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0195B1 - 결합구조를 갖는 안테나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결합구조를 갖는 안테나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0195B1
KR101360195B1 KR1020060104663A KR20060104663A KR101360195B1 KR 101360195 B1 KR101360195 B1 KR 101360195B1 KR 1020060104663 A KR1020060104663 A KR 1020060104663A KR 20060104663 A KR20060104663 A KR 20060104663A KR 101360195 B1 KR101360195 B1 KR 101360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frame
unit
coupled
connec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4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7463A (ko
Inventor
한동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4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0195B1/ko
Publication of KR20080037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74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0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0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50Feeding or matching arrangements for broad-band or multi-band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합구조를 갖는 안테나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는 단말기 바디를 구성하는 프레임 또는 케이스와; 프레임 또는 케이스에 장착되며, 일 단부에 제 1 안테나와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를 구비하는 메인 PCB와; 프레임 또는 케이스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한 체결유닛과 상기 체결유닛에 결합되는 제 1 안테나 유닛 및 상기 제 1 안테나 유닛에서 연장되어 메인 PCB의 접속단자와 접속되는 접속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메인 PCB가 상기 프레임 또는 케이스에 결합 되도록 장착되는 안테나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본 발명은 메인 PCB가 단말기 바디를 구성하는 어느 일 커버 또는 프레임과 안정되게 결합될 수 있고, 안테나 모듈과 PCB와의 통신선로의 연결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또한, 안테나 모듈에 의한 제약 없이 휴대 단말기의 소형화가 가능하며, 디자인에 대한 제약을 받지 않게 될 수 있다.
안테나 모듈, 접속단자, PCB, 체결유닛, 휴대 단말기

Description

결합구조를 갖는 안테나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ANTENNA MODULE HAVING JOINING STRUCTUR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구조를 갖는 안테나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구조를 갖는 안테나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결합구조를 갖는 안테나 모듈을 "A" 방향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프레임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프레임의 부분 배면도이다.
도 3c는 도 3b에 도시된 프레임을 우측에서 바라본 부분 측면도이다.
도 4a는 프레임에 메인 PCB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배면도이다.
도 4b는 프레임에 메인 PCB가 결합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결합구조를 갖는 안테나 모듈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4b의 선 "I-I"를 따라 절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구조를 갖는 안테나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결합구조를 갖는 안테나 모듈을 "B" 방향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는 전면커버에 서브 PCB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배면도이다.
도 7b는 전면커버에 서브 PCB가 장착된 상태에서 메인 PCB가 장착된 프레임이 서브 PCB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배면도이다.
도 7c는 도 7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프레임에 메인 PCB가 장착된 상태에서 도 6a에 도시된 결합구조를 갖는 안테나 모듈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배면도이다.
도 8은 도 7c의 선 "II-II"를 따라 절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 ... 휴대 단말기 10 ... 전면커버
20 ... 후면커버 30 ... 프레임
31 ... 프레임 바디 32 ... 결합부
32a ... 체결구멍 33 ... 삽입부
34 ... 체결구 35 ... 위치고정부
36 ... 메인 PCB 수용부 40 ... 메인 PCB
41,51,122,132 ... 접속단자 50 ... 서브 PCB
100 ... 안테나 모듈 110 ... 체결유닛
111 ... 체결유닛 바디 112 ... 제 2 결합부
113 ... 제 1 결합부 114 ... 끼움홈
115,155a ... 지지부 116,117 ... 구멍
120 ... 제 1 안테나 유닛 121 ... 제 1 안테나
130 ... 제 2 안테나 유닛 131 ... 제 2 안테나
본 발명은 결합구조를 갖는 안테나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등과 같이 무선 통신과 정보 처리 기능을 결합한 차세대 개인 휴대 기기를 일컫는 통칭이다.
이는 기본적으로 각종 데이터의 입력, 저장, 처리 및 출력 등 기존의 개인용 컴퓨터의 기능을 수행하며, 무선 인터넷 통신, 전화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어, 이동 중에도 각종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미래의 산업사회의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가장 큰 기술적 요인 중의 하나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최근의 정보통신 기술과 메모리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휴대 단말기는 통화 기능 외에 멀티 미디어를 직접 생산하거나 이를 송수신하는 단계에 이르고 있다. 디지털 카메라를 탑재하여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거나 전송 또는 감상하기도 하고, 음악이나 영화 또는 게임과 같은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하기도 하며, 더 나아 가 위성통신이나 지상파를 이용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예를 들어 DMB 등)을 수신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기도 한다.
이와 같은 휴대 단말기는 그 특성상 휴대의 편의를 위하여 소형되는 것이 추세이고, 이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두께가 더 얇고 크기가 더 작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해결과제들 중 가장 어려운 문제는 통신을 위한 안테나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출시되고 있는 다양한 휴대 단말기들은 통신을 위한 안테나 모듈의 제약에 의해 디자인의 제약은 물론이며, 제품의 소형화에 있어서도 많은 제약을 받고 있다. 따라서, 제품의 소형화에 적합하고, 또한 휴대 단말기에 장착되는 구조의 편의성을 갖춘 안테나 모듈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요구를 해결하고자 하는 한편, 본 발명이 의도하는 일 목적은 안테나 모듈을 이용하여 메인 PCB가 단말기 바디를 구성하는 어느 일 커버 또는 프레임과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안테나 모듈과 PCB와의 통신선로의 연결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안테나가 동시에 장착되는 경우 두 안테나 간의 무선감도에 관련된 간섭을 줄이고자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제조를 용이하게 하는 한편, 제조비용의 절감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안테나 모듈에 의한 제약 없이 휴대 단말기의 소형화를 이루는 한편 휴대 단말기의 디자인에 대한 제약을 받지 않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들을 해결하고, 본 발명에 따른 목적들을 이루기 위하여 결합구조를 갖는 안테나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결합구조를 갖는 안테나 모듈은 휴대 단말기의 바디를 구성하는 프레임 또는 케이스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한 체결유닛과; 체결유닛에 결합되는 제 1 안테나 유닛과; 안테나 유닛에서 연장되어 메인 PCB의 접속단자와 접속되는 접속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에 따른 결합구조를 갖는 안테나 모듈은 휴대 단말기의 바디를 구성하는 프레임 또는 케이스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한 체결유닛과; 체결유닛에 결합되며, 메인 PCB의 접속단자와 접속되는 접속단자를 구비하는 제 1 안테나 유닛과; 체결유닛에 결합되며, 서브 PCB의 접속단자와 접속되는 접속단자를 구비하는 제 2 안테나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에 따른 안테나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는 단말기 바디를 구성하는 프레임 또는 케이스와; 프레임 또는 케이스에 장착되며, 일 단부에 제 1 안테나와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를 구비하는 메인 PCB와; 프레임 또는 케이스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한 체결유닛과 체결유닛에 결합되는 제 1 안테나 유닛 및 제 1 안테나 유닛에서 연장되어 메인 PCB의 접속단자와 접속되는 접속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 따른 안테나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는 단말기 바디를 구성하는 프레임 또는 케이스와; 프레임 또는 케이스에 장착되며, 일 단부에 제 1 안테나와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를 구비하는 메인 PCB와; 케이스에 장착되며, 일 단부에 제 2 안테나와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를 구비하는 서브 PCB와; 프레임 또는 케이스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한 체결유닛과 체결유닛에 결합되며, 메인 PCB의 접속단자와 접속되는 접속단자를 구비하는 제 1 안테나 유닛 및 체결유닛에 결합되며, 서브 PCB의 접속단자와 접속되는 접속단자를 구비하는 제 2 안테나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안테나 유닛은 양단부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제 1 결합부를 형성시키고, 프레임 또는 케이스는 단부 위치에 상기 제 1 결합부의 걸림턱과 맞물리는 체결구를 형성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프레임 또는 케이스에는 메인 PCB가 장착된 위치를 안정되게 하기 위하여 위치 고정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체결유닛은 메인 PCB의 일 단부와 프레임의 일 단부가 함께 삽입되어 결합되는 끼움홈을 더 형성시킬 수도 있고, 여기서, 끼움홈은 지지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체결유닛은 메인 PCB의 일 단부와 프레임의 일 단부가 함께 삽입되어 결합되는 끼움홈이 더 형성되게 구성할 수도 있고, 체결유닛 바디의 양단부에 걸림턱이 구비되는 제 1 결합부와 체결구멍이 형성되는 제 2 결합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 2 안테나 유닛의 접속단자는 체결유닛의 일 측면에 구비되는 제 2 안테나의 반대편 위치로 연장되어 돌출되게 배치될 수도 있고, 제 2 안테나 유닛은 일반 통화를 위한 주파수 대역과 다른 주파수 대역의 통신 주파수를 송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 1 안테나 유닛의 접속단자는 상기 끼움홈의 내부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도 있고, 제 1 안테나 유닛은 일반 통화를 위한 주파수 대역의 통신 주파수를 송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입력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서브 PCB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으며, 서브 PCB는 일반 통화를 위한 주파수 대역과 다른 주파수 대역의 통신 주파수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제 2 안테나를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데, 이때, 제 2 안테나는 칩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는 안테나 모듈을 통해 메인 PCB가 휴대 단말기를 구성하는 프레임 또는 케이스와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기초로 하여 설명된다.
도 1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결합구조를 갖는 안테나 모듈이 장착되는 휴대 단말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1)는 단말기 바디를 구성하게 되는 전면커버(10)와 후면커버(20)를 구비하고, 상기 전면커버(10)와 후면커버(20)의 내부에 장착되는 프레임(30)과 메인 PCB(40) 및 서브 PCB(50), 그리고 안테나 모듈(1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도 1의 도시와 같이 소위 바-타입(bar-type)의 구성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1)를 통해 설명되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위블 타입 등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30)은 바-타입의 휴대 단말기(1)의 구조를 강화시키고, 메인 PCB(40)의 장착구조를 안정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반드시 필요한 구성요소는 아니다. 따라서, 이하 설명되는 바와 같이 프레임(30)이 없는 휴대 단말기(1)의 경우에는 안테나 모듈(100)을 이용하여 메인 PCB(40)가 전면커버(10) 또는 후면커버(20)에 결합 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안테나 모듈(100)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상기 안테나 모듈(100)은 체결유닛(110)과 제 1 안테나 유닛(1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안테나 유닛(120)은 통신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안테나(121)를 구비하며, 상기 안테나(121)는 안테나(121)의 어느 일 위치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접속단자(12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제 1 안테나 유닛(120)은 체결유닛(110)의 어느 일면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안테나 유닛(120)이 결합되는 체결유닛(110)은 메인 PCB(40)가 프레임(30), 전면커버(10) 또는 후면커버(20)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설명에 있어서는 상기 안테나 모듈(100)을 통해 메인 PCB(40)가 프레임(30)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전면커버(10) 또는 후면커버(20)에 이하 설명되는 프레임(30)의 결합부(32) 및/또는 삽입부(33)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여 상기 안테나 모듈(100)을 통해 메인 PCB(40)가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안테나 모듈(100)이 프레임(30)과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안테나 모듈(100)의 체결유닛(110)은 양단부에 이하 설명되는 프레임(30)의 단부에 결합되도록 제 1 결합부(113)와 제 2 결합부(1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결합부(113)와 제 2 결합부(112)는 이하 설명되는 프레임(30)의 결합부(32)가 제 1 결합부(113)와 제 2 결합부(112) 사이에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프레임(30)의 결합부(32) 위치에는 체결구(34)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결합부(113)의 일 단부가 상기 체결구(34)와 맞물리어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구(34)는 돌기 형상의 돌출부로 구성될 수도 있 고, 이 경우 상기 제 1 결합부(113)는 일 단부에 걸림턱이 형성되도록 체결유닛(110)의 바디(111)에서 더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결합부(112)는 체결구멍(112a)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유닛(110)은 프레임(30)과의 결합력을 보강시키기 위하여 프레임 바디(31)의 단부에 형성되는 삽입부(33)가 끼워지는 끼움홈(114)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유닛 바디(111)에 끼움홈(114)이 형성되는 경우 체결유닛(110)의 내구성을 보강시키기 위하여 지지부(115)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체결유닛(110)의 바디(111)에는 상기 안테나(121)로부터 연장되는 접속단자(122)가 상기 체결유닛 바디(111)의 내부로 연장될 수 있도록 어느 일 위치에 구멍(116)이 형성되고, 상기 안테나(121)로부터 연장되는 접속단자(122)는 상기 체결유닛(110)에 형성되는 구멍(116)을 통해 상기 끼움홈(114)의 내부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접속단자(122)는 이하 설명되는 메인 PCB(40)에 구비되는 접속단자(41)와 연결되어 상기 안테나 유닛(120)을 통해 송수신되는 통신신호를 통신신호 처리부(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안테나(121)는 일반 통화가 가능한 주파수 대역의 통신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안테나 모듈(100)은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구성될 수 있는 프레임(30)에 결합 되는데, 상기 프레임(30)은 일 단부에 상기 안테나 모듈(100)이 결합되는 결합부(3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32)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안테나 모듈(100)의 제 1 결합부(113)와 제 2 결합부(112) 사이에 끼워 질 수 있도록 프레임 바디(31)의 양측 위치에 각각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프레임 바디(31)의 단부에 형성되는 결합부(32)의 일 면에는 안테나 모듈(100)의 제 1 결합부(113)가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체결구(34)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32) 사이 위치에는 상기 안테나 모듈(100)을 구성하는 체결유닛(110)에 형성되는 끼움홈(114)에 삽입되는 삽입부(33)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삽입부(33)의 어느 일 면에는 프레임(30)의 메인 PCB 수용부(36)에 장착되는 메인 PCB(40)가 장착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위치 고정부(35)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32)에는 상기 체결유닛(110)의 제 2 결합부(112)에 형성되는 체결구멍(112a)과 일치되는 체결구멍(32a)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프레임(30)에는 메인 PCB 수용부(36)에 메인 PCB(40)가 장착된다. 상기 메인 PCB(40)는 일 단부 위치에 상기 안테나 모듈(100)의 접속단자(122)와 접속되는 접속단자(41)가 구비된다. 상기 접속단자(41)가 구비되는 메인 PCB(40)의 단부는 프레임(30)에 구비되는 결합부(32)가 배치되는 방향으로 충분히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안테나 모듈(100)의 접속단자(122)와 연결이 용이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 도 4a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상기 프레임(30)에 메인 PCB(40)가 장착된 상태에서 안테나 모듈(100)이 결합되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을 하겠다.
우선, 프레임(30)에 형성되는 메인 PCB 수용부(36)에 메인 PCB(40)가 장착된다. 이때, 상기 메인 PCB(40)의 단부에 형성되는 접속단자(41)는 안테나 모듈(100)에 구비되는 접속단자(122)와 연결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30)의 단부에 구비되는 결합부(32)에 상기 설명된 안테나 모듈(100)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메인 PCB(40)의 상부 위치로 안테나 모듈(100)의 체결유닛 바디(111)가 더 연장되게 구성되어 메인 PCB(40)가 프레임 바디(31)의 상부면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된다.
만일, 상기 프레임 바디(31)의 단부에 삽입부(33)가 더 구비되고, 상기 안테나 모듈(100)의 체결유닛(110)에 끼움홈(114)이 더 구비된 경우에는 상기 삽입부(33)와 함께 메인 PCB(40)의 단부가 함께 삽입되어 메인 PCB(40)가 프레임(30)에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프레임(30)에 구비된 결합부(32)에 체결구(34)가 더 구비되는 경우에는 안테나 모듈(100)의 제 1 결합부(113)가 상기 체결구(34)에 맞물리어 안테나 모듈(100)이 프레임(30)에 결합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결합구조를 통해 메인 PCB(40)는 다른 결합수단이 구비되지 않더라도 안테나 모듈(100)에 의하여 프레임(30)에 결합될 수 있게 되고, 이때, 메인 PCB(40)의 접속단자(41)와 안테나 모듈(100)의 접속단자(122)의 연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휴대 단말기(1)는 일반 통화를 위한 주파수 대역과 다른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DMB 서비스 또는 근거리 통신 서비스 등과 같은 주파수 대역)의 통신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제 2 안테나 모듈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2 안테나 모듈은 서브 PCB(50)에 구비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 2 안테나 모듈은 칩-타입(chip-type)의 안테나를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100)은 일반 통신을 위한 주파수 대역과 다른 주파수 대역의 통신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제 2 안테나 유닛(130)을 더 구비한다. 상기 제 2 안테나 유닛(130)의 구성을 제외하면, 나머지 구성은 상기 설명된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100)의 구성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안테나 모듈(100)에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는 구성요소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제 2 안테나 유닛(130)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위주로 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상기 제 2 안테나 유닛(130)은 상기 제 1 안테나 유닛(120)과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안테나 모듈(100)을 구성하는 체결유닛(110)의 어느 일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안테나 유닛(130)은 일반적인 통화를 위한 주파수 이외의 주파수 대역의 통신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안테나(131)를 구비하며, 상기 안테나(131)는 안테나(131)의 어느 일 위치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접속단자(13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 2 안테나 유닛(130)이 결합되는 체결유닛(110)은 첫 번째 실시예에서와 같이 메인 PCB(40)가 프레임(30), 전면커버(10) 또는 후면커버(20)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안테나 유닛(130)의 접속단자(132)가 서브 PCB(50)에 구비되는 접속단자(51)와 접속되어 수신되는 통신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00)에 대한 첫 번째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제 2 안테나 유닛(130)이 구비되는 상기 체결유닛(110)은 프레임(30)과의 결합력을 보강시키기 위하여 프레임 바디(31)의 단부에 형성되는 삽입부(33)가 끼워지는 끼움홈(114)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유닛 바디(111)에 끼움홈(114)이 형성되는 경우 체결유닛(110)의 내구성을 보강시키기 위하여 지지부(115)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유닛(110)의 일 측에는 상기 제 2 안테나 유닛(130)을 구성하는 안테나(131)에서 연장되는 접속단자(132)가 상기 제 2 안테나 유닛(130)과 마주하는 체결부(110)의 반대편 위치로 돌출될 수 있도록 구멍(117)이 형성된다. 상기 구멍(117)은 체결유닛(110)의 내구성을 보강시키기 위한 어느 일 지지부(155a)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체결유닛(110)에 제 1 안테나 유닛(120)과 제 2 안테나 유닛(130)이 구비되는 상기 안테나 모듈(100)은 첫 번째 실시예와 같이 메인 PCB(40)가 프레임(30)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 1 안테나 유닛(120)과 제 2 안테나 유닛(130)이 구비되는 상기 안테나 모듈(100)의 구성에 있어서도 상기 프레임(30)이 구비되지 않는 휴대 단말기(1)의 경우에는 전면커버(10) 또는 후면커버(20)에 프레임(30)의 결합 부(32) 및/또는 삽입부(33)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여 상기 안테나 모듈(100)을 통해 메인 PCB(40)가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통신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가 구비되는 안테나 모듈(100)은 상기 첫 번째 실시예의 구성과 같이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구성될 수 있는 프레임(30)에 결합 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30)은 위에서 상세히 설명하였기에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 2 안테나 유닛(130)의 접속단자(132)는 서브 PCB(50)에 구비되는 접속단자(51)와 접속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2 안테나 유닛(130)과 관련된 통신신호를 처리하는 통신신호 처리부(미도시)가 서브 PCB(50)에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는 다른 구성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 2 안테나 유닛(130)을 통해 송수신 되는 통신신호를 메인 PCB(40)에서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상기 제 2 안테나 유닛(130)의 접속단자(132)를 통해 통신신호를 전송하게 되는 접속단자 및 전송되는 통신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통신신호 처리부를 메인 PCB(40)에 구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 도 7a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전면커버(10)에 서브 PCB(50)가 장착되고, 메인 PCB(40)가 장착된 상기 프레임(30)이 상기 서브 PCB(50)에 장착되며, 이 상태에서 제 1 안테나 유닛(120) 및 제 2 안테나 유닛(130)이 구비된 안테나 모듈(100)이 결합되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을 하겠다.
도 7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서브 PCB(50)는 전면커버(10)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전면커버(10)의 일 단부에는 고정구(11)가 구비될 수도 있는데, 상기 고정구(11)에 서브 PCB(50)의 일 단부를 삽입하여 서브 PCB(50)가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전면커버(10)에 장착되는 서브 PCB(50)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 일 단부에 제 2 안테나 모듈(130)의 접속단자(132)와 접속되는 접속단자(51)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첫 번째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레임(30)에 메인 PCB(40)가 장착된다. 이와 같이 메인 PCB(40)가 장착된 프레임(30)은 도 7b에서와 같이 상기 서브 PCB(50)의 상부에 장착된다. 이때, 서브 PCB(50)에 구비되는 접속단자(51)가 상기 안테나 모듈(100)을 구성하는 제 2 안테나 유닛(130)의 접속단자(132)와 접속 가능하도록 노출될 수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첫 번째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프레임(30)의 단부에 구비되는 결합부(32)에 상기 설명된 안테나 모듈(100)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메인 PCB(40)의 상부 위치로 안테나 모듈(100)의 체결유닛 바디(111)가 더 연장되게 구성되어 메인 PCB(40)가 프레임 바디(31)의 상부면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된다.
만일, 상기 프레임 바디(31)의 단부에 삽입부(33)가 더 구비되고, 상기 안테나 모듈(100)의 체결유닛(110)에 끼움홈(114)이 더 구비된 경우에는 상기 삽입부(33)와 함께 메인 PCB(40)의 단부가 함께 삽입되어 메인 PCB(40)가 프레임(30)에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프레임(30)에 구비된 결합부(32)에 체결구(34)가 더 구비되는 경우 에는 안테나 모듈(100)의 제 1 결합부(113)가 상기 체결구(34)에 맞물리어 안테나 모듈(100)이 프레임(30)에 결합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결합구조를 통해 메인 PCB(40)는 다른 결합수단이 구비되지 않더라도 안테나 모듈(100)에 의하여 프레임(30)에 결합될 수 있게 되고, 이때, 메인 PCB(40)의 접속단자(41)와 제 1 안테나 유닛(120)의 접속단자(122) 간의 접속과 서브 PCB(50)의 접속단자(51)와 제 2 안테나 유닛(130)의 접속단자(132) 간의 접속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안테나 모듈(130)은 소위 케리어 타입(carrier-type)을 구성되는 안테나 패턴을 가지는 안테나(131)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결합구조를 갖는 안테나 모듈와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을 포함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혼용되어 수행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결합구조를 갖는 안테나 모듈을 이용하여 메인 PCB가 단말기 바디를 구성하는 어느 일 커버 또는 프레임과 용이하면서도 안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과 PCB와의 통신선로의 연결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안테나가 동시에 장착되는 경우에도 두 안테나 간의 무선감도에 관련된 간섭을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에 의한 제약 없이 휴대 단말기의 소형화를 이룰 수 있고, 또한, 안테나 모듈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디자인에 대한 제약을 받지 않게 된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의 제조가 용이하게 되며,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3)

  1. 삭제
  2. 휴대 단말기의 바디를 구성하는 프레임 또는 케이스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한 체결유닛과;
    상기 체결유닛에 결합되며, 메인 PCB의 접속단자와 접속되는 접속단자를 구비하는 제 1 안테나 유닛과;
    상기 체결유닛에 결합되며, 서브 PCB의 접속단자와 접속되는 접속단자를 구비하는 제 2 안테나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메인 PCB가 휴대 단말기의 바디를 구성하는 프레임 또는 케이스에 결합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메인 PCB의 일 단부와 상기 프레임의 일 단부가 함께 삽입되어 결합되는 끼움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홈은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듈.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메인 PCB의 일 단부와 상기 프레임의 일 단부가 함께 삽입되어 결합되는 끼움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 1 안테나 유닛의 접속단자는 상기 끼움홈의 내부로 연장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듈.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유닛은 체결유닛 바디의 양단부에 걸림턱이 구비되는 제 1 결합부와 체결구멍이 형성되는 제 2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듈.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테나 유닛은 일반 통화를 위한 주파수 대역의 통신 주파수를 송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듈.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메인 PCB의 일 단부와 상기 프레임의 일 단부가 함께 삽입되어 결합되는 끼움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 2 안테나 유닛의 접속단자는 상기 체결유닛의 일 측면에 구비되는 제 2 안테나의 반대편 위치 로 연장되어 돌출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듈.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안테나 유닛은 일반 통화를 위한 주파수 대역과 다른 주파수 대역의 통신 주파수를 송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듈.
  10. 삭제
  11. 단말기 바디를 구성하는 프레임 또는 케이스와;
    상기 프레임 또는 케이스에 장착되며, 일 단부에 제 1 안테나와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를 구비하는 메인 PCB와;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며, 일 단부에 제 2 안테나와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를 구비하는 서브 PCB와;
    상기 프레임 또는 케이스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한 체결유닛과 상기 체결유닛에 결합되며, 메인 PCB의 접속단자와 접속되는 접속단자를 구비하는 제 1 안테나 유닛 및 상기 체결유닛에 결합되며, 서브 PCB의 접속단자와 접속되는 접속단자를 구비하는 제 2 안테나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메인 PCB가 상기 프레임 또는 케이스에 결합 되도록 장착되는 안테나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유닛은 양단부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제 1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또는 케이스는 단부 위치에 상기 제 1 결합부의 걸림턱과 맞물리는 체결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또는 케이스는 메인 PCB가 장착된 위치를 안정되게 하기 위하여 위치 고정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메인 PCB의 일 단부와 상기 프레임의 일 단부가 함께 삽입되어 결합되는 끼움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홈은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메인 PCB의 일 단부와 상기 프레임의 일 단부가 함께 삽입되어 결합되는 끼움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 1 안테나 유닛의 접속단자는 상기 끼움홈의 내부로 연장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유닛은 체결유닛 바디의 양단부에 걸림턱이 구비되는 제 1 결합부와 체결구멍이 형성되는 제 2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테나 유닛은 일반 통화를 위한 주파수 대역의 통신 주파수를 송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메인 PCB의 일 단부와 상기 프레임의 일 단부가 함께 삽입되어 결합되는 끼움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 2 안테나 유닛의 접속단자는 상기 체결유닛의 일 측면에 구비되는 제 2 안테나의 반대편 위치로 연장되어 돌출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안테나 유닛은 일반 통화를 위한 주파수 대역과 다른 주파수 대역의 통신 주파수를 송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1. 삭제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안테나는 칩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또는 케이스는 일 단부에 서브 PCB의 일 단부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는 고정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060104663A 2006-10-26 2006-10-26 결합구조를 갖는 안테나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1360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4663A KR101360195B1 (ko) 2006-10-26 2006-10-26 결합구조를 갖는 안테나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4663A KR101360195B1 (ko) 2006-10-26 2006-10-26 결합구조를 갖는 안테나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7463A KR20080037463A (ko) 2008-04-30
KR101360195B1 true KR101360195B1 (ko) 2014-02-10

Family

ID=39575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4663A KR101360195B1 (ko) 2006-10-26 2006-10-26 결합구조를 갖는 안테나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01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0189B1 (ko) 2009-05-21 2015-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7327A (ja) * 1997-12-09 1999-07-02 Nec Saitama Ltd 逆fアンテナ装置
JP2002368513A (ja) 2001-06-11 2002-12-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アンテナ保持装置
KR20060065323A (ko) * 2004-12-10 2006-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내장형 안테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070812A (ko) * 2004-12-21 2006-06-26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통신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 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7327A (ja) * 1997-12-09 1999-07-02 Nec Saitama Ltd 逆fアンテナ装置
JP2002368513A (ja) 2001-06-11 2002-12-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アンテナ保持装置
KR20060065323A (ko) * 2004-12-10 2006-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내장형 안테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070812A (ko) * 2004-12-21 2006-06-26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통신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7463A (ko) 200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73126B2 (en) Antenna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US10135121B2 (en) Antenna for portable device
US7023389B2 (en) Detachable antenna module
JP2730480B2 (ja) 3波共用ルーフアンテナ
US7298337B2 (en) Antenna device for a mobile phone
US7656354B2 (en) Antenna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US20100279694A1 (en) Display panel structur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and mobile information equipment
US20070021156A1 (en) Compact radio communications device
US20120280867A1 (en) Internal antenna module
KR200478818Y1 (ko) 휴대용 통신 장치의 도킹 스테이션
US20060077105A1 (en) Dual-band chip antenna module
KR20110016097A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 모듈
US8581787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ntenna module
KR101360195B1 (ko) 결합구조를 갖는 안테나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WO2007099859A1 (ja) 携帯無線機
KR101429277B1 (ko) 다기능 커버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기기
US20020086646A1 (en) Antenna structure and mobile terminal having antenna structure
KR101336704B1 (ko) 안테나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RU2523443C2 (ru) Анте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ртативного беспроводного терминала
EP1724938A1 (en) Antenna for foldable mobile phone
KR200249984Y1 (ko) 멀티 기능을 갖는 폴더형 휴대 전화 단말기
JP2005328112A (ja) 携帯型無線端末機
KR20070109025A (ko) 비디오 수신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용 안테나
KR100566185B1 (ko) 무선 통신 모듈을 내장한 카드의 안테나 장치
EP1257001A1 (en) Interface between a mobile radio device and its accessory device based on capacitive coupling for sharing ground planes to rise antenna gain of accessor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