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6833B1 - 이동식 모듈형 시가지 및 그 이용방법 - Google Patents

이동식 모듈형 시가지 및 그 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6833B1
KR101356833B1 KR1020120100224A KR20120100224A KR101356833B1 KR 101356833 B1 KR101356833 B1 KR 101356833B1 KR 1020120100224 A KR1020120100224 A KR 1020120100224A KR 20120100224 A KR20120100224 A KR 20120100224A KR 101356833 B1 KR101356833 B1 KR 101356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module
modular
unique identification
identification nu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0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영희
Original Assignee
노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영희 filed Critical 노영희
Priority to KR1020120100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68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6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6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05Modulation co-ordin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Abstract

본 발명은 도시개발, 도시건축, 도시계획 및 도시설계 기술을 개시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치, 구조배치 및 제거가 용이한 이동식 모듈형 시가지 및 그 설치, 구조변경, 이용방법은 지지 틀(Support frame), 바닥 조립체(Floor assembly) 및 충전 판넬과 함께 단일체(單一體)로 주조되는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 이동식 기간시설 모듈 및, 이동식 편의 및 관리시설 모듈을 도시개발필지에 다수개 조성함으로써, G20정상회의, 국제학술회의, 국제 경제포럼, EXPO, 월드컵, 동하계 올림픽 또는 전국체전, 국제영화제와 같은 굵직한 국내외 주요행사를 유치하는 해당도시에 입국하여 들어오는 각국의 정상급들, 다양한 학계원로, 정치인, 관련업에 종사하는 기업인, 경제인, 각국 언론인, 스포츠선수, 탈렌트, 자국민 포함 다수의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시적이나마 편안하게 숙박 및 거주할 수 있는 주거공간뿐만 아니라 각종 편의시설을 그들이 원하는 형태로 다양하게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식 모듈형 시가지 및 그 이용방법{A mobile modular village and an us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도시개발, 도시건축, 도시계획 및 도시설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지 틀(Support frame), 바닥 조립체(Floor assembly) 및 충전 판넬과 함께 단일체(單一體)로 주조되는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 이동식 기간시설 모듈 및, 이동식 편의 및 관리시설 모듈을 도시개발필지에 다수개 조성함으로써, 사기지 전체를 유동적으로 설계 및 구조변경함에 있어 설치, 구조배치 및 제거가 용이한 이동식 모듈형 시가지 및 그 설치, 구조변경, 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대적 신도시개념은 1898년 영국의 하워드(E. Howard)에 의한 전원 도시구상 제안에서 시작된다. 또한 '신도시(뉴타운, new town)'라는 말을 처음 사용한 것은 1946년 영국에서 신도시법에 의해 건설된 도시만을 지칭했던 것인데, 영국의 신도시 개발정책이 높게 평가됨에 따라 각국에서는 대도시의 주변에 건설되는 대규모의 주택지들도 '뉴타운'이라 부르게 되었다.
휴양단지는 나름대로 강이 흐르고 바다가 열리고 해가 뜨고 지고 구름 덮인 산 기슭에서부터 햇빛 쏟아지는 숲에 이르도록 자연에 순응하는 환경을 이용한다.
그러나, 도시환경이나 계획된 단지 내에서는 건폐물의 조그만 면적을 가지고 신성한 자연의 상황을 평면배치나 상징물들을 통하여 겨우 표현하는 정도이다.
통상적으,로 조경의 바닥면은 거친 잔디, 고운 잔디, 자갈, 모래, 타일, 목재, 데크, 대리석 정도를 용도에 맞는 크기나 질감 형태로 사용하고 있다. 그 밖에 배수구를 세분하여 고저처리와 경사를 계산해 낸다든지, 자유로운 형태 또는 비정형적인 불규칙한 계단을 배치하기도 한다.
대칭적 구조의 정원들은 거의가 인위적으로 설정한 질서 체계대로 배치하든지, 아니면 대칭구조의 정직성에서 해방되어 동선을 다양하게 하고 전망을 미묘하고 임의롭고 흥미롭게 하기도 하지만, 대분분 유기적 설계(organic design), 유기적(organic) 기능적(functional) 형태를 따르고 있어서 수직적 경관의 요소들인 바람, 미풍, 햇빛, 그림자, 기온, 수목, 관목들이 공간 구획 시설이나 옥외공간에서 조차 물체들이 완벽한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다만 일부분에 불과한 하나의 요소로서 조성되는 정도이다.
그러나, 도시의 자연환경은 다만 보행을 가능하게 하거나 경관을 발보게만 하는 감상적인 것에 그칠 뿐, 도시인들이 즐기면서 오르고 내리거나, 자연을 정복하는 만큼의 다양한 즐거움이 전혀 없다는 아쉬움이 날마다 쌓이고 있다.
또한, 각 도시에서 개최되는 다양한 축제나 국제회의 등 각종 이벤트 행사시 해외 국빈들 및 자국민 포함 많은 관광객들이 그 지역에서 숙박 및 편의시설을 이용하는데 장소부족 현상뿐만 아니라 치안경호 및 전체 시스템적인 측면에서 보았을 때 운영 체계가 극히 저하되는 면이 있고 사후관리적 측면에서도 관리가 되지 않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하 나열되는 선행문헌들은 모든 구성부품 및 부품의 설계 및 그 목적이 조립 공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설계된 건축물 및 그 부품들에 관한 것들로, 이와 같은 기술의 전형적인 것으로는 미국특허 제3,161,267호이며, 1964년 12월 15일자로 Keller에게 특허 허여된 것이다. 다른 특허로는 1965년 11월 16자로 Burges에게 특허 허여된 미국특허 제3,217,455호이다. 또 다른 미국특허 제3,258,889호는 1966년 07월 05자로 Butcher에게 특허 허여된 것이며, 또 다른 특허로는 1972년 02월 15자로 Palmer에게 특허 허여된 미국특허 제3,641,724호이다. 미국특허 제3,217,455호는 한쌍의 대향되고, 측방향으로 이격된 면상 판재들을 포함하고, 상기 면상 판재들 사이에서 밀폐 챔버를 형성하도록 상기 면상 판재들의 둘레에 형성된 밀폐형 테두리를 구비하고, 상기 테두리는 측방향으로 이격된 대향 측면들과, 상기 테두리를 형성하도록 다수의 연결된 테두리 섹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판넬을 제공하며, 상기 각각의 테두리 섹션들은: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고, 내측 및 외측 표면들을 구비하며, U-형으로 이루어진 측방향 단면을 갖고, 테두리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하고, 상기 U-형단면의 가장 내측 단부에 일치하는 내측 단부들을 구비하는 U-형의 대향 다리부들을 구비하며, 각각의 다리부들은 서로를 향하여 연장하는 확대부를 구비한 외측커버; 상기 확대부 중의 하나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U-형 테두리 섹션의 어느 하나의 다리부의 내측 표면에 각각 융합된 제1 및 제2 길이방향 보강 스트립들; U-형의 측방향 단면을 갖고, 상기 가장 내측 단부에 대향한 상기 U-형 단면의 단부에서 상기 외측 커버의 내부에 배치되며, 외측 커버의 내표면에 융합된 제3 길이방향 보강 스트립; 및 상기 가장 내측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상기 U-형 테두리 섹션의 각각의 다리부 내에 형성된 길이방향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면상 판재들은 상기 슬롯들 내에 수용되어 절연 재료가 상기 외측 커버와 각각의 면상 판재들 사이, 각각의 면상 판재와 각각의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보강 스트립들 사이 및, 각각의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보강 스트립 및 제3 길이방향 보강 스트립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외측 커버가 상기 대향된 면상 판재들 사이 및 상기 길이방향 보강 스트립들 간의 직접적인 접촉을 차단하고, 상기 테두리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의 측방향 통로에서 낮은 전달경로를 형성하는 것이다. 미국특허 제3,258,889호는 조립식 구조물 섹션이 제공되며, (1) 횡으로 연장하고, 목재 천장 판과 상기 천장 판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목재 마루판, 길이방향으로 연장하고, 서로 횡으로 이격되며, 상기 천장판으로부터 상기 마루판으로 연장하고, 상기 판재들을 관통하여 스터드로 연장하는 고정구들에 의해서 상기 판재들에 고정된 목재 스터드들을 포함하는 프레임; (2)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천장 판으로부터 상기 마루판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하며, 그 일측이 상기 스터드들에 인접하여 배치된 판넬; 및 (3) 상기 판넬을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수단은 견고한 셀룰러형의 폴리우레탄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천장 판, 마루판, 스터드 및 상기 판넬의 측면에 끈질기게 접착하며, 어느 하나의 스터드로부터 다음 것으로 연장하고, 상기 천장 판으로부터 상기 면상 판재로 연장하며, 상기 판넬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프레임의 타측으로 연장하여 이러한 섹션을 견고하게 하고,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대해 어느 정도 연장함으로써 상기 각각의 쌍을 이루는 스터드들 사이에서 상기 천장판으로부터 면상 판재로 연장하는 공간이 제공되어 배관 및 배선을 가능하게 한다. 미국특허 제3,641,724호는 주택용 벽체 구조물이 제공되며, 건축물로부터 제거된 위치에서 벽 섹션의 구축을 위해서 개발된 것으로, 일체형의 박스형 빔 구조물을 포함하고, 그 상부에 절연 및 반사 재료들이 제공되며, 벽 섹션 내에 일체형 요소로서 제공된다. 상기 박스형 빔 구조물은 벽 섹션에 직접 구축되며, 구조강화 인자를 제공하여 도어 및 창호의 설치가 임의의 지점에서 가능하고, 임의의 위치에서 트러스 서까래(rafters)의 설치가 가능하며, 벽을 따라서 트러스 서까래의 임의 지점 설치가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설치, 구조배치 및 제거가 용이한 이동식 모듈형 시가지 및 그 설치, 구조변경, 이용방법은 앞서 본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지지 틀(Support frame), 바닥 조립체(Floor assembly) 및 충전 판넬과 함께 단일체(單一體)로 주조되는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 이동식 기간시설 모듈 및, 이동식 편의 및 관리시설 모듈을 도시개발필지에 다수개 조성함으로써, G20정상회의, 국제학술회의, 국제 경제포럼, EXPO, 월드컵, 동하계 올림픽 또는 전국체전, 국제영화제와 같은 굵직한 국내외 주요행사를 유치하는 해당도시에 입국하여 들어오는 각국의 정상급들, 다양한 학계원로, 정치인, 관련업에 종사하는 기업인, 경제인, 각국 언론인, 스포츠선수, 탈렌트, 자국민 포함 다수의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시적이나마 편안하게 숙박 및 거주할 수 있는 주거공간뿐만 아니라 각종 편의시설을 그들이 원하는 형태로 다양하게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이동식 모듈형 시가지에 조성된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에 대한 사용인증 및 원활한 관리체계를 위한 방안으로,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에 접근한 사용자의 인증여부를 RFID 태크 판독기를 이용해 빠르게 판독하여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의 임시거주 및 임시거취를 위해 미리 예약을 마친 사용자가 타국, 타지역 생활하는데 안전하게 경호받을 수 있거나 빠르게 적응하도록 안정망을 구축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이동식 기간시설 모듈의 완비로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에 임시거주하는 사용자가 아무런 불편없이 가스, 전기 및 수돗물을 원활히 공급받을 수 있게 하고,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로부터 배출되는 오,폐수를 정화수로 말끔히 재생함을 통해 비록 한시적으로나마 주거 생활환경 수준을 더욱 향상시키고 에너지 수급의 자체해결로 혹시 부족해 질 수 있을 자원 공급량을 어느 일정수준까지 확보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 목적은 각종 위락시설 혹은 각종 편의시설을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의 배치상태에 맞게 다양하게 설치, 구조변경, 제거할 수 있어 이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접근성을 높여 사용자가 언제든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통해 이를 운영하고자 하는 관련업 종사자들의 매출 향상 및 국가이익에도 일조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5 목적은 이동식 모듈형 시가지 내 설치된 RFID 리더용 안내 표시기를 통해 사용자 자신이 미리 예약한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의 정확한 위치를 안내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 개개인마다 자신이 원하는 고객 맞춤형 생활지역정보 또는 고객 맞춤형 키워드정보를 안내받을 수 있어 사용자의 고객만족도 향상, 정보 이용료 발생, 생활지역정보를 보고 온 방문객의 소비율 증대에 따른 지역경제 활성화 및 관련 산업발전에도 크게 이바지하기 위함이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치, 구조배치 및 제거가 용이한 이동식 모듈형 시가지는, 지지 틀(Support frame), 바닥 조립체(Floor assembly) 및 충전 판넬과 함께 단일체(單一體)로 주조되는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 이동식 기간시설 모듈 및, 이동식 편의 및 관리시설 모듈을 도시개발필지에 다수개 조성하는 이동식 모듈형 시가지로, 출입문 부근에 설치된 RFID 태크 판독기를 이용해 상기 출입문에 접근한 사용자 통신 단말기 내 탑재된 RFID 칩 혹은 RFID 태크를 판독함에 따라 상기 RFID 칩 혹은 RFID 태크에 기부여된 고유식별번호를 유무선 통신망으로 송출하는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 상기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로 가스, 전기 및 수돗물을 공급해 주며, 상기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에서 배출되는 오,폐수를 집수하여 혐기성 정화방식 또는 호기성 정화방식으로 정화된 정화수를 재생하여 상기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에 공급하는 이동식 기간시설 모듈; 및 다수개 조성된 상기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에 대한 출입허가 신청 또는 사전등록을 신청한 상기 RFID 칩 혹은 RFID 태크의 인증 상태를 파악한 후, 사용 인증받은 상기 고유식별번호를 전달받아 출입허가 테이블에 사전 등록하는 관리서버가 기설치된 이동식 관리사무소를 포함하는 이동식 편의 및 관리시설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식 모듈형 시가지 내 설치된 RFID 리더용 안내 표시기는 상기 사용자 통신 단말기의 접근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상기 사용자 통신 단말기의 직간접적인 태크로 상기 사용자 통신 단말기를 자동 인식할 경우 상기 사용자 통신 단말기를 소지한 사용자를 대상으로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주소정보, 위치정보 및 길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바닥 조립체에 부착된 다수의 바퀴는 상기 도시개발필지에 설치된 레일판에 안착되며, 위치변경시 상기 레일판에 존재하는 레일을 따라 상기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 이동식 기간시설 모듈 및, 이동식 편의 및 관리시설 모듈을 상하좌우로 이동 가능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레일판 안착시 혹은 상기 위치변경 완료시, 상기 레일판은 상기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 이동식 기간시설 모듈 및, 이동식 편의 및 관리시설 모듈이 안착한 목적지 외 다른 목적지로 미이동되도록 상기 레일과 상기 레일과 동일한 다른 레일이 서로 교차되는 다수의 지점에 고정자를 다수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치, 구조배치 및 제거가 용이한 이동식 모듈형 시가지의 설치방법은, 지지 틀(Support frame), 바닥 조립체(Floor assembly) 및 충전 판넬과 함께 단일체(單一體)로 주조되는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 이동식 기간시설 모듈 및, 이동식 편의 및 관리시설 모듈을 도시개발필지에 다수개 조성하는 시가지 설치방법으로, 상기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 이동식 기간시설 모듈 및, 이동식 편의 및 관리시설 모듈 중 어느 하나가 사전 준비된 크레인에 의해 상부가 들어 올려진 후 상기 크레인이 사전에 숙지해 둔 설치위치까지 이동하는 단계; 이동 완료시, 상기 어느 하나가 상기 크레인의 무게중심 제어에 의해 내려와 지정공간에 안착하는 단계; 상기 안착시, 상기 어느 하나의 상기 바닥 조립체에 부착된 다수의 바퀴가 상기 도시개발필지에 설치된 레일판에 배설된 지정레일과 맞닿는 단계; 고정자가 상기 지정레일과 상기 지정레일과 동일한 다른 지정레일이 서로 교차되는 지점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단계; 및 상기 고정자가 상기 다수의 바퀴를 지지하여 상기 어느 하나가 안착한 목적지 외 다른 목적지로 미이동되도록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치, 구조배치 및 제거가 용이한 이동식 모듈형 시가지의 구조변경 방법은, 지지 틀(Support frame), 바닥 조립체(Floor assembly) 및 충전 판넬과 함께 단일체(單一體)로 주조되는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 이동식 기간시설 모듈 및, 이동식 편의 및 관리시설 모듈을 도시개발필지에 다수개 조성하는 시가지 구조변경 방법으로, 상기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 이동식 기간시설 모듈 및, 이동식 편의 및 관리시설 모듈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도시개발필지에 설치된 레일판에 배설된 지정레일에 안착되는 단계; 위치변경시, 상기 어느 하나가 상기 바닥 조립체에 부착된 다수의 바퀴를 이용하여 상기 레일판에 존재하는 지정레일을 따라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이동 완료시, 고정자가 상기 지정레일과 상기 지정레일과 동일한 다른 지정레일이 서로 교차되는 지점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단계; 및 상기 고정자가 상기 다수의 바퀴를 지지하여 상기 어느 하나가 안착한 목적지 외 다른 목적지로 미이동되도록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치, 구조배치 및 제거가 용이한 이동식 모듈형 시가지의 이용방법은, 지지 틀(Support frame), 바닥 조립체(Floor assembly) 및 충전 판넬과 함께 단일체(單一體)로 주조되는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 이동식 기간시설 모듈 및, 이동식 편의 및 관리시설 모듈을 도시개발필지에 다수개 조성하는 시가지 이용방법으로, 상기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이 출입문 부근에 설치된 RFID 태크 판독기를 이용해 상기 출입문에 접근한 사용자 통신 단말기 내 탑재된 RFID 칩 혹은 RFID 태크를 판독함에 따라 상기 RFID 칩 혹은 RFID 태크에 기부여된 고유식별번호를 유무선 통신망으로 송출하는 단계; 이동식 기간시설 모듈이 상기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로 가스, 전기 및 수돗물을 공급해 주며, 상기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에서 배출되는 오,폐수를 집수하여 혐기성 정화방식 또는 호기성 정화방식으로 정화된 정화수를 재생하여 상기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에 공급하는 단계; 및 이동식 편의 및 관리시설 모듈이 기설치된 관리서버를 활용하여 다수개 조성된 상기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에 대한 출입허가 신청 또는 사전등록을 신청한 상기 RFID 칩 혹은 RFID 태크의 인증 상태를 파악한 후, 사용 인증받은 상기 고유식별번호를 전달받아 출입허가 테이블에 사전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식 모듈형 시가지 내 설치된 RFID 리더용 안내 표시기는 상기 사용자 통신 단말기의 접근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상기 사용자 통신 단말기의 직간접적인 태크로 상기 사용자 통신 단말기를 자동 인식할 경우 상기 사용자 통신 단말기를 소지한 사용자를 대상으로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주소정보, 위치정보 및 길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설치, 구조배치 및 제거가 용이한 이동식 모듈형 시가지 및 그 설치, 구조변경, 이용방법은 지지 틀(Support frame), 바닥 조립체(Floor assembly) 및 충전 판넬과 함께 단일체(單一體)로 주조되는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 이동식 기간시설 모듈 및, 이동식 편의 및 관리시설 모듈을 도시개발필지에 다수개 조성함으로써, G20정상회의, 국제학술회의, 국제 경제포럼, EXPO, 월드컵, 동하계 올림픽 또는 전국체전, 국제영화제와 같은 굵직한 국내외 주요행사를 유치하는 해당도시에 입국하여 들어오는 각국의 정상급들, 다양한 학계원로, 정치인, 관련업에 종사하는 기업인, 경제인, 각국 언론인, 스포츠선수, 탈렌트, 자국민 포함 다수의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시적이나마 편안하게 숙박 및 거주할 수 있는 주거공간뿐만 아니라 각종 편의시설을 그들이 원하는 형태로 다양하게 제공하는 제 1 효과를 준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식 모듈형 시가지에 조성된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에 대한 사용인증 및 원활한 관리체계를 위한 방안으로,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에 접근한 사용자의 인증여부를 RFID 태크 판독기를 이용해 빠르게 판독하여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의 임시거주 및 임시거취를 위해 미리 예약을 마친 사용자가 타국, 타지역 생활하는데 안전하게 경호받을 수 있거나 빠르게 적응하도록 안정망을 구축하는 제 2 효과를 준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식 기간시설 모듈의 완비로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에 임시거주하는 사용자가 아무런 불편없이 가스, 전기 및 수돗물을 원활히 공급받을 수 있게 하고,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로부터 배출되는 오,폐수를 정화수로 말끔히 재생함을 통해 비록 한시적으로나마 주거 생활환경 수준을 더욱 향상시키고 에너지 수급의 자체해결로 혹시 부족해 질 수 있을 자원 공급량을 어느 일정수준까지 확보하는 제 3 효과를 준다.
또한, 본 발명은 각종 위락시설 혹은 각종 편의시설을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의 배치상태에 맞게 다양하게 설치, 구조변경, 제거할 수 있어 이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접근성을 높여 사용자가 언제든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통해 이를 운영하고자 하는 관련업 종사자들의 매출 향상 및 국가이익에도 일조하는 제 4 효과를 준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식 모듈형 시가지 내 설치된 RFID 리더용 안내 표시기를 통해 사용자 자신이 미리 예약한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의 정확한 위치를 안내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 개개인마다 자신이 원하는 고객 맞춤형 생활지역정보 또는 고객 맞춤형 키워드정보를 안내받을 수 있어 사용자의 고객만족도 향상, 정보 이용료 발생, 생활지역정보를 보고 온 방문객의 소비율 증대에 따른 지역경제 활성화 및 관련 산업발전에도 크게 이바지하는 제 5 효과를 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모듈형 시가지를 대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모듈형 시가지에 조성되는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을 대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모듈형 시가지의 도시개발필지에 개설되는 레일판 및 레일판 상에 안착되는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을 대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판 상에 안착되는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 이동식 기간시설 모듈 및 이동식 편의 및 관리시설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판 상에 위치 변경하는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 이동식 기간시설 모듈 및 이동식 편의 및 관리시설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을 사전 예약한 사용자 통신 단말기가 출입 허가받은 모습을 나타낸 상세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모듈형 시가지 내 설치된 RFID 리더용 안내 표시기 및 이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 통신 단말기를 소지한 사용자를 도시한 상세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모듈형 시가지의 설치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모듈형 시가지의 구조변경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모듈형 시가지의 이용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모듈형 시가지를 대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이동식 모듈형 시가지(1000)는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지지 틀(Support frame : 110), 바닥 조립체(Floor assembly : 120) 및 충전 판넬(130)과 함께 단일체(單一體)로 주조되는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100), 이동식 기간시설 모듈(200) 및, 이동식 편의 및 관리시설 모듈(300)을 설치, 구조배치 및 제거하여 도시개발필지(600)에 다수개 조성한 계획도시 중 하나이다.
유동적인 계획도시를 조성하기 위한 일환으로 마련된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100), 이동식 기간시설 모듈(200) 및, 이동식 편의 및 관리시설 모듈(300)은 도시계획 설계자가 레일판(800) 상에 미리 지정해 둔 목적지 주소, 좌표지에 안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위치 변경코자 하는 변동 주소지, 변동된 좌표지, 변동된 목적지에도 언제든지 이동할 수 있다.
먼저, 도시개발필지(600)에 미리 설치된 레일판(800)에 안착되는 전(前) 초기조성 단계로,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100), 이동식 기간시설 모듈(200) 및, 이동식 편의 및 관리시설 모듈(300)은 도 3에서도 알 수 있듯이, 사전 준비된 크레인(700)에 의해 상부가 들어 올려진 후 크레인(700)이 사전에 숙지해 둔 설치위치까지 이동하며, 이동 완료시 내려와 레일판(800) 중 지정공간(810)에 안착 고정된다.
레일판(800)에 안착된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100), 이동식 기간시설 모듈(200) 및, 이동식 편의 및 관리시설 모듈(300)은 바닥 조립체(120)에 부착된 다수의 바퀴(150)를 이용하여 도시개발필지(600)에 설치된 레일판(800)을 따라 원하는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상하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레일판(800)은 레일을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100), 이동식 기간시설 모듈(200) 및, 이동식 편의 및 관리시설 모듈(300)의 구조 또는 배치형태에 따라 상하좌우로 변경함에 따라 이동식 모듈형 시가지(1000)의 전체를 유동적으로 구조변경할 수 있다.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100), 이동식 기간시설 모듈(200) 및, 이동식 편의 및 관리시설 모듈(300)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가 레일판(800)에 안착했거나 위치변경을 완료한 경우, 레일판(800)은 도 4, 5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100), 이동식 기간시설 모듈(200) 및, 이동식 편의 및 관리시설 모듈(300)이 안착한 목적지 외 다른 목적지로 미이동되도록 레일과 레일과 동일한 다른 레일이 서로 교차되는 다수의 지점에 고정자(820)를 다수개 설치한다.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100)은 출입문(140) 부근에 설치된 RFID 태크 판독기(160)를 이용해 출입문(140)에 접근한 사용자 통신 단말기(400) 내 탑재된 RFID 칩 혹은 RFID 태크를 판독함에 따라 RFID 칩 혹은 RFID 태크에 기부여된 고유식별번호를 유무선 통신망으로 송출한다.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100)은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고유식별번호가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100), 이동식 기간시설 모듈(200 및, 이동식 편의 및 관리시설 모듈(300)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에 대한 출입을 허가받은 번호임을 하기 기재될 관리서버(미도시)로부터 통보받을 경우, 출입문(140)을 개방하며, 고유식별번호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에 대한 출입을 미허가받은 번호임을 관리서버(미도시)를 통해 통보받을 시엔 출입문(140)의 보안 잠금을 실시한다.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100)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온라인으로 사전 예약 가능하며, 사용자 요청으로 현 위치가 다른 위치로 변경 이동될 시 내부공간에 더 설치된 위치추적기(미도시)에 의해 확인되는 최종 목적지의 주소정보 및 좌표정보를 관리서버(미도시)에 통지해 주며, 더 설치된 통신모뎀에 의해 IPTV, 초고속 인터넷, 인터넷 전화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사용자 통신 단말기(400)는 표준화된 인터페이스와 플랫폼을 제공하는 운영체제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휴대전화로, 다양한 종류의 휴대기기 즉, MP3P, DMB, PMP, PDA, PSP, UMPC, 네비게이터, 넷북, 태블릿PC 등이 이에 속하며 전자 우편, 인터넷, 전자책 읽기 기능, 내장형 키보드나 외장 USB 키보드, VGA 단자를 갖춘 고급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전화이다.
사용자 통신 단말기(400) 활용의 핵심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에 있는데, 애플리케이션 스토어는 게임, e북, 음악, 동영상 등 사용자들이 원하는 애플리케이션과 콘텐츠를 쉽게 다운로드받게 해주는 서비스로 애플의 '앱스토어' 출시 이후 활성화되었고, 노키아,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등에 이어 통신사업자, 인터넷 포털과 모바일 소프트웨어 개발기업들도 사업진출을 시도하고 있다.
사용자 통신 단말기(400)의 대표인 스마트폰에서 볼 수 있는 운영 체제는 단말기별로 개별적으로 개발되었는데, 심비안 OS, 구글안드로이드, iOS, 블랙베리 OS, 윈도 폰 7, 팜 웹OS, 삼성 바다, 미고, 리모 등이 그 구체적인 예이다.
이동식 기간시설 모듈(200)은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100)을 기간설비에 맞게 개조한 임시건물로 간주되는 구조물 중 하나로,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100)로 가스, 전기 및 수돗물을 공급해 주며,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100)에서 배출되는 오,폐수를 집수하여 혐기성 정화방식 또는 호기성 정화방식으로 정화된 정화수를 재생하여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100)에 공급한다.
이동식 기간시설 모듈(100)의 유효 사례로는 이동식 변전소, 이동식 상수처리 관리소, 이동식 하수처리 관리소, 쓰레기처리 관리소 및 가스처리 관리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라 할 수 있겠다.
이어서, 이동식 편의 및 관리시설 모듈(200)은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100)을 기간설비에 맞게 개조한 임시건물로 간주되는 구조물 중 다른 하나로, 다수개 조성된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100)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에 대한 출입허가 신청 또는 사전등록을 신청한 RFID 칩 혹은 RFID 태크의 인증 상태를 파악한 후, 사용 인증받은 고유식별번호를 전달받아 출입허가 테이블에 사전 등록하는 관리서버(미도시)가 기설치된 이동식 관리사무소를 포함한다.
이동식 편의 및 관리시설 모듈(200)은 이동식 관리사무소를 비롯해, 편의점, 매점, 게임방, 노래방, 간이 보건소, 간이 미용실, 간이 음식점, 화장실 및 식수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임을 다양한 사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관리서버(미도시)는 고유식별번호로 출입허가 테이블을 검색하여 고유식별번호와 일치하는 데이터가 출입허가 테이블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파악함에 따라, 존재시 고유식별번호를 허가받은 번호로 인증하고, 미존재시 고유식별번호를 미허가받은 번호로 불인증한다.
여기서, 출입허가 테이블은 사용자에 대한 개인신상정보 및 고유식별번호를 리스트화시켜 정리해 둔 것으로,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100)에 접근한 사용자의 출입허가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설계된 출입허가대상 확인용 매칭테이블임에 유의한다.
이동식 모듈형 시가지(600) 내 설치된 RFID 리더용 안내 표시기(500)는 도 7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정보서비스와 업무의 무인자동화를 위하여 대중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공공장소에 설치한 무인단말기로, 멀티미디어 스테이션(multimedia station) 또는 셀프서비스 스테이션(self service station)이라고도 하며, 대개 터치스크린 방식을 적용하여 정보를 얻거나 구매·발권·등록 등의 업무를 처리한다.
RFID 리더용 안내 표시기(500)는 일반적으로, 멀티미디어 컴퓨터에 터치스크린과 카드 판독기, 프린터, 네트워크, 스피커, 비디오카메라, 인터폰, 감지기 등 다양한 주변기기를 장착하며, GUI를 이용한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또한, 각 기기의 동작 상태를 감시하고 이상 유무를 진단·복구하는 관리서버(미도시)와 연결된다.
RFID 리더용 안내 표시기(500)는 푸시기능을 탑재하고 있어, 화면 일부에 광고를 전송하거나 전면광고 또는 특화된 정보 등을 전달할 수 있으며, 인터넷이나 인트라넷에 효과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RFID 리더용 안내 표시기(500)는 멀티미디어 환경 구축시 화상회의 시스템과 스캐닝, 화면공유 등을 구현할 수 있으며, 가상현실과 음성인식 기능도 갖추고 있어 객장 안내, 쇼와 영화를 안내, 공항, 박람회, 전문 회의장, 국제 회의장, 호텔 등에도 많이 설치됨에 따라 앞으로 정보 차별화를 통해 유료화될 것으로 전망되는 것은 물론 발전 가능성 역시 크다 하겠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 리더용 안내 표시기(500)는 사용자 통신 단말기(400)의 접근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사용자 통신 단말기(400)의 직간접적인 태크로 사용자 통신 단말기(400)를 자동 인식할 경우 사용자 통신 단말기(400)를 소지한 사용자를 대상으로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100), 이동식 기간시설 모듈(200) 및, 이동식 편의 및 관리시설 모듈(300)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주소정보, 위치정보 및 길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안내한다.
RFID 리더용 안내 표시기(500)는 사용자의 개인신상정보를 관리서버(미도시)로부터 입수받아 사용자의 나이, 성별, 직업, 취미, 특기, 종교, 선호음식, 선호운동, 선호 여행지, 선호의상 스타일 및 소비성향을 참조해 프로그램적으로 매칭 추출된 고객 맞춤형 생활지역정보 또는 고객 맞춤형 키워드정보를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표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모듈형 시가지의 설치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를 참조하면, 설치, 구조배치 및 제거가 용이한 이동식 모듈형 시가지의 설치방법은 지지 틀(Support frame), 바닥 조립체(Floor assembly) 및 충전 판넬과 함께 단일체(單一體)로 주조되는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 이동식 기간시설 모듈 및, 이동식 편의 및 관리시설 모듈을 도시개발필지에 다수개 조성하는 시가지 설치방법이다.
먼저,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 이동식 기간시설 모듈 및, 이동식 편의 및 관리시설 모듈 중 어느 하나가 사전 준비된 크레인에 의해 상부가 들어 올려진 후 크레인이 사전에 숙지해 둔 설치위치까지 이동한다(S10, S20).
이동 완료시, 어느 하나는 크레인의 무게중심 제어에 의해 내려와 지정공간에 안착한다(S30).
안착시, 어느 하나의 바닥 조립체에 부착된 다수의 바퀴는 도시개발필지에 설치된 레일판에 배설된 지정레일과 맞닿는다(S40).
고정자는 지정레일과 지정레일과 동일한 다른 지정레일이 서로 교차되는 지점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다(S50).
고정자는 다수의 바퀴를 지지하여 어느 하나가 안착한 목적지 외 다른 목적지로 미이동되도록 고정시킨다(S60).
사용자 요청 또는 도시계획 설계자의 유지보수 및 관리적 차원으로,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 이동식 기간시설 모듈 및, 이동식 편의 및 관리시설 모듈의 구조 또는 배치형태가 변경 요청될 경우, 지정레일은 상하좌우로 폭(width) 변동되며, 지정레일의 폭 변동에 의해 이동식 모듈형 시가지 전체는 유동적으로 구조변경된다 하겠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모듈형 시가지의 구조변경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설치, 구조배치 및 제거가 용이한 이동식 모듈형 시가지의 구조변경 방법은 지지 틀(Support frame), 바닥 조립체(Floor assembly) 및 충전 판넬과 함께 단일체(單一體)로 주조되는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 이동식 기간시설 모듈 및, 이동식 편의 및 관리시설 모듈을 도시개발필지에 다수개 조성하는 시가지 구조변경 방법이다.
먼저,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 이동식 기간시설 모듈 및, 이동식 편의 및 관리시설 모듈 중 어느 하나는 도시개발필지에 설치된 레일판에 배설된 지정레일에 안착된다(S10').
위치변경시, 어느 하나는 바닥 조립체에 부착된 다수의 바퀴를 이용하여 레일판에 존재하는 지정레일을 따라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동한다(S20').
이동 완료시, 고정자는 지정레일과 지정레일과 동일한 다른 지정레일이 서로 교차되는 지점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다(S30').
고정자는 다수의 바퀴를 지지하여 어느 하나가 안착한 목적지 외 다른 목적지로 미이동되도록 고정시킨다(S40').
사용자 요청 또는 도시계획 설계자의 유지보수 및 관리적 차원으로,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 이동식 기간시설 모듈 및, 이동식 편의 및 관리시설 모듈의 구조 또는 배치형태가 변경 요청될 경우, 지정레일은 상하좌우로 폭(width) 변동되며, 지정레일의 폭 변동에 의해 이동식 모듈형 시가지 전체는 유동적으로 구조변경된다 하겠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모듈형 시가지의 이용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를 참조하면, 설치, 구조배치 및 제거가 용이한 이동식 모듈형 시가지의 이용방법은 지지 틀(Support frame), 바닥 조립체(Floor assembly) 및 충전 판넬과 함께 단일체(單一體)로 주조되는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 이동식 기간시설 모듈 및, 이동식 편의 및 관리시설 모듈을 도시개발필지에 다수개 조성하는 이동식 모듈형 시가지의 이용방법이다.
먼저,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이 출입문 부근에 설치된 RFID 태크 판독기를 이용해 출입문에 접근한 사용자 통신 단말기 내 탑재된 RFID 칩 혹은 RFID 태크를 판독함에 따라 RFID 칩 혹은 RFID 태크에 기부여된 고유식별번호를 유무선 통신망으로 송출한다(S10", S20").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은 사용자 요청에 의해 위치변경시, 내부공간에 설치된 위치추적기에 의해 최종 확인되는 목적지의 주소정보 및 좌표정보를 관리서버에 통지하며, 내부공간에 더 설치 통신모뎀과 기연결된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이동식 기간시설 모듈은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로 가스, 전기 및 수돗물을 공급해 주며,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에서 배출되는 오,폐수를 집수하여 혐기성 정화방식 또는 호기성 정화방식으로 정화된 정화수를 재생하여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에 공급한다(S30", S40").
이동식 편의 및 관리시설 모듈은 기설치된 관리서버를 활용하여 다수개 조성된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에 대한 출입허가 신청 또는 사전등록을 신청한 RFID 칩 혹은 RFID 태크의 인증 상태를 파악한 후, 사용 인증받은 고유식별번호를 전달받아 출입허가 테이블에 사전 등록한다(S50", S60").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은 관리서버로부터 고유식별번호가 선택된 적어도 하나에 대한 출입을 허가받은 번호임을 통보받을 경우 출입문을 개방하며, 관리서버로부터 고유식별번호가 선택된 적어도 하나에 대한 출입을 미허가받은 번호임을 통보받을 경우엔 출입문의 보안 잠금을 실시한다(S70", S80").
이때, 관리서버는 고유식별번호로 출입허가 테이블을 검색하여 고유식별번호와 일치하는 데이터가 출입허가 테이블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파악함에 따라, 존재시 고유식별번호를 허가받은 번호로 인증하고, 미존재시 고유식별번호를 미허가받은 번호로 불인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치, 구조배치 및 제거가 용이한 이동식 모듈형 시가지의 이용방법은 이하 기재된 바와 같이 추가적인 동작을 실시한다.
이동식 모듈형 시가지 내 설치된 RFID 리더용 안내 표시기는 사용자 통신 단말기의 접근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사용자 통신 단말기의 직간접적인 태크로 사용자 통신 단말기를 자동 인식할 경우 사용자 통신 단말기를 소지한 사용자를 대상으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주소정보, 위치정보 및 길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안내한다.
RFID 리더용 안내 표시기는 사용자의 개인신상정보를 관리서버로부터 입수받아 사용자의 나이, 성별, 직업, 취미, 특기, 종교, 선호음식, 선호운동, 선호 여행지, 선호의상 스타일 및 소비성향을 참조해 프로그램적으로 매칭 추출된 고객 맞춤형 생활지역정보 또는 고객 맞춤형 키워드정보를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표출한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 형태 중의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변경, 치환, 대체 등에 의해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것이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은 구성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보다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제공된 것임을 명확히 한다.
1000 : 이동식 모듈형 시가지 100 :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
200 : 이동식 기간시설 모듈 300 : 이동식 편의 및 관리시설 모듈 400 : 사용자 통신 단말기
500 : 리더용안내 표시기 600 : 도시개발필지
700 : 크레인 800 : 레일판

Claims (19)

  1. 지지 틀(Support frame), 바닥 조립체(Floor assembly) 및 충전 판넬과 함께 단일체(單一體)로 주조되는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 이동식 기간시설 모듈 및, 이동식 편의 및 관리시설 모듈을 도시개발필지에 다수개 조성하는 이동식 모듈형 시가지로,
    출입문 부근에 설치된 RFID 태크 판독기를 이용해 상기 출입문에 접근한 사용자 통신 단말기 내 탑재된 RFID 칩 혹은 RFID 태크를 판독함에 따라 상기 RFID 칩 혹은 RFID 태크에 기부여된 고유식별번호를 유무선 통신망으로 송출하는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
    상기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로 가스, 전기 및 수돗물을 공급해 주며, 상기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에서 배출되는 오,폐수를 집수하여 혐기성 정화방식 또는 호기성 정화방식으로 정화된 정화수를 재생하여 상기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에 공급하는 이동식 기간시설 모듈; 및
    다수개 조성된 상기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에 대한 출입허가 신청 또는 사전등록을 신청한 상기 RFID 칩 혹은 RFID 태크의 인증 상태를 파악한 후, 사용 인증받은 상기 고유식별번호를 전달받아 출입허가 테이블에 사전 등록하는 관리서버가 기설치된 이동식 관리사무소를 포함하는 이동식 편의 및 관리시설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식 모듈형 시가지 내 설치된 RFID 리더용 안내 표시기는 상기 사용자 통신 단말기의 접근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상기 사용자 통신 단말기의 직간접적인 태크로 상기 사용자 통신 단말기를 자동 인식할 경우 상기 사용자 통신 단말기를 소지한 사용자를 대상으로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주소정보, 위치정보 및 길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바닥 조립체에 부착된 다수의 바퀴는 상기 도시개발필지에 설치된 레일판에 안착되며, 위치변경시 상기 레일판에 존재하는 레일을 따라 상기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 이동식 기간시설 모듈 및, 이동식 편의 및 관리시설 모듈을 상하좌우로 이동 가능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레일판 안착시 혹은 상기 위치변경 완료시, 상기 레일판은 상기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 이동식 기간시설 모듈 및, 이동식 편의 및 관리시설 모듈이 안착한 목적지 외 다른 목적지로 미이동되도록 상기 레일과 상기 레일과 동일한 다른 레일이 서로 교차되는 다수의 지점에 고정자를 다수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구조배치 및 제거가 용이한 이동식 모듈형 시가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은,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고유식별번호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에 대한 출입을 허가받은 번호임을 통보받을 시 상기 출입문을 개방하며,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고유식별번호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에 대한 출입을 미허가받은 번호임을 통보받을 시 상기 출입문의 보안 잠금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구조배치 및 제거가 용이한 이동식 모듈형 시가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고유식별번호로 상기 출입허가 테이블을 검색하여 상기 고유식별번호와 일치하는 데이터가 상기 출입허가 테이블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파악함에 따라, 존재시 상기 고유식별번호를 허가받은 번호로 인증하고, 미존재시 상기 고유식별번호를 미허가받은 번호로 불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구조배치 및 제거가 용이한 이동식 모듈형 시가지.
  4. 제 3 항에 있어서, 출입허가 테이블은,
    상기 사용자에 대한 개인신상정보 및 상기 고유식별번호를 리스트화시켜 정리해 둔 것으로, 상기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에 접근한 사용자의 출입허가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설계된 출입허가대상 확인용 매칭테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구조배치 및 제거가 용이한 이동식 모듈형 시가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은,
    상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온라인으로 사전 예약되며, 상기 사용자 요청으로 상기 위치변경시, 내부공간에 설치된 위치추적기에 의해 최종 확인되는 상기 목적지의 주소정보 및 좌표정보를 상기 관리서버에 통지해 주며, 상기 유무선 통신망 연결시 사용되는 통신모뎀이 상기 내부공간에 더 설치됨에 따라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구조배치 및 제거가 용이한 이동식 모듈형 시가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기간시설 모듈은,
    이동식 변전소, 이동식 상수처리 관리소, 이동식 하수처리 관리소, 쓰레기처리 관리소 및 가스처리 관리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구조배치 및 제거가 용이한 이동식 모듈형 시가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편의 및 관리시설 모듈은,
    상기 이동식 관리사무소를 비롯해, 편의점, 매점, 게임방, 노래방, 간이 보건소, 간이 미용실, 간이 음식점, 화장실 및 식수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구조배치 및 제거가 용이한 이동식 모듈형 시가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판에 안착되는 전(前) 초기조성 단계로,
    상기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 이동식 기간시설 모듈 및, 이동식 편의 및 관리시설 모듈은 사전 준비된 크레인에 의해 상부가 들어 올려진 후 상기 크레인이 사전에 숙지해 둔 설치위치까지 이동하며, 이동 완료시 내려와 상기 레일판 중 지정공간에 안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구조배치 및 제거가 용이한 이동식 모듈형 시가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판은,
    상기 레일을 상기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 이동식 기간시설 모듈 및, 이동식 편의 및 관리시설 모듈의 구조 또는 배치형태에 따라 상하좌우로 변경함에 따라 상기 이동식 모듈형 시가지의 전체를 유동적으로 구조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구조배치 및 제거가 용이한 이동식 모듈형 시가지.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RFID 리더용 안내 표시기는,
    상기 사용자의 개인신상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입수받아 상기 사용자의 나이, 성별, 직업, 취미, 특기, 종교, 선호음식, 선호운동, 선호 여행지, 선호의상 스타일 및 소비성향을 참조해 프로그램적으로 매칭 추출된 고객 맞춤형 생활지역정보 또는 고객 맞춤형 키워드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표출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구조배치 및 제거가 용이한 이동식 모듈형 시가지.
  11. 지지 틀(Support frame), 바닥 조립체(Floor assembly) 및 충전 판넬과 함께 단일체(單一體)로 주조되는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 이동식 기간시설 모듈 및, 이동식 편의 및 관리시설 모듈을 도시개발필지에 다수개 조성하는 이동식 모듈형 시가지의 설치방법으로,
    상기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 이동식 기간시설 모듈 및, 이동식 편의 및 관리시설 모듈 중 어느 하나가 사전 준비된 크레인에 의해 상부가 들어 올려진 후 상기 크레인이 사전에 숙지해 둔 설치위치까지 이동하는 단계;
    이동 완료시, 상기 어느 하나가 상기 크레인의 무게중심 제어에 의해 내려와 지정공간에 안착하는 단계;
    상기 안착시, 상기 어느 하나의 상기 바닥 조립체에 부착된 다수의 바퀴가 상기 도시개발필지에 설치된 레일판에 배설된 지정레일과 맞닿는 단계;
    고정자가 상기 지정레일과 상기 지정레일과 동일한 다른 지정레일이 서로 교차되는 지점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단계; 및
    상기 고정자가 상기 다수의 바퀴를 지지하여 상기 어느 하나가 안착한 목적지 외 다른 목적지로 미이동되도록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설치, 구조배치 및 제거가 용이한 이동식 모듈형 시가지의 설치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가 상기 다수의 바퀴를 지지하여 상기 어느 하나가 안착한 목적지 외 다른 목적지로 미이동되도록 고정시키는 단계 이후,
    상기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 이동식 기간시설 모듈 및, 이동식 편의 및 관리시설 모듈의 구조 또는 배치형태가 변경 요청될 경우,
    상기 지정레일이 상하좌우로 폭(width) 변동되는 단계; 및
    상기 지정레일의 폭 변동으로 상기 이동식 모듈형 시가지의 전체가 유동적으로 구조변경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구조배치 및 제거가 용이한 이동식 모듈형 시가지의 설치방법.
  13. 지지 틀(Support frame), 바닥 조립체(Floor assembly) 및 충전 판넬과 함께 단일체(單一體)로 주조되는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 이동식 기간시설 모듈 및, 이동식 편의 및 관리시설 모듈을 도시개발필지에 다수개 조성하는 이동식 모듈형 시가지의 구조변경 방법으로,
    상기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 이동식 기간시설 모듈 및, 이동식 편의 및 관리시설 모듈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도시개발필지에 설치된 레일판에 배설된 지정레일에 안착되는 단계;
    위치변경시, 상기 어느 하나가 상기 바닥 조립체에 부착된 다수의 바퀴를 이용하여 상기 레일판에 존재하는 지정레일을 따라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이동 완료시, 고정자가 상기 지정레일과 상기 지정레일과 동일한 다른 지정레일이 서로 교차되는 지점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단계; 및
    상기 고정자가 상기 다수의 바퀴를 지지하여 상기 어느 하나가 안착한 목적지 외 다른 목적지로 미이동되도록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설치, 구조배치 및 제거가 용이한 이동식 모듈형 시가지의 구조변경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가 상기 다수의 바퀴를 지지하여 상기 어느 하나가 안착한 목적지 외 다른 목적지로 미이동되도록 고정시키는 단계 이후,
    상기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 이동식 기간시설 모듈 및, 이동식 편의 및 관리시설 모듈의 구조 또는 배치형태가 변경 요청될 경우, 상기 지정레일이 상하좌우로 폭(width) 변동되는 단계; 및
    상기 지정레일의 폭 변동으로 상기 이동식 모듈형 시가지의 전체가 유동적으로 구조변경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구조배치 및 제거가 용이한 이동식 모듈형 시가지의 구조변경 방법.
  15. 지지 틀(Support frame), 바닥 조립체(Floor assembly) 및 충전 판넬과 함께 단일체(單一體)로 주조되는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 이동식 기간시설 모듈 및, 이동식 편의 및 관리시설 모듈을 도시개발필지에 다수개 조성하는 이동식 모듈형 시가지의 이용방법으로,
    상기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이 출입문 부근에 설치된 RFID 태크 판독기를 이용해 상기 출입문에 접근한 사용자 통신 단말기 내 탑재된 RFID 칩 혹은 RFID 태크를 판독함에 따라 상기 RFID 칩 혹은 RFID 태크에 기부여된 고유식별번호를 유무선 통신망으로 송출하는 단계;
    이동식 기간시설 모듈이 상기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로 가스, 전기 및 수돗물을 공급해 주며, 상기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에서 배출되는 오,폐수를 집수하여 혐기성 정화방식 또는 호기성 정화방식으로 정화된 정화수를 재생하여 상기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에 공급하는 단계; 및
    이동식 편의 및 관리시설 모듈이 기설치된 관리서버를 활용하여 다수개 조성된 상기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에 대한 출입허가 신청 또는 사전등록을 신청한 상기 RFID 칩 혹은 RFID 태크의 인증 상태를 파악한 후, 사용 인증받은 상기 고유식별번호를 전달받아 출입허가 테이블에 사전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식 모듈형 시가지 내 설치된 RFID 리더용 안내 표시기는 상기 사용자 통신 단말기의 접근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상기 사용자 통신 단말기의 직간접적인 태크로 상기 사용자 통신 단말기를 자동 인식할 경우 상기 사용자 통신 단말기를 소지한 사용자를 대상으로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주소정보, 위치정보 및 길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구조배치 및 제거가 용이한 이동식 모듈형 시가지의 이용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인증받은 상기 고유식별번호를 전달받아 출입허가 테이블에 사전 등록하는 단계 이후,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고유식별번호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에 대한 출입을 허가받은 번호임을 통보받은 상기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이 상기 출입문을 개방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고유식별번호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에 대한 출입을 미허가받은 번호임을 통보받은 상기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이 상기 출입문의 보안 잠금을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구조배치 및 제거가 용이한 이동식 모듈형 시가지의 이용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인증받은 고유식별번호를 전달받아 출입허가 테이블에 사전 등록하는 단계 이후,
    상기 관리서버가, 고유식별번호로 상기 출입허가 테이블을 검색하여 상기 고유식별번호와 일치하는 데이터가 상기 출입허가 테이블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파악함에 따라, 존재시 상기 고유식별번호를 허가받은 번호로 인증하고, 미존재시 상기 고유식별번호를 미허가받은 번호로 불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구조배치 및 제거가 용이한 이동식 모듈형 시가지의 이용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인증받은 상기 고유식별번호를 전달받아 출입허가 테이블에 사전 등록하는 단계 이후,
    상기 이동식 주거시설 모듈이 사용자 요청으로 위치변경시, 내부공간에 설치된 위치추적기에 의해 최종 확인되는 목적지의 주소정보 및 좌표정보를 상기 관리서버에 통지해 주는 단계; 및
    상기 유무선 통신망 연결시 사용되는 통신모뎀을 상기 내부공간에 더 설치하여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구조배치 및 제거가 용이한 이동식 모듈형 시가지의 이용방법.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인증받은 상기 고유식별번호를 전달받아 출입허가 테이블에 사전 등록하는 단계 이후,
    상기 RFID 리더용 안내 표시기가,
    상기 사용자의 개인신상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입수받아 상기 사용자의 나이, 성별, 직업, 취미, 특기, 종교, 선호음식, 선호운동, 선호 여행지, 선호의상 스타일 및 소비성향을 참조해 프로그램적으로 매칭 추출된 고객 맞춤형 생활지역정보 또는 고객 맞춤형 키워드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표출시켜 주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구조배치 및 제거가 용이한 이동식 모듈형 시가지의 이용방법.
KR1020120100224A 2012-09-11 2012-09-11 이동식 모듈형 시가지 및 그 이용방법 KR101356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0224A KR101356833B1 (ko) 2012-09-11 2012-09-11 이동식 모듈형 시가지 및 그 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0224A KR101356833B1 (ko) 2012-09-11 2012-09-11 이동식 모듈형 시가지 및 그 이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6833B1 true KR101356833B1 (ko) 2014-01-28

Family

ID=50146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0224A KR101356833B1 (ko) 2012-09-11 2012-09-11 이동식 모듈형 시가지 및 그 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683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8384A (ko) * 1999-03-23 2001-12-07 타임 디베롭먼츠 피티와이 리미티드 대화식 건물 모듈
KR20060120839A (ko) * 2005-05-23 2006-11-28 조택연 지능형 건물 및 건물의 공간 활용도 개선 방법
JP2007508482A (ja) 2003-10-17 2007-04-05 ビッグ ステップス リミテッド 建物モジュール
KR101154386B1 (ko) 2011-12-30 2012-06-15 주식회사 포스코에이앤씨건축사사무소 모듈유닛의 조립구조 및 이를 이용한 리모델링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8384A (ko) * 1999-03-23 2001-12-07 타임 디베롭먼츠 피티와이 리미티드 대화식 건물 모듈
JP2007508482A (ja) 2003-10-17 2007-04-05 ビッグ ステップス リミテッド 建物モジュール
KR20060120839A (ko) * 2005-05-23 2006-11-28 조택연 지능형 건물 및 건물의 공간 활용도 개선 방법
KR101154386B1 (ko) 2011-12-30 2012-06-15 주식회사 포스코에이앤씨건축사사무소 모듈유닛의 조립구조 및 이를 이용한 리모델링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ill et al. Managing growth in mountain tourism communities
Curtis Delivering the'D'in transit-oriented development: Examining the town planning challenge
CN104134115A (zh) 一种智慧旅游综合服务系统
Tan et al. Walking as a planned activity: Elevated pedestrian network and urban design regulation in Hong Kong
Elshater New urbanism principles versus urban design dimensions towards behavior performance efficiency in Egyptian neighbourhood unit
Wiig Everyday landmarks of networked urbanism: Cellular antenna sites and the infrastructure of mobile communication in Philadelphia
KR101356833B1 (ko) 이동식 모듈형 시가지 및 그 이용방법
Tiesdell The new urbanism and English residential design guidance: A review
Widener Animating Performance Zoning at Sustainability's Competitive Edge
Wettstein Historical analysis of regional planning of Balaton
Huang et al. Three Stages of Urban Community Development and Regeneration Planning in Chongqing (2010-2020)
Singh et al. Tourist experience in smart city destination of Jaipur (Rajasthan)
Yiftachel et al. The planning of Perth's changing form—invention or convention?
Yamagata et al. Case studies toward smart communities
Uzakbayev et al. The architecture of business centers in major cities of independent Kazakhstan
Delitheou et al. The E-Government in Local Governance and Its Contribution to the Regional Development: A Comparative Study
Baker Controlling the growth of Cambridge (UK): challenges to planning its built environment
Uduku Bolgatanga Library, Adaptive Modernism in Ghana 40 Years On
Al Jaajaa Inclusive Public Spaces, The Case of Al Hashemite Plaza and Public Parks in Amman Downtown, Jordan
Purswani et al. Mediating Cultural Heritage Revival Through Urban Transformation in Ayodhya City
Li Study on the Development Planning of Zhuhai Smart City
GERSHER Meewasin northeast swale master plan–protecting a prized natural feature
Kim A Study on the Physical Model of Sustainable Urban Form
Shroff K2: Explorations in Vertical Urbanism.
Tyrrell Karangahape Road train station: an urban catalyst for revitalis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