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9492B1 - 연료전지용 분리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연료전지용 분리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9492B1
KR101359492B1 KR1020120157433A KR20120157433A KR101359492B1 KR 101359492 B1 KR101359492 B1 KR 101359492B1 KR 1020120157433 A KR1020120157433 A KR 1020120157433A KR 20120157433 A KR20120157433 A KR 20120157433A KR 101359492 B1 KR101359492 B1 KR 101359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or
fuel
manifold
fuel cell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7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희
김대성
홍병선
오성진
윤진영
이윤용
김광민
조기훈
Original Assignee
(주)퓨얼셀 파워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퓨얼셀 파워,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퓨얼셀 파워
Priority to KR1020120157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94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9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9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58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channels, e.g. by the flow field of the reactant or coolan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2/00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 C23C22/05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aqueous solutions
    • C23C22/06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aqueous solutions using aqueous acidic solutions with pH less than 6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GCLEANING OR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THODS OTHER THAN ELECTROLYSIS
    • C23G1/00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with solutions or molten salts
    • C23G1/02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with solutions or molten salts with acid solutions
    • C23G1/08Iron or steel
    • C23G1/081Iron or steel solutions containing H2SO4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04Non-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06Metals or alloys
    • H01M8/0208Alloys
    • H01M8/021Alloys based on ir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71Sealing or supporting means around electrodes, matrices or membranes
    • H01M8/0273Sealing or supporting means around electrodes, matrices or membranes with sealing or supporting means in the form of a fram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2008/1095Fuel cells with polymeric electroly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니폴드와 반응면 사이의 반응가스 유입부의 분리판 적층압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개선된 연료전지용 분리판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은 연료전지용 분리판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분리판용 스테인리스 강판을 준비하는 단계와; (b) 상기 스테인리스 강판을 분리판의 채널부를 요철 구조로 성형하는 단계와; (c) 상기 분리판 성형 후 매니폴드를 포함한 관통된 홀을 가공하는 단계와; (d) 상기 매니폴드 내측 변을 전극면 방향으로 버링 성형하는 단계와; (e) 고분자 소재의 가스켓을 상기 분리판의 전극면과 냉각면 위에 사출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분리판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연료전지용 분리판 및 그 제조방법{BIPOLAR PLATE FOR FUEL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연료전지용 분리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매니폴드와 반응면 사이의 반응가스 유입부의 분리판 적층압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개선된 연료전지용 분리판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연료전지는 연료(수소 또는 개질 가스)와 산화제(산소 또는 공기)를 이용하여 전기 화학적으로 전력을 생산하는 장치로서, 외부에서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연료와 산화제를 전기 화학 반응에 의하여 직접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장치이다.
연료전지의 산화제로는 순수 산소나 산소가 다량 함유되어 있는 공기를 이용하며, 연료로는 순수 수소, 탄화수소계 연료(LNG, LPG, CH3OH), 또는 탄화수소계 연료를 개질하여 수소가 다량 함유된 개질 가스를 사용한다.
이러한 연료전지는 크게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PEMFC)와, 직접 산화형 연료전지(Direct Oxidation Fuel Cell) 및 직접 메탄올형 연료전지(Direct Methanol Fuel Cell: DMFC)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한 연료전지 중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는 스택(stack)이라 불리는 연료전지 본체를 포함하며, 개질기로부터 공급되는 수소가스와, 공기펌프 또는 팬의 가동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의 전기 화학적인 반응을 통해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한 개질기는 연료를 개질하여, 이 연료로부터 수소가스를 발생시키고, 이 수소가스를 스택으로 공급하는 연료처리장치로서의 기능을 한다.
그리고 직접 산화형 연료전지는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와 달리, 수소가스를 사용하지 않고 연료인 알콜류를 직접적으로 공급받아, 이 연료 중에 함유된 수소와, 별도로 공급되는 공기의 전기 화학적인 반응에 의해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구조로서 이루어진다.
또한 직접 메탄올형 연료전지는 직접 산화형 연료전지 중에서 메탄올을 연료로 사용하는 전지를 말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를 위주로 설명한다.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에 사용되는 막-전극 조립체는 수소이온 전도성 고분자 전해질막의 양면에 백금족 금속 등의 금속 촉매를 담지한 카본 분말을 주성분으로 하는 촉매층과, 이 촉매층의 바깥면에 형성되며 통기성과 전자 도전성을 갖는 가스 확산층으로 구성되며, 가스 확산층은 일반적으로 탄소 종이 또는 탄소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진다.
막-전극 조립체의 외측에는 막-전극 조립체를 기계적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인접하는 막-전극 조립체를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도전성을 갖는 분리판이 설치되어 단위 셀을 형성한다.
상기 분리판은 막-전극 조립체와 접촉하는 부분에 전극면에 반응가스를 공급하고 잉여가스와 반응 생성물을 운반하기 위한 유로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유로는 분리판과 별도로 설치될 수도 있지만, 분리판의 표면에 홈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복수 개의 단위 셀은 적층 배열되며, 단위 셀의 최외측에는 전류를 추출하기 위한 집전판과, 그 외곽에 외부와의 절연을 위한 절연판이 차례로 적층되고, 체결판 및 체결수단을 통해서 고정된다.
또한 연료전지에 공급된 연료와 산화제는 막-전극 조립체에서 전기화학 반응을 통해 물로 변환되며, 이 과정에서 전기와 열을 발생시킨다. 미반응 연료와 산화제는 연료전지스택 외부로 배출되는데, 전기화학 반응에 사용된 반응가스량과 공급 가스량의 비율을 가스 이용률이라고 한다.
전기화학 반응에서 발생한 열을 배출하기 위하여 하나 또는 수개의 단위 셀마다 냉각매체가 유동하는 냉각부가 설치된다. 이 냉각부는 일측에 연료가스 유로를 구비하고, 그 반대측에 냉각매체를 위한 냉각유로를 구비한 연료용 분리판과, 일측에 산화제 가스 유로를 구비하고, 그 반대측에 냉각매체를 위한 냉각유로를 구비한 산화제용 분리판을 서로 부착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연료용 분리판과 산화제용 분리판 사이에 냉각유로가 구비되어 있는 연료전지에서 매니폴드부로 들어간 유체는 양쪽의 전극판 사이의 우선 구성된 틈으로 일차적으로 진입하여 각 분리판의 채널 입구쪽의 관통된 홀을 통해 각각의 채널로 분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분리판의 양쪽면에 가스켓을 구성하며, 이를 적층하여 적정체결압을 가하여 각 유체의 기밀과 전기전도성을 확보한다. 이때 주로 요철구조로 성형되는 냉각 또는 전극면의 채널부보다 평면위 홀 가공으로만 되어 있고, 주로 분리판의 외각에 위치해 있으므로, 외력에 의한 손상에 취약한 구조이다.
이러한 이유로, 매니폴드부의 손상이 발생할 경우, 가스켓의 이탈과 분리판 적층시 각 유로의 기밀이 불안정하게 되며 매니폴드부의 채널 입, 출구의 불규칙한 변형은 각 셀의 성능편차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며, 또한 유체의 입, 출구의 통로가 작아지게 되는 것이므로, 유체공급장치에 부하를 주게 되어 결국 전체적인 시스템의 효율 저하의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매니폴드와 반응면사이의 반응가스 유입부의 분리판 적층압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여 전체적인 시스템의 효율이 떨어지지 않도록 한 연료전지용 분리판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연료전지용 분리판은 연료 또는 산화제 통로가 되는 매니폴드, 상기 매니폴드에서 투입된 연료 또는 산화제를 막-전극 조립체에 공급하는 요철구조의 채널, 상기 매니폴드에서 투입된 연료 또는 산화제가 상기 채널쪽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분리판의 양면에 형성된 가스켓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분리판에 있어서, 상기 매니폴드의 내측변에 분리판 적층시 분리판 사이가 지지될 수 있는 강성 비드를 포함한다.
상기 강성비드는 상기 매니폴드의 내측에 전극방향으로 접히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연료전지용 분리판 제조방법은, 연료전지용 분리판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분리판용 스테인리스 강판을 준비하는 단계와; (b) 상기 스테인리스 강판을 분리판의 채널부를 요철 구조로 성형하는 단계와; (c) 상기 분리판 성형 후 매니폴드를 포함한 관통된 홀을 가공하는 단계와; (d) 상기 매니폴드 내측 변을 전극면 방향으로 버링 성형하는 단계와; (e) 고분자 소재의 가스켓을 상기 분리판의 전극면과 냉각면 위에 사출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스테인리스 강판은, 중량%(wt%)로, C: 0.02% 이하, N: 0.02% 이하, Si: 0.4% 이하, Mn: 0.2% 이하, P: 0.04% 이하, S: 0.02% 이하, Cr: 25.0~32.0%, Cu: 0~2.0% ,Ni: 0.8% 이하, Ti: 0.5% 이하, Nb: 0.5% 이하, 그리고 잔부 Fe 및 불가피하게 함유되는 원소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단계 (a)에서 스테인리스 강판은, (A) 상기 스테인리스 강판을 광휘 소둔 혹은 소둔산세하여 표면에 제1 부동태 피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B) 10~20중량% 황산수용액에서 50~75℃의 온도로 산세정하여 제1 부동태 피막을 제거하는 단계와; (C) 상기 스테인리스 강판을 수세하는 단계와; (D) 상기 스테인리스 강판을 10~20중량% 질산과 1~10중량% 불산의 혼산에서 40~60℃의 온도로 부동태화 처리하여 제2 부동태 피막을 형성하는 단계;로 제조한다.
또한 상기 매니폴드 홀 가공된 내측을 전극면 방향으로 0.2~1mm로 스템핑 성형하여 버링 가공으로 강성비드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분리판의 가스켓 사출성형은, 연료용 분리판과 산화제용 분리판 양면으로 사출성형을 하고, 그리고, 상기 연료용 또는 산화제용 분리판 중 한 곳은 전극면 쪽을 가스켓 사출성형하며, 또한, 다른 한쪽은 전극면과 냉각면 두 면의 가스켓 실부분에 사출성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분리판의 요철로 구성된 전극면 또는 냉각면보다 상대적으로 강성이 약한 매니폴드부를 외력에 의해 손상되거나 뒤틀리는 것을 방지해 주며, 분리판 적층시 적층압에 의해 가스켓이 밀려 매니폴드부 내로 유입되어 불안정한 구조가 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테인리스 강판 제조 공정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된 연료전지스택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리판 조립체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분리판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기존의 스택의 매니폴드부 단면도이다..
도 6은 개선된 매니폴드부의 단면도이다.
도 7의 (a),(b),(c)는 피어싱 가공된 매니폴드부에 버링을 성형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 보인 공정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연료전지용 분리판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분리판용 스테인리스 강판을 준비한다.(단계 110)
이어서, 상기 스테인리스 강판을 분리판의 채널부를 요철 구조로 성형한다.(단계 120)
그리고 상기 분리판 성형 후 매니폴드를 포함한 관통된 홀을 가공한다.(단계 130)
또한 상기 매니폴드 내측 변을 전극면 방향으로 버링 성형한다.(단계 140)
그리고 고분자 소재의 가스켓을 상기 분리판의 전극면과 냉각면 위에 사출성형한다.(단계 150)
상기한 분리판의 가스켓 사출성형은, 연료용 분리판과 산화제용 분리판 양면으로 사출성형을 하고, 연료용 또는 산화제용 분리판 중 한 곳은 전극면 쪽을 가스켓 사출성형하며, 다른 한쪽은 전극면과 냉각면 두 면의 가스켓 실부분에 사출성형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분리판의 전극면은 분리판과 전극이 맞닿는 면으로서 연료유로 또는 산화제 유로가 형성되는 면에 해당하고, 냉각면은 냉각수로가 형성되는 면에 해당한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의 연료전지용 분리판 제조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용 분리판은 고분자 연료전지 내 작동환경 하에서 적절한 내식성을 확보하기 위해 많은 Cr을 함유하고 있는 스테인리스 강판이다.
상기한 분리판용 스테인리스 강판은, 중량%로, C:0.02% 이하, N:0.02% 이하, Si:0.4% 이하, Mn:0.2 %이하, P:0.04% 이하, S:0.02% 이하, Cr:25.0~32.0%, Cu:0~2.0%, Ni:0.8%이하, Ti:0.5% 이하, Nb: 0.5% 이하, 잔부 Fe 및 불가피하게 함유되는 원소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분리판용 스테인리스 강판의 조성범위와, 그 한정이유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이하에서 설명되는 %는 모두 중량%이다.
C와 N는 강 중에서 Cr 탄질화물을 형성하며, 그 결과 Cr이 결핍된 층의 내식성이 저하되므로, 양 원소는 낮을수록 좋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C: 0.02% 이하, N: 0.02% 이하로 그 조성비를 제한한다.
Si는 탈산에 유효한 원소이나, 인성 및 성형성을 억제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Si의 조성비를 0.4% 이하로 제한한다.
Mn은 탈산을 증가시키는 원소이나, 개재물인 MnS는 내식성을 감소시키므로, 본 발명에서는 Mn의 조성비를 0.2% 이하로 제한한다.
P은 내식성뿐만 아니라 인성을 감소시키므로, 본 발명에서는 P의 조성비를 0.04% 이하로 제한한다.
S은 MnS를 형성하며, 이러한 MnS은 부식의 기점이 되어 내식성을 감소시키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를 고려하여 S의 조성비를 0.02% 이하로 제한한다.
Cr은 연료전지가 작동되는 산성 분위기에서 내식성을 증가시키나, 인성을 감소시키므로, 본 발명에서는 Cr의 조성비를 25∼32%로 제한한다.
Cu는 연료전지가 작동되는 산성 분위기에서 내식성을 증가시키나, 과량 첨가시 Cu의 용출로 인하여 연료전지의 성능이 저하 및 성형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고려하여 Cu의 조성비를 0∼2%의 범위로 제한한다.
Ni은 일부 접촉저항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나, 과량 첨가시 Ni 용출 및 성형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고려하여 Ni의 조성비를 0.8% 이하로 제한한다.
Ti와 Nb는 강 중의 C, N을 탄질화물로 형성하는 데 유효한 원소이나, 인성을 저하시키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를 고려하여 각각의 조성비를 0.5% 이하로 제한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스테인리스 강판은 잉곳 캐스팅 또는 연속주조 공정을 통해 생산된 소재를 통상의 열간압연과 냉간압연 공정을 거쳐 연료전지 분리판의 용도에 적합한 두께의 박판 형태로 가공하여 제조한 것이다.
그리고 냉간압연 후 광휘소둔 및 소둔산세 등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부동태 피막의 내식성 및 전도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10∼20% 황산수용액에서 50~75℃의 온도로 표면 조도 조건에 따라 적정한 시간을 유지하여 최적의 공정조건으로 산세정한다.
그리고, 수세한 뒤, 제2 부동태 피막을 형성하기 위하여 10~20% 질산과 1~10% 불산의 혼산에서 40~60℃의 온도로 부동태화 처리한다.
이에 따라 스테인리스 강판 표면 부동태 피막의 두께가 2~4.5㎚로 형성되고, 부동태 피막의 1.5㎚ 이내의 영역에서 Cr/Fe 산화물비가 1.5 이상이며, 제2부동태 피막의 1㎚ 이내의 영역에서 Cr(OH)3/Cr 산화물 분포도가 0-0.7의 비를 가짐으로써, 스테인리스강의 접촉저항이 10mΩ㎠ 이하를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상기한 스테인리스 강판을 이용한 분리판을 제조하는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용 분리판 제조방법에 적용되는 스테인리스 강판은, 잉곳 캐스팅 또는 연속주조 공정을 통해, 생산된 소재를 통상의 열간압연과, 냉간압연 공정을 거쳐, 연료전지 분리판의 용도에 적합한 두께의 박판 형태로 가공하여 제공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연료전지스택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연료전지스택(100)은, 연료와 산화제를 전기 화학적으로 반응시켜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셀 단위의 전기 생성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각각의 전기 생성부(30)는 전기를 발생시키는 단위 셀을 의미하며, 연료와 산화제 중의 산소를 산화/환원시키는 막-전극 조립체(Membrane Electrode Assembly: MEA)(31) 및 반응가스인 연료와 산화제를 막-전극 조립체(31)로 공급하기 위해 제작된 분리판 조립체(32)를 포함한다.
도 3은 상기 분리판 조립체(32)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판 조립체(32)는 막-전극 조립체(31)를 향하는 일면에 연료 유로(51)가 형성되며, 상기 일면의 배면에는 산화제 유로(52)가 형성된다. 이러한 연료 유로(51)와 산화제 유로(52)는 복수 개의 채널들로 나누어지며, 상기 반응가스 유로의 배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냉각매체 유로(53)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조립체(32)는 막-전극 조립체(31)를 사이에 두고 밀착 배치되어 상기 전기 생성부(30)를 구성한다.
이와 같은 전기 생성부(30)를 복수로 구비하고, 이들 전기 생성부(30)를 연속적으로 배치함으로써, 전기 생성부(30)의 적층 구조에 의한 연료전지스택(100)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연료전지스택(100)은, 통상적인 개질기를 통해 액체 또는 기체 연료로부터 크랙킹(cracking)된 수소를 연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료전지스택(100)은 전기 생성부(30)에 의한 수소와 산소의 반응에 의해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Polymer Electrode Membrane Fuel Cell) 방식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연료전지스택(100)에 사용되는 연료는 메탄올, 에탄올, LPG, LNG, 가솔린, 부탄 가스 등과 같이 수소를 함유한 액체 또는 기체 연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연료전지스택(100)은, 전기 생성부(30)에 의한 액체 또는 기체 연료와 산소의 직접적인 반응을 통해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직접 산화형 연료전지(Direct Oxidation Fuel Cell) 방식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료전지스택(100)은, 연료와 반응하는 산화제로서 별도의 저장수단에 저장된 순수한 산소를 사용할 수 있으며, 산소를 함유하고 있는 공기를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막-전극 조립체(31)는 고체 폴리머 전해질로 형성된 고분자 전해질막과 고분자 전해질막의 양면에 배치된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분리판 조립체(32)의 연료 유로(51)가 형성된 면은 막-전극 조립체(31)의 애노드 전극 측에 배치되고, 산화제 유로(52)가 형성된 면은 막-전극 조립체(31)의 캐소드 전극 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전해질막은 애노드 전극에서 생성된 수소 이온을 캐소드 전극으로 이동시켜, 캐소드 전극의 산소와 결합되어 물을 생성시키는 이온 교환을 가능하게 한다.
위와 같은 복수의 전기 생성부(30)가 연속적으로 배치됨으로써 연료전지스택(100)을 구성하게 되며, 연료전지스택(100)의 최 외각에는 연료전지스택(100)을 일체로 고정하는 엔드 플레이트(60)가 설치된다.
그리고 일측 엔드 플레이트(60)에는 산화제를 연료전지스택(100)으로 공급하기 위한 산화제 주입구(62)와, 연료를 연료전지스택(100)으로 공급하기 위한 연료 주입구(64)와, 냉각 매체를 주입하기 위한 냉각매체 주입구(63)와, 애노드 전극에서 반응하고 남은 미반응 연료를 배출시키기 위한 연료 배출구(67)와, 및 캐소드 전극에서 수소와 산소의 결합 반응에 의해 생성된 수분과 미반응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산화제 배출구(69)와, 냉각 매체가 배출되는 냉각매체 배출구(68)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분리판 조립체(32)는, 그 양면에 홈과 같은 채널 형상의 반응가스 유로가 형성되어, 이런 반응가스 유로를 통해 반응가스가 유입된다.
여기서, 반응가스 유로라 함은 산화제 유로(52)와 연료 유로(51)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도 4는 상기 분리판 조립체(32)를 구성하는 애노드 분리판(33)과 캐소드 분리판(34)을 나타내며, 상기 분리판 조립체(32)를 구성하기 위하여 용접 혹은 가스켓 등을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애노드 분리판(33)은 막-전극 조립체(31)를 향하는 일면에 연료 유로(51)가 형성되고, 이런 연료 유로(51)로 수소를 함유하는 연료 가스가 유입되며, 상기 캐소드 분리판(34)은 막-전극 조립체(31)를 향하는 일면에 산화제 유로(52)가 형성되고, 이런 산화제 유로(52)로 산소를 함유하는 산화제 가스가 유입된다.
또한 상기 분리판 조립체(32)는 애노드 분리판(33)과 캐소드 분리판(34)을 정렬하고, 이로 인하여 반응가스 유로의 배면에 형성되는 공간을 냉각매체 유로(53)로 활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기 에너지와 함께 발생되는 반응열을 제거한다.
아래에서는 분리판 조립체(32)의 구조에 대해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분리판 조립체(32)에는 산화제 주입구(62)와 연통되는 산화제 입구 매니폴드(241)가 일측 코너에 형성되며, 이런 산화제 입구 매니폴드(241)는 산화제 유로(52)로 연결된다.
그리고 분리판 조립체(32)에는 산화제 배출구(69)와 연통되는 산화제 출구 매니폴드(246)가 상기 일측 코너와 대각선으로 마주하는 타측 코너에 형성되며, 이런 산화제 출구 매니폴드(246)도 산화제 유로(52)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 산화제 입구 매니폴드(241)를 통해 공급되는 산화제 가스는 산화제 유로(52)로 유입되고, 산화제 유로(52)로부터 산화제 출구 매니폴드(246)로 배출된다.
마찬가지로, 분리판 조립체(32)에는 연료 주입구(64)와 연통되는 연료 입구 매니폴드(243)가 일측 코너에 형성되며, 이런 연료 입구 매니폴드(243)는 연료 유로(51)로 연결된다.
그리고 분리판 조립체(32)에는 연료 배출구(67)와 연통되는 연료 출구 매니폴드(248)가 일측 코너와 대각선으로 마주하는 타측 코너에 형성되며, 이런 연료 출구 매니폴드(248)도 연료 유로(51)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 연료 입구 매니폴드(243)를 통해 공급되는 연료 가스는 연료 유로(51)로 유입되고, 연료 유로(51)로부터 연료 출구 매니폴드(248)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냉각매체 주입구(63)와 연통되는 냉각매체 매니폴드(242)는 분리판 조립체(32)의 중앙에 형성되며, 냉각매체 입구 매니폴드(242)는 냉각매체 유로(53)로 연결된다.
그리고 분리판 조립체(32)에는 냉각매체 배출구(68)와 연통되는 냉각매체 출구 매니폴드(247)가 상기 중앙과 대각선으로 마주하는 타측 중앙에 형성되며, 이런 냉각매체 출구 매니폴드(247)도 냉각매체 유로(53)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 냉각매체 입구 매니폴드(242)를 통해 공급되는 냉각매체는 냉각매체 유로(53)로 유입되고, 냉각매체 유로(53)로부터 냉각매체 출구 매니폴드(247)로 배출된다.
도 5는 기존의 분리판 매니폴드부의 유로 구성을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구조로 되어 있는 채널부(A)에 비해 평면에 홀 가공으로 되어 있는 매니폴드부(B)는 외력에 의한 변형에 취약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특히 매니폴드부(B)의 내측, 유로 입구부분의 손상은 연료전지 셀의 심각한 성능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매니폴드부의 버링 성형한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응가스의 입, 출구가 되는 매니폴드부(B)의 내측에 전극채널 방향으로 접어 올리는 식의 성형방법으로 구조적으로 취약한 강성을 보강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프레스 성형방법 중의 하나인 버링(320)의 성형으로 매니폴드부(B) 내측에 강성비드를 형성하여 외력에 의한 강성을 보강하고, 구조적인 안정화를 시키므로, 매니폴드부(B)의 손상으로 인해 유입되는 가스의 양이 변경되어 셀간 편차를 최소화하고, 유체의 입, 출구부를 확보하여 유체의 유입을 원활하게 유지하여 시스템 전체적인 효율확보 및 성능안정화를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매니폴드부(B)의 홀 가공된 내측을 전극면 방향으로 0.2~1mm로 스템핑 성형하여 버링(320) 가공으로 강성비드를 형성한다.
도 7의 (a),(b),(c)는 피어싱 가공된 매니폴드부에 프레스 금형(P)을 이용하여 버링을 성형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 보인 공정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30 : 전기 생성부 31 : 막-전극 조립체
32 : 분리판 조립체 33 : 애노드 분리판
34 : 캐소드 분리판 51 : 연료 유로
52 : 산화제 유로 53 : 냉각매체 유로
60 : 앤드 플레이트 62 : 산화제 주입구
63 : 냉각매체 주입구 64 : 연료 주입구
67 : 연료 배출구 68 : 냉각매체 배출구
69 : 산화제 배출구 100 : 연료전지스택
241 : 산화제 입구 매니폴드 246 : 산화제 출구 매니폴드
243 : 연료 입구 매니폴드 248 : 연료 출구 매니폴드
242 : 냉각매체 입구 매니폴드 247 : 냉각매체 출구 매니폴드
301 : 가스켓

Claims (7)

  1. 연료 또는 산화제 통로가 되는 매니폴드;
    상기 매니폴드에서 투입된 연료 또는 산화제를 막-전극 조립체에 공급하는 요철구조의 채널;
    상기 매니폴드에서 투입된 연료 또는 산화제가 상기 채널쪽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분리판의 양면에 형성된 가스켓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분리판에 있어서,
    상기 매니폴드의 내측변에 분리판 적층시 분리판 사이가 지지될 수 있는 강성 비드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분리판.
  2. 제1항에서,
    상기 강성비드는 상기 매니폴드의 내측에 막-전극 조립체 방향으로 접히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분리판.
  3. 연료전지용 분리판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분리판용 스테인리스 강판을 준비하는 단계와;
    (b) 상기 스테인리스 강판을 분리판의 채널부를 요철 구조로 성형하는 단계와;
    (c) 상기 분리판 성형 후 매니폴드를 포함한 관통된 홀을 가공하는 단계와;
    (d) 상기 매니폴드 내측면을 전극면 방향으로 버링 성형하는 단계와;
    (e) 고분자 소재의 가스켓을 상기 분리판의 전극면과 냉각면 위에 사출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분리판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스테인리스 강판은,
    중량%(wt%)로, C: 0.02% 이하, N: 0.02% 이하, Si: 0.4% 이하, Mn: 0.2% 이하, P: 0.04% 이하, S: 0.02% 이하, Cr: 25.0~32.0%, Cu: 0~2.0% ,Ni: 0.8% 이하, Ti: 0.5% 이하, Nb: 0.5% 이하, 그리고 잔부 Fe 및 불가피하게 함유되는 원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분리판 제조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스테인리스 강판은,
    (A) 상기 스테인리스 강판을 광휘 소둔 혹은 소둔산세하여 표면에 제1 부동태 피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B) 10~20중량% 황산수용액에서 50~75℃의 온도로 산세정하여 제1 부동태 피막을 제거하는 단계와;
    (C) 상기 스테인리스 강판을 수세하는 단계와;
    (D) 상기 스테인리스 강판을 10~20중량% 질산과 1~10중량% 불산의 혼산에서 40~60℃의 온도로 부동태화 처리하여 제2 부동태 피막을 형성하는 단계;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분리판 제조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매니폴드 홀 가공된 내측을 전극면 방향으로 0.2~1mm로 스템핑 성형하여 버링 가공으로 강성비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분리판 제조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의 가스켓 사출성형은, 연료용 분리판과 산화제용 분리판 양면으로 사출성형을 하고,
    그리고, 상기 연료용 또는 산화제용 분리판 중 한 곳은 전극면 쪽을 가스켓 사출성형하며,
    또한, 다른 한쪽은 전극면과 냉각면 두 면의 가스켓 실부분에 사출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분리판 제조방법.
KR1020120157433A 2012-12-28 2012-12-28 연료전지용 분리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359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7433A KR101359492B1 (ko) 2012-12-28 2012-12-28 연료전지용 분리판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7433A KR101359492B1 (ko) 2012-12-28 2012-12-28 연료전지용 분리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9492B1 true KR101359492B1 (ko) 2014-02-24

Family

ID=50270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7433A KR101359492B1 (ko) 2012-12-28 2012-12-28 연료전지용 분리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94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74215A1 (ko) * 2017-10-11 2019-04-18 주식회사 포스코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93850A (ja) 2007-10-05 2009-04-30 Hitachi Ltd 燃料電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93850A (ja) 2007-10-05 2009-04-30 Hitachi Ltd 燃料電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74215A1 (ko) * 2017-10-11 2019-04-18 주식회사 포스코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2419B1 (ko)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
US8921000B2 (en) Fuel cell
JP5240282B2 (ja) 燃料電池セル
US20080292921A1 (en) Recovery of inert gas from a fuel cell exhaust stream
US8153288B2 (en) Fuel cell and fuel cell stack
US20050186459A1 (en) Fuel cell
US8722276B2 (en) Multiple transition flow field and method
EP1760813B1 (en) Bipolar plate
US10693153B2 (en) Interconnector-electrochemical reaction unit cell composite body, electrochemical reaction cell stac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nterconnector-electrochemical reaction unit cell composite body
US20080268315A1 (en) Fuel cell stack
KR101410477B1 (ko) 연료전지용 분리판 제조방법
KR101410480B1 (ko) 연료전지의 분리판과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및 분리판 제조방법
US8163432B2 (en) Fuel cell
US8703353B2 (en) Separator for fuel cell
KR101410478B1 (ko) 연료전지의 분리판과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및 분리판 제조방법
JP2010073626A (ja) 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及び燃料電池スタック
US20040121215A1 (en) Fuel cell
KR101499771B1 (ko) 고분자 연료전지용 분리판 제조방법
KR101359492B1 (ko) 연료전지용 분리판 및 그 제조방법
EP2405515A1 (en) Fuel cell separator and fuel cell including same
JP2010086695A (ja) 燃料電池セパレータ
KR101118666B1 (ko) 세퍼레이터 및 이를 이용한 연료 전지 스택
US9196913B2 (en) Multiple transition flow field and method
KR102025750B1 (ko) 연료전지 분리판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스택
JP2007242512A (ja) 燃料電池、および、燃料電池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