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2980B1 - 터치패널센서 - Google Patents

터치패널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2980B1
KR101362980B1 KR1020110103150A KR20110103150A KR101362980B1 KR 101362980 B1 KR101362980 B1 KR 101362980B1 KR 1020110103150 A KR1020110103150 A KR 1020110103150A KR 20110103150 A KR20110103150 A KR 20110103150A KR 101362980 B1 KR101362980 B1 KR 1013629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attern
conductive
touch panel
window decoration
transpa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3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8668A (ko
Inventor
박철
Original Assignee
(주)삼원에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원에스티 filed Critical (주)삼원에스티
Priority to KR1020110103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2980B1/ko
Publication of KR20130038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8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2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29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4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or films on insulating-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피대상물의 접촉 위치를 감지하여 외부 장치로 전달하는 터치패널센서는, 절연기판, 절연기판의 저면에 형성되는 전극패턴, 절연기판의 저면에서 전극패턴의 단부를 덮도록 형성되며 다수의 도전성 망점(dot)으로 이루어진 비도전성 윈도우 데코레이션, 및 윈도우 데코레이션의 하부에 형성되어 도전성 망점 사이 공간을 통해 전극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각각의 전극패턴과 외부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터치패널센서{TOUCH PANEL SENSOR}
본 발명은 터치패널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피대상물의 접촉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패널센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터치패널센서(1)는 하부 절연시트(10) 및 상부 절연시트(20)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접합된다. 하부 절연시트(10) 및 상부 절연시트(20)의 마주보는 면에는 각각 하부 ITO전극(30)과 상부 ITO전극(40)이 상호 수직하게 배열되어 있다.
상부 ITO전극(40)과 연성회로기판(50)의 단자(5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금속선(48)이 상부 ITO전극(40)의 단부로부터 상부 절연시트(20)의 하부까지 연장되며, 하부 ITO전극(20) 또한 별도의 금속선(38)에 의해서 회로기판(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다만, 금속선(38, 48)은 금속 광택으로 반짝이며, 빛이 통과하지 않아 투명한 상부 절연시트(20)의 상부에서 육안으로 확인될 수 있다. 따라서, 금속선(38, 48) 및 회로기판(50)이 가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투명한 유리나 강화플라스틱을 이용한 강화기판(60)의 저면에 비투광성의 윈도우 데코레이션(65)을 형성하고, 강화기판(60)을 상부 절연시트(20) 상부에 배치한다.
그러나, 강화기판(60)에 의해서 터치패널센서(1)의 두께가 증가하고, 이는 터치패널센서(1)의 투명도 및 선명도를 떨어뜨리고, 터치패널센서의 감도를 떨어뜨릴 수 있다.
또한, 강화기판(60), 상부 절연시트(20) 및 하부 절연시트(10) 사이에는 각각 광학 접착층(Optical Clearance Adhesive Layer)가 개재되기 때문에, 터치패널센서(1) 자체의 두께가 두꺼워질 수 있고, 접착 과정에서 불량 발생률이 증가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빛의 투과도나 선명도를 떨어뜨릴 수도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부 ITO전극과 윈도우 데코레이션을 동일 면에 형성하되, 윈도우 데코레이션에 관통홀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착색 도전층을 형성하는 기술이 등록특허 제10-1013037호에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착색 도전층과 윈도우 데코레이션을 별도로 형성하기 때문에, 양 요소의 색을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어려우며, 색 조절이 조금이라도 실패하게 되면 착색 도전층의 자리가 외형적으로 드러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투명 전극패턴 또는 불투명 전극패턴과 외부 장치와의 전기적 접속 구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터치패널센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극패턴과 윈도우 데코레이션을 동일 면에 형성하되, 외형적으로 손상이나 어색함 없이 윈도우 데코레이션 전후면의 전기적 연결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터치패널센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터치패널센서의 적층 레이어의 수를 줄임으로써 광학적 특성 개선, 불량 발생률 감소, 무게 경량화, 비용 절감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터치패널센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기적으로 우수한 특성을 갖는 전극패턴 구조 및 데코레이션 구조를 갖는 터치패널센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대상물의 접촉 위치를 감지하여 외부 장치로 전달하는 터치패널센서는, 절연기판, 절연기판의 저면에 형성되는 전극패턴, 절연기판의 저면에서 전극패턴의 단부를 덮도록 형성되며 수평방향의 통전이 제한되도록 상호 분리된 다수의 도전성 망점(dot)으로 이루어진 윈도우 데코레이션, 및 전극패턴에 대응하여 상기 윈도우 데코레이션의 하부에 형성되며 윈도우 데코레이션의 도전성 망점을 통해 전극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각의 전극패턴과 외부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부재를 포함한다.
잉크젯, 실크스크린이나 그라비아 인쇄 등을 이용하여 도전성 잉크 또는 기타 도전성 물질을 도전성 망점 형태로 도포할 수가 있다. 이들 잉크젯이나 실크스크린을 이용하는 경우, 도전성 잉크나 물질이 망점(dot)의 조합으로 인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망점들은 실질적으로 절연성 기판의 일면을 커버하여 데코레이션 기능을 할 수가 있다. 잉크젯, 실크스크린이나 그라비아인쇄 등으로 윈도우 데코레이션을 형성하는 경우, 기본적으로 유색 처리가 가능하여 배면을 가시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전체적으로 균일한 또는 디자인된 색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외부에서는 어떠한 흠집을 찾을 수가 없다. 특히, 도전성 망점 자체가 전기를 전달할 수 있으므로, 전극패턴과 와이어부재 간의 통전을 보조할 수가 있다.
또한, 도전성 망점을 이웃하는 망점들로부터 분리되어 있거나 아주 작은 면적에서 서로 이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망점들을 통한 전기 전달이 없거나 있더라도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은 경우로서, 수평방향의 통전이 수직방향의 통전에 비해 제한되도록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도전성 망점을 통해 상하로 배치된 전극패턴과 와이어부재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며, 배면을 차단하는 윈도우 데코레이션 본연의 기능 및 간단한 전기 연결 구조를 제공하는 특징을 기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윈도우 데코레이션은 복수의 도전성 망점을 포함한다. 상기 도전성 망점은 기존의 잉크젯, 실크스크린이나 그라비아인쇄와 같이 망점을 포함하는 인쇄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망점과 같이 도전성 물질은 이용하여 상호 실질적으로 분리된 망점을 형성할 수 있는 인쇄 또는 돌기 형성 방법을 통해서 도전성 망점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전성 망점을 통해서 전극패턴은 와이어부재, 즉 실버페이스트 또는 연성회로기판과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하지만, 윈도우 데코레이션 저면에서 전극패턴에 대응하도록 도전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도전부는 도전물질로 이루어져 전극패턴과 와이어부재를 안정적으로 도전부로는 투명도전물질 외에도 상기 도전성 망점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색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도전부는 상하로 배치되는 전극패턴의 단부 및 와이어부재에 대응하여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이외 영역은 배색층이나 다른 절연 물질로 도포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절연기판에 적용되는 투명 또는 불투명 전극패턴은 피대상물의 접촉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사용되며, 이는 정전용량 방식 또는 저항막 방식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일반적으로 ITO 투명 전극패턴은 약 0.01~0.1㎛의 두께로 형성되는 반면, 종래의 윈도우 데코레이션은 약 2~3㎛의 두께로 형성되기 때문에, 종래의 윈도우 데코레이션이 형성된 기판 위에 ITO 전극패턴을 함께 형성하는 것이 어려웠으며, 기존에는 ITO 투명전극패턴과 윈도우 데코레이션을 별도의 기판 또는 별도의 면에 형성한다. 참고로, 윈도우 데코레이션이 먼저 형성된 기판에서 같은 면에 ITO 전극패턴을 형성하게 되면, 윈도우 데코레이션의 높은 단차 경계에서 ITO 전극패턴이 깨지거나 단전이 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할 수가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1013037호와 같이, 윈도우 데코레이션을 중심으로 전극패턴과 와이어패턴을 연결함에 있어서 바로 착색 도전층을 사용하게 되면, 착색 도전층과 기존 윈도우 데코레이션 간의 색깔 차이를 갖게 하는데 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윈도우 데코레이션을 전극패턴 상에 형성하되, 윈도우 데코레이션을 도전성 망점의 조합으로 구성하고, 상기 도전성 망점을 잉크젯이나, 실크스크린, 그라비아 인쇄 등으로 형성하고, 도전성 망점들이 실질적으로 상호 분리되도록 인쇄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얇기는 하지만 단일 색으로 구성된 윈도우 데코레이션을 이용하기 때문에, 윈도우 데코레이션 하부의 색감 차이를 보정할 수 있으며, 그 자체만으로도 기판 저면을 가시적으로 보이지 않도록 차단막 기능을 할 수가 있다. 도전성 망점에 의해서 윈도우 데코레이션은 수직 방향 저항이 수평 방향 저항보다 훨씬 작은 저항값을 가질 수가 있다.
도전성 망점으로 형성된 윈도우 데코레이션 상에 와이어부재가 직접 제공 및 연결될 수가 있으며, 도전성 망점 상으로 투명도전물질이나 유색도전물질이 충진되어 와이어부재와 전극패턴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가 있다. 그리고, 도전성 망점으로 구성된 윈도우 데코레이션의 하부로는 착색 도전층이 형성된 배색층이나 투명 도전성물질을 이용하여 형성된 투명연결패턴을 이용하여 전극패턴과 와이어부재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가 있다.
와이어부재라 함은 윈도우 데코레이션 상에 형성된 금속라인패턴이 될 수 있으며, 이들은 기존의 실버 페이스트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에 의해서 제작될 수 있고, 다르게는 금속증착 및 식각을 통한 공정, 나노 임프린팅, 잉크젯 인쇄 등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 외에도 와이어부재는 윈도우 데코레이션 상에 바로 형성되지 않고, 연성회로기판을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필요한 전기 단자를 연결하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터치패널센서는 윈도우 데코레이션 영역의 활용을 통해서 터치패널센서의 도전 구조를 개선할 수 있으며, 강화유리기판 또는 투명수지기판 저면에 바로 전극패턴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윈도우 데코레이션이 도전성 망점을 가지는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상하 수직한 방향의 저항값이 수평한 방향의 저항값에 비해 상당히 작도록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터치패널센서는 전극패턴과 윈도우 데코레이션을 동일 면에 형성하되, 전극패턴과 윈도우 데코레이션 간의 전기적 접속을 간단하게 형성할 수가 있다.
디스플레이가 위치한 중앙 영역에서는 ITO, AZO, IZO, CNT 와 같은 소재를 사용하여 투명 전극패턴을 형성할 수도 있지만, 0~30㎛ 폭의 미세 금속패턴을 이용하여 전극패턴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터치패널센서는 터치패널센서의 적층 레이어의 수를 줄임으로써 광학적 특성 개선, 불량 발생률 감소, 무게 경량화, 비용 절감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터치패널센서는 전기적으로 우수한 특성을 갖는 전극패턴 구조 및 데코레이션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센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상부시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윈도우 데코레이션의 도전성 망점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전극패턴 및 와이어부재 간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센서들에서 전극패턴과 와이어 부재 간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전극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1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센서의 구조 및 그 제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이러한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센서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상부시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윈도우 데코레이션의 도전성 망점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2의 전극패턴 및 와이어부재 간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터치패널센서(100)는 상부시트(110), 하부시트(130), 및 광학접착층(150)을 포함한다. 상부시트(110)는 상부 절연기판(111) 및 상부 전극패턴(112)을 포함하며, 하부시트(130)는 하부 절연기판(131) 및 하부 투명전극패턴(132)을 포함한다.
상부 절연기판(111)은 높은 표면 강도를 갖는 재료로서 유리 재질 혹은 유리 재질과 같이 빛이 투과하고, 표면 강도가 뛰어난 다른 플라스틱 재질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하부시트(130)에서 상부 전극패턴(112)과의 상호 작용을 하는 하부 투명전극패턴(132)이 배치되는 하부 절연기판(131) 역시 상부 절연기판(111)과 동일한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물론, 저항막 방식에 따른 상부시트를 형성하는 경우, 상부 절연기판은 플라스틱 필름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어떤 방식을 택하던, 플라스틱 필름을 절연기판으로 사용하는 경우, 판형 필름 또는 롤형 필름으로 절연기판이 제공될 수 있다. 상부 절연기판(111)은 유리 혹은 유리 재질과 같이 빛이 투과하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아크릴(acryl),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절연기판의 재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부 전극패턴(112)은 투광성과 도전성을 모두 갖춘 ITO(Indium Tin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 ATO(Al-doped Tin Oxide), AZO(Al-doped Zinc Oxide), 탄소나노튜브(CNT) 등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부 전극패턴(112)이 투명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외부에서 가시화되지 않으며, 터치패널센서의 하부에 배치되는 유기전계발광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과 같은 디스플레이의 영상을 가리지 않고 노출시킬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 상부 전극패턴(112)은 불투명한 도전성 물질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ITO 및 IZO보다 작은 저항계수를 갖는 금, 은, 알루미늄 등의 다양한 금속이나 이들의 합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전극패턴의 재료로 불투명한 도전성 물질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의 영상을 가리지 않고 노출시킬 수 있도록 충분이 가늘게 제공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전극패턴의 폭이 0 초과 30㎛이하이면 육안으로 잘 확인되지 않는다. 최근에는 나노 임프린팅 고정 등을 통해서 패턴의 굵기를 수nm까지 얇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시 도면을 참조하면, 상부 시트를 보면 상부 전극패턴(112) 및 투명 창이 형성되는 중앙 영역(D)이 제공되며, 중앙 영역의 주변으로 주변 영역에서 윈도우 데코레이션 영역(E)이 형성된다.
상술한 상부 절연기판(111)의 저면 및 하부 절연기판(131)의 상면에는 각각 상호 작용하여 피대상물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는 상부 전극패턴(112) 및 하부 투명전극패턴(132)이 형성되며, 상부 전극패턴(112)이나 하부 투명전극패턴(132)은 투광성과 도전성을 모두 갖춘 ITO 또는 IZO, CNT, 은나노파우더, 은나노파이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에서 가시되지 않으며, 터치패널센서(100)의 저부에 배치될 수 있는 유기전계발광장치, 액정표시장치, 및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 등의 디스플레이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통과시킬 수 있다.
이때, 하부 절연기판(131) 역시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아크릴(acryl),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플라스틱 및 유리 등의 소재를 두루 이용할 수 있다.
상부시트(110) 및 하부시트(130) 사이에는 투명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광학접착층(150)이 제공될 수 있다. 광학접착층(150)은 OCA 필름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보호필름에 덮여진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부시트(110)의 저면의 전극패턴만으로도 피대상물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경우, 광합접착층이나 하부 시트 없이 보호필름 또는 보호층만 상부시트 저면에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다.
광학접착층(150)은 비도전성 재질로 제공되며, 광학접착층(150)에 의해서 상부 전극패턴(112) 및 하부 투명전극패턴(132)이 물리적으로 접착되고 전기적으로는 분리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광학접착층(150)은 광학접착필름 또는 OCA(Optically Clear Adhesive)필름을 이용하여, 상부시트(110)및 하부시트(130)를 접합하고, 빛이 잘 투과되어 광학적으로도 우수하다.
도 3을 보면, 절연기판(111)의 저면에 상부 전극패턴(112)이 형성되며, 그 상부로 윈도우 데코레이션(120)이 제공될 수 있다. 윈도우 데코레이션(120)은 잉크젯, 실크스크린이나 그라비아 인쇄와 같이 도전성 망점(122)을 이용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4에서와 같이 도전성 망점(122)이 모두 연결되지 않고 서로 분리된 상태를 유지되도록 치밀하게 분포되어 있다. 도전성 망점(122)은 잉크젯 분사 등을 통해서 서로 분리된 돌기 또는 방울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도전성 망점(122)은 전극패턴(1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전성 망점(122)은 잉크젯 등의 인쇄 방법에 따라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크기 역시 균일하거나 불균일하게 형성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전부(190)는 상부 전극패턴(112)의 단부와 금속 와이어패턴(170)의 단부에 대응하여 상하로 일치하는 부분 및 그 주변에 형성될 수 있다. 도전부(190)는 투명한 도전성 물질을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윈도우 데코레이션(120)과 동일 또는 유사한 색의 유색물질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은색의 윈도우 데코레이션에 대응하여 카본 등이 혼합된 도전성 물질로 도전부가 제공될 수 있으며, 흰색의 윈도우 데코레이션에 대응하여 투명 또는 흰색의 도전성 물질을 이용하여 도전부를 형성할 수가 있다. 도전성 물질로는 카본, ATO. ITO, PEDOT, 메탈 분말, 카본 파이버, 나노실버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색깔을 표현하기 위해 도전성 또는 비도전성 잉크를 혼합할 수가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전극패턴(112) 상에 도전성 망점(122)을 포함하는 윈도우 데코레이션(120)이 형성되며, 상부 전극패턴(112) 및 와이어 패턴(170)이 상하로 중첩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부분적으로 도전부(190)가 형성될 수 있다. 도전부(190)는 도전성 물질로서 도전성 망점(122) 사이의 공간을 충진할 수 있으며, 상부 전극패턴(112)과 와이어 패턴(170)을 상하 수직한 방향으로 연결할 수가 있다.
경우에 따라 윈도우 데코레이션(120)의 도전성 망점(122)이 그 하면을 가시적으로 차단하여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하고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의 빛샘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는 경우, 도전부 없이 와이어 패턴(170)을 바로 윈도우 데코레이션(120) 저면에 바로 형성할 수도 있다.
정면에서는 외부로 노출되는 윈도우 데코레이션(120)이 동일한 재료 및 동일한 색으로 형성되어 얼룩이나 흠집 없이 균일한 면을 형성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정면의 도색 퀄리티를 향상시킬 수가 있다.
와이어 패턴(170)을 형성하기 전에, 윈도우 데코레이션(120)의 저면에는 도전부(190)가 형성된 영역 이외에 절연층이 더 제공될 수도 있다. 절연층은 투명 또는 윈도우 데코레이션(120)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비도전성 물질로 제공될 수가 있다. 물론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절연층 없이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전극패턴은 단일 라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복수개의 직선, 곡선, 웨이브 형상의 라인이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면서 하나의 그룹을 형성하고, 그룹화된 평행 라인의 양단 중 하나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센서들에서 전극패턴과 와이어 부재 간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부 절연기판(111)의 저면에 상부 전극패턴(112)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위로 도전성 망점(122)의 윈도우 데코레이션(120) 및 도전부(190)가 제공될 수 있다. 도전부(190)는 상부 전극패턴(112)의 단부에 대응하여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도전부(190) 위로 도전성 접착층(164)을 이용하여 연성회로기판(161)의 단자(162)가 일대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도전성 망점(122)이 형성된 윈도우 데코레이션(120)의 상부로 배색층(180) 및 착색 도전층(140)이 제공될 수 있으며, 착색 도전층(140) 및 도전성 망점의 전기적 연결을 매개로 상부 전극패턴(112)과 와이어패턴(125)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배색층(180)은 절연성 또는 고저항 물질을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그에 비해 착색 도전층(140)은 배색층(180)의 홀 내부에서 배색층(180)보다 낮은 저항의 물질로 형성될 수가 있다. 착색 도전층(140)은 비도전 잉크 및 도전성 물질을 혼합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배색층(180)은 아예 동일한 색의 절연성 물질로 형성되거나 혼합비를 달리한 채 동일한 재료를 이용하여 제공될 수가 있다.
착색 도전층(140)과 배색층(180) 간의 색을 완전히 일치시키기에 무리가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배색층(180)과 착색 도전층(140)이 도전성 망점(122)에 의해서 가려지기 때문에 색의 불일치를 걱정할 필요가 없다.
도 8을 참조하면, 도전성 망점(122)이 형성된 윈도우 데코레이션(120)의 상부로 배색층(180)이 제공될 수 있으며, 배색층(180) 위로 와이어패턴(170)이 형성될 수 있다. 윈도우 데코레이션(120)은 배색층(180)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으며, 배색층(180)의 경계에서 투명한 도전성 잉크로 이루어진 투명연결패턴(190)이 더 제공될 수 있다.
투명연결패턴(190)은 전극패턴(112)과 와이어패턴(17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그 전면에는 윈도우 데코레이션(120)이 형성되어 투명연결패턴(190)이 외부에서 쉽게 관찰되지 않도록 할 수가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전극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참고로, 도 9에서 광학 접착층 또는 보호층, 필름은 도시화되지 않고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투명코팅층은 광학접착층이나 UV 투명경화제 등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가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센서는 절연기판(310), 절연기판(310) 상에 형성된 제1 투명전극패턴(320) 및 제2 투명전극패턴(330), 그리고 제1 투명전극패턴(320) 및 제2 투명전극패턴(330) 사이에 개재되는 절연패턴(335)을 포함한다.
절연기판(310)은 투명한 PET나 PC, PE 등의 합성수지 필름이나 강화유리기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투명전극패턴(320) 및 제2 투명전극패턴(330)은 절연기판(310)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다.
제1 투명전극패턴(320)은 투명한 도전성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절연기판(310) 상에서 가로 또는 세로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열되는 일련의 라인 패턴에 의해서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제1 투명전극패턴(320)을 위한 라인 패턴은 일 방향을 따라 일렬로 제공되는 확장부(322) 및 브릿지부(324)를 포함한다. 확장부(322) 및 브릿지부(324)는 서로 교대로 형성되어 일렬로 배치되며, 동일 또는 다른 투명 도전성 재질에 의해서 형성될 수가 있다.
확장부(322)는 브릿지부(324)보다 상대적으로 또는 현저하게 넓은 폭으로 형성되며, 브릿지부(324)는 확장부(322)들의 사이에 형성되어 일련의 확장부(322)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가 있다.
확장부(322) 및 브릿지부(324)의 형상은,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된 사각형을 모티브로 형성될 수 있지만, 그 형상은 마름모, 원형 또는 타원형 등 다양한 도형을 모티브로 할 수가 있다. 또한, 확장부(322) 및 브릿지부(324)는 제2 투명전극패턴(330)을 위한 투명 연결부(336)과 함께 동일 재질 및 동일 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호 최소한의 폭으로 이격되도록 형상이 조화를 이루도록 선택될 수가 있다.
제1 투명전극패턴(320)과 적층된 구조를 형성하도록 제2 투명전극패턴(330)이 형성된다. 제2 투명전극패턴(330)은 제1 투명전극패턴(320)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투명전극패턴(320)과 전기적으로 분리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제1 투명전극패턴(320)과 제2 투명전극패턴(330) 사이에는 절연패턴(335)이 형성될 수가 있다. 절연패턴(335)은 일반적으로 절연 박막을 형성하는 SiO2, Si3N4 또는 TiO2 등의 소재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 투명전극패턴(330)은 투명 연결부(336)를 포함한다. 투명 연결부(336)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투명전극패턴(320)과 동시에 형성될 수가 있다. 투명 연결부(336) 역시 약 0.1~0.2mm의 폭을 가지는 투명 도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절연기판(310)에 형성된 ITO층을 사진식각공정을 통해 식각한 후 확장부(322) 및 브릿지부(324)와 함께 형성될 수가 있다.
제2 투명전극패턴(330)은 투명 연결부(336) 외에 저저항 라인(334)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저항 라인(334)은 절연패턴(335) 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투명 연결부(336)의 표면을 통과하면서 일련의 투명 연결부(336) 전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저저항 라인(334)은 금이나 은, 알루미늄, 크롬 등의 금속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와이어 패턴(370)과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이들 금속 패턴은 전극패턴(320, 330)이 형성된 절연 기판(310) 상에 금속 박막층을 단층 또는 다층으로 형성하고, 정해진 저저항 라인(334) 및 와이어 패턴(370) 형상에 따라 식각하여 형성될 수가 있다. 이때 증착이나 스퍼터링 후 나노 임프린팅과 같은 패턴화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으며, 간단하게는 잉크젯 인쇄 등의 공정을 통해서도 형성될 수가 있다.
저저항 라인(334)는 투명하지 않아 디스플레이를 광학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나, 약 30㎛ 이하, 바람직하게는 3㎛이하의 폭으로 형성될 수가 있으며, 이러한 폭의 미세패턴은 육안으로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금속으로는 알루미늄, 구리, 금, 은, 니켈, 크롬 등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알루미늄의 경우 비저항(ρ)이 약 2.82*10-6Ωcm로 상당히 낮다. 만약, 이러한 알루미늄 저저항 라인(334)이 약 1㎛의 폭, 0.1㎛의 높이, 및 약 10cm 길이로 형성된다고 가정할 때, 그때 저항은 다음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112011078943366-pat00001
만약, 비슷한 조건에서 ITO 전극패턴이 100㎛ 및 길이 10cm라고 가정하여 ITO 전극패턴의 저항을 계산할 수가 있다. ITO의 면저항은 기본적으로 2~300Ω/square정도이고, 현재 기술적으로 150Ω/square 이기 때문에, ITO 전극패턴의 저항은 다음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112011078943366-pat00002
즉, 같은 10cm의 길이로 형성되고,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형성된다고 할 때, 알루미늄의 라인이 같은 길이의 ITO 패턴보다 현저하게 낮은 저항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비슷한 예로, 크롬(Cr)의 경우 비저항이 약 1.27*10-5Ωcm이기 때문에, 알루미늄과 같은 조건 하에서 약 12.7kΩ으로 ITO 전극패턴보다는 현저히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제1 투명전극패턴(320)의 양단은 윈도우 데코레이션(350)과 부분적으로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중첩된 부분에서 도전부(390)가 윈도우 데코레이션(350)의 도전성 망점에 따른 핀홀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와이어부재를 구성하는 와이어 패턴(370)은 윈도우 데코레이션(350) 상에 형성되어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윈도우 데코레이션(350) 상에 직접 형성되지 않고 연성회로기판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와이어 패턴(370)의 단부에는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갖는 접속부(374)가 제공될 수 있으며, 접속부(374)를 통해서 와이어 패턴(370)은 외부 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다른 연성회로기판이나 다른 전기적 접속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투명전극패턴(320, 330)을 이용하여 하나의 강화유리기판 저면에 2가지 전극패턴을 형성할 수 있으며, 별도의 전극시트를 겹칠 필요가 없다. 물론, 일면에 전극패턴을 모두 형성하고, 그 저면에 접지된 시트 또는 도전성 물질이 도포된 차단층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윈도우 데코레이션(350) 상에서 전극패턴(320, 330)과 와이어 패턴(370)이 일치하도록 할 수가 있다. 비록 전극패턴(320)과 와이어 패턴(370)이 직접 접하는 것은 아니지만, 도전부(390) 및 도전성 망점을 통해 연결되어 상하로 일치하는 단자끼리만 배타적으로 연결할 수가 있다.
도 11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센서의 구조 및 그 제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들이다.
먼저, 도 11를 참조하면, 투명하며 절연성을 갖는 상부 절연기판(610)에 상부 전극패턴을 위한 전극층(612)을 ITO 혹은 IZO, 은나노파우더, 은나노파이버 등을 이용한 투명한 도전성 소재를 사용하여 상부 절연기판(610)의 저면 전체에 걸쳐서 형성한다.
그 후에, 사진식각공정이나 기타 패터닝을 통해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층(612)을 패터닝하여 원하는 패턴을 갖는 상부 전극패턴을 형성한다. 상부 전극패턴은 제1 투명전극패턴(620) 및 제2 투명전극패턴(630)을 포함한다.
제1 투명전극패턴(620)은 상부 절연기판(610) 상에서 가로 또는 세로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열되는 일련의 라인 패턴에 의해서 제공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제1 투명전극패턴(620)을 위한 라인 패턴은 가로 방향을 따라 일렬로 제공되는 확장부(622) 및 브릿지부(624)를 포함한다. 확장부(622) 및 브릿지부(624)는 서로 교대로 형성되어 일렬로 배치될 수가 있다.
확장부(622)는 브릿지부(624)보다 상대적으로 또는 현저하게 넓은 폭으로 형성되며, 브릿지부(624)는 확장부(622)들의 사이에 형성되어 일련의 확장부(622)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가 있다. 확장부(622)의 형상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된 다이아몬드를 모티브로 형성될 수 있지만, 그 형상은 마름모, 원형 또는 타원형 등 다양한 도형을 모티브로 할 수가 있다.
제2 투명전극패턴(630)은 제1 투명전극패턴(620)과 마찬가지로 상부 절연기판(610)상에 형성되며, 제1 투명전극패턴(620)과 전기적으로 분리되도록 형성된다. 제2 투명전극패턴(630)은 제1 투명전극패턴(620)의 확장부(622) 사이에 배치되는 투명 연결부(636)를 포함한다
상술한 제1 투명전극패턴(620) 및 제2 투명전극패턴(630)은 절연기판(610)에 형성된 전극층(612)을 사진식각공정 등을 통해서 함께 형성될 수 있다.
도 13을 보면, 제1 투명전극패턴(620) 및 제2 투명전극패턴(630)이 형성된 상부 절연기판(610)의 저면 전체에 절연층(614)을 형성한다. 절연층(614)은 SiO2, Si3N4 또는 TiO2 등의 소재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투명전극패턴(620)의 확장부(622)들은 브릿지부(624)에 의해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나, 제2 투명전극패턴(630)의 투명 연결부(636)는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따라서, 확장부(622)들 사이에 세로로 배치되는 투명 연결부(636)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여야 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사진식각공정을 통해서 절연층(614)에 각각의 투명 연결부(636)가 일부 노출될 수 있는 제1 노출 공(615)을 형성한다. 한편, 제1 및 제2 투명전극패턴(620, 630) 중 절연기판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부분에 대응하여 추후 윈도우 데코레이션(650) 상에 놓이는 와이어 패턴(670)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제2 노출 공(616)을 형성시킬 수 있다. 참고로, 도면상에서 와이어 패턴(670)은 하얗게 처리되었으나, 이는 윈도우 데코레이션과 구분하기 위함이지 빈 공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 후에,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층(614) 상에 금속층(617)을 전체적으로 형성하고, 금속층(617)을 사진식각공정을 통해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터닝하여 연결 라인(634)을 형성한다. 한편, 연결 라인은 외부에서 가시될 수 있기 때문에, 그 폭이 30㎛이하가 되게 하여 가시되지 않도록 하며, 실제로 3㎛정도로 형성하여 전혀 가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 라인(634)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제2 노출 공 위치에 별도의 연결 단자를 함께 형성할 수도 있으나, 이는 외부에서 노출될 수 있어 형성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2 노출 공으로는 직접 착색 도전층이 놓이게 된다.
연결 라인(634)은 절연층(614)의 제1 노출 공(616)으로 노출되는 서로 인접한 투명 연결부(636)간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절연기판의 가장자리에 액자 형상으로 윈도우 데코레이션(650)을 전체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 데코레이션은 도전성 물질을 잉크젯, 실크스크린 등과 같이 도전성 망점을 형성하는 과정을 통해서 제공될 수 있으며, 금속 광택이나 기타 유색층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윈도우 데코레이션을 도전성 망점으로 형성한 후, 제2 노출 공(616)의 위치에 대응하여 도전부(652)를 형성할 수 있다. 도전부(652)는 도전성 망점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색으로서, 도전성 망점과 유사한 색이던지 투명한 색, 기타 금속색을 이용하여 제공될 수가 있다. 물론, 도전부(652)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전부(652)를 통해 전극패턴의 단부(64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패턴(670)을 형성한다. 참고로, 도면에서는 도전부(652)와 윈도우 데코레이션(650)의 색이 약간 다르게 표시되나, 이는 도면에서 착색 도전층과 윈도우 데코레이션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선택으로 실상은 시각적으로 구분할 수 없도록 서로 유사한 색으로 제공될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윈도우 데코레이션(650)에 도전부(652)를 형성하고, 전극패턴 단부(640)에서 와이어 패턴(670)이 형성되지만, 제1 및 제2 투명 전극패턴(620, 630)의 단부가 도전성 망점을 매개로 와이어 패턴(670)과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절연막을 반드시 제공할 필요는 없으나,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윈도우 데코레이션이 도전성을 가지며, 주변 환경에 의한 영향을 최소로 하기 위해 윈도우 데코레이션과 와이어 부재 사이에 절연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센서 중 상부시트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앞선 실시예에서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상부 절연기판(710)에 상부 전극패턴을 위한 전극층을 ITO 혹은 IZO와 같은 투명한 소재를 사용하여 상부 절연기판(710)의 저면 전체에 걸쳐서 형성하고, 전극층을 패터닝하여 원하는 패턴을 갖는 상부 전극패턴을 형성한다. 도 19를 살펴보면, 상부 전극패턴은 제1 투명전극패턴(720) 및 제2 투명전극패턴(73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투명전극패턴(720)을 위한 라인 패턴은 가로 방향을 따라 일렬로 제공되는 확장부(722) 및 브릿지부(724)를 포함한다. 확장부(722) 및 브릿지부(724)는 서로 교대로 형성되어 일렬로 배치될 수가 있다. 브릿지부(724)는 확장부(722)들의 사이에 형성되어 일련의 확장부(722)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가 있다.
제2 투명전극패턴(730)은 제1 투명전극패턴(720)과 마찬가지로 상부 절연기판(710)상에 형성되며, 제1 투명전극패턴(720)과 전기적으로 분리되도록 형성된다. 제2 투명전극패턴(730)은 제1 투명전극패턴(720)의 확장부(722) 사이에 배치되는 투명 연결부(736)를 포함한다
제1 투명전극패턴(720) 및 제2 투명전극패턴(730)이 형성된 상부 절연기판(710)의 저면 전체에 절연층(714)을 형성한다. 절연층(714)은 SiO2, Si3N4 또는 TiO2 등의 소재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절연층을 형성하는 산화물층은 전극패턴(720, 730) 및 기판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들은 단층 또는 복수층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물론, 이때 산화물층은 기판에 대해서 전면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데코레이션 부분에만 대응하도록 테두리 부분만 남기고 중앙부분은 제거될 수도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투명전극패턴(720)의 확장부(722)들은 브릿지부(724)에 의해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나, 제2 투명전극패턴(730)의 투명 연결부(736)는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따라서, 확장부(722)들 사이에 세로로 배치되는 투명 연결부(736)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여야 한다. 이에,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진식각공정을 통해서 절연층(714)에 각각의 투명 연결부(736)가 일부 노출될 수 있는 제1 노출 공(715)을 형성한다. 한편, 제1 및 제2 투명전극패턴(720, 730) 중 절연기판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부분에 대응하여 추후 윈도우 데코레이션(750) 상에 놓이는 와이어 패턴(770)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제2 노출 공(716)을 형성시킬 수 있다.
그 후에,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층(314) 상에 저저항 투명 전극층(717)을 전체적으로 형성하고, 저저항 투명 전극층(717)을 사진식각공정을 통해서,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터닝하여 연결 라인(734)을 형성한다. 여기서 저저항 투명 전극층(717)은 제1 및 제2 투명전극패턴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저항계수(예를 들어, 10Ω/square 이하)를 갖는 투명한 ITO나 IZO, 은나노투명잉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연결 라인(734)은 면저항이 상대적으로 제1 및 제2 투명전극패턴보다 작게 할 수 있고, 이에 저저항 투명 전극층(717)을 패터닝하여 형성된 연결 라인(734)은 서로 인접한 투명 연결부(736)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용이하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투명전극패턴의 면저항은 대략 150옴 정도라면, 저저항 투명 전극층의 면저항은 대략 10옴 정도로 제공할 수 있다.
참고로, 저저항 투명 전극층은 투명한 재질이기 때문에 앞서 금속을 사용한 연결 라인(634)과 다르게 투명하여 외부에서 가시될 염려가 없다.
또한, 연결 라인(734)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제2 노출 공(716) 위치에 별도의 연결 단자를 함께 형성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별도 연결 단자를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기판의 가장자리에 액자 형상으로 윈도우 데코레이션(750)을 전체적으로 형성시킨 후에, 제2 노출 공(716)의 위치에 대응하여 전극패턴의 단부(740)가 위치할 수 있으며, 도전성 망점을 통해서 와이어부재는 전극패턴의 단부(7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도전부 없이 전극패턴의 단부(740) 위치에 대응하여,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패턴(770)을 형성할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윈도우 데코레이션(750)에서 도전성 망점을 매개로 제1 및 제2 투명 전극패턴(720, 730)의 단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지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도전부를 더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도 절연막을 반드시 제공할 필요는 없으나,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윈도우 데코레이션이 도전성을 갖기 때문에 와이어 부재와의 전기적 분리를 위해 윈도우 데코레이션과 와이어 부재 사이에 절연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터치패널센서 110:상부시트
111:상부 절연기판 112:상부 전극패턴
113:금속성 연결패턴 120:윈도우 데코레이션
130:하부시트 131:하부 절연기판

Claims (13)

  1. 피대상물의 접촉 위치를 감지하여 외부 장치로 전달하는 터치패널센서에 있어서,
    절연기판;
    상기 절연기판의 저면에 형성되는 전극패턴;
    상기 절연기판의 저면에서 상기 전극패턴의 단부를 덮도록 형성되며, 수평방향의 통전이 제한되도록 상호 분리된 다수의 도전성 망점(dot)으로 이루어진 윈도우 데코레이션; 및
    상기 전극패턴에 대응하여 상기 윈도우 데코레이션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윈도우 데코레이션의 상기 도전성 망점을 통해 상기 전극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각의 상기 전극패턴과 외부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부재;
    를 포함하는 터치패널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망점은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센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망점은 잉크젯, 실크스크린, 그라비아인쇄를 통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센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데코레이션의 저면에서 상기 전극패턴 및 상기 와이어부재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윈도우 데코레이션의 상기 도전성 망점 또는 그 사이 공간을 통해 상기 전극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센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부는 상하로 배치되는 상기 전극패턴의 단부 및 상기 와이어부재에 대응하여 부분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센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부는 투명 또는 유색의 도전성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센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데코레이션의 저면에 추가로 형성되는 배색층 및 상기 배색층에서 상기 전극패턴의 단부에 대응하여 홀 또는 홈 형상으로 제공되는 관통영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부재는 상기 관통영역 및 상기 도전성 망점을 통해 상기 전극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센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데코레이션의 저면에 추가로 형성되는 배색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배색층의 경계에 걸쳐 형성되는 투명연결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투명연결패턴은 상기 도전성 망점을 통해 상기 전극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 부재와는 상기 배색층의 저면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센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부재는 상기 데코 절연층 상에 형성된 금속 와이어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센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부재는 상기 윈도우 데코레이션 상에 적층되는 연성회로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연성회로기판의 단자가 상기 윈도우 데코레이션의 상기 도전성 망점을 통해 상기 전극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센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기판은 유리 또는 투명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센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패턴은 투명 또는 불투명 도전성 물질을 이용하여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센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패턴은
    일 방향을 따라 일렬로 제공되는 복수의 확장부 및 상기 복수의 확장부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브릿지부를 포함하는 제1 전극패턴; 및
    상기 절연기판 상에서 상기 제1 전극패턴과 같은 면에서 상기 제1 전극패턴과 교차하도록 나란하게 형성되되 상기 제1 전극패턴과 전기적으로 분리되고, 상기 확장부 및 상기 브릿지부 이외의 영역에 형성된 복수의 투명 연결부 및 상기 브릿지부를 넘어 상기 투명 연결부를 연결하는 저저항 라인을 포함하는 제2 전극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센서.
KR1020110103150A 2011-10-10 2011-10-10 터치패널센서 KR1013629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150A KR101362980B1 (ko) 2011-10-10 2011-10-10 터치패널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150A KR101362980B1 (ko) 2011-10-10 2011-10-10 터치패널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8668A KR20130038668A (ko) 2013-04-18
KR101362980B1 true KR101362980B1 (ko) 2014-02-17

Family

ID=48439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3150A KR101362980B1 (ko) 2011-10-10 2011-10-10 터치패널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29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03315B2 (en) 2016-04-22 2019-05-28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519B1 (ko) 2009-03-04 2010-03-03 남동식 터치패널센서
KR101013037B1 (ko) 2010-06-16 2011-02-14 (주)삼원에스티 터치패널센서
KR101092405B1 (ko) 2011-04-13 2011-12-09 (주)삼원에스티 터치패널센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519B1 (ko) 2009-03-04 2010-03-03 남동식 터치패널센서
KR101013037B1 (ko) 2010-06-16 2011-02-14 (주)삼원에스티 터치패널센서
KR101092405B1 (ko) 2011-04-13 2011-12-09 (주)삼원에스티 터치패널센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03315B2 (en) 2016-04-22 2019-05-28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US10514809B2 (en) 2016-04-22 2019-12-24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8668A (ko) 2013-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2405B1 (ko) 터치패널센서
JP5475190B2 (ja) タッチパネルセンサー
CN102736780B (zh) 输入装置
KR101217591B1 (ko) 정전용량 터치 센서
KR101355179B1 (ko) 터치패널센서
KR101281451B1 (ko) 커버 윈도우 일체형 터치 스크린 및 그 제조방법
US9955576B2 (en) Touch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member
KR101655485B1 (ko) 터치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174709B1 (ko) 터치패널센서
KR101373242B1 (ko) 터치패널센서
KR101231613B1 (ko) 커버 윈도우 일체형 터치 스크린
KR20130056003A (ko) 터치패널센서
KR101174707B1 (ko) 터치패널센서
KR20130049036A (ko) 터치패널센서
KR101362980B1 (ko) 터치패널센서
KR20110124598A (ko) 장식부에 미러 문양의 효과를 갖는 윈도우 일체형 정전용량방식 터치스크린 패널
KR101300693B1 (ko) 터치패널센서
KR102218718B1 (ko) 전도성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그리고 전도성 필름을 포함하는 터치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01336B1 (ko) 터치패널센서
KR101092404B1 (ko) 터치패널센서
KR101329606B1 (ko) 터치패널센서
KR20140006563A (ko) 터치패널센서
KR101174710B1 (ko) 터치패널센서
KR102237956B1 (ko) 터치 윈도우
KR101175684B1 (ko) 터치패널센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