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8592B1 - 소방전원 보존형 전력제어 시스템 배전반과 보조 제어장치 및 그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소방전원 보존형 전력제어 시스템 배전반과 보조 제어장치 및 그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8592B1
KR101358592B1 KR1020130080217A KR20130080217A KR101358592B1 KR 101358592 B1 KR101358592 B1 KR 101358592B1 KR 1020130080217 A KR1020130080217 A KR 1020130080217A KR 20130080217 A KR20130080217 A KR 20130080217A KR 101358592 B1 KR101358592 B1 KR 101358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power
emergency
control device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0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강
이동희
Original Assignee
이동희
이원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희, 이원강 filed Critical 이동희
Priority to KR1020130080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85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8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8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4Circuit arrangements for boards or switchyar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2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 H02J3/14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by switching loads on to, or off from, network, e.g. progressively balanced load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ynamo-electric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방전원 보존형 배전반 및 보조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용도별로 구분되는 부하인 소방부하와 비상부하가 포함된 비상전원의 변화되는 전력 값을 계측기기 또는 제어장치를 통해 감지하여 보호 CPU 또는 발전기 제어반 또는 보조 제어장치에서 사전에 비상발전기의 정격출력용량 설정에 따라 자동으로 연계되어 저장된 고정적인 설정값 및 임시적인 임의의 수동 입력으로 저장된 설정값에 의하여 각각 소방전원 보존 작동장치와 그 표시장치의 작동을 배전반 및 보조 제어장치로서 구현되게 하여, 화재 발생 시에 비상전원의 연속공급을 보장하여 소방안전성을 안정적으로 구현하면서 과부하 조건이 아닌 비 화재 시의 시운전 성능 시험이 현장에서 가능하게 하고, 또한 화재 신호로 화재 여부를 구분한 연계 작동으로 비화재시 운전용량 사용률 증대를 이룩하고, 또한 비상용 주전원차단기와 그 하단의 비상용차단기의 작동으로서 소방전원 보존 작동은 보호 협조 관계를 구성하여 여하한 경우에도 비상용 주전원차단기가 작동되기 전에 비상용차단기를 일괄 또는 순차 제어시켜, 비상용차단기가 차단되기 전에는 주전원차단기와 소방용차단기가 차단되지 않게 하여 화재 시 비상전원의 연속공급 보장으로 소방안전성을 확보하고, 배터리 성능 상태를 배전반에서 수시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하여 전력설비의 안전성과 관리 효율을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방전원 보존형 전력제어 시스템 배전반과 보조 제어장치 및 그 운용방법{Power control system switchboard and auxiliary controller for reserved the power of the fire-fighting and the method of operation}
본 발명은 소방부하 및 비상부하 겸용의 자가발전설비로서 소방부하와 동등 이상의 기준으로 정격출력용량을 산정하여 사용하는 소방전원 보존형 전력제어 시스템 배전반 및 보조 제어장치에 있어서, 비상용발전기의 변화되는 비상전원 전력 값을 계측장치 또는 제어장치를 통해 감지하여 과부하 방지를 위하여 비상용차단기를 제어함에 있어서, 배전반의 보호 CPU 또는 제어장치 또는 보조 제어장치 중 하나에서 사전에 정격출력용량을 기준으로 고정적으로 작동을 위한 설정 값 및 현장 작동 시험을 위한 임시 조작에 의한 설정 값에 의하되 두 값 중 더 낮은 설정 값에서 소방전원 보존 작동장치와 그 표시장치의 작동을 배전반 또는 제어장치 또는 보조 제어장치에 구현하고, 또한 화재 시와 비 화재 시를 구분하여 작동케 함으로써 현장에서 쉽게 발생 가능한 인적 조작 실수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하고, 운영 효율과 안전성을 높인 소방전원 보존형 전력제어 시스템 배전반 및 보조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소방부하: 소방부하라 함은 소방 관련 법령에 의한 소방시설의 전력부하 및 건축법령에 의한 피난설비, 방화설비, 소화활동설비의 전력부하를 말한다. 또한 의료시설의 경우 의료장비 그리고 소방시설의 작동으로 침수 피해 우려가 있는 곳은 배수펌프 등이 포함된다.
비상부하: 비상부하라 함은 소방부하 이외의 비상 정전 시에 사용되는 전력부하를 말한다. 비상부하 용량은 소방부하와 비슷한 경우가 많다.
비상전원: 비상전원은 소방부하에 정전 및 화재 시에 비상발전기를 통하여 공급되는 소방전원이다. 이는 비상부하에 정전 시 공급되는 예비전력용 비상발전기를 통해 공급되는 예비전원과 구별된다.
자가발전설비: 자가발전설비라 함은 소방부하 비상전원 및 비상부하용 예비전원을 제공하는 자가발전설비로서 소방전용 발전기, 비상전용 발전기, 소방겸용 발전기(합산용량발전기), 소방전원 보존형 발전기를 지칭하며 비상발전기라고도 총칭하여 말한다. 이러한 용도별 발전기의 구분과 비상전원과 예비전원의 전기적인 구분은 소방전원 보존 및 그 작동의 필요성과 중요성 발굴에 따른 본 출원인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소방전원보존형 발전기의 발명 특허공개에 의한 것이다. 이는 소방방재청 고시 제2011-27호(2011.11.24.)에 의해 개정된 스프링클러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준 및 대한전기협회에서 2011.1.21.일자로 개정 고시한 내선규정 제4168-9(발전기의 용량)에 의하여 제도화되어 새롭게 확립된 기종 구분이다.
소방전용 발전기: 소방전용 발전기라 함은 화재 시에 사용되는 소방시설 및 방화시설 등의 전력부하를 충족시키는 용도로서 비상전원용 비상발전기를 말한다. 소방전용 발전기 설치 시 비상전용 발전기는 별도로 설치된다.
소방겸용 발전기: 소방겸용 발전기라 함은 소방 및 비상 겸용의 발전기로서 소방부하와 비상부하의 합계용량을 기준으로 정격출력용량을 산정한 비상발전기를 말하며 합산용량 발전기라고도 칭한다.
소방전원보존형 발전기(EPS-F; Emergency Power System for Fire-fighting power): 소방전원보존형 발전기라 함은 상용전원 공급 중단 시 소방부하 및 비상부하에 비상전원을 동시 공급하고, 화재 및 정전 동시 발생 시에도 소방부하 및 비상부하에 비상전원을 동시 공급하는데, 다만, 화재 확대 시에는 발전기의 부하 용량을 감시하여 과부하 조건이 되는 경우에 한하여 비상부하의 일부 또는 전부를 차단하여 소방부하에 비상전원을 연속 공급하는 작동장치와 표시장치를 가진 비상용발전기이다.
즉, 주 전원 차단기, 상기 주 전원 차단기 하단에 분기된 비상용 차단기 및 소방용 차단기를 포함하며, 상용전원 정전 시에 사용되는 비상전원용 자가발전기로서 비상용과 소방용을 겸용하는 소방전원 보존형 발전기에 있어서, 주 전원 선로에서의 전력부하 변화를 감지하는 계측장치, 및, 입력 측은 상기 계측장치에 연결되고, 출력 측은 상기 비상용차단기에 연결되어, 상기 계측기기로부터 입력된 부하 변화 값이 설정된 값에 도달된 때 상기 정전용 차단기를 우선적으로 차단시킴으로써 상기 정전용 차단기가 차단되기 전에는 상기 주 전원 차단기가 차단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기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화재 상황에서도 비상용발전기 과부하 상태에 도달할 때까지 비상부하 및 소방부하 동시 공급되게 하고, 최종적으로는 소방전원을 우선 보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전원보존형 발전기이다.
주전원차단기: 주전원 차단기라 함은 발전기 주전원 선로에 설치된 발전기 및 전력설비의 보호를 위한 차단기를 말한다.
소방용차단기: 소방용 차단기라 함은 주전원 선로에서 분기된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소방부하용 차단기를 말한다. 소방용차단기는 소방안전을 위해 여하한 경우도 제어대상이 아니 된다.
비상용차단기: 비상용 차단기라 함은 주전원 선로에서 분기된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비상부하용 차단기를 말한다. 비상용차단기는 비상전원의 과부하 발생 시 제어대상이 된다.
소방전원 보존형 제어장치용 전력제어 시스템 배전반: 소방전원 보존형 제어장치용 전력제어 시스템 배전반이란 자가발전설비로서 소방전원보존형 발전기의 특성을 발전기 제어장치 외부에서 구현하는 전자화 배전반을 말한다. 또한 넓게는 보조 제어장치나 기타 이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특성을 가지는 제반 전력제어시스템을 포함하여 말한다.
보조 제어장치: 보조 제어장치라 함은 자가발전설비의 제어장치에 부가하여 사용하는 제어장치로서, 도면에서 표시되는 배전반의 기능을 소방전원 보존 작동 기능 중심으로 축소하여 대체 적용하는 것이며, 계측기기(발전기 제어장치를 포함한다.)에서 감지된 전력부하 변화 값(전류, 전압, 주파수 등을 포함한다.)에 의해 소방전원 보존 작동이 이루어지게 하는 보조용 제어장치를 말한다.
제어장치: 자가발전설비의 운전, 정지, 보호, 경보, 작동 표시를 하는 컨트롤러를 말한다.
설정 값: 설정 값이라 함은 비상전원의 화재 시 또는 비 화재 시 사용 조건의 변화에 따른 시간대별 전력 변화를 전력 값 및 주파수 값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일정한 부하에 도달하면 작동하도록 입력하여 배전반 또는 제어장치 또는 보조 제어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된 작동 값을 말한다.
기존의 배전반은 보드(Board)에 부착된 각종 계기류에 의하여 전력계통 및 전력기기의 상태를 감시하고 제어반의 제어스위치에 의하여 기기를 현장 조작 및 원격조작하기도 하며 램프의 표시 상태에 의하여 개폐기의 개폐상태를 알 수 있으며 각종릴레이에 의하여 기기 및 전선로의 이상 상태를 검출하여 선택 차단 및 경보 등을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배전반의 구성은 계기, 표시등, 조작개폐기, 보호 계전기, 경보장치 등의 감시제어용 기기와 개폐기 등의 주회로기기로 구성된다.
그 중에 전자화 제어반은 보호, 계측, 제어, 표시, 통신, 기능이 일체화된 디지털(Digital)형 집중 표시 감시제어장치를 사용, 주회로를 제외한 모든 부분이 전자화됨으로써 설비의 간소화 및 통합 감시 제어시스템의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킨 배전반이다.
그런데 기존의 제어시스템을 갖춘 배전반은 상용전원용이거나 합산용량발전기나 비상전용발전기로서 예비전원용에 적용되어 왔으며, 비상부하를 만족하는 예비전원용 비상용 발전기 및 소방부하를 만족하는 비상전원용 소방전용 발전기를 하나로 겸용하여 사용하면서 소방부하 용량 또는 그 두 부하용량 중 하나만 만족하는 발전기를 적용할 때 과부하 방지 및 소방 안전을 위한 소방전원보존형 발전기가 본 출원인의 발명과 제안에 의해 새로운 기종으로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소방전용 발전기 등을 사용하면서 소방부하와 비상부하를 동시에 충족시키며 소방전원을 보존 작동에 있어서 설정 값 현장 설정과정에서 인적 실수에 의한 오조작의 오류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하면서 소방전원 보존 작동을 할 수 있는 전력제어시스템을 가진 배전반은 제공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기존의 전력제어 시스템은 소방부하 용량만을 적용한 구조적인 용량 부족 조건의 소방 및 비상 겸용 발전기에서 화재 발생 시에 소방전원을 보존하기 위해 적용한 것이 아니라는 한계점과 설령 적용한다 하더라도 인적 실수에 의한 오조작에 의한 미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되지 않고 있는 것이 문제이다. 또한 비상발전기의 결함은 소방시설의 미작동을 초래하며, 소방방재청 통계에 의하면 화재 발생시에 소방시설 미작동에 의한 인명피해는 막대하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 소방전원 보존형 발전기가 개발되어 시중에 보급 중에 있으나, 발전기 제어반뿐 아니라 상주근무자가 근무하거나 접근이 용이한 배전반실 또는 MCR(Main Control Room)에 배치된 배전반에서 그 소방전원 보존 작동 및 표시의 특징 제공이 필요하나 제공되지 않고 있다. 종전의 배전반 또는 전력제어시스템은 소방전원 보존을 위해 비상전원 과부하를 감지하여 비상용차단기를 차단할 필요성이 제시되지 않았다. 그 이유는 비상부하는 끝까지 공급되어야 하는 대상으로 간주하였던 관계로 비상부하에는 과부하 개념이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소방부하와 비상부하 겸용으로서 과부하가 초래되는 조건을 발굴하고 소방부하와 비상부하가 동시 사용될 때는 인명에 관계되는 소방부하를 우선 보호하고 생활에 불편과 재산상의 손해에 그치는 비상부하를 일시 차단 또는 제어하는 배전반이 요구된다. 또한 이에 나아가 이러한 기본적인 제어시스템이 인적인 조작 실수로서 설정 오류 등에 의한 오작동이나 미작동 될 경우를 대비하여 이를 예방하는 시스템을 구성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킨 배전반이 요구된다. 또한 소방전원 보존 제어 단계별로 해당 제어단계의 제어 용량을 초과하는 소방부하 용량 증가 단계가 발생될 경우 과부하가 초래되어 효과적인 제어에 실패할 수 있는 조건이 되는 바 이에 대한 예방 조건이 제공되지 않고 있고, 또한 화재신호와 연계되어 안전성과 효율성이 향상된 작동 시스템이 요구되는데 현재까지 그러한 부분이 제공되지 않고 있는 것이 문제점이다.
또한 비상발전기의 배터리는 미처 인지하지 못한 채 방전되어 긴급히 운전되어야 할 정전 시 또는 화재 시에 기동이 불가능한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는바, 이를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되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적인 문제점이다. 일례로서 소방방재청 조사 보고에 의하면 2011년 9월 15일 전국 순환정전 시 비상발전기가 가동되지 아니하여 승강기 및 비상승강의 가동이 중지되어 승객이 갇힌 사고 건수가 1,902건에 소방대 출동에 의해 구조된 인명수는 2,901명이 발생된 바 있다. 그런데 비상발전기의 미 작동 원인은 배터리 결함이 큰 비중을 차지하지만, 지금까지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배터리 성능의 수시 확인 조건의 필요성을 발굴하여 유효한 장치를 고안하여 개시한 사례가 없었다.
한편 기존에 개시된 기술내용 중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소방전원 보존형 발전기 컨트롤러에도 유사한 기능이 있으나, 그 적용분야가 다르며 배전반에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은 전혀 개시된 바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종래의 기술사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배전반에서 소방전원 보존 작동과 표시장치의 특징을 부여하고, 또한 이에 더욱 안전성이 강화된 작동 방법을 배전반에 부여하여 일반 정전 시뿐 아니라 화재 및 정전 시에 소방안전 성능이 강화되고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배전반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특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소방부하 및 비상부하 겸용의 자가발전설비로서 소방부하 기준 또는 두 부하 중 더 큰 한쪽 부하용량 기준으로 정격출력용량을 산정하여 사용하는 소방전원 보존형 전력제어 시스템 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배전반에 비상용발전기 주전원 선로에서 전력 또는 주파수 중의 하나 이상으로써 변화되는 전력 값을 감지하는 계측기기 또는 제어장치 중의 하나에서 디지털 배전반 또는 보조 제어장치 중 하나의 입력부에 도입하고, 계측된 전력 변화 값이 보호 CPU 또는 메모리 중의 하나에 정격출력용량 설정과 연계 설정된 고정적인 설정 값 및 현장에서 소방전원 보존 작동 시험을 위한 임시 설정 값 중 하나에 도달되면 출력 신호를 발생하여 하나 이상의 비상용차단기가 일괄 또는 순차 차단 중의 하나로 제어되고,
임시 설정 값은 인위적인 원상 복구 없이도 일정시간 경과 후 자동 소멸되게 하여, 현장에서의 인적 오류에 의한 설정 값 오조작 여부에 상관없이 비상용차단기가 차단되기 전에는 주전원차단기 및 소방용차단기가 차단되지 않게 하며, 신호에 의해 그 소방전원 보존 작동 내용의 표시가 표시부에 이루어지게 하여,
비상용발전기의 소방 안전성과 용량 측면의 경제성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전원 보존형 전력제어 시스템 배전반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소방부하 및 비상부하 겸용의 자가발전설비로서 소방부하 기준 또는 두 부하 중 더 큰 한쪽 부하용량 기준으로 정격출력용량을 산정하여 사용하는 소방전원 보존형 전력제어 시스템 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배전반에 비상용발전기 주전원 선로에서 전력 또는 주파수 중의 하나 이상으로써 변화되는 전력 값을 감지하는 계측기기 또는 제어장치 중의 하나에서 디지털 배전반 또는 보조 제어장치 중 하나의 입력부에 도입하고, 화재신호가 있을 때 계측된 전력 변화 값이 보호 CPU 또는 메모리 중의 하나에 정격출력용량 설정과 연계 설정된 고정적인 설정 값 및 현장에서 소방전원 보존 작동 시험을 위한 임시 설정 값 중 하나에 도달되면 출력 신호를 발생하여 하나 이상의 비상용차단기가 일괄 또는 순차 차단 중의 하나로 제어되고,
화재신호가 없을 경우에도 출력이 일정 값 이상이 되면 소방전원 보존 작동이 이루어지게 하고,
임시 설정 값은 인위적인 원상 복구 없이도 일정시간 경과 후 자동 소멸되게 하여, 현장에서의 인적 오류에 의한 설정 값 오조작 여부에 상관없이 비상용차단기가 차단되기 전에는 주전원차단기 및 소방용차단기가 차단되지 않게 하며, 신호에 의해 그 소방전원 보존 작동 내용의 표시가 표시부에 이루어지게 하여,
비상용발전기의 소방 안전성과 용량 측면의 경제성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전원 보존형 전력제어 시스템 배전반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비상발전기의 기동용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배전반에서 원격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 안전 성능 및 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킨 소방전원 보존용 전력제어 시스템 배전반을 제공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설비 중 소방전원보존형 발전기의 작동 및 표시의 특징을 디지털 배전반 또는 보조 제어장치를 통하여, 상대적으로 소규모 용량 적용으로 소방전용 발전기 용량 규모로서 소방전원 보존형 발전기의 성능을 구현하게 하고, 이에 인적 오 조작에 따른 미작동의 위험성을 해소하여 안전성이 더욱 강화된 운용방법을 부여함으로서, 시공비가 대폭 절감되는 경제적인 비상용발전기를 사용하여도 화재 및 정전 시에도 소방시설용 비상전원 설비의 성능을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해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 구성도로서, 배전반의 조작 장치 및 표시장치에 일점쇄선 박스 부분은 기존에 없던 입력과 출력을 추가하여 비상발전기에 대해 소방전원 보존 작동 및 표시 사항의 특징을 부여한 배전반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배전반과 비상용발전기, 주전원차단기, 소방전원차단기, 비상용차단기의 구성과 소방전원 보존형 작동을 위한 제어선로의 결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인적인 오류에 의한 미작동을 해소하는 안전강화용 소방전원 보존 작동이 되게 하는 디지털 배전반 및 보조 제어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는 화재신호 동시 도입에 의해 구분 작동되어 용량 운영 효율을 높이고, 인적인 오류에 의한 미작동을 해소하는 안전강화용 소방전원 보존 작동이 되게 하는 디지털 배전반 및 보조 제어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소방전원 보존 작동 방법의 표시도로서 배터리 테스터 신호입력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방전원 보존형 전력제어 시스템 배전반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전자화 배전반의 전력보호 감시 장치의 블록다이어그램(BLOCK DIAGRAM)의 일례이며, 일점쇄선 박스 이외의 부분은 기존의 전자화배전반의 감시 및 조작 장치 및 표시장치의 일례이고, 일점쇄선 부분으로서 기존의 상용전원의 전력 변화 값을 계측하는 계측기와는 별도로 비상전원으로부터 전력 변화 값을 계측하는 계측기인 CT 및 PT로부터 전력 변화 값을 도입하고, 화재신호 및 배터리 테스터 신호를 추가로 도입하여 프로그램에 의한 작동 방법과 안전 관리의 효율성 향상을 위한 표시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의 특징을 구성한다.
도 1에서, S/H(Sample & Holder), MUX(Multiplexer), A/D변환부, LPF(Low Pass Filter), PGA(Programmable Gain Amplifier), ADDER는 기존의 전력 감시 제어장치의 입력부를 구성하는 요소들로서 기존과 동일하며, 여기에서 A/D 변환부에 상용전원용과는 별도로 추가 설치된 비상전원에 대한 전력 변화 값 계측기인 CT 및 PT 등으로부터 전력 변화 값을 도입하고, 또한 화재신호 입력부(단자)(30)를 추가로 도입하고, 배터리 테스터 신호입력부(단자)(40)를 도입하여 보호 CPU(60)를 통해서 소방전원 보존 작동 및 계측,감시 CPU를 통해서 표시 작동이 이루어지게 한 것이다. 또한 비상부하 전원 온/오프 단자(50)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방전원 보존형 전력제어 시스템 배전반의 구성과 작동 내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신호 입력부는 아날로그 신호 입력부와 디지털 신호 입력부로 구성되는데, 아날로그 신호입력부는 배전 선로에서 전압, 전류 센서인 PT, CT에서 2차 신호를 받아 배전반의 내부회로로 입력된다. 이 신호는 전자 회로에 입력하기에는 매우 큰 신호 Level이므로 소 신호 Level로 변경시켜주는 입력 변환부를 거쳐 신호를 전달한다. 여기에서 비상전원용의 PT(10) 나 CT(20)를 추가 설치한 것이다. 기존의 디지털 신호 입력부는 VCB, ACB와 같은 차단기의 ON/OFF 상태입력을 시키는 경우 디지털 신호입력을 감지하는 회로인 디지털 입력부 회로를 거쳐 신호를 전달한다.
신호검출부는 아날로그 신호 입력부의 입력 변환부에서 변환된 소 신호 LEVEL을 신호 검출부에서 각 상별로 전류, 전합 신호를 검출하며 또한 전압 신호의 주파수를 검출한다. 전류 전압의 아날로그 신호는 14BIT A/D변환기를 거쳐 디지털 신호를 변환된다. 이 디지털 신호는 마이크로 컴퓨터인 연산 처리 장치(MCU)(보호 cpu(60)와 계측, 감시 cpu를 가리킨다.)로 입력되어 MCU내 기억장치인 계측부 RAM(Random Access Memory)에 저장된다. 주파수 검출부에서는 비교기가 있어 SINE WAVE 반파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며 MCU에서 디지털 신호의 주기를 측정하여 주파수를 측정한다. 보호 계전기를 동작시키기 위해 전압 및 영상신호검출부, 전류 신호 검출부에서 각 상의 전압, 영상전류/전압신호, 전류신호를 검출하며 마이크로 컴퓨터인 MCU신호를 송신한다. 신호를 저주파 대역 통과 필터기인 LPF(Low Pass Filter)를 통해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고 PGA(Programmable Gain Amplifier)에서 신호를 적절히 증폭시킨 후 MCU내 A/D Converter로 입력시킨다.
연산 처리 장치 (MCU)는 배전반의 핵심부분으로서 사람의 두뇌에 해당하며 MCU의 내부는 계측부 알고리즘 과 보호 계전 기부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Program된 메모리인 EPROM(Eras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보호 cpu내에 있다)과 연산 처리를 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e), 주로 변경 DATA를 보관, 기억장치인 RAM(Random Access Memory). Analog 신호를 Digital 신호로 변경시켜 주는 A/D Converter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MCU내의 A/D Converter로 입력된 보호계전 기부 신호와 외부 A/D Converter로 입력된 보호 계전 기부 신호와 외부 A/D Converter 되어 MCU로 입력된 계측부 신호는 MCU내의 RAM에 Data로 저장되어 각 알고리즘에 의하여 표시부에 표시가 되기도 하며 이상 Data로 판단될 경우 MCU Port를 통해 디지털 출력부로 출력 접점을 동작시키고 또한 자체 기억 장치에 기억하며 통신 장치부를 통해 감시반으로 고장 상태를 송신한다. 또한 MCU에서는 버튼 입력이나 DIP 스위치의 변경 및 설정되는 부분을 처리하기 위해 MCU의 외부 Port와 처리 Program이 연결되어 있어 Port신호의 변경에 따라 Program에서 처리한다. 계측부 알고리즘과 보호 계전기부 알고리즘 Program에서 처리된 값은 전자화 배전반 내부 Data BUS를 통해 계측 표시부와 보호 계전기 표시부에 전송하여 Data를 표시한다. 본 발명은 비상전원의 전력값을 대상으로 과부하 시의 작동점을 설정하여 비상용 차단기의 우선 차단을 위한 출력을 발생시킨다. 또한 이것의 미동작 시에는 안전성 확보를 위해 알고리즘 Program에서 과부하 발생시의 발전기 보호를 위해 주전원 차단기의 차단이 이루어지기 전에 작동 전력 값의 차이 또는 작동 시간 차이에 의한 보호 협조로서 비상용 차단기를 우선 일괄 또는 순차 차단시킨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방전원 보존형 배전반 및 보조 제어장치의 적용 사례이다. 발전기 전원출력단자 또는 제어장치에서 감지된 전력부하 값이 설정된 정격출력용량 또는 과부하 설정 값에 도달하면 소방전원 보존형 디지털 배전반 및 보조 제어장치에서 출력신호가 발하여 비상용차단기가 우선순위에 따라 순차 차단되거나 일괄 차단되어 소방전원이 연속 공급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방전원 보존형 디지털 배전반 및 보조 제어장치의 사례이다. 개선이 요구되는 부분을 보면, 기존의 EPS-F는 과부하 설정 값을 제어장치에 제작자나 관리자가 설정하여 운전 중 부하 증대에 의해 그 설정 값에 도달되면 작동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외부의 조작자가 실수로 오조작 하거나 시험 운전을 위한 낮은 설정 값 조작 후 원상복구하지 않는 실수가 언제든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오조작의 경우 설정 값이 지나치게 낮게 되면 비상부하용량을 사용할 수 없게 될 수 있다. 또한 정격출력용량보다 110%를 초과하는 과도한 설정 값으로 되면 과부하시 소방전원 보존 작동되기 전에 주전원차단기가 먼저 차단되어 비상전원 공급이 중단되는 위험이 발생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 개선을 위한 해결 방법으로서 도 3은 인적 조작오류 방지를 위한 제어장치 흐름도이다. EPS-F의 과부하 제어용 설정 값을 발전기 고유의 정격출력값에 의해 연계 작동 하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한다. 이 경우 외부에서 설정하는 설정 값은 현장 과부하 조건이 아니 됨에 따라 낮게 설정을 조작하여 임시로 사용할 수 있게 할 필요가 있다. 다만, 이러한 조작에 의한 설정 값과 정격출력용량에 의한 설정 값에 의해 병행 작동되게 하되 외부 입력에 의한 조작 설정 값은 시험시간(일례 : 1 [hr])이 경과하면 자동 소멸되게 하여, 설정된 정격출력용량에 의한 작동만 되도록 유지한다. 그러므로 2개의 작동 값을 갖고 하나는 정격출력용량을 초과하면 자동으로 소방전원 보존 작동이 되게 하고, 다른 하나는 현장 시운전시에는 낮은 설정 값에서 시운전하여 소방전원 보존 작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시운전시 낮은 설정값이 필요한 이유는 평시의 소방전원 보존 작동이 되는 설정 값까지 도달될 수 없는 조건이기 때문이다. 그 사례로서 소방동력 출력(P : kW)의 계산공식은
P(kW) = (비중량, 1000kg/m3) * H(양정, m) * Q(유량, m3/s) / (펌프효율) * 102
와 같이 이루어지는 것에서 볼 수 있다.
유량 Q(m3/s)는 설계기준에 화재 시 작동되는 스프링클러 헤드 설치 수는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 제4조에 의해 복합건축물 등은 30개, 영업시설은 20개, 아파트는 10개 개방 기준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시운전시 이러한 헤드의 개방 조건이 될 수 없기 때문이다. 비상발전기 시운전은 대부분 소방시설 작동 없이 행하여 발전기의 전압 형성 여부와 역상 여부 및 비상전원 공급 상태까지만 확인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설령 소방시설 작동을 한다 하더라도 시험 방출구인 헤드 1개의 개방에 국한된 것이다. 흐름도에 의하면 제어장치는 발전기가 가동되고, 주전원차단기가 접속된 상태이면, 전력부하 용량이 발전기 정격출력 값 또는 그에 근사한 고정적인 설정값에 도달 여부를 판단하며(S3), 정격출력 값 또는 그에 근사한 설정값에 도달되면 발전기의 과부하 방지를 위해 소방전원 보존 작동과 표시가 이루어진다. 또한 발전기 정격출력 값에 도달 여부 판단에서 정격출력 값 또는 그에 근사한 값에 도달되지 않은 상태가 확인되면, 임시로 설정 값을 설정한지 일정시간 이내(예: 1시간)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S4), 상기의 그 시간을 초과하였으면 처음의 감시상태로 돌아가고, 상기의 시간 이내이면 출력용량이 임시 설정한 설정 값을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S5), 초과되지 아니함이 확인되면 처음의 감시상태로 돌아가고, 초과되는 것이 확인되면 소방전원 보존 작동과 표시가 이루어진다(S6). 여기서 판단 순서는 고정적인 설정 값과 임시 설정 값을 서로 바꿀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어떠한 경우에도 소방전원 보존 작동이 가능하고, 소방시설 종합정밀점검 시 현장의 시운전에 의한 소방전원 보존 작동 시험도 가능하게 되어 여하한 경우에도 소방안전을 확보하게 되는 소방전원보존형 발전기 및 그 제어장치가 배전반 또는 보조 제어장치에 의해 제공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소방전원 보존형 디지털 배전반 및 보조 제어장치의 사례이다. 기존의 소방전원보존형 발전기는 정격출력용량 100%를 초과할 경우 소방전원보호를 위한 작동이 시작된다. 그러므로 고유한 정격출력용량의 범위를 100%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발전기의 과부하 보호장치의 제어값은 110%이다. 소방전원 보존 작동 시에 비상부하만을 고려한다면 과부하로 사용 가능한 100%에서 110% 사이 용량에서 일시적인 운전을 허용하고자 할 경우 그 범위 이내에서 제한을 받는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이 단점을 화재신호를 활용하는 방법으로 개선하는 것이다. 기존의 출원인에 의한 소방전원보존형 발전기에도 화재신호에 의해서 작동되는 내용이 있으나, 사용 효율 향상을 위한 내용이 개시된 바는 없다. 비화재 시 비상부하 사용 상황에서 최대한의 발전기 용량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 화재신호를 도입하여 흐름도와 같이 화재신호가 있을 때는 소방전원 보존 작동하게 하고, 화재가 없는 경우에는 소방전원 보존 작동을 해지하여 운영하거나 완화하여 운영한다. 다만, 소방시설 고장 또는 화재신호 선로 미결선 등으로 화재신호가 인입되지 않은 채 화재가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화재신호가 없더라도 더 높은 과부하(예 : 105%)가 되면 소방전원 보존 작동이 되게 하고, 기타 제어장치 의 작동 시간차 조정 등에 의해 보완적인 조치로 소방전원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도4는 화재신호 활용 방식의 소방전원 보전형 배전반 및 보조 제어장치의 작동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소방전원 보존형은 운전 시작으로 발전기의 정지 여부를 판단하고(S1), 발전기 운전 중이면 주전원차단기 차단여부를 판단한다(S12). 주전원차단기 접속 상태이면 화재신호 도입 여부를 판단한다(S13). 화재신호가 있으면 발전기 출력이 정격출력 초과 여부를 판단하여(S14), 정격출력 초과이면 소방전원 보존 작동 운전 및 표시가 이루어진다. 발전기 출력이 정격출력 이하이면 임시 설정값 설정후 일례로써 1시간이내 여부를 판단한다(S15). 1시간이내이면 발전기출력이 설정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6). 설정값 이상이면 소방전원보존작동 및 표시가 이루어진다(S7). 설정값 미만이면 일반적인 운전이 이루어진다. 설정값 설정후 1시간 초과하거나(S15), 발전기 출력값이 설정값 미만이면(S16), 다시 시작점으로 피드백 된다. 화재신호가 없으면(S3) 정격출력의 105% 초과여부를 확인한다(S18). 초과되면 화재신호가 없어도 소방전원보존 작동이 된다(S17). 넘지 않으면 다시 시작단계로 피드백 된다. 임의 설정값은 일정시간 예를 들면 1시간이 경과하면 자동 소멸로 해지되어 정상적인 과부하 값에서 소방전원보존작동이 될 수 있도록 준비된다. 추가적인 보완 조치는 다음과 같다. 일반적인 과부하에 의한 주전원차단스위치의 차단 작동 시간이 5s이다. 여기서는 소방전원 보존작동시간을 그 보다 짧은 3s 이내로 설정한다. 소방전원 보존 작동 후에도 계속 과부하 상태인 경우로서 비상용차단기의 순차 작동에 따른 감소 용량보다 소방부하의 입력 용량이 초과될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소방전원 보존 작동 후에도 과부하 상태일 경우에는 다음 차단 단계까지 작동시간을 0.5s 이하로 단축하여 연속 작동하게 하여 과부하를 해소한다. 이와 같이 정격출력 값보다 110%를 초과하거나 제어 후에도 과부하 상태이면 비상부하 제어단계를 복수의 단계로 동시 작동하도록 하는 방법 또는 다음 단계 제어 시간간격을 0.5s로 줄이는 방법으로 제어한다. 이로써 화재 시에는 어떤 경우에도 과부하에 의한 비상전원 차단 조건을 예방하여 소방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5의 내용은 도1의 일점쇄선 박스 안의 배터리 테스터 입력 부분으로서 배전반에 배터리 테스터를 추가하여 배터리 성능의 정상 여부를 배전반 표시부에서 수시로 확인하여 평상시 유효한 성능의 유지 관리가 될 수 있도록 해준다.
즉, 배터리 테스터의 입력측은 전자화 배전반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된 배터리 성능시험 스위치를 포함하여 발전기 본체에 설치된 발전기 기동용 배터리 연결단자 또는 발전기 본체의 연결단자에 접속하고, 그 출력측은 전자화 배전반의 계측, 감시 CPU로 연결되고 배터리 성능시험 스위치 조작 시 배터리 성능 상태가 표시부에 나타나게 하여 전력설비의 안전관리 성능을 향상시킨다.
10: PT : Power Transformer(전력변화 감지용 계측기기 ; Potential Transformer 포함된 Metering Out Fit 또는 주파수 계측기 또는 저주파계전기 등을 포함한다.)
20: CT : Current Transformer
30: 화재신호입력부(단자) : 소방시설의 화재신호 선로가 배전반에 접속되는 단자.
40: 배터리 테스터신호입력부(단자) : 비상발전기의 기동용 배터리의 충진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테스터의 신호 선로가 배전반에 접속되는 단자.
50: 비상부하 CB : 비상부하용 차단기를 상용부하용 차단기, 주전원 차단기, 소방용 차단기와 별도로 구별하여 소방전원 보존 작동시의 제어 대상으로 함.
60: 보호 CPU : 연산 처리하는 장치로서 MCU(Micro Computer Unit)의 일부임.
GEN : 비상용발전기
GCP : 발전기 제어장치
CB-M : 주전원차단기
CB-S : 비상용차단기
CB-F : 소방용차단기
S1~ S7 : 소방전원 보존 작동의 각 단계 및 인적 설정값 오조작 방지를 위한 정격출력용량 기준의 작동과 수동 설정 값의 임시사용에 관한 제어단계
S12,S13,S14,S15,S16,S18 : 도입된 화재신호에 의한 소방전원 보존 작동단계 및 인적 설정값 오조작 방지를 위한 정격출력용량 기준의 작동과 수동 설정 값의 임시사용에 관한 제어단계

Claims (10)

  1. 소방부하 및 비상부하 겸용의 자가발전설비로서 소방부하 기준 또는 두 부하 중 더 큰 한쪽 부하용량 기준으로 정격출력용량을 산정하여 사용하는 소방전원 보존형 전력제어 시스템 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배전반에 비상용발전기 주전원 선로에서 전력 또는 주파수 중의 하나 이상으로써 변화되는 전력 값을 감지하는 계측기기 또는 제어장치 중의 하나에서 디지털 배전반 또는 보조 제어장치 중 하나의 입력부에 도입하고, 계측된 전력 변화 값이 보호 CPU 또는 메모리 중의 하나에 정격출력용량 설정과 연계 설정된 고정적인 설정 값 및 현장에서 소방전원 보존 작동 시험을 위한 임시 설정 값 중 하나에 도달되면 출력 신호를 발생하여 하나 이상의 비상용차단기가 일괄 또는 순차 차단 중의 하나로 제어되고,
    임시 설정 값은 인위적인 원상 복구 없이도 일정시간 경과 후 자동 소멸되게 하여, 현장에서의 인적 오류에 의한 설정 값 오조작 여부에 상관없이 비상용차단기가 차단되기 전에는 주전원차단기 및 소방용차단기가 차단되지 않게 하며, 신호에 의해 그 소방전원 보존 작동 내용의 표시가 표시부에 이루어지게 하여,
    비상용발전기의 소방 안전성과 용량 측면의 경제성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전원 보존형 전력제어 시스템 배전반.
  2. 소방부하 및 비상부하 겸용의 자가발전설비로서 소방부하 기준 또는 두 부하 중 더 큰 한쪽 부하용량 기준으로 정격출력용량을 산정하여 사용하는 소방전원 보존형 전력제어 시스템 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배전반에 비상용발전기 주전원 선로에서 전력 또는 주파수 중의 하나 이상으로써 변화되는 전력 값을 감지하는 계측기기 또는 제어장치 중의 하나에서 디지털 배전반 또는 보조 제어장치 중 하나의 입력부에 도입하고, 화재신호가 있을 때 계측된 전력 변화 값이 보호 CPU 또는 메모리 중의 하나에 정격출력용량 설정과 연계 설정된 고정적인 설정 값 및 현장에서 소방전원 보존 작동 시험을 위한 임시 설정 값 중 하나에 도달되면 출력 신호를 발생하여 하나 이상의 비상용차단기가 일괄 또는 순차 차단 중의 하나로 제어되고,
    임시 설정 값은 인위적인 원상 복구 없이도 일정시간 경과 후 자동 소멸되게 하여, 현장에서의 인적 오류에 의한 설정 값 오조작 여부에 상관없이 비상용차단기가 차단되기 전에는 주전원차단기 및 소방용차단기가 차단되지 않게 하며, 신호에 의해 그 소방전원 보존 작동 내용의 표시가 표시부에 이루어지게 하여,
    비상용발전기의 소방 안전성과 용량 측면의 경제성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전원 보존형 전력제어 시스템 배전반.
  3. 소방부하 및 비상부하 겸용의 자가발전설비로서 소방부하 기준 또는 두 부하 중 더 큰 한쪽 부하용량 기준으로 정격출력용량을 산정하여 사용하는 소방전원 보존형 전력제어 시스템 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배전반에 비상용발전기 주전원 선로에서 전력 또는 주파수 중의 하나 이상으로써 변화되는 전력 값을 감지하는 계측기기 또는 제어장치 중의 하나에서 디지털 배전반 또는 보조 제어장치 중 하나의 입력부에 도입하고, 화재신호가 있을 때 계측된 전력 변화 값이 보호 CPU 또는 메모리 중의 하나에 정격출력용량 설정과 연계 설정된 고정적인 설정 값 및 현장에서 소방전원 보존 작동 시험을 위한 임시 설정 값 중 하나에 도달되면 출력 신호를 발생하여 하나 이상의 비상용차단기가 일괄 또는 순차 차단 중의 하나로 제어되고,
    화재신호가 없을 경우에도 출력이 일정 값 이상이 되면 소방전원 보존 작동이 이루어지게 하고,
    임시 설정 값은 인위적인 원상 복구 없이도 일정시간 경과 후 자동 소멸되게 하여, 현장에서의 인적 오류에 의한 설정 값 오조작 여부에 상관없이 비상용차단기가 차단되기 전에는 주전원차단기 및 소방용차단기가 차단되지 않게 하며, 신호에 의해 그 소방전원 보존 작동 내용의 표시가 표시부에 이루어지게 하여,
    비상용발전기의 소방 안전성과 용량 측면의 경제성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전원 보존형 전력제어 시스템 배전반.
  4. 소방부하 및 비상부하 겸용의 자가발전설비로서 소방부하 기준 또는 두 부하 중 더 큰 한쪽 부하용량 기준으로 정격출력용량을 산정하여 사용하는 소방전원 보존형 보조 제어장치에 있어서,
    계측기기 또는 제어장치 중 하나에서 비상용발전기 주전원 선로에서의 전력 또는 주파수 중의 하나 이상으로써 변화되는 전력 값을 감지하여 상기 보조 제어장치의 입력부에 도입하고, 계측된 전력 변화 값이 보호 CPU 또는 메모리 중의 하나에 정격출력용량 설정과 연계 설정된 고정적인 설정 값 및 현장에서 소방전원 보존 작동 시험을 위한 임시 설정 값 중 하나에 도달되면 출력 신호를 발생하여 하나 이상의 비상용차단기가 일괄 또는 순차 차단 중의 하나로 제어되고,
    임시 설정 값은 인위적인 원상 복구 없이도 일정시간 경과 후 자동 소멸되게 하여, 현장에서의 인적 오류에 의한 설정 값 오조작 여부에 상관없이 비상용차단기가 차단되기 전에는 주전원차단기 및 소방용차단기가 차단되지 않게 하며, 신호에 의해 그 소방전원 보존 작동 내용의 표시가 표시부에 이루어지게 하여,
    비상용발전기의 소방 안전성과 용량 측면의 경제성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전원 보존형 보조 제어장치.
  5. 소방부하 및 비상부하 겸용의 자가발전설비로서 소방부하 기준 또는 두 부하 중 더 큰 한쪽 부하용량 기준으로 정격출력용량을 산정하여 사용하는 소방전원 보존형 보조 제어장치에 있어서,
    계측기기 또는 제어장치 중 하나에서 비상용발전기 주전원 선로에서의 전력 또는 주파수 중의 하나 이상으로써 변화되는 전력 값을 감지하여 상기 보조 제어장치의 입력부에 도입하고, 화재신호가 있을 때 계측된 전력 변화 값이 보호 CPU 또는 메모리 중의 하나에 정격출력용량 설정과 연계 설정된 고정적인 설정 값 및 현장에서 소방전원 보존 작동 시험을 위한 임시 설정 값 중 하나에 도달되면 출력 신호를 발생하여 하나 이상의 비상용차단기가 일괄 또는 순차 차단 중의 하나로 제어되고,
    임시 설정 값은 인위적인 원상 복구 없이도 일정시간 경과 후 자동 소멸되게 하여, 현장에서의 인적 오류에 의한 설정 값 오조작 여부에 상관없이 비상용차단기가 차단되기 전에는 주전원차단기 및 소방용차단기가 차단되지 않게 하며, 신호에 의해 그 소방전원 보존 작동 내용의 표시가 표시부에 이루어지게 하여,
    비상용발전기의 소방 안전성과 용량 측면의 경제성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전원 보존형 보조 제어장치.
  6. 소방부하 및 비상부하 겸용의 자가발전설비로서 소방부하 기준 또는 두 부하 중 더 큰 한쪽 부하용량 기준으로 정격출력용량을 산정하여 사용하는 소방전원 보존형 보조 제어장치에 있어서,
    계측기기 또는 제어장치 중 하나에서 비상용발전기 주전원 선로에서의 전력 또는 주파수 중의 하나 이상으로써 변화되는 전력 값을 감지하여 상기 보조 제어장치의 입력부에 도입하고, 화재신호가 있을 때 계측된 전력 변화 값이 보호 CPU 또는 메모리 중의 하나에 정격출력용량 설정과 연계 설정된 고정적인 설정 값 및 현장에서 소방전원 보존 작동 시험을 위한 임시 설정 값 중 하나에 도달되면 출력 신호를 발생하여 하나 이상의 비상용차단기가 일괄 또는 순차 차단 중의 하나로 제어되고,
    화재신호가 없을 경우에도 출력이 일정 값 이상이 되면 소방전원 보존 작동이 이루어지게 하고,
    임시 설정 값은 인위적인 원상 복구 없이도 일정시간 경과 후 자동 소멸되게 하여, 현장에서의 인적 오류에 의한 설정 값 오조작 여부에 상관없이 비상용차단기가 차단되기 전에는 주전원차단기 및 소방용차단기가 차단되지 않게 하며, 신호에 의해 그 소방전원 보존 작동 내용의 표시가 표시부에 이루어지게 하여,
    비상용발전기의 소방 안전성과 용량 측면의 경제성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전원 보존형 보조 제어장치.
  7.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상발전기의 기동용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배전반에서 원격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 안전 성능 및 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킨 소방전원 보존형 전력제어 시스템 배전반.
  8. 청구항 4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상발전기의 기동용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배전반에서 원격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 안전 성능 및 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킨 소방전원 보존형 보조 제어장치.
  9.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방전원 보존 작동 상태의 표시 및 알림 장치는 시각용 장치로서 디스플레이, 문자, 도형, 램프 중 하나 이상 또는 청각용 장치로서 경종, 벨, 스피커에 의한 음향이나 음성 중의 하나 이상에 의해 소방전원보존 작동 상태를 알리는 각각의 시각용 장치 또는 청각용 장치 중 하나 이상의 알림 장치를 가진 소방전원 보존형 전력제어 시스템 배전반.
  10. 청구항 4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방전원 보존 작동 상태의 표시 및 알림 장치는 시각용 장치로서 디스플레이, 문자, 도형, 램프 중 하나 이상 또는 청각용 장치로서 경종, 벨, 스피커에 의한 음향이나 음성 중의 하나 이상에 의해 소방전원보존 작동 상태를 알리는 각각의 시각용 장치 또는 청각용 장치 중 하나 이상의 알림 장치를 가진 소방전원 보존형 보조 제어장치.
KR1020130080217A 2013-07-09 2013-07-09 소방전원 보존형 전력제어 시스템 배전반과 보조 제어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101358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0217A KR101358592B1 (ko) 2013-07-09 2013-07-09 소방전원 보존형 전력제어 시스템 배전반과 보조 제어장치 및 그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0217A KR101358592B1 (ko) 2013-07-09 2013-07-09 소방전원 보존형 전력제어 시스템 배전반과 보조 제어장치 및 그 운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8592B1 true KR101358592B1 (ko) 2014-02-05

Family

ID=50269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0217A KR101358592B1 (ko) 2013-07-09 2013-07-09 소방전원 보존형 전력제어 시스템 배전반과 보조 제어장치 및 그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85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5676B1 (ko) 2021-01-14 2021-12-06 (주)전원테크 예비전력의 사용 시 안정적인 속도로 화재감시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화재감시 시스템
CN114498540A (zh) * 2022-02-07 2022-05-13 华能铜川照金煤电有限公司 一种厂用配电系统辅助保护在线整定及控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3076Y1 (ko) 2003-12-05 2004-02-25 정영세 전원 자동 절체 장치
JP2005020879A (ja) 2003-06-25 2005-01-20 Green Energy Kk 非常用発電機を活用した無停電システムと方法
KR101097124B1 (ko) 2011-06-15 2011-12-23 이원강 소방전원 보존 작동 및 그 구분 표시 장치를 가진 소방전원 보존형 발전기 컨트롤러
JP2012506231A (ja) 2008-10-14 2012-03-08 イ,ワンカン 消防専用自動転換型停電及び消防兼用自家発電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0879A (ja) 2003-06-25 2005-01-20 Green Energy Kk 非常用発電機を活用した無停電システムと方法
KR200343076Y1 (ko) 2003-12-05 2004-02-25 정영세 전원 자동 절체 장치
JP2012506231A (ja) 2008-10-14 2012-03-08 イ,ワンカン 消防専用自動転換型停電及び消防兼用自家発電機
KR101097124B1 (ko) 2011-06-15 2011-12-23 이원강 소방전원 보존 작동 및 그 구분 표시 장치를 가진 소방전원 보존형 발전기 컨트롤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5676B1 (ko) 2021-01-14 2021-12-06 (주)전원테크 예비전력의 사용 시 안정적인 속도로 화재감시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화재감시 시스템
CN114498540A (zh) * 2022-02-07 2022-05-13 华能铜川照金煤电有限公司 一种厂用配电系统辅助保护在线整定及控制方法
CN114498540B (zh) * 2022-02-07 2024-03-19 华能铜川照金煤电有限公司 一种厂用配电系统辅助保护在线整定及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7775B1 (ko) 지능형 사전 신호분석을 통한 전기화재 분석 및 예측 시스템
US8552728B2 (en) Sluggish circuit breaker detection system and method
KR102057494B1 (ko) 스마트 전기사고 예방 및 에너지 관리 시스템
KR100964544B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KR100543891B1 (ko) 유비쿼터스 기능을 갖는 전기안전 차단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80110561A (ko) 일반부하 제어 형 소방겸용 자가발전기
KR20190051225A (ko) 통합 센싱모듈을 이용한 지능형 배전반 관리시스템
KR101708005B1 (ko) 직류 과부하 겸용 아크 차단장치
CN113049901A (zh) 电控和保护设备
KR20100111290A (ko) 통보 기기 회로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714998B1 (ko) 아크 검출을 이용한 전기 화재 예방 시스템
WO2008113742A2 (en) Compact secondary substation comprising an arcing fault protection system, a method for arcing fault protection in a compact secondary substation, and a control unit for performing the method
KR20200059388A (ko) 전기정보 관리시스템
KR102043441B1 (ko) IoT 기반 이동통신용 스마트 분전반 제어 장치
KR101205048B1 (ko) 전기 안전 모니터링 장치
CN211293018U (zh) 一种新型电表箱防火装置
KR101358592B1 (ko) 소방전원 보존형 전력제어 시스템 배전반과 보조 제어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101180391B1 (ko) 비상전력 공급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상전력 공급방법
KR20080067602A (ko) 수배전반 내부설비 고장진단 시스템
KR100815208B1 (ko) 무인화 변전소 경보시스템 및 무인화 변전소 경보제어방법
KR101320785B1 (ko)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전기화재 예측 시스템
KR101422420B1 (ko) 누전차단기의 자동복귀장치를 포함하는 리셋형 전원 스위치
KR102579941B1 (ko) 스마트 파력원격제어기를 이용하여 원격에서 결상위치 검출 및 차단이 용이한 전력설비 보호용 수배전반
KR20130038652A (ko)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절연파괴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1084058B1 (ko) 차단기 자동 제어 기능을 구비한 특고전압 수전설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