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0736B1 - 이동통신망 및 방송통신중계장치를 이용한 방송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망 및 방송통신중계장치를 이용한 방송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0736B1
KR101360736B1 KR1020120023905A KR20120023905A KR101360736B1 KR 101360736 B1 KR101360736 B1 KR 101360736B1 KR 1020120023905 A KR1020120023905 A KR 1020120023905A KR 20120023905 A KR20120023905 A KR 20120023905A KR 101360736 B1 KR101360736 B1 KR 101360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relay device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3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2791A (ko
Inventor
염영
송영호
정세훈
홍명춘
남호수
김성훈
이대천
Original Assignee
케이티파워텔 주식회사
주식회사 시모디바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티파워텔 주식회사, 주식회사 시모디바이스 filed Critical 케이티파워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3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0736B1/ko
Publication of KR20130102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2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0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0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02Arrangements for relaying broadcas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7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 H04H60/81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 H04H60/90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40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 및 방송통신중계장치를 이용한 방송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방송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방송데이터를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수신하기 위한 통신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방송통신중계장치와; 상기 방송통신중계장치와 접속되어 있고 상기 방송통신중계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방송데이터를 수신하는 방송장비와; 상기 방송장비로부터 방송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시키기 위한 방송출력장치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 및 방송통신중계장치를 이용한 방송시스템 및 그 방법이 제시된다.

Description

이동통신망 및 방송통신중계장치를 이용한 방송시스템 및 그 방법{broadcasting system using mobile network and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s relay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 및 방송중계장치를 이용한 방송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아파트 관리실, 학교 및 공공장소 등의 방송시설에 있어서, 방송관리자가 방송실이 아닌 외부에서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동통신망 및 방송중계장치를 이용한 방송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 관리실, 학교, 회사 및 공공장소에서는 일반적으로 사내 방송실을 두고 알림 방송 등을 수행하고 있다. 상기 사내 방송은 방송 관계자가 상기 방송실에 구비되어 있는 방송장비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송을 수행하고 있다. 특히, 아파트 관리실과 같은 경우는 방송장비와 인터폰을 구비하여 각 세대에 방송을 내보내고, 특정 세대와 인터폰을 통하여 통신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방송을 송출하기 위해서는 방송실에 관계자가 항상 있어야 하면, 관리실에는 각 세대와 인터폰을 통한 통신을 하기 위해 관계자가 상주하여야 한다.
그러나, 상기 방송실 또는 관리실의 관계자가 급한 볼 일 등으로 부재 중일 때에는 상기 방송 및 인터폰을 통한 통신이 불가능하다. 그 경우가 방범 또는 재난과 관련이 있는 경우 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발명으로, 특허번호 제10-0598598호(등록일 2006년7월3일)의 “피티티휴대단말기를 이용한 그룹 동보 방송시스템 및 그 방법”이 특허등록되어 있다.
상기 특허발명은, 안테나를 통해 다수의 기지국 섹터로 무전 및 그룹통신을 연결해주는 주파수공용통신(TRS)교환기를 갖는 PTT지원통신망; 상기 PTT지원통신망을 통해 PTT(Push to Talk)서비스를 제공 받도록 PTT기능을 지원하는 PTT휴대단말기; 상기 PTT휴대단말기의 통신포트와 연결되고 통화방송을 위해 소정 사용자 그룹의 방송장치와 연결되며 컴퓨터 상에서 사용 제어하여 선택적 그룹방송 및 DB관리하기 위한 PTT제어방송서버; 및 상기 PTT제어방송서버와 함께 상기 PTT휴대단말기 및 그 통신포트와 연결되는 확장앰프를 내장하여 상기 PTT휴대단말기를 통해 수신받은 무전신호를 외부 스피커를 통해 설치된 지역 소정 범위의 고정적 그룹방송을 위한 PTT제어방송모듈로 구성된 발명이다.
그러나, 상기 특허발명은 PTT휴대단말기 및 PPT지원통신망으로 방송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 고정식 PTT제어방송서버가 구비되어야 하고, 또한, PPT휴대단말기와 확장앰프를 구비한 방송출력장치가 필요하다. 방송출력장치마다 PTT휴대단말기를 내장시켜야 하고, 별도의 PTT제어방송서버를 이용하여야 하므로 이러한 방송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시스템 구축 또한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관내의 방송시설 및 인터폰 관리시설에서 관계자가 방송실 및 관리실에 부재중인 경우에도 외부에서 긴급한 방송 수행 및 인터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망 및 방송통신중계장치를 이용한 방송시스템 및 그 방법에 있어서, 별도의 방송서버와 각각 통산단말기를 구비하는 방송출력장치를 구축하지 않고, 이동통신단말기와 통신접속을 할 수 있는 방송통신중계장치 1대만을 기존의 방송시스템에 추가하여 기존 방송시스템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효과 좋은 방송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발명이 요망된다.
특허번호 제10-0598598호(등록일 2006년7월3일)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관내의 방송시설 및 인터폰 관리시설에서 관계자가 방송실 및 관리실에 부재중인 경우에도 외부에서 긴급한 방송 수행 및 인터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망 및 방송통신중계장치를 이용한 방송시스템 및 그 방법에 있어서, 별도의 방송서버와 통신단말기를 각각 구비하는 방송출력장치를 구축하지 않고, 이동통신단말기와 통신접속을 할 수 있는 방송통신중계장치 1대만을 기존의 방송시스템에 추가하여 기존 방송시스템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효과 좋은 방송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1 관점으로, 원격에서 무선 방송 또는 무선 1:1 통신을 하기 위한 음성 송수신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송신된 통신요청을 수신하여 호 연결 처리를 위한 이동통신기지국과; 상기 이동통신기지국으로부터 호 연결 요청을 수신하여 호 연결 대상 전화번호의 현재 상태를 조회하여 상기 전화번호로 호 연결을 시도하기 위한 이동통신교환기와; 상기 이동통신교환기로부터 호 연결 신호를 수신하여 호 연결 요청 이동통신단말기의 인증을 처리하고 호 연결에 응답하여 무선 방송 또는 무선 1:1 통신을 중계하기 위한 방송통신중계장치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음성신호를 상기 방송통신중계장치로부터 수신하여 방송출력 또는 인터폰 출력신호로 변환하여 대상 출력장치로 송신하기 위한 방송장비와: 상기 방송장비로부터 송신된 출력신호를 수신하여 음성방송출력 또는 인터폰 음성출력을 수행하기 위한 방송출력장치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 및 방송통신중계장치를 이용한 방송시스템이 제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관점으로, 상기 이동통신망 및 방송통신중계장치를 이용한 방송시스템의 상기 방송통신중계장치는 상기 이동통신교환기에서 식별할 수 있는 고유번호를 갖는 이동통신모듈과, 이동통신단말기와 방송장비의 방송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기 위한 통신제어부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송신된 방송데이터를 출력시킬 방송출력장치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의 정보를 기초로 선택하여 제공하기 위한 출력선택부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고유번호정보 및 사용자정보, 상기 방송데이터를 출력시킬 방송출력장치의 고유번호 및 사용자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부와, 상기 호 연결을 요청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인증처리를 위한 인증처리부와, 상기 통신제어부로부터 송신된 방송데이터와 상기 출력선택부에서 송신된 출력 대상 방송출력장치 정보를 수신하여 방송장비로 송신하거나 상기 방송장비로부터 송신된 통신데이터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송신하기 위한 방송통신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 및 방송통신중계장치를 이용한 방송시스템이 제시된다.
제3 관점으로, 고유번호를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이동통신망을 통해 방송통신중계장치의 고유번호로 호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망에서 상기 방송통신중계장치의 호 연결 가능성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망에서 상기 방송통신중계장치의 호 연결이 불가능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통보하고, 호 연결이 가능하면 상기 방송통신중계장치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고유번호로 호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통신중계장치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고유번호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어 있는 고유번호 정보와 대비하여 인증처리를 수행하는 단계와; 인증처리가 완료되면 상기 방송통신중계장치의 통신제어부에서 이동통신모듈을 통해 호 연결 수락정보를 이동통신망으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통신제어부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송신된 방송데이터 및 방송출력장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통신중계장치의 출력선택부에서 상기 통신제어부로부터 송신된 출력 대상 방송출력장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서 해당 방송출력장치의 식별 정보를 조회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통신중계장치의 방송통신인터페이스부에서 상기 통신제어부로부터 방송데이터, 상기 출력선택부로부터 방송출력장치의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방송장비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장비에서 상기 방송데이터 및 방송출력장치의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방송출력장치로 상기 방송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방송출력장치에서 방송데이터를 음성으로 출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 및 방송통신중계장치를 이용한 방송 방법이 제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관점으로, 특정 방송출력장치에서 방송장비로 음성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장비에서 방송통신중계장치로 음성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통신중계장치에서 구비되어 있는 고유번호로 이동통신단말기와의 호 연결을 이동통신망으로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망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호 연결 가능 상태를 조회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호 연결이 가능한 경우 상기 방송통신중계장치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의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통신중계장치에서 상기 음성데이터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상기 음성데이터를 수신하고 응답 음성데이터를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방송통신중계장치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통신중계장치에서 수신된 음성데이터를 상기 방송장비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장비에서 상기 방송출력장치로 음성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출력장치에서 상기 음성데이터를 음성으로 출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 및 방송통신중계장치를 이용한 방송 방법이 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관내의 방송시설 및 인터폰 관리시설에서 관계자가 방송실 및 관리실에 부재중인 경우에도 외부에서 긴급한 방송 수행 및 인터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망 및 방송통신중계장치를 이용한 방송시스템 및 그 방법에 있어서, 별도의 방송서버와 통신단말기를 각각 구비하는 방송출력장치를 구축하지 않고, 이동통신단말기와 통신접속을 할 수 있는 방송통신중계장치 1대만을 기존의 방송시스템에 추가하여 기존 방송시스템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망 및 방송통신중계장치를 이용한 방송시스템에 관한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주요구성인 방송통신중계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망 및 방송통신중계장치를 이용한 방송 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망 및 방송통신중계장치를 이용한 방송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발명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망 및 방송통신중계장치를 이용한 방송시스템에 관한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통신망 및 방송통신중계장치를 이용한 방송시스템은, 원격에서 무선 방송 또는 무선 1:1 통신을 하기 위한 음성 송수신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통신단말기(100)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송신된 통신요청을 수신하여 호 연결 처리를 하기 위한 이동통신기지국(200)과; 상기 이동통신기지국(200)으로부터 호 연결 요청을 수신하여 호 연결 대상 고유번호의 현재 상태를 조회하여 상기 고유번호로 호 연결을 시도하기 위한 이동통신교환기(300)와; 상기 이동통신교환기(300)로부터 호 연결 신호를 수신하여 호 연결 요청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인증을 처리하고 호 연결에 응답하여 무선 방송 또는 무선 1:1 통신을 중계하기 위한 방송통신중계장치(400)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송신되는 음성신호를 상기 방송통신중계장치(400)로부터 수신하여 방송출력 또는 인터폰 출력신호로 변환하여 대상 출력장치로 송신하기 위한 방송장비(500)와: 상기 방송장비(500)로부터 송신된 출력신호를 수신하여 음성방송출력 또는 인터폰 음성출력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방송출력장치(51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는 CDMA(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 이동통신단말기, WCDMA(광대역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 이동통신단말기, CDMA 또는 WCDMA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HSPA(High Speed Packet Access)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의 데이터 통신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TRS(Trunked Radio System) 이동통신단말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기지국(200) 및 상기 이동통신교환기(300)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의 방식에 따라서 해당 이동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방송장비(500)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와 통신 접속을 위한 통신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의 통신방식에 따라서 상기 통신수단은 상기 CDMA 또는 TRS 통신방식 등의 각각에 해당하는 통신수단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송장비(50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송출력장치(510)를 구비하고 있는 아파트, 학교, 기업 또는 공공기관의 관내 통신시스템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방송장비(50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송출력장치(510)로 일방적으로 방송을 송출하는 방송시스템일 수 있고,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송출력장치(510)가 음성 송수신이 가능한 인터폰이고 상기 방송장비(500)는 인터폰 시스템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 중 주요 구성인 방송통신중계장치(400)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송통신중계장치(400)의 구성은, 상기 이동통신교환기(300)에서 식별할 수 있는 고유번호를 갖는 이동통신모듈(410)과, 이동통신단말기(100)와 방송장비(500)의 방송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기 위한 통신제어부(420)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송신된 방송데이터를 출력시킬 방송출력장치(510) 정보를 기초로 상기 방송출력장치의 식별정보를 조회하여 제공하기 위한 출력선택부(430)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의 고유번호정보 및 사용자정보, 상기 방송데이터를 출력시킬 방송출력장치(510)의 고유번호 및 사용자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부(440)와, 상기 호 연결을 요청한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인증처리를 위한 인증처리부(450)와, 상기 통신제어부(420)로부터 송신된 방송데이터와 상기 출력선택부(430)에서 송신된 출력 대상 방송출력장치 정보를 수신하여 방송장비(500)로 송신하거나 상기 방송장비(500)로부터 송신된 통신데이터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로 송신하기 위한 방송통신인터페이스부(4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통신모듈(410)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의 통신 방식에 따른 예를 들면, CDMA 또는 TRS 통신모듈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모듈(410)은 고유번호가 구비되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와 상기 이동통신망(200, 300)을 통하여 상호 통신을 할 수 있다.
상기 통신제어부(420)는 상기 방송통신인터페이스부(460)를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송신된 방송데이터를 상기 방송장비(500)로 내보내고, 또한, 상기 방송출력장치(510)로부터 송신된 인터폰 음성데이터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로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송출력장치(510) 중에서 특정 방송출력장치(510)에만 방송데이터를 출력시키고자 하여 관련정보 송신한 경우, 상기 통신제어부(420)는 상기 출력선택부(430)에 해당 방송출력장치(510)의 정보를 송신한다.
상기 출력선택부(430)는 상기 통신제어부(420)로부터 수신한 방송출력장치(510) 정보를 기초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440)에 저장되어 있는 방송출력장치(510)들의 식별정보를 조회하여 상기 방송통신인터페이스부(460)로 송신한다. 또한, 상기 통신제어부(420)로부터 방송출력장치(510)의 정보가 송신되어 오지 않으면 방송데이터를 전체 방송출력장치(510)로 송출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증처리부(450)는 상기 통신제어부(420)로부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의 고유번호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440)에 저장되어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고유정보를 조회하고 이를 대비하여 동일한 경우 인증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인증정보를 상기 통신제어부(420)로 송신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와 방송통신중계장치(400)의 통신 연결이 수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방송통신인터페이스부(460)는 상기 통신제어부(420)로부터 이동통신단말기(100)에서 송신한 방송데이터와 상기 출력선택부(430)에서 송신한 방송데이터 출력 대상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방송데이터와 상기 방송출력장치의 식별정보를 상기 방송장비(500)로 송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망 및 방송통신중계장치를 이용한 방송방법의 실시예를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통신망 및 방송통신중계장치를 이용한 방송방법은, 고유번호를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이동통신망을 통해 방송통신중계장치의 고유번호로 호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S100)와; 상기 이동통신망에서 상기 방송통신중계장치의 호 연결 가능성을 판단하는 단계(S101)와; 상기 이동통신망에서 상기 방송통신중계장치의 호 연결이 불가능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통보하고, 호 연결이 가능하면 상기 방송통신중계장치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고유번호로 호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S102)와; 상기 방송통신중계장치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고유번호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어 있는 고유번호 정보와 대비하여 인증처리를 수행하는 단계(S103)와; 인증처리가 완료되면 상기 방송통신중계장치의 통신제어부에서 이동통신모듈을 통해 호 연결 수락정보를 이동통신망으로 송신하는 단계(S104)와; 상기 통신제어부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송신된 방송데이터 및 방송출력장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05)와; 상기 방송통신중계장치의 출력선택부에서 상기 통신제어부로부터 송신된 출력 대상 방송출력장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서 해당 방송출력장치의 식별 정보를 조회하는 단계(S106)와; 상기 방송통신중계장치의 방송통신인터페이스부에서 상기 통신제어부로부터 방송데이터 및 상기 출력선택부로부터 방송출력장치의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방송장비로 송신하는 단계(S107)와; 상기 방송장비에서 상기 방송데이터 및 방송출력장치의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방송출력장치로 상기 방송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S108); 및 상기 방송출력장치에서 방송데이터를 음성으로 출력시키는 단계(S109)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방송통신중계장치에서의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인증처리 단계(S103)와 상기 방송데이터 출력 대상 방송출력장치의 식별정보를 상기 조회하고 상기 방송통신인터페이스부로 전송하는 단계(S106)(S107)은 상황에 따라서 생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망 및 방송통신중계장치를 이용한 방송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통신망 및 방송통신중계장치를 이용한 방송방법은, 특정 방송출력장치에서 방송장비로 음성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S200)와; 상기 방송장비에서 방송통신중계장치로 음성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S201)와; 상기 방송통신중계장치에서 구비되어 있는 고유번호로 이동통신단말기와의 호 연결을 이동통신망으로 요청하는 단계(S202)와; 상기 이동통신망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호 연결 가능 상태를 조회하는 단계(S203)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호 연결이 가능한 경우 상기 방송통신중계장치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의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S204)와; 상기 방송통신중계장치에서 상기 음성데이터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S205)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상기 음성데이터를 수신하고 응답 음성데이터를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방송통신중계장치로 송신하는 단계(S206)와; 상기 방송통신중계장치에서 수신된 음성데이터를 상기 방송장비로 송신하는 단계(S207)와; 상기 방송장비에서 상기 방송출력장치로 음성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S208)와; 상기 방송출력장치에서 상기 음성데이터를 음성으로 출력시키는 단계(S209)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이동통신망 및 방송통신중계장치를 이용한 방송 방법에 관한 도 3의 실시예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방송시스템으로 일방적으로 방송데이터를 송출하는 방법에 관한 실시예이다. 또한, 도 4의 실시예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상기 방송출력장치 간의 인터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실시예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실시예 중 일부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인 이동통신망 및 방송통신중개장치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와 방송장비를 연계하여 구현되는 방송시스템 및 그 방법에 해당하는 다양한 실시예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해당하는 것은 당연하다.
100 : 이동통신단말기
200 : 이동통신기지국
300 : 이동통신교환기
400 : 방송통신중계장치
500 : 방송장비
510 : 방송출력장치

Claims (10)

  1.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방송데이터를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수신하여 출력시키기 위한 방송장비 및 상기 방송장비와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방송출력장치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 및 방송통신중계장치를 이용한 방송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망과 통신 접속할 수 있는 통신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방송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방송장비로 상기 방송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방송통신중계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방송통신중계장치는, 상기 이동통신망에서 식별할 수 있는 고유번호를 갖는 이동통신모듈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방송장비의 방송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기 위한 통신제어부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송신된 방송데이터를 출력시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송출력장치의 정보를 기초로 상기 방송출력장치의 식별정보를 조회하여 제공하기 위한 출력선택부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고유번호 정보, 상기 방송데이터를 출력시킬 방송출력장치의 고유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부와, 상기 통신제어부로부터 송신된 방송데이터와 상기 출력선택부에서 송신된 출력 대상 방송출력장치의 정보를 수신하여 방송장비로 송신하거나 상기 방송장비로부터 송신된 통신데이터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송신하기 위한 방송통신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 및 방송통신중계장치를 이용한 방송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및 상기 이동통신망은 CDMA 통신방식, WCDMA 통신방식, CDMA-HSPA 통신방식, WCDMA-HSPA 통신방식, CDMA-LTE 통신방식, WCDMA-LTE 통신방식 및 TRS 통신방식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 및 방송통신중계장치를 이용한 방송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송통신중계장치가 구비하고 있는 통신수단은 CDMA 통신방식, WCDMA 통신방식, CDMA-HSPA 통신방식, WCDMA-HSPA 통신방식, CDMA-LTE 통신방식, WCDMA-LTE 통신방식 및 TRS 통신방식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 및 방송통신중계장치를 이용한 방송시스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송통신중계장치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고유 식별정보를 구비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부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고유 식별정보를 대비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인증 여부를 처리하기 위한 인증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 및 방송통신중계장치를 이용한 방송시스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송출력장치는 상기 방송장비로부터 송신된 방송데이터를 출력시키고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되는 음성데이터를 상기 방송장비로 송신하기 위한 입출력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 및 방송통신중계장치를 이용한 방송시스템.
  8. 고유번호를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이동통신망을 통해 방송통신중계장치의 고유번호로 호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망에서 상기 방송통신중계장치의 호 연결 가능성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망에서 상기 방송통신중계장치의 호 연결이 불가능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통보하고, 호 연결이 가능하면 상기 방송통신중계장치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고유번호로 호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통신중계장치에서 이동통신모듈을 통해 호 연결 수락정보를 이동통신망으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통신중계장치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방송출력장치의 선택 정보가 포함된 방송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통신중계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송출력장치의 선택 정보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방송출력장치의 식별정보를 조회하여 출력할 적어도 하나의 방송출력장치의 정보를 상기 방송데이터와 함께 방송장비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장비에서 상기 방송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출력할 적어도 하나의 방송출력장치의 정보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방송출력장치로 상기 방송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송출력장치에서 방송데이터를 음성으로 출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 및 방송통신중계장치를 이용한 방송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방송통신중계장치에서 상기 호 연결을 요청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인증 여부를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망 및 방송통신중계장치를 이용한 방송방법.
  10. 특정 방송출력장치가 방송장비로 음성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장비가 방송통신중계장치로 음성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통신중계장치가 상기 방송통신중계장치의 고유번호로, 저장되어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고유번호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와의 호 연결을 이동통신망으로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망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호 연결 가능 상태를 조회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호 연결이 가능한 경우 상기 방송통신중계장치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의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통신중계장치에서 상기 음성데이터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상기 음성데이터를 수신하고 응답 음성데이터를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방송통신중계장치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통신중계장치에서 수신된 음성데이터를 상기 방송장비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장비에서 상기 방송출력장치로 음성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출력장치에서 상기 음성데이터를 음성으로 출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 및 방송통신중계장치를 이용한 방송방법.
KR1020120023905A 2012-03-08 2012-03-08 이동통신망 및 방송통신중계장치를 이용한 방송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60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3905A KR101360736B1 (ko) 2012-03-08 2012-03-08 이동통신망 및 방송통신중계장치를 이용한 방송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3905A KR101360736B1 (ko) 2012-03-08 2012-03-08 이동통신망 및 방송통신중계장치를 이용한 방송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2791A KR20130102791A (ko) 2013-09-23
KR101360736B1 true KR101360736B1 (ko) 2014-02-24

Family

ID=49452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3905A KR101360736B1 (ko) 2012-03-08 2012-03-08 이동통신망 및 방송통신중계장치를 이용한 방송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07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77223A1 (ko) * 2022-03-15 2023-09-21 윤광현 지속 이동형 무선 생중계 및 실시간 화상회의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4704A (ko) * 2008-07-04 2010-01-13 권영현 텔레폰 페이징 방송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4704A (ko) * 2008-07-04 2010-01-13 권영현 텔레폰 페이징 방송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77223A1 (ko) * 2022-03-15 2023-09-21 윤광현 지속 이동형 무선 생중계 및 실시간 화상회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2791A (ko) 2013-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242148A1 (en) Multi-mode wireless intercom
GB2532305A (en) Method for Configuring and controlling smart home products
CN104468966A (zh) 一种移动终端来电静音的方法及系统
JP2017512009A5 (ko)
CN105517654A (zh) 楼宇对讲系统的家庭户内系统、楼宇对讲系统和主室内机
WO2010146765A1 (ja) 無線通信装置
KR101360736B1 (ko) 이동통신망 및 방송통신중계장치를 이용한 방송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120213A (ko) 통신 단말의 부가 서비스 설정 방법과 그 통신 단말
KR101415638B1 (ko) 도킹장치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전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1919184B (zh) 监控主机的方法、监控装置及主机
KR20180045443A (ko) 인터넷 프로토콜망을 이용한 유무선 마을방송 시스템
KR100963626B1 (ko) 텔레폰 페이징 방송 시스템 및 방법
CN101389048B (zh) 提供无线通讯装置间传送资料的方法
WO2015136884A1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制御装置および通信方法
KR100999431B1 (ko) 유무선 페이징 시스템 및 그의 운용 방법
US940216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gning a talk group to a radio with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1667657B1 (ko) 모바일 폰과 고객관계관리 프로그램을 이용한 고객통신 서비스 방법
US10484840B2 (en) Method and system for grouping communications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EP2207016B1 (en) Method and system of simultaneously communicating utility data and voice data
JP5637553B2 (ja) 小型基地局およびページングメッセージ送信方法
JP6312235B2 (ja)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JP5951350B2 (ja) 防災用放送システムの親局、防災用放送システム及び防災用放送方法
CN100525344C (zh) 一种查询phs手机状况的方法
JP4950853B2 (ja) 携帯端末の着信通知設定制御方法、携帯端末および移動通信システム
CN105100967A (zh) 基于楼宇对讲的数据传输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