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2114B1 - 비상방송설비의 출력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비상방송설비의 출력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2114B1
KR101362114B1 KR1020110135930A KR20110135930A KR101362114B1 KR 101362114 B1 KR101362114 B1 KR 101362114B1 KR 1020110135930 A KR1020110135930 A KR 1020110135930A KR 20110135930 A KR20110135930 A KR 20110135930A KR 101362114 B1 KR101362114 B1 KR 101362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unit
speaker
relay
suppl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5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8635A (ko
Inventor
조건배
김동권
정기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브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브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브원
Priority to KR1020110135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2114B1/ko
Publication of KR20130068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86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2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2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emergency or urg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44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 H04H20/4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H04H20/95
    • H04H20/47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H04H20/95 specially adapted for stereophonic broadcas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피커로 인가되는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 감지부, 전류 감지부와 연결되어 상용전원이 공급되는지 여부에 따라 절환되는 절환부, 절환부에서 스피커로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하는 릴레이 차단부, 절환부에서 인가되는 전류가 설정값 이상이면, 자동으로 절체되어 스피커로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하는 휴즈 차단부 및 전류 감지부에서 감지된 전류가 설정값 이상이면 릴레이 차단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상방송설비의 출력 제어장치{OUTPUT CONTROL DEVICE OF EMERGENCY BROADCATING SYSTEM}
본 발명은 비상방송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 발생시 발생되는 회로의 단락이나 과전류에 의한 스피커의 출력 저하를 방지하는 비상방송설비의 출력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방경보설비는 화재 발생을 자동적으로 탐지하고, 이를 소방대상물의 관계자에게 자동 또는 수동으로 통보하는 설비이다.
이러한 소방경보설비는 화재탐지설비와 비상방송설비를 포함한다.
특히, 비상방송설비는 방송용 스피커를 이용하여 화재 경보를 방송하는 방송설비로서, 화재탐지설비와 연동한다.
비상방송설비는 앰프와 스피커를 포함하며, 화재탐지설비에서 화재를 탐지하여 화재신호를 입력하면, 앰프에서 스피커로 경보방송을 출력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10-2007-0028966호(2007.03.13)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비상방송설비는 화재탐지설비에서 화재신호를 입력받으면, 다수 개의 스피커로 각각 경보방송을 출력한다.
그러나, 화재 발생과 같은 상황에서, 어느 하나의 층의 스피커 또는 배선이 단락이나 과전류가 발생할 경우, 다른 층에 경보방송이 출력되지 않거나 스피커 출력이 비정상적으로 저하되어 화재안전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다수 개의 스피커와 각각 연결된 회로선 중 어느 하나가 화재로 인해 단락이나 과전류가 발생되면 해당 회로선을 통해 스피커로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하여 나머지 스피커의 출력 저하를 방지하는 비상방송설비의 출력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비상방송설비의 출력 제어장치는 스피커로 인가되는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 감지부; 상기 전류 감지부와 연결되어 상용전원이 공급되는지 여부에 따라 절환되는 절환부; 상기 절환부에서 상기 스피커로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하는 릴레이 차단부; 상기 절환부에서 인가되는 전류가 설정값 이상이면, 자동으로 절체되어 상기 스피커로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하는 휴즈 차단부; 및 상기 전류 감지부에서 감지된 전류가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릴레이 차단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 감지부에서 감지된 전류가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릴레이 차단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전류 감지부에서 감지된 전류 및 전류 차단 여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상용전원이 차단된 후, 재공급되면, 상기 절환부는 상기 릴레이 차단부로 절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 감지부에서 감지된 전류에 따라 상기 릴레이 차단부를 제어하여 상기 스피커로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 감지부에서 감지된 전류 및 전류 차단 여부를 화재 탐지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수 개의 스피커와 각각 연결된 회로선 중 어느 하나가 화재로 인해 단락이나 과전류가 발생되면 해당 스피커와 연결된 회로선에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하여 나머지 스피커의 출력 저하를 방지하고, 비상방송설비를 감시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화재수신반에서 비상방송실비를 감시 및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화재안전기준을 만족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방송설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 구성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방송설비의 출력 제어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방송설비의 출력 제어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시 정상 상태로 경보음을 출력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시 릴레이 차단부를 이용하여 회로선을 차단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시 휴즈 차단부를 이용하여 회로선을 차단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방송설비의 출력 제어장치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이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방송설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방송설비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 탐지기(10), 중계기 전원반(20), 앰프(30) 및 스피커(50)를 포함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R(Record)형 소방경보설비 뿐만 아니라, P(Proprietary)형 소방경보설비, M(Municipal)형 소방경보설비 등 다양한 타입의 소방경고설비에 채용될 수 있다.
화재 탐지기(10)는 건물 내 다양한 지점에서 열이나 연기 또는 불꽃 등을 자동으로 탐지하여 화재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방송설비의 출력 제어장치(40)로부터 전류 차단 여부를 포함한 각종 동작 상태 및 전류를 입력받아 관리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관리자가 손쉽게 감시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중계기 전원반(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방송설비의 출력 제어장치(40)에 상용전원을 인가한다.
앰프(30)는 화재 탐지기(10)로부터 화재신호가 입력되면, 기 설정된 경보음을 출력하도록 한다.
스피커(50)는 건물 등 시설 내 각 층별로 다양한 위치에 설치되며, 앰프(30)와 연결되어 앰프(30)로부터 입력되는 경보음을 출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방송설비의 출력 제어장치(40)는 앰프(30)와 스피커(50) 사이에 연결되어 화재로 인해, 앰프(30)와 스피커(50) 사이에 연결된 회로선(51)이 단락되거나 과전류가 인가될 경우, 해당 회로선(51)을 통해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하여 다른 층의 스피커 출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출력 제어장치(40)를 도 2 내지 도 6 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방송설비의 출력 제어장치의 블럭 구성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방송설비의 출력 제어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시 정상 상태로 경보음을 출력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시 릴레이 차단부를 이용하여 회로선을 차단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시 휴즈 차단부를 이용하여 회로선을 차단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방송설비의 출력 제어장치(40)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대(41), 전류 감지부(42), 절환부(43), 릴레이 차단부(44), 휴즈 차단부(45), 출력부(46), 제어부(47) 및 디스플레이부(46)를 포함한다.
단자대(41)는 각 스피커(50)와 공통선(61) 및 회로선(51)으로 연결되어 스피커(50)로 전류를 인가한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2층의 건물로 각 층별로 1대의 스피커(50)가 각각 설치되고, 1층의 스피커(50)와 2층의 스피커(50)는 단자대(41)로부터 인출된 회로선(51)과 공통선(61)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예시로 설명한다.
여기서, 스피커(50)의 개수는 건물의 층수 및 단자대(41)의 단자수 등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건물 내의 각 층별로 반드시 1개씩 설치되는 것은 아니며, 각 층별로 필요에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각 층에 마련된 스피커(50) 또는 동일 층의 스피커(50) 각각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전류 감지부(42)와 절환부(43), 릴레이 차단부(44), 휴즈 차단부(45) 및 출력부(46)는 각 회로선(51) 마다 각각 설치되어 각 층별 또는 각 스피커(50) 별로 독립적으로 운용될 수 있다.
전류 감지부(42)는 각 스피커(50)에 연결되는 회로선(51)에 설치되어 스피커(50)로 인가되는 전류를 감지하여 제어부(47)에 입력한다. 전류 감지부(42)는 각 회로선(51)마다 개별적으로 설치되거나 통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절환부(43)는 2개의 출력단자가 구비되어 제어부(47)로부터 상용전원이 공급되는지 여부에 따라 2개의 출력단자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된다.
2개의 출력 단자 중 하나는 제1회로분기선(511)과 연결되어 릴레이 차단부(44)와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출력 단자는 제2회로분기선(512)과 연결되어 휴즈 차단부(45)와 연결된다.
따라서, 절환부(43)는 제어부(47)로부터 상용전원이 공급되면, 릴레이 차단부(44)와 연결되고, 제어부(47)로부터 상용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휴즈 차단부(45)와 연결된다.
여기서, 상용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는 화재로 인해 상용전원을 공급하는 전기선(미도시)이 차단되거나, 중계기 전원반(20)이 손실되는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될 수 있을 것이다.
릴레이 차단부(44)는 제어부(47)로부터 차단신호가 입력되면 턴오프되어 절환부(43)로부터 제1회로분기선(511)을 통해 출력부(46)로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한다.
절환부(43)가 제어부(47)로부터 상용전원이 공급되지 않아 절환부(43)와 휴즈 차단부(45)가 연결된 상태에서, 휴즈 차단부(45)는 절환부(43)로부터 인가되는 전류가 설정값 이상이면, 자동으로 절체되어 전류를 차단한다.
여기서, 설정값은 스피커(50)이 출력이 1W(Watt) 또는 3W 이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전류값이다. 여기서, 스피커(50)이 출력은 소방법에 규정된 것을 예시로 설정되었으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출력부(46)는 스피커(50)로 전류를 인가하여 스피커(50)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릴레이 차단부(44)와 제1회로분기선(511)을 통해 연결되고, 휴즈 차단부(45)와 제2회로분기선(512)을 통해 연결되어 릴레이 차단부(44)와 휴즈 차단부(45) 중 어느 하나로 전류가 인가되면, 인가된 전류를 스피커(50)로 공급하여 스피커(50)를 통해 경보음을 출력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부(48)는 현재의 동작 상태 및 전류 감지부(42)에서 감지된 전류를 출력한다.
제어부(47)는 중계기 전원반(20)으로부터 공급되는 상용전원을 절환부(43)로 공급하여 절환부(43)가 릴레이 차단부(44)로 절환되도록 한다. 이때, 전류 감지부(42)에서 감지된 전류가 설정값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이 과정에서, 건물 내 특정 층에 설치된 스피커(50)와 연결된 회로선(51)이 단락되거나 과전류가 인가되면, 전류 감지부(42)에서는 전류가 설정값 이상으로 감지된다.
따라서, 전류 감지부(42)에서 감지된 전류가 설정값 이상이 되면, 릴레이 차단부(44)를 제어하여 절환부(43)로부터 스피커(50)로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한다. 이를 통해, 다른 층의 스피커(50)로는 정상적인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더욱이, 상용전원이 차단되면, 제어부(47)에서 절환부(43)로 공급되는 상용전원도 차단된다. 이에 따라, 절환부(43)는 휴즈 차단부(45)로 절환되고, 스피커(50)로 인가되는 전류는 절환부(43)를 통해 휴즈 차단부(45)로 인가된다.
이때, 휴즈 차단부(45)는 인가되는 전류가 설정값 이상이 되면, 자동으로 절체되면서 절환부(43)로부터 스피커(50)로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하게 된다.
이를 통해 나머지 스피커(50)를 통해 정상적으로 경보음을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제어부(47)는 현재의 동작 상태 및 전류 감지부(42)에서 감지된 전류를 디스플레이부(48)로 출력하고, 화재 탐지기(10)로 전송하여 화재 탐지기(10)를 통해 관리자가 현재의 동작 상태 및 전류를 손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방송설비의 출력 제어장치(40)의 동작 과정을 도 3 내지 도 6 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1층의 스피커(50)와 연결된 회로선(51)이 단락되거나 그 전류가 과전류인 경우를 예시로 설명한다.
먼저, 제어부(47)는 중계기 전원반(20)으로부터 상용전원이 공급되면(S10), 이 상용전원을 1층과 2층의 절환부(43)로 각각 공급한다.
도 4 를 참조하면, 각각의 절환부(43)는 제어부(47)로부터 공급된 상용전원에 의해 해당 릴레이 차단부(44)와 연결되도록 절환되고, 절환부(43)와 릴레이 차단부(44)가 연결되면서 릴레이 차단부(44)로 전류가 공급된다(S20).
이와 같이 전류 패스가 형성됨에 따라, 1층과 2층에 마련된 전류 감지부(42)는 각각의 회로선(51)을 통해 인가되는 전류를 감지하게 된다(S30).
이 과정에서, 화재 탐지기(10)는 화재가 발생하는지를 탐지하고, 화재가 탐지되면, 화재 신호를 앰프(30)에 입력한다.
앰프(30)는 화재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확인(S40)하여 화재 신호가 수신되면, 1층과 2층에 각각 마련된 스피커(50)로 경보음을 출력한다(S50).
이때, 화재로 인해 1층의 회로선(51)이 단락되거나, 1층의 회로선(51)으로 과전류가 인가되어 1층의 전류 감지부(42)에서 전류를 감지하면, 제어부(47)는 전류가 설정값 이상인지 즉, 과전류인지를 판단한다(S60).
이 경우, 전류가 설정값 미만이면, 앰프(30)를 통해 1층과 2층의 스피커(50)로 경보음이 정상적으로 출력된다.
그러나, 판단 결과 1층의 회로선(51)을 통해 인가되는 전류가 설정값 이상이면, 제어부(47)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층의 릴레이 차단부(44)를 턴오프시켜 절환부(43)로부터 제1회로분기선(511)을 통해 출력부(46)로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한다(S70).
이 경우, 1층의 스피커(50)으로는 전류가 인가되지 않으므로, 1층의 스피커(50)로는 경보음이 출력되지 않는다.
그러나, 2층의 회로선(51)으로는 정상적인 전류가 인가되므로, 2층의 스피커(50)는 정상적인 경보음이 출력된다.
이 과정에서, 화재로 인해 중계기 전원반(20)으로부터 공급되는 상용전원이 차단되면, 1층의 절환부(43)에는 제어부(47)로부터 상용전원이 공급되지 않게 된다.
그 결과,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층의 절환부(43)는 휴즈 차단부(45)와 절환(S80)되고, 단자대(41)로부터 인가되는 전류는 1층의 절환부(43)로부터 1층의 휴즈 차단부(45)로 인가된다.
이때, 휴즈 차단부(45)는 전류가 설정값 이상이면, 자동으로 절체되면서 스피커(50)로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게 된다(S90).
이 과정에서, 제어부(47)는 현재 동작 상태와 전류 감지부(42)에서 감지된 전류를 디스플레이부(46)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동작 상태와 전류를 화재 탐지기(10)로 전송하여 화재 탐지기(10)를 통해 관리자가 현재의 동작 상태와 감지된 전류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할 것이다.
10: 화재 탐지기 20: 중계기 전원반
30: 앰프 40: 출력 제어장치
41: 단자대 42: 전류 감지부
43: 절환부 44: 릴레이 차단부
45: 휴즈 차단부 46: 출력부
46: 디스플레이부 47: 제어부
50: 스피커 51: 회로선
511: 제1회로분기선 512: 제2회로분기선
61: 공통선

Claims (5)

  1. 스피커로 인가되는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 감지부;
    상기 전류 감지부와 연결되어 상용전원이 공급되는지 여부에 따라 절환되는 절환부;
    상기 절환부에서 상기 스피커로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하는 릴레이 차단부;
    상기 절환부에서 인가되는 전류가 설정값 이상이면, 자동으로 절체되어 상기 스피커로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하는 휴즈 차단부; 및
    상기 전류 감지부에서 감지된 전류가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릴레이 차단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상용전원이 차단된 후, 재공급되면, 상기 절환부는 상기 릴레이 차단부로 절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 감지부에서 감지된 전류에 따라 상기 릴레이 차단부를 제어하여 상기 스피커로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고,
    상기 전류 감지부에서 감지된 전류 및 전류 차단 여부를 화재 탐지기로 전송하며,
    상기 절환부는 출력단자 중 어느 하나는 제1회로분기선을 통해 상기 릴레이 차단부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제2회로분기선을 통해 휴즈 차단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상용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릴레이 차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상용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상기 휴즈 차단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방송설비의 출력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 감지부에서 감지된 전류가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릴레이 차단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방송설비의 출력 제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감지부에서 감지된 전류 및 전류 차단 여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방송설비의 출력 제어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110135930A 2011-12-15 2011-12-15 비상방송설비의 출력 제어장치 KR101362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5930A KR101362114B1 (ko) 2011-12-15 2011-12-15 비상방송설비의 출력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5930A KR101362114B1 (ko) 2011-12-15 2011-12-15 비상방송설비의 출력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8635A KR20130068635A (ko) 2013-06-26
KR101362114B1 true KR101362114B1 (ko) 2014-02-14

Family

ID=48864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5930A KR101362114B1 (ko) 2011-12-15 2011-12-15 비상방송설비의 출력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21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0467B1 (ko) * 2018-11-30 2020-02-20 제이디미디어 주식회사 개선된 스피커 선로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는 비상방송 시스템 및 스피커 선로 모니터링 방법
KR102145161B1 (ko) * 2019-05-16 2020-08-18 장인순 비상방송용 방송회선 중계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8551A (ja) * 1998-05-15 1999-11-30 Hochiki Corp 音声警報装置及びこの音声警報装置を用いた共同住宅用火災報知システム
JP2000020844A (ja) * 1998-07-02 2000-01-21 Hochiki Corp 音声警報装置、住棟用受信機及び共同住宅用火災報知システム
KR200374942Y1 (ko) * 2004-11-05 2005-02-04 동화음향산업주식회사 방송시스템의 앰프 및 스피커 보호회로
KR100944689B1 (ko) * 2009-08-31 2010-02-26 주식회사 로보티어 멀티채널 스피커 컨트롤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8551A (ja) * 1998-05-15 1999-11-30 Hochiki Corp 音声警報装置及びこの音声警報装置を用いた共同住宅用火災報知システム
JP2000020844A (ja) * 1998-07-02 2000-01-21 Hochiki Corp 音声警報装置、住棟用受信機及び共同住宅用火災報知システム
KR200374942Y1 (ko) * 2004-11-05 2005-02-04 동화음향산업주식회사 방송시스템의 앰프 및 스피커 보호회로
KR100944689B1 (ko) * 2009-08-31 2010-02-26 주식회사 로보티어 멀티채널 스피커 컨트롤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8635A (ko) 2013-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9782B1 (ko) 과전류 차단기가 구비된 전관방송 시스템
KR101948753B1 (ko) 스피커 선로 단락시 앰프 보호회로
KR101841727B1 (ko) 소방중계기방송장치 선로의 단락검사에 따른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
KR101772819B1 (ko) 중앙집중 및 분산방식을 갖는 전관방송장비용 장애감지 및 차단 제어장치
KR101362114B1 (ko) 비상방송설비의 출력 제어장치
KR102073931B1 (ko) 스피커 선로의 장애 처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방송 시스템
KR101439471B1 (ko) 긴급 상황 방송 중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송 영역 제어 방법
JP2016220381A (ja) 感震遮断システム
KR20140056537A (ko) 리셋 기능을 체크하는 전자제어장치 및 방법
KR20200129975A (ko) 선로 단락 단선 보호기능 통합관리 iot 전관방송시스템
KR102078661B1 (ko) 앰프 보호 기능을 구비한 스피커 분배 장치
JP6033397B2 (ja) 拡声システム及び拡声システムの監視装置
KR20120134557A (ko) 기중차단기의 소손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90122444A (ko) 누전 차단 시스템
KR20170136816A (ko) 중앙 집중식 전원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090041505A (ko) 방송 계통 감시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그 제어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2164493B1 (ko) 폴리스위치 내장형 스피커 장치
JP4290899B2 (ja) 構内放送装置
US9653918B2 (en) Autonomous thermal event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for a network vault
JPH10241086A (ja) 防災用監視システムにおける短絡検出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防災用監視方法、防災用監視システム
JP2020150467A (ja) 情報端末、インターホン玄関子機および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2020150431A (ja) 情報端末、インターホン玄関子機および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20190000154A (ko) 외부 신호 수신시 조명 제어 시스템
KR102253862B1 (ko) 디지털 회로부를 아날로그 회로부에 연동하여 제어하는 디지털 전관방송 장치
KR102479474B1 (ko) 불꽃 감지기의 복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