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8682B1 -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을 이용한 위치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을 이용한 위치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8682B1
KR100748682B1 KR1020050111423A KR20050111423A KR100748682B1 KR 100748682 B1 KR100748682 B1 KR 100748682B1 KR 1020050111423 A KR1020050111423 A KR 1020050111423A KR 20050111423 A KR20050111423 A KR 20050111423A KR 100748682 B1 KR100748682 B1 KR 100748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information
subscriber station
location
subscriber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1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3539A (ko
Inventor
김미화
김성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1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8682B1/ko
Publication of KR20070053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3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8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8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16IP multimedia subsystem [I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 : IP Multimedia Subsystem)을 이용한 위치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위치 정보를 공유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가입자 단말에게 위치 정보 공유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위치 정보 공유 요청을 수락한 가입자 단말과 세션을 설정하여 위치 정보를 교환하며, 상기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위치 정보 제공 서비스 가입자가 오프라인 미팅과 같은 야외 활동 시 보다 편리하게 다른 가입자들의 위치 등을 확인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을 이용한 위치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Location Based Service System using 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도 1은 일반적인 IMS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MS 네트워크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 단말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 단말이 다른 가입자의 위치 정보 공유 요청하는 동작을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 단말이 가입자의 위치 정보 공유 요청에 대한 응답 동작을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사용자가 위치 정보 제공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법을 선택하는 메뉴를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가입자 단말이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그림으로 디스플레이한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가입자 단말이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텍스트 형태로 디스플레이한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10은 가입자 단말이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동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한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11은 가입자 단말이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다른 가입자에게 전송할 수 있는 메뉴를 선택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가입자 단말 50 : 공유 데이터베이스
20 : 프락시 60 : 위치 서버
30 : 어플리케이션 서버 70 : CSCF
40 : XDMS 데이터베이스
본 발명은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을 이용한 위치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 : IP Multimedia Subsystem, 이 하 IMS라 칭함)은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을 기반으로 하여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브 시스템을 의미한다. IMS는 3세대 네트워크(3Generation Network)의 서브 시스템으로 표준화되었다. 3GPP/ETSI가 표준을 만들었고, 3GPP2가 이 표준안을 수용하였다.
IMS는 비단 3세대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만 적용되는 기술이 아니다. 즉, IMS는 유선 통신망과 디지털 방송망과 같이 유선을 기반으로 하는 네트워크에도 적용될 수 있는 시스템이다.
IMS는 멀티미디어 연결 설정을 위한 신호 프로토콜로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를 채택하였다. SIP는 인터넷 표준화기구인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에서 만든 인터넷 프로토콜이다. 이러한 SIP는 VoIP(Voice over IP) 서비스를 구현하는 프로토콜 중 하나이기도 하다. 그러나 SIP는 음성 전화만을 위한 프로토콜이 아니며, 문자 메시지, 동영상, 인스턴트 메시지 등을 지원한다. SIP가 제어하는 세션은 다양한 종류의 멀티미디어 세션을 의미하기 때문에 SIP는 멀티미디어 연결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IMS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의 RAN(Radio Access Network)은 가입자 단말이 연결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블록을 의미한다. 가입자 단말(10)은 전송 블록의 Node B, BTS(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WLAN 등을 통하여 접속되며, 각 신호는 RNC(Radio Network Control), BSC(Base Station Controller) 등을 통하여 전송 블 록(Transport Plane)으로 연결된다.
전송 블록은 IMS 망 내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는 역할을 하는 블록을 의미한다. 이러한 전송 블록은 네트워크 기지국, 스위치 및 전송을 담당하는 장비로 구성되어 있다. 가입자 단말이 전송한 신호는 SGSN(Serving GPRN Support Node), MGW(Media Gate Way)와 같은 스위칭 장비를 통하여 적절하게 라우팅되어 제어 블록(Control Plane)으로 전송된다.
제어 블록(Control Plane)은 좁은 의미의 IMS 시스템을 의미한다. 이러한 제어 블록은 어떠한 네트워크를 통하여 들어온 데이터인지 상관하지 않고, 가입자 단말과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통신을 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CSCF(Call Session Call Function)(70), HSS(Home Subscriber Server)(8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서비스 블록(Service Plane)은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블록이다. 상기 서비스 블록은 어플리케이션 서버(AS : Application Server)(30)와 SCIM(Smart Common Input Method platform)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가장 핵심적인 구성 요소는 어플리케이션 서버(30), CSCF(70), HSS(80)이다. 어플리케이션 서버(30)는 IMS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에 해당한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 서버(30)는 각각 다른 종류의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에서는 VoIP 어플리케이션 서버(31), PTT 어플리케이션 서버(32), IM 어플리케이션 서버(33) 등이 존재하며, 각각 VoIP 서비스, PTT 서비스, IM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CSCF(70)는 호 세션 제어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 IMS 관련 시그널링, 등록, IMS 세션 등의 절차를 위하여 PDP(Packet Data Protocol) 컨텍스트 설정 등을 담당한다. 이러한 CSCF(70)는 P-CSCF(71), I-CSCF(72), S-CSCF(73)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P-CSCF(Proxy CSCF)(71)는 IMS 내에서 가입자 단말의 첫 번째 접속점으로 동작을 한다. S-CSCF(Serving CSCF)(73)는 상기 IMS 네트워크 내에서 세션 상태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I-CSCF(Interrogating CSCF)(72)는 네트워크 운영자의 가입자 또는 지정된 서비스 영역 내의 로밍 가입자로 향하는 모든 IMS 연결들을 위하여 상기 운영자의 네트워크 내 접속점으로 동작을 하게 된다.
HSS(80)는 가입자의 마스터 데이터베이스에 해당하며, 호/세션 제어를 위한 가입자 식별자, 가입자의 보안 정보 등의 가입자 정보들을 담당하는 장치이다. 하나의 동일한 망에 가입자의 수와 네트워크의 구성 능력에 따라 한 개 또는 여러 개가 존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IMS를 이용하는 경우 개인과 개인간 멀티미디어 통화 서비스가 한정된 영역에서 가능하게 된다. 특히 이러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는 개인 대 개인 사이에서만 가능한 것이 아니고 개인 대 서비스 서버간의 멀티미디어 통신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IMS를 이용한 서비스 중 선택된 가입자들의 위치 정보를 결합하여 사용자에게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는 아직까지 구현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위치 정보를 공유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가입자 단말에게 위치 정보 공유를 요청하고, 상기 위치 정보 공유 요청을 수락한 가입자 단말과 세션을 설정하여 위치 정보를 교환하며, 상기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가입자 단말을 포함하는 위치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 : IP Multimedia Subsystem)을 이용한 단말간 위치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제1 가입자 단말은 위치 정보를 공유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가입자 단말에게 인터넷 프로토콜 위치 정보 공유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위치 정보 공유 요청을 수락한 제2 가입자 단말과 상기 제1 가입자 단말 간 세션을 설정하고, 위치 정보를 상호 교환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가입자 단말 또는 제2 가입자 단말은 각 가입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위치 정보 공유를 요청하는 단계는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을 통하여 인스턴트 메시지(Instant Message)를 전송하여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치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은 상기 가입자 단말의 위치가 변경된 경우, 상기 제1, 2 가입자 단말은 위치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가입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제1 가입자 단말의 위치, 제2 가입자 단말의 위치 또는 소정의 지점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각 가입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각 가입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각 가입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텍스트, 지도 또는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가입자 단말이 적어도 하나의 제2 가입자 단말에게 위치 정보 공유를 요청하는 단계는 친구 목록(Buddy List)을 제1 가입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제1 가입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된 친구 목록 중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가입자 단말로 위치 정보 공유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을 이용한 단말간 위치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IMS 서비스를 이용하는 친구 목록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친구 목록 데이터베이스(Buddy List Database), 상기 친구 목록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종합하여 저장하는 공유 친구 목록 데이터베이스(Shared Buddy List Database), 및 상기 공유 친구 목록 데이터베이스의 공유 친구 목록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입자 단말로 위치 정보 공유 요청을 하고, 상기 위치 정보 공유 요청을 수락한 제1 가입자 단말과 세션을 설정, 위치 정보를 교환하여, 상기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가입자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입자 단말은 상기 가입자 단말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 측정부, 네트워크 상의 다른 가입자 단말과 통신을 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위치 정보 공유 요청을 수락한 제1 가입자 단말과 세션을 설정하고, 상기 위치 측정부가 측정한 현재 위치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제1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부는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을 통하여 인스턴트 메시지를 전송하여 제1 가입자 단말로 위치 정보 공유를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입자 단말은 위치 정보를 공유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입자 단말에게 위치 정보 공유를 요청하고, 상기 위치 정보 공유 요청을 수락한 제1 가입자 단말과 세션을 설정하여 위치 정보를 교환하며, 상기 교환된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가입자 단말은 가입자 단말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 측정부, 네트워크 상의 다른 가입자 단말과 통신을 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위치 정보 공유 요청을 수락한 제1 가입자 단말과 세션을 설정하고, 상기 위치 측정부가 측정한 현재 위치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제1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상기 제어부는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을 통하여 인스턴트 메시지를 전송하여 위치 정보 공유를 요청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을 이용한 위 치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MS 네트워크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MS 네트워크는 가입자 단말(10), 프락시 서버(20), 어플리케이션 서버(30), 위치 서버(40), CSCF(50)으로 이루어져있다.
가입자 단말(10)은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수단에 해당한다. 이러한 가입자 단말(10)이 구체적으로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작에 대하여는 나중에 살펴보기로 한다. 프락시 서버(20)는 가입자 단말(10)이 응용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접속하기 위한 장치에 해당한다.
어플리케이션 서버(30)는 사용자에게 PoC(Push to the over Cellular) 서비스, 단문 메시지 서비스, PS 서비스, RLS 서비스 등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에 해당한다. 응용 프로그램마다 하나의 서버를 구성할 수 있으므로, 어플리케이션 서버(30)는 PoC 서버(31), IM 서버(32), PS 서버(33), RLS 서버(3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서버는 XDMS(XML based Documnet Management System) 데이터베이스(40)와 연관되어 있다. XDMS 데이터베이스(40)는 단말이 사용하는 PTT(Push to Talk) 서비스의 친구 목록(Buddy List)을 관리한다. XDMS 데이터베이스(40)도 어플리케이션 서버(30)와 마찬가지로 서비스마다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의 위치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PoC XDMS(41), IM XDMS(42), PS XDMS(43), RLS XDMS(4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서버(30)는 XDMS 데이터베이스(40)의 친구 목록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PTA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공유 데이터베이스(50)는 공유 XDMS(Shared XDMS)(51)과 공유 그룹 목록(52)으로 구성될 수 있다. 공유 XDMS(51)는 PoC XDMS(41), IM XDMS(42), PS XDMS(43), RLS XDMS(44)의 XDMS를 종합한 형태의 데이터베이스이다. 공유 그룹 목록(52)는 공유 XDMS(51)에 저장된 가입자들의 친구 목록을 가입자별, 서비스별, 이름별, IP 주소 등의 기준으로 그룹화한 친구 목록을 저장한다.
위치 서버(Present Server)(60)는 각각의 네트워크마다 존재하는 GPS 시스템 또는 가입자 단말(10)로부터 가입자 단말의 위치를 제공받아 그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또한, 위치 서버(60)는 IMS 망을 통하여 다른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다른 가입자 단말로 가입자 단말(10)의 위치 정보를 전송해줄 수 있다.
CSCF(Call Session Call Function)(70)은 호 처리 기능과 멀티미디어 호 라우팅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이러한 CSCF(70)는 그 위치와 역할을 기준으로 하여 P-CSCF(Proxy CSCF), I-CSCF(Interrogating CSCF), S-CSCF(Serving CSCF)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각각의 CSCF에 대하여는 이미 기술하였는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 단말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입자 단말은 제어부(11), 통신부(12), 위치 측정부(13), 메모리부(14), 키 입력부(15) 및 디스플레이부(16)로 구성될 수 있다.
키 입력부(15)는 사용자가 가입자 단말을 조작하기 위하여 명령을 입력하는 장치이고, 디스플레이부(16)는 가입자 단말이 사용자에게 위치 정보 제공 서비스를 표시하는 장치이다.
통신부(12)는 IMS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다른 가입자 단말, 어플리케이션 서버 등과 통신을 하는 구성 요소이다. 이러한 통신부(12)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더넷(Ethernet), IEEE 1394, 블루투스, 802.11b와 같은 네트워크 기술을 사용하여 통신을 할 수 있다. 메모리부(14)는 가입자 단말(10)에서 제공하는 응용 프로그램, 친구 목록 등을 저장하는 구성 요소이다. 또한, 가입자 단말(10)은 단말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기 위하여 위치 측정부(13)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가입자 단말은 CDMA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일 수 있다. CDMA 서비스에서는 이미 표준 특정 위치 지정 기술이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표준 위치 지정 기술로는 정밀한 개선된 관측 시간차법(E-OTD : Enhanced Observed Time Difference)과 같은 기술 또는 TA(Timimg Advance) 법을 사용하여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내 Cell ID를 얻는 기술 등이 존재한다. 또한, 이동 전화기가 아닌 가입자 단말의 경우에는 GPS 기능을 제공하는 모듈을 포함하여 그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11)는 가입자 단말(10)의 중앙 처리 장치로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IMS 네트워크 각 어플리케이션 서버(30)의 XDMS 데이터베이스(40) 또 는 공유 XDMS 데이터베이스(50)로부터 다른 가입자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키 입력부(15)의 조작을 통하여 위치 정보를 요청할 가입자를 선택하도록 하게 한다. 이러한 가입자 선택에 따라, 제어부(11)는 통신부(12)를 통하여 상기 선택된 가입자에게 위치 정보 공유 요청을 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11)는 상기 위치 정보 공유 요청을 수락한 다른 가입자 단말 및 위치 서버(60)와의 위치 정보 교환 및 그 업데이트를 담당한다. 제어부(11)는 여러 가입자들의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여 준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정보 제공 서비스는 가입자에게 표시 방법, 표시 기준 등을 달리하여 여러 방법으로 디스플레이하는데, 상기 위치 정보 디스플레이는 제어부(11)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제1 가입자 단말은 위치 정보를 공유하고자 하는 가입자를 한 명 이상 선택하여 위치 정보의 공유를 요청한다(S401). 상기 위치 정보의 공유를 요청받은 하나 이상의 제2 가입자 단말은 그 단말의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위치 정보 공유 요청에 대하여 수락을 할 것인지 입력받는다(S402). 제1 가입자 단말과 위치 정보를 공유를 수락하지 않은 제2 가입자 단말은 제1 가입자 단말의 위치 정보 공유 요청에 대하여 거절을 하게 되고, 동작을 종료하게 된다(S403). S402 과정에서 제2 가입자 단말이 제1 가입자 단말의 위치 정보 공유 요청을 수락한 경우 제1, 제2 가입자 단말은 먼저 통신을 하기 위하여 SI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세션을 설정한다(S404). 제1, 제2 가입자 단말은 각 단말의 위치 정보를 측정하여 상호 교환한다(S405). 각 가입자 단말은 사용자에게 가입자의 위치 정보를 지도 모드, 텍스트 모드, 동영상 모드 중 어떤 모드로 보여줄 것인지 선택하게 하고, 선택 모드에 따라 사용자에게 위치 정보를 제공한다(S406). 제1 또는 제2 가입자 단말은 위치가 변동하는지 체크하고(S407),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말의 위치가 변경된 경우 S405 과정으로 진행하여, 다시 위치 정보를 업데이트, 교환하게 된다. 사용자에게 위치 정보 서비스를 제공한 이후 가입자 단말은 연결된 세션을 해제하고 동작을 종료하게 된다(S408).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 단말이 다른 가입자의 위치 정보공유를 요청하는 동작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는 도 4의 S401 과정이 가입자 단말에서 구현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발신자인 사용자는 도 5의 체크 표시를 통하여 알 수 있듯이 위치 정보를 공유하고자 하는 가입자를 한 명 이상 선택하게 된다. 사용자는 선택 버튼을 입력함으로써 위치 정보 공유 요청을 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 공유 요청은 IM 모듈을 이용하여 위치 정보 공유 요청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가입자 단말은 도 5에서 선택한 가입자들에게 인스턴트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으로 위치 정보 공유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 단말이 가입자의 위치 정보 공유 요청 에 대한 응답 동작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위치 정보 공유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자동 허용 모드, 자동 거부 모드, 수동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자동 허용 모드를 선택한 경우 가입자 단말은 위치 정보 공유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사용자에게 상기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알려주고,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하는 PTA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만일 사용자가 자동 거부 모드를 선택한 경우에는 가입자 단말은 사용자에게 위치 정보 공유 요청 메시지의 수신 사실과 자동 거부 상태임을 알려준다. 그 후 가입자 단말은 사용자에게 종래의 위치 정보를 필요로 하지 아니하는 위치 정보 서비스를 제공한다. 사용자가 수동 모드를 선택한 경우 가입자 단말은 위치 정보 공유 요청 메시지의 발신자 정보와 함께 사용자의 위치 정보의 공개/비공개를 선택하는 메뉴를 제공하게 된다. 물론, 사용자가 위치 정보의 공개를 선택한 경우에만,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발신자에게 전송하고 위치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7은 사용자가 위치 정보 제공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법을 선택하는 메뉴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정보 제공 서비스를 위한 세션이 CSCF를 이용하여 설정된 경우, 가입자 단말은 위치 정보를 지도(MAP) 모드로 표현할 것인지, 텍스트(Text) 모드로 표시할 것인지, 동영상 모드로 표현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다. 각각의 표현 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은 가입자 단말이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그림으로 디스플레이한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가입자 단말은 사용자, 다른 가입자, 주요 지형 지물 등을 기준으로 하여 각 가입자들의 위치 정보를 지도를 이용한 그림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8A는 사용자를 기준으로 다른 사용자의 위치를 표시한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사용자의 위치가 지도의 가운데 X로 표시되며, 그 주위에 다른 사용자 A, D의 위치가 표시되어 있다. 이 때 가입자 C는 단말의 전원이 off 상태이므로 도면에 표시되지 않게 된다.
도 8B는 사용자가 지정한 다른 사용자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표시한 화면이다. 도 8B에서 사용자는 가입자 A를 선택하였으므로, A가 지도 가운데에 위치하고 그 주위에 기타 사용자 X, D가 존재하는 것을 살펴볼 수 있다.
도 8C는 주요 지형 지물 등을 선택하고 이를 기준으로 사용자들의 위치를 표시한 화면이다. 도 8C에서는 사용자는 삼성 본관을 기준 지형 지물로 선택하였으며, 각 가입자들의 위치를 삼성 본관을 기준으로 표시하게 된다.
도 9는 가입자 단말이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텍스트 형태로 디스플레이한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가입자 단말이 지도나 동영상 모드를 지원하지 않거나 사용자가 수동으로 텍스트 모드를 선택한 경우에는 가입자 단말은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텍스트 형태로 표시하여 준다.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에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간략하게 표시되어 있으며, 서브 프레임에는 사용자 X의 위치뿐만 아니라 위치 정보를 공유하는 다른 가입자 A, D의 위치 정보를 표시하여 주고 있다.
도 10은 가입자 단말이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동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한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가입자 단말은 선택한 가입자의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로 입력되는 동영상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발언자가 자신의 카메라의 방향을 바꾸어 가면서 주변의 모습을 동영상 형태로 다른 가입자에게 전송하게 되어 다른 가입자와 현재의 위치를 파악하는 식으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1은 가입자 단말이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다른 가입자에게 전송할 수 있는 메뉴를 선택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정보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 가입자들은 서로 공통된 화면을 볼 수 있으며, 자신이 원하는 화면을 볼 수도 있다. 이러한 기능은 메인 프레임 최상단 메뉴에서 선택하여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내 화면을 모두에게 송신"메뉴를 선택한 경우 현재 메인 프레임에 디스플레이된 화면이 다른 가입자 단말로 멀티캐스팅(Multicasting)되며, 다른 가입자 단말에 표시될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나만의 화면"을 선택하는 경우라면 자신의 화면을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도, 텍스트 또는 동영상 모드로 표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을 이용한 위치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위치 정보를 공유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가입자 단말에게 위치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위치 정보 공유 요청을 수락한 가입자 단말과 세션을 설정하여 위치 정보를 교환하고, 상기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줌으로써 사용자가 오프 라인 미팅과 같은 야외 활동 시 사용자들이 보다 편리하게 다른 사용자들의 위치 등을 확인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12)

  1.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 : IP Multimedia Subsystem)을 이용한 단말간 위치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IMS 서비스 별 친구 목록 데이터베이스를 종합하여 공유 친구 목록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단계;
    제1 가입자 단말은 상기 공유 친구 목록 데이터베이스 중 위치 정보를 공유하고자 하는 제2 가입자 단말을 선택하여 위치 정보 공유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위치 정보 공유 요청을 수락한 제2 가입자 단말과 상기 제1 가입자 단말 간 세션을 설정하고, 위치 정보를 상호 교환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가입자 단말 또는 제2 가입자 단말은 각 가입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공유를 요청하는 단계는,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을 통하여 인스턴트 메시지(Instant Message)를 전송하여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위치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단말의 위치가 변경된 경우, 상기 제1, 2 가입자 단말은 설정된 세션을 이용하여 변경된 위치 정보를 교환한 후, 이를 업데이트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위치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각 가입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제1 가입자 단말의 위치, 제2 가입자 단말의 위치 또는 소정의 지점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각 가입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위치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각 가입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각 가입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텍스트, 지도 또는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위치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입자 단말이 제2 가입자 단말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가입자 단말이 상기 공유 친구 목록 데이터베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와
    상기 디스플레이된 친구 목록 중 적어도 하나의 가입자 단말을 선택받고,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가입자 단말로 위치 정보 공유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7.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을 이용한 단말간 위치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IMS 서비스를 이용하는 친구 목록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친구 목록 데이터베이스(Buddy List Database);
    상기 친구 목록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종합하여 저장하는 공유 친구 목록 데이터베이스(Shared Buddy List Database); 및
    상기 공유 친구 목록 데이터베이스의 공유 친구 목록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입자 단말로 위치 정보 공유 요청을 하고, 상기 위치 정보 공유 요청을 수락한 제1 가입자 단말과 세션을 설정한 후 위치 정보를 교환하여, 상기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가입자 단말을 포함하는 위치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단말은,
    상기 가입자 단말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 측정부;
    네트워크 상의 다른 가입자 단말과 통신을 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 및
    네트워크 상의 가입자 단말로 위치 정보 공유를 요청하고, 위치 정보 공유 요청을 수락한 제1 가입자 단말과 세션을 설정한 후, 상기 위치 측정부가 측정한 현재 위치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제1 가입자 단말과 교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을 통하여 인스턴트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제1 가입자 단말로 위치 정보 공유를 요청하는 위치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입자 단말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단말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 측정부;
    네트워크 상의 다른 가입자 단말과 통신을 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
    네트워크 상의 가입자 단말로 위치 정보 공유를 요청하고, 위치 정보 공유 요청을 수락한 제1 가입자 단말과 세션을 설정한 후, 상기 위치 측정부가 측정한 현재 위치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제1 가입자 단말과 교환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 가입자 단말과 설정한 세션을 통하여 교환한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가입자 단말.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을 통하여 인스턴트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제1 가입자 단말로 위치 정보 공유를 요청하는 가입자 단말.
KR1020050111423A 2005-11-21 2005-11-21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을 이용한 위치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48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1423A KR100748682B1 (ko) 2005-11-21 2005-11-21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을 이용한 위치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1423A KR100748682B1 (ko) 2005-11-21 2005-11-21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을 이용한 위치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3539A KR20070053539A (ko) 2007-05-25
KR100748682B1 true KR100748682B1 (ko) 2007-08-13

Family

ID=38275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1423A KR100748682B1 (ko) 2005-11-21 2005-11-21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을 이용한 위치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86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50690B2 (en) 2007-08-14 2011-11-01 Mpanion, Inc. Location based presence and privacy management
US8489111B2 (en) 2007-08-14 2013-07-16 Mpanion, Inc. Real-time location and presence using a push-location client and server
US8583079B2 (en) 2007-08-14 2013-11-12 Mpanion, Inc. Rich presence status based on location, activity, availability and transit status of a user
US9300696B2 (en) 2010-04-22 2016-03-29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sharing one or more media in a session between terminals
US9165290B2 (en) * 2011-11-02 2015-10-2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haring notes in online meeting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8307A (ko) * 2003-09-18 2005-03-22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이동 단말간 정보 전달 매체에 관한 정보 공유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8307A (ko) * 2003-09-18 2005-03-22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이동 단말간 정보 전달 매체에 관한 정보 공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3539A (ko) 2007-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618349B (zh) 一种集群通信系统、服务器及通信方法
US8036692B2 (en) Brew platform enabling advanced voice services (AVS) including push-to-talk, push-to-conference and push-to-message on wireless handsets and networks
US7142876B2 (en) Location dependent services
EP1839421B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emergency calls in a packet switched radio access network
US718479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a talk group
EP2055023B1 (en) Method of securing privacy in automatic answer mode of push-to service
KR20060066105A (ko)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세션의 활성화
EP1836869A1 (en) Method and system for establishing network-initiated poc group session
US20060239267A1 (en) User equipment in an IMS service network with a shortened PTT call setup time, IMS service network, and PTT call setup method therein
CA265026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session initiation protocol messages associated with a voice over ip terminal
CN1610441B (zh) 通信系统中消息的验证
EP3479604B1 (en) Ip-based ussd communications
EP1575316B1 (en) Transmission of image data during communication sessions
US20050265313A1 (en) Communication system
KR100748682B1 (ko)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을 이용한 위치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EP2154818B1 (en) Charging method, charging system and application server
US20060251066A1 (en) Terminal routing identity as user identity for UICC-less terminals
CN101437093A (zh) 在ims网络中实现呼叫地址传送
US9948773B2 (en) Conveying device information to application server servicing computing device associated with a communication
CN101656991B (zh) 消息发送过程中切换终端的方法及设备
Rebeiro-Hargrave et al. Multimedia group communication: Push-to-talk over cellular, presence and list management concepts and applications
KR101015007B1 (ko) 아이피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에서 인스턴트메시징 서비스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08136088A (ja) 呼制御システム及びメッセージ送信方法
KR100940090B1 (ko) 아이피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에서 영상공유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US20180309799A1 (en) Method, Device, and Network for Transferring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