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1002B1 - 간접 가열식 voc 반응기 - Google Patents

간접 가열식 voc 반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1002B1
KR101361002B1 KR1020120053458A KR20120053458A KR101361002B1 KR 101361002 B1 KR101361002 B1 KR 101361002B1 KR 1020120053458 A KR1020120053458 A KR 1020120053458A KR 20120053458 A KR20120053458 A KR 20120053458A KR 101361002 B1 KR101361002 B1 KR 101361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voc
heating gas
reactor
reacto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3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9526A (ko
Inventor
김효식
김진호
변용수
정석우
이선기
Original Assignee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filed Critical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Priority to KR1020120053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1002B1/ko
Publication of KR20130129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9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1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1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3After-treatment of removed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70Organic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D2257/00 - B01D2257/602
    • B01D2257/708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Separation Of Gases By Ad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외측으로 상호 연통되는 튜브 외측에 형성된 흡착 유닛에 반응기 본체로부터 유입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이하 VOC)이 포함된 가스의 VOC를 흡착되고, 반응기 본체 내부에 형성된 탈착 유닛이 형성하는 지그재그 형상의 가열가스 유로를 통하여 공급되는 가열가스가 튜브의 형성 방향을 따라 균일하게 열을 전달하면서 VOC를 탈착시키되, 튜브의 외주면은 가열가스로부터 격리됨으로써 직접 가열로 인한 발화 및 폭발 등의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면서도 고순도이며 고농도의 VOC 재활용 연료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간접 가열식 VOC 반응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간접 가열식 VOC 반응기{INDIRECT HEATING TYPE VOLATILE ORGANIC COMPOUNDS REACTOR}
본 발명은 간접 가열식 VOC 반응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직접 가열로 인한 발화 및 폭발 등의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면서도 고순도이며 고농도의 VOC 재활용 연료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간접 가열식 VOC 반응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휘발성 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이하, VOC) 은 석유정제시설, 석유화학 제조시설, 저유소, 주유소, 도료제조시설, 세탁소, 인쇄 및 출판시설, 도로포장시설, 도장시설 등과 같이 각종 유기용제를 사용하는 시설에서 발생하는 매우 유해한 물질이다.
이러한 VOC는 대기중에서 태양광선에 의해 질소 산화물과 광화학적 산화반응을 일으켜 지표면 상의 오존 농도를 증가시켜 스모그 현상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인체에도 중추신경계를 마비시키고, 말초신경계를 마비시키는 등의 각종 유해한 영향을 끼친다.
이러한 VOC를 제거하기 위하여 입상 활성탄 등과 같은 흡착제를 이용한 흡착방식을 주로 사용한다.
이러한 입상 활성탄은 다수의 미세공과 넓은 표면적을 가지며, 각종 유기용제에 의해 발생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가스는 이러한 입상 활성탄의 미세공으로 반데르발스힘에 의해 유입되며, 이 부위에서 포화 증기압 이상의 고농도가 유지되어 응축된 상태로 흡착된다.
이러한 입상 활성탄의 흡착 작용에 의해 휘발성 유기화합물 가스는 활성탄의 미세공에 흡착되어, 외부로 휘발성 유기화합물 성분이 제거된 가스가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이러한 입상 활성탄으로 이루어진 흡착제는 VOC가 계속 흡착되어 포화상태가 되면 흡착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다양한 종류의 흡착 및 탈착 반응기는 흡착제를 적층 또는 충진하여 위에서 밑으로 또는 밑에서 위로 유로를 형성한 것이 대부분인 바, 반응기의 차압으로 인한 압력 손실이 크며, 이로 인하여 송풍에 필요한 동력이 추가로 요구되므로, VOC의 처리 용량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가열증기에 의한 직접 가열 방식에 의하여 흡착된 VOC를 탈착하는 방식의 반응기는 탈착된 VOC가 가열증기와 혼합되버리는 현상으로 인하여 탈착되어 포집된 VOC를 직접적으로 재활용하는 것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일본공개특허 특개소52-148484호 일본공개특허 특개평4-200715호 국제특허출원 공개 WO200600019131호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92415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직접 가열로 인한 발화 및 폭발 등의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면서도 고순도이며 고농도의 VOC 재활용 연료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간접 가열식 VOC 반응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측에 휘발성 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이하 VOC)이 포함된 가스가 유입되는 가스 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VOC가 제거된 가스가 배출되는 가스 출구를 형성한 반응기 본체; 상기 가스 입구 및 상기 가스 출구 사이의 상기 반응기 본체에 복수로 평행하게 내장되고, 일단부가 개방되고 타단부가 밀폐되어 외주면을 따라 내외로 유체가 연통 가능한 튜브; 상기 튜브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튜브의 내부와 상호 연통되고, 상기 가스 입구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VOC가 포함된 가스 중 상기 VOC를 흡착하는 흡착 유닛; 및 상기 가스 입구와 상기 가스 출구와 직교 방향으로 상기 반응기 본체에 형성된 가열가스 입구와 가열가스 출구 사이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고, 상기 가열가스 입구로부터 공급된 가열가스가 상기 가열가스 출구측까지 지그재그로 이동하는 가열가스 유로를 형성하여 상기 흡착 유닛에 흡착된 상기 VOC를 탈착시키는 탈착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튜브의 외주면은 상기 가열가스로부터 격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가열식 VOC 반응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튜브는, 상기 반응기 본체의 내부에 고정되며 양단 관통인 유입관부와, 상기 유입관부로부터 연장되며 단부는 밀폐되고 외주면을 따라 내부와 상호 연통되는 메시(mesh)를 형성한 내측 망관부를 포함하며, 상기 흡착 유닛은 상기 내측 망관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튜브는, 상기 유입관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반응기 본체의 내부에 고정되는 플랜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흡착 유닛은, 상기 튜브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섬유상 활성탄(Activated Carbon Fiber, 이하 ACF) 펠트와, 상기 ACF 펠트의 외면에 접촉하고 메시(mesh)를 형성한 금속재의 외측 망사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ACF 펠트 및 상기 외측 망사 필름은 상기 튜브의 외주면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상기 튜브에 복수회 권취된 층상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흡착 유닛은, 상기 튜브의 외주면에 권취된 최외측의 상기 외측 망사 필름의 외주면을 감싸며, 메시(mesh)를 형성한 외측 망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탈착 유닛은, 상기 튜브가 배치된 방향을 따라 상기 반응기 본체의 내측에 상기 튜브와 직교되게 상하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격판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격판 중 하나는 일측 가장자리가 상기 반응기 본체의 내측면과 이격되고, 인접한 격판은 타측 가장자리가 상기 반응기 본체의 내측면과 이격되어 상기 가열가스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가열가스 입구 및 상기 가열가스 출구는 상기 가열가스 유로의 시점과 종점에 각각 상호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본 발명은 반응기 본체 내부에 복수로 배치되어 외주면에 흡착 유닛이 형성된 튜브의 외주면이 반응기 본체의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가열가스로부터 격리되어지되, 공급되는 가열가스는 지그재그 형상의 가열가스 유로에 의하여 튜브의 외주면 및 흡착 유닛에 균일하게 열을 전달하여 흡착된 VOC를 탈착시키는 구조로부터 직접 가열로 인한 발화 및 폭발 등의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고순도이면서도 고농도의 VOC 재활용 연료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열가스 유로의 시점과 종점에 걸쳐 압력손실이 거의 없으므로, 원활한 열전달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반응기 내부의 차압 손실 보상을 위한 송풍기 또는 팬 등의 불필요한 동력 소모를 극소화 내지는 생략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대폭 증대시킨 다는 측면에서 매우 우수한 특장점을 지닌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접 가열식 VOC 반응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단면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접 가열식 VOC 반응기의 주요부인 튜브 및 흡착 유닛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접 가열식 VOC 반응기의 주요부인 튜브에 흡착 유닛을 장착하여 반응기 본체에 내장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접 가열식 VOC 반응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단면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내외측으로 상호 연통되는 튜브(200) 외측에 형성된 흡착 유닛(300)에 반응기 본체(100)로부터 유입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이하 VOC)이 포함된 가스의 VOC를 흡착되고, 반응기 본체(100) 내부에 형성된 탈착 유닛(400)이 형성하는 지그재그 형상의 가열가스 유로(401)를 통하여 공급되는 가열가스가 튜브(200)의 형성 방향을 따라 균일하게 열을 전달하면서 VOC를 탈착시키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반응기 본체(100)는 일측에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포함된 가스가 유입되는 가스 입구(101)가 형성되고, 타측에 VOC가 제거된 가스가 배출되는 가스 출구(102)를 형성한 것으로, 튜브(200)와 흡착 유닛(300) 및 탈착 유닛(400)이 배치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것이다.
튜브(200)는 가스 입구(101) 및 가스 출구(102) 사이의 반응기 본체(100)에 복수로 평행하게 내장되고, 일단부가 개방되고 타단부가 밀폐되어 외주면을 따라 내외로 유체가 연통 가능한 구조로 된 것이다.
흡착 유닛(300)은 튜브(20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튜브(200)의 내부와 상호 연통되고, 가스 입구(101)로부터 공급되는 VOC가 포함된 가스 중 VOC를 흡착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탈착 유닛(400)은 가스 입구(101)와 가스 출구(102)와 직교 방향으로 반응기 본체(100)에 형성된 가열가스 입구(103)와 가열가스 출구(104) 사이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고, 가열가스 입구(103)로부터 공급된 가열가스가 가열가스 출구(104)측까지 지그재그로 이동하는 가열가스 유로(401)를 형성하여 흡착 유닛(300)에 흡착된 VOC를 탈착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여기서, 튜브(200)의 외주면은 가열가스로부터 격리됨으로써 가열가스에 의한 간접적인 가열, 즉 튜브(200)의 형성 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가열가스의 열이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흡착된 VOC의 탈착 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반응기 본체(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튜브(200)와 흡착 유닛(300) 및 탈착 유닛(400)이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내부에 제1, 2 본체 격벽(110, 120)과 함께 튜브(200)가 내장되는 가이드 파이프(130)를 더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제1 본체 격벽(110)은 가스 입구(101)와 대면되게 내부에 장착되어 반응기 본체(100)의 내부를 구획하는 것으로, 가스 입구(101)와 제1 본체 격벽(110) 사이에 구획된 공간은 제1 공간(S1)이 된다.
제2 본체 격벽(120)은 가스 출구(102)와 대면되게 내부에 장착되어 반응기 본체(100)의 내부를 구획하는 것으로, 가스 출구(102)와 제2 본체 격벽(120) 사이에 구획된 공간은 제2 공간(S2)이 된다.
가이드 파이프(130)는 제1, 2 본체 격벽(110, 120) 사이에 구획된 제3 공간(S3)에 복수로 배치되며, 외주면은 탈착 유닛(400)에 의하여 형성된 가열가스 유로(401)를 따라 이동하는 가열가스와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가열가스에 의한 간접 가열을 유도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이라 할 수 있다.
여기서, 튜브(200)는 가이드 파이프(130)에 내장되고, 튜브(200)의 일단부는 제1 본체 격벽(110)에 고정되어 가스 입구(101)와 제1 본체 격벽(110) 사이에 구획된 제1 공간(S1)과 상호 연통되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제1 본체 격벽(110)에는 튜브(200)의 외경에 대응하는 직경의 제1 연통홀(111)이 형성된다.
또한, 제2 본체 격벽(120)에는 가이드 파이프(130)의 내경에 대응하는 직경의 제2 연통홀(122)이 형성되며, 가이드 파이프(130)는 제2 본체 격벽(120)과 가스 출구(102) 사이에 구획된 제2 공간(S2)과 상호 연통되는 것이다.
한편, 튜브(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반응기 본체(100) 내부에 고정되어 흡착 유닛(300)이 형성되는 면적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도 2를 참고하면, 유입관부(210)와 내측 망관부(220)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유입관부(210)는 반응기 본체(100)의 내부에 고정되며 양단 관통인 부재이며, 제1 본체 격벽(110)의 제1 연통홀(111)에 외주면이 고정된다.
내측 망관부(220)는 유입관부(210)로부터 연장되며 단부는 밀폐되고 외주면을 따라 내부와 상호 연통되는 메시(mesh)를 형성한 부재로, 메시 구조는 VOC가 흡착된 후 VOC가 제거된 나머지 가스가 가스 출구(102)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흡착 유닛(300)은 구체적으로는 내측 망관부(22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임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튜브(200)는 제1 본체 격벽(11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면적을 확보하기 위하여 유입관부(210)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되어 반응기 본체(100)의 내부에 고정되는 플랜지(230)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흡착 유닛(3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VOC가 포함된 가스로부터 VOC를 흡착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섬유상 활성탄(Activated Carbon Fiber, 이하 ACF) 펠트(310)와 외측 망사 필름(320)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ACF 펠트(310)는 튜브(200)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것으로, 섬유상 활성탄, 즉 활성탄 섬유를 기반으로 하는 흡착제의 일종으로, 펠트(felt) 타입으로 제단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온에서는 VOC를 흡착하되, VOC의 탈착시에는 가열가스에 의한 간접열로써 VOC를 탈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활성탄 섬유는 천연섬유 또는 인조유기물, 화학섬유를 원료로 소성, 부활시켜 만든 섬유상의 활성탄으로, 주요 성분은 탄소로 흑연 결정체의 누적된 형태이며 탄소 외에 미량의 수소 등이 포함된 것이다.
표면적은 1000~1600㎡/G으로 매우 크며 공경(孔徑)은 10~40Å으로 균등한 세공(細孔) 구조이며, 흡착 속도가 매우 빨라서, 대략 입상 활성탄의 10~100배로 알려져 있다.
여러 분야에서 분리나 정제에 사용되고 있는 분말이나 입상활성탄(30 내지 35%)에 비해 단위 중량당 흡착율(45 내지 50%)도 높으며, 냉각속도가 매우 빠르다.
이러한 활성탄 섬유는 표면 이중 처리로 재생시 탄분비산으로 인한 마모율이 없고, 재생시 100~120℃의 온도의 스팀이나 온풍으로 간단히 재생이 가능하다.
따라서, 활성탄 섬유는 400℃ 이상의 고압증기에 의해서만 재생이 가능한 입상활성탄에 비해, 그 재생 시스템의 설치비 및 유지비가 보다 저렴해지는 특징이 있다.
외측 망사 필름(320)은 ACF 펠트(310)의 외면에 접촉하고 메시(mesh)를 형성한 금속재의 것으로, 열전달 성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는 도 3과 같이 내측 망관부(220)의 외주면으로부터 ACF 펠트(310) 및 외측 망사 필름(320)을 순차적으로 적층시켜 이를 도 4와 같이 복수회 권취하여 복수개의 레이어(layer)를 형성하여 층상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외측 망사 필름(320)은 내측 망관부(220)의 외주면으로부터 순차 적층된 ACF 펠트(310) 사이에 복수의 층을 형성함으로써 열전달 성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흡착 유닛(300)은 도 2 및 5와 같이 권취되어 내측 망관부(220)의 외주면으로부터 복수의 층상 구조를 형성한 것을 외측에서 고정하고 열전달 성능 또한 유지할 수 있도록 튜브(200)의 외주면에 권취된 최외측의 외측 망사 필름(320)의 외주면을 감싸며, 메시(mesh)를 형성한 외측 망관부(33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외측 망관부(330)로 고정된 흡착 유닛(300)을 외주면에 형성한 튜브(200) 복수개는 도 6과 같이 반응기 본체 반제품(100')을 통하여 내부에 복수로 배치된 가이드 파이프(130)에 수용됨으로써 가열가스로부터 직접 가열되지 않고 간접 가열될 수 있는 구조적 특징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탈착 유닛(4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지그재그 형상의 가열가스 유로(401)를 형성하는 것으로, 튜브(200)가 배치된 방향을 따라 반응기 본체(100)의 내측에 튜브(200)와 직교되게 상하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격판(410)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격판(410) 각각은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가이드 파이프(130)가 배치된 방향을 따라 반응기 본체(100)의 내측에 가이드 파이프(130)와 직교되게 상하 이격 배치되는 것이다.
여기서, 복수의 격판(410) 중 하나는 일측 가장자리가 반응기 본체(100)의 내측면과 이격되고, 인접한 격판(410)은 타측 가장자리가 반응기 본체(100)의 내측면과 이격됨으로써 가열가스 유로(401)를 형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가열가스 입구(103) 및 가열가스 출구(104)는 가열가스 유로(401)의 시점과 종점에 각각 상호 연통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직접 가열로 인한 발화 및 폭발 등의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면서도 고순도이며 고농도의 VOC 재활용 연료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간접 가열식 VOC 반응기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일 것이다.
100...반응기 본체 200...튜브
300...흡착 유닛 400...탈착 유닛

Claims (6)

  1. 일측에 휘발성 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이하 VOC)이 포함된 가스가 유입되는 가스 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VOC가 제거된 가스가 배출되는 가스 출구를 형성한 반응기 본체;
    상기 가스 입구 및 상기 가스 출구 사이의 상기 반응기 본체에 복수로 평행하게 내장되고, 일단부가 개방되고 타단부가 밀폐되어 외주면을 따라 내외로 유체가 연통 가능한 튜브;
    상기 튜브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튜브의 내부와 상호 연통되고, 상기 가스 입구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VOC가 포함된 가스 중 상기 VOC를 흡착하는 흡착 유닛;
    상기 가스 입구와 상기 가스 출구와 직교 방향으로 상기 반응기 본체에 형성된 가열가스 입구와 가열가스 출구 사이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고, 상기 가열가스 입구로부터 공급된 가열가스가 상기 가열가스 출구측까지 지그재그로 이동하는 가열가스 유로를 형성하여 상기 흡착 유닛에 흡착된 상기 VOC를 탈착시키는 탈착 유닛; 및
    상기 튜브를 각각 내장하며, 외주면은 상기 가열가스 유로를 따라 이동하는 상기 가열가스와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가열가스에 의한 간접 가열을 유도하는 복수의 가이드 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튜브의 외주면은 상기 가이드 파이프에 의하여 상기 가열가스로부터 격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가열식 VOC 반응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상기 반응기 본체의 내부에 고정되며 양단 관통인 유입관부와,
    상기 유입관부로부터 연장되며 단부는 밀폐되고 외주면을 따라 내부와 상호 연통되는 메시(mesh)를 형성한 내측 망관부를 포함하며,
    상기 흡착 유닛은 상기 내측 망관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가열식 VOC 반응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상기 유입관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반응기 본체의 내부에 고정되는 플랜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가열식 VOC 반응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착 유닛은,
    상기 튜브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섬유상 활성탄(Activated Carbon Fiber, 이하 ACF) 펠트와,
    상기 ACF 펠트의 외면에 접촉하고 메시(mesh)를 형성한 금속재의 외측 망사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ACF 펠트 및 상기 외측 망사 필름은 상기 튜브의 외주면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상기 튜브에 복수회 권취된 층상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가열식 VOC 반응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흡착 유닛은,
    상기 튜브의 외주면에 권취된 최외측의 상기 외측 망사 필름의 외주면을 감싸며, 메시(mesh)를 형성한 외측 망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가열식 VOC 반응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탈착 유닛은,
    상기 튜브가 배치된 방향을 따라 상기 반응기 본체의 내측에 상기 튜브와 직교되게 상하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격판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격판 중 하나는 일측 가장자리가 상기 반응기 본체의 내측면과 이격되고, 인접한 격판은 타측 가장자리가 상기 반응기 본체의 내측면과 이격되어 상기 가열가스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가열가스 입구 및 상기 가열가스 출구는 상기 가열가스 유로의 시점과 종점에 각각 상호 연통되며,
    상기 가이드 파이프는 상기 튜브를 내장하고, 상기 격판 각각은 상기 가이드 파이프가 배치된 방향을 따라 상기 반응기 본체의 내측에 상기 가이드 파이프와 직교되게 상하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가열식 VOC 반응기.
KR1020120053458A 2012-05-21 2012-05-21 간접 가열식 voc 반응기 KR101361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458A KR101361002B1 (ko) 2012-05-21 2012-05-21 간접 가열식 voc 반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458A KR101361002B1 (ko) 2012-05-21 2012-05-21 간접 가열식 voc 반응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9526A KR20130129526A (ko) 2013-11-29
KR101361002B1 true KR101361002B1 (ko) 2014-02-12

Family

ID=49856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3458A KR101361002B1 (ko) 2012-05-21 2012-05-21 간접 가열식 voc 반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10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2725B1 (ko) * 2013-12-11 2016-01-06 고신대학교 산학협력단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이동식 흡탈착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657746B1 (ko) * 2013-12-11 2016-09-20 고신대학교 산학협력단 조선소를 포함하는 대형 도장시설에서 발생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처리 시스템 및 처리 방법
KR101480654B1 (ko) * 2013-12-24 2015-01-1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관형 이산화탄소 포집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1587A (ja) * 2006-10-30 2008-05-15 Denso Corp 吸着モジュールおよび吸着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KR100936420B1 (ko) * 2002-02-27 2010-01-12 바스프 에스이 포스겐을 제조하기 위한 반응기 및 방법
WO2011007166A2 (en) * 2009-07-13 2011-01-20 University Of Warwick Heat exchange apparatus and method of fabrication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420B1 (ko) * 2002-02-27 2010-01-12 바스프 에스이 포스겐을 제조하기 위한 반응기 및 방법
JP2008111587A (ja) * 2006-10-30 2008-05-15 Denso Corp 吸着モジュールおよび吸着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WO2011007166A2 (en) * 2009-07-13 2011-01-20 University Of Warwick Heat exchange apparatus and method of fabrication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9526A (ko) 2013-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73059B2 (en) Rapid temperature swing adsorption contactors for gas separation
KR101303189B1 (ko) 가스 스트림으로부터의 co2 제거를 위한 신규한 고체 재료 및 방법
US5338450A (en) Spiral-wound adsorber module
CN107106965B (zh) 空气清洁系统
CN106178821B (zh) 二氧化碳吸附与回收系统及方法
KR101323108B1 (ko) 수평방향으로의 마이크로웨이브 조사에 의한 허니컴 로터식 VOCs가스 제거 시스템
KR101361002B1 (ko) 간접 가열식 voc 반응기
CN107500307A (zh) 一种沸石分子筛的制备方法及其应用
KR20190075127A (ko) 평행 통로 콘택터 및 흡착 기체 분리 방법
US11707707B2 (en) CO2 capture from dilute sources
KR102090873B1 (ko) 흡착제를 이용하여 폐가스에 포함된 질소산화물을 제거하는 장치
US10449479B2 (en) Increasing scales, capacities, and/or efficiencies in swing adsorption processes with hydrocarbon gas feeds
CN103796731A (zh) 气体吸附分离装置
JP2007268439A (ja) スパイラル熱交換器一体型吸着装置
CN216259688U (zh) 一种大宗气体供应的氧气纯化装置
JP4911139B2 (ja) 揮発性有機化合物の除去・回収方法
JP4512993B2 (ja) 水処理装置
Dong et al. Fabrication of nickel oxide functionalized zeolite USY composite as a promising adsorbent for CO2 capture
JP4973817B2 (ja) 揮発性有機化合物の除去・回収方法
JP2008207138A (ja) 炭化水素の除去・回収装置
JP2010063989A (ja) 揮発性有機化合物の除去・回収方法
TWM575358U (zh) 揮發性有機化合物的吸附分解裝置
CN215742746U (zh) 一种voc吸附和原位分解装置
KR200266453Y1 (ko) 휘발성 유기화합물가스 처리용 흡착탑
CN207254061U (zh) 一种等离子体废气治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