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2927B1 - 와이어로프 방진기 및 이것을 이용한 방진 시스템 - Google Patents

와이어로프 방진기 및 이것을 이용한 방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2927B1
KR101362927B1 KR1020120140466A KR20120140466A KR101362927B1 KR 101362927 B1 KR101362927 B1 KR 101362927B1 KR 1020120140466 A KR1020120140466 A KR 1020120140466A KR 20120140466 A KR20120140466 A KR 20120140466A KR 101362927 B1 KR101362927 B1 KR 101362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pairs
hole
curves
retainer ring
wire r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0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은중
이재국
이장현
Original Assignee
(주)엔에스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에스브이 filed Critical (주)엔에스브이
Priority to KR1020120140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29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2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2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6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6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 F16F15/067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using only wound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로프가 이중 권선되어 있는 와이어로프 방진기 및 이것을 이용한 방진 시스템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와이어로프 방진기는, 제1 리테이너 링, 제2 리테이너 링과 와이어로프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리테이너 링은 제1 윗면, 제1 아랫면, 제1 외면과 제1 내면을 가지며, 제1 외면과 제1 내면을 관통하도록 복수의 제1 구멍 쌍과 복수의 제2 구멍 쌍이 원주 방향을 따라 번갈아 형성되어 있다. 제2 리테이너 링은 제1 리테이너 링과 간격을 두고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제2 윗면, 제2 아랫면, 제2 외면과 제2 내면을 가지며, 제2 외면과 제2 내면을 관통하도록 복수의 제3 구멍 쌍과 제4 구멍 쌍이 원주 방향을 따라 번갈아 형성되어 있고, 제3 및 제4 구멍 쌍 각각은 제1 및 제2 구멍 쌍 각각에 어긋나도록 배치되어 있다. 와이어로프는 제1 구멍 쌍과 제3 구멍 쌍을 번갈아서 통과하고 있는 안쪽 로프와, 안쪽 로프와 연속되어 있고 제2 구멍 쌍과 제4 구멍 쌍을 번갈아서 통과하고 있으며 안쪽 로프의 바깥쪽에 배치되어 있는 바깥쪽 로프를 갖는다. 본 발명의 방진 시스템은, 와이어로프 방진기와, 제1 리테이너 링의 제1 윗면에 장착되어 있는 위쪽 부재와, 제2 리테이너 링의 제2 아랫면에 장착되어 있는 아래쪽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와이어로프가 제1 및 제2 리테이너 링에 이중 권선되어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고, 와이어로프의 이중 권선 구조에 의하여 강성 편차가 최소화되어 방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와이어로프가 제1 및 제2 리테이너 링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와이어로프 방진기 및 이것을 이용한 방진 시스템{WIRE ROPE ISOLATOR AND VIBRATION ISOLATION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와이어로프 방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와이어로프가 이중 권선(Double winding)되어 있는 와이어로프 방진기 및 이것을 이용한 방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방진 시스템(Vibration isolation system)은 기계장치, 구조물 등에서 발생되는 진동·소음의 전달을 차단하고, 외부 충격으로부터 기계장치를 보호하기 위하여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방진 시스템의 공진이 존재하는 저주파수 영역에서는 가진 변위와 충격력이 크기 때문에 강성이 큰 방진 시스템을 이용하여 기계장치의 과도한 운동을 제한하고, 큰 감쇠력으로 충격력을 감소시켜야 한다. 가진 변위와 충격력이 작은 고주파수 영역에서는 작은 감쇠력으로 기계장치의 진동·소음을 지지구조물과 절연시켜야 한다. 이러한 방진 시스템은 고무 마운트(Rubber mount), 스프링 마운트(Spring mount), 에어 스프링(Air spring), 와이어로프 방진기 등 매우 다양한 형태와 구조로 개발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5,549,285호의 와이어로프 방진기는 제1 크림프 바(Crimp bar), 제2 크림프 바와 와이어로프로 구성되어 있다. 와이어로프는 제1 및 제2 크림프 바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측면 구멍(Lateral holes)에 연속적으로 통과되어 있다. 와이어로프의 코일은 중앙 U-형상 세그먼트(Central U-shaped segment)를 가지며, 코일은 방진기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각각의 코일들은 맨 위(Top)로부터 맨 아래 오른쪽(Bottom-right) 또는 맨 위에서 맨 아래 왼쪽을 향하여 경사져 있다. 크림프(Crimp)가 측면 구멍들에 끼워져 있는 와이어로프 각각의 코일들(Individual coils)을 고정하도록 제1 및 제2 크림프 바에 형성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6,406,011호의 와이어로프 방진기는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마운팅 블록(Mounting blocks), 와이어로프와 복수의 장부 핀(Dowel pins)으로 구성되어 있다. 와이어로프는 마운팅 블록들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측면 구멍에 연속적으로 통과되어 있다. 장부 핀들은 측면 구멍들에 끼워져 있는 와이어로프를 고정하도록 파일럿 구멍(Pilot hole)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와이어로프 방진기는 와이어로프가 코일 형상(Coil shape) 또는 루프 형상(Loop shape)을 이루도록 제1 및 제2 크림프 바를 번갈아 통과되면서 경사지게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제1 및 제2 크림프 바를 기준으로 와이어로프의 좌우 강성에 편차가 크게 발생되고, 방진 성능 및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와이어로프 방진기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와이어로프의 이중 권선 구조에 의하여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새로운 와이어로프 방진기 및 이것을 이용한 방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와이어로프의 이중 권선 구조에 의하여 강성 편차가 최소화되어 방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와이어로프 방진기 및 이것을 이용한 방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따른 목적은, 와이어로프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와이어로프 방진기 및 이것을 이용한 방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와이어로프 방진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 방진기는, 제1 윗면, 제1 아랫면, 제1 외면과 제1 내면을 가지며, 제1 외면과 제1 내면을 관통하도록 복수의 제1 구멍 쌍과 복수의 제2 구멍 쌍이 원주 방향을 따라 번갈아 형성되어 있는 제1 리테이너 링과; 제1 리테이너 링과 간격을 두고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제2 윗면, 제2 아랫면, 제2 외면과 제2 내면을 가지며, 제2 외면과 제2 내면을 관통하도록 복수의 제3 구멍 쌍과 복수의 제4 구멍 쌍이 원주 방향을 따라 번갈아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제3 및 제4 구멍 쌍 각각은 복수의 제1 및 제2 구멍 쌍 각각에 어긋나도록 배치되어 있는 제2 리테이너 링과; 복수의 제1 구멍 쌍과 복수의 제3 구멍 쌍을 번갈아서 통과하고 있는 안쪽 로프와, 안쪽 로프와 연속되어 있고 복수의 제2 구멍 쌍과 복수의 제4 구멍 쌍을 번갈아서 통과하고 있으며 안쪽 로프의 바깥쪽에 배치되어 있는 바깥쪽 로프를 갖는 와이어로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방진 시스템은, 와이어로프 방진기와; 제1 리테이너 링의 제1 윗면에 장착되어 있는 위쪽 부재와; 제2 리테이너 링의 제2 아랫면에 장착되어 있는 아래쪽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 방진기 및 이것을 이용한 방진 시스템은, 와이어로프가 제1 및 제2 리테이너 링에 이중 권선되어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고, 와이어로프의 이중 권선 구조에 의하여 강성 편차가 최소화되어 방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와이어로프가 제1 및 제2 리테이너 링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 방진기는 진동·소음·충격을 감쇠시키기 위한 기계장치, 구조물 등의 방진 시스템에 효율적으로 채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 방진기의 제1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와이어로프 방진기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와이어로프 방진기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와이어로프 방진기의 구성을 부분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와이어로프 방진기에서 고정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와이어로프 방진기에서 고정수단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 방진기의 제2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방진 시스템의 제1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방진 시스템의 구성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방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진 시스템의 제2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방진 시스템의 구성을 부분적으로 절제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과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 방진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5에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 방진기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와이어로프 방진기(10)는 서로 마주하도록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제1 리테이너 링(Retainer ring: 20)과 제2 리테이너 링(30)을 구비한다. 제1 리테이너 링(20)과 제2 리테이너 링(30)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1 리테이너 링(20)은 제1 윗면(22a), 제1 아랫면(22b), 제1 외면(22c), 제1 내면(22d), 복수의 제1 구멍 쌍(24a, 24b)과 복수의 제2 구멍 쌍(26a, 26b)을 갖는다. 제1 구멍 쌍(24a, 24b)들과 제2 구멍 쌍(26a, 26b)들은 제1 외면(22c)과 제1 내면(22d)을 관통하도록 제1 리테이너 링(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번갈아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제1 설치 구멍(Mounting hole: 28)이 제1 윗면(22a)과 제1 아랫면(22b)을 관통하도록 제1 리테이너 링(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설치 구멍(28)들은 제1 및 제2 구멍 쌍(24a, 24b, 26a, 26b)들과 어긋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 리테이너 링(30)은 제2 윗면(32a), 제2 아랫면(32b), 제2 외면(32c), 제2 내면(32d), 복수의 제3 구멍 쌍(34a, 34b), 복수의 제4 구멍 쌍(36a, 36b)과 복수의 제2 설치 구멍(38)을 갖는다. 제1 설치 구멍(26)들과 제2 설치 구멍(36)들은 서로 정렬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및 제2 설치 구멍(26, 36)들 각각은 볼트의 체결을 위한 나사구멍이나 볼트구멍(Bolt hole)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리테이너 링(20, 30) 각각은 금속,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Aluminium alloy), 스테인리스스틸(Stainless steel)을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와이어로프 방진기(10)는 제1 리테이너 링(20)과 제2 리테이너 링(30)을 통과하면서 권선되어 있는 와이어로프(40)를 구비한다. 와이어로프(40)는 복수의 강선을 꼬아서 한 줄의 스트랜드(Strand)를 만들고, 복수의 스트랜드을 꼬아서 만든다. 와이어로프(40)는 스테인리스스틸을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와이어로프(40)는 제1 말단(42), 제2 말단(44), 안쪽 로프(Inner loop: 46)와 바깥쪽 로프(Outer loop: 48)로 구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말단(42)과 제2 말단(44)은 서로 맞닿도록 제1 구멍 쌍(24a, 24b)들 중 제1 구멍(24a)에 끼워져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제1 말단(42)과 제2 말단(44)은 서로 맞닿도록 제1 내지 제4 구멍 쌍(24a, 24b, 26a, 26b, 34a, 34b, 36a, 36b)들 중 어느 하나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말단(42)과 제2 말단(44)은 용접에 의하여 서로 접합될 수 있다.
안쪽 로프(46)는 제1 구멍 쌍(24a, 24b)들과 제3 구멍 쌍(34a, 34b)들을 번갈아서 통과하여 있다. 안쪽 로프(46)는 복수의 제1 커브(Curve: 46a), 복수의 제2 커브(46b), 복수의 제1 루프(46c)와 복수의 제2 루프(46d)를 갖는다. 제1 및 제2 커브(46a, 46b)들 각각은 "C"자 또는 "U"자 형태로 형성되어 제1 바깥지름을 가지고 있으며, 제1 및 제2 리테이너 링(20, 30)의 바깥쪽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커브(46a)들 각각은 제1 구멍 쌍(24a, 24b)들 중 제1 구멍(24a)과 제3 구멍 쌍(34a, 34b)들 중 제3 구멍(34b)에 통과되어 있다. 제2 커브(46b)들 각각은 제1 구멍(24b)과 제3 구멍(34a)에 통과되어 있다. 제1 루프(46c)들 각각은 제1 구멍 쌍(24a, 24b)들에 통과되어 있는 제1 및 제2 커브(46a, 46b)들 각각의 끝을 이어주고 있다. 제2 루프(46d)들 각각은 제3 구멍 쌍(34a, 34b)들에 통과되어 있는 제1 및 제2 커브(46a, 46b)들 각각의 끝을 이어주고 있다. 제1 및 제2 루프(46c, 46d)들은 제1 및 제2 리테이너 링(20, 30)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다.
바깥쪽 로프(48)는 제2 구멍 쌍(26a, 26b)들과 제4 구멍 쌍(36a, 36b)들을 번갈아서 통과하고 있으며, 안쪽 로프(46)의 바깥쪽에 배치되어 있다. 바깥쪽 로프(48)는 복수의 제3 커브(48a), 복수의 제4 커브(48b), 복수의 제3 루프(48c)와 복수의 제4 루프(48d)를 갖는다. 제3 및 제4 커브(48a, 48b)들 각각은 "C"자 또는 "U"자 형태로 형성되어 제1 및 제2 커브(46a, 46b)들의 제1 바깥지름보다 크기가 큰 제2 바깥지름을 가지고 있으며, 안쪽 로프(46)의 제1 및 제2 커브(46a, 46b)들의 바깥쪽에 배치되어 있다. 제3 커브(48a)들 각각은 제2 구멍 쌍(26a, 26b)들 중 제2 구멍(26a)과 제4 구멍 쌍(36a, 36b)들 중 제4 구멍(36b)에 통과되어 있다. 제4 커브(48b)들 각각은 제2 구멍(26b)과 제4 구멍(36a)에 통과되어 있다. 제3 루프(48c)들 각각은 제2 구멍 쌍(26a, 26b)들에 통과되어 있는 제3 및 제4 커브(48a, 48b)들 각각의 끝을 이어주고 있다. 제4 루프(48d)들 각각은 제4 구멍 쌍(36a, 36b)들에 통과되어 있는 제3 및 제4 커브(48a, 48b)들 각각의 끝을 이어주고 있다. 제3 및 제4 루프(48c, 48d)들은 제1 및 제2 리테이너 링(20, 30)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다. 안쪽 로프(46)의 제1 및 제2 커브(46a, 46b)와 바깥쪽 로프(48)의 제3 및 제4 커브(48a, 48b)는 정면에서 볼 때"X"자형으로 교차되어 있다.
도 1과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와이어로프 방진기(10)는 와이어로프(40)를 제1 및 제2 리테이너 링(20, 3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으로 제1 리테이너 링(20)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제1 크림프(50)와, 제2 리테이너 링(30)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제2 크림프(52)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 크림프(50, 52)들 각각은 제1 및 제2 리테이너 링(20, 30)의 폭 방향을 따라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크림프(50, 52)들 각각은 제1 및 제2 커브(46a, 46b)들을 제1 및 제2 구멍 쌍(26a, 26b)들 각각에 끼운 후, 제1 리테이너 링(20)의 제1 윗면(22a), 제1 아랫면(22b), 제2 리테이너 링(30)의 제2 윗면(32a), 제2 아랫면(32b)을 프레스가공(Press working)하여 형성한다. 제1 및 제2 크림프(50, 52)들 각각이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제1 및 제2 리테이너 링(20, 30)에 형성되면, 제1 내지 제4 구멍 쌍(24a, 24b, 26a, 26b, 34a, 34b, 36a, 36b)들 각각의 단면적, 즉 직경이 감소되면서 와이어로프(40)가 제1 내지 제4 구멍 쌍(24a, 24b, 26a, 26b, 34a, 34b, 36a, 36b)들 각각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및 제2 크리프(50, 52)들 각각은 제1 내지 제4 구멍 쌍(24a, 24b, 26a, 26b, 34a, 34b, 36a, 36b)들에 정렬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제1 및 제2 크리프(50, 52)들 각각은 제1 내지 제4 구멍 쌍(24a, 24b, 26a, 26b, 34a, 34b, 36a, 36b)들과 어긋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크림프(50, 52)들 각각은 제1 및 제2 리테이너링(20, 30)의 윗면과 아랫면 중 어느 한쪽에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 방진기(10)는 제1 및 제2 설치 구멍(28, 38)들을 통하여 주위의 기계장치, 스테이지(Stage), 구조물 등에 볼트를 체결하여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와이어로프(40)의 제1 내지 제4 커브(46a, 46b, 48a, 48b)들은 탄성변형에 의하여 진동·소음·충격을 효과적으로 감쇠시키게 된다. 또한, 와이어로프(40)의 안쪽 및 바깥쪽 로프(46, 48)가 제1 및 제2 리테이너 링(20, 30)에 이중 권선되어 강성 편차가 최소화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 방진기(10)의 방진 성능이 향상된다.
도 6에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 방진기의 고정수단의 또 다른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와이어로프(40)는 복수의 장부 핀(60)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복수의 제1 파일럿 구멍(62) 각각이 제1 및 제2 구멍 쌍(24a, 24b, 26a, 26b)들과 연통되도록 제1 윗면(22a)에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제2 파일럿 구멍(64) 각각이 제3 및 제4 구멍 쌍(34a, 34b, 36a, 36b)과 연통되도록 제2 윗면(32a)에 형성되어 있다.
작업자는 와이어로프(40)를 제1 내지 제4 구멍 쌍(24a, 24b, 26a, 26b, 34a, 34b, 36a, 36b)들 각각에 끼운 후, 제1 및 제2 파일럿 구멍(62, 64)들 각각에 장부 핀(60)들을 결합시킨다. 장부 핀(60)들의 선단은 와이어로프(40)를 가압하여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및 제2 파일럿 구멍(62, 64)들은 나사구멍으로 형성하고, 나사구멍에 스크루를 체결하여 와이어로프(40)를 고정할 수 있다.
도 7에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 방진기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의 와이어로프 방진기(10a)와 앞에서 설명한 와이어로프 방진기(10)는 거의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그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실시예의 와이어로프 방진기(10a)는 제1 및 제2 리테이너 링(20, 30)과 와이어로프(40)를 구비한다. 제1 리테이너 링(20)은 제1 위쪽 리테이너 링(Upper retainer ring: 20a)과 제1 아래쪽 리테이너 링(Lower retainer ring: 20b)으로 분할되어 있다. 제1 및 제2 구멍 쌍(24a, 24b, 26a, 26b)들 각각은 제1 위쪽 리테이너 링(20a)과 제1 아래쪽 리테이너 링(20b)의 계면에 형성되어 있다. 제1 위쪽 리테이너 링(20a)과 제1 아래쪽 리테이너 링(20b)은 복수의 볼트(70) 또는 스크루의 체결에 의하여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다.
제2 리테이너 링(30)은 제2 위쪽 리테이너 링(30a)과 제2 아래쪽 리테이너 링(30b)으로 분할되어 있다. 제3 및 제4 구멍 쌍(34a, 34b, 36a, 36b)들 각각은 제2 위쪽 리테이너 링(30a)과 제2 아래쪽 리테이너 링(30b)의 계면에 형성되어 있다. 제1 내지 제4 구멍 쌍(24a, 24b, 26a, 26b, 34a, 34b, 36a, 36b)들 각각은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반원형 그루브(Semi-circle groove)로 구성되어 있다. 제2 위쪽 리테이너 링(30a)과 제2 아래쪽 리테이너 링(30b)은 복수의 볼트(72) 또는 스크루의 체결에 의하여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와이어로프 방진기(10a)는, 와이어로프(40)를 지그(Jig) 등을 이용하여 이중 권선 구조로 만든 상태에서 제1 위쪽 리테이너 링(20a)과 제1 아래쪽 리테이너 링(20b), 제2 위쪽 리테이너 링(30a)과 제2 아래쪽 리테이너 링(30b)을 와이어로프(40)에 결합할 수 있으므로, 제1 실시예의 와이어로프 방진기(10)와 같이 와이어로프를 구멍들에 통과시키면서 감는 것보다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에 본 발명에 따른 방진 시스템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방진 시스템(110)은 와이어로프 방진기(10b), 위쪽 부재(Upper member: 120)와 아래쪽 부재(Lower member: 130)를 구비한다. 와이어로프 방진기(10b)는 앞에서 설명한 와이어로프 방진기(10)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그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와이어로프 방진기(10b)는 앞에서 설명한 와이어로프 방진기(10a)로 구성될 수 있다.
위쪽 부재(120)는 제1 리테이너 링(20) 제1 윗면(22a)에 장착되어 있는 캡(Cap: 122)으로 구성되어 있다. 캡(122)의 가장자리는 복수의 볼트(124)의 체결에 의하여 제1 리테이너 링(20) 제1 윗면(22a)에 결합되어 있다. 아래쪽 부재(130)는 제2 리테이너 링(30)의 제2 아랫면(32b)에 장착되어 있는 플레이트(Plate: 132)로 구성되어 있다. 플레이트(132)는 복수의 볼트(134)의 체결에 의하여 제2 리테이너 링(30)의 제2 아랫면(32b)에 결합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방진 시스템(110)은 탄성지지수단(Elastic support means)으로 복수의 압축코일 스프링(Compression coil spring: 140)을 구비한다. 네 개의 압축코일 스프링(140)들은 캡(122)과 플레이트(132) 사이에 방사상으로 장착되어 있다. 압축코일 스프링(140)들의 상단은 캡(122)의 아랫면에 지지되어 있고, 하단은 플레이트(132)의 윗면에 지지되어 있다. 복수의 보스(Boss: 136)가 플레이트(132)의 윗면에 돌출되어 있다. 압축코일 스프링(140)들은 보스(136)에 끼워져 위치설정 및 이탈이 방지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압축코일 스프링(140)들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또한, 탄성지지수단은 캡(122)과 플레이트(132) 사이에 장착되는 방진고무, 스프링이 고무에 의하여 둘러싸여진 방진 스프링-고무 마운트, 에어 마운트(Air mount)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방진 시스템(110)은 레벨링 기구(Levelling mechanism: 150)을 더 구비한다. 레벨링 기구(150)는 제1 볼트(152)와 제2 볼트(154)로 구성되어 있다. 나사구멍(126)이 캡(122)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제1 볼트(152)는 나사구멍(126)에 체결되어 있다. 나사구멍(152a)이 제1 볼트(152)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제1 볼트(152)는 기계장치(2), 예를 들면 기계장치(2)에 부착되어 있는 브래킷(Bracket: 4)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제2 볼트(154)는 브래킷(4)을 통과하여 제1 볼트(152)의 나사구멍(152a)에 체결되어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방진 시스템(110)의 설치를 위하여 작업자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복수의 받침대를 바닥(6)에 임시로 설치하고, 기계장치(2)를 받침대들 위에 설치한다. 기계장치(2)가 받침대들에 받쳐지면, 작업자는 복수의 방진 시스템(110)을 바닥(6)과 기계장치(2) 사이에 설치한다. 플레이트(132)는 복수의 볼트(138)의 체결에 의하여 바닥(6)에 고정된다.
작업자는 제2 볼트(154)를 기계장치(2)의 브래킷(4)을 통과하여 제1 볼트(152)의 나사구멍(152a)에 체결한다. 작업자가 제1 볼트(152)를 풀거나 조이면, 브래킷(4)이 승강되어 기계장치(2)의 높이가 조절되므로, 기계장치(2)의 수평을 간편하게 맞출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방진 시스템(110)은 와이어로프(40)와 복수의 압축코일 스프링(140)의 탄성변형에 의하여 진동·소음·충격을 효과적으로 감쇠시킬 수 있다. 또한, 와이어로프(40)의 이중 권선 구조에 의하여 강성이 증가되고, 강성 편차가 감소되어 감쇠성능을 향상시키고 신뢰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기계장치(2)의 롤링(Rolling), 피칭(Pitching) 등의 발생 시 와이어로프(40)의 탄성변형에 의하여 기계장치(2)를 안정적으로 지탱하면서 진동·소음·충격을 효과적으로 감쇠시킬 수 있다.
도 11과 도 12에 본 발명에 따른 방진 시스템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과 도 12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의 방진 시스템(210)은 와이어로프 방진기(10b), 위쪽 부재(220)와 아래쪽 부재(230)를 구비한다. 위쪽 부재(220)는 제1 리테이너 링(20) 제1 윗면(22a)에 장착되어 있는 캡(222)으로 구성되어 있다. 캡(222)의 가장자리는 복수의 볼트(224)의 체결에 의하여 제1 리테이너 링(20) 제1 윗면(22a)에 결합되어 있다. 나사구멍(226)이 캡(122)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아래쪽 부재(230)는 제2 리테이너 링(30)의 제2 아랫면(32b)에 장착되어 있는 케이싱(Casing: 232)으로 구성되어 있다. 케이싱(232)의 상단은 복수의 볼트(234)의 체결에 의하여 제2 리테이너 링(30)의 제2 아랫면(32b)에 결합되어 있다. 보스(236)가 케이싱(232)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방진 시스템(210)은 탄성지지수단으로 캡(222)과 케이싱(232) 사이에 장착되어 있는 압축코일 스프링(240)을 구비한다. 압축코일 스프링(240)의 상단은 캡(222)의 아랫면에 지지되어 있다. 보스(236)의 하부는 보스(236)에 끼워져 위치설정 및 이탈이 방지되어 있다. 구멍(236a)이 보스(236)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방진 시스템(210)은 레벨링 기구(250)을 더 구비한다. 레벨링 기구(250)는 볼트(252)와 너트(254)로 구성되어 있다. 볼트(252)는 기계장치(2), 예를 들면 기계장치(2)에 부착되어 있는 브래킷(Bracket: 4)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볼트(252)는 기계장치(2), 예를 들면 기계장치(2)에 부착되어 있는 브래킷(4)을 통과하여 캡(222)의 나사구멍(226)에 체결되어 있다. 너트(254)는 브래킷(4)의 아랫면에 지지되도록 볼트(252)에 체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방진 시스템(210)은 압축코일 스프링(240)의 탄성을 조절할 수 있는 텐션 플레이트(Tension plate: 260)를 구비한다. 텐션 플레이트(260)는 압축코일 스프링(240)의 상단을 눌러주도록 캡(222)과 압축코일 스프링(240)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텐션 플레이트(260)의 윗면은 볼트(252)의 하단에 지지되어 있다. 로드(Rod: 262)가 텐션 플레이트(260)의 아랫면 중앙에 수직하게 장착되어 있다. 로드(262)의 하단은 보스(236)의 구멍(236a)에 통과되어 있다. 구멍(238)의 통과되어 있는 로드(262)의 하부에 나사(264)가 형성되어 있다. 너트(266)가 나사(264)가 체결되어 있다. 나사(264)는 구멍(238)의 가장자리에 지지되어 텐션 플레이트(260)의 높이를 구속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방진 시스템(210)은 앞에서 설명한 제1 실시예의 방진 시스템(110)과 유사한 방법으로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방진 시스템(210)의 설치를 위하여 작업자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복수의 받침대를 바닥에 임시로 설치하고, 기계장치를 받침대들 위에 설치한다. 기계장치가 받침대들에 받쳐지면, 작업자는 복수의 방진 시스템(210)을 바닥과 기계장치 사이에 설치한다. 플레이트(232)는 복수의 볼트(238)의 체결에 의하여 바닥에 고정된다.
작업자는 볼트(252)를 기계장치의 브래킷을 통과하여 캡(222)의 나사구멍(226)에 체결한다. 작업자가 볼트(252)를 풀거나 조이면, 브래킷이 볼트(252)를 따라 승강할 수 있게 된다. 작업자가 너트(254)를 풀거나 조이면, 브래킷이 승강되어 기계장치의 높이가 조절되므로, 기계장치의 수평을 간편하게 맞출 수 있다.
볼트(252)의 하단은 텐션 플레이트(260)의 윗면을 눌러 주게 된다. 텐션 플레이트(260)가 볼트(252)의 조임에 의하여 하강되면, 압축코일 스프링(240)이 압축된다. 텐션 플레이트(260)가 볼트(252)의 풀림에 의하여 상승되면, 압축코일 스프링(240)이 팽창된다. 너트(266)의 조임에 의하여 로드(262)에 연결되어 있는 텐션 플레이트(260)는 하강되어 압축코일 스프링(240)을 압축시키게 된다. 너트(266)의 풀림에 의하여 텐션 플레이트(260)는 압축코일 스프링(240)의 탄성복원력을 부여받아 상승된다. 이와 같이 볼트(252)와 너트(266)의 체결에 의하여 압축코일 스프링(240)의 탄성력을 간편하고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10a, 10b, 10c: 와이어로프 방진기
20: 제1 리테이너 링 24a, 24b: 제1 구멍
26a, 26b: 제2 구멍 30: 제2 리테이너 링
34a, 34b: 제3 구멍 36a, 36b: 제4 구멍
40: 와이어로프 46: 안쪽 로프
48: 바깥쪽 로프 110, 210: 방진 시스템
120, 220: 위쪽 부재 130, 230: 아래쪽 부재
140, 240: 압축코일 스프링 150, 240: 레벨링 기구
152, 252: 제1 볼트 154: 제2 볼트
254: 너트 260: 텐션 플레이트
262: 로드

Claims (11)

  1. 제1 윗면, 제1 아랫면, 제1 외면과 제1 내면을 가지며, 상기 제1 외면과 상기 제1 내면을 관통하도록 복수의 제1 구멍 쌍과 복수의 제2 구멍 쌍이 원주 방향을 따라 번갈아 형성되어 있는 제1 리테이너 링과;
    상기 제1 리테이너 링과 간격을 두고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제2 윗면, 제2 아랫면, 제2 외면과 제2 내면을 가지며, 상기 제2 외면과 상기 제2 내면을 관통하도록 복수의 제3 구멍 쌍과 복수의 제4 구멍 쌍이 원주 방향을 따라 번갈아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제3 및 제4 구멍 쌍 각각은 상기 복수의 제1 및 제2 구멍 쌍 각각에 어긋나도록 배치되어 있는 제2 리테이너 링과;
    상기 복수의 제1 구멍 쌍과 상기 복수의 제3 구멍 쌍을 번갈아서 통과하고 있는 안쪽 로프와, 상기 안쪽 로프와 연속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제2 구멍 쌍과 상기 복수의 제4 구멍 쌍을 번갈아서 통과하고 있으며 상기 안쪽 로프의 바깥쪽에 배치되어 있는 바깥쪽 로프를 갖는 와이어로프를 포함하는 와이어로프 방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쪽 로프는 상기 복수의 제1 구멍 쌍 중 하나의 제1 구멍과 상기 복수의 제3 구멍 쌍 중 하나의 제3 구멍에 통과되어 있는 복수의 제1 커브와, 상기 복수의 제1 구멍 쌍 중 다른 하나의 제1 구멍과 상기 복수의 제3 구멍 쌍 중 다른 하나의 제3 구멍에 통과되어 있는 복수의 제2 커브와, 상기 복수의 제1 및 제2 커브 중 상기 복수의 제1 구멍 쌍에 통과되어 있는 제1 및 제2 커브 각각의 끝을 이어주는 복수의 제1 루프와, 상기 복수의 제1 및 제2 커브 중 상기 복수의 제3 구멍 쌍에 통과되어 있는 제1 및 제2 커브 각각의 끝을 이어주는 복수의 제2 루프를 구비하고,
    상기 바깥쪽 로프는 상기 복수의 제2 구멍 쌍 중 하나의 제2 구멍과 상기 복수의 제4 구멍 쌍 중 하나의 제4 구멍에 통과되어 있는 복수의 제3 커브와, 상기 복수의 제2 구멍 쌍 중 다른 하나의 제1 구멍과 상기 복수의 제4 구멍 쌍 중 다른 하나의 제4 구멍에 통과되어 있는 복수의 제4 커브와, 상기 복수의 제3 및 제4 커브 중 상기 복수의 제2 구멍 쌍에 통과되어 있는 제3 및 제4 커브 각각의 끝을 이어주는 복수의 제2 루프와, 상기 복수의 제3 및 제4 커브 중 상기 복수의 제4 구멍 쌍에 통과되어 있는 제3 및 제4 커브 각각의 끝을 이어주는 복수의 제4 루프를 구비하는 와이어로프 방진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로프는 상기 복수의 제1 구멍 쌍 중 첫 번째 제1 구멍과 마지막 번째 제1 구멍에 끼워지는 제1 말단과 제2 말단을 구비하는 와이어로프 방진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윗면과 상기 제1 아랫면에 상기 와이어로프의 고정을 위하여 복수의 제1 크림프와 복수의 제2 크림프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윗면과 상기 제2 아랫면에 상기 와이어로프의 고정을 위하여 복수의 제3 크림프와 복수의 제4 크림프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와이어로프 방진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테이너 링은 제1 위쪽 리테이너 링과 제1 아래쪽 리테이너 링으로 분할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제1 구멍 쌍과 상기 복수의 제2 구멍 쌍 각각은 상기 제1 위쪽 리테이너 링과 상기 제1 아래쪽 리테이너 링의 계면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리테이너 링은 제2 위쪽 리테이너 링과 제2 아래쪽 리테이너 링으로 분할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제3 구멍 쌍과 상기 복수의 제4 구멍 쌍 각각은 상기 제2 위쪽 리테이너 링과 상기 제2 아래쪽 리테이너 링의 계면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와이어로프 방진기.
  6. 제1 윗면, 제1 아랫면, 제1 외면과 제1 내면을 가지며 상기 제1 외면과 상기 제1 내면을 관통하도록 복수의 제1 구멍 쌍과 복수의 제2 구멍 쌍이 원주 방향을 따라 번갈아 형성되어 있는 제1 리테이너 링과, 상기 제1 리테이너 링과 간격을 두고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제2 윗면, 제2 아랫면, 제2 외면과 제2 내면을 가지며 상기 제2 외면과 상기 제2 내면을 관통하도록 복수의 제3 구멍 쌍과 복수의 제4 구멍 쌍이 원주 방향을 따라 번갈아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제3 및 제4 구멍 쌍 각각은 상기 복수의 제1 및 제2 구멍 쌍 각각에 어긋나도록 배치되어 있는 제2 리테이너 링과, 상기 복수의 제1 구멍 쌍과 상기 복수의 제3 구멍 쌍을 번갈아서 통과하고 있는 안쪽 로프와, 상기 안쪽 로프와 연속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제2 구멍 쌍과 상기 복수의 제4 구멍 쌍을 번갈아서 통과하고 있으며 상기 안쪽 로프의 바깥쪽에 배치되어 있는 바깥쪽 로프를 갖는 와이어로프를 구비하는 와이어로프 방진기와;
    상기 제1 리테이너 링의 제1 윗면에 장착되어 있는 위쪽 부재와;
    상기 제2 리테이너 링의 제2 아랫면에 장착되어 있는 아래쪽 부재를 포함하는 방진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쪽 로프는 상기 복수의 제1 구멍 쌍 중 하나의 제1 구멍과 상기 복수의 제3 구멍 쌍 중 하나의 제3 구멍에 통과되어 있는 복수의 제1 커브와, 상기 복수의 제1 구멍 쌍 중 다른 하나의 제1 구멍과 상기 복수의 제3 구멍 쌍 중 다른 하나의 제3 구멍에 통과되어 있는 복수의 제2 커브와, 상기 복수의 제1 및 제2 커브 중 상기 복수의 제1 구멍 쌍에 통과되어 있는 제1 및 제2 커브 각각의 끝을 이어주는 복수의 제1 루프와, 상기 복수의 제1 및 제2 커브 중 상기 복수의 제3 구멍 쌍에 통과되어 있는 제1 및 제2 커브 각각의 끝을 이어주는 복수의 제2 루프를 구비하고,
    상기 바깥쪽 로프는 상기 복수의 제2 구멍 쌍 중 하나의 제2 구멍과 상기 복수의 제4 구멍 쌍 중 하나의 제4 구멍에 통과되어 있는 복수의 제3 커브와, 상기 복수의 제2 구멍 쌍 중 다른 하나의 제1 구멍과 상기 복수의 제4 구멍 쌍 중 다른 하나의 제4 구멍에 통과되어 있는 복수의 제4 커브와, 상기 복수의 제3 및 제4 커브 중 상기 복수의 제2 구멍 쌍에 통과되어 있는 제3 및 제4 커브 각각의 끝을 이어주는 복수의 제3 루프와, 상기 복수의 제3 및 제4 커브 중 상기 복수의 제4 구멍 쌍에 통과되어 있는 제3 및 제4 커브 각각의 끝을 이어주는 복수의 제4 루프를 구비하는 방진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로프는 상기 복수의 제1 구멍 쌍 중 첫 번째 제1 구멍과 마지막 번째 제1 구멍에 끼워지는 제1 말단과 제2 말단을 구비하는 방진 시스템.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윗면과 상기 제1 아랫면에 상기 와이어로프의 고정을 위하여 복수의 제1 크림프와 복수의 제2 크림프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윗면과 상기 제2 아랫면에 상기 와이어로프의 고정을 위하여 복수의 제3 크림프와 복수의 제4 크림프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방진 시스템.
  10.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쪽 부재와 상기 아래쪽 부재 사이에 장착되어 있는 압축코일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방진 시스템.
  11.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쪽 부재의 중앙에 기계장치의 레벨링을 위하여 장착되어 있는 레벨링 기구를 더 포함하는 방진 시스템.
KR1020120140466A 2012-12-05 2012-12-05 와이어로프 방진기 및 이것을 이용한 방진 시스템 KR101362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466A KR101362927B1 (ko) 2012-12-05 2012-12-05 와이어로프 방진기 및 이것을 이용한 방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466A KR101362927B1 (ko) 2012-12-05 2012-12-05 와이어로프 방진기 및 이것을 이용한 방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2927B1 true KR101362927B1 (ko) 2014-02-18

Family

ID=50270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0466A KR101362927B1 (ko) 2012-12-05 2012-12-05 와이어로프 방진기 및 이것을 이용한 방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29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9035A (ko) * 2017-04-24 2018-11-01 박경환 와이어로프형 완충기를 이용한 소화수조 내진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3003647A1 (en) 1982-04-19 1983-10-27 Regnor Pederson Element for use in constructing vibration-damping spring assemblies
KR930001020U (ko) * 1991-06-05 1993-01-21 주식회사 유일산업 방진구의 와이어 고정장치
KR970024376U (ko) * 1995-11-22 1997-06-20 주식회사유일산업 방진구
KR20070095053A (ko) * 2006-03-20 2007-09-28 용석필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완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3003647A1 (en) 1982-04-19 1983-10-27 Regnor Pederson Element for use in constructing vibration-damping spring assemblies
KR930001020U (ko) * 1991-06-05 1993-01-21 주식회사 유일산업 방진구의 와이어 고정장치
KR970024376U (ko) * 1995-11-22 1997-06-20 주식회사유일산업 방진구
KR20070095053A (ko) * 2006-03-20 2007-09-28 용석필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완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9035A (ko) * 2017-04-24 2018-11-01 박경환 와이어로프형 완충기를 이용한 소화수조 내진장치
KR101963022B1 (ko) * 2017-04-24 2019-08-19 박경환 와이어로프형 완충기를 이용한 소화수조 내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2926B1 (ko) 와이어로프 방진기 및 이것을 이용한 방진 시스템
AU601289B2 (en) Resilient supports
KR101835237B1 (ko) 현수식 엘리베이터
KR101659278B1 (ko) 내진 몰드 변압기
US4664156A (en) Device for isolating vibrations of heavy equipment
KR101537369B1 (ko) 건축물의 진동 완화용 복합형 댐퍼
KR102332485B1 (ko) 복합 탄성을 이용한 수배전반 내진장치
CN102401056B (zh) 一种组合式钢丝绳隔振器
CN205523648U (zh) 一种工程车辆减振器
KR101362927B1 (ko) 와이어로프 방진기 및 이것을 이용한 방진 시스템
US9261155B2 (en) Compact vertical-motion isolator
KR101398365B1 (ko) 디스크 스프링을 이용한 마찰형 에너지 소산 장치
KR101362924B1 (ko) 와이어로프 방진기
JP5865686B2 (ja) 制振装置及び屋外作業機
RU2390668C1 (ru) Цилиндрический канатный виброизолятор
JP6016741B2 (ja) エレベータ釣合おもり枠用連結部材およびその取付方法
KR101393694B1 (ko) 이축 거동 내력 가변 마찰댐퍼
US4783986A (en) Anti-vibration mounting for shock-or vibration-producing machinery
KR101142307B1 (ko) 방진 댐퍼
CN211083375U (zh) 一种可调柴油发电机组底盘
KR101392826B1 (ko) 프레스 방진기
KR20190107803A (ko) 방진용 스프링-고무 마운트
KR101393696B1 (ko) 삼축 거동 내력 가변 마찰댐퍼
KR20120128523A (ko) 구체의 진자운동을 이용한 지진 격리장치
KR102352007B1 (ko) 다방향 내진 발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