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7258B1 - 다중 채널 통신을 지원하는 응급 서비스 단말기 - Google Patents

다중 채널 통신을 지원하는 응급 서비스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7258B1
KR101357258B1 KR1020120051615A KR20120051615A KR101357258B1 KR 101357258 B1 KR101357258 B1 KR 101357258B1 KR 1020120051615 A KR1020120051615 A KR 1020120051615A KR 20120051615 A KR20120051615 A KR 20120051615A KR 101357258 B1 KR101357258 B1 KR 1013572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range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unit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1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7823A (ko
Inventor
이충성
김병주
오지연
Original Assignee
엠세븐시스템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세븐시스템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엠세븐시스템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1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7258B1/ko
Publication of KR20130127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7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7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72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다중 채널 통신을 지원하는 응급 서비스 단말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공중 전화 교환망(PSTN)과 연결된 중계기의 신호영역 내에 응급 서비스 단말기가 위치하는 경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공중 전화 교환망으로 응급신호를 송수신하고, 중계기의 신호영역 밖인 경우 이동통신망을 통해 응급신호를 송수신하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응급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 채널 통신을 지원하는 응급 서비스 단말기{Emergency service terminal with multiple communication channel}
본 발명은 다중 채널 통신을 지원하는 응급 서비스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독거노인, 장애인, 어린이, 환자 등의 경우 일반인 보다 응급상황에 빠질 위험이 크고 응급상황에 대처하는 능력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응급상황 발생시 신속히 응급서비스를 제공받도록 하기 위해 간병인이나 응급 서비스 제공 기관에 즉시 응급신호를 전송하여 응급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응급 서비스 시스템과 단말기 등이 제공되고 있다.
종래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 10-2008-0008779호에 기재된 무선 응급 구난 시스템은 비상시 누름에 의해 비상신호가 출력되는 응급 버튼부 및 응급신호 또는 비상신호를 무선 전송하는 무선송신부가 구비된 휴대수단 및 휴대수단에서 무선 전송된 응급신호 또는 비상신호가 수신되는 무선수신부, 응급상황 내용이 담긴 음성메시지와 복수 개의 응급전화번호가 저장된 저장부, 및 응급신호 또는 비상신호가 수신되면 응급전화번호로 통화 연결을 시도하여 호가 연결되면 음성메시지를 전송시키는 판단부가 구비된 중계수단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하나의 통신망을 통해 응급신호를 전송함으로써 통신망이 불안정한 경우나 단말기가 중계수단의 신호영역 밖에 있는 경우 응급 신호 전송이 불가능하므로 신속한 응급서비스 제공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동통신망과 공중 전화 교환망을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응급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여 응급서비스 제공의 신뢰성을 높이고 신속한 응급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채널 통신을 지원하는 응급 서비스 단말기는 공중 전화 교환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에 연결된 중계기(AP: Access Point)의 신호영역 내에서 중계기와 근거리 무선통신를 통해 응급신호를 송수신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 및 이동통신망을 통해 응급신호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이동통신 모듈은 공중 전화 교환망을 우선순위로 하여 응급신호를 송수신하고 공중 전화 교환망을 이용할 수 없거나 중계기의 신호영역 밖에 있는 경우 이동통신망을 통해 응급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동통신 모듈의 다른 구성과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은 근거리 무선통신 채널 통신부와 근거리 무선통신 감시부를 포함하고, 이동통신 모듈은 이동통신 채널 통신부와 이동통신 채널 감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응급서비스 단말기는 마이크 및 스피커를 포함하고,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은 마이크로부터 음성을 입력받아 근거리 무선통신 코덱과 이동통신 코덱으로 음성신호를 출력하고 근거리 무선통신 코덱과 이동통신 코덱에서 복호화된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스피커로 음성을 출력하는 아날로그 음성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망과 공중 전화 교환망을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응급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여 응급서비스 제공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나아가, 근거리 무선통신을 주된 송수신 채널로 설정하고 이동통신모듈의 동작을 최소한으로 유지함으로써 배터리 관리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근거리 무선통신모듈의 아날로그 음성 부품을 이동통신 모듈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부품 수를 줄이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다중 채널 통신을 지원하는 응급 서비스 제공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
도 2는 다중 채널 통신을 지원하는 응급 서비스 단말기의 블록도,
도 3은 제어부의 기능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 실시 예들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관례 등에 따라 충분히 변형될 수 있는 사항이므로, 이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경우를 포괄하도록 해석된다.
도 1은 다중 채널 통신을 지원하는 응급 서비스 제공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응급 서비스 단말기는 공중 전화 교환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과 연결된 하나 이상의 중계기(AP: Access Point)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공중 전화 교환망으로 응급신호를 송수신하거나, 이동통신 기지국을 통해 이동통신망으로 응급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응급신호는 응급상황을 알리거나 응급상황에 대한 응답을 하는 다양한 신호로서 DTMF, SMS, 위치정보, 음성신호, 발신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응급신호는 이러한 의미를 포괄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응급 서비스 단말기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우선순위로 두고 중계기를 통해 응급신호를 송수신한다. 중계기는 응급 서비스 단말기로부터 응급신호가 수신된 경우, 응급신호를 공중 전화 교환망을 통해 응급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고, 응급서비스 제공 서버는 응급서비스 제공기관, 간병인 또는 가족 등에게 즉시 응급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한편, 응급서비스 제공 기관도 공중 전화 교환망을 통해 응급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중계기는 수신된 응급신호를 응급 서비스 단말기로 송신하게 된다. 한편, 응급 서비스 단말기가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중계기와 송수신이 불가능하거나 공중 전화 교환망에 장애가 있는 경우, 예비적으로 이동통신망을 통해 응급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근거리 무선통신은 DECT, WI-FI, 지그비(Zigbee), 블루투스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일 수 있고, 이동통신망은 CDMA, GSM, WCDMA 등의 방식에 의한 이동통신망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동통신표준에 따른 다양한 방식의 이동통신망일 수 있다. 이하 근거리 무선통신과 이동통신망의 의미는 이러한 의미를 포괄하도록 해석된다.
이하, 응급 서비스 단말기의 상세한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는 다중 채널 통신을 지원하는 응급 서비스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채널 통신을 지원하는 응급 서비스 단말기는 공중 전화 교환망에 연결된 중계기의 신호영역 내에서 중계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해 응급신호를 송수신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100) 및 이동통신망을 통해 응급신호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 모듈(200)을 포함하고, 이동통신 모듈(200)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우선순위로 하여 응급신호를 송수신하고 공중 전화 교환망을 이용할 수 없거나 중계기의 신호영역 밖에 있는 경우 이동통신망을 통해 응급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동통신 모듈(200)의 다른 구성과 무선통신 모듈(100)을 제어하는 제어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100)은 중계기의 신호영역 내에서 응급 신호를 송수신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채널 통신부(120)를 포함하고, 이동통신 모듈(200)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응급신호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 채널 통신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응급 서비스 단말기가 중계기의 신호영역 내에 있는 경우에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응급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100)과 이동통신 모듈(200)을 제어한다. 즉, 응급 서비스 단말기가 중계기의 신호영역 내에 위치하여 중계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경우, 제어부(210)는 근거리 무선통신 채널 통신부(120)가 응급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근거리 무선통신 채널 통신부(120)와 이동통신 채널 통신부(220)를 제어한다. 이때, 근거리 무선통신 채널 통신부(120)는 중계기로 응급신호를 송신하고 중계기는 근거리 무선통신 채널 통신부(120)로부터 응급신호를 수신받아 공중 전화 교환망으로 응급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또한, 공중 전화 교환망을 통해 중계기로 응급신호가 수신된 경우 중계기는 근거리 무선통신 채널 통신부(120)로 응급신호를 송신한다. 한편, 응급 서비스 단말기가 중계기의 신호영역 밖에 있거나, 공중 전화 교환망의 장애 발생 등으로 공중 전화 교환망을 이용할 수 없는 경우에 제어부(210)는 이동통신 채널 통신부(220)가 응급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동통신 채널 통신부(220)와 근거리 무선통신 채널 통신부(120)를 제어한다. 이때, 이동통신 채널 통신부(220)는 이동통신 기지국 내지 이동통신 중계기로 응급신호를 송수신하게 된다.
도 3은 제어부(210)의 기능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와 도3을 참조하면,일 실시예에 있어서,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100)은 중계기의 신호와 공중 전화 교환망의 상태를 감시하고 근거리 무선통신 채널 상태정보를 제어부(210)로 출력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채널 감시부(130)를 포함하고, 이동통신 모듈(200)은 이동통신망의 상태를 감시하고 이동통신 채널 상태정보를 제어부(210)로 출력하는 이동통신 채널 감시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근거리 무선통신 채널 감시부(130)의 근거리 무선통신 채널 상태정보와 이통통신 채널 감시부(230)의 이동통신 채널 상태정보를 입력받아 채널 정보를 생성하는 채널 정보 수집부(211), 채널 정보 수집부(211)의 채널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저장부(212), 저장부(212)의 채널 정보를 입력받아 응급신호를 송수신할 통신망을 결정하는 채널 결정부(213) 및 이동통신 채널 통신부(220)와 근거리 무선통신 채널 통신부(120)의 송수신을 제어하는 송수신 제어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통신 채널 감시부(130)는 근거리 무선통신 채널 통신부(120)와 중계기의 연결상태, 중계기의 신호세기, 중계기와 공중 전화 교환망의 연결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채널 상태정보를 생성하여 제어부(210)로 출력한다. 또한, 이동통신 채널 감시부(230)는 이동통신 기지국과 이동통신 채널 통신부(220)간의 연결상태, 이동통신 기지국의 신호세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채널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제어부(210)로 출력한다. 한편, 공중 전화 교환망과 연결된 중계기가 2 이상이 존재하고, 다수 중계기의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근거리 무선통신 채널 감시부(130)의 근거리 무선통신 채널 상태정보에는 신호가 감지되는 중계기들에 대한 정보와 각 중계기들의 신호 세기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2 이상의 이동통신 기지국 내지 이동통신 중계기의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이동통신 채널 감시부(230)의 이동통신 채널 상태 정보에는 신호가 감지되는 이동통신 기지국 내지 이동통신 중계기에 대한 정보와 신호의 세기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근거리 무선통신 채널 감시부(130)와 이동통신 채널 감시부(230)는 근거리 무선통신 채널 통신부(120)와 이동통신 채널 통신부(220)가 응급신호 송수신을 수행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계속적으로 채널의 상태를 체크하고 채널 상태정보를 생성한다.
제어부(210)의 채널 정보 수집부는(211)는 근거리 무선통신 채널 감시부(130)의 근거리 무선통신 채널 상태정보와 이동통신 채널 감시부(230)의 이동통신 채널 상태정보를 입력받아 채널 정보를 생성한 후 이를 저장부(212)에 저장한다. 이때 채널 정보는 현재 채널 상태뿐 아니라, 일정 기간 동안 채널의 상태를 수집하여 축적한 것일 수 있고, 채널 정보는 중계기의 신호 세기의 상태, 중계기 정보, 핸드오버할 중계기 리스트, 공중 전화 교환망의 연결상태, 이동통신망의 신호 세기 및 연결상태, 핸드오버할 이동통신 기지국 내지 이동통신 중계기 리스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채널 결정부(213)는 저장부(212)에 저장된 채널 정보를 기초로 응급신호를 송수신할 채널을 결정하게 되고, 송수신 제어부(214)는 채널 결정부(213)의 결정에 따라 근거리 무선통신 채널 통신부(120)와 이동통신 채널 통신부(220)의 응급신호 송수신을 제어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채널 결정부(213)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우선순위로 하여 응급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결정하고 송수신 제어부(214)는 근거리 무선통신 채널 통신부(120)와 이동통신 채널 통신부(220)의 송수신을 제어한다. 응급서비스 단말기가 중계기의 신호영역 밖에 있거나, 공중 전화 교환망의 장애발생 등으로 공중 전화 교환망을 이용하여 송수신이 불가능한 경우에 채널결정부(213)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응급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결정하고 송수신 제어부(214)는 채널 결정부(213)의 결정에 따라 근거리 무선통신 채널 통신부(120)와 이동통신 채널 통신부(220)의 송수신을 제어한다. 이때, 채널 결정부(213)는 근거리 무선통신 채널 통신부(120)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하여 응급신호 송수신이 가능하더라도, 일정기간 동안 근거리 무선통신 채널의 상태가 불안정한 경우에는 이동통신 채널 통신부(220)가 응급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결정할 수도 있다.
한편, 공중 전화 교환망과 연결된 중계기가 2 이상이 존재하고, 다수 중계기의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채널 결정부(213)는 신호의 세기가 가장 양호한 중계기를 송수신을 수행할 중계기로 결정한다. 이때, 송수신 제어부(214)는 채널 결정부(213)에 의해 결정된 중계기와 응급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근거리 무선통신 채널 통신부(120)를 제어한다. 응급 서비스 단말기는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위치가 변동하게 되므로, 위치 변화에 따라 감지되는 중계기 신호 세기가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채널 결정부(213)는 저장부(212)에 저장된 채널 정보에서 중계기 신호에 대한 정보와 핸드오버할 중계기 리스트를 근거로 핸드오버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채널 결정부(213)는 핸드오버가 필요한 경우 응급신호를 송수신할 중계기를 결정하고 송수신 제어부(214)는 변경된 중계기와 송수신을 수행하도록 근거리 무선통신 채널 통신부(120)을 제어한다.
한편, 근거리 무선통신과 이동통신망을 모두 이용할 수 없는 경우, 채널 결정부는 저장부(212)의 채널 정보를 기초로 근거리 무선통신과 이동통신망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체크하게 되고 먼저 복구되는 채널을 통해 응급신호를 송신하도록 결정하고, 송수신 제어부(214)는 이에 따라, 근거리 무선통신 채널 통신부(120)와 이동통신 채널 통신부(220)의 송수신을 제어하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210)는 저장부(212)에 저장된 채널 정보를 입력받아 응급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 채널의 상태를 보고하는 채널 상태 보고부(215)를 포함할 수 있다.
채널 상태 보고부(215)는 저장부(212)에 저장된 채널 정보를 분석하여 근거리 무선통신과 이동통신망의 연결상태 및 오류정보 등을 근거리 무선통신과 이동통신망 중 송수신 제어부(214)에 의해 활성화된 채널을 통해 응급 서비스 제공기관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응급 서비스 제공기관은 이를 통해 응급신호를 응급서비스 단말기로 송신할 채널을 결정할 수 있으므로 단말기 소지자의 응급신호에 신속히 응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응급서비스 제공기관은 공중 전화 교환망을 통하여 응급신호를 송신하나, 보고된 채널의 상태에 근거하여 응급서비스 단말기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응급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 이동통신망을 통해 응급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한편, 채널 상태 보고부(215)에 의해 응급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 보고되는 정보에는 응급 서비스 제공기관에서 송신한 응급신호 수신여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응급 서비스 단말기는 입력부(300) 및 디스플레이 장치(400)를 포함하고,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100)은 사용자의 입력부(300) 조작에 따라 응급요청 신호를 제어부(210)로 전송하고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UI 제어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입력부(300)는 응급요청 단축버튼 또는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버튼을 구비한 키패드 형태일 수 있고, 터치스크린 방식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응급 서비스 단말기 사용자의 입력부(300) 조작에 의해 응급신호 요청이 감지되는 경우, UI 제어부(110)는 제어부(210)로 응급신호 송신을 요청하게 된다. UI 제어부(110)로부터 응급신호 송신 요청을 받은 제어부(210)는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100)을 통해 중계기로 응급신호를 송신하도록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100)과 이동통신 모듈(200)을 제어하며, 단말기가 중계기의 신호 영역 밖에 있거나, 공중 전화 교환망을 이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응급신호를 송신하도록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100)과 이동통신 모듈(200)을 제어하게 된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디스플레이는 UI 제어부(110)에 의해 제어되며 디스플레이 장치(400)에는 응급 서비스 단말기의 상태 정보, 예를 들어 중계기의 신호세기, 이동통신망의 신호세기, 배터리 정보, 수신된 메세지 등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나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있어서,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100)은 음성신호를 부호화하여 근거리 무선통신 채널 통신부(120)로 출력하며 근거리 무선통신 채널 통신부(120)로부터 입력된 부호화된 음성신호를 복호화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코덱(140)을 포함하고, 이동통신 모듈(200)은 음성신호를 부호화하여 이동통신 채널 통신부(220)로 출력하며 이동통신 채널 통신부(220)로부터 입력된 부호화된 음성신호를 복호화하는 이동통신 코덱(24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응급서비스 단말기는 마이크(500) 및 스피커(600)를 포함하고,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100)은 마이크(500)로부터 음성을 입력받아 근거리 무선통신 코덱(140)과 이동통신 코덱(240)으로 음성신호를 출력하고 근거리 무선통신 코덱(140)과 이동통신 코덱(240)에서 복호화된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스피커(600)로 음성을 출력하는 아날로그 음성 처리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이크(500)로 입력된 아날로그 음성신호는 아날로그 음성 처리부(150)로 입력되어 디지털 음성신호로 변환되고 변환된 디지털 음성신호는 이동통신 코덱(240)과 근거리 무선통신 코덱(140)으로 입력된다. 근거리 무선통신 코덱(140)은 입력된 디지털 음성신호를 부호화한 후 근거리 무선통신 채널 통신부(120)로 출력한다. 또한, 이동통신 코덱(240)은 아날로그 음성 처리부(150)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음성신호를 부호화한 후 이동통신 채널 통신부(220)로 출력한다. 한편, 근거리 무선통신 채널 통신부(120)로 수신된 부호화된 음성신호는 근거리 무선통신 코덱(140)으로 입력되어 복호화된 후 아날로그 음성 처리부(150)로 출력되며, 이동통신 채널 통신부(220)로 수신된 부호화된 음성신호는 이동통신 코덱(240)으로 입력되어 복호화된 후 아날로그 음성 처리부(150)로 출력된다. 아날로그 음성처리부(150)는 복호화된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600)로 출력하고 스피커(600)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음성을 출력하게 된다. 한편, 근거리 무선통신 코덱(140)과 이동통신 코덱(240)은 통신표준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100)과 이동통신 모듈(200)은 UART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210)의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100)제어는 UART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 110: UI 제어부
120: 근거리 무선통신 채널 통신부 130: 근거리 무선통신 채널 감시부
140: 근거리 무선통신 코덱 150: 아날로그 음성 처리부
200: 이동통신 모듈 210: 제어부
220: 이동통신 채널 통신부 230: 이동통신 채널 감시부
240: 이동통신 코덱 211: 채널 정보 수집부
212: 저장부 213: 채널 결정부
214: 송수신 제어부 215: 채널 상태 보고부
300: 입력부 400: 디스플레이 장치
500: 마이크 600: 스피커

Claims (9)

  1. 공중 전화 교환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에 연결된 중계기(AP: Access Point)의 신호영역 내에서 중계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해 응급신호를 송수신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 및
    이동통신망을 통해 응급신호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근거리 무선통신을 우선순위로 하여 응급신호를 송수신하고 공중 전화 교환망을 이용할 수 없거나 중계기의 신호영역 밖에 있는 경우 이동통신망을 통해 응급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동통신 모듈 및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제어하고,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 및 이동 통신 채널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활성화된 채널을 통해 응급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 보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다중 채널 통신을 지원하는 응급 서비스 단말기.
  2. 제 1 항 에 있어서,
    응급신호는 DTMF, SMS, 위치정보, 음성 신호, 발신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다중 채널을 지원하는 응급 서비스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은 중계기의 신호영역 내에서 응급 신호를 송수신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채널 통신부를 포함하고,
    이동통신 모듈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응급신호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 채널 통신부를 포함하는 다중 채널 통신을 지원하는 응급 서비스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은 중계기의 신호와 공중 전화 교환망의 상태를 감시하고 근거리 무선통신 채널 상태정보를 제어부로 출력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채널 감시부를 포함하고,
    이동통신 모듈은 이동통신망의 상태를 감시하고 이동통신 채널 상태정보를 제어부로 출력하는 이동통신 채널 감시부를 포함하는 다중 채널 통신을 지원하는 응급 서비스 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근거리 무선통신 채널 감시부의 근거리 무선통신 채널 상태정보와 이통통신 채널 감시부의 이동통신 채널 상태정보를 입력받아 채널 정보를 생성하는 채널 정보 수집부;
    채널 정보 수집부의 채널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저장부;
    저장부의 채널 정보를 입력받아 응급신호를 송수신할 통신망을 결정하는 채널 결정부; 및
    이동통신 채널 통신부와 근거리 무선통신 채널 통신부의 송수신을 제어하는 송수신 제어부;를 포함하는 다중 채널 통신을 지원하는 응급 서비스 단말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저장부에 저장된 채널 정보를 입력받아 응급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 채널의 상태를 보고하는 채널 상태 보고부를 포함하는 다중 채널 통신을 지원하는 응급 서비스 단말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응급 서비스 단말기는 입력부;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고,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은 사용자의 입력부 조작에 따라 응급요청 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UI 제어부를 포함하는 다중 채널을 지원하는 응급 서비스 단말기.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은 음성신호를 부호화 하여 근거리 무선통신 채널 통신부로 출력하며 근거리 무선통신 채널 통신부로부터 입력된 부호화된 음성신호를 복호화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코덱을 포함하고,
    이동통신 모듈은 음성신호를 부호화하여 이동통신 채널 통신부로 출력하며 이동통신 채널 통신부로부터 입력된 부호화된 음성신호를 복호화하는 이동통신 코덱을 포함하는 다중 채널 통신을 지원하는 응급 서비스 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응급서비스 단말기는
    마이크; 및
    스피커;를 포함하고,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은 마이크로부터 음성을 입력받아 근거리 무선통신 코덱과 이동통신 코덱으로 음성신호를 출력하고 근거리 무선통신 코덱과 이동통신 코덱에서 복호화된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스피커로 음성을 출력하는 아날로그 음성 처리부를 포함하는 다중 채널 통신을 지원하는 응급 서비스 단말기.
KR1020120051615A 2012-05-15 2012-05-15 다중 채널 통신을 지원하는 응급 서비스 단말기 KR1013572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615A KR101357258B1 (ko) 2012-05-15 2012-05-15 다중 채널 통신을 지원하는 응급 서비스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615A KR101357258B1 (ko) 2012-05-15 2012-05-15 다중 채널 통신을 지원하는 응급 서비스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7823A KR20130127823A (ko) 2013-11-25
KR101357258B1 true KR101357258B1 (ko) 2014-02-06

Family

ID=49855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1615A KR101357258B1 (ko) 2012-05-15 2012-05-15 다중 채널 통신을 지원하는 응급 서비스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725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3323A (ko) * 2003-04-29 2004-11-05 주식회사 케이티 근거리무선통신과 이동통신을 지원하는 이중모드무선통신단말기에서의 모드 전환 방법
KR100787148B1 (ko) * 2006-06-27 2007-12-21 이국진 신체상태 무인 송출시스템
KR20100028318A (ko) * 2008-09-04 2010-03-12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듀얼 모드 통신 단말기 및 방법
KR20100090331A (ko) * 2009-02-06 2010-08-1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획득한 장치정보를 포함하는 긴급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긴급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3323A (ko) * 2003-04-29 2004-11-05 주식회사 케이티 근거리무선통신과 이동통신을 지원하는 이중모드무선통신단말기에서의 모드 전환 방법
KR100787148B1 (ko) * 2006-06-27 2007-12-21 이국진 신체상태 무인 송출시스템
KR20100028318A (ko) * 2008-09-04 2010-03-12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듀얼 모드 통신 단말기 및 방법
KR20100090331A (ko) * 2009-02-06 2010-08-1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획득한 장치정보를 포함하는 긴급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긴급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7823A (ko) 2013-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00806B2 (en) Intelligent call forwarding
US9161198B2 (en) Systems and devices for emergency tracking and health monitoring
KR101585363B1 (ko) 알람 및 디스플레이 기능을 가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들을 위한 무선 중계 모듈
US20160261997A1 (en) System Utilizing a Combination for Including Information Within an Outbound Communications Channel of a Mobile Telephony-Capable Computing Device
KR101585364B1 (ko) 전력 및 의료 디바이스 근접성 모니터링 기능을 가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들을 위한 무선 중계 모듈
US10327127B2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device pairing for improved safety and security of first responders entering an incident scene area
KR20130016317A (ko) 향상된 공중 안전 통신 시스템
AU2015253649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ferring an audio signal between devices of a single user
US7265683B2 (en) Roadside-based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KR101602602B1 (ko) 마을방송용 무선 디지털 수신장치
EP2885954B1 (en) Communications assembly and apparatus
JP4273068B2 (ja) 緊急時の通知システム及び通知方法
KR101357258B1 (ko) 다중 채널 통신을 지원하는 응급 서비스 단말기
JP2010103918A (ja) 緊急通報システム
US9042861B2 (en) Emergency wireless connection system and emergency wireless connection method
KR20140052316A (ko) 휴대단말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긴급 호출장치 및 긴급 호출방법
KR20130127825A (ko) 원격 제어 가능한 응급 서비스 단말기,원격 제어 서버 및 응급서비스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
JP2012182537A (ja) ナースコール用端末装置
JP5527831B2 (ja) 在席状況表示システム、電話装置、在席状況判別方法及び在席状況判別プログラム
KR20130139617A (ko) 응급 서비스 단말기 및 응급 서비스 단말기의 중계기 신호 획득 방법
KR200352460Y1 (ko) 온도센서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JP6579575B2 (ja) ナースコールシステム
JP2006080828A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及び有線基地局装置
KR20140002979A (ko) 응급전화 자동 착신 방법 및 자동 착신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
KR20070079099A (ko) 노인용 핸드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