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2272B1 - 측방조도효율이 향상된 led 직관형 램프 - Google Patents

측방조도효율이 향상된 led 직관형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2272B1
KR101362272B1 KR1020130013238A KR20130013238A KR101362272B1 KR 101362272 B1 KR101362272 B1 KR 101362272B1 KR 1020130013238 A KR1020130013238 A KR 1020130013238A KR 20130013238 A KR20130013238 A KR 20130013238A KR 101362272 B1 KR101362272 B1 KR 101362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usion
heat dissipation
light
inclined surface
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3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수
Original Assignee
이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민수 filed Critical 이민수
Priority to KR1020130013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22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2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2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F21V5/045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the lens having discontinuous faces, e.g. Fresnel len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21V23/0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arranged on a substrate, e.g. a printed circuit boar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83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the elements having apertures, ducts or channels, e.g. heat radiation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방조도효율이 향상된 LED 직관형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방열몸체와, 상기 방열몸체의 저면에 설치되는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의 저면에 설치되고, 하방으로 광을 방출하는 발광소자와, 양측단부가 상기 방열몸체의 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의 내면 중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방출된 광이 투과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확산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확산돌기가 상기 커버부의 내면 일측으로부터 상기 커버부의 외측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경사면 및 상기 제1 경사면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커버부의 외측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경사면을 포함하는 확산부 및 상기 방열몸체 및 상기 확산부의 양측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엔드캡을 포함하되, 상기 방열몸체는 상기 확산부가 결합되는 영역 부근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반사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조도효율이 향상된 LED 직관형 램프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확산부가 결합되는 방열몸체의 영역 부근으로부터 반사돌기가 내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어 확산돌기부에 의해 반사된 광이 반사돌기에 의해 난반사되어 커버부의 측방을 통해 외부로 조사되도록 함으로써 광의 조사효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측방조도효율이 향상된 LED 직관형 램프{Straight type LED lamp improving illuminate efficiency of side}
본 발명은 측방조도효율이 향상된 LED 직관형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반사돌기에 의해 커버부의 측방향으로 광이 난반사되도록 하여 커버부의 사이드영역을 통해 외부로 조사되도록 함으로써 광의 조사효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측방조도효율이 향상된 LED 직관형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또는 실외 조명기구로서 전구나 형광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전구나 형광등은 수명이 짧아 자주 교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소비전력이 낮고, 빠른 응답 특성을 가지는 LED가 조명등의 광원으로 선호되고 있는데, 이와 같이 LED를 광원으로 하는 LED조명기구의 경우 LED의 소자 특성상 상당한 열이 발생되면서 LED구동을 위한 회로패턴에 악영향을 끼치고 이로 인하여 LED 조명장치의 수명이 단축되거나 조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통상적을 LED칩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방열판 또는 방열핀이 이용되고 있다.
도1은 종래의 LED조명기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LED조명기구(100)는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111)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몸체(110)와, 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고 하방으로 광을 방출하는 LED광원(120)과, 몸체(110)의 하부에 결합되는 불투명 또는 투명 재질의 커버부(130)와, 커버부(130)의 내면 중 LED광원(120)으로부터 조사된 광이 투과하는 영역에 형성되는 확산돌기부(140) 및 몸체(110)의 상면에 핀형상 또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방열부(150)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LED조명기구(100)는 LED광원(120)으로부터 방출된 광이 커버부(130)를 투과하면서 확산돌기부(140)에 의해 확산되어 외부로 방출되고, LED광원(120)으로부터 광이 조사됨에 따라 발생되는 열은 몸체(110)를 통해 몸체(110)의 상부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방열부(150)로 전달되면서 외부로 방출됨에 따라 열에 의한 LED광원(120)의 수명 단축 또는 조도 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넓은 영역에 광을 조사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LED조명기구(100)는 LED광원(120)으로부터 방출된 광이 확산돌기부(140)에 의해 확산되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이나, LED광원(120) 특성상 광이 직전성을 갖는 바 LED광원(120)으로부터 방출된 광이 확산부에 의해 확산되어 외부로 방출된다 하더라도 커버부(130)의 중앙영역으로만 투과되어 커버부(130)의 측방영역에서는 음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LED조명기구(100)는 건물의 내부에 등간격으로 다수개가 설치되는 경우 LED광원(120)으로부터 조사된 광이 단순히 확산돌기부(140)에 의해 확산되어 외부로 조사됨에 따라 각 조명기구의 조사영역이 상호 겹치게 되면서 조사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삭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반사돌기에 의해 커버부의 측방향으로 광이 난반사되도록 하여 커버부의 사이드영역을 통해 외부로 조사되도록 함으로써 광의 조사효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측방조도효율이 향상된 LED 직관형 램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확산부에 의해 광이 확산되도록 하되, 설치환경에 따라 광의 조사영역을 설정함으로써 광의 조사효율이 향상되도록 함과 아울러 광의 조도효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측방조도효율이 향상된 LED 직관형 램프를 제공함에 있다.
삭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방열몸체와, 상기 방열몸체의 저면에 설치되는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의 저면에 설치되고, 하방으로 광을 방출하는 발광소자와, 양측단부가 상기 방열몸체의 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의 내면 중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방출된 광이 투과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확산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확산돌기가 상기 커버부의 내면 일측으로부터 상기 커버부의 외측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경사면 및 상기 제1 경사면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커버부의 외측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경사면을 포함하는 확산부 및 상기 방열몸체 및 상기 확산부의 양측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엔드캡을 포함하되, 상기 방열몸체는 상기 확산부가 결합되는 영역 부근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반사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조도효율이 향상된 LED 직관형 램프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확산부는 상기 커버부의 내면 중앙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경사면이 상기 제2 경사면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미리 설정된 각도로 확산하는 적어도 하나의 확산돌기를 포함하는 확산영역과, 상기 커버부의 내면 외곽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경사면이 상기 제1 경사면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상기 커버부의 측면 방향으로 난반사하여 광이 상기 커버부의 측방영역을 통해 외부로 조사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확산돌기를 포함하는 측방조사영역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열몸체는 내면과 외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으로부터 돌출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방열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방열몸체는 내부에 일단부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방열공이 형성되고, 상기 엔드캡은 상기 방열공과 대응되는 일측에 통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엔드캡은 상기 방열몸체와, 상기 확산부의 양측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방열공과 대응되는 영역에 통공이 형성된 캡부 및 상기 캡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일측이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핀을 포함하되, 상기 캡부는 상기 전원핀이 설치된 영역으로부터 상방으로 내측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확산부가 결합되는 방열몸체의 영역 부근으로부터 반사돌기가 내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어 확산부에 의해 반사된 광이 반사돌기에 의해 난반사되어 커버부의 측방을 통해 외부로 조사되도록 함으로써 광의 조사효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확산돌기부 중 확산영역에 의해 광이 미리 설정된 각도로 확산되도록 함과 아울러 확산돌기부에 의해 반사된 광 중 일부가 측방조사영역에 의해 커버부의 측방으로 난반사되도록 함으로써 광의 조사효율이 향상되도록 함과 아울러 광의 조도효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삭제
삭제
도1은 종래의 LED조명기구를 도시한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방조도효율이 향상된 LED 직관형 램프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방조도효율이 향상된 LED 직관형 램프의 분해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방조도효율이 향상된 LED 직관형 램프의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확산부 및 반사돌기에 의해 광이 난반사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방조도효율이 향상된 LED 직관형 램프가 펜던트에 의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방조도효율이 향상된 LED 직관형 램프의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방조도효율이 향상된 LED 직관형 램프의 분해사시도이며,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방조도효율이 향상된 LED 직관형 램프의 단면도이다.
도2 내지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방조도효율이 향상된 LED 직관형 램프(1)는 방열몸체(10)와, 회로기판(20)과, 발광소자(30)와, 확산부(40) 및 엔드캡(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방열몸체(10)는 단면이 대략 반구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부(11)와, 몸체부(11)의 내면 일측에 형성되는 방열돌기(12) 및 몸체부(11)의 저면 일측에 형성되는 반사돌기(1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후술하는 회로기판(20), 확산부(40) 및 엔드캡(50)의 결합영역을 제공하여 회로기판(20), 확산부(40) 및 엔드캡(50)이 설치대상영역에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함과 아울러 발광소자(30)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역할을 한다.
몸체부(11)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면이 대략 반구형상으로 형성된 막대형상으로 형성되고, 평평한 면으로 형성되는 저면의 양측단부에 각각 후술하는 확산부(40)의 양측단부가 끼움결합되는 한 쌍의 끼움공(11a)이 형성된다.
그리고, 몸체부(11)는 일단부로부터 타단부 방향으로 방열공(11b)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엔드캡(50)의 통공(51a)을 통해 내면이 외부로 노출되면서 외부로 노출된 내면의 면적만큼 외부공기와의 접촉면적이 증대된다.
즉, 몸체부(11)는 내면이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외부공기와의 접촉면적이 증대되면서 발광소자(30)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보다 효율적으로 방열할 수 있다.
방열돌기(12)는 방열공(11b)이 형성된 몸체부(11)의 내면 중 상면 일측으로부터 돌출되고, 몸체부(11)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몸체부(11)를 보강하는 보강역할을 함과 아울러 몸체부(11) 내면의 면적이 보다 증대되도록 함으로써 방열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반사돌기(13)는 몸체부(11)의 저면 중 끼움공(11a)이 형성된 일측 부근으로부터 몸체부(11)의 내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고, 후술하는 확산부(40)에 의해 반사된 광의 일부 중 몸체부(11)의 끼움공(11a) 방향, 즉 후술하는 커버부(41)의 측방으로 이동되는 광을 난반사하여 커버부(41)의 측방으로 투과되도록 함으로써 커버부(41)의 측방에 음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광의 조사효율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반사돌기(13)는 하단으로부터 방열몸체(11)의 내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지지턱부(13a)를 더 포함하는데, 상기한 지지턱부(13a)는 방열몸체(11)의 저면 중앙에 배치되는 회로기판(20)의 일측을 지지하여 회로기판(20)이 방열몸체(10)에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회로기판(20)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플레이트로 형성되고, 저면 일측에 설치되는 발광소자(30)의 전원공급 및 조도제어를 위한 패턴들이 형성되고, 대략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몸체부(11)의 하방에 배치된 상태에서 일측이 지지턱부(11b)에 지지되어 몸체부(11)에 견고하게 설치된다.
발광소자(30)는 회로기판(20)의 저면 일측에 설치되고, 하방으로 광을 방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인 LED(Light emitting diode)가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회로기판(20) 및 발광소자(30)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에게는 상용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임이 자명한 것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확산부(40)는 방열몸체(10)의 하부에 결합되는 커버부(41) 및 커버부(41)의 내면 일측에 형성되는 확산돌기부(4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발광소자(30)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확산되도록 함과 아울러 확산된 광을 외부로 투과하는 역할을 한다.
커버부(41)는 대략 단면이 대략 반구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한 몸체부(11)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어 양측단부가 몸체부(11)의 끼움공(11a)에 끼움결합되며, 발광소자(30)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외부로 조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데, 발광소자(30)로부터 방출된 광이 투사되어 외부로 조사될 수 있도록 반투명 또는 투명재질로 형성된다.
확산돌기부(42)는 커버부(41)의 내면에 돌출형성되는 복수개의 확산돌기(42a)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커버부(41)로 이동되는 광을 난반사하여 확산되도록 하는 역할을 함과 아울러 광의 일부를 커버부(41)의 측방으로 이동되도록 한 후 커버부(41)이 측면을 통해 외부로 투사되도록 함으로써 커버부(41)의 측방에 암부가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각 확산돌기(42a)는 대략 톱니형상으로 형성되어 커버부(41)의 내면 일측으로부터 커버부(41)의 외측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경사면(42aa)과, 제1 경사면(42aa)의 상단으로부터 커버부(41)의 외측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경사면(42a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확산돌기부(42)는 커버부(41)의 내면 중앙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확산돌기(42a)를 포함하는 확산영역(d)과, 커버부(41)의 내면 외곽영역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확산돌기(42a)를 포함하는 측방조사영역(L)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확산영역(d)은 확산돌기(42a)의 제1 경사면(42aa)이 제2 경사면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발광소자(30)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확산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데, 제1 경사면(42aa)과 제2 경사면(42ab)의 사이각을 조절하여 확산되는 광이 미리 설정된 각도로 확산되도록 한다.
측방조사영역(L)은 제2 경사면(42ab)이 제1 경사면(42aa)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발광소자(30)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커버부(41)의 측면 방향으로 난반사하여 난반사된 광이 커버부(41)의 측방영역을 통해 외부로 조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엔드캡(50)은 대략 캡형상으로 형성되고 방열몸체(10)의 하부에 확산부(40)가 결합된 상태에서 한 쌍이 방열몸체(10)와, 확산부(40)의 양측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캡부(51)와, 캡부(51)의 일측에 설치되고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전원핀(5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방열몸체(10)와, 확산부(40)의 양측단부를 마감처리 함과 아울러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방열몸체(10)의 일측에 설치되는 회로기판(20)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캡부(51)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한 쌍이 방열몸체(10)와, 확산부(40)의 양측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방열몸체(10)와 확산부(40)의 양측단부를 마감처리하는 역할을 함과 아울러 방열몸체(10)의 방열공(11b)과 대응되는 위치에 통공(51a)이 형성되어 통공(51a)을 통해 방열몸체(10)의 내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캡부(51)는 상기한 전원핀(52)이 설치된 영역으로부터 상방으로 내측경사지게 형성되어 전원핀(52)의 상부영역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와 같이 전원핀(52)의 상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이유는 후술하는 동작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확산부 및 반사돌기에 의해 광이 난반사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방조도효율이 향상된 LED 직관형 램프가 펜던트에 의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방조도효율이 향상된 LED 직관형 램프(1)의 동작을 첨부된 도5 내지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방열동작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의 방열동작을 살펴보면, 발광소자(30)로부터 광이 방출됨에 따라 발광소자(30)로부터 열이 발생되는 경우 발생된 열은 방열몸체(10)로 전달되고, 방열몸체(10)로 전달된 열은 외부공기와 접촉되는 방열몸체(10)의 외면에 방열공(11b)이 형성된 방열몸체(10)의 내면에서 외부공기와의 열교환을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이때, 방열몸체(10)로 전달된 열이 방열공(11b)이 형성된 방열몸체(10)의 내면에서 방열공(11b) 내부로 유입된 외부공기와 열교환되는 경우 상기한 열교환에 의해 외부공기의 온도가 상승하면서 엔드캡(50)의 통공(51a)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며, 열교환된 방열공(11b) 내부의 외부공기가 방열몸체(10)의 외부로 방출됨에 따라 상기한 열교환에 의해 외부공기의 온도가 상승하면서 대류가 일어나게 되고, 대류현상에 의해 열교환된 외부공기가 엔드캡(50)의 통공(51a)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며, 새로운 외부공기가 방열공(11b)의 내부로 유입되어 방열몸체(10)로 전달된 열과 외부공기가 지속적으로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광의 확산동작
한편, 발광소자(30)로부터 하방으로 광이 방출되면서 광의 일부는 확산돌기부(42)와 커버부(41)를 투과하여 외부로 조사되고, 다른 일부는 확산돌기부(42)에 의해 난반사된다.
이때, 확산돌기부(42) 중 커버부(41)의 중앙에 위치하는 확산영역(d)에서는 확산돌기(42a)의 제1 경사면(42aa) 및 제2 경사면(42ab)의 사이각에 따라 미리 설정된 조사각으로 확산되고, 측방조사영역(L)에서는 확산돌기(42a)에 의해 난반사된 광이 커버부(41)의 측방으로 이동되면서 커버부(41)의 측면을 통해 외부로 조사된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방조도효율이 향상된 LED 직관형 램프(1)는 건물 내에 설치되는 다수의 조명기구 설치위치에 따라 각 조명기구의 조사영역이 상호 겹치지 않도록 함으로써 광의 조사효율이 향상되도록 함과 아울러 광의 조사범위를 한정하여 조도가 향상되도록 한다.
또한, 측방조사영역(L)에 의해 광의 일부가 커버부(41)의 측면을 통해 외부로 조사되도록 함으로써 커버부(41)의 측방에 음영이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아울러, 확산돌기부(42) 중 확산영역(d)에 난반사된 광 중 일부가 커버부(41)의 측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커버부(41)의 측방으로 이동된 광이 반사돌기(13)에 난반사되면서 커버부(41)의 측면을 통해 외부로 조사되도록 함으로써 커버부(41)의 측방에 음영발생 방지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방열몸체의 설치동작
아울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방조도효율이 향상된 LED 직관형 램프(1)를 걸이구를 이용하여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방열몸체(10)의 방열공(11b)을 통해 지지막대를 삽입하여 지지막대의 일측이 방열몸체(10)의 내면 일측에 지지된 상태에서 지지막대의 양측단부가 방열공(11b)을 통해 방열몸체(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이후 한 쌍의 걸이구 일측을 방열몸체(10)의 방열공(11b)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지지막대의 양측단부에 각각 결합하여 설치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엔드캡(50)은 캡부(51)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원핀(52)이 설치된 일측으로부터 상방으로 내측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전원핀(52)의 상부영역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지지막대와, 걸이구에 의해 방열몸체(10)가 설치대상영역에 설치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방열몸체(10)가 좌우방향으로 유동되더라도 도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걸이구의 일측이 유동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방열몸체(10)가 좌우방향으로 유동됨에 따라 걸이구 일측에 지지되어 방열몸체(10)가 걸이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 : 측방조도효율이 향상된 LED 직관형 램프 10 : 방열몸체
11 : 몸체부 11a : 끼움공
11b : 방열공 12 : 방열돌기
13 : 반사돌기 13a : 지지턱부
20 : 회로기판 30 : 발광소자
40 : 확산부 41 : 커버부
42 : 확산돌기부 42a : 확산돌기
42aa : 제1 경사면 42ab : 제2 경사면
d : 확산영역 L : 측방조사영역
50 : 엔드캡 51 : 캡부
51a : 통공 52 : 전원핀

Claims (5)

  1. 방열몸체와;
    상기 방열몸체의 저면에 설치되는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의 저면에 설치되고, 하방으로 광을 방출하는 발광소자와;
    양측단부가 상기 방열몸체의 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의 내면 중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방출된 광이 투과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확산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확산돌기가 상기 커버부의 내면 일측으로부터 상기 커버부의 외측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경사면 및 상기 제1 경사면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커버부의 외측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경사면을 포함하는 확산부; 및
    상기 방열몸체 및 상기 확산부의 양측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엔드캡을 포함하되,
    상기 방열몸체는 상기 확산부가 결합되는 영역 부근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반사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조도효율이 향상된 LED 직관형 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부는
    상기 커버부의 내면 중앙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경사면이 상기 제2 경사면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미리 설정된 각도로 확산하는 적어도 하나의 확산돌기를 포함하는 확산영역과;
    상기 커버부의 내면 외곽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경사면이 상기 제1 경사면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상기 커버부의 측면 방향으로 난반사하여 광이 상기 커버부의 측방영역을 통해 외부로 조사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확산돌기를 포함하는 측방조사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조도효율이 향상된 LED 직관형 램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몸체는 내면과 외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으로부터 돌출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방열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조도효율이 향상된 LED 직관형 램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몸체는 내부에 일단부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방열공이 형성되고,
    상기 엔드캡은 상기 방열공과 대응되는 일측에 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조도효율이 향상된 LED 직관형 램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캡은
    상기 방열몸체와, 상기 확산부의 양측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방열공과 대응되는 영역에 통공이 형성된 캡부; 및
    상기 캡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일측이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핀을 포함하되,
    상기 캡부는 상기 전원핀이 설치된 영역으로부터 상방으로 내측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조도효율이 향상된 LED 직관형 램프.
KR1020130013238A 2013-02-06 2013-02-06 측방조도효율이 향상된 led 직관형 램프 KR101362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238A KR101362272B1 (ko) 2013-02-06 2013-02-06 측방조도효율이 향상된 led 직관형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238A KR101362272B1 (ko) 2013-02-06 2013-02-06 측방조도효율이 향상된 led 직관형 램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4178A Division KR101256348B1 (ko) 2012-10-15 2012-10-15 렌즈형 커버와 반개방형 방열구조를 갖는 led 직관형 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2272B1 true KR101362272B1 (ko) 2014-02-12

Family

ID=50270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3238A KR101362272B1 (ko) 2013-02-06 2013-02-06 측방조도효율이 향상된 led 직관형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227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5993A (ko) * 2009-07-13 2011-01-20 구영철 간접조명 엘이디형광등
KR20110054680A (ko) * 2009-11-18 2011-05-25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Led 조명용 확산 부재 및 이를 구비한 led 조명등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5993A (ko) * 2009-07-13 2011-01-20 구영철 간접조명 엘이디형광등
KR20110054680A (ko) * 2009-11-18 2011-05-25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Led 조명용 확산 부재 및 이를 구비한 led 조명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51809B2 (ja) 熱放出が容易な球形照明灯
KR100931266B1 (ko) 넓고 균일한 배광을 가지는 실내용 led 조명
JP6379098B2 (ja) Led照明装置
JP2009026584A (ja) 照明装置
JP2012513087A (ja) Led街灯
JP2010205553A (ja) 照明装置
WO2012032951A1 (ja) 口金付ランプおよび照明器具
JP4924337B2 (ja) 照明装置
KR101161851B1 (ko) 엘이디 조명장치
JP2004519815A (ja) 照明器具
JP2012064367A (ja) 光源装置及び電球型照明装置
KR200464527Y1 (ko) 엘이디등기구용 엠보싱 반사갓
KR101256348B1 (ko) 렌즈형 커버와 반개방형 방열구조를 갖는 led 직관형 램프
JP6919860B2 (ja) 壁面照射用のランプ、および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
WO2012035841A1 (ja) Led照明装置
KR20080049347A (ko) 백색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조명등
KR101441624B1 (ko) 일체형 반사갓이 형성된 엘이디 조명등
KR101362272B1 (ko) 측방조도효율이 향상된 led 직관형 램프
KR200479710Y1 (ko) 엘이디를 이용한 다색 실내등
US20160061394A1 (en) Stand-type led lighting device
JP2014170688A (ja) 照明器具
KR101362271B1 (ko) 확산돌기가 형성된 렌즈형 커버를 갖는 led 직관형 램프
KR101327917B1 (ko) 형광등형 엘이디 조명기구
CN216643877U (zh) 防眩光灯具
KR101436090B1 (ko) 조사각을 조절할 수 있는 엘이디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