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9858B1 - 회화의 명암 표현방법 및 이를 이용한 회화 - Google Patents

회화의 명암 표현방법 및 이를 이용한 회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9858B1
KR101359858B1 KR1020130089288A KR20130089288A KR101359858B1 KR 101359858 B1 KR101359858 B1 KR 101359858B1 KR 1020130089288 A KR1020130089288 A KR 1020130089288A KR 20130089288 A KR20130089288 A KR 20130089288A KR 101359858 B1 KR101359858 B1 KR 101359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layer
color
painting
layer
contr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9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기
Original Assignee
김선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기 filed Critical 김선기
Priority to KR1020130089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98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9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98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2Removing surface-material, e.g. by engraving, by e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5/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 B05D5/06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to obtain multicolour or other optical effects
    • B05D5/065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to obtain multicolour or other optical effects having colour interferences or colour shifts or opalescent looking, flip-flop, two tones
    • B05D5/066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to obtain multicolour or other optical effects having colour interferences or colour shifts or opalescent looking, flip-flop, two tones achieved by multi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2Superimpos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18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fluorescent or phosphorescent
    • B29K2995/002Coloured
    • B29K2995/0021Multi-coloured

Landscapes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화의 명암 표현방법 및 이를 이용한 회화에 관한 것으로 덧칠하여 다색 다층으로 형성된 회화의 표면을 부분적으로 원하는 깊이만큼 긁어 명암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판 형태로 된 베이스부재의 표면에 페인트를 이용하여 제1색상층을 형성하는 단계(S1)와, 상기 제1색상층의 표면에 제1색상층 보다 진한 색상의 크레파스를 이용하여 제2색상층을 형성하는 단계(S2)와, 상기 제2색상층의 표면에 제2색상층 보다 진한 색상의 조색제를 이용하여 제3색상층을 형성하는 단계(S3)와, 상기 제3색상층의 표면에 제3색상층 보다 진한 색상의 크레파스를 이용하여 제4색상층을 형성하는 단계(S4)와, 상기 제4색상층의 표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원하는 깊이만큼 긁어 긁힘홈을 형성하여 제3색상층, 제2색상층, 제1색상층, 베이스부재 중 어느 하나의 색상층이 복수 군데에 노출되게 함으로써 노출되는 색상층으로 인해 명암이 표현되도록 하는 단계(S5)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회화의 명암 표현방법 및 이를 이용한 회화{Light and shade description method of painting and painting thereof}
본 발명은 회화의 명암 표현방법 및 이를 이용한 회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덧칠하여 다색 다층으로 형성된 회화의 표면을 부분적으로 원하는 깊이만큼 긁어 명암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한 회화의 명암 표현방법 및 이를 이용한 회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화(painting)는 여러가지 선이나 색채로 평면상에 형상을 그려 내는 조형미술로서, 이러한 회화에 명암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마련된 도화지 등의 베이스부재 상에 명암 표현을 위한 색상을 갖는 페인트 등의 재료를 사용하여 밑그림의 표면에 덧칠하는 기법을 통해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방식은 회화 뿐만 아니라 국내등록특허 제10-1078867호에서와 같은 장식판재에도 적용되며, 국내등록특허 제10-1231647호에서와 같은 장식유리에도 적용된다.
하지만 이러한 색상의 덧칠만으로 제작되는 구성은 상기와 같이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되는 흔한 기술에 속하며, 특히 회화에서 명암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회화의 부분부분마다 꼼꼼하고 세밀하게 칠해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오래 걸렸고, 작업 중 색상을 틀리게 칠하거나 원하지 않은 곳에 흘리게 되면 그 부분을 치유하기가 곤란한 단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1078867호 등록특허 제10-123164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덧칠하여 다색 다층으로 형성된 회화의 표면을 부분적으로 원하는 깊이만큼 긁어 명암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한국화의 부드러운 느낌은 물론 서양화의 양감과 조각의 입체감을 표현할 수 있고, 또한 거친 또는 부드러운 질감을 짧은 시간에 표현할 수 있도록 한 회화의 명암 표현방법 및 이를 이용한 회화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판 형태로 된 베이스부재의 표면에 페인트를 이용하여 제1색상층을 형성하는 단계(S1)와, 상기 제1색상층의 표면에 제1색상층 보다 진한 색상의 크레파스를 이용하여 제2색상층을 형성하는 단계(S2)와, 상기 제2색상층의 표면에 제2색상층 보다 진한 색상의 조색제를 이용하여 제3색상층을 형성하는 단계(S3)와, 상기 제3색상층의 표면에 제3색상층 보다 진한 색상의 크레파스를 이용하여 제4색상층을 형성하는 단계(S4)와, 상기 제4색상층의 표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원하는 깊이만큼 긁어 긁힘홈을 형성하여 제3색상층, 제2색상층, 제1색상층, 베이스부재 중 어느 하나의 색상층이 복수 군데에 노출되게 함으로써 노출되는 색상층으로 인해 명암이 표현되도록 하는 단계(S5)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회화의 명암 표현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판 형태로 된 베이스부재의 표면에 페인트를 이용한 제1색상층이 형성되고, 상기 제1색상층의 표면에 제1색상층 보다 진한 색상의 크레파스를 이용한 제2색상층이 형성되며, 상기 제2색상층의 표면에 제2색상층 보다 진한 색상의 조색제를 이용한 제3색상층이 형성되고, 상기 제3색상층의 표면에 제3색상층 보다 진한 색상의 크레파스를 이용한 제4색상층이 형성되며, 상기 제4색상층의 표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원하는 깊이만큼 긁어 긁힘홈을 형성하여 제3색상층, 제2색상층, 제1색상층, 베이스부재 중 어느 하나의 색상층이 복수 군데에 노출되게 함으로써 노출되는 색상층으로 인해 명암이 표현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명암 표현방법을 이용한 회화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회화의 명암 표현방법 및 이를 이용한 회화는 페인트와 크레파스로 번갈아가며 덧칠하여 다색 다층으로 형성된 회화의 표면을 부분적으로 원하는 깊이만큼 긁어 명암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한국화의 부드러운 느낌은 물론 서양화의 양감과 조각의 입체감을 표현할 수 있고, 또한 거친 또는 부드러운 질감을 표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명암이 표현되는 회화 작업시, 단순 덧칠 작업한 후에 긁는 단계에서 명암을 표현하기 때문에 기존 회화 작업하는 것에 비해 짧은 시간에 작업완성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베이스부재의 표면에 다색상층을 덧칠한 후 명암을 표현하기 위해 긁힘홈을 형성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실시예의 측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의해 완성된 실시 회화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의한 회화의 명암 표현방법은 베이스부재(70)의 표면에 제1색상층(10), 제2색상층(20), 제3색상층(30) 및 제4색상층(40)을 순차적으로 덧칠 형성한 다음, 표면을 긁어 어느 하나의 색상층이 노출되게 함으로써 노출되는 그 색상층으로 인해 회화의 명암이 표현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부재(70)는 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사용용도에 따라 두꺼운 도화지와 같은 종이재나, 나무판재 또는 석재 등이 사용된다. 이때 사용되는 종이재, 나무판재 또는 석재는 표현하고자 하는 회화의 내용에 적합한 색상 또는 모양을 갖는 것으로 사용한다.
본 발명에 의한 회화의 명암 표현방법은, 먼저 상기 판 형태로 된 베이스부재(70)의 표면에 페인트를 이용하여 제1색상층(10)을 형성한다.(제1단계-S1)
상기 제1색상층(10)에서 제4색상층(40)을 순차적으로 덧칠 형성하여 어느 하나의 색상층을 노출되게 하는 본 발명은 노출되는 그 색상층으로 인해 명암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한국화의 부드러운 느낌은 물론 서양화의 양감과 조각의 입체감을 표현할 수 있고, 또한 거친 또는 부드러운 질감, 원근감 등을 표현할 수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제1색상층(10)에서 제4색상층(40)으로 갈수록 진한색 또는 어두운색으로 표현함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상기 제1색상층(10)은 연한색 또는 밝은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흰색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색상층(10)은 페인트로 형성되므로 그 상부로의 덧칠을 위해 완전 건조시킨다. 이때 본 발명의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페인트는, 반드시 페인트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색상층을 형성할 수 있는 어떠한 재료로도 가능하다.
상기 제1단계가 완료되면, 제1색상층(10)의 표면에 제1색상층(10) 보다 진한 색상의 크레파스를 이용하여 제2색상층(20)을 형성한다.(제2단계-S2)
상기 제2색상층(20)은 제1색상층(10)의 페인트 성분과 섞이지 않으면서도 명암 또는 거친 또는 부드러운 질감의 표현이 가능하도록 제1색상층(10) 보다 진한 크레파스를 이용하며, 제1색상층(10)이 상기와 같이 흰색으로 사용될 경우 옅은 노랑색 계열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단계가 완료되면, 제2색상층(20)의 표면에 제2색상층(20) 보다 진한 색상의 조색제를 이용하여 제3색상층(30)을 형성한다.(제3단계-S3)
상기 제3색상층(30)에 사용되는 조색제는 페인트의 색상을 조율하는데 사용되는 색상을 지닌 혼합제로서, 후술되는 긁힘이 보다 잘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사용되며, 특히 베이스부재(70) 상에 페인트로 형성된 제1색상층(10)에까지 긁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때 제3색상층(30)은 제2색상층(20) 보다 진하면서 후술되는 제4색상층(40) 보다 연한 색상 중 하나의 색상을 표현될 회화의 특성에 맞게 선택하면 된다. 특히 제1색상층(10)이 흰색 계열이고, 제2색상층(20)이 노랑색 계열로 사용될 경우, 제3색상층(30)은 황갈색 계열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황갈색은 자연톤, 나무톤 등의 표현에 적합하여 회화의 자연스러움을 더해 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색상층(10)은 조색제(페인트)로 형성되므로 그 상부로의 덧칠을 위해 완전 건조시킨다.
상기 제3단계가 완료되면, 제3색상층(30)의 표면에 제3색상층(30) 보다 진한 색상의 크레파스를 이용하여 제4색상층(40)을 형성한다.(제4단계-S4)
상기 제4색상층(40)은 완성된 회화의 표면에 노출되는 마무리면으로서, 상기 4가지 색상층 중에 가장 진한 색상으로 칠해져야 하므로 주로 검정색이나 흑갈색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체면에 꼼꼼하게 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크레파스로 형성되는 제4색상층(40)을 부드럽게 표현하고자 원하면 천 등의 부드러운 재질로 문지르면 된다.
그러므로서,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제1색상층(10)에서부터 제4색상층(40)까지 색상층이 명확하게 구분되도록 형성되며, 표면에서는 제4색상층(40)만 보이도록 한다.
상기 제4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제4색상층(40)의 표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깊이만큼 긁어 제3색상층(30), 제2색상층(20), 제1색상층(10), 베이스부재(70) 중 어느 하나의 색상층이 복수 군데에 노출되게 한다.(제5단계-S5)
상기와 같이 제4색상층(40)의 표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도구를 사용하여 긁힘홈(2)을 형성함으로서 표면에서 노출되어 시각적으로 보여지는 색상층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회화의 명암을 표현하거나 거친 또는 부드러운 질감 등을 표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제1단계(S1)∼제5단계(S5)를 거쳐 완성된 회화는 노출되는 색상층의 조절로 명암을 표현할 수 있게 함으로써 도 5에서와 같이 부드러운 느낌과 질감을 표현할 수 있으며, 도 6에서와 같이 거친 느낌과 질감을 표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다른실시예로서 도 3에서와 같이 제1색상층(10)의 표면에 요철부(12)가 형성되도록 페인트를 칠하고, 제2색상층(20)은 그 요철부(12)의 표면에만 형성되게 함으로써 또 다른 명암 표현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5단계(S5) 후 도 4에서와 같이 제4색상층(40)의 표면에 부분적으로 페인트 또는 물감으로 제5색상층(50)을 더 형성하여 표현할 수 있으며, 제5색상층(50)의 표면에 윤기가 나면서 코팅효과를 갖는 접착제나 바니쉬 등을 덧칠하여 코팅층(60)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5단계(S5)에서 작업이 완료되는 경우에 코팅층(60)은 제4색상층(40)의 표면에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명암 표현방법을 이용한 회화는 상술된 회화의 명암 표현방법을 이용한 것으로서, 한번 더 설명하자면, 판 형태로 된 베이스부재(70)의 표면에 페인트를 이용한 제1색상층(10)이 형성되고, 상기 제1색상층(10)의 표면에 제1색상층(10) 보다 진한 색상의 크레파스를 이용한 제2색상층(20)이 형성되며, 상기 제2색상층(20)의 표면에 제2색상층(20) 보다 진한 색상의 조색제를 이용한 제3색상층(30)이 형성되고, 상기 제3색상층(30)의 표면에 제3색상층(30) 보다 진한 색상의 크레파스를 이용한 제4색상층(40)이 형성되며, 상기 제4색상층(40)의 표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원하는 깊이만큼 긁어 긁힘홈(2)을 형성하여 제3색상층(30), 제2색상층(20), 제1색상층(10), 베이스부재(70) 중 어느 하나의 일부가 복수 군데에 노출되게 함으로써 노출되는 다수 색상층으로 인해 명암이 표현되도록 구성된다.
2 : 긁힘홈 10 : 제1색상층
12 : 요철부 20 : 제2색상층
30 : 제3색상층 40 : 제4색상층
50 : 제5색상층 60 : 코팅층
70 : 베이스부재

Claims (6)

  1. 판 형태로 된 베이스부재(70)의 표면에 페인트를 이용하여 제1색상층(10)을 형성하는 단계(S1);
    상기 제1색상층(10)의 표면에 제1색상층(10) 보다 진한 색상의 크레파스를 이용하여 제2색상층(20)을 형성하는 단계(S2);
    상기 제2색상층(20)의 표면에 제2색상층(20) 보다 진한 색상의 조색제를 이용하여 제3색상층(30)을 형성하는 단계(S3);
    상기 제3색상층(30)의 표면에 제3색상층(30) 보다 진한 색상의 크레파스를 이용하여 제4색상층(40)을 형성하는 단계(S4);
    상기 제4색상층(40)의 표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원하는 깊이만큼 긁어 긁힘홈(2)을 형성하여 제3색상층(30), 제2색상층(20), 제1색상층(10), 베이스부재(70) 중 어느 하나의 색상층이 복수 군데에 노출되게 함으로써 노출되는 색상층으로 인해 명암이 표현되도록 하는 단계(S5);
    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회화의 명암 표현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색상층(10)의 표면에 요철부(12)를 형성하고, 제2색상층(20)은 상기 요철부(12)의 표면에만 형성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화의 명암 표현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5 단계 후, 제4색상층(40)의 표면에 부분적으로 페인트 또는 물감으로 제5색상층(50)을 더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화의 명암 표현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색상층(40)의 표면에 코팅층(60)을 더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화의 명암 표현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70)는 종이재, 나무판재 또는 석재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회화의 명암 표현방법.
  6. 판 형태로 된 베이스부재(70)의 표면에 페인트를 이용한 제1색상층(10)이 형성되고, 상기 제1색상층(10)의 표면에 제1색상층(10) 보다 진한 색상의 크레파스를 이용한 제2색상층(20)이 형성되며, 상기 제2색상층(20)의 표면에 제2색상층(20) 보다 진한 색상의 조색제를 이용한 제3색상층(30)이 형성되고, 상기 제3색상층(30)의 표면에 제3색상층(30) 보다 진한 색상의 크레파스를 이용한 제4색상층(40)이 형성되며, 상기 제4색상층(40)의 표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원하는 깊이만큼 긁어 긁힘홈(2)을 형성하여 제3색상층(30), 제2색상층(20), 제1색상층(10), 베이스부재(70) 중 어느 하나의 일부가 복수 군데에 노출되게 함으로써 노출되는 다수 색상층으로 인해 명암이 표현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명암 표현방법을 이용한 회화.
KR1020130089288A 2013-07-29 2013-07-29 회화의 명암 표현방법 및 이를 이용한 회화 KR1013598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9288A KR101359858B1 (ko) 2013-07-29 2013-07-29 회화의 명암 표현방법 및 이를 이용한 회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9288A KR101359858B1 (ko) 2013-07-29 2013-07-29 회화의 명암 표현방법 및 이를 이용한 회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9858B1 true KR101359858B1 (ko) 2014-02-10

Family

ID=50270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9288A KR101359858B1 (ko) 2013-07-29 2013-07-29 회화의 명암 표현방법 및 이를 이용한 회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985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70087A (en) 1991-11-25 1993-12-14 Scratch-Art Company, Inc. Scratch art simulated stained glass and process of making same
KR20020006009A (ko) * 2001-10-24 2002-01-18 강필순 스크래치 기록면
KR20100050306A (ko) * 2008-11-05 2010-05-13 하창목 장식판재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70087A (en) 1991-11-25 1993-12-14 Scratch-Art Company, Inc. Scratch art simulated stained glass and process of making same
KR20020006009A (ko) * 2001-10-24 2002-01-18 강필순 스크래치 기록면
KR20100050306A (ko) * 2008-11-05 2010-05-13 하창목 장식판재 및 이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지식백과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85773B (zh) 丝绸磨漆画及其制备方法
CN1760051B (zh) 纸刻画的制作工艺
US6228427B1 (en) Production process for 3-D images
US20090053485A1 (en) Surface Decoration System
KR101359858B1 (ko) 회화의 명암 표현방법 및 이를 이용한 회화
CN104149533B (zh) 一种木雕上色工艺
JP4746895B2 (ja) 化粧建築板及びその製造方法
RU103087U1 (ru) Комплект трафаретов
KR102067781B1 (ko) 회화의 채화방법
KR20140089727A (ko) 마감재 인조무늬목의 인조무늬 형성재
KR100640736B1 (ko) 불화제작방법
KR100614605B1 (ko) 종이 캔버스 및 상기 종이 캔버스를 제조하는 방법
RU2559557C1 (ru) Способ выполнения живописных работ
KR101369912B1 (ko) 색채 장식품 및 그 제조 방법
ITBO20130301A1 (it) Metodo per la verniciatura di listoni per pavimenti di legno e suoi derivati
ITMI20070461A1 (it) Procedimento per la preparazione di una vernice e vernice cosi'prodotta
US315324A (en) Frederick g
Møller Marble, tortoiseshell, wood and other materials created in paint and lacquer during the Baroque period in Denmark
Bellantone Arts and Craft: Pattern as a Verb
US2055658A (en) Ornamental surface finish
CN105952080A (zh) 一种彩色泥塑墙面
KR101070150B1 (ko) 불상 개금방법
JP2008126183A (ja) 床材の化粧塗装方法および化粧床材
KR20230162174A (ko) 금속을 적용한 그림 제작 방법
Le Thomas The Tricks of the Trade: Georges Braque’s Artisanal Origi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