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2296B1 - 영상통화의 상대방 인증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적용되는 서버 - Google Patents

영상통화의 상대방 인증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적용되는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2296B1
KR101362296B1 KR20080025894A KR20080025894A KR101362296B1 KR 101362296 B1 KR101362296 B1 KR 101362296B1 KR 20080025894 A KR20080025894 A KR 20080025894A KR 20080025894 A KR20080025894 A KR 20080025894A KR 101362296 B1 KR101362296 B1 KR 101362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call
call terminal
terminal device
authentication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25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0608A (ko
Inventor
김진태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80025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2296B1/ko
Publication of KR20090100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0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2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2296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통화의 상대방 인증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서버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제 1 영상통화 단말장치와 영상통화를 실행하기 위한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 및 영상통화 중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로부터 제 1 영상통화 단말장치를 사용하는 상대방의 인증을 위한 서비스 제공 요청이 접수되면, 기 저장중인 인증대상 리스트를 토대로 제 1 영상통화 단말장치에 대한 인증 여부를 판별하고, 판별결과에 따라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와 대응하여 기 저장된 미디어 파일을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로 전달하기 위한 서비스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는 미디어 파일을 단말화면에 디스플레이하여 제 1 영상통화 단말장치를 사용하는 상대방의 인증 여부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영상통화 중에 상대방에 대한 인증 결과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개인의 금융사기 피해를 줄이면서 안전하게 영상통화를 할 수 있다.
영상통화, 인증

Description

영상통화의 상대방 인증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서버{SYSTEM AND METHOD FOR CERTIFICATING CALLER OF VIDEOTELEPHONY, AND SERVER APPLIED TO THE SAME}
본 발명은 영상통화에 기반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통화 중에 일 측의 사용자가 영상 통화하는 상대방(예컨데,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회사 등)에 대한 공인 인증과 같은 인증과정을 거쳐 형성되는 결과에 따라 사전에 기 설정한 사용자의 고유한 이미지 또는 영상을 영상통화 중인 단말화면상으로 제공받음으로써, 영상통화 중에 상대방에 대한 인증 결과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영상통화의 상대방 인증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서버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컴퓨터, 전자, 통신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다양한 이동통신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들은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뉴스, 날씨, 스포츠, 증권, 환율, 교통 정 보 등의 각종 정보를 문자, 음성, 정지 영상, 동영상 등의 각종 형태로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
이처럼 이동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는 음성 서비스뿐만 아니라, 서킷 데이터, 패킷 데이터 등을 전송하는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로 발전해 가고 있다.
이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은 제 1 세대 아날로그 AMPS(Advanced Mobile Phone System) 방식과 제 2 세대 셀룰러 및 개인휴대 통신(PCS; Personal Communcation Service) 방식을 거쳐 발전하여 왔으며, 최근에는 ITU-R에서 표준으로 제정하고 있는 제 3 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인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예컨데 CDMA 2000 1X, EV-DO, WCDMA 등)이 상용화되고 있다.
더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시스템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s) 국제 표준화 회의에서 규격화한 GSM, GPRS, WCDMA망으로 발전해왔고, 3GPP2(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s 2)국제 표준화 회의에서 규격화한 IS-95A, IS-95B, CDMA20001x, CDMA1x-EVDO으로 발전되어 왔다. 이러한 무선 이동통신 기술 중, IMT-2000망의 경우, 동기식 IMT-2000을 CDMA2000 1x-EVDO라고 하고, 비동기식 IMT-2000을 WCDMA라 한다.
IMT-2000은 CDMA 2000 1X, EV-DO, WCDMA 등으로 기존의 IS-95A, IS-95B 망엣 진화한 IS-95C망을 이용하여 IS-95A, IS-95B 망에서 지원 가능한 데이터 전송속도인 14.4Kbps나 56Kbps보다 훨씬 빠른 144Kbps의 전송 속도로 무선 인터넷을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특히 IMT-2000 서비스를 이용하면 기존의 음성 및 WAP 서비스 품질의 향상은 물론 각종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WCDMA 방식은 IMT-2000 시스템 중에서 비동기식으로 구현된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기지국과 이동통신 단말 간의 통신을 위한 무선 접속방식은 CDMA 방식을 채용하지만 이동통신망 관련 기술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의 망 기술에 기반을 두고 있다. WCDMA 방식은 전체 기지국의 동기를 맞추기 위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할 필요가 없고 국제 로밍 서비스를 지원하며, 주파수 대역폭을 5MHz로 광역화하고 2Mbps의 데이터 전송속도를 가지므로 고속 데이터 전송에 적합하며, 기존의 IS-95 및 GSM 방식에서는 제공할 수 없었던 역방향의 통화 품질에 따라 다이버시티(Diversity)를 제공하여 통신 환경이 좋지 않은 지역에서도 통화 및 데이터 전송 성능이 비교적 양호하다. 다만, WCDMA 방식은 기존의 CDMA 및 GSM 방식과의 역방향 호환성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이동 통신망을 새로 구축하고 WCDMA 방식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을 사용하여야 한다.
여기서, 영상통화 서비스를 위하여, WCDMA망에서는 유선 서킷 망을 기반으로 제공되며 ITU-T H.324프로토콜 규격을 3GPP 표준화기구에서 무선 서킷 망에 맞게 일부 변경하여 3G-324M 프로토콜 규격으로 표준화하여 사용하고 있는 반면, CDMA2000 1x-EVDO망에서는 유선 패킷 망에서 사용되는 ITU-T H.323프로토콜 규격을 무선 망에서 별도의 표준규격 없이 무선 패킷 망에 맞게 사용하고 있다.
한편,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기반에서는 상기 동기 망과 비동기 망을 통합한 화상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며, 웹폰은 기존의 패킷 데이터망을 이용하여 화상전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가격이 저렴하고, 컴퓨터 기술과 결합하여 새로운 서비스를 창출할 수 있기 때문에 차세대 기술로써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영상통화 서비스는 이동통신망 또는 공중 전화망을 기반으로 하는 음성통화 서비스에서의 사용자 간에 음성으로 단순한 정보만을 주고 받는 것에 비해, 사용자 간에 서로 간의 얼굴을 보면서 음성으로 통화하는 것뿐만 아니라 음성메일, 이벤트 통지, 인스턴트 메시징 등의 다양한 기능의 구현이 가능하다.
아울러, 이렇게 다양한 기능으로 구비되는 영상통화 서비스는 상호 간에 안면이 있는 사용자들 간에만 영상통화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불특정한 상대방과의 영상통화도 제공하게 된다.
이에 따라, 최근에서와 같이 전화를 이용한 금융 사기가 기승을 불이는 시점에서 영상통화를 이용한 금융 사기가 일어날 가능성도 매우 큼에 따라, 영상 통화하는 중에 상대방에 대한 공인 인증을 매우 편리한 방법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면, 개인의 금융사기 피해를 줄이면서 안전하게 영상통화를 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방안이 요구된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통화 중에 일 측의 사용자가 영상 통화하는 상대방(예컨데, 개인 정보를 취급하는 회사 등)에 대한 공인 인증과 같은 인증과정을 거쳐 형성되는 결과에 따라 사전에 기 설정한 사용자의 고유한 이미지 또는 영상을 영상통화 중인 단말화면상으로 제공받음으로써, 영상통화 중에 상대방에 대한 인증 결과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영상통화의 상대방 인증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영상통화 중에 일 측의 사용자가 영상 통화하는 상대방(예컨데,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회사 등)에 대한 공인 인증과 같은 인증과정을 거쳐 형성되는 결과에 따라 사전에 기 설정한 사용자의 고유한 이미지 또는 영상을 영상통화 중인 단말화면상으로 제공받음으로써, 영상통화 중에 상대방에 대한 인증 결과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영상통화의 상대방 인증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영상통화의 상대방 인증 시스템은, 제 1 영상통화 단말장치와 영상통화를 실행하기 위한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 및 상기 영상통화 중 상기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제 1 영상통화 단말장치를 사용하는 상대방의 인증을 위한 서비스 제공 요청이 접수되면, 기 저장중인 인증대상 리스트를 토대로 상기 제 1 영상통화 단말장치에 대한 인증 여부를 판별하고, 판별결과에 따라 상기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와 대응하여 기 저장된 미디어 파일을 상기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로 전달하기 위한 서비스 관 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는 상기 미디어 파일을 단말화면에 디스플레이하여 상기 제 1 영상통화 단말장치를 사용하는 상대방의 인증 여부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영상통화의 상대방 인증 시스템은 상기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의 서비스 제공 요청을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에 전달하고.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미디어 파일을 상기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에 전달하기 위한 교환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는 상기 영상통화 중 기 설정된 핫-키(Hot-Key)를 통해 상기 서비스의 활성화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는 상기 서비스의 활성화에 따라 상기 제 1 영상통화 단말장치와 대응하는 전화번호 및 상기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와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요청 메시지를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는 상기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와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토대로 상기 서비스에 대한 등록 여부를 판별한 후, 판별결과에 따라 상기 서비스의 제공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는 상기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에 대한 상기 서비스를 등록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미디어 파일을 제공받아 상기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와 대응하는 전화번호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는 상기 인증대상 리스트에 상기 제 1 영상통화 단말장치와 대응하는 전화번호의 등록 여부에 따라 상기 제 1 영상통화 단말장치를 사용하는 상대방에 대한 인증 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는 상기 제 1 영상통화 단말장치를 사용하는 상대방에 대한 온/오프 라인 상의 공인 인증을 거쳐 상기 제 1 영상통화 단말장치와 대응하는 전화번호 및 상대방의 이름을 상기 인증대상 리스트에 기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는 상기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에 상기 미디어 파일을 제공하면서 상기 상대방의 이름을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디어 파일은 상기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사진, 이미지, 또는 동영상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는 상기 단말화면 중 상대방 화면에 상기 미디어 파일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한 후, 상기 제 1 영상통화 단말장치와의 상기 영상통화를 재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서비스 관리서버는, 제 1 영상통화 단말장치를 사용하는 상대방에 대한 온/오프 라인 상의 공인 인증을 거쳐 상기 제 1 영상통화 단말장치와 대응하는 전화번호 및 상대방의 이름을 인증대상 리스트에 등록하기 위한 인증대상 리스트 형성부, 상기 제 1 영상통 화 단말장치와의 영상통화 중에 상기 제 1 영상통화 단말장치를 사용하는 상대방에 대한 인증을 실행하는 서비스의 이용권한을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에 부여하기 위한 서비스 등록부, 상기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에 대한 서비스 등록 후, 상기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와 대응하는 미디어 파일을 수신하기 위한 미디어 파일 수신부, 상기 인증대상 리스트 및 상기 미디어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부; 및 상기 제 1 영상통화 단말장치 및 상기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 간 상기 영상통화가 실행되어 상기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서비스의 제공 요청을 접수한 후, 상기 인증대상 리스트를 토대로 상기 제 1 영상통화 단말장치의 인증 여부를 판별하고, 판별결과에 따라 상기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에 상기 미디어 파일을 전달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는 상기 제 1 영상통화 단말장치에 대한 인증이 실패할 경우, 인증 실패 메시지를 형성하여 상기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로 전달하거나, 상기 제 1 영상통화 단말장치 및 상기 제 2 영상통화 단말 간의 상기 영상통화를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영상통화의 상대방 인증 방법은, (가) 제 1 영상통화 단말장치와 영상통화를 할 수 있는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에 상기 영상통화 중 상기 제 1 영상통화 단말장치를 사용하는 상대방에 대한 인증을 실행하는 서비스의 이용권한을 부여하는 단계, (나) 상기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에 대한 서비스 등록 후, 상기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와 대응 하는 미디어 파일을 수신하는 단계, (다) 상기 제 1 영상통화 단말장치를 사용하는 상대방에 대한 온/오프 라인 상의 공인 인증을 거쳐 상기 제 1 영상통화 단말장치와 대응하는 전화번호 및 상대방의 이름을 인증대상 리스트에 등록하는 단계, (라) 상기 제 1 영상통화 단말장치 및 상기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 간 상기 영상통화가 실행된 후, 상기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서비스의 제공 요청을 접수하는 단계 및 (마) 상기 인증대상 리스트를 토대로 상기 제 1 영상통화 단말장치의 인증 여부를 판별하고, 판별결과에 따라 상기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에 상기 미디어 파일을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영상통화의 상대방 인증 방법은 (바) 상기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가 단말화면에 상기 미디어 파일을 디스플레이하여 상기 제 1 영상통화 단말장치를 사용하는 상대방에 대한 인증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영상통화의 상대방 인증 방법은 (사)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미디어 파일을 상기 단말화면의 상대방 화면에 디스플레이한 후, 상기 제 1 영상통화 단말장치와의 상기 영상통화를 재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영상통화 중에 일 측의 사용자가 영상 통화하는 상대방(예컨데,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회사 등)에 대한 공인 인증과 같은 인증과정을 거 쳐 형성되는 결과에 따라 사전에 기 설정한 사용자의 고유한 이미지 또는 영상을 영상통화 중인 단말화면상으로 제공받음으로써, 영상통화 중에 상대방에 대한 인증 결과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개인의 금융사기 피해를 줄이면서 안전하게 영상통화를 할 수 있는 이점 있다.
이하,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통화의 상대방 인증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영상통화의 상대방 인증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영상통화 단말장치 중 적어도 하나인 제 1 영상통화 단말장치(100)와 영상통화를 실행하는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200), 제 1 영상통화 단말장치(100)와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200) 간 영상통화 중에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200)로부터 제 1 영상통화 단말장치(100)를 사용하는 상대방에 대한 인증을 실행하는 서비스의 제공 요청이 접수될 경우, 상기 서비스를 기반으로 하여 사전에 형성되어 기 저장중인 인증대상 리스트를 토대로 제 1 영상통화 단말장치(100)를 사용하는 상대방이 공인 인증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별하고, 판별결과에 따라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200)와 대응하여 상기 서비스를 기반으로 기 저장중인 미디어 파일을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200)로 전달하기 위한 서비스 관리서버(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200)는 서비스 관리서버(300)로부터 미디어 파일을 수신한 후, 단말화면 중 상대방 화면에 수신한 미디어 파일을 디스플레이함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영상 통화하는 상대방이 공인 인증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더 나아가, 영상통화의 상대방 인증 시스템은 제 1 영상통화 단말장치(100) 및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200) 간의 영상통화 호를 연결할 뿐만 아니라,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200)의 서비스 제공 요청을 서비스 관리서버(300)로 전달하고, 서비스 관리서버(300)로부터 제공되는 미디어 파일을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200)에 전달하기 위한 교환기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200)가 제 1 영상통화 단말장치(100)와 영상 통화하는 중에 서비스 관리서버(300)에 제 1 영상통화 단말장치(100)를 사용하는 상대방에 대한 공인 인증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서비스를 요청함에 따라, 서비스에 대한 활성화를 실행하기 위한 방안으로 기 설정된 핫-키(Hot-Key)를 통해 구현하는 방안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서비스의 활성화 방안 이외에 다른 방안을 통해 본 발명의 서비스를 개시할 수 있는 것도 물론이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서비스 관리서버(300)가 형성하는 인증대상 리스트라 함은 제 1 영상통화 단말장치(100)를 사용하는 상대방(예컨데,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회사)으로부터 본 발명의 서비스를 개시하는 데에 기반이 되는 데이터베이스를 형성하기 위한 백업 정보(예컨데, 공인 인증기관으로부터 상대방에 대한 인증을 공증받아 형성되는 정보)를 제공받아 형성하는 리스트이며, 제 1 영상통화 단말장치(100)를 사용하는 상대방에 대한 온/오프 라인 상의 공인 인증을 거쳐 제 1 영상통화 단말장치(100)와 대응하는 전화번호 및 상대방의 이름(예컨데,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회사의 이름)을 등록하여 형성되는 리스트이다.
아울러, 서비스 관리서버(300)는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20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등록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사용자의 고유한 미디어 파일을 저장하여 관리하게 된다.
사용자의 고유한 미디어 파일이라 함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사진, 이미지 또는 동영상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200)를 통해 서비스 관리서버(300)에 서비스 등록하면서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200)에 저장중인 미디어 파일을 등록하거나, 컴퓨터를 통해 서비스 관리서버(300)에 웹 접속한 후 다른 외부 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외부 서버에 저장중인 미디어 파일을 등록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형성되는 인증대상 리스트 및 미디어 파일을 기 저장함에 따라, 서비스 관리서버(300)는 제 1 영상통화 단말장치(100)와 영상통화 중인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200)의 서비스 제공 요청에 응답하여, 제 1 영상통화 단말장치(100)의 전화번호가 인증대상 리스트에 등록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제 1 영상통화 단말장치(100)의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실행하게 된다.
제 1 영상통화 단말장치(100)의 상대방이 공인 인증과정을 거친 사용자로 확인되면,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200)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미디어 파일을 서비스 요청한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200)로 전달한다.
이에,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200)는 단말화면 중 상대방 화면에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서비스 관리서버(300)로부터 제공된 미디어 파일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200)를 사용하는 사용자로 하여금 영상 통화하는 상대방이 공인 인증된 사용자임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서비스 관리서버(300)는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200)에 미디어 파일을 전달할 뿐만 아니라, 제 1 영상통화 단말장치(100)를 사용하는 상대방의 이름도 함께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서비스 관리서버(300)는 제 1 영상통화 단말장치(100)를 사용하는 상대방에 대한 온/오프 라인 상의 공인 인증을 거쳐 상기 제 1 영상통화 단말장치(100)와 대응하는 전화번호 및 상대방의 이름을 인증대상 리스트에 등록하기 위한 인증대상 리스트 등록부(320)(310), 제 1 영상통화 단말장치(100)와의 영상통화 중에 제 1 영상통화 단말장치(100)를 사용하는 상대방에 대한 인증을 실행하는 서비스의 이용권한을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200)에 부여하기 위한 서비스 등록부(320),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200)에 대한 서비스 등록 후,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200)와 대응하는 미디어 파일을 수신하기 위한 미디어 파일 수신부(330), 인증대상 리스트 및 상기 미디어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부(340) 및 제 1 영상통화 단말장치(100) 및 상기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200) 간 상기 영상통화가 실행되어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200)로부터 서비스의 제공 요청을 접수한 후, 인증대상 리스트를 토대로 상기 제 1 영상통화 단말장치(100)의 인증 여부를 판별 하고, 판별결과에 따라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200)에 미디어 파일을 전달하기 위한 제어부(350)를 포함하는 세부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통화의 상대방 인증 시스템의 동작과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영상통화의 상대방 인증 시스템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통화의 상대방 인증 방법은 서비스 관리서버(300)가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200)를 통해 접속하는 사용자의 서비스 등록 요청에 응답하여 서비스의 이용권한을 부여하는 것으로 진행된다(S100 및 S102).
상기와 같이 서비스 등록을 마친 후,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200)에 기 저장중인 다수의 이미지들 중 사용자의 선택으로 특정되는 이미지를 서비스 관리서버(300)에 전달하고(S104), 이에 서비스 관리서버(300)는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200)를 이용하는 사용자와 대응하여 제공받은 이미지를 저장 관리한다(S106).
한편, 서비스 관리서버(300)는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회사와 같은 대상인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200)를 이용하는 상대방과 온/오프 라인을 통한 접속을 통해 공인 인증기관과의 연동 등으로 공인 인증하는 과정을 실행한다(S108).
이후로,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200)의 전화번호 및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200)를 사용하는 회사의 이름을 포함하는 상대방 정보를 토대로 인증대상 리스 트를 구비하게 된다(S112).
이와 같은 과정을 거친 후, 제 1 영상통화 단말장치(100)와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200)가 이루어지고(S114),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200)의 사용자가 제 1 영상통화 단말장치(100)를 통해 영상통화 요청한 회사의 업무 담당자에 대한 공인 인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 요청을 하게 되면(S116), 서비스 관리서버(300)가 이에 응답하여 제 1 영상통화 단말장치(100)를 이용하는 상대방(즉, 회사의 업무 담당자)에 대한 인증을 기 형성한 인증대상 리스트를 토대로 실행한다(S118).
상기 S118 단계에서 형성되는 판별결과에 따라, 서비스 관리서버(300)는 서비스 요청한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200)와 대응하는 이미지를 추출한 후(S120),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200)로 전달한다(S122).
이에,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200)는 전달받은 이미지를 단말화면 중 상대방 단말화면에 디스플레이함에 따라,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200)의 사용자로 하여금 상대방이 공인 인증된 사용자임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S124).
상기 이미지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만 디스플레이된 후, 제 1 영상통화 단말장치(100) 및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200) 간의 영상통화가 재실행되는 모드로 전환된다(S126).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통화 중에 일 측의 사용자가 영상 통화하는 상대방(예컨데,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회사 등)에 대한 공인 인증과 같은 인증과정을 거쳐 형성되는 결과에 따라 사전에 기 설정한 사용자의 고유한 이미지 또는 영상을 영상통화 중인 단말화면상으로 제공받음으로써, 영상통화 중에 상대방에 대한 인증 결과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임에 따라,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영상통화의 상대방 인증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 및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영상통화의 상대방 인증 시스템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제 1 영상통화 단말장치 200 :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
300 : 서비스 관리서버 310 : 인증대상 리스트 형성부
320 : 서비스 등록부 330 : 미디어 파일 수신부
340 : 데이터베이스부 350 : 제어부
400 : 교환기

Claims (16)

  1. 제 1 영상통화 단말장치와 영상통화를 실행하기 위한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 및
    상기 영상통화 중 상기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제 1 영상통화 단말장치를 사용하는 상대방의 인증을 위한 서비스 제공 요청이 접수되면, 기 저장중인 인증대상 리스트를 토대로 상기 제 1 영상통화 단말장치에 대한 인증 여부를 판별하고, 판별결과에 따라 상기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와 대응하여 기 저장된 미디어 파일을 상기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로 전달하기 위한 서비스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는,
    상기 미디어 파일을 단말화면에 디스플레이하여 상기 제 1 영상통화 단말장치를 사용하는 상대방의 인증 여부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통화의 상대방 인증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통화의 상대방 인증 시스템은
    상기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의 서비스 제공 요청을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에 전달하고.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미디어 파일을 상기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에 전달하기 위한 교환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통화의 상대방 인증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는
    상기 영상통화 중 기 설정된 핫-키(Hot-Key)를 통해 상기 서비스의 활성화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통화의 상대방 인증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는
    상기 서비스의 활성화에 따라 상기 제 1 영상통화 단말장치와 대응하는 전화번호 및 상기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와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요청 메시지를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통화의 상대방 인증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는
    상기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와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토대로 상기 서비스에 대한 등록 여부를 판별한 후, 판별결과에 따라 상기 서비스의 제공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통화의 상대방 인증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는
    상기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에 대한 상기 서비스를 등록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미디어 파일을 제공받아 상기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와 대응하는 전화번호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통화 의 상대방 인증 시스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는
    상기 인증대상 리스트에 상기 제 1 영상통화 단말장치와 대응하는 전화번호의 등록 여부에 따라 상기 제 1 영상통화 단말장치를 사용하는 상대방에 대한 인증 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통화의 상대방 인증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는
    상기 제 1 영상통화 단말장치를 사용하는 상대방에 대한 온/오프 라인 상의 공인 인증을 거쳐 상기 제 1 영상통화 단말장치와 대응하는 전화번호 및 상대방의 이름을 상기 인증대상 리스트에 기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통화의 상대방 인증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는
    상기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에 상기 미디어 파일을 제공하면서 상기 상대방의 이름을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통화의 상대방 인증 시스템.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파일은
    상기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사진, 이미지, 또는 동영상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통화의 상대방 인증 시 스템.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는
    상기 단말화면 중 상대방 화면에 상기 미디어 파일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한 후, 상기 제 1 영상통화 단말장치와의 상기 영상통화를 재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통화의 상대방 인증 시스템.
  12. 제 1 영상통화 단말장치를 사용하는 상대방에 대한 온/오프 라인 상의 공인 인증을 거쳐 상기 제 1 영상통화 단말장치와 대응하는 전화번호 및 상대방의 이름을 인증대상 리스트에 등록하기 위한 인증대상 리스트 형성부;
    상기 제 1 영상통화 단말장치와의 영상통화 중에 상기 제 1 영상통화 단말장치를 사용하는 상대방에 대한 인증을 실행하는 서비스의 이용권한을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에 부여하기 위한 서비스 등록부;
    상기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에 대한 서비스 등록 후, 상기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와 대응하는 미디어 파일을 수신하기 위한 미디어 파일 수신부;
    상기 인증대상 리스트 및 상기 미디어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부; 및
    상기 제 1 영상통화 단말장치 및 상기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 간 상기 영상통화가 실행되어 상기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서비스의 제공 요청을 접수한 후, 상기 인증대상 리스트를 토대로 상기 제 1 영상통화 단말장치의 인증 여부를 판별하고, 판별결과에 따라 상기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에 상기 미디어 파일을 전달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관리서버.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는
    상기 제 1 영상통화 단말장치에 대한 인증이 실패할 경우, 인증 실패 메시지를 형성하여 상기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로 전달하거나, 상기 제 1 영상통화 단말장치 및 상기 제 2 영상통화 단말 간의 상기 영상통화를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관리서버.
  14. (가) 제 1 영상통화 단말장치와 영상통화를 할 수 있는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에 상기 영상통화 중 상기 제 1 영상통화 단말장치를 사용하는 상대방에 대한 인증을 실행하는 서비스의 이용권한을 부여하는 단계;
    (나) 상기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에 대한 서비스 등록 후, 상기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와 대응하는 미디어 파일을 수신하는 단계;
    (다) 상기 제 1 영상통화 단말장치를 사용하는 상대방에 대한 온/오프 라인 상의 공인 인증을 거쳐 상기 제 1 영상통화 단말장치와 대응하는 전화번호 및 상대방의 이름을 인증대상 리스트에 등록하는 단계;
    (라) 상기 제 1 영상통화 단말장치 및 상기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 간 상기 영상통화가 실행된 후, 상기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서비스의 제공 요청을 접수하는 단계; 및
    (마) 상기 인증대상 리스트를 토대로 상기 제 1 영상통화 단말장치의 인증 여부를 판별하고, 판별결과에 따라 상기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에 상기 미디어 파일을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통화의 상대방 인증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통화의 상대방 인증 방법은
    (바) 상기 제 2 영상통화 단말장치가 단말화면에 상기 미디어 파일을 디스플레이하여 상기 제 1 영상통화 단말장치를 사용하는 상대방에 대한 인증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통화의 상대방 인증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통화의 상대방 인증 방법은
    (사)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미디어 파일을 상기 단말화면의 상대방 화면에 디스플레이한 후, 상기 제 1 영상통화 단말장치와의 상기 영상통화를 재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통화의 상대방 인증 방법.
KR20080025894A 2008-03-20 2008-03-20 영상통화의 상대방 인증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적용되는 서버 KR101362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25894A KR101362296B1 (ko) 2008-03-20 2008-03-20 영상통화의 상대방 인증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적용되는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25894A KR101362296B1 (ko) 2008-03-20 2008-03-20 영상통화의 상대방 인증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적용되는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0608A KR20090100608A (ko) 2009-09-24
KR101362296B1 true KR101362296B1 (ko) 2014-02-12

Family

ID=41358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25894A KR101362296B1 (ko) 2008-03-20 2008-03-20 영상통화의 상대방 인증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적용되는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22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93976B2 (en) 2020-07-06 2024-0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220005228A (ko) * 2020-07-06 2022-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1294A (ko) * 2006-09-04 2008-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통화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1294A (ko) * 2006-09-04 2008-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통화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0608A (ko) 2009-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39420B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emergency calls
CN1790998B (zh) 呈现综合管理系统、呈现服务器及呈现信息管理方法
EP2869545B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tributing mobile attendant call
CN104703139A (zh) 基于会话发起协议(sip)的用户平面位置服务
JP2009541902A (ja) プレゼンス・サーバでのユーザ状態の遠隔更新
WO2007074959A1 (en) System for providing share of contents based on packet network in voice comunication based on circuit network
KR100819705B1 (ko) 영상통화에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공유 방법 및 시스템,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서버
WO2015117442A1 (zh) 融合通信终端发现以及能力探测的处理方法及装置
CN102811369B (zh) 在视频共享时进行安全认证方法及手持设备
KR101362296B1 (ko) 영상통화의 상대방 인증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적용되는 서버
KR100748682B1 (ko)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을 이용한 위치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1584202A (zh) 基于会话发起协议(sip)的用户平面位置服务
US8190687B1 (en) Multimedia alerting and notification service for mobile users
CN101296085B (zh) 基于分叉的认证方法、系统以及分叉认证装置
US7933623B1 (en) System and method for addressing dispatch stations
KR101531198B1 (ko) 푸쉬 메시지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호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010106742A (ko) 이기종 통신망에서의 음성통화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3069782B (zh) 通信系统以及用于通过该通信系统进行通信的方法
US8285784B2 (en) Service creation via presence messaging
CA2939988C (en) Ims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using preconditions
KR101002860B1 (ko) 영상통화 기반의 경품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적용되는 서버
CN105681302A (zh) 一种客服交换系统
CN114598774B (zh) 云手机通信方法及系统
KR20060010071A (ko) 음성통화 중 파일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3686897B (zh) 一种根据用户使用的服务选择网络的方法、装置和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