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7738B1 - 생달나무를 이용한 방향 및 소취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생달나무를 이용한 방향 및 소취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7738B1
KR101357738B1 KR1020120139544A KR20120139544A KR101357738B1 KR 101357738 B1 KR101357738 B1 KR 101357738B1 KR 1020120139544 A KR1020120139544 A KR 1020120139544A KR 20120139544 A KR20120139544 A KR 20120139544A KR 101357738 B1 KR101357738 B1 KR 101357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fragrance
deodorant
powder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9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은정
정지은
백효은
오득실
위안진
윤병선
Original Assignee
전라남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라남도 filed Critical 전라남도
Priority to KR1020120139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77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7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7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4Lauraceae [Laurel family], e.g. laurel, avocado, sassafras, cinnamon or camph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4Lauraceae (Laurel family), e.g. cinnamon or sassafr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6Deodorants or malodour counteractants, e.g. to inhibit the formation of ammoni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2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ontaining or releasing organic materials
    • A61L2300/30Compound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extracted from natural sources, e.g. Aloe Ve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4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r mode of action
    • A61L2300/404Biocides, antimicrobial agents, antiseptic agents

Abstract

본 발명은 생달나무 분말 또는 생달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방향 및 소취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암모니아 가스를 소취시키는 우수한 방향 및 소취 효능을 가진다. 또한, 천연물인 생달나무로부터 유래하기 때문에 인체에 무해하고 체내에 부작용이 없어 위생패드, 좌욕제, 탈취제, 세정제 및 섬유유연제에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생달나무를 이용한 방향 및 소취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Fragrance and deodorant composition containing Cinnamomum japonicum extract and its use}
본 발명은 생달나무 분말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방향 및 소취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1970년대 이후 환경오염이 급격히 심화되면서 2000년도부터 친환경적 제품에 대한 최종 소비자의 인지도가 상승하고 있고, 정부나 사회단체의 차원의 환경제품에 대한 규제나 감시 또한 강화되고 있다.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친환경상품은 환경오염을 저감시키고, 자원을 절약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있을 뿐 아니라, 인체 유해화학물질 사용제한, 중금속 사용제한, 오염물질 방출량 제한 등을 통해 인체의 건강과 안전을 지키는 역할을 한다(환경부, 2009).
상기 친환경소재는 나무, 흙, 돌 등을 의미하며, 이러한 친환경소재는 전선, 장판, 벽지, 페인트조성물 등 건축 재료로 가장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으며, 또한 수목 정유를 이용하여 의류, 세척용품, 장난감소재, 생활용품, 이불 등에 응용하여 국민건강 기여, 수입대체효과 및 미래지향형 산업으로의 산림관련 산업에 대한 위상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구체적으로, 목재는 변재와 심재의 구분이 불명확한 황백색 또는 담황갈색의 산공재(散孔材)로서 조직이 치밀하고, 독특한 향기를 소유하고 있어 건축재나 가구재 등으로 쓰이고 있다. 목재에서 나는 향기를 보편적으로 정유라 하며, 정유는 휘발성 방향을 가지는 일종의 기름성분으로 식물의 잎이나 수피, 줄기, 뿌리 등에 포함되어 있는 물질이다. 정유는 대부분 휘발성분인 테르펜류와 비휘발성 성분인 알칼로이드, 플라보노이드, 페놀성 물질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탈취, 살충, 향균, 생리활성, 해충방지, 세균살균, 강장, 진통, 구충, 항암, 혈압강하 등에 효과가 있다.
한편, 생달나무(Cinamomum japonicum)는 녹나무과 식물로 중국, 대만, 일본에 분포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 표고 1,100m까지 자생하고 따뜻한 남쪽 도서지방에서는 해안과 산기슭에서 자란다. 수고(樹高)는 15m 내외, 직경 30~40cm까지 자라며, 어려서는 음수이나 성목에 되어서는 강한 광선에 노출되어도 좋고, 습기가 있는 비옥한 토양에서 잘 자란다. 내한성과 내건성은 약하나 내염성, 내공해성은 강한 편이고 생장은 비교적 빠르다. 한방에서는 나무껍질과 열매를 천축계라는 약재로 쓰이는데, 약효 성분은 펠란드렌(Phellandrene), 유게놀(Eugenal), 메틸 유게놀(Methyleugenal) 등이 함유되어 있어 주로 위의 소화력을 높이고 구토, 이질, 신경통, 항산화/항노화 등에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생달나무의 목부, 잎, 열매 등에는 정유가 있는데, 정유의 주성분은 캠퍼, 사프롤, 시네올, 리나로올 및 오이게놀 등으로 심장 및 호흡기질병, 아편중독 등에 효능이 있다. 잎은 향기가 짙어 차(茶)의 대용으로 이용하며, 열매에서는 제과용 기름을 추출한다.
상기 식물 정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소취 조성물 또는 탈취제와 관련된 특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597702호는 녹차와 박하를 포함하는 소취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위생패드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8-0107425호에는 폴리페놀 화합물 또는 폴리페놀화합물을 함유한 식물추출물을 주요 성분으로 포함하는 소취제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82209호는 생달나무 추출 정유를 포함하는 항균성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본 발명에서와 같이 생달나무를 이용한 방향 및 소취용 조성물 또는 이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위생패드 등의 용도에 대하여서는 개시된 바가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생달나무 분말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방향 및 소취용 조성물과, 상기 방향 및 소취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소취 효능이 향상된 위생패드, 좌욕제, 탈취제 등을 개발하고자 노력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생달나무 분말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방향 및 소취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방향 및 소취용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생달나무 분말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방향 및 소취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생달나무는 녹나무과에 속하는 상록교목으로, 상기 조성물에 사용되는 생달나무는 생달나무의 껍질, 잎, 꽃, 열매, 종자, 줄기, 뿌리 및 전초를 포함하며, 이들 부위를 하나 이상 포함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생달나무의 잎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말은 생달나무 껍질, 잎, 줄기, 뿌리, 열매 등을 통상의 방법에 의하여 절단, 건조 및 분쇄하여 분말화한 물질을 말한다. 상기 건조는 생달나무의 수분을 제거하는 방식이라면 제한되지 않으며, 동결건조, 진공 건조 등을 이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동결건조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생달나무 분말을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고 여과, 농축 또는 건조된 형태 등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생달나무 추출물을 용매로 추출하는 경우, 추출 용매로 물, 탄산수 1-4의 무수 또는 저급 알코올(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1,3-부틸렌글리콜 및 헥산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한 것을 사용하는 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에탄올 및 헥산을 사용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 실시에서, 생달나무 추출물의 소취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생달나무의 잎을 동결건조 및 분쇄한 다음 95% 에탄올 및 95% 헥산을 이용하여 진탕 추출하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여과는 고체 입자를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그 방법이 제한되지 않는데, 예를 들어, 면이나 나일론 등을 이용하여 입자를 걸러 내거나 한외여과법, 냉동여과법, 원심분리법 등을 사용하여 여과할 수 있다. 또한, 거즈를 이용하여 1차로 여과한 다음, 와트만 페이퍼를 이용하여 2차 여과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추출물은 액체 형태 그대로 사용하거나 이를 농축 및/또는 건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농축 및/또는 건조방법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하나의 예로, 동결건조, 진공건조, 열풍건조, 분무건조, 감압건조, 포말건조, 고주파건조, 적외선건조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생달나무 분말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방향 및 소취 효과를 나타낸다.
하나의 구체적 실시에서, 생달나무 잎의 에탄올 및 헥산 추출물의 소취능을 측정한 결과, 단시간 내에 암모니아 가스의 농도가 검출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우수한 소취능 및 방향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생달나무 분말 및 생달나무 추출물에 대한 휘발성 성분을 분석한 결과, 리나로올, 1,8-시네올, ρ-사이멘, 미르센 등으로 나타났으며, α-펠란드렌, 사비넨, α-피넨, 캄펜, β-피넨, (+)-3-카렌, α-터르피넨, γ-터르피넨, 터르피노렌, 캄파, 보르네올 등이 미량으로 검출되었다. 또한 (+)-2-카렌, β-옥시멘, α-테르피노렌, 4-테르피네올, α-테르피네올 등의 향기가 검출되었다.
상기 리나로올(linalool)은 모노테르펜에 속하는 알코올로 은방울꽃과 비슷한 향기를 가진 무색 액체로, 항산화작용을 하며 항균, 항염, 노화 및 유전자 손상을 예방한다.
상기 시네올(cineol)은 테르핀의 분자 내 에테르에 해당하는 두고리 모노테르펜으로 살균작용, 항균작용, 방부 및 거담, 건위, 진정 및 강심작용을 한다.
상기 ρ-사이멘(ρ-cymene)은 항균, 항염, 항종양성 및 혈압강하에 도움을 주며 돌연변이를 억제하는 데에도 도움을 준다.
상기 미르센(Myrcene)은 모노테르펜의 일종으로 미생물 생육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고, 두통과 치통을 치료 하는데 쓰인다.
상기 α-펠란드렌(α-phellandren)은 항산화, 항염, 항균작용 및 항암작용을 하며 류마티스 관절염 예방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방사선으로부터 세포를 보호하고 방사선 치료나 항암제 투여시 함께 복용할 경우 정상세포가 보호되고 암세포가 파괴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상기 사비넨(sabinene)은 모노테르펜의 하나로 4-Thujjen이라고도 하며 천식의 원인 미생물에 대한 항균효과가 있다.
상기 α-피넨(α-pinene)은 항산화, 항염증, 항균작용 및 항암작용을 하고, 신경을 안정시키는데 도움을 주어 숙면을 유도하고 피로회복, 집중력강화에 도움을 준다. 또한 콜라겐 합성촉진으로 주름개선 작용을 하며 탈모를 방지 하고 발모를 촉진한다.
상기 캄펜(camphene)은 모노테르펜의 하나로 캄파와 비슷한 향기가 약간 난다. 항균 및 항염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중추신경을 자극하는 작용으로 인해 연수의 호흡 및 혈관을 운동시키는데도 효과적이다.
상기 캄파(camphor)는 장뇌라고도 하며 모노테르펜에 속하는 케톤의 일종으로 독특한 향기와 찌르는 듯한 맛이 있고 방충, 방부작용이 뛰어나다. 항균, 항염, 항종양성 및 혈압강하에 효과가 있고 돌연변이를 억제하며 자가면역질환 치료에 효과가 있다. 또한 흥분제, 강심제, 소생약으로 사용된다.
상기 보르네올(borneol)은 용뇌 또는 보르네오캄파라고도 하며 모노테르펜에 속하는 알코올로서 캄판의 유도체이다. 강심작용을 하며 항균 및 항바이러스 작용으로 항암효과에도 기여하며 류마티스 관절염 예방에 효과적이다.
상기 리모넨(limonene)은 향료로도 이용하고, 항산화작용, 항균 및 항염작용을 한다. 또한 암종양 촉진유전자를 차단하여 종양증식을 억제하는 효과도 있다.
상기 테르피넨(terpinen)은 단일고리 모노테르펜의 하나로 항박테리아성이 아주 뛰어나서 화농된 여드름이나 곪은 상처 등에 많이 쓰이는 물질이며, 살균, 소독작용이 뛰어나 작은 상처나 찰과상, 뾰루지, 바이러스 감염증, 벌레물린 부위의 감염을 막아주는 효과도 탁월하다. 지성피부 트러블 개선 및 완화에 효과가 좋다고 알려져 있으며 뛰어난 항균력과 살균력으로 인한 자연 방부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항산화 능력이 토코페롤보다 뛰어나 노화, 유전자손상, 암발생 및 혈액응고 등을 예방할 수 있다.
이러한 테르펜(terpene) 물질들은 식물을 뜨거운 자외선으로부터 지켜주고, 박테리아나 다른 세균들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막아주며, 침투한 박테리아를 직접 공격하여 궤멸시켜준다. 또한 주변에 다른 식물들이 자라지 못하도록 하며 화분수정을 위해 곤충들을 유인하는 데도 이용되는 등 식물이 어떠한 악조건에서도 꿋꿋이 버텨내면서 동시에 생존에 필요한 영양을 공급해줄 수 있도록 스스로 만들어낸 물질들이 바로 식물의 영양소이며 폴리페놀의 일종이다. 인간의 몸속에서 테르펜(terpene)은 활성산소로부터 DNA세포막 과산화지질화를 막아주고 중성지방을 분해하여 혈관을 정화함으로써 당뇨나 고혈압을 예방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박테리아 공격을 막고 염증을 치료하며 피부재생을 돕고 항생제나 항암제에 내성이 생긴 병원균을 효율적으로 박멸시키고 체지방을 분해하며 근육을 재생하여 노화를 예방하고 활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생달나무 분말 및 생달나무 추출물은 방향 및 소취 효과 이외에도 상술한 성분들에 의한 효과를 부가적으로 가진다.
본 발명의 방향 및 소취 조성물은 상기한 생달나무 분말 또는 생달나무 추출물 이외에 통상의 방향 및 소취 효과를 나타내는 성분으로서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거나 감소시키지 않는 한 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생달나무 분말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방향 및 소취 조성물은 방향 및 소취효과가 요구되는 다양한 용품에 적용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위생패드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방향 및 소취 조성물이 위생패드로 이용되는 경우에는, 항균 및 소취 효능을 가진 유효성분으로서의 생달나무 추출물을 액체투과성 시트, 액체 불투과성 시트 및 흡수체에 모두 적용시킬 수 있으나, 소취 효과적인 면을 고려할 때 액체투과성 시트 또는 흡수체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흡수체에 적용한다. 상기 위생패드는, 기저귀, 생리대, 침대패드, 산모용패드, 팬티라이너, 수유패드, 요실금패드, 생리대 파우치, 냉장고용 패드, 애견 및 애묘용패드 등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방향 및 소취 조성물은 좌욕제, 탈취제, 세정제, 섬유 유연제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좌욕제로 이용되는 경우에는, 방향 및 소취성분을 가진 생달나무 분말 또는 생달나무 추출물 이외에 좌욕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향료, 염료, 용매, 불투명화제, 공중합체계 분산액, 천연 검, 오일, 안정제 등과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 등을 포함한다.
상기 좌욕제는 어떠한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일제, 겔제, 과립, 분말제, 현탁제, 백, 패드제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탈취제로 이용되는 경우에는, 방향 및 소취효과를 가진 생달나무 분말 또는 생달나무 추출물 이외에 에탄올과 계면활성제를 사용한다. 상기 계면활성제로는 사용되는 방향 및 소취 조성물의 양과 에탄올 및 계면활성제의 바람직한 비율은 사용되는 계면활성제에 따라 균일한 분포 및 조성물의 투명성을 얻을 수 있는 범위에서 결정되어야 한다. 계면활성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양이온성, 음이온성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음이온성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필요하다면 추가적으로 첨가제를 혼합할 수 있으며, 첨가제로는 예를 들어, 방부제 및 산화방지제가 있다.
상기 탈취제는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탈취제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통상적인 제제로 제형화 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정제, 과립, 현탁제, 시럽제, 오일제, 겔제, 로션제, 패취제, 패드제, 크림제,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세정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세정제는 세척되고 있는 표면으로부터 고체와 액체 오물을 제거 또는 분산시킬 수 있는 물질을 말하고, 상기 세척은 표면으로부터 원하지 않는 물질이나 균을 제거하는 것을 말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소취 및 방향 효과 이외에도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82209호에서 개시하고 있는 항균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세정제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세정제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 본 발명의 방향 및 소취 조성물 이외에 세정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향료, 염료, 용매, 불투명화제, 공중합체계 분산액, 농후화제, 셀룰로즈 유도체, 첨연 검, 알부민 유도체, 지방, 오일, 각질용해제, 각화제, 점증제, 안정화제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세정제는 여성용 청결제, 샴푸, 린스, 비누, 핸드워시, 폼클렌징 등 인체를 세척하기 위한 용도의 세정제, 식기용, 욕실용, 싱크대용, 벽지용 등 생활환경을 세척하기 위한 용도의 세정제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세정제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체, 고체, 크림, 스프레이제가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섬유 유연제로 이용되는 경우에는, 방향 및 소취 성분을 가진 유효성분으로서의 생달나무 분말 또는 생달나무 추출물 이외에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비이온 계면활성제로는 보편적으로 섬유 유연제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코코넛 디에탄올 아미드, 지방산 알카놀아민, 아민 옥사이드, 알킬 폴리글루코시드, 메틸 폴리에틸렌 알킬 에테르, 슈거 에테르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섬유 유연제는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섬유 유연제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통상적인 제제로 제형화 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정제, 과립, 현탁제, 시럽제, 오일제, 겔제, 로션제, 패취제, 패드제, 크림제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향 및 소취 조성물을 상기한 위생패드, 좌욕제, 탈취제, 세정제 및 섬유유연제로 사용하는 경우 본 발명의 방향 및 소취 조성물의 함량은 당해 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전체 중량%를 기준으로 0.001 내지 15 중량%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생달나무 분말 또는 생달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방향 및 소취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암모니아 가스를 소취시켜 탈취의 효능을 나타내고, 또한, 본 발명의 생달나무 분말 및 생달나무 추출물은 천연물로부터 유래하여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어 이미 안전성이 검증되었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은 위생패드, 좌욕제, 탈취제, 세정제 및 섬유유연제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생달나무 분말 또는 추출물은 암모니아 가스를 비롯한 다양한 냄새발생물질을 탈취시키는 소취능을 가진다. 또한 천연물로부터 유래하여 부작용이 없으므로, 위생패드, 좌욕제, 탈취제, 세정제 및 섬유유연제에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시키는 생달나무를 세척, 건조 및 분쇄하여 95% 에탄올 및 95% 헥산을 용매로 추출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암모니아 가스에 대한 생달나무 추출물의 탈취능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표준시료 16종의 혼합표준용액과 생달나무 추출물을 가스크로마토그라피질량분석기를 통해 정량분석한 결과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 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 1: 생달나무 분말 또는 생달나무 추출물 제조
1-1. 생달나무 채취 및 세척
생달나무(전라남도 완도, 2012)의 잎을 채취하여 이물질 및 불순물이 완전히 제거되도록 깨끗이 세척한 다음, 잎만 떼어 표면의 수분을 제거하였다.
1-2. 건조 및 분쇄
상기 실시예 1-1의 수분을 제거한 생달나무 잎을 20 내지 35℃에서 일주일 동안 음건한 다음, 분쇄하여 입자의 크기가 1mm 이하가 되도록 하였다.
1-3. 추출 및 여과
상기 실시예 1-2의 생달나무 분말 500g을 95% 에탄올 3L에 침지하여 2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그 다음 침지물을 여과지(Advantes, No.2)에 여과하였다.
상기 실시예 1-2의 생달나무 분말 500g을 95% 헥산 3L에 침지시켜 24시간 동안 반응하였다. 그 다음 침지물을 여과지(Advantes, No.2)에 여과하였다.
1-4. 농축
상기 실시예 1-3의 여과된 생달나무 여과물을 회전식 진공증발기를 이용하여 40℃의 온도에서 용매를 완전히 제거시켜 생달나무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생달나무 분말 및 생달나무 추출물의 소취능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생달나무 분말 및 생달나무 추출물 1g을 테틀라백(Tedlar gas sampling bag)에 넣은 후, 암모니아가스(NH3) 10L를 주입하여 시간에 따른 암모니아 가스의 농도 변화를 검지관(AP-20, 105SE, NH3,GASTEK)으로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 생달나무 분말 및 생달나무 추출물을 넣지 않은 테틀라백에 암모니아 가스 10L를 주입한 것과, 95% 헥산 1 mL과 95% 에탄올 1 mL을 각각 넣어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2와 표 1에 나타내었다.
반응시간
(hr)
NH3(ppm)
대조군 95% 헥산 95% 에탄올 생달나무 분 말 95% 헥산용매
생달나무 추출물
95% 에탄올용매
생달나무 추출물
0 60 60 60 60 60 60
0.5 60 60 60 30 10 20
1 60 60 60 28 8 18
2 60 60 60 20 8 11
3 58 60 60 18 4 8
4 55 60 60 15 0 4
5 55 60 60 14 0 0
6 50 60 60 12 0 0
상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생달나무 헥산추출물의 경우 반응시간 30분 내에 암모니아 가스 농도가 1/6로 줄어들었고 4시간 경과 후 암모니아 가스가 검출되지 않아 가장 탈취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도 30분 내에 암모니아 가스가 1/3로 줄어들었고, 5시간 경과 후 암모니아 가스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건조분말의 경우 반응시간 30분에 암모니아 가스 농도가 1/2로 줄어들었으나 2시간 이후 암모니아 가스 농도의 변화는 미미하게 나타났다.
실험예 2: 생달나무 분말 및 생달나무 추출물 성분분석
2-1. 생달나무 분말 및 생달나무 추출물 폴리페놀 화합물 함량측정
상기 실시예 1-2에서 얻은 분쇄된 생달나무 분말 100g을 메탄올 2L에 침지하여 95℃에서 24시간 동안 진탕시켰다. 그 다음 여과지(Advantes, No.2)에 여과한 후 회전식 진공증발기를 이용하여 40℃의 온도에서 용매를 완전히 제거한 후 메탄올 100mL로 녹여 추출용액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추출용액 20㎕와 0.75% Na2CO3 80㎕를 혼합 한 후, 1N 폴린-데니스시약(Folin-Denis reagent) 100㎕를 첨가하여 30분 동안 반응시켰다. 그 후, 분광광계도를 이용하여 76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생달나무 헥산추출물과 에탄올추출물 0.1g을 취하여 메탄올 100mL에 녹인 것을 시험용액으로 하여 시험용액 20㎕와 0.75% Na2CO3 80㎕를 혼합 한 후, 1N 폴린-데니스(Folin-Denis reagent)시약 100㎕를 첨가하여 30분 동안 반응시켰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단위(mg/100g)
생달나무 분말 95% 헥산 용매
생달나무 추출물
95% 에탄올 용매
생달나무 추출물
폴리페놀화합물 270 2204 9338
상기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생달나무 에탄올추출물의 폴리페놀화합물 함량이 9338mg/100g으로 가장 높았고, 헥산추출물도 2204mg/100g으로 분말보다 폴리페놀화합물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2-2. 휘발성 향기 성분분석
생달나무 추출물의 휘발성 향기 성분을 분석하기 위하여 (+)-알파피넨(Sigma 268070), D.L-캄펜(Dr. Ehrenstorfer GmbH C109450000), 사비넨(ChromaDex ASB-0019004), (+)-베타피넨(Sigma 80607), 미르센(Merk S36241 151), (+)-3-카렌(Sigma 21986), 파라사이멘(Sigma C121452), (R)-(+)-리모넨(sigma 62118), 1,8-시네올(Sigma 29210), 테르피노렌(Sigma 86485), 리나로울(Dr. Ehrenstorfer GmbH C14634500), 보르네올(Wako 025-02252), 알파펠란드렌(Merk S6238193 109), D,L-캄펜(Merk S6407656 150), 감마테르피넨(Dr. Ehrenstorfer GmbH C17322325), 알파테르피넨(Dr. Ehrenstorfer GmbH C17322320)을 각 1mg 취하여 10mL 헥산으로 녹인 후 단계별로 희석하고 0.45㎛ 실린지 필터로 여과하여 혼합표준용액으로 사용하였다.
그 다음 상기 혼합표준용액을 오토샘플러(Headspace Autosampler HT3, Teledyne Tekmar)가 장착된 가스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GC-MS, QP-2010 plus, Shimadzu)로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생달나무 분말 또는 생달나무 추출물의 휘발성 향기 성분을 정량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도 3과 표 3에 나타내었다.
(mg/100g)
성분 생달나무 분말 95% 헥산용매
생달나무 추출물
95% 에탄올용매
생달나무 추출물
α-피넨 2.35 0.07 0.01
캄펜 0.23 0.17 0.00
사비넨 3.24 0.80 0.15
β-피넨 1.05 0.42 0.42
미르센 4.37 4.19 1.28
α-펠란드렌 7.19 6.63 0.64
(+)-3-카렌 0.01 0.00 0.03
α-테르피넨 0.22 0.15 0.24
ρ-사이멘 6.39 27.18 29.74
(+)-리모넨 2.07 1.82 0.00
1,8-시네올 8.09 106.61 66.11
γ-테르피넨 1.12 1.04 0.69
테르피넨 0.12 0.44 0.87
리날로올 1.77 174.40 410.26
캄파 0.06 0.11 0.12
보르네올 0.02 0.16 0.39
기타 (+)-2-카렌, β-옥시멘, α-테르피노렌,
4-테르피네올, α-테르피네올
전체 38.30 324.19 510.94
상기 표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생달나무 분말 또는 생달나무 추출물의 휘발성 향기 성분 분석결과, 주요 향기 성분은 리나로올, 1,8-시네올, ρ-사이멘, 미르센 등으로 나타났으며, α-펠란드렌, 사비넨, α-피넨, 캄펜, β-피넨, (+)-3-카렌, α-터르피넨, γ-터르피넨, 터르피노렌, 캄파, 보르네올 등이 미량으로 검출되었다. 또한 (+)-2-카렌, β-옥시멘, α-테르피노렌, 4-테르피네올, α-테르피네올 등의 기타 향기도 검출되었으며, 분말보다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에서 휘발성 향기 성분 함량이 더 높게 확인되었다.

Claims (7)

  1. 생달나무 헥산 추출물을 포함하는 방향 및 소취 조성물.
  2. 제1항의 방향 및 소취 조성물을 포함하는 위생패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생패드는 기저귀, 생리대, 침대패드, 산모용 패드, 팬티라이너, 수유패드, 요실금 패드, 생리대 파우치, 냉장고용 패드, 또는 애견용 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패드.
  4. 제1항의 방향 및 소취 조성물을 포함하는 좌욕제.
  5. 제1항의 방향 및 소취 조성물을 포함하는 탈취제.
  6. 제1항의 방향 및 소취 조성물을 포함하는 세정제.
  7. 제1항의 방향 및 소취 조성물을 포함하는 섬유유연제.
KR1020120139544A 2012-12-04 2012-12-04 생달나무를 이용한 방향 및 소취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357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9544A KR101357738B1 (ko) 2012-12-04 2012-12-04 생달나무를 이용한 방향 및 소취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9544A KR101357738B1 (ko) 2012-12-04 2012-12-04 생달나무를 이용한 방향 및 소취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7738B1 true KR101357738B1 (ko) 2014-02-04

Family

ID=50269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9544A KR101357738B1 (ko) 2012-12-04 2012-12-04 생달나무를 이용한 방향 및 소취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773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1111A (ko) * 2010-06-29 2012-01-04 전라남도 난대수종 및 산림수종의 천연향료를 함유하는 향수제조방법 및 그 향수조성물
KR101182209B1 (ko) * 2011-11-25 2012-09-14 전라남도 생달나무 추출 정유를 포함하는 항균성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1111A (ko) * 2010-06-29 2012-01-04 전라남도 난대수종 및 산림수종의 천연향료를 함유하는 향수제조방법 및 그 향수조성물
KR101182209B1 (ko) * 2011-11-25 2012-09-14 전라남도 생달나무 추출 정유를 포함하는 항균성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광운대학교 *
논문:광운대학교*
논문:한국식물 인간 환경학회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0371B1 (ko) 뽕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탈취 조성물
KR101571323B1 (ko) 허브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66247B1 (ko) 물티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69278A (ko) 방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7290968A (ja) 防臭組成物、デオドラント剤、および繊維防臭剤
KR101806800B1 (ko) 황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복합 천연 방부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798026B1 (ko) 혈액순환 및 아토피 진정 효능을 갖는 기능성 조성물
CN106265147A (zh) 一种含天然植物精油的花露水及其制备方法
KR20220139839A (ko) 천연 원료 기반의 남성 청결제
KR101302678B1 (ko) 동백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진균용 조성물
KR101930264B1 (ko) 현호색, 캣츠클로, 센티드제라늄, 아그리모니, 인동덩굴, 개박하 및 솔잣나무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지생성 억제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09554A (ko) 항산화 및 항알레르기 효과를 갖는 허브 추출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0690A (ko) 천연 추출물을 이용한 항균 세제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항균 세제 조성물
KR20140091920A (ko) 부추추출물을 이용한 고체형 항균 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03151A (ko) 천연거품활성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세정제 제조방법
CN104758322A (zh) 一种具有驱虫杀菌灭毒和舒缓神经作用的组合物及其应用
KR20200034570A (ko) 구취제거용 조성물
KR20150141078A (ko) 노인 악취 제거 조성물
KR102411576B1 (ko) 잣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2429389B1 (ko) 천연식물 유래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 냄새 제거용 소취제 조성물
KR101357738B1 (ko) 생달나무를 이용한 방향 및 소취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110030992A (ko) 천연물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활성 및 알코올소취용 손소독제 조성물
KR20190136231A (ko) 항균 및 지시기능을 가진 물티슈 조성물
KR101041444B1 (ko) 팔각회향을 이용한 항균 비누 조성물
KR20150006243A (ko) 피톤치드를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