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9185B1 - Apparatus for rotating work roll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rotating work rol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9185B1
KR101359185B1 KR1020120030561A KR20120030561A KR101359185B1 KR 101359185 B1 KR101359185 B1 KR 101359185B1 KR 1020120030561 A KR1020120030561 A KR 1020120030561A KR 20120030561 A KR20120030561 A KR 20120030561A KR 101359185 B1 KR101359185 B1 KR 101359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roll
rotating
rotating member
fastening hole
devic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05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108807A (en
Inventor
박재봉
양대권
이재호
신두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20030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9185B1/en
Publication of KR20130108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880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9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918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8/00Maintaining rolls or rolling equipment in effective condition
    • B21B28/02Maintaining rolls in effective condition, e.g. reconditio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8/00Maintaining rolls or rolling equipment in effective condition
    • B21B28/02Maintaining rolls in effective condition, e.g. reconditioning
    • B21B28/04Maintaining rolls in effective condition, e.g. reconditioning while in use, e.g. polishing or grinding while the rolls are in their st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5/00Drives for metal-rolling mills, e.g. hydraulic drives
    • B21B35/12Toothed-wheel gearing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Housings or mounting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03/00Auxiliary arrangements, devices or methods in combination with rolling mills or rolling methods
    • B21B2203/18Rolls or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duction Rolling/Reduction Stand/Operation Of Reduction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워크롤의 단부에 결합되는 장치몸체 및 상기 장치몸체와 연계되고, 상기 장치몸체가 회전토록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워크롤 회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압연 공정 후 대기 상태에 있는 워크롤 표면에 전반적으로 잔류하고 있는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워크롤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 roll rotating device that is connected to the device body and the device body coupled to the end of the work roll, the device body includes a rotating member for generating a rotational force to ro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rolling process There is an effect that the work roll can be easily rotated to remove the moisture remaining on the overall surface of the work roll in the air.

Figure R1020120030561
Figure R1020120030561

Description

워크롤 회전장치{Apparatus for rotating work roll}Apparatus for rotating work roll}

본 발명은 워크롤 회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압연공정 후 워크롤 표면에 전반적으로 잔류하는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워크롤을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워크롤 회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 roll rota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ork roll rotating device configured to easily rotate the work roll to remove the moisture remaining on the overall work roll surface after the rolling process.

일반적으로 열간압연공정은 가열로에서 추출된 소재가 이송롤을 따라 이동하며 복수의 압연기를 통과하고 원하는 두께로 압연되어 제품으로 생산되게 된다. In general, the hot rolling process is a material extracted from the heating furnace is moved along the feed roll, passed through a plurality of rolling mills and rolled to a desired thickness to be produced as a product.

이때 소재가 지나게 되는 압연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재를 직접 압연하는 상,하부 워크롤(11,13)과 상기 워크롤(11,13)과 연계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워크롤(11,13)를 지지해주는 상,하부 백업롤(12,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소재는 상,하부 워크롤(11,13)을 지나면서 원하는 두께의 제품으로 생산되며, 상기 백업롤(12,14)은 상기 워크롤(11,13)의 회전에 대응하며 함께 회전하고, 상기 워크롤(11,13)의 작업이 원활히 진행되도록 도와주게 된다. At this time, the rolling mill is passed through the work roll as shown in Figure 1, the work roll (11, 13) and the work roll (11, 13) and the work roll (11, 13) directly rolling the material The upper and lower backup rolls 12 and 14 supporting the 13 are configured. The material is produced as a product having a desired thickness while passing through the upper and lower work rolls 11 and 13, and the backup rolls 12 and 14 rotate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work rolls 11 and 13, and The work of the work rolls 11 and 13 helps to smoothly proceed.

그런데, 가열로에서 추출된 소재는 고온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워크롤(11,13)로 소재를 직접 접촉하여 압연하는 경우에는 상기 워크롤(11,13)은 소재의 고온으로 인해 가열되게 된다. 그에 따라 때때로는 상기 워크롤(11,13)의 변형이 발생되기도 한다. 이는 제품 생산에 있어서 두께의 불균형 등의 제품 결함의 문제를 야기시킨다. By the way, the material extracted from the heating furnace forms a high temperature, when the work roll (11, 13) in direct contact with the material to roll the work roll (11, 13) is heated due to the high temperature of the material . As a result, sometimes the deformation of the work rolls 11 and 13 occurs. This causes a problem of product defects such as unbalance in thickness in product production.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상기 워크롤(11,13)의 양측으로는 스트리퍼(1)를 장착하였다. 상기 스트리퍼(1)는 그 내부에 장착된 복수의 노즐(3)을 통해 상기 워크롤(11)에 냉각수를 분사하여 소재를 압연하는 과정에서 가열된 상기 워크롤(11)의 온도를 지속적으로 낮추어주게 된다. 그 결과 상기 워크롤(11)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stripper 1 was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said work rolls 11 and 13. The stripper 1 continuously lowers the temperature of the heated work roll 11 in the process of rolling the material by spraying cooling water onto the work roll 11 through a plurality of nozzles 3 mounted therein. Is given. As a result, the deformation of the work roll 11 can be prevented.

그런데, 압연 공정이 종료된 후 잠시 대기하는 동안 상기 워크롤(11,13)은 그대로 대기 중에 노출된다. 상기 워크롤(11,13)의 표면은 압연 공정 중 지속적으로 냉각시키기 위해 냉각수가 분사된 상태이므로 많은 양의 수분(A)이 잔류하게 된다. 이러한 수분은 상기 워크롤(11,13)의 표면에 산화작용을 유발시킨다. 상기 워크롤(11,13)의 표면이 산화된다면 차후 다시 압연 공정을 재시작할 때 압연된 제품의 품질 결함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However, the work rolls 11 and 13 are exposed to the atmosphere as they are while waiting for a while after the rolling process is finished. Since the surfaces of the work rolls 11 and 13 are sprayed with cooling water in order to continuously cool them during the rolling process, a large amount of moisture A remains. This moisture causes oxidation on the surfaces of the work rolls 11 and 13. If the surfaces of the work rolls 11 and 13 are oxidized, it causes a quality defect of the rolled product when the rolling process is restarted later.

따라서, 대기 상태에 있는 동안 상기 워크롤(11,13)의 표면에 잔류하고 있는 수분을 제거해 줄 필요가 있다. 이에 종래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형 스패너(15)를 이용하여 상기 워크롤(11,13)의 단부를 잡고 전,후로 돌리면서 워크롤(11,13) 표면의 수분을 제거하였다.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move the moisture remaining on the surfaces of the work rolls 11 and 13 while in the standby state. Thus, as shown in FIG. 2, the moisture of the surface of the work rolls 11 and 13 was removed while holding the ends of the work rolls 11 and 13 by using the large spanner 15 and turning them back and forth.

그런데, 상기 대형 스패너(15)는 자체 무게가 무겁고 손잡이 또한 길게 할 수 없어 상기 워크롤(11,13)에 장착하여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많이 힘이 들어, 작업상에 있어 수월하지 않은 측면이 있다. 이에 이러한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By the way, the large spanner 15 has a heavy weight and can not be lengthened by the handle too long to mount and rotate the work roll (11, 13), there is a side that is not easy in operation.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n apparatus for facilitating such a task.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압연공정 후 대기과정 중에 워크롤 표면에 전반적으로 잔류하는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워크롤을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conventional problems, and to provide a device that can easily rotate the work roll in order to remove the water remaining on the work roll surface during the atmospheric process after the rolling proces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워크롤 회전장치를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ork roll rotating device as follows.

본 발명인 워크롤 회전장치는 워크롤의 단부에 결합되는 장치몸체 및 상기 장치몸체와 연계되고, 상기 장치몸체가 회전토록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work roll rota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device body coupled to the end of the work roll and the rotat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device body, the device body generates a rotational force to rotate.

여기서, 상기 장치몸체는 워크롤의 단부를 삽입토록 워크롤의 단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 설치되고, 삽입된 워크롤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와 상기 삽입부의 내측에 장착되고, 삽입된 워크롤이 함께 회전토록 지지하는 회전력 전달부 및 상기 장치몸체에서 상기 삽입부의 반대측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부재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Here, the device body is installed in the insertion portion and the insertion portion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end of the work roll to insert the end of the work roll, the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inserted work roll and the inside of the insertion portion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rotational force transmission unit for supporting the inserted work roll to rotate together and the connecting portion which is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insertion unit in the device body, and connected to the rotating member.

그리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삽입부의 일측에 형성된 체결홀과 상기 체결홀을 관통하고 워크롤의 단부 후단까지 신장되며, 워크롤을 상기 삽입부에 고정토록 제공되는 고정핀 및 상기 삽입부에서 상기 체결홀에 수직하게 형성된 홀에 투입되며, 상기 체결홀에 투입된 상기 고정핀을 고정시키는 삽입블럭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fixing part penetrates the fastening hole formed on one side of the insertion part and the fastening hole and extends to the rear end of the work roll, and a fixing pin provided to fix the work roll to the insertion part and the fastening hole at the insertion part. It is inserted into the hole formed perpendicular to the,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insertion block for fixing the fixing pin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또한, 상기 회전력 전달부는 상기 삽입부의 내측에 구비된 안착홈 및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고 워크롤의 단부 일측에 형성된 홈에 끼워지며, 상기 회전부재에 의한 회전력을 워크롤에 전달토록 상기 삽입부의 중심방향측으로 신장된 평행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otational force transmission unit is fitted into the seating groove provided in the insertion portion and the seating groove and formed in the groove formed on one end of the work roll, the center of the insertion portion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by the rotating member to the work roll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arallel key extending in the direction.

여기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회전부재의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대응토록 다각형의 형상을 가진 삽입돌기 및 상기 장치몸체에 복수의 체결구에 의해 결합되는 플랜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Here, the connection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lange which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rotating member, the insertion protrusion having a polygonal shape to correspond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member and coupled to the device body by a plurality of fasteners. .

그리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삽입돌기가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돌기의 다각형의 형상에 대응하는 복수의 요철부가 구비된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반대측에 배치되고, 상기 결합부를 중심축으로 하여 일정각도로 회전되며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핸들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otating member is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oupling portion and the coupling portion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uneven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polygon of the insertion protrusion so that the insertion projection, and the coupling portion at a predetermined angle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handle portion that is rotated to generate a rotational force.

본 발명인 워크롤 회전장치의 일 실시예는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워크롤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ork roll rotating device has an effect that can easily rotate the work roll using the lever principle through the above configuration.

또한, 양방향 래칫 방식이 적용됨으로써, 실제 압연롤이 장착된 압연기 구조의 좁은 공간에서도 압연롤을 수월하게 360도 회전 가능하게 하여 수분 제거 작업효율을 높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applying a bi-directional ratchet method, it is possible to easily rotate the rolling roll 360 degrees even in a narrow space of the rolling mill structure equipped with the actual rolling roll can be expect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water removal work.

그리고, 워크롤이 용이하게 회전됨에 따라 압연공정 중 워크롤의 가열을 식히기 위해 분사되고 워크롤의 표면에 전반적으로 잔류하는 수분을 수월히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nd, as the work roll is easily rotate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water sprayed to cool the heating of the work roll during the rolling process and easily removes the moisture remaining on the surface of the work roll.

이에 따라 워크롤의 표면이 수분으로 인해 산화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궁극적으로 제품의 품질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ly, the surface of the work roll may be prevented from being oxidized due to moisture, thereby ultimately ensuring the quality of the product.

도 1은 가열된 워크롤을 냉각시키기 위해 냉각수가 분사되는 모습을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2는 종래 대형 스패너를 이용하여 워크롤을 회전시키는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워크롤 회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발명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발명이 워크롤의 일측 단부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워크롤 회전장치를 이용하여 워크롤을 회전시키는 상태도이다.
1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that the cooling water is sprayed to cool the heated work roll.
Figure 2 is a state diagram to rotate the work roll using a conventional large spanner.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work roll rota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nvention shown in FIG. 3.
Figure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vention shown in Figure 3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work roll.
6 is a state diagram of rotating the work roll by using the work roll rota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워크롤 회전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In order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the work roll rot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In order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the reference numeral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mong the components that will perform the same function in each embodiment, the related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or extension numerals.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압연공정 후 대기과정 중에 워크롤 표면에 전반적으로 잔류하는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워크롤을 용이하게 회전토록 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Embodiment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basically based on the easy rotation of the work roll to remove moisture remaining on the work roll surface during the post-rolling atmospheric process.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인 워크롤 회전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발명의 분해사시도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work roll rota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nvention shown in FIG.

먼저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인 워크롤 회전장치의 구성은 워크롤의 단부에 결합되는 장치몸체(200) 및 상기 장치몸체(200)와 연계되고, 상기 장치몸체(200)가 회전토록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First, referring to Figures 3 and 4,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ork roll rotating device is associated with the device body 200 and the device body 200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work roll, the device body 200 is rotated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rotating member 300 for generating a rotation force.

워크롤은 소재를 압연하기 위해서 사용되는데, 그 중앙부는 소재를 압연하도록 비교적 평탄한 원통형의 형상으로 이뤄져 있으며, 그 단부는 압연기 스탠드의 지지블럭에 장착되거나 또는 커플링 등에 의해 모터 등의 구동수단과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되어 있다. 즉 회전축으로서 회전이 용이하도록 원형의 형상으로 이뤄진다. The work roll is used to roll the material, the center part of which is formed in a relatively flat cylindrical shape to roll the material, and its end is mounted on a support block of the rolling mill stand or connected to a driving means such as a motor by a coupling or the like. It is to receive the rotational force. That is, the rotation axis is made in a circular shape to facilitate rotation.

상기 장치몸체(200)는 워크롤의 단부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뤄지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워크롤의 단부가 원형의 형상으로 이뤄짐에 따라 상기 장치몸체(200)의 형상도 워크롤이 삽입되는 방향측이 개방된 원통형의 형상으로 이뤄지게 된다. 즉 워크롤의 단부가 동일한 원형의 형상을 가진 상기 장치몸체(200)의 내측으로 삽입되게 된다. 삽입된 워크롤은 상기 장치몸체(200)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부재(300)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게 된다. The device body 200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end shape of the work roll,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end of the work roll is made in a circular shape, the shape of the device body 200 is also a work roll Insertion direction is made of an open cylindrical shape. That is, the end of the work roll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device body 200 having the same circular shape. The inserted work roll is fixed to the apparatus body 200 and is rotated by receiving a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rotating member 300.

여기서 상기 장치몸체(200)는 워크롤의 단부를 삽입토록 워크롤의 단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 삽입부(210)와 상기 삽입부(210)에 설치되고, 삽입된 워크롤을 고정시키는 고정부(230)와 상기 삽입부(210)의 내측에 장착되고, 삽입된 워크롤이 함께 회전토록 지지하는 회전력 전달부(250) 및 상기 장치몸체(200)에서 상기 삽입부(210)의 반대측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부재(300)와 연결되는 연결부(2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Here, the device body 20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210 and the insertion portion 210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end of the work roll to insert the end of the work roll, the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inserted work roll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230 and the insertion portion 210, the rotational force transmission unit 250 for supporting the inserted work roll to rotate together and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insertion unit 210 in the device body 200 And,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nnecting portion 270 connected to the rotating member 300.

우선 상기 삽입부(210)는 상기 장치몸체(200)에서 워크롤이 삽입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이뤄진 부분이다. 도 3에서는 상기 삽입부(210)의 형상이 도시되어 있는데, 워크롤의 형상에 대응하여 일측이 개방된 원통형의 형상을 하고 있다. 그리고 원주방향의 둘레를 따라 원형의 개공홀(213)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스틸 등의 재질로 제작되는 본 발명의 무게를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실제 작업자가 본 발명을 사용함에 있어서 무게는 중요한 요소이므로 최대한 경량화가 필요하다. First, the insertion part 210 is a part into which the work roll is inserted in the apparatus body 200. Therefo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rtion made of a cylindrical shape. In FIG. 3, the shape of the insertion part 210 is illustrated, and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one side open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work roll. In addition, a circular opening hole 213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hich is to reduce the weight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of a material such as steel. In actual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ight is an important factor and thus needs to be as light as possible.

상기 삽입부(210)의 일측에는 삽입된 워크롤을 고정시키는 상기 고정부(230)가 위치한다. 상기 고정부(230)는 상기 삽입부(210)의 일측에 형성된 체결홀(231)과 상기 체결홀(213)을 관통하며, 워크롤을 상기 삽입부(210)에 고정토록 제공되는 고정핀(233) 및 상기 삽입부(210)에서 상기 체결홀(231)에 수직하게 형성된 홀(235)에 투입되며, 상기 체결홀(231)에 투입된 상기 고정핀(233)을 고정시키는 삽입블럭(23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One side of the insertion portion 210 is the fixing portion 230 for fixing the inserted work roll is located. The fixing part 230 passes through the fastening hole 231 and the fastening hole 213 formed at one side of the inserting part 210, and a fixing pin provided to fix the work roll to the inserting part 210. 233 and an insertion block 237 that is inserted into the hole 235 formed perpendicular to the fastening hole 231 in the insertion part 210 and fixes the fixing pin 233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231.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체결홀(231)은 상기 삽입부(210)의 외주면에서 내주면까지 관통하여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핀(233)은 상기 체결홀(231)에 끼워지고 상기 삽입부(210)의 두께보다 더 내측으로 신장되며, 상기 삽입부(210)에 삽입된 워크롤 단부의 후단측에 맞닿으면서 워크롤이 상기 삽입부(210)에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고정핀(233)은 분실방지를 위해 상기 삽입부(210)의 일측에 고리(239)로 연결되어 제공될 수 있다. The fastening hole 231 may be provided to penetrate throug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210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addition, the fixing pin 233 is fitted into the fastening hole 231 and extends further inwardly than the thickness of the inserting portion 210, and is in contact with the rear end side of the work roll end inserted into the inserting portion 210. While the work roll serves to be fixed to the insertion portion (210). In this case, the fixing pin 233 may be provided by being connected to the ring 239 on one side of the insertion part 210 to prevent loss.

상기 체결홀(231)에 상기 고정핀(233)을 삽입하여 워크롤을 상기 삽입부(210)에 고정하더라도 상기 회전부재(300)를 이용한 회전 중 상기 고정핀(233)이 빠지면서 워크롤과 상기 삽입부(210)가 분리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게 위해 상기 체결홀(231)의 수직방향으로 수직홀(235)을 가공하고, 상기 수직홀(235)을 통해 상기 삽입블럭(237)을 삽입하게 된다. Although the fixing pin 233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231 to fix the work roll to the insertion part 210, the fixing pin 233 is removed during rotation using the rotating member 300, and the work roll and the Insertion unit 210 may be separated. To prevent this, the vertical hole 235 is proces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astening hole 231, and the insertion block 237 is inserted through the vertical hole 235.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삽입블럭(237)은 상기 수직홀(235)을 타고 상기 삽입부(210)의 내측으로 상기 체결홀(231)에 일측 단부가 돌출될 때까지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핀(233)이 삽입되어 있는 상태일 것이고 상기 삽입블럭(237)은 상기 고정핀(233)의 하단 둘레에 따라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오목홈(233a)을 맞닿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핀(233)은 단단히 고정되게 된다. Referring to FIG. 5, the insertion block 237 may move on the vertical hole 235 until one end portion protrudes into the fastening hole 231 into the insertion part 210. At this time, the fixing pin 233 is inserted, the insertion block 237 is in contact with the concave groove 233a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long the lower periphery of the fixing pin 233. Accordingly, the fixing pin 233 is firmly fixed.

다만, 상기 고정부(230)의 구성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삽입부(210)의 둘레에 따라 복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삽입부(210)에 워크롤 삽입 후 내측으로 마찰부재(고무, 등)가 장착된 ㄷ 자형 끼움블럭을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방식 등도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미도시).However, the configuration of the fixing part 230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configured in plural according to the circumference of the inserting part 210, and after inserting a work roll into the inserting part 210, the friction member may move inwardly. (Rubber, etc.) may be considered a method of inserting and fixing the c-shaped fitting block is mounted (not shown).

다음으로 상기 삽입부(210)의 내측에는 상기 회전력 전달부(250)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회전력 전달부(250)는 상기 삽입부(210)의 내측에 구비된 안착홈(251) 및 상기 안착홈(251)에 안착되고, 상기 회전부재(300)에 의한 회전력을 워크롤에 전달토록 상기 삽입부(210)의 중심방향측으로 신장된 평행키(25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Next,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ing unit 250 is positioned inside the insertion unit 210.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ing unit 250 is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251 and the seating groove 251 provided inside the insertion portion 210, and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by the rotating member 300 to the work roll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arallel key 255 extending toward the center direc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210.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부(210)의 내측에는 직사각형 모양의 안착부가 가공된다. 상기 안착부에는 단면이 직사각형인 평형키가 안착되게 되고,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결합되게 된다. 그 후 워크롤이 삽입되며 워크롤의 단부 일측에 형성된 홈까지 상기 평행키(255)가 신장되어 끼워져, 워크롤은 상기 평행키(255)와의 면접촉으로 인해 상기 회전부재(300)에 의한 회전력을 전달받게 된다. As shown in FIG. 4, a mounting portion having a rectangular shape is processed inside the insertion portion 210. In the seating portion, a flat key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is seated, and is coupled by a fastener such as a bolt. Thereafter, the work roll is inserted and the parallel key 255 is extended and inserted into a groove formed at one end of the work roll, and the work roll is rotated by the rotating member 300 due to the surface contact with the parallel key 255. Will be delivered.

그런데, 상기 장치몸체(200)는 워크롤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전달받기 위해 상기 회전부재(300)와 연결되어야 하고, 이는 상기 삽입부(210)의 후단측에 위치하는 상기 연결부(270)과 상기 회전부재(300)와 결합됨으로써 이뤄지게 된다. By the way, the device body 200 should be connected to the rotating member 300 to receive the rotational force for rotating the work roll, which is the connection portion 270 is located at the rear end side of the insertion portion 210 It is made by being combined with the rotating member 300.

여기서, 상기 연결부(270)는 상기 회전부재(300)의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회전부재(300)의 회전에 대응토록 다각형의 형상을 가진 삽입돌기(271) 및 상기 삽입부(210)에 복수의 체결구에 의해 결합되는 플랜지(27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Here, the connection portion 270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rotating member 300, a plurality of insertion protrusions 271 and the insertion portion 210 having a polygonal shape to correspond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member 300. It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a flange 273 is coupled by a fastener of.

상기 연결부(270)는 상기 장치몸체(200)에서 상기 삽입부(210)의 반대측에 위치한다. 상기 연결부(270)에서 원주방향으로 돌출된 상기 플랜지(273)가 볼트 등의 복수의 체결구에 의해 상기 삽입부(210)에 장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돌기(271)는 상기 플랜지(273)의 반대측에 위치하며, 상기 회전부재(300)에 삽입되어 면접촉을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다각형의 형상으로 제공된다. The connection portion 270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insertion portion 210 in the device body 200. The flange 273 protru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connecting portion 270 is mounted to the insertion portion 210 by a plurality of fasteners such as bolts. In addition, the insertion protrusion 271 is position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lange 273, and is inserted into the rotation member 300 and provided in a polygonal shape so as to receive rotation force through surface contact.

상기 회전부재(300)는 상기 장치몸체(200)의 연결부(270)와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게 되는데, 여기서 상기 회전부재(300)는 상기 삽입돌기(271)가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돌기(271)의 다각형의 형상에 대응하는 복수의 요철부(317)가 구비된 결합부(310) 및 상기 결합부(310)의 반대측에 배치되고, 상기 결합부(310)를 중심축으로 하여 일정각도로 회동되며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핸들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rotation member 30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270 of the device body 200, and transmits a rotational force, wherein the rotation member 300 is the insertion projection so that the insertion protrusion 271 can be mounted. The coupling part 310 provided with the plurality of uneven parts 317 corresponding to the polygonal shape of 271 and the opposite side of the coupling part 310, are fixed with the coupling part 310 as a central axis.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handle portion 330 is rotated at an angle to generate a rotational force.

즉 상기 핸들부(330)를 이루는 원통형 바를 작업자가 잡고 일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상기 결합부(310)가 회전축이 되어 회전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복수의 요철부가 내측으로 형성된 상기 결합부(310)에 연결된 상기 삽입돌기(271)가 복수의 면접촉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게 된다. That is, when the operator grasps the cylindrical bar constituting the handle part 330 and rotates it in one direction, the coupling part 310 becomes a rotation axis, and a rotation force is generated. In this case, the insertion protrusion 271 connected to the coupling part 310 formed with a plurality of uneven parts is received with a rotational force through a plurality of surface contacts.

여기서, 상기 결합부(310)는 양방향 래칫 기술(ratchet)이 적용될 수 있다. Here, the coupling portion 310 may be a bidirectional ratchet technique (ratchet) is applied.

도 4에는 양방향 래칫 방식에 대한 확대단면도를 확인할 수 있다. 우선 상기 결합부(310)의 내부에는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일정한 공간의 중앙부에는, 내측에는 상기 복수의 요철부(317)가 형성되고, 외측에는 원주방향으로 기어부(315)가 형성된 회전블럭이 배치된다. In Figure 4 can be seen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bidirectional ratchet method. First,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inside the coupling part 310, and a plurality of concave-convex portions 317 ar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predetermined space, and a gear block 315 is formed at the outer sid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placed.

그리고, 상기 회전블럭의 상단에는 상기 기어부(315)의 일측을 맞닿으며 일방향으로 회전만을 가능하게 하고, 반대방향으로의 회전을 제한토록 하는 고정바(319)이 설치된다. 상기 고정바(319)의 중앙부는 상기 결합부(310)에 고정되어 일정 각도를 회전토록 제공된다. In addition, a fixing bar 319 is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rotation block to allow only rotation in one direction while contacting one side of the gear unit 315 and limit rotation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xing bar 319 is fixed to the coupling portion 310 is provided to rotate a predetermined angle.

또한, 상기 고정바(319)의 상단에는 이동블럭(313)이 설치된다. 상기 이동블럭(313)은 상기 결합부(310)에 형성된 이동홈을 따라 일정 범위를 이동한다. 상기 이동블럭(313)의 내부에는 코일스프링, 디스크스프링 등의 탄성체(311)가 설치되며, 상기 탄성체(311)와 연결되어 있는 돌기부가 상기 고정바(319)의 상부에 맞닿아 있다. 작업자가 상기 이동블럭(313)을 이동시키면 상기 돌기부가 상기 고정바(319)를 타고 이동하며, 상기 회전블럭의 회전방향을 전환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양방향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In addition, a moving block 313 is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fixing bar 319. The moving block 313 moves a predetermined range along the moving groove formed in the coupling portion 310. An elastic body 311, such as a coil spring and a disk spring, is installed inside the movable block 313, and a protrusion connected to the elastic body 311 is in contact with an upper portion of the fixing bar 319. When the worker moves the movable block 313, the protrusion moves on the fixing bar 319, thereby changi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tion block, thereby enabling bidirectional rotation.

양방향 래칫 기술을 적용하는 경우 실제 압연롤이 설치되어 있는 좁은 공간에서 작업자의 위치에 따라 양방향으로 지속적인 회전이 가능하게 되므로 장소의 제한없이 보다 수월하게 압연롤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When the bidirectional ratchet technology is applied,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rotate in both directions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operator in a narrow space where the actual rolling roll is installed, so that the rolling roll can be rotated more easily without any restriction on the pla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성은 위와 같으며. 이하에서는 작동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
The configuration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above. Hereinafter, the operation process will be described.

도 6은 본 발명인 워크롤 회전장치를 이용하여 워크롤을 회전시키는 상태도이다. 6 is a state diagram of rotating the work roll by using the work roll rota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를 참고하면, 고온 소재를 압연하는 과정 중에 가열되는 워크롤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 압연기에 제공된 스트리퍼를 통해 워크롤측으로 지속적으로 냉각수를 공급되게 되고, 그 후 압연 공정을 잠시 중단하고 대기하는 과정 중에 워크롤의 표면에 잔류하는 수분으로 인해 워크롤의 표면에 산화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이는 차후 제품의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고 작업자는 이를 방지하게 위해 워크롤 표면에 잔류하는 수분을 제거하는 작업을 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 6, the cooling water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work roll through a stripper provided in the rolling mill to lower the temperature of the heated work roll during the rolling of the hot material, and then the rolling process is temporarily stopped and waited. Due to moisture remaining on the surface of the work roll, oxidation occurs on the surface of the work roll. This will greatly affect the quality of the product in the future and the operator will work to remove the moisture remaining on the work roll surface to prevent this.

먼저 작업자는 상기 장치몸체(200)의 삽입부(210)에 워크롤의 단부를 끼워넣도록 한다. 워크롤의 단부가 상기 삽입부(210) 내측으로 깊숙히 삽입되었으면, 상기 고정핀(233)을 상기 체결홀(231)에 삽입한 후 상기 삽입돌기(271)를 상기 체결홀(231)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수직홀(235)에 상기 고정핀(233)의 오목홈에 맞닿을 때까지 밀어 넣는다. 이때 상기 삽입부(210)의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평행키(255)와 워크롤의 일측에 형성된 홈은 면접촉하고 있을 것이다. First, the operator to insert the end of the work roll in the insertion portion 210 of the device body 200. When the end of the work roll is deep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210, the fixing pin 233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231, and then the insertion protrusion 271 is perpendicular to the fastening hole 231. Push into the vertical hole 235 formed until the contact with the concave groove of the fixing pin 233. At this time, the parallel key 255 positioned inside the insertion portion 210 and the groove formed on one side of the work roll will be in surface contact.

이제 작업자는 상기 회전부재(300)의 핸들부(330)를 잡고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회전부재(3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장치몸체(200)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장치몸체(200)와 연결된 상기 워크롤도 전, 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Now when the worker grabs the handle 330 of the rotating member 300 and move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the device body 200 is rotat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member 300, the device body ( The work roll connected to 200 is also rotat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작업자는 워크롤을 이리저리 회전시키며, 천, 헝겊 등을 통해 워크롤의 표면을 함께 닦도록 한다. The operator rotates the work roll around, and wipes the surface of the work roll together with cloth, cloth, and the like.

만약 워크롤의 크기가 크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인 워크롤 회전장치의 형상 또한 커야 한다면 이는 상당한 무게를 가지게 될 것이며, 작업자가 일체로 결합된 형태로 본 발명을 사용하기에는 불편함이 있을 것이다.If the size of the work roll is large, and thus the shape of the work roll rota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also be large, it will have a considerable weight, and it will be inconvenient to use the present invention in a form in which the worker is integrally combined.

이 경우 먼저 상기 장치몸체(200)의 삽입부(210)에 상기 평행키(255)만을 결합시킨 상태에서 워크롤 단부에 장착하고, 그 후 상기 고정핀(233) 및 삽입블럭(237)을 통해 워크롤을 상기 삽입부(210)에 단단히 고정한 다음, 상기 연결부(270)의 삽입돌기(271)에 상기 회전부재(300)의 결합부(310)를 장착하여 사용하게 된다. In this case, the mounting unit 210 is mounted on the end of the work roll in a state where only the parallel key 255 is coupled to the insertion unit 210 of the device body 200, and then through the fixing pin 233 and the insertion block 237. After the work roll is firmly fixed to the insertion part 210, the coupling part 310 of the rotating member 300 is mounted on the insertion protrusion 271 of the connection part 270 to be used.

이는 단위 구성요소별로 사용하게 되므로, 작업자가 실제 작업환경에서 사용함에 있어서 무게로 인해 불편함은 해소되게 된다. 그리고 작업 종료 후에는 다시 개별적으로 분리하여 해제할 수 있을 것이다. Since it is used for each unit component, the inconvenience caused by the weight in the operator's use in the actual working environment is eliminated. After the end of work, you will be able to separate and release them again.

또한, 상기와 같이 래칫방식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좁은 공간에서 워크롤을 회전시키는 때에도 양방향으로의 지속적인 회전이 가능하게 되므로 워크롤 표면의 수분제거가 보다 수월해질 것이다. In addition, when the ratchet method is applied as described above, even when the work roll is rotated in a narrow space, continuous rotation in both directions is possible, and thus water removal of the work roll surface will be easier.

이상의 구성과 작동과정을 통해 워크롤이 용이하게 회전됨에 따라 압연공정 중 워크롤의 가열을 식히기 위해 분사되고 워크롤의 표면에 전반적으로 잔류하는 수분을 수월히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As the work roll is easily rotated through the abov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process, it can be expected to easily remove the moisture remaining in the surface of the work roll and sprayed to cool the work roll during the rolling process.

이상의 사항은 워크롤 회전장치의 특정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다.The foregoing merely illustrates specific embodiments of the work roll rotating device.

따라서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한 형태로 치환, 변형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혀 두고자 한다.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do.

200...장치몸체 210...삽입부
230...고정부 231...체결홀
233...고정핀 235...수직홀
237...삽입블럭 250...회전력 전달부
251...안착홈 255...평행키
270...연결부 271...삽입돌기
273...플랜지 300...회전부재
310...결합부 330...핸들부
200 ... device body 210 ... insert
230 ... Government 231 ... Signing Hall
233 fixing pin 235 vertical hole
237 insert block 250 ...
251 Seating groove 255 Parallel key
270 ... connections 271 ... insertion protrusion
273 Flange 300 Rotating member
310 ... Joint 330 ... Handle

Claims (6)

워크롤의 단부에 결합되는 장치몸체(200); 및
상기 장치몸체(200)와 연계되고, 상기 장치몸체(200)가 회전토록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부재(300);를 포함하되,
상기 장치몸체(200)는, 워크롤의 단부를 삽입 가능토록 워크롤의 단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 삽입부(210);와 상기 삽입부(210)에 설치되고, 삽입된 워크롤을 고정시키는 고정부(230);와 상기 삽입부(210)의 내측에 장착되고, 삽입된 워크롤이 함께 회전토록 지지하는 회전력 전달부(250); 및 상기 장치몸체(200)에서 상기 삽입부(210)의 반대측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부재(300)와 연결되는 연결부(2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롤 회전장치.
An apparatus body 200 coupled to an end of the work roll; And
And a rotating member 300 associated with the device body 200 and generating the rotational force so that the device body 200 rotates.
The apparatus body 200, the insertion portion 210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end of the work roll so that the end of the work roll can be inserted; and is installed in the insertion portion 210, to fix the inserted work roll A fixed force 230; and a rotation force transmission unit 250 mounted inside the insertion unit 210 and supporting the inserted work roll to rotate together; And a connecting portion (270)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insertion portion (210) in the apparatus body (200) and connected to the rotating member (300).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30)는,
상기 삽입부(210)의 일측에 형성된 체결홀(231);
상기 체결홀(231)을 관통하고 워크롤의 단부 후단까지 신장되며, 워크롤을 상기 삽입부(210)에 고정토록 제공되는 고정핀(233); 및
상기 삽입부(210)에서 상기 체결홀(231)에 수직하게 형성된 홀(235)에 투입되며, 상기 체결홀(231)에 투입된 상기 고정핀(233)을 고정시키는 삽입블럭(237);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롤 회전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xing part 230,
A fastening hole 231 formed at one side of the insertion part 210;
A fixing pin 233 penetrating through the fastening hole 231 and extending to the rear end portion of the work roll to fix the work roll to the insertion part 210; And
An insertion block 237 which is inserted into the hole 235 perpendicular to the fastening hole 231 in the insertion part 210 and fixes the fixing pin 233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231;
Rotating work rol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력 전달부(250)는,
상기 삽입부(210)의 내측에 구비된 안착홈(251); 및
상기 안착홈(251)에 안착되고 워크롤의 단부 일측에 형성된 홈에 끼워지며, 상기 회전부재(300)에 의한 회전력을 워크롤에 전달토록 상기 삽입부(210)의 중심방향측으로 신장된 평행키(25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롤 회전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rotation force transmission unit 250,
A seating groove 251 provided inside the insertion unit 210; And
A parallel key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251 and fitted into a groove formed at one end of the work roll, and extended to the center direction of the insertion part 210 so as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by the rotating member 300 to the work roll. (255);
Rotating work rol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270)는,
상기 회전부재(300)의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회전부재(300)의 회전에 대응토록 다각형의 형상을 가진 삽입돌기(271); 및
상기 장치몸체(200)에 복수의 체결구에 의해 결합되는 플랜지(27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롤 회전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nection part 270,
An insertion protrusion 271 mounted on one side of the rotating member 300 and having a polygonal shape to correspond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member 300; And
A flange 273 coupled to the apparatus body 200 by a plurality of fasteners;
Rotating work rol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300)는,
상기 삽입돌기(271)가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돌기(271)의 다각형의 형상에 대응하는 복수의 요철부가 구비된 결합부(310); 및
상기 결합부(310)의 반대측에 배치되고, 상기 결합부(310)를 중심축으로 하여 일정각도로 회동되며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핸들부(3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롤 회전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rotating member 300,
A coupling part 310 having a plurality of uneven parts corresponding to a polygonal shape of the insertion protrusion 271 so that the insertion protrusion 271 may be mounted; And
A handle part 330 disposed on an opposite side of the coupling part 310 and rotating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coupling part 310 as a central axis to generate a rotational force;
Rotating work rol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KR1020120030561A 2012-03-26 2012-03-26 Apparatus for rotating work roll KR1013591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561A KR101359185B1 (en) 2012-03-26 2012-03-26 Apparatus for rotating work ro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561A KR101359185B1 (en) 2012-03-26 2012-03-26 Apparatus for rotating work rol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8807A KR20130108807A (en) 2013-10-07
KR101359185B1 true KR101359185B1 (en) 2014-02-06

Family

ID=49631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0561A KR101359185B1 (en) 2012-03-26 2012-03-26 Apparatus for rotating work rol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9185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1777A (en) * 1998-02-05 1999-08-17 Yutani Heavy Ind Ltd Oil filter replacement auxiliary tool
JP2004345011A (en) * 2003-05-21 2004-12-09 Suekage Sangyo Co Ltd Ratchet wrench
KR100861069B1 (en) 2008-04-11 2008-09-30 주식회사 월드툴 Ratchet wrench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1777A (en) * 1998-02-05 1999-08-17 Yutani Heavy Ind Ltd Oil filter replacement auxiliary tool
JP2004345011A (en) * 2003-05-21 2004-12-09 Suekage Sangyo Co Ltd Ratchet wrench
KR100861069B1 (en) 2008-04-11 2008-09-30 주식회사 월드툴 Ratchet wren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8807A (en) 2013-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45927B (en) Device and method for severing adhesive bulge of disk
JP2009011146A (en) Spacer jig for replacing spacer damper in overhead power line, and method for replacing spacer damper using spacer jig
US2011021961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talling and removing wheel studs
KR101359185B1 (en) Apparatus for rotating work roll
KR101290464B1 (en) Fastening apparatus for nut
KR101149245B1 (en) jig for riveting brake liner of hoist brake
KR200444753Y1 (en) Apparatus for disassembling and assembling retaining ring of rotor used in generator
US10207383B2 (en) Finishing device
KR20130003976U (en) Utility line for mounting suporting jig
JP7428974B2 (en) Glass plate manufacturing method and tool for grinding device
KR100957904B1 (en) Apparatus for changing the straighting roll of the leveler
JP2007198454A (en) Piston draw-out tool for disk brake
JP2004314173A (en) Device for holding at least one roll of rolling mill
JPH07284822A (en) Device for attachment of roll set to roll support stand and its detachment therefrom
US20150079884A1 (en) Roll polisher apparatus and method
KR20090005073U (en) Jig for disassembling coupling
CN210939065U (en) Disassembling tool for clutch
KR102050079B1 (en) Pipe connector of scaffold pipe
CN216913571U (en) Fixing device for pipeline groove machining
US1053797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heel maintenance
JP2017180051A (en) Pulling-in device for building panel
CN110539337A (en) Locking device for hydraulic accessory connecting device
KR101640128B1 (en) Bearing structure for rotation axis disassemble
US4021900A (en) Mill roll mounting
CN219925872U (en) Device for separating bearing inner ring and ba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