 입력 이벤트 처리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특정 입력 이벤트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식별자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식별자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셋업 화면을 상기 표시부의 화면 상에 팝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팝업하는 단계 이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셋업 화면 상에서 입력된 입력 신호를 상기 입력부로부터 전달받아 상기 입력 신호에 따른 설정값을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식별자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상기 설정값을 실행시 적용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입력 이벤트 처리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셋업 화면을 모달 윈도우 창 형태로 팝업하는 입력 이벤트 처리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식별자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복수의 설정 메뉴 중에서 개발자에 의해 선택된 일부 설정 메뉴가 포함된 셋업 화면을 팝업하는 입력 이벤트 처리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팝업하는 단계 사이에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 이벤트를 토대로 입력 제스처를 해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팝업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 제스처에 따른 팝업 방식으로 상기 셋업 화면을 상기 표시부의 화면 상에 팝업하는 입력 이벤트 처리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이벤트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른 입력 신호로부터 변환되는 입력 이벤트 처리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기 정의된 둘 이상의 입력 이벤트가 연속적으로 입력되는지 판단하는 입력 이벤트 처리 방법.
  18. 삭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2 입력 이벤트가 상기 하나의 그래픽 아이콘을 선택한 상태에서 상기 하나의 그래픽 아이콘을 기 정의된 방향으로 스크롤하는 제스처 이벤트인지를 판단하는 입력 이벤트 처리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제스처를 해석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2 입력 이벤트의 이동 변위를 계산하여 이동 방향을 확인하고,
    상기 팝업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이동 방향에 따라 사전 정의된 팝업 방식으로 상기 셋업 화면을 상기 표시부의 화면 상에 팝업하는 입력 이벤트 처리 방법.
KR1020120050495A 2012-05-11 2012-05-1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기반의 단말장치 및 그 입력 이벤트 처리 방법 KR1013630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0495A KR101363082B1 (ko) 2012-05-11 2012-05-1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기반의 단말장치 및 그 입력 이벤트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0495A KR101363082B1 (ko) 2012-05-11 2012-05-1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기반의 단말장치 및 그 입력 이벤트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7035A KR20130127035A (ko) 2013-11-22
KR101363082B1 true KR101363082B1 (ko) 2014-02-21

Family

ID=49854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0495A KR101363082B1 (ko) 2012-05-11 2012-05-1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기반의 단말장치 및 그 입력 이벤트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308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8858A (ko) * 2008-10-07 2010-04-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아이콘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8858A (ko) * 2008-10-07 2010-04-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아이콘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7035A (ko) 2013-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10535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JP5129140B2 (ja) タッチスクリーン型インターフェースを用いるコンピュータの作動
JP6088520B2 (ja) 狭小ディスプレイ・デバイスのためのロール・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ース
US20170336970A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display
KR102485448B1 (ko) 제스처 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021048B1 (ko) 사용자 입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140059428A1 (en) Portable device and guide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thereof
EP2717149A2 (en) Display control method for displaying different pointers according to attributes of a hovering input position
EP3100151B1 (en) Virtual mouse for a touch screen device
KR102307215B1 (ko)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전자 디바이스
KR102228335B1 (ko)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부분을 선택하는 방법
JP2015001977A (ja) 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のための入力モード間の自動切り替え
CN107015752B (zh) 用于处理视图层上的输入的电子设备和方法
KR20160027775A (ko) 터치 입력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US20130201121A1 (en) Touch display device and touch method
US9645729B2 (en) Precise object selection in touch sensing systems
US20150248213A1 (en) Method to enable hard keys of a device from the screen
EP2677413B1 (en) Method for improving touch recogni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2272343B1 (ko) 전자 펜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60004590A (ko) 전자 장치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전자 장치
US20110316887A1 (en) Electronic device with a touch screen and touch operation control method utilized thereby
KR20130075767A (ko) 휴대용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8988369B1 (en) Restricted carousel with built-in gesture customization
US2015004684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information in terminal
US20210096728A1 (en)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