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2759B1 - 카메라 - Google Patents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2759B1
KR101362759B1 KR1020070113744A KR20070113744A KR101362759B1 KR 101362759 B1 KR101362759 B1 KR 101362759B1 KR 1020070113744 A KR1020070113744 A KR 1020070113744A KR 20070113744 A KR20070113744 A KR 20070113744A KR 101362759 B1 KR101362759 B1 KR 101362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obe
built
main body
camera
communication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3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7740A (ko
Inventor
손혁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3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2759B1/ko
Publication of KR20090047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7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2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2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4Bodies collapsible, foldable or extensible, e.g. book ty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 Stroboscope Apparatuses (AREA)

Abstract

카메라의 효율적인 활용과 기능의 확대를 위하여 본 발명은 범용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와 결합하는 렌즈부 및 팝업 되어 사용되고 상기 본체와 탈착이 가능한 내장형 스트로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와 상기 내장형 스트로보는 상기 범용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통신할 수 있는 카메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카메라{Camera}
본 발명은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효율적인 활용이 가능하고 기능이 확대된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로 촬영할 때 광량이 부족한 어두운 곳에서는 별도의 조명을 사용하여야 한다. 별도의 조명으로 스트로보를 사용한다. 카메라의 소형화와 휴대성을 위하여 스트로보는 카메라에 내장되고 필요 시에만 팝업 되어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내장 스트로보만으로는 어두운 곳에서 고화질의 사진을 구현하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대형의 외장 스트로보를 별도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통상적으로 외장 스트로보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외장 스트로보는 카메라의 본체의 상부에 결합한다. 이 경우 외장 스트로보의 크기 및 형상으로 인해 내장 스트로보는 사용하기 힘들게 된다. 이는 외장 스트로보를 장착 시 내장 스트로보는 팝업이 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없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외장 스트로보를 장착 시에는 내장 스트로보는 활용할 수 없고 카메라의 공간만을 차지하게 되어 카메라의 효과적인 활용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효율적인 활용이 가능하고 기능을 용이하게 확대할 수 있는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표시부, 범용 통신 인터페이스 및 조작부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와 결합하는 렌즈부 및 팝업 되어 사용되고 상기 본체와 탈착이 가능한 내장형 스트로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와 상기 내장형 스트로보는 상기 범용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통신할 수 있는 카메라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별도의 외장형 스트로보 모듈과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내장형 스트로보를 상기 카메라에서 분리할 경우 상기 내장형 스트로보가 배치되었던 공간에 보조 기능 모듈이 배치되고 상기 본체와 상기 보조 기능 모듈은 상기 범용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통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조 기능 모듈은 GPS, 조도 측정 장치 및 배터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카메라는 탈착이 가능한 내장형 스트로보 및 범용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효율적인 활용과 기능의 확대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 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카메라를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카메라는 본체(10), 렌즈부(30) 및 내장형 스트로보(6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표시부(20), 조작부(40) 및 범용 통신 인터페이스(50)를 구비한다.
본체(10)의 배면에 표시부(20)가 배치된다. 다만 표시부(20)의 위치는 사용자의 편의에 맞춰 다양할 수 있다. 표시부(20)는 LCD, OLED등의 평판 패널형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표시부(20)는 카메라로 피사체를 촬영 시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고 피사체를 포함한 화면을 구현할 수도 있어 촬영을 용이하게 한다.
본체(10)의 상부에는 조작부(40)가 배치된다. 조작부(40)는 조작 버튼(41) 및 조작 화면(42)을 구비한다. 조작 버튼(41)은 카메라의 전원 작동, 촬영 버튼, 초점 버튼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조작 버튼(41)을 누르면 전기적 신호가 본체(10)의 CPU(미도시)로 전송된다. 조작 화면(42)은 카메라 조작 시 필요한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이다.
렌즈부(30)는 본체(10)의 정면에 배치되어 피사체의 화상을 취득한다. 본체(10)는 렌즈 마운트(31)를 구비한다. 렌즈부(30)는 렌즈 마운트(31)에 결합할 수 있다. 렌즈 마운트(31)를 통하여 다양한 크기와 기능을 갖는 렌즈부(30)를 결합할 수 있다.
내장형 스트로보(60)는 범용 통신 인터페이스(50)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카메라로 촬영 시 광량이 부족한 경우에 내장형 스트로보(60)를 사용한다. 내장형 스트로보(60)는 광량이 부족한 경우에만 동작하게 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에만 기능을 수행하도록 내장형 스트로보(60)는 팝업 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체(10)에는 내장형 스트로보(60)를 팝업 시키는 버튼(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주변의 광량이 부족 시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팝업 되게 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내장형 스트로보(60)는 본체(10)와 접해있다. 촬영 시 광량이 충분하여 내장형 스트로보(6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내장형 스트로보(60)가 본체(10)와 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내장형 스트로보(60)로 인한 공간을 최소화하고 카메라 조작을 편하게 하기 위함이다.
본체(10)에 별도의 외장형 스트로보의 결합을 위한 핫 슈(hot shoe)와 같은 결합부(70)가 배치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의 내장형 스트로보(60)를 사용하는 경우를 도시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내장형 스트로보(60)를 사용시 내장형 스트로보(60)를 팝업 시킨다. 간접 조명 효과를 내도록 약 45도 정도의 각을 이루면서 내장형 스트로보(60)가 팝업 된 다. 내장형 스트로보(60)를 팝업 시키기 위하여 스프링과 같은 탄성 부재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부재를 이용하여 내장형 스트로보(60)를 팝업 시킬 수 있다.
내장형 스트로보(60)는 본체(10)에 탈착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의 내장 스트로보(60)를 분리한 경우를 도시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내장형 스트로보(60)는 본체(10)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내장형 스트로보(60)의 말단에 핀을 형성하여 본체(10)에 삽입하고 버튼을 이용하여 탈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내장형 스트로보(60)와 본체(10)를 자성체를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위하여 내장형 스트로보(60)의 말단 및 내장형 스트로보(60)가 결합하는 본체(10)의 부분을 자성체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내장형 스트로보(60)와 본체(10)를 힌지 구조를 이용하여 결합하여 내장형 스트로보(60)를 팝업할 수 있는데 본체(10)에는 힌지 구멍이 내장형 스트로보(60)에는 힌지 핀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힌지 핀을 유동성이 있는 부재로 형성하여 사용자가 힌지 구멍에서 힌지 핀을 용이하게 분리하여 내장형 스트로보(60)를 본체(10)에서 분리할 수도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의 내장 스트로보를 장착하고 분리하는 방법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2의 부분 확대도이고, 본체(10)의 내부를 도시한 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에는 탄성 부재를 이용한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내장 스트로보(60)가 본체(10)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내장 스트로보(60)와 결합하는 본체(10)의 부분에 돌출 부재(11) 및 탄성 부재(12)가 배치된다. 점선으로 도시한 돌출 부재(11) 및 탄성 부재(12)는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돌출 부재(11)는 탄성 부재(12)에 의하여 본체(10)에 연결된다. 그러므로 돌출 부재(11)에 압력을 가하면 탄성 부재(12)가 눌리면서 돌출 부재(11)가 유동적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탄성 부재(12)는 스프링일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이 내장 스트르보(60)가 본체(10)에 결합되어 있을경우에는 탄성부재(12)가 본래의 상태로 수축되어있다. 돌출 부재(11)는 본체(10)의 외부로 돌출 되어 돌출 부재(11)의 일단이 내장 스트로보(60)에 결합한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를 위하여 내장 스트로보(60)에는 돌출 부재(11)를 수용할 수용 부재를 포함한다. 수용 부재는 수용홈으로 돌출 부재(11)의 일단을 수용할 정도의 크기여야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내장 스트로보(60)를 본체(10)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에 도시한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 부재(11)에 힘을 가하면 돌출 부재(11)에 연결된 탄성 부재(12)에 압력이 가해져 탄성 부재(12)가 수축하고, 결과적으로 돌출 부재(11)도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한다.
돌출 부재(11)가 이동하면서 내장 스트로보(60)의 수용부에 결합되어 있던 돌출 부재(11)는 본체(10)로부터 이탈된다. 돌출 부재(11)가 내장 스트로보(60)로부터 이탈되면 내장 스트로보(60)를 본체(10)로부터 분리할수 있다. 비록 도 8에는 본체(10)와 내장 스트로보(60)가 분리되어있지 않으나 내장 스트로보(60)를 당기면 용이하게 본체(10)로부터 이탈되는 상태이다.
도 6 및 도 7에는 내장 스트로보(60)와 본체(10)의 결합방법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과 반대로 돌출 부재와 탄성 부재를 내장 스트로보(60)에 배치하고, 수용부를 본체(10)에 배치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내장형 스트로보(60)는 접속부(61)를 구비한다. 접속부(61)를 이용하여 본체(10)와 결합한다. 접속부(61)의 종류 및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내장형 스트로보(60)는 본체(10)와 범용 통신 인터페이스(50)를 통하여 통신할 수 있다. 내장형 스트로보(60)의 접속부(61)에는 본체(10)의 범용 통신 인터페이스(50)와 통신 가능한 통신 인터페이스(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또는 무선의 블루투스(bluetooth)를 이용한 통신도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7은 도 6의 카메라를 도시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카메라는 본체(110), 렌즈부(130) 및 보조 기능 모듈(180)을 포함한다. 본체(10)는 표시부(120), 조작부(140) 및 범용 인터페이스(150)를 구비한다.
본체(110)의 배면에 표시부(120)가 배치되고, 본체(110)의 상부에는 조작부(140)가 배치될 수 있다. 렌즈부(130)는 본체(110)의 정면에 배치되고 본체(110)의 렌즈 마운트(131)를 통하여 결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카메라는 내장형 스트로보가 분리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의 카메라는 내장형 스트로보를 구비하지 않는다. 내장형 스트로보가 배치되어 있던 공간에 보조 기능 모듈(180)이 배치된다. 보조 기능 모듈(180)은 범용 통신 인터페이스(150)를 통하여 카메라의 본체(110)와 연결된다. 보조 기능 모듈(180)은 GPS, 배터리 및 조도 측정 장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보조 기능 모듈(180)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카메라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들을 탑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카메라는 보조 기능 모듈(180)을 배치하기 위하여 별도의 공간을 필요로하지 않는다. 종래에는 카메라에 보조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을 결합하는 경우에 카메라의 측면이나 정면부에 결합하므로 카메라의 부피가 늘어나고 외관상 미감이 떨어지고 사용시 편의성이 감소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카메라는 내장형 스트로보가 분리된다. 그리고 내장형 스트로보가 배치되었던 자리에 보조 기능 모듈(180)이 배치되므로 공간이 절약된다. 또한 카메라의 전체적인 외관상 미감이 향상되고 편의성이 향상된다. 카메라의 본체(110)는 범용 통신 인터페이스(150)를 구비한다. 범용 통신 인터페이스(150)를 통하여 보조 기능 모듈(180)과 본체(110)가 연결될 수 있으므로 범용 통신 인터페이스(150)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를 갖도록 하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보조 기능 모듈(180)들을 용이하게 선택하여 결합할 수 있다.
본체(110)의 범용 통신 인터페이스(150)는 내장형 스트로보가 장착되어 있을 때는 내장형 스트로보와 연결된다. 내장형 스트로보가 분리되면 다양한 기능을 수 행하는 보조 기능 모듈(180)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9는 도 8의 카메라를 도시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카메라는 본체(210), 렌즈부(230), 보조 기능 모듈(280) 및 외장형 스트로보 모듈(290)을 포함한다. 본체(210)는 표시부(220), 조작부(240), 결합부(270) 및 범용 통신 인터페이스(250)를 구비한다.
본체(210)의 배면에 표시부(220)가 배치되고, 본체(210)의 상부에는 조작부(240)가 배치될 수 있다. 렌즈부(230)는 본체(210)의 정면에 배치되고 본체(210)의 렌즈 마운트(231)를 통하여 결합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카메라의 본체(210)의 상부에 결합부(270)가 배치된다. 결합부(270)는 핫 슈(hot shoe)일 수 있다. 외장형 스트로보 모듈(290)은 연결부(291)를 구비한다. 본체(210)의 결합부(270)와 외장형 스트로보(290)의 연결부(291)가 결합한다. 광량이 부족하면 본체(210)에 내장된 내장형 스트로보를 사용하나 내장형 스트로보만으로 원하는 광량을 확보할 수 없는 경우 또는 고화질의 사진을 촬영하려는 경우에 카메라는 외장형 스트로보를 구비한다. 외장형 스트로보(290)를 장착 시 본체(210)에 내장된 내장형 스트로보는 효과가 미미하여 사용하지 않게 된다. 또한 내장형 스트로보의 상부에 장착된 외장형 스트로보(290)의 크기로 인하여 내장형 스트로보는 외장형 스트로보(290)에 걸려 팝업 되지 않거나 팝업이 되더라도 완전히 팝업 될 수 없어 사용하기 힘들다. 내장형 스트로보를 사용 하지 않게 되면 내장형 스트로보는 불필요한 부재가 되어 카메라의 공간을 차지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카메라의 효율적인 사용에 한계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외장형 스트로보(290)를 장착 시 본체(210)에 장착되어 있던 내장형 스트로보(미도시)를 분리 하게 되므로 공간이 확보된다. 내장형 스트로보가 분리되면 내장형 스트로보가 배치되었던 공간에 보조 기능 모듈(280)을 탑재할 수 있다. 본체(210)는 내장형 스트로보와 범용 통신 인터페이스(250)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는데 내장형 스트로보가 분리되면 본체(210)의 범용 통신 인터페이스(250)는 보조 기능 모듈(280)과 연결되어 통신할 수 있다.
외장형 스트로보(290)를 장착하여 사용시 기능 상 사용이 미미한 내장형 스트로보를 분리하여 그 공간에 보조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보조 기능 모듈(280)을 장착한다. 이를 통하여 카메라의 효율적인 공간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카메라의 전체적인 외관을 해치지 않고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보조 기능 모듈을 결합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카메라의 사용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카메라를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의 내장형 스트로보를 사용하는 경우를 도시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의 내장 스트로보를 분리한 경우를 도시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의 내장 스트로보를 장착하고 분리하는 방법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9는 도 8의 카메라를 도시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카메라를 도시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110, 210: 본체 20, 120, 220: 표시부
30, 130, 230: 렌즈부 40, 140, 240: 조작부
50, 150, 250: 범용 통신 인터페이스 60: 내장형 스트로보
280: 보조 기능 모듈 290: 외장형 스트로보

Claims (4)

  1. 범용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와 결합하는 렌즈부; 및
    팝업 되어 사용되고 상기 본체와 탈착이 가능한 내장형 스트로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와 상기 내장형 스트로보는 상기 범용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통신할 수 있는 카메라.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별도의 외장형 스트로보 모듈과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를 더 구비하는 카메라.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형 스트로보를 상기 카메라에서 분리할 경우 상기 내장형 스트로보가 배치되었던 공간에 보조 기능 모듈이 배치되고 상기 본체와 상기 보조 기능 모듈은 상기 범용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통신할 수 있는 카메라.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기능 모듈은 GPS, 조도 측정 장치 및 배터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카메라.
KR1020070113744A 2007-11-08 2007-11-08 카메라 KR101362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3744A KR101362759B1 (ko) 2007-11-08 2007-11-08 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3744A KR101362759B1 (ko) 2007-11-08 2007-11-08 카메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7740A KR20090047740A (ko) 2009-05-13
KR101362759B1 true KR101362759B1 (ko) 2014-02-13

Family

ID=40857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3744A KR101362759B1 (ko) 2007-11-08 2007-11-08 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275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9524A (ko) * 2005-02-04 2006-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착탈식 방전관 플래쉬 카드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구동 방법
KR20070013632A (ko) * 2005-07-26 2007-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착탈식 확장장치를 구비한 모바일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9524A (ko) * 2005-02-04 2006-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착탈식 방전관 플래쉬 카드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구동 방법
KR20070013632A (ko) * 2005-07-26 2007-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착탈식 확장장치를 구비한 모바일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7740A (ko) 2009-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97947B (zh) 便携终端装置
US8979398B2 (en) Wearable camera
KR101378880B1 (ko)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CN218996373U (zh) 用于图像捕获设备的壳体组件
US8233082B2 (en) Camera casing including accessory shoe for allowing the attachment of various/plural external devices
EP3833019B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01393325A (zh) 具有摄录功能的眼镜
WO2017140255A1 (zh) 一种可调节视角的显示装置
JP2015148720A (ja) アクセサリ機器取付装置及びこのアクセサリ機器取付装置に取り付け可能な支持台ユニット
BR112021015824A2 (pt) Método de fornecimento de tela e dispositivo eletrônico de apoio ao mesmo
JP2004064728A (ja) カメラが備えられた移動端末機
KR101362759B1 (ko) 카메라
CN110445906A (zh) 摄像头弹出组件及电子设备
KR101687269B1 (ko) 휴대폰 커버구조체
US20160330361A1 (en) Camera system with simplified user interface
US20050277437A1 (en) Mobile phone battery module having a camera module
JP2003315891A (ja) カメラ
CN111818240B (zh) 视频拍摄辅助装置及视频拍摄装置
JP3955486B2 (ja) レンズ沈胴式カメラ
US20170019642A1 (en) Wearable imaging device
KR200421662Y1 (ko) 반사경겸용 rf스위치덮개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JP5264569B2 (ja) 撮像装置
KR200359927Y1 (ko) 모든 방향의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
CN116033242A (zh) 屏下相机组件、移动终端及智能穿戴设备
JP4230166B2 (ja) 携帯情報端末用ストロ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