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6713B1 - 교체식 패들이 구비된 슬러지 건조기 - Google Patents

교체식 패들이 구비된 슬러지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6713B1
KR101356713B1 KR1020110115630A KR20110115630A KR101356713B1 KR 101356713 B1 KR101356713 B1 KR 101356713B1 KR 1020110115630 A KR1020110115630 A KR 1020110115630A KR 20110115630 A KR20110115630 A KR 20110115630A KR 101356713 B1 KR101356713 B1 KR 101356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dle
sludge
outlet
paddles
disch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5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0520A (ko
Inventor
맹석주
Original Assignee
(주)일동에스엔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일동에스엔엠 filed Critical (주)일동에스엔엠
Priority to KR1020110115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6713B1/ko
Publication of KR20130050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05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6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6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4Maintenance of water treatment install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Abstract

본 발명은 하.폐수처리장이나 각종 산업장 폐기물의 유기성 슬러지의 수분 감량을 위해 재 처리시키는 패들식 슬러지 건조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이 슬러지 건조기는 피 건조물이 투입.배출되는 입ㆍ출구가 구비되고 밀폐된 건조공간이 제공되는 중공의 몸통부를 가지며, 상기 건조공간에 열호형상의 패들들이 좌ㆍ우 한 쌍으로 이루어 나선상으로 배치되는 회전축으로 이룬 이송부들이 적어도 하나 이상 병렬로 배치되어 열원의 공급과 상기 피 건조물들을 강제 이송되게 하면서 소기의 수분 감량과정을 연속적으로 이루어 상기 출구를 통해 배출되게 한 패들식 슬러지 건조기로서, 패들을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에서 내ㆍ외로 양분하여 회전축과 용접결합되는 내측 분할요소와, 이 내측 분할요소와 결속요소를 이용해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외측 분할요소로 이루어서, 이송부의 보수 및 유지는 물론 관리가 용이하게 된다.

Description

교체식 패들이 구비된 슬러지 건조기{Sludge drying machine Changint type paddle}
본 발명은 하ㆍ폐수 처리장이나 각종 산업장 등에서 발생되는 유기성 슬러지의 수분 감량을 위해 재 처리시키는 패들식 슬러지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체식 패들이 구비된 슬러지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하수나 폐수 및 각종 산업장의 수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침전물의 슬러지는 분리된 오물침사나 잉여활성 슬러지 또는 부식토 등과 같은 이물질을 함유하면서 고 점착물로 이루게 되는데, 그러한 고 점착성의 슬러지를 보조연료나 퇴비 등 그 이외 재활용을 위한 재 처리하는 장치들이 현재까지 여러 가지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슬러지의 재 처리장치들 중 가장 보편적으로 이용되는 것은 열원을 이용해 수분을 감량하는 패들식 슬러지 건조기가 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한 패들식 슬러지 건조기는 도 1 및 도 2a에서와 같이 고 점착성의 슬러지인 피 건조물이 투입.배출되는 입.출구(11.12)가 전.후방에 구비되는 중공의 몸통부(10)의 내부에 건조공간(10a)을 갖추고 있고, 이 건조공간(10a)에는 입구(11)를 통해 투입된 피 건조물을 고온의 스팀 열원이 급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축들(13a) 각기에 나선상으로 배치되는 패들들(13b)을 갖는 이송부(13)를 이용해 강제 이송되게 하면서 소기의 건조과정을 일련의 기계적이고 연속적으로 이루어 출구(12)를 통해 배출되게 하고 있다.
이러한 패들식 슬러지의 건조기에서 피 건조물을 이송시키는 이송부(13)의 패들들(13b)은 대략 열호형상으로 그 몸체가 중공의 육면체로 이루어 회전축(13a) 상에 그 회전축(13a)을 중앙으로 하여 좌ㆍ우 양 측에서 각기 용접되어 일체로 제조되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이송부(13)의 회전축(13a)에 용접방식을 이용해 일체로 설치되는 패들들(13b)이 건조과정에서 고 점착물인 슬러지와 마찰작용에 의해 마모현상이 일어나고 있는데, 특히 패들(13b)의 외 주연 측에서 고 점착성의 피 건조물이 직접적으로 마찰이 일어나 여타 부분보다 국부적으로 마모가 더 신속히 진행되고 결국 취약한 외 주연 부분에서 스팀의 누출현상이 일어나 장치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패들의 마모 또는 파손 등으로 인한 유지 보수와 지속적인 관리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이렇게 패들의 외 주연 측 부분에서 집중되어 발생하는 편마모 등으로 손상된 패들들(13b)을 교체하는 이송부(13)의 보수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즉 회전축(13a) 상에서 비교적 협소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패들(13b)의 용접부분을 절삭하여야 하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고, 따라서 그 절단작업에 많은 수공과 시간이 소요되어 보수 작업이 저조한 문제점이 있었을 뿐 아니라, 패들(13b)의 외 주연에서 집중적이고 부분적으로 편마모 현상이 일어나고 내 주연 측은 별 손상이 없는 패들(13b)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므로 불필요한 자재낭비는 물론, 이송부의 유지 및 보수 비용이 상승하게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따르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패들을 양분하여 조립식으로 설치되는 내ㆍ외 측의 분할요소로 이루어 패들의 외 주연에서 국부적으로 부분 마모가 일어나는 외측의 분할요소 만을 교체 가능하게 함으로서, 이송부의 유지ㆍ보수작업이 간편 용이하고 따라서 관리성 향상은 물론, 관리비용를 절감시킬 수 있는 교체식 패들이 구비된 슬러지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폐수처리장이나 각종 산업장 폐기물의 유기성 슬러지의 수분 감량을 위해 재 처리시키는 패들식 슬러지 건조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이 슬러지 건조기는 피 건조물이 투입.배출되는 입ㆍ출구가 구비되고 밀폐된 건조공간이 제공되는 중공의 몸통부를 가지며, 상기 건조공간에 열호형상의 패들들이 좌ㆍ우 한 쌍으로 이루어 나선상으로 배치되는 회전축으로 이룬 이송부들이 적어도 하나 이상 병렬로 배치되어 열원의 공급과 상기 피 건조물들을 강제 이송되게 하면서 소기의 수분 감량과정을 연속적으로 이루어 상기 출구를 통해 배출되게 한 패들식 슬러지 건조기로서, 패들을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에서 내ㆍ외로 양분하여 회전축과 용접결합되는 내측 분할요소와, 이 내측 분할요소와 결속요소를 이용해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외측 분할요소로 이루어서, 이송부의 보수 및 유지는 물론 관리가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교체식 패들이 구비된 슬러지 건조기에 의하면, 이송부의 플랜지를 양분하여 조립식으로 설치되는 내ㆍ외 측의 분할요소로 이루어 패들의 외 주연에서 국부적으로 부분 마모가 일어나는 외측의 분할요소 만을 교체 가능하게 함으로서, 이송부의 유지ㆍ보수작업이 간편 용이하고 따라서 관리성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또한 패들을 내ㆍ외 측으로 양분하여 집중적으로 편마모되는 외 측의 분할요소만을 부분적으로 교체시키게 함으로서, 불필요한 자재손실 방지는 물론, 이송부의 유지 및 보수비용을 절감시키는 경제적인 효과도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패들식 슬러지 건조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 주는 단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부분을 따라 절단하여 본 발명 교체식 패들의 구성을 보여 주는 단면도.
도 3은 도 2의 B-B선 부분을 따라 절단하여 보여 주는 단면도.
다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겠다. 본 발명은 하수 및 폐수처리장 및 각종 산업장에서 유출되는 함수율이 높은 고 점착성 슬러지 등의 각종 피 건조물들을 연속적으로 건조 및 감량하여 재 처리시키는 패들식 슬러지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패들식 슬러지 건조기는 도 1에서와 같이 도면에서 10은 몸통부이다. 이 몸통부(10)는 내부가 중공형으로 이루어 밀폐된 건조공간(10a)을 가지며, 이 몸통부(10)의 전.후단에는 피 건조물이 투입.배출되는 입.출구(11,12)가 구비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몸통부(10) 내의 건조공간(10a)에는 이송부(13)가 구비되는데, 이 이송부(13)는 입구(11)를 통해 투입된 건조공간(10a) 내에서 피 건조물을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는 운반체로서, 몸통부(10) 내의 중심부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병렬로 배치되어 별도의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함과 아울러, 건조를 위한 열원의 공급로를 제공하는 회전축들(13a)의 둘레면 양 측 나선상에서 좌ㆍ우 한 쌍으로 배치되는 열호형상의 패들들(13b)이 부착되어 피 건조물의 강제이송과 교반, 그리고 건조를 통한 일련의 감량과정을 연속적으로 이룬 후 출구(12)를 통해 배출하게 할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은 구성은 종래와 동일한 구조이고, 본 발명에서 핵심적인 기술은 이송부(13)의 회전축(13a)에 구비되는 패들(13b)을 마모 발생 시 그 마모된 해당 부분만을 간편하게 교체시킬 수 있는 탈착방식으로 이루게 한 구조의 혁신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패들(130)을 회전축(13a)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에서 내ㆍ외로 양분하여 회전축(13a)과 용접결합되는 내측 분할요소(132)와, 이 내측 분할요소(132)와 암ㆍ수의 형상결합식으로 조립되어 결속요소(133)를 이용해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외측 분할요소(134)로 이루고 있다.
또 패들(130)의 내ㆍ외측 분할요소들(132,134)이 상호 접속되는 부분에는 패들(130)의 결합 시 열원의 누출을 방지시키기 위한 내열성의 밀폐요소(135)를 더 포함하고 있다.
그러면 본 발명 교체식 패들의 교체과정을 설명하면, 집중적으로 편마모되어 손상된 패들(130)의 교체 시 그 해당 부분의 외측 분할요소(134)의 결속요소(133)를 풀어내어 해체시킨 후 준비된 새로운 외측 분할요소(134)를 교체하여 설치하는 것으로 간단히 보수작업을 이루게 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0 :몸통부 11 :입구
12 :출구 13 :이송부
130 :패들 132 :내측 분할요소
133 :결속요소 134 :외측 분할요소
135 :밀폐요소

Claims (2)

  1. 피 건조물이 투입.배출되는 입ㆍ출구가 구비되고 밀폐된 건조공간이 제공되는 중공의 몸통부를 가지며, 상기 건조공간에 열호형상의 패들들이 좌ㆍ우 한 쌍으로 이루어 나선상으로 배치되는 회전축으로 이룬 이송부들이 적어도 하나 이상 병렬로 배치되어 열원의 공급과 상기 피 건조물들을 강제 이송되게 하면서 소기의 수분 감량과정을 연속적으로 이루어 상기 출구를 통해 배출되게 한 패들식 슬러지 건조기로서, 다음을 포함하는 것:
    상기 패들을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에서 내ㆍ외로 양분하여 상기 회전축과 용접결합되는 내측 분할요소와, 상기 내측분할요소와 암·수 형상결합식으로 조립되며 내측 분할요소와 결속요소를 이용해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외측 분할요소와, 상기 내ㆍ외측 분할요소들이 상호 접속되는 부분에서 개재되어 상기 열원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내열성의 밀폐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패들의 외 주연에서 국부적으로 부분 마모가 일어나는 외측 분할요소만을 부분적으로 교체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식 패들이 구비된 슬러지 건조기.
  2. 삭제
KR1020110115630A 2011-11-08 2011-11-08 교체식 패들이 구비된 슬러지 건조기 KR101356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5630A KR101356713B1 (ko) 2011-11-08 2011-11-08 교체식 패들이 구비된 슬러지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5630A KR101356713B1 (ko) 2011-11-08 2011-11-08 교체식 패들이 구비된 슬러지 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0520A KR20130050520A (ko) 2013-05-16
KR101356713B1 true KR101356713B1 (ko) 2014-02-03

Family

ID=48660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5630A KR101356713B1 (ko) 2011-11-08 2011-11-08 교체식 패들이 구비된 슬러지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671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8366A (ko) * 1996-07-30 1998-04-30 이종길 유기성 폐기물 발효 건조 장치
JP2011098289A (ja) 2009-11-06 2011-05-19 Seiko Epson Corp 液滴吐出装置
KR20110098289A (ko) * 2010-02-26 2011-09-01 코오롱환경서비스주식회사 스파징패들 건조기 및 리본패들 건조기를 이용한 슬러지의 2단 건조 및 순환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8366A (ko) * 1996-07-30 1998-04-30 이종길 유기성 폐기물 발효 건조 장치
JP2011098289A (ja) 2009-11-06 2011-05-19 Seiko Epson Corp 液滴吐出装置
KR20110098289A (ko) * 2010-02-26 2011-09-01 코오롱환경서비스주식회사 스파징패들 건조기 및 리본패들 건조기를 이용한 슬러지의 2단 건조 및 순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0520A (ko) 2013-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6201B1 (ko) 슬러지 건조장치
KR10092143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0802259B1 (ko) 유기성 슬러지 건조기의 디스크 구조
KR101729994B1 (ko) 열매체를 이용한 저온 슬러지 건조장치 및 그 건조방법
KR101181938B1 (ko) 스파징패들 건조기 및 리본패들 건조기를 이용한 슬러지의 2단 건조 및 순환방법
KR101356713B1 (ko) 교체식 패들이 구비된 슬러지 건조기
KR20070006948A (ko) 생선류 비늘제거장치
KR101356712B1 (ko) 교체식 패들이 구비된 슬러지 건조기
KR101321714B1 (ko) 건조된 음식물류폐기물 또는 슬러지 냉각선별장치
KR100948102B1 (ko) 공기 분산관이 구비된 스파징 패들/디스크형 슬러지 건조장치
KR102224084B1 (ko) 디스크 타입 건조기
CN105836489A (zh) 新型秸秆给料机
US2185408A (en) Seed treating machine
KR101907117B1 (ko) 농축액 이송장치를 구비한 드럼식 원심 농축기
KR101588164B1 (ko) 수분 탈취 건조기
KR100646180B1 (ko) 건조기
KR101003968B1 (ko) 슬러지 건조기의 패들
CN104501554A (zh) 强力挤压搅拌干燥机
KR101209374B1 (ko) 내구성을 향상시킨 슬러지 건조 장치
CN204346035U (zh) 强力挤压搅拌干燥机
KR102412889B1 (ko) 수분 탈취 건조기
KR20110121429A (ko) 이중드럼을 갖는 로터리 건조기
KR20190137662A (ko) 농축액 이송장치를 구비한 드럼식 원심 농축기
KR102324745B1 (ko) 드럼형 슬러지 농축기
CN218491617U (zh) 一种环保型污泥烘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