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5243B1 - 디스크 수술용 봉합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 수술용 봉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5243B1
KR101355243B1 KR1020120021257A KR20120021257A KR101355243B1 KR 101355243 B1 KR101355243 B1 KR 101355243B1 KR 1020120021257 A KR1020120021257 A KR 1020120021257A KR 20120021257 A KR20120021257 A KR 20120021257A KR 101355243 B1 KR101355243 B1 KR 101355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
mesh
coupled
push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1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9618A (ko
Inventor
김선미
박상수
임진용
김영대
Original Assignee
(주)티디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디엠 filed Critical (주)티디엠
Priority to KR1020120021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5243B1/ko
Publication of KR20130099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9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5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52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4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 A61F2/442Intervertebral or spinal discs, e.g. resil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88Osteosynthesis instruments; Methods or mean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internal or external fixa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38Type of minimally invasive operation
    • A61B2017/00261Discectom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4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 A61F2002/4495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having a fabric structure, e.g. made from wires or fib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logy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Transplantation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디스크 수술용 봉합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디스크 수술용 봉합장치는 일단에 첨단부가 형성된 관침을 구비한 본체; 상기 관침 전단에 배치되며, 디스크 절개부를 통해 디스크 내부에 삽입된 후, 직경이 늘어나도록 형태변형되어 상기 디스크 절개부를 상기 디스크 내부에서 덮는 통형상의 메쉬망을 구비한 메쉬부재; 및,전단이 상기 메쉬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관침의 내부에서 전후 이동에 따라 상기 메쉬망을 형태변형시키는 푸쉬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크 수술용 봉합장치{SUTURE DEVICE FOR DISK SURGICAL OPERATION}
본 발명은 디스크 수술에서, 디스크 절개부를 봉합하기 위한 디스크 수술용 봉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척추는 30여 개의 뼈가 탑처럼 쌓여 있는 형태로 각각의 척추뼈 사이에는 물렁뼈 조직인 디스크(추간판)가 있다. 디스크는 외부로부터 척추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고, 척추뼈 각각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척추가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디스크는 해부학적으로 탄력이 좋은 수핵이 중심부에 있고 그 주위에 질긴 섬유테가 둘러싸고 있는 구조이다.
디스크라고도 불리는 추간판 탈출증은 디스크(추간판)가 정상적인 위치를 탈출, 신경을 압박해서 통증이 발생하고, 그 주위에 염증이 생겨 통증이 더욱 심해지는 질환이다. 특히, 허리디스크는 요추의 디스크가 밀려나와 하반신으로 흐르는 신경을 압박하므로 묵직한 느낌의 요통과 함께 당기거나 저리는 통증이 엉치에서 다리, 발까지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디스크질환 치료 중 수술요법은 통상적으로 질환이 있는 디스크의 섬유테 일부를 절개한 후, 수핵을 일정부분 빼내어, 부풀어 오른 디스크가 신경을 누르지 않게 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이러한 디스크 수술은 디스크 절개부로부터 수핵을 빼낸 후, 상기 절개부를 꿰매어 줘서 다시 디스크의 수핵이 빠져나오지 않게 하거나, 절개부를 벌어진 상태로 두어 자연적으로 아물게 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하지만, 디스크 절개부의 크기가 매우 클 경우, 절개부를 봉합사 및 봉합바늘을 이용해 직접 꿰매어 봉합하는 방법이 곤란할 뿐 아니라, 절개부를 벌어진 상태로 두면 절개부의 크기가 커 수핵이 쉽게 절개부를 통해 빠져나오게 되어 자연적으로 아물게 하는 방법도 적용하기가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9-0033140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0132568호
본 발명의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디스크의 절개부를 디스크 내측에서 덮을 수 있도록 하는 디스크 수술용 봉합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스크 수술용 봉합장치는 일단에 첨단부가 형성된 관침을 구비한 본체; 상기 관침 전단에 배치되며, 디스크 절개부를 통해 디스크 내부에 삽입된 후, 직경이 늘어나도록 형태변형되어 상기 디스크 절개부를 상기 디스크 내부에서 덮는 통형상의 메쉬망을 구비한 메쉬부재; 및,전단이 상기 메쉬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관침의 내부에서 전후 이동에 따라 상기 메쉬망을 형태변형시키는 푸쉬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상기 관침의 타단에 결합되는 원통형의 실린더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푸쉬유닛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푸쉬몸체와; 상기 관침 내부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삽입되고, 전단은 상기 메쉬부재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후단은 상기 푸쉬몸체의 전단에 결합되어, 상기 푸쉬몸체의 전후 이동에 따라 상기 메쉬부재를 형태변형시키는 푸쉬로드;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메쉬부재는, 통 형상의 메쉬망; 상기 메쉬망의 전단이 결합되며, 후방으로 연장형성되는 후크를 구비하고, 내주면에 상기 푸쉬로드의 전단부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통형의 전방 지지부재; 및, 상기 메쉬망의 후단이 결합되고, 상기 푸쉬로드가 관통되며, 상기 푸쉬로드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후크가 결합되는 원통형의 후방 지지부재;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메쉬부재는 상기 메쉬망의 외주에 결합되는 복수의 당김줄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당김줄은 상기 메쉬망의 길이 중간보다 후방의 위치에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푸쉬로드의 전단에는 수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 지지부재의 내주면에는 상기 수 나사산과 분리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는 암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당김줄의 자유단을 모아 매듭지어 고정하고, 상기 푸쉬몸체에 스냅결합되는 줄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디스크 수술용 봉합장치를 사용해 디스크 절개를 메쉬부재로 덮어줌으로써 디스크 절개부가 차단되어 디스크 수핵이 절개부를 통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크 수술용 봉합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횡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메쉬부재가 형태변형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크 수술용 봉합장치를 이용해 메쉬부재가 디스크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를 정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크 수술용 봉합장치(100)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크 수술용 봉합장치(100)는 본체(110), 푸쉬유닛(120) 및 앵커부재(13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실린더(111)와 관침(113)을 포함한다.
실린더(111)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플라스틱 또는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실린더(111)의 후단에는 실린더 플랜지(111a)가 형성되어 푸쉬유닛(120)의 조작 시, 사용자의 손으로 실린더(111)를 지지한다.
관침(113)은 금속성 재질로 일정길이를 갖는 파이프 형상이며, 일부가 실린더(111)의 전단을 관통하여 결합되고, 관침(113)의 후단은 실린더(111)의 전단부 내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푸쉬유닛(120)은 푸쉬몸체(121)와 푸쉬로드(123)를 포함한다.
푸쉬몸체(121)는 일부가 실린더(111) 내부에 삽입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푸쉬몸체(121)의 후단에는 손잡이부(121a)가 형성된다.
푸쉬로드(123)는 원형봉 형상으로, 관침(113) 내부에 삽입되고, 후단이 푸쉬몸체(121)의 전단과 결합된다. 따라서, 푸쉬몸체(121)의 전/후 이동에 따라 푸쉬로드(123)도 연동하여 관침(113) 내에서 전/후 직선이동가능하다.
푸쉬로드(123)는 관침(113)의 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푸쉬로드(123)의 전단에는 수 나사산(123a)이 형성된다.
메쉬부재(130)는 디스크 절개부(H, 도4참조)를 통해 디스크 내부로 삽입되어 푸쉬유닛(120)의 조작에 따라 형태변형되어 디스크 절개부(D)를 덮는다.
메쉬부재(130)는 후방 지지부재(131), 전방 지지부재(135), 메쉬망(139)을 포함한다.
후방 지지부재(131)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제 1 후방원통부(132)와 제 2 후방원통부(133)를 포함한다. 제 1 후방원통부(132)의 내경과 제 2 후방원통부(133)의 외경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형성되며, 제 1 후방원통부(132)와 제 2 후방원통부(133) 사이에 메쉬망(139)의 후단이 끼워져 제 1 후방원통부(132)와 제 2 후방원통부(133)가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메쉬망(139)의 후단부는 제 1 후방원통부(132)를 감싼 후, 제 1 후방원통부(132)와 제 2 후방원통부(133)의 후단부 사이를 통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전방 지지부재(135)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제 1 전방원통부(136)와 제 2 전방원통부(137)를 포함한다. 제 1 전방원통부(136)의 내경과 제 2 전방원통부(137)의 외경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형성되며, 제 1 전방원통부(136)와 제 2 전방원통부(137) 사이에 메쉬망(139)의 전단이 끼워져 제 1 전방원통부(136)와 제 2 전방원통부(137)가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메쉬망(139)의 전단부는 제 1 전방원통부(136)를 감싼 후, 제 1 전방원통부(136)와 제 2 전방원통부(137)의 전단부 사이를 통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제 2 전방원통부(137)는 내주면에 암 나사산(137a)이 형성되어, 푸쉬로드(123) 전단에 형성된 수 나사산(123a)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또한, 제 2 전방원통부(137)는 후방으로 후크(138)가 일체로 연장형성된다.
메쉬망(139)은 섬유재로 이루어지고 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한 바와 같이, 메쉬망(139)의 후단은 후방 지지부재(131)에 결합되고, 전단은 전방 지지부재(135)에 결합된다.
메쉬망(139)은 도 2와 같은 초기 상태에서는 전후방으로 소정 길이를 같는 통 형상이나, 푸쉬로드(123)의 후방 이동에 따라 전방 지지부재(135)가 후방 지지부재(131)와 가까워 지도록 후방으로 이동하여, 후크(138)가 후방 지지부재(131)의 제 2 후방원통부(133)에 결합되면, 도 3과 같이, 메쉬망(139)은 초기상태에 비해 형태변형되어 직경이 늘어나 납작한 원판 형상이 된다.
메쉬부재(130)는 복수의 당김줄(14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당김줄(140)은 일단이 메쉬망(139)의 외주면에 매듭지어져 결합된다. 당김줄(140)은 봉합사와 같은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 2와 같은 초기상태의 원통형 메쉬망(139)의 길이 중간보다 후방 측의 위치에서 메쉬망(139)에 결합된다.
한편, 본 실시 예의 디스크 수술용 봉합장치(100)는 복수의 당김줄(140)이 움직이지 않도록 묶어 두기 위한 줄 고정부재(15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과 같이, 줄 고정부재(150)는 몸체(151)와 몸체(151)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한 쌍의 클립(153)을 포함한다. 도 1과 같이, 4개의 당김줄(140)의 자유단을 몸체(151)에 관통된 구멍에 매듭지어 묶고, 클립(153)이 푸쉬몸체(121)에 스냅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크 수술용 봉합장치(10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2와 같은 봉합장치(100)의 초기상태에서 디스크(D)의 절개부(H)를 통해 메쉬부재(130)를 디스크(D) 내부에 넣은 다음, 푸쉬몸체(121)를 잡아 당기면, 푸쉬로드(123)가 후방을 이동하고, 이와 연동하여 전방 지지부재(135)가 후방 지지부재(131)에 가까워지도록 후방으로 이동되며, 후크(138)가 제 2 후방원통부(133)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메쉬망(139)은 원통형상에서 원판형상으로 형태 변형되어, 메쉬부재(130)의 전체적인 형상이 변형된다(도 3 참조).
이 상태에서, 푸쉬몸체(121)를 일 방향(도 2의 A방향)으로 돌리면, 푸쉬로드(123)의 수 나사산(123a)이 제 2 전방원통부(137)의 암 나사산(137a)으로부터 풀려, 푸쉬로드(123)가 전방 지지부재(135)로부터 분리된다.
이후, 푸쉬로드(123)가 전방 지지부재(135)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실린더(111)를 잡아 후퇴시켜, 본체(110)를 메쉬부재(130)로부터 이격시키고, 당김줄(140)을 잡아당기면, 도 4 및 도 5와 같이, 매쉬망(139)이 디스크(D)의 절개부(H) 내측 벽에 밀착되어, 메쉬망(139)을 포함한 메쉬부재(130)가 절개부(H)를 디스크(D) 내측에서 덮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수술자는 봉합사와 봉합바늘을 이용해 메쉬망(139)과 디스크(D)가 겹치는 부분을 꿰매줌으로써 디스크 봉합수술이 완료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10...본체
111...실린더
111a...플랜지
113...관침
120...푸쉬유닛
121...푸쉬몸체
123...푸쉬로드
121a...손잡이부
130...메쉬부재
131...후방지지부재
132...제 1 후방원통부
133...제 2 후방원통부
135...전방지지부재
136...제 1 전방원통부
137...제 2 전방원통부
139...메쉬망
140...당김줄
150...줄 고정부재
151...몸체
153...클립
D...디스크
H...절개부

Claims (8)

  1. 일단에 첨단부가 형성된 관침을 구비한 본체;
    상기 관침 전단에 배치되며, 디스크 절개부를 통해 디스크 내부에 삽입된 후, 직경이 늘어나도록 형태변형되어 상기 디스크 절개부를 상기 디스크 내부에서 덮는 통형상의 메쉬망을 구비한 메쉬부재; 및,
    전단이 상기 메쉬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관침의 내부에서 전후 이동에 따라 상기 메쉬망을 형태변형시키는 푸쉬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수술용 봉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관침의 타단에 결합되는 원통형의 실린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수술용 봉합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유닛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푸쉬몸체와;
    상기 관침 내부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삽입되고, 전단은 상기 메쉬부재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후단은 상기 푸쉬몸체의 전단에 결합되어, 상기 푸쉬몸체의 전후 이동에 따라 상기 메쉬부재를 형태변형시키는 푸쉬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수술용 봉합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부재는,
    상기 메쉬망의 전단이 결합되며, 후방으로 연장형성되는 후크를 구비하고, 내주면에 상기 푸쉬로드의 전단부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통형의 전방 지지부재; 및,
    상기 메쉬망의 후단이 결합되고, 상기 푸쉬로드가 관통되며, 상기 푸쉬로드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후크가 결합되는 원통형의 후방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수술용 봉합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부재는 상기 메쉬망의 외주에 결합되는 복수의 당김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수술용 봉합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당김줄은 상기 메쉬망의 길이 중간보다 후방의 위치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수술용 봉합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로드의 전단에는 수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 지지부재의 내주면에는 상기 수 나사산과 분리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는 암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수술용 봉합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당김줄의 자유단을 모아 매듭지어 고정하고, 상기 푸쉬몸체에 스냅결합되는 줄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수술용 봉합장치.
KR1020120021257A 2012-02-29 2012-02-29 디스크 수술용 봉합장치 KR1013552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1257A KR101355243B1 (ko) 2012-02-29 2012-02-29 디스크 수술용 봉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1257A KR101355243B1 (ko) 2012-02-29 2012-02-29 디스크 수술용 봉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9618A KR20130099618A (ko) 2013-09-06
KR101355243B1 true KR101355243B1 (ko) 2014-01-28

Family

ID=49450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1257A KR101355243B1 (ko) 2012-02-29 2012-02-29 디스크 수술용 봉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52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05974B (zh) * 2015-01-23 2016-04-20 南京医科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髓核摘除术后缝合纤维环的操作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89918A1 (en) 2003-01-14 2006-08-24 Barker Stephen G E Laparoscopic port hernia device
KR20090033140A (ko) * 2007-09-28 2009-04-01 올림푸스 메디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봉합 장치
KR20120059776A (ko) * 2010-12-01 2012-06-11 (주)티디엠 디스크 수술용 봉합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89918A1 (en) 2003-01-14 2006-08-24 Barker Stephen G E Laparoscopic port hernia device
KR20090033140A (ko) * 2007-09-28 2009-04-01 올림푸스 메디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봉합 장치
KR20120059776A (ko) * 2010-12-01 2012-06-11 (주)티디엠 디스크 수술용 봉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9618A (ko) 2013-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1208B1 (ko) 실 삽입기
ES2943125T3 (es) Anclaje para la reparación del corazón
US4510934A (en) Suture
CA2842667C (en) Surgical retrieval apparatus and method with semi-rigidly extendable and collapsable basket
CN105163673B (zh) 柔性的可变形缝线锚
US6206889B1 (en) Device for removing anatomical parts by laparoscopy
CN102525583B (zh) 可调式锚钉系统和方法
CN105142577B (zh) 假体椎间盘核
CN1806770B (zh) 可移除的定域线
JP2022519000A (ja) 弁輪形成システムおよびそのための係止ツール
KR101222236B1 (ko) 디스크 수술용 봉합장치
US20220087672A1 (en) Repair device and method for deploying anchors
CN104706394B (zh) 用于缝合的无结可塌缩缝合线和方法
CN107613884A (zh) 关节修复系统
US10987210B2 (en) Medical implant delivery system and related methods
EP3409220B1 (en) A snare instrument with a distal snare structure
KR101631763B1 (ko) 실 삽입기
KR101355243B1 (ko) 디스크 수술용 봉합장치
KR102105933B1 (ko) 봉합사를 이용한 봉합앵커 제조방법 및 제조된 봉합앵커
CN107913086B (zh) 设置有分支点的用于提升的手术器具
KR102118164B1 (ko) 실 삽입기
US20220273289A1 (en) Self-cinching suture construct apparatus
CN113576567B (zh) 一种带线穿刺针
US11642144B2 (en) Medical retrieval device
KR20170001288U (ko) 봉합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