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4989B1 - 일체형 안전장치가 구비된 압력조리기 - Google Patents

일체형 안전장치가 구비된 압력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4989B1
KR101354989B1 KR1020120032647A KR20120032647A KR101354989B1 KR 101354989 B1 KR101354989 B1 KR 101354989B1 KR 1020120032647 A KR1020120032647 A KR 1020120032647A KR 20120032647 A KR20120032647 A KR 20120032647A KR 101354989 B1 KR101354989 B1 KR 1013549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holder
pressure
fixed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2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0580A (ko
Inventor
김재기
류남균
Original Assignee
쿠쿠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쿠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쿠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32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4989B1/ko
Publication of KR20130110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0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4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49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4Locking devices
    • A47J27/0815Locking devices where vessel and lid have adapted shapes to provide for the locking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조립성 및 내구성을 현저히 개선하도록, 본 발명은 음식물이 수용되어 조리가 수행되는 수용부가 내측에 형성되는 본체; 상기 수용부를 덮도록 배치되되 일측에 관통홀이 형성된 뚜껑체; 상기 관통홀의 테두리부에 고정되되, 내부에 안전공간이 형성되는 고정케이스; 상기 고정케이스의 하부에 테두리가 고정되되, 상기 수용부 내측 압력에 따라 고정된 상기 테두리를 기준으로 상하로 선택적으로 탄성 변형되는 날개부의 내측에 형성된 중공홀 테두리에 홀더부가 구비된 다이어프램; 상기 다이어프램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안전공간을 따라 상하 이동되되, 내측에 중공부가 형성된 안전몸통; 상기 홀더부에 상기 중공홀을 밀폐하도록 결합되되, 허용치 이상의 압력 작용시 분리되어 상기 중공홀을 개방하는 비복귀핀; 및 상기 안전몸통의 상승시 걸림되어 상기 뚜껑체의 개방을 위한 회전을 구속하는 안전연결수단을 포함하는 일체형 안전장치가 구비된 압력조리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일체형 안전장치가 구비된 압력조리기{pressurized cooker having safety apparatus in one body}
본 발명은 압력조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성 및 내구성이 현저히 개선된 일체형 안전장치가 구비된 압력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력조리기는 조리물을 내솥 내부에 수용하고 내솥뚜껑과 패킹에 의해 밀폐된 상태에서 내솥을 가열수단으로 가열하여 고압 및 고온으로 조리하는 조리기기로서, 압력조리기의 대표적인 예가 전기압력밥솥이다.
이러한 압력조리기의 내솥뚜껑에는 조리중에 내솥 내부로부터 고온, 고압 증기의 갑작스런 외부 방출로 인한 사용자의 화상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안전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안전장치의 문제점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전기압력밥솥에서 안전장치가 구비된 평면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전기압력밥솥은 내솥에 쌀 등의 음식물을 수용하여 취사가 이루어지는 동안에 내솥 내부가 고온 고압의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뚜껑을 여는 경우에 내솥 내부의 증기가 외부로 분출하여 화상을 입을 우려가 있다. 이에, 뚜껑체(5)에 형성된 관통홀 테두리에 고정된 상기 뚜껑 열림단속 안전장치(10)의 핀이 내솥 내부압력에 의해 돌출되도록 하고, 내솥 내부의 압력이 일정압력 이상인 경우에는 락킹링(2)의 안전돌기(4)가 상기 돌출된 핀에 구속되어 회전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뚜껑이 열리지 않도록 하였다. 이러한 뚜껑 열림단속 안전장치는 [문헌 1] 한국등록실용신안 제340488호(2004. 01. 20, 등록)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종래의 전기압력밥솥은 취사시 내솥 내부의 압력이 허용치 이상에 도달하지 않도록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에 의해 내솥 내부의 증기를 선택적으로 외부로 배출시켰다. 그러나,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가 막히거나 정상동작을 못하게 될 경우 증기유입홀을 개방하여 내솥 내부의 증기를 모두 외부로 배출시킨 후 상기 증기유입홀이 원상태로 폐쇄되지않도록 개폐부재가 복귀할 수 없게 하여, 비정상 압력하에서 전기압력밥솥의 동작을 종료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고장을 알릴 수 있는 비복귀형 증기배출 안전장치(20)가 함께 구비되었다. 상기 증기배출안전장치(20)는 [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542335호(2006.01.03, 등록)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은 두 가지의 안전장치를 각각 별도로 구성하여 설치함으로써 부품수가 많아 조립성이 저하됨은 물론이거니와, 생산비용이 높아짐으로써 생산효율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종래에는 상기 뚜껑 열림단속 안전장치(10)의 내솥 내부압력에 의해 돌출된 부분이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반복적으로 안전돌기(4)와 접촉됨에 따라 마모되어 손상되는 등 내구성이 부족하여 안전보장기능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340488호 한국등록특허 제542335호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조립성 및 내구성이 현저히 개선된 전기압력조리기의 일체형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음식물이 수용되어 조리가 수행되는 수용부가 내측에 형성되는 본체; 상기 수용부를 덮도록 배치되되 일측에 관통홀이 형성된 뚜껑체; 상기 관통홀의 테두리부에 고정되되, 내부에 안전공간이 형성되는 고정케이스; 상기 고정케이스의 하부에 테두리가 고정되되, 상기 수용부 내측 압력에 따라 고정된 상기 테두리를 기준으로 상하로 선택적으로 탄성 변형되는 날개부의 내측에 형성된 중공홀 테두리에 홀더부가 구비된 다이어프램; 상기 다이어프램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안전공간을 따라 상하 이동되되, 내측에 중공부가 형성된 안전몸통; 상기 홀더부에 상기 중공홀을 밀폐하도록 결합되되, 허용치 이상의 압력 작용시 분리되어 상기 중공홀을 개방하는 비복귀핀; 상기 안전몸통의 상승시 걸림되어 상기 뚜껑체의 개방을 위한 회전을 구속하는 안전연결수단; 및 상기 고정케이스 내주와 상기 홀더부 외주 사이의 간격 내측으로 상기 날개부가 가압 삽입됨을 차단하도록 상기 날개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간격차단부를 포함하는 일체형 안전장치가 구비된 압력조리기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음식물이 수용되어 조리가 수행되는 수용부가 내측에 형성되는 본체; 상기 수용부를 덮도록 배치되되 일측에 관통홀이 형성된 뚜껑체; 상기 관통홀의 테두리부에 고정되되, 내부에 안전공간이 형성되는 고정케이스; 상기 고정케이스의 하부에 테두리가 고정되되, 상기 수용부 내측 압력에 따라 고정된 상기 테두리를 기준으로 상하로 선택적으로 탄성 변형되는 날개부의 내측에 형성된 중공홀 테두리에 홀더부가 구비된 다이어프램; 상기 다이어프램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안전공간을 따라 상하 이동되되, 내측에 중공부가 형성된 안전몸통; 상기 홀더부에 상기 중공홀을 밀폐하도록 결합되되, 허용치 이상의 압력 작용시 분리되어 상기 중공홀을 개방하는 비복귀핀; 상기 안전몸통의 상승시 걸림되어 상기 뚜껑체의 개방을 위한 회전을 구속하는 안전연결수단; 및 상기 안전몸통의 상단부 외주를 감싸도록 구비되되, 상기 고정케이스의 상단테두리에 걸림되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외측돌출부가 구비된 금속재 판스프링을 포함하는 일체형 안전장치가 구비된 압력조리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간격차단부는 상기 날개부의 상부에 안착되되 상기 홀더부의 외주를 감싸는 형상으로 구비되며, 그의 상단은 상기 안전몸통의 일측에 구속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전몸통의 하단부에는 걸림후크가 연장형성되며, 상기 홀더부의 상부에는 상기 걸림후크에 걸림결합되는 걸림결합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비복귀핀에는 상기 홀더부가 삽입되어 탄성걸림되어 결합되는 단턱홈이 형성되며, 상기 비복귀핀은 허용치 이상의 압력 작용시 분리되면, 상기 수용부 내부의 압력 해제시 그의 상단부가 상기 안전연결수단에 걸림되지 않는 높이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판스프링에는 상기 안전몸통의 요홈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내측돌출부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안전몸통의 외주에 형성된 단턱과 상기 고정케이스의 상단 사이에는 탄성스프링이 개재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설정압력에서 상향 이동되어 상기 안전연결수단을 구속함으로써 뚜껑 열림 단속을 하는 안전몸통의 내부에 허용치 이상의 압력에서 분리되어 위험압력 배출기능을 하는 비복귀핀이 구비됨으로써 종래에는 복수개로 구비되던 안전장치들을 단일의 장치로 구성하여 부품수와 작업공수가 감소되므로 제품의 생산성 및 조립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상기 수용부 내지 내솥 내부에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날개부가 상기 간격차단부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고정케이스 내주와 상기 홀더부 외주 사이의 간격 사이로 유입되지 않음으로써 상기 날개부가 상기 간격 사이로 가압되어 반복적으로 늘어나지 않아 변형이 효과적으로 방지되고 상기 다이어프램의 내구성을 현저히 개선할 수 있다.
셋째, 사출물 재질의 상기 안전몸통의 상단 외주를 조립성이 용이한 금속재질의 판스프링이 감싸서 보호하도록 함으로써 전술된 안전연결수단과의 잦은 접촉 및 마찰시에도 상기 안전몸통의 손상을 방지함으로써 제품의 내구성을 현저히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기압력밥솥에서 안전장치가 구비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조리기에 적용되는 일체형 안전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안전장치의 안전몸통 상부조립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안전장치에 간격차단부가 적용되기 전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투영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일체형 안전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투영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일체형 안전장치의 비복귀핀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투영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안전장치가 구비된 압력조리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조리기에 적용되는 일체형 안전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안전장치의 안전몸통 상부조립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안전장치에 간격차단부가 적용되기 전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투영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압력조리기는 본체(미도시), 뚜껑체(5), 고정케이스(320), 다이어프램(350), 안전몸통(340), 비복귀핀(357), 간격차단부(370), 그리고 안전연결수단(21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는 음식물이 수용되어 조리가 수행되는 수용부가 내측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용부 내부에는 음식물이 수용되는 내솥이 안착될 수 있고, 그 내부에 배치되는 음식물의 조리를 위한 가열부가 상기 본체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뚜껑체(5)는 상기 수용부를 덮도록 배치되되 일측에 관통홀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뚜껑체(5)는 뚜껑의 하부에 배치되는 탑히터 플레이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뚜껑체(5)는 상기 수용부 내측의 고온 및 고압 환경을 밀폐하도록 내식성이 우수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되, 그의 상측에는 외관을 이루는 합성수지 재질의 커버가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뚜껑을 형성한다. 상기 뚜껑이 상기 수용부 상부를 밀폐하여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본체와 뚜껑의 사이는 내솥패킹 등으로 실링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뚜껑과 본체 간의 결합은, 상기 뚜껑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락킹링과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락킹링과 교호결합되는 결합플랜지 간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케이스(320)는 상기 뚜껑체(5)에 형성된 관통홀의 테두리부에 고정되되, 그의 내부에 안전공간(320a)이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케이스(320)의 양측부에는 브라켓(321)이 연장되어 돌출되며, 상기 브라켓(321)을 관통하여 체결나사가 상기 뚜껑체(5)에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전공간(320a)의 하부에는 상기 다이어프램(350)의 테두리가 고정되는데, 상기 다이어프램(350)의 테두리는 상기 고정케이스(320) 하부와 상기 뚜껑체(5) 사이에 가압 클램핑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이어프램(350)은 합성고무 내지 실리콘 고무 등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용부 내측 압력에 따라 고정된 상기 테두리를 기준으로 상하로 선택적으로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탄성 변형되는 날개부(350c)를 가지며, 상기 날개부(350c)의 내측에 형성된 중공홀(350a) 테두리에 홀더부(350b)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비복귀핀(357)은 상기 홀더부(350b)에 상기 중공홀(350a)을 밀폐하도록 결합되어, 허용치 이상의 압력 작용시 분리되어 상기 중공홀(350a)을 개방하도록 구비되며 상세한 구성은 후술된다.
또한, 상기 안전몸통(340)은 상기 다이어프램(350)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안전공간(320a) 내부를 따라 상하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되, 내측에 중공부(340a)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뚜껑체(5) 하측에 배치된 수용부 내부의 압력이 상승되면 상기 다이어프램(350)이 상측으로 펼쳐지면서 상기 안전몸통(340)을 상기 안전공간(320a)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즉, 상기 수용부 내부 압력에 대응하여 상기 안전몸통(340)은 상하로 승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전몸통(340)의 외주에 형성된 단턱(430c)과 상기 고정케이스(320)의 내측단 사이에는 탄성스프링(356)이 개재되어, 상기 안전몸통(340)이 하측으로 탄발 지지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수용부 내부의 압력에 따라 상승되는 상기 안전몸통(340)을 하측 방향으로 탄발지지하여 상승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안전연결수단(210)은 상기 안전몸통(340)의 상승시 걸림되어 상기 뚜껑의 개방을 구속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안전연결수단(210)은 도 1과 같이 락킹링에 연결된 안전돌기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이에 국한하지 않고 상기 상승된 안전몸통(340)에 구속됨으로써 상기 뚜껑의 개방을 방지하는 여타 구성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몸통(340)의 내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연통되어 형성된 중공부(340a)가 형성되고, 측부에는 연통홀(340b)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비복귀핀(357)이 허용치 이상의 압력에 의해 홀더부(350b)로부터 분리시 상기 중공부(340a) 및 연통홀(340b)은 증기의 비상배출 통로로서 기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전몸통(340)의 하단부에는 걸림후크(340e)가 연장형성되며, 상기 홀더부(350b)의 상부에는 상기 걸림후크(340e)에 걸림결합되는 걸림결합부(350d)가 형성되어 상호 간의 결합에 의해 상기 홀더부(350b)와 안전몸통(340)이 일체로 상하 이동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안전몸통(340) 하부에 상기 다이어프램(350)이 인서트 사출로서 일체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 조립 및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안전몸통(340)의 상단부 외주에는 금속재질의 판스프링(360)이 감싸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판스프링(360)에는 상기 고정케이스(320)의 상단테두리에 걸림되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외측돌출부(360b)가 구비되어 상기 안전몸통(340)의 상단이 상기 고정케이스(320)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용부 내부에 일정압력이 작용되면 즉시 상기 안전몸통(340)이 상승되어 상기 뚜껑의 개방을 방지할 수 있으며 조립시 상기 외측돌출부(360a)가 상기 고정케이스(320)의 상단에 걸림된 상태에서 하부를 조립하면 되므로 조립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안전몸통에 판스프링(360)이 결합된 결합체에 탄성스프링(356)을 결합한 후 상기 고정케이스(320)에 조립하면 상기 부품들이 간편하게 고정될 수 있으므로 작업 및 조립성이 현저히 향상되며, 부품의 분실 위험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360)에는 상기 안전몸통(340)의 외주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요홈부(340d)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내측돌출부(360b)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판스프링(360)은 상기 안전몸통(340) 상단부 외주에 형합되도록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되 원주방향 일측이 개구되어 형성되므로, 작업자가 상기 판스프링(360)을 벌려 상기 안전몸통(340) 상단부 외주에 끼운 채로 간편한 조작만을 통해 상기 내측돌출부(360a)가 요홈부(340d)에 삽입되기만 하면 조립이 완료되어 안정적으로 고정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외측돌출부(360a) 및 내측돌출부(360b)는 상기 판스프링(360)에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사출물 재질의 상기 안전몸통(340)의 상단 외주를 금속재질의 판스프링(360)이 감싸서 보호함으로써 전술된 안전연결수단(210)과의 잦은 접촉 및 마찰시에도 상기 안전몸통(340)의 손상을 방지함으로써 제품의 내구성을 현저히 개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비복귀핀(357)에는 상기 홀더부(350b) 내측 테두리가 삽입 및 탄성걸림되어 결합되는 단턱홈(357a)이 형성되며, 상기 비복귀핀(357)은 허용치 이상의 압력 작용시 분리되면, 상기 수용부 내부의 압력 해제시 그의 상단부가 상기 안전연결수단(210)에 걸림되지 않는 높이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비복귀핀(357)은 상기 안전몸통(340) 내부의 중공부(340a)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되, 허용치 이상의 압력 작용시 상기 홀더부(350b)로부터 분리된다. 이를 통해, 상기 중공홀(350a)을 개방하여 수용부 내부의 고온고압 증기가 상기 중공부(340a) 및 연통홀(340b)을 통해 비상 배출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연통홀(340b)로 배출되는 증기는 상기 고정케이스(320)에 형성된 홀을 통해 외측으로 배출된다(도 6 참조). 여기서, 허용치 이상의 압력은 상기 수용부 내부의 압력이 조리 중에 형성되는 설정압력을 초과하여 높아진 위험 압력으로서 조리 중에 상기 뚜껑에 구비된 압력조절밸브 등의 압력조절장치가 고장나는 것 등에 의해 발생된다.
즉, 상기 홀더부(350b)에 비복귀핀(357)이 탄성걸림되어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관통홀(350a)이 밀폐되지만, 일단 허용치 이상의 비정상 압력에서 상측으로 가압되어 상기 비복귀핀(357)이 홀더부(350b)에서 이탈되면 다시 복귀되지 않고 상기 관통홀(350a)이 실질적으로 개방되어 증기가 배출될 수 있는 비상배출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설정압력에서 상향 이동되어 상기 안전연결수단(210)을 구속함으로써 뚜껑 열림 단속을 하는 안전몸통(340)의 내부에 허용치 이상의 압력에서 분리되어 위험압력 배출기능을 하는 비복귀핀(357)이 구비됨으로써 종래에는 복수개로 구비되던 안전장치들을 단일의 장치로 구성하여 부품수와 작업공수가 감소되므로 제품의 생산성 및 조립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다이어프램(350)이 상기 안전몸통(340)의 하부와 연결된 채로 접히거나 펼쳐지면서 상기 안전몸통(340)이 상하로 원활히 이동되도록 상기 고정케이스(320) 내주와 상기 홀더부(350b) 외주 사이에는 간격이 존재한다. 여기서, 상기 수용부 내부에 압력에 의해 상기 다이어프램(350)의 날개부(350c)가 상측으로 가압되어 상기 고정케이스(320) 내주와 상기 홀더부(350b) 외주 사이의 간격 사이로 밀리면서 유입된다.
이와 같이, 고온고압의 증기에 접하는 날개부(350c)가 상기 수용부 내부의 압력에 의해 가압되어 볼록하게 신장되고 다시 압력이 제거되면 수축되어 원상태로 복원되는 과정이 반복되면서 상기 날개부(350c)의 물성이 변화되어 영구적인 변형이 초래되거나 내구성이 저하되거나 찢어져 기능이 상실될 우려가 있다. 더욱이, 상기 날개부(350c)가 상기 간격 사이로 끼워져 다시 복원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수용부 내부압력이 제거된 후에도 뚜껑이 개폐되지 않을 우려도 있다.
이에 본원발명은 상기 고정케이스(320) 내주와 상기 홀더부(350b) 외주 사이의 간격 내측으로 상기 날개부(350c)가 가압 삽입됨을 차단하도록 상기 날개부(350c)의 상부에 구비되는 간격차단부(370)를 제공한다.
상세히,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안전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투영도이다.
도 5a 및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간격차단부(370)는 상기 날개부(350c)의 상부에 안착되되 상기 홀더부(350b)의 외주를 감싸는 형상으로 구비되며, 그의 상단은 상기 안전몸통(340)의 일측에 구속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간격차단부(370)는 합성수지 내지 실리콘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수용부 내지 내솥 내부에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날개부(350c)가 상기 간격차단부(370)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고정케이스(320) 내주와 상기 홀더부(350b) 외주 사이의 간격으로 유입되거나 끼이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안전몸통(340)이 상승 내지 하강됨에 따라 상기 다이어프램(350)의 날개부(350c)가 상측으로 유연하게 펼쳐지거나 접혀질 뿐 상기 고정케이스(320) 내주와 상기 홀더부(350b) 외주 사이의 간격 사이로 가압되어 반복적으로 늘어나지 않도록 함으로써 변형을 방지하고 상기 다이어프램(350)의 내구성을 현저히 개선할 수 있으며 뚜껑의 개폐를 위한 작동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일체형 안전장치의 비복귀핀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투영도이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비복귀핀(357)은 허용치 이상의 압력 작용시 상기 홀더부(350b)로부터 분리되어 상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내솥 또는 수용부 내부의 압력 해제시 상기 비복귀핀(357)의 상단부가 상기 안전연결수단(210)에 걸림되지 않는 높이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내솥 또는 수용부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으로 하강된 후에는 상기 뚜껑이 열릴 수 있으나, 재사용하더라도 상기 비복귀핀(357)이 안착되는 홀더부(350b) 내측에 형성된 중공홀(350a)이 개방된 상태이므로 상기 내솥 또는 수용부에 압력이 상승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기압력조리기를 A/S 센터에서 점검을 하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A/S 센터에서 작업자가 상기 비복귀핀(357)을 상기 홀더부(350b) 내측에 형성된 중공홀(350a)에 결합한 후 안전한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보수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5: 뚜껑체 210: 안전연결수단
320: 고정케이스 320a: 안전공간
340: 안전몸통 340a: 중공부
350: 다이어프램 350a: 중공홀
350b: 홀더부 350c: 날개부
360: 판스프링 370: 간격차단부

Claims (8)

  1. 음식물이 수용되어 조리가 수행되는 수용부가 내측에 형성되는 본체;
    상기 수용부를 덮도록 배치되되 일측에 관통홀이 형성된 뚜껑체;
    상기 관통홀의 테두리부에 고정되되, 내부에 안전공간이 형성되는 고정케이스;
    상기 고정케이스의 하부에 테두리가 고정되되, 상기 수용부 내측 압력에 따라 고정된 상기 테두리를 기준으로 상하로 선택적으로 탄성 변형되는 날개부의 내측에 형성된 중공홀 테두리에 홀더부가 구비된 다이어프램;
    상기 다이어프램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안전공간을 따라 상하 이동되되, 내측에 중공부가 형성된 안전몸통;
    상기 홀더부에 상기 중공홀을 밀폐하도록 결합되되, 허용치 이상의 압력 작용시 분리되어 상기 중공홀을 개방하는 비복귀핀;
    상기 안전몸통의 상승시 걸림되어 상기 뚜껑체의 개방을 위한 회전을 구속하는 안전연결수단; 및
    상기 고정케이스 내주와 상기 홀더부 외주 사이의 간격 내측으로 상기 날개부가 가압 삽입됨을 차단하도록 상기 날개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간격차단부를 포함하는 일체형 안전장치가 구비된 압력조리기.
  2. 음식물이 수용되어 조리가 수행되는 수용부가 내측에 형성되는 본체;
    상기 수용부를 덮도록 배치되되 일측에 관통홀이 형성된 뚜껑체;
    상기 관통홀의 테두리부에 고정되되, 내부에 안전공간이 형성되는 고정케이스;
    상기 고정케이스의 하부에 테두리가 고정되되, 상기 수용부 내측 압력에 따라 고정된 상기 테두리를 기준으로 상하로 선택적으로 탄성 변형되는 날개부의 내측에 형성된 중공홀 테두리에 홀더부가 구비된 다이어프램;
    상기 다이어프램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안전공간을 따라 상하 이동되되, 내측에 중공부가 형성된 안전몸통;
    상기 홀더부에 상기 중공홀을 밀폐하도록 결합되되, 허용치 이상의 압력 작용시 분리되어 상기 중공홀을 개방하는 비복귀핀;
    상기 안전몸통의 상승시 걸림되어 상기 뚜껑체의 개방을 위한 회전을 구속하는 안전연결수단; 및
    상기 안전몸통의 상단부 외주를 감싸도록 구비되되, 상기 고정케이스의 상단테두리에 걸림되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외측돌출부가 구비된 금속재 판스프링을 포함하는 일체형 안전장치가 구비된 압력조리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차단부는 상기 날개부의 상부에 안착되되 상기 홀더부의 외주를 감싸는 형상으로 구비되며, 그의 상단은 상기 안전몸통의 일측에 구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안전장치가 구비된 압력조리기.
  4. 제 1 항 및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몸통의 하단부에는 걸림후크가 연장형성되며, 상기 홀더부의 상부에는 상기 걸림후크에 걸림결합되는 걸림결합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안전장치가 구비된 압력조리기.
  5. 제 1 항 및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복귀핀에는 상기 홀더부가 삽입되어 탄성걸림되어 결합되는 단턱홈이 형성되며,
    상기 비복귀핀은 허용치 이상의 압력 작용시 분리되면, 상기 수용부 내부의 압력 해제시 그의 상단부가 상기 안전연결수단에 걸림되지 않는 높이로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안전장치가 구비된 압력조리기.
  6. 삭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에는 상기 안전몸통의 요홈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내측돌출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안전장치가 구비된 압력조리기.
  8. 제 1 항 및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몸통의 외주에 형성된 단턱과 상기 고정케이스의 상단 사이에는 탄성스프링이 개재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안전장치가 구비된 압력조리기.
KR1020120032647A 2012-03-29 2012-03-29 일체형 안전장치가 구비된 압력조리기 KR1013549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647A KR101354989B1 (ko) 2012-03-29 2012-03-29 일체형 안전장치가 구비된 압력조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647A KR101354989B1 (ko) 2012-03-29 2012-03-29 일체형 안전장치가 구비된 압력조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0580A KR20130110580A (ko) 2013-10-10
KR101354989B1 true KR101354989B1 (ko) 2014-01-24

Family

ID=49632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2647A KR101354989B1 (ko) 2012-03-29 2012-03-29 일체형 안전장치가 구비된 압력조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49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8493B1 (ko) * 2019-07-22 2021-04-09 주식회사 시코코리아 비자동 복원 구조의 압력 밸브 및 이를 가진 압력 조리 용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7090U (ko) * 2010-01-08 2011-07-14 쿠쿠전자주식회사 전기압력조리기의 일체형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7090U (ko) * 2010-01-08 2011-07-14 쿠쿠전자주식회사 전기압력조리기의 일체형 안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0580A (ko) 201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47771B (zh) 一种压力锅
US8869829B2 (en) Pressure release valve assembly for pressure cooker
TWI623469B (zh) 具有整合壓力補償裝置的栓塞
KR20190027604A (ko) 전기조리기
US10464721B2 (en) Vapor-tight container
JP2013142004A (ja) ボタン式容器栓
CN105433814B (zh) 电锅具的上盖
KR101246679B1 (ko) 압력조리기구
KR101354989B1 (ko) 일체형 안전장치가 구비된 압력조리기
KR100542335B1 (ko) 전기압력보온밥솥의 증기배출장치
KR200457390Y1 (ko) 전기압력조리기의 일체형 안전장치
KR101049907B1 (ko) 향상된 압력 표시 기능 및 압력 배출 기능을 갖는 압력 밸브
KR101173773B1 (ko) 뚜껑 회전방지수단이 구비된 압력솥
KR101861764B1 (ko) 압력조리기
KR20120029925A (ko) 뚜껑 회전잠금수단이 구비된 압력솥
CN207012079U (zh) 自动泄压装置及压力锅
KR20090004996U (ko) 진공 흡착구
KR101618067B1 (ko) 전기조리기의 증기배출장치
JP3153849U (ja) 圧力鍋の逃圧構造
CN210871044U (zh) 上盖组件以及烹饪器具
CN209789482U (zh) 烹饪器具
KR102427182B1 (ko) 전기조리기
KR200373883Y1 (ko) 전기압력보온밥솥의 증기배출장치
CN210748734U (zh) 锅盖组件及烹饪器具
KR20210037303A (ko) 전기조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