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8368B1 - 책상용 독서대 - Google Patents

책상용 독서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8368B1
KR101358368B1 KR1020100107934A KR20100107934A KR101358368B1 KR 101358368 B1 KR101358368 B1 KR 101358368B1 KR 1020100107934 A KR1020100107934 A KR 1020100107934A KR 20100107934 A KR20100107934 A KR 20100107934A KR 101358368 B1 KR101358368 B1 KR 101358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k
angle
reading
angle adjusting
read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7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6342A (ko
Inventor
이상민
김종원
라현진
Original Assignee
이상민
라현진
김종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민, 라현진, 김종원 filed Critical 이상민
Priority to KR1020100107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8368B1/ko
Publication of KR20120046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6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8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8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47B23/042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 A47B23/043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adjustable,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9/00Reading-desks; Lecterns; Pulpits, i.e. free-standing
    • A47B19/06Reading-desks; Lecterns; Pulpits, i.e. free-standing with adjustable top lea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4Top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4Accessories for tables or desk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책상용 독서대에 관한 것으로, 이 독서대는 책상의 전방쪽 단부에 설치되어 책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책의 크기에 따라 폭조절이 가능하도록 된 독서 프레임과, 이 독서 프레임의 하부에 힌지를 매개로 설치되어 상기 책상에 고정된 상태로 독서 프레임을 회전시켜 독서 프레임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원통형의 하우징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각도조절용 기어가 내장됨과 동시에 하우징의 일측 단부에 각도조절용 기어와 연결되는 작동버튼이 설치된 각도조절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책상의 전면부 선단에 독서대가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고, 독서대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책상의 전면으로 회전시켜 고정함으로써 책상 전면의 가림판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독서대의 각도를 보다 간편하게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시력보호 및 자세교정을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책상용 독서대{Reading Desk}
본 발명은 책상에 설치되는 독서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책상에 보다 간편하게 설치하거나 분리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함과 아울러 쉽고 간편하게 독서대 프레임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시력보호 및 자세교정을 도모할 수 있도록 된 책상용 독서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독서대는 사용자가 책을 읽을 때 허리를 굽히지 않고 펼친 상태에서 책을 읽을 수 있도록 책을 세워놓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책상과 별도로 구비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독서대는 부피가 크고 휴대하기 불편하여 학생들이 학교에서 사용하는 책상에 사용하기 불편하였으며, 학교에 비치하여 사용한다 하더라도 학생용 책상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없어 책상에서 자주 떨어져 파손되거나 분실되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근래에 들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학생용 책상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독서대가 다수개 제안되고 있으나, 종래의 책상 부착용 독서대는 그 부착방식이 복잡하거나 독서대의 각도조절방식이 복잡하여 사용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고가이기 때문에 학생들에게 부담을 주는 문제가 있고, 또한 종래의 독서대는 단순히 책상에 부착된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그 기능상에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책상용 독서대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책상에 보다 간편하게 설치하거나 분리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함과 아울러 쉽고 간편하게 독서대 프레임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시력보호 및 자세교정을 도모할 수 있도록 된 책상용 독서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책상의 전방쪽 단부에 설치되어 책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책의 크기에 따라 폭조절이 가능하도록 된 독서 프레임과, 이 독서 프레임의 하부에 힌지를 매개로 설치되어 상기 책상에 고정된 상태로 독서 프레임을 회전시켜 독서 프레임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원통형의 하우징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각도조절용 기어가 내장됨과 동시에 하우징의 일측 단부에 각도조절용 기어와 연결되는 작동버튼이 설치된 각도조절부재를 포함하여 책상용 독서대가 구성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각도조절부재는 그 좌우측 단부에 각각 고정부가 설치되어 상기 독서 프레임과 각도조절부재를 상기 책상에 탈부착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고정부는 책상의 일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ㄷ자형으로 구성됨과 아울러 그 일측에는 책상의 상판과 접촉되는 조임나사가 설치되고 타측에는 책상의 하판과 접촉되는 완충부재가 설치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각도조절용 기어는 서로 치합 또는 분리될 수 있으면서 일방향으로만 회전하여 상기 독서 프레임의 각도를 조절하는 일방향 기어로 구성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각도조절부재의 하우징에 한 쌍의 책 페이지 고정대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독서 프레임에 놓여진 책의 페이지를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각도조절부재는 상기 작동버튼에 로드가 연결됨과 아울러 로드의 하단부에 탄성수단 설치되고, 상기 로드에 상기 각도조절용 기어 중 어느 하나의 기어가 연결되어 상기 작동버튼의 누름으로 로드가 전진하면서 각도조절용 기어가 분리되거나 상기 탄성수단의 복원력으로 로드가 후진하면서 각도조절용 기어가 치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책상용 독서대에 의하면, 책상의 전면부 선단에 독서대가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고, 독서대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책상의 전면으로 회전시켜 고정함으로써 책상 전면의 가림판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독서대의 각도를 보다 간편하게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시력보호 및 자세교정을 도모할 수 있고, 독서대가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학생들이 경제적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책상용 독서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책상용 독서대의 고정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과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독서대의 각도조절용 기어를 나타낸 상태도 및 요부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독서대의 책 페이지 고정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독서대의 각도가 고정되어 각도조절용 기어가 치합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및 요부확대도,
도 6과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독서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각도조절용 기어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및 요부확대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 예를 들면 제조 방법 및/또는 사양의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편평하다고 도시되거나 설명된 영역은 일반적으로 거칠거나/거칠고 비선형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날카로운 각도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 부분은 라운드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책상용 독서대의 구조를 도 1을 참조로 설명하면, 상기 독서대(1)는 크게 독서 프레임(10)과 각도조절부재(20)로 구성되어 책상에 일체로 설치되거나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가 책을 놓고 독서를 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즉, 상기 독서대(1)를 구성하는 상기 독서 프레임(10)은 책상의 전방쪽 단부에 설치되어 책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책의 크기에 따라 폭조절이 가능하도록 된 것으로, 상기 독서 프레임(10)의 폭조절은 프레임의 크기를 달리하여 인출 또는 인입할 수 있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각도조절부재(20)는 독서 프레임(10)의 하부에 힌지를 매개로 설치되어 상기 책상에 고정된 상태로 독서 프레임(10)을 회전시켜 독서 프레임(1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원통형의 하우징(21)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21)의 내부에 각도조절용 기어가 내장됨과 동시에 하우징(21)의 일측 단부에 각도조절용 기어와 연결되는 작동버튼(22)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진 책상용 독서대(1)는 책상에 설치되어 상기 독서 프레임(10)이 각도조절부재(20)에 의해 그 각도가 조절되는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21)의 내부에 설치된 각도조절용 기어를 이용하여 상기 독서 프레임(10)의 각도를 조절하게 되고, 상기 각도조절용 기어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상기 작동버튼(22)을 눌러주게 된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부재(20)는 그 좌우측 단부에 각각 고정부(30)가 설치되어 상기 독서 프레임(10)과 각도조절부재(20)를 상기 책상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서, 상기 고정부(30)를 책상의 전방쪽 선단부에 끼워 고정함으로써 상기 독서대(1)를 책상의 전방에 고정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상기 고정부(30)를 책상의 전방쪽 선단부에서 이탈시켜 상기 독서대(1)를 책상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독서대(1)를 이루는 상기 고정부(30)를 도 2를 참조로 설명하면, 상기 고정부(30)는 책상의 일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ㄷ자형으로 구성됨과 아울러 그 일측에는 책상의 상판과 접촉되는 조임나사(31)가 설치되고 타측에는 책상의 하판과 접촉되는 완충부재(32)가 설치된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고정부(30)를 책상에 끼워넣은 상태에서 상기 조임나사(31)를 회전시키면 조임나사(31)의 선단부가 책상의 상판에 닿게 되면서 책상을 압착하여 책상과의 응집력을 증대시키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완충부재(32)는 스펀지 등으로 구성되어 책상의 하판과 접촉되는 부위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준다.
한편, 상기 각도조절부재(20)의 하우징(21)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각도조절용 기어의 구조를 도 3과 도 3'를 참조로 설명하면, 상기 각도조절용 기어(23)는 서로 치합 또는 분리될 수 있으면서 일방향으로만 회전하여 상기 독서 프레임(10)의 각도를 조절하는 일방향 기어로 구성된 것이다.
즉, 상기 각도조절용 기어(23)는 일방향 기어인 래칫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독서 프레임(10)이 책상에 대해 수직된 각도에서 외측으로 회전되면서 그 각도조절이 이루어지며, 상기 독서 프레임(10)의 각도를 내측으로 재조정하기 위해서는 서로 치합된 상기 각도조절용 기어(23)를 분리시킨 상태에서 내측으로 당겨 각도를 조절한 후에 각도조절용 기어(23)를 치합시킨다.
그리고, 상기 독서대(1)에 부가되는 기능을 도 4를 참조로 설명하면, 상기 각도조절부재(20)의 하우징(21)에 한 쌍의 책 페이지 고정대(40)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독서 프레임(10)에 놓여진 책의 페이지를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필요한 페이지가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고정대(40)를 책쪽으로 회전시켜 펼쳐진 페이지를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도조절부재(20)의 내부구조와 그 작동상태를 도 5와 도 5' 및 도 6과 도 6'를 참조로 설명하면, 상기 각도조절부재(20)는 상기 작동버튼(22)에 로드(24)가 연결됨과 아울러 로드(24)의 하단부에 탄성수단(25) 설치되고, 상기 로드(24)에 상기 각도조절용 기어(23) 중 어느 하나의 기어(23a)가 연결되어 상기 작동버튼(22)의 누름으로 로드(24)가 전진하면서 각도조절용 기어(23a, 23b)가 분리되거나 상기 탄성수단(25)의 복원력으로 로드(24)가 후진하면서 각도조절용 기어(23a, 23b)가 치합되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고정된 상기 독서 프레임(1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각도조절부재(20)의 일측에 설치된 상기 작동버튼(22)을 누르게 되면, 상기 작동버튼(22)과 연결된 상기 로드(24)가 전진하면서 이 로드(24)에 고정된 어느 하나의 기어(23a)를 전진시켜 또 다른 기어(23b)와 분리되게 하고, 이렇게 각도조절용 기어(23a, 23b)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21)이 상기 로드(24)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상기 독서 프레임(10)의 각도를 조절한다.
상기와 같이 각도 조절이 완료되어 상기 작동버튼(22)을 놓게되면, 상기 탄성수단(25)에 의해 상기 로드(24)가 후진하면서 작동버튼(22)이 다시 돌출됨과 동시에 분리되었던 각도조절용 기어(23a, 23b)가 치합됨으로써 각도가 조절된 상기 독서 프레임(10)을 고정하도록 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책상용 독서대(1)의 탈부착을 간편하게 수행하고, 독서대(1)의 각도를 간편하게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향상된 편의를 제공하며, 독서대(1)가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학생들이 경제적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 독서대 10 : 독서 프레임
20 : 각도조절부재 21 : 하우징
22 : 작동버튼 23, 23a, 23b : 각도조절용 기어
24 : 로드 25 : 탄성수단
30 : 고정부 31 : 조임나사
32 : 완충부재 40 : 고정대

Claims (6)

  1. 책상의 전방쪽 단부에 설치되어 책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책의 크기에 따라 폭조절이 가능하도록 된 독서 프레임;과
    상기 독서 프레임의 하부에 힌지를 매개로 설치되어 상기 책상에 고정된 상태로 독서 프레임을 회전시켜 독서 프레임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원통형의 하우징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각도조절용 기어가 내장됨과 동시에 하우징의 일측 단부에 각도조절용 기어와 연결되는 작동버튼이 설치된 각도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각도조절부재는 그 좌우측 단부에 각각 고정부가 설치되어 상기 독서 프레임과 각도조절부재를 상기 책상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용 독서대.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책상의 일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ㄷ자형으로 구성됨과 아울러 그 일측에는 책상의 상판과 접촉되는 조임나사가 설치되고 타측에는 책상의 하판과 접촉되는 완충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용 독서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용 기어는 서로 치합 또는 분리될 수 있으면서 일방향으로만 회전하여 상기 독서 프레임의 각도를 조절하는 일방향 기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용 독서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재의 하우징에 한 쌍의 책 페이지 고정대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독서 프레임에 놓여진 책의 페이지를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용 독서대.
  6.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재는 상기 작동버튼에 로드가 연결됨과 아울러 로드의 하단부에 탄성수단 설치되고, 상기 로드에 상기 각도조절용 기어 중 어느 하나의 기어가 연결되어 상기 작동버튼의 누름으로 로드가 전진하면서 각도조절용 기어가 분리되거나 상기 탄성수단의 복원력으로 로드가 후진하면서 각도조절용 기어가 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용 독서대.
KR1020100107934A 2010-11-02 2010-11-02 책상용 독서대 KR101358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7934A KR101358368B1 (ko) 2010-11-02 2010-11-02 책상용 독서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7934A KR101358368B1 (ko) 2010-11-02 2010-11-02 책상용 독서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6342A KR20120046342A (ko) 2012-05-10
KR101358368B1 true KR101358368B1 (ko) 2014-02-05

Family

ID=46265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7934A KR101358368B1 (ko) 2010-11-02 2010-11-02 책상용 독서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836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6138A (ko) * 2008-07-08 2010-01-18 김대환 독서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6138A (ko) * 2008-07-08 2010-01-18 김대환 독서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6342A (ko) 2012-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E538390C2 (en) Device for viewing stereoscopic 3D images
KR101528425B1 (ko) 독서대
KR101358368B1 (ko) 책상용 독서대
KR20120061364A (ko) 보조학습대를 구비한 독서대
CN209943846U (zh) 一种夹持装置及自拍装置
US10314386B1 (en) Mounting garment assembly
KR101380273B1 (ko) 지지장치가 구비된 배낭
KR20150001071U (ko) 고리를 장착한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KR101676960B1 (ko) 노트북 거치대 겸용 마우스 보드
KR20140003190U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대
KR200220683Y1 (ko) 탈착 가능한 독서대
KR200311586Y1 (ko) 다기능 독서대
US8711551B2 (en) Electronic device with multi-orientation
KR100734947B1 (ko) 탁상용을 겸한 휴대용 독서대
CN208002381U (zh) 一种折叠式阅读装置
KR200228637Y1 (ko) 탈·부착 가능한 독서대
US20130221180A1 (en) Portable Document or Notebook Holder for use with Portable Computers such as Netbook or Laptop
CN214857899U (zh) 矫正器
CN211882771U (zh) 一种多功能支架
CN214510146U (zh) 一种矫正器
CN215456324U (zh) 新型矫正器
KR100980785B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엘씨디 모니터 또는 노트북 선반
CN216220634U (zh) 一种夹持方便的阅读架
US9351564B1 (en) Document holder
KR200469322Y1 (ko) 책갈피용 볼펜 및 샤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