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7194B1 - 토치 - Google Patents

토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7194B1
KR101357194B1 KR1020110048610A KR20110048610A KR101357194B1 KR 101357194 B1 KR101357194 B1 KR 101357194B1 KR 1020110048610 A KR1020110048610 A KR 1020110048610A KR 20110048610 A KR20110048610 A KR 20110048610A KR 101357194 B1 KR101357194 B1 KR 101357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ygen
torch
stop
rear end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8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0575A (ko
Inventor
이명희
강의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불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불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불불
Priority to KR1020110048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7194B1/ko
Publication of KR20120130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0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7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7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5/00Gas flame welding
    • B23K5/22Auxiliary equipment, e.g. backings, guides
    • B23K5/24Arrangements for supporting tor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7/00Cutting, scarfing, or desurfacing by applying flames
    • B23K7/10Auxiliary devices, e.g. for guiding or supporting the tor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36Valve members
    • F16K1/38Valve members of conical shape
    • F16K1/385Valve members of conical shape contacting in the closed position, over a substantial axial length, a seat surface having the same inclin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42Valve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1/00Regulating fuel supply
    • F23N1/02Regulating fuel supply conjointly with air supply
    • F23N1/027Regulating fuel supply conjointly with air supply using mechanical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8/00Metal fusion bonding
    • Y10S228/902Metal fusion bonding using fl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토치에 공급되는 산소 및 가스의 공급량을 정확하게 제어하여 보다 효과적인 작업을 할 수 있으며, 산소 및 가스 조절부에 구비되는 핀 밸브의 선단부를 원통형으로 하고, 중단부와 맞닿는 부분에 완충부재를 구비하여 수명을 연장함과 동시에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토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바디부 전단부에 구비되는 산소조절기와, 후단에 구비되는 산소주입구 및 가스주입구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의 양을 조절하는 가스조절부로 구성되는 토치에 있어서, 상기 산소조절부는, 상기 바디부의 선단부 일측에 구비되며 내주면 소정구간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나사산과 결합되어 고정되며, 선단부에 원통형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산소배출부 및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되도록 상기 관통공과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되는 원통형의 선단부와, 상기 선단부의 후단에 구비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중단부와, 외측의 손잡이와 결합되는 후단부로 구성되는 핀 밸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토치에 의하면, 핀 밸브 및 산소배출부의 선단부를 원통형으로 형성하므로 장기간 사용으로 잦은 접촉이 이루어지더라도 팬 홈이 생기지 않고, 산소배출부와 펜 밸브의 중단부 사이에 기밀부재를 삽입하여 장기간 사용 시에도 금속 간의 마찰을 통한 파손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산소의 누출을 막아 경제성을 높이며,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큰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토치{Torch}
본 발명은 토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토치에 공급되는 산소 및 가스의 공급량을 정확하게 제어하여 보다 효과적인 작업을 할 수 있으며, 산소 및 가스 조절부에 구비되는 핀 밸브의 선단부를 원통형으로 하고, 중단부와 맞닿는 부분에 기밀부재를 구비하여 수명을 연장함과 동시에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토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치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피가공물을 절단하거나 열을 가하는 작업, 녹이는 작업 또는 용접하는 작업에 이용된다. 이러한 토치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 외측에 산소를 조절하는 산소조절밸브(1)가 구비되며, 이는 화구를 통하여 분사되는 가스에 산소의 양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산소조절밸브(1)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하우징(3)과, 상기 하우징(3)의 축 상에 구비되고 선단부가 원추형상으로 형성되며 중단부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후단부는 작업자가 파지하여 회전시키는 손잡이(2)와 연결되는 핀 밸브(6)와, 상기 핀 밸브(6)의 일단부에 삽입되어 핀 밸브(6)의 전진 및 후방에 의해 개폐되며, 하우징(3)의 내주면과 나사결합되는 산소배출부(9)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산소조절밸브(1)는 가스유로(7)를 통하여 혼합가스관(8)에 유입되는 가스와 산소를 혼합하여 화구로 불꽃을 분사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손잡이(2)를 회전하게 되면 상기 핀 밸브(6)는 상기 중단부(5)의 나사산에 의해 전진 및 후진이 되어 산소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핀 밸브(6)는 하우징(3)의 내측이 구비되므로 작업자가 손잡이(2)를 회전하여 전진시킨다 하더라도 육안으로 핀 밸브가 전진되는 길이를 확인할 수 없고, 이로 인하여 과도하게 손잡이(2)를 회전시킬 경우 상기 핀 밸브(6)의 선단부(6a)가 상기 산소배출부(9)에 끼게 되어 선단부(6a) 외주면에 움푹 팬 홈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팬 홈은 장기간 사용으로 인하여 그 깊이는 점점 깊어지게 되어 산소가 작업자의 의도와 달리 과량으로 배출되므로 산소 공급 제어가 원활치 않아 작업의 효율성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나중에는 그 홈에 의하여 핀 밸브(6)의 선단부(6a)가 부러져 산소배출부(9)의 배출공을 막아버리게 되어 토치를 사용할 수 없게 되어 이로 인하여 핀 밸브(6)를 자주 교체해야 되므로 경제성이 떨어지고, 핀 밸브(6)가 부러지지 않는다 하여도 산소배출부(9)와의 기밀성이 떨어져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큰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 금속재로 구성되는 핀 밸브의 선단부를 원통형으로 구성하여 핀 밸브 및 산소배출부 간의 파손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산소배출량을 미세하세 조절할 수 있으며, 핀 밸브의 중단부와 산소배출부 간에 기밀부재를 구비하여 하우징 내부로 산소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토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디부 전단부에 구비되는 산소조절기와, 후단에 구비되는 산소주입구 및 가스주입구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의 양을 조절하는 가스조절부로 구성되는 토치에 있어서, 상기 산소조절부는, 상기 바디부의 선단부 일측에 구비되며 내주면 소정구간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나사산과 결합되어 고정되며, 선단부에 원통형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산소배출부 및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되도록 상기 관통공과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되는 원통형의 선단부와, 상기 선단부의 후단에 구비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중단부와, 외측의 손잡이와 결합되는 후단부로 구성되고, 상기 관통공에 원통형의 선단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전진 이동을 중단하는 스톱퍼 기능을 구비한 핀 밸브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핀 밸브의 스톱퍼 기능은, 상기 중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산소배출부의 끝단부에 접하는 스토퍼면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산소배출부는, 상기 중단부와 접하는 부분에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기밀부재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핀 밸브의 중단부에 형성된 스토퍼면은 원추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밀부재는, 중심부에 상기 중단부의 스토퍼면과 접하는 원추형상의 관통공을 형성하고, 바깥둘레면이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과 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산소배출부의 끝단부에는 상기 관통공의 연장선상에 형성되어 중단부의 스토퍼면과 접하는 연장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밀부재는, 선단부가 원추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핀 밸브의 중단부에 관통결합되며, 후단부의 소정면적이 상기 중단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밀부재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산소배출부의 끝단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밀부재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핀 밸브의 중단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핀 밸브는, 상기 중단부와 후단부의 경계를 이루는 영역에 실링부재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스조절부는, 내측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원추형으로 형성되며 가스주입구에서 공급되는 가스를 바디부로 공급을 제어하기 위하여 가스유입공을 개폐하는 선단부와, 상기 선단부 후측에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과 나사결합되는 중단부와, 상기 중단부 후측에 구비되는 후단부로 구성되는 밸브체 및 상기 후단부와 결합되어 상기 밸브체와 일체로 회전되는 손잡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스유입공은, 그 가장자리 영역에 상기 밸브체의 선단부와의 마찰을 줄이기 위하여 중심부에 원추형상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완충부재와, 상기 관통공의 연장선상과 일치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는, 그 선단부와 중단부의 경계를 이루는 영역에 실링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토치에 의하면, 핀 밸브 및 산소배출부의 선단부를 원통형으로 형성하므로 장기간 사용으로 잦은 접촉이 이루어지더라도 팬 홈이 생기지 않고, 핀 밸브가 더 이상 전진하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 기능을 구비하여 핀 밸브의 가늘고 뾰족한 선단부가 산소배출부에 과도하게 접촉하여 손상되거나 팬 홈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산소배출부와 핀 밸브의 중단부 사이에 기밀부재를 삽입하여 장기간 사용 시에도 금속 간의 마찰을 통한 파손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산소의 누출을 막아 경제성을 높이며,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큰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토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2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B'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종래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토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토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토치는, 크게 산소가 공급되는 산소주입구(20)와, 가스가 공급되는 가스주입구(30)와, 상시 산소 및 가스가 통과하는 바디부(10)와, 상기 바디부(10)를 통과한 산소 및 가스가 혼합되는 혼합가스관(40) 및 상기 혼합가스관(40)을 거쳐 화염과 결합되어 불꽃을 분사하는 화구(50)로 구성된다.
상기한 혼합가스관(40)에는 화구(50)로 분사되는 불꽃의 양 및 온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산소조절부(100)가 구비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산소조절부(100)는, 상기 바디부(10)의 일측단 하부에 구비되고, 내측에 중공부가 형성되며, 일측부에 바디부(10)를 통하여 유입되는 산소 및 가스를 안내하는 산소유로(131) 및 가스유로(132)가 형성되는 하우징(130)이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30)은 상기 바디부(10)를 통과한 산소 및 가스가 유입되는 부분으로 후측에는 산소유로(131)가, 전방에는 가스유로(132)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30)에 삽입되고, 소정길이로 형성되고, 각각의 부위가 서로 다른 직경을 갖으며 봉형상의 일체형으로 형성되되,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선단부(111)와, 상기 선단부(111) 후측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130)과 나사결합되어 산소유로(131)를 개폐하는 중단부(112)와, 상기 중단부(112) 후측에 구비되며, 후술할 손잡이(101)와 결합되는 후단부(113)로 구성되는 핀 밸브(110)가 더 구성된다.
또한, 상기 산소주입구(20)를 통하여 주입되는 산소가 배출되고, 상기 선단부(111)가 슬라이딩되며, 상기 선단부(111)와 동일한 직경의 관통공(121)이 형성되며, 끝단부(123)는 상기 핀 밸브(110)의 중단부(112)에 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30)의 내주면과 나사결합되어 고정되는 산소배출부(120)가 더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핀 밸브(110) 및 산소배출부(120)의 결합관계 및 형상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핀 밸브(110)의 선단부(111)의 첨단은 원추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121)으로 삽입이 원활하도록 형성되고, 그 이후는 관통공(121)의 길이만큼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그 이후부터는 또 다시 첨단의 직경보다는 크도록 원추형상으로 소정구간 형성되고, 그 이후부터 중단부(112)까지는 봉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선단부(111)의 형상은 다단으로 형성되되 단차가 나지 않고 부드럽게 직경의 변화가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후단부(113)와 결합되어 상기 핀 밸브(110)와 일체로 회전되는 손잡이(101)와, 상기 중단부(112)와 상기 산소배출부(120)와 접하는 부분에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기밀부재(140)가 더 구성된다.
상기 기밀부재(140)는 중심부에 원추형상의 관통공(141)이 형성되고, 상기 산소배출부(120)의 끝단부(123)와 접하며, 바깥둘레면이 상기 하우징(130)의 내주면과 접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핀 밸브(110)의 중단부(112)에도 관통공(141)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원추형상의 스토퍼면(112a)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산소유로(131)를 통하여 배출되는 산소가 후측으로 새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잦은 사용으로 인하여 중단부(112)와 산소배출부(120) 간의 마찰을 최소화하는 완충역할도 하여 토치의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산소배출부(120)의 끝단부(123)에는 상기 관통공(141)의 연장선상에 형성되어 중단부(112)의 스토퍼면(112a)과 접하는 연장부(122)가 형성된다.
이 산소배출부(120)의 연장부(122)에 중단부(112)의 스토퍼면(112a)이 접하는 것에 의해서는, 도 2에서와 같이 핀 밸브(110)의 원통형 선단부(111)가 산소배출부(120)의 원통형 관통공(121)에 위치한 상태에서 더 이상 핀 밸브(110)가 전진하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핀 밸브(110)의 가늘고 뾰족한 선단부(111)가 산소배출부(120)에 과도하게 접촉하여 손상되거나 팬 홈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기밀부재(140)는 도면 상에 상기 산소배출부(120) 후단에 접촉되는 형태로 도시되어 있지만, 그 외에 접착제를 이용한 부착, 나사산을 이용한 결합, 탄성부재를 삽입하는 결합, 산소배출부(120) 가공 시 일체로 구성하여 선삭가공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핀 밸브(110)는, 상기 중단부(112)와 후단부(113)의 경계를 이루는 영역에 실링부재(11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산소유로(131)를 통하여 유입되는 산소가 후방으로 유출되는 것을 막아 기밀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손잡이(101)의 회전으로 인하여 핀 밸브(110)가 전진 또는 후진할 시 미세한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바디부(10) 후단에는 가스유입구(30)를 통하여 유입되는 가스의 양을 조절하는 가스조절부(200)가 구성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가스조절부(200)는, 상기 바디부(10) 후단에 구비되며, 내측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하우징(230)과, 원추형으로 형성되며 가스주입구(30)에서 공급되는 가스를 바디부(10)로 공급을 제어하기 위하여 가스유입공(202)을 개폐하는 선단부(211)와, 상기 선단부 후측에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230)과 나사결합되는 중단부(212)와, 상기 중단부(212) 후측에 구비되는 후단부(213)로 구성되는 밸브체(210)와, 상기 후단부(213)와 결합되어 상기 밸브체(210)과 일체로 회전되는 손잡이(201)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가스유입공(202)은, 그 가장자리 영역에 상기 밸브체(210)의 선단부(211)와의 마찰을 줄이기 위하여 중심부에 원추형상의 관통공(221)이 형성되는 완충부재(220)와, 상기 관통공(221)의 연장선상과 일치하는 연장부(205)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이는 완충부재(220)를 연장부(205) 없이 부착을 하게 되면 밸브체(210)가 전진 하게 되면서 상기 선단부(211)와 접할 시 가스유입공(202)에 팬 홈이 생기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고, 선단부(211)가 과도한 조작으로 인하여 전진하게 될 경우 상기 완충부재(220)가 전방으로 밀리면서 완충작용을 하여 가스유입공(202)의 파손을 최소화하며, 밸브체(210)의 전진을 중단하는 스톱퍼 역할을 동시에 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밸브체(210)는, 그 선단부(211)와 중단부(212)의 경계를 이루는 영역에 실링부재(20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는 가스유로(132)를 통하여 유입되는 산소가 후방으로 유출되는 것을 막음과 동시에 상기 밸브체(210)가 전진 또는 후진할 시 미세한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실시예의 변형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2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의 도시된 변형예는 상기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상기 핀 밸브(110)의 중단부(112)와 상기 산소배출부(120) 사이에 구비되는 기밀부재(140)의 구조를 각각 달리하여 다양한 각도로 기밀부재(140)를 형성하여 적용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밀부재(140)는 선단부가 원추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핀 밸브(110)의 중단부(112)에 관통결합되며, 후단부의 소정면적이 상기 중단부(112)에 삽입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변형예에서는, 산소배출부(120)의 끝단부(123)에 대향하는 중단부(112)의 일측면이, 산소배출부(120)의 끝단부(123)에 접하여 핀 밸브(110)가 더 이상 전진하지 않도록 스토퍼 기능을 수행하는 스토퍼면(112a)이 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밀부재(14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산소배출부(120)의 끝단부에 삽입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중단부(112)와 밀착되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모두 산소배출부(120)의 후단에 매립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며, 중단부(112)와 접하는 부분은 미세하게 돌출되도록 하여 완충역할 및 기밀역할을 높이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변형예에서는 산소배출부(120)의 끝단부(123)에 대향하는 중단부(112)의 일측면이, 산소배출부(120)의 끝단부(123)에 접하여 핀 밸브(110)가 더 이상 전진하지 않도록 스토퍼 기능을 수행하는 스토퍼면(112a)이 된다.
삭제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밀부재(14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핀 밸브(110)의 중단부(112)에 삽입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산소배출부(120)의 끝단부와 밀착되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모두 중단부(112)에 매립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며, 산소배출부(120)와 접하는 부분은 미세하게 돌출되도록 하여 완충역할 및 기밀역할을 높이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변형예에서는 산소배출부(120)의 끝단부(123)에 대향하는 중단부(112)의 일측면이, 산소배출부(120)의 끝단부(123)에 접하여 핀 밸브(110)가 더 이상 전진하지 않도록 스토퍼 기능을 수행하는 스토퍼면(112a)이 된다.
상기한 기밀부재(140)는 상기한 변형예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핀 밸브(110)의 중단부(112) 형상도 상기 기밀부재(14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토치의 작동상태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작업자는 산소주입구(20) 및 가스주입구(30)에 호스(미도시)를 연결한 후 상기 산소조절부(100) 및 가스조절부(200)를 조절하여 개방하게 되면, 산소 및 가스는 상기 바디부(10)를 통과하여 하우징(130)의 산소유로(131) 및 가스유로(132)로 도달하게 된다.
이후 작업자는 상기 산소조절부(100)의 손잡이(101)를 파지하여 회전하게 되면, 손잡이(101)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되는 핀 밸브(110)의 선단부(111)는 상기 산소배출부(120)의 관통공(121)에서 후퇴되어 개방되므로 산소가 혼합가스관(40)으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중단부(112)는 하우징(130)과 나사결합에 의하여 결합되므로 상기 손잡이(101)를 회전하여 전진 또는 후진을 하게 될 때 상기 실링부재(114)가 상기 하우징(130)의 내주면과 접하여 있으므로 미세한 조절이 가능한 것이다.
이후 상기 가스조절부(200)의 손잡이(201)을 파지하여 회전하게 되면, 손잡이(201)에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밸브체(210)가 차단하고 있던 가스유입공(202)을 개방하게 되어 가스가 바디부(10)를 지나 혼합가스관(40)으로 유입된다.
이후 작업자는 불을 화구에 점화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산소조절부(100) 및 가스조절부(200)에서 작업용도 및 환경에 맞춰 산소 및 가스의 양을 조절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토치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바디부 20 : 산소주입구
30 : 가스주입구 40 : 혼합가스관
50 : 화구 100 : 산소소절부
101 : 손잡이 110 : 핀밸브
111 : 선단부 112 : 중단부
113 : 후단부 114 : 실링부재
120 : 산소배출부 121 : 관통공
130 : 하우징 131 : 산소유로
132 : 가스유로 140 : 기밀부재
200 : 가스조절부 201 : 손잡이
202 : 가스유입공 204 : 실링부재
210 : 가스조절부 211 : 선단부
212 : 중단부 213 : 후단부
220 : 완충부재 230 : 하우징

Claims (10)

  1. 바디부(10) 전단부에 구비되는 산소조절부(100)와, 후단에 구비되는 산소주입구(20) 및 가스주입구(30)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의 양을 조절하는 가스조절부(200)로 구성되는 토치에 있어서,
    상기 산소조절부(100)는,
    상기 바디부(10)의 선단부 일측에 구비되며 내주면 소정구간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하우징(130);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30)의 나사산과 결합되어 고정되며, 선단부에 원통형의 관통공(121)이 형성되는 산소배출부(120) 및
    상기 관통공(121)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되도록 상기 관통공(121)에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되는 원통형의 선단부(111)와, 상기 선단부(111)의 후단에 구비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30)과 결합되는 중단부(112)와, 외측의 손잡이(101)와 결합되는 후단부(113)로 구성되고, 상기 관통공(121)에 원통형의 선단부(111)가 삽입된 상태에서 전진 이동을 중단하는 스톱퍼 기능을 구비한 핀 밸브(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핀 밸브(110)의 스톱퍼 기능은, 상기 중단부(112)에 구비되어 상기 산소배출부(120)의 끝단부(123)에 접하는 스토퍼면(112a)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산소배출부(120)는,
    상기 핀 밸브(110)의 중단부(112)와 접하는 부분에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기밀부재(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핀 밸브(110)의 중단부(112)에 구비된 스토퍼면(112a)은 원추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밀부재(140)는, 중심부에 상기 중단부(112)의 스토퍼면(112a)과 접하는 원추형상의 관통공(141)을 형성하고, 바깥둘레면이 상기 하우징(130)의 내주면과 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산소배출부(120)의 끝단부(123)에는 상기 관통공(141)의 연장선상에 형성되어 중단부(112)의 스토퍼면(112a)과 접하는 연장부(12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부재(140)는,
    선단부가 원추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핀 밸브(110)의 중단부(112)에 관통결합되고, 후단부의 소정면적이 상기 중단부(112)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부재(14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산소배출부(120)의 끝단부(123)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치.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부재(14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핀 밸브(110)의 중단부(112)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핀 밸브(110)는,
    상기 중단부(112)와 상기 후단부(113)의 경계를 이루는 영역에 실링부재(11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조절부(200)는,
    내측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하우징(230);
    원추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스주입구(30)에서 공급되는 가스를 바디부(10)로 공급을 제어하기 위하여 가스유입공(202)을 개폐하는 선단부(211)와, 상기 선단부 후측에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230)과 나사결합되는 중단부(212)와, 상기 중단부(212) 후측에 구비되는 후단부(213)로 구성되는 밸브체(210) 및
    상기 후단부(213)와 결합되어 상기 밸브체(210)과 일체로 회전되는 손잡이(20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유입공(202)은,
    그 가장자리 영역에 상기 밸브체(210)의 상기 선단부(211)와의 마찰을 줄이기 위하여 중심부에 원추형상의 관통공(221)이 형성되는 완충부재(220)와, 상기 관통공(221)의 연장선상과 일치하는 연장부(20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치.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210)는,
    상기 선단부(211)와 상기 중단부(212)의 경계를 이루는 영역에 실링부재(20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치.
KR1020110048610A 2011-05-23 2011-05-23 토치 KR101357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8610A KR101357194B1 (ko) 2011-05-23 2011-05-23 토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8610A KR101357194B1 (ko) 2011-05-23 2011-05-23 토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0575A KR20120130575A (ko) 2012-12-03
KR101357194B1 true KR101357194B1 (ko) 2014-02-03

Family

ID=47514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8610A KR101357194B1 (ko) 2011-05-23 2011-05-23 토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719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732Y1 (ko) * 2014-11-24 2015-03-25 박광규 가스토치
KR102080899B1 (ko) * 2019-01-10 2020-02-24 김진동 수소산소 혼합가스를 이용한 가열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2392A (ko) * 2005-10-18 2007-04-23 강의창 토치
KR20090101412A (ko) * 2009-02-01 2009-09-28 이명희 토치용 가스 조절 밸브
KR20110010909A (ko) * 2009-07-27 2011-02-08 주식회사 대성정밀 시드 일체형 가스 절단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2392A (ko) * 2005-10-18 2007-04-23 강의창 토치
KR20090101412A (ko) * 2009-02-01 2009-09-28 이명희 토치용 가스 조절 밸브
KR20110010909A (ko) * 2009-07-27 2011-02-08 주식회사 대성정밀 시드 일체형 가스 절단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732Y1 (ko) * 2014-11-24 2015-03-25 박광규 가스토치
KR102080899B1 (ko) * 2019-01-10 2020-02-24 김진동 수소산소 혼합가스를 이용한 가열 장치
WO2020145479A1 (ko) * 2019-01-10 2020-07-16 김진동 수소산소 혼합가스를 이용한 가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0575A (ko) 2012-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61632B2 (en) Quick-acting valve having metering relief
JP6076880B2 (ja) 制御弁
KR101357194B1 (ko) 토치
US3040835A (en) Air line lubricator
KR100949057B1 (ko) 토치용 가스 조절 밸브
KR20140132107A (ko) 분사압력 조절형 스프레이건
US20190323709A1 (en) Torch with integral flashback arrestor and thermal shut-off device
KR101274732B1 (ko) 수동식 가스절단기용 고압밸브 핀
JP5294134B2 (ja) タップホルダー
KR101656850B1 (ko) 그리스 배출밸브
KR200451854Y1 (ko) 연료조절밸브의 작동이 용이한 절단기
FI2971454T3 (fi) Sisäputkikokoonpanossa käytetty päästöventtiili käytettäväksi sydän-kairausterän kanssa
KR101205597B1 (ko) 토치용 가스 조절 밸브
EP1468956A1 (en) Lifting jack comprising a lower control system regulating the flow rate of lifting jack oil
JP3955863B2 (ja) 吹付塗装用スプレーガン
KR101719501B1 (ko) 스크류형 에어 브리더
JP2021065948A (ja) 切削工具
KR200497585Y1 (ko) 절삭 탭핑유 직분사 장치
US2325751A (en) Collapsible safety razor
KR101085344B1 (ko) 용접기용 가스제어밸브
JP5886719B2 (ja) ガスガン
US11131391B2 (en) Valve
US5779408A (en) Fluid control quill stop
JP2019188466A (ja) 抵抗溶接用電極チップ
RU2337818C2 (ru) Наконечник винта и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формовочной машин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