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4902B1 - 모바일 폰과 기능 연계성을 가진 보청기 구조 - Google Patents

모바일 폰과 기능 연계성을 가진 보청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4902B1
KR101354902B1 KR1020120034220A KR20120034220A KR101354902B1 KR 101354902 B1 KR101354902 B1 KR 101354902B1 KR 1020120034220 A KR1020120034220 A KR 1020120034220A KR 20120034220 A KR20120034220 A KR 20120034220A KR 101354902 B1 KR101354902 B1 KR 101354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ring aid
mobile phone
signal
module
contro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4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2096A (ko
Inventor
이승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사운드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사운드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사운드랩
Priority to KR1020120034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4902B1/ko
Publication of KR20130112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2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4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49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5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 H04R25/556External connectors, e.g. plugs or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40Arrangements for obtaining a desired directivity characteristic
    • H04R25/407Circuits for combining signals of a plurality of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43Electronic input selection or mixing based on input signal analysis, e.g. mixing or selection between microphone and telecoil or between microphones with different directivity characteris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5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 H04R25/558Remote control, e.g. of amplification, frequ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0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 H04R25/603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of 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55Communication between hearing aids and external devices via a network for data exch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61Aspects relating to 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e.g. funct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폰과 기능 연계성을 가진 보청기 구조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스마트 폰과 같은 모바일 폰과 기능적으로 연결이 되어 모바일 폰에서 실행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이 보청기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폰과 기능 연계성을 가진 보청기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보청기 구조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112a, 112b, 113a, 113b)와 적어도 하나의 리시버(111a, 111b)를 가진 보청기 모듈(11); 보청기 모듈(11)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신호의 송신 또는 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 커넥터(124); 통신 커넥터(124)를 통하여 보청기 모듈(11)과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한 신호 처리 프로세서(121) 및 입출력 소켓(122)을 가진 제어 모듈(12); 및 제어 모듈(12)이 모바일 폰(13)과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연결 커넥터(123)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바일 폰과 기능 연계성을 가진 보청기 구조{Structure of Hearing Aid for Functional Connection with Mobile Phone}
본 발명은 모바일 폰과 기능 연계성을 가진 보청기 구조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스마트 폰과 같은 모바일 폰과 기능적으로 연결이 되어 모바일 폰에서 실행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이 보청기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폰과 기능 연계성을 가진 보청기 구조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폰은 이동통신 서비스의 사용을 목적으로 개발된 무선 전화기를 말하고, 특히 스마트 폰은 모바일 폰에 인터넷 통신 및 정보 검색과 같은 컴퓨터 지원 기능이 추가되고 그리고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도록 개발된 무선 전화기를 말한다. 모바일 폰 또는 스마트 폰은 연산능력이 우수하여 필요한 기능을 가진 어플리케이션이 쉽게 설치될 수 있고 기능 조작이 쉽다는 장점을 가진다.
보청기는 외부의 음을 마이크로폰으로 받아 전기적으로 증폭하고 다시 음으로 변환하여 이어폰을 통하여 귀로 보내는 장치를 말하고 일종의 신호처리 증폭기에 해당하고 집적회로와 같은 장치를 사용하여 소형화가 되고 있다. 난청의 장애를 해소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보청기는 개별적으로 조절이 되어야 하고 다양한 외부 조건에서 사용될 수 있어야 하므로 필요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 또는 프로그램이 설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보청기는 일반적으로 소형 및 저-전력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유리하므로 장치 또는 프로그램의 설치에 제한이 따른다. 이와 같은 보청기가 가진 기능적 한계를 해결하기 위하여 모바일 폰과 보청기를 연결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모바일 폰을 이용하여 보청기의 기능을 확장시키는 것과 관련된 선행기술로 특허공개번호 제2009-0065718호 ‘핸드폰 연결용 보청기’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핸드폰과 연계하여 보청기의 필요성을 해결하고 핸드폰과 연결하여 부가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핸드폰 연결용 보청기에 관한 것으로 핸드폰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보청기 모듈과, 음향기기에 연결되는 무선 송신부로 구성된 장치에서 보청기 모듈은 마이크, 핸드폰과 연결되는 핸드폰 연결 단자, 무선 송신부의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부, 마이크로부터 수신되는 마이크 신호와 핸드폰 연결 단자를 통해 들어온 핸드폰 신호와 무선 수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입력부, 신호 입력부로부터 받은 신호를 적정한 레벨로 증폭하고 사용자의 청각 능력에 맞추어 주파수 밴드별로 이득과 압축을 보정하는 신호처리를 수행하는 신호처리부 및 상기 신호처리부에서 처리된 신호를 리시버로 출력하는 신호 출력부를 포함하는 핸드폰 연결용 보청기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휴대용 개인 정보 단말기를 이용하여 보청기의 기능을 확장시키는 것과 관련된 선행기술로 특허공개번호 제2005-0120098호 ‘휴대용 개인 정보 단말기를 이용한 보청 기능 구현 방법 및 장치’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청력 검사 소리음을 생성하여 사용자 장착 수단을 통해 출력하는 피팅 검사부와, 청력 검사 소리음에 상응하는 사용자의 응답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응답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청력 손실 특성을 결정하고 결정된 청력 손실 특성에 상응하도록 주파수 증폭 조건을 설정하는 피팅 수행부와, 신호처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 장착 수단으로부터 전달받은 외부 사운드 신호에서 음성 신호를 추출하는 음성 신호 분리부와, 음성 신호를 주파수 증폭 조건에 상응하도록 증폭하는 특성 주파수 증폭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개인 정보 단말기를 이용한 보청 기능 구현 방법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공지 기술에서 개시된 모바일 폰 또는 휴대용 개인 정보 단말기의 기능을 이용하는 보청기의 구조는 보청기 모듈이 모바일 폰 또는 휴대용 개인 정보 단말기에 내장되거나 분리된 보청기와 보청기 모듈을 연결단자로 연결하여 작동시키는 것을 전제로 한다. 보청기 모듈이 모바일 기기에 내장되는 경우 별도의 모바일 기기가 제조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연결 단자를 사용하여 연결하는 경우 모바일 폰이 가진 데이터 처리 능력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활용과 같은 기능을 보청기에 적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이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청기에서 요구되는 기능이 모바일 폰에서 지원될 수 있도록 하면서 보청기와 모바일 폰이 연계되어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보청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청기와 모바일 폰 사이의 부하 조절이 가능한 보청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2개의 보청기에 전달되는 신호가 상관성을 가지면서 처리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양이 제어(Binaural Hearing Processing)가 가능하도록 하는 보청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바일 폰과 연계되는 것에 의하여 보청기의 기능이 확장될 수 있도록 하는 보청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보청기 구조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와 적어도 하나의 리시버를 가진 보청기 모듈; 보청기 모듈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신호의 송신 또는 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 커넥터; 통신 커넥터를 통하여 보청기 모듈과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한 신호 처리 프로세서 및 입출력 소켓을 가진 연결 모듈; 및 제어 모듈이 모바일 폰과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연결 커넥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신호 처리 프로세서는 빔 형성 필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신호 처리 프로세서는 보청기 모듈의 각각의 리시버로 전달되는 신호를 독립적으로 처리하거나 또는 상관성을 가지도록 처리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연결 모듈은 보청기 모듈의 작동을 위하여 필요한 기능을 모바일 폰에서 실행되도록 하는 부하(load) 분산 처리 기능을 가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어 모듈은 미리 설정된 음성 또는 음향 신호가 저장된 비교기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 구조는 모바일 폰 또는 스마트 폰이 가진 기능이 보청기의 작동 또는 제어에 활용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보청기를 소형화 및 저-전력 구조로 만들면서 기능이 확장될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 구조는 고성능의 스마트 폰에서 가능한 기능이 보청기에서 실현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보청기 구조를 단순화하면서 이와 동시에 필요한 기능이 보청기 구조에 제한되지 않고 발휘될 수 있도록 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 구조는 스마트 폰을 활용하는 것에 의하여 고기능을 가진 보청기의 제조비용이 감소되도록 하고 이로 인하여 빔 형성 기능 또는 양이 제어가 가능한 보청기 사용의 일반화가 가능하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 구조는 보청기 사용자가 자신에게 적합한 개별 기능을 설정하여 실행이 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 구조에 적용될 수 있는 제어 모듈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 구조에서 제어 모듈의 작동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 구조의 작동 과정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 구조의 작동 과정에 대한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고 그리고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 구조에 적용될 수 있는 제어 모듈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보청기 구조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112a, 112b, 113a, 113b)와 적어도 하나의 리시버(111a, 111b)를 가진 보청기 모듈(11), 보청기 모듈(11)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신호의 송신 또는 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 커넥터(124), 통신 커넥터(124)를 통하여 보청기 모듈(11)과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한 신호 처리 프로세서(121) 및 입출력 소켓(122)을 가진 제어 모듈(12), 제어 모듈(12)이 모바일 폰(13)과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연결 커넥터(123)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보청기 모듈(11)은 마이크(112a, 112b, 113a, 113b) 및 리시버(111a, 111b)로 구성되거나 또는 입력 이득 제어(input gain control)를 위한 예비 증폭기(Pre-amplifier), 출력 이득 제어(output gain control)를 얻기 위한 출력 증폭기, 리시버(receiver), 스위치, 배터리와 같은 전원 및 이어 훅(ear hook)과 같이 이 분야에서 공지된 다양한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구성요소가 가진 기능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제어 모듈(12) 또는 모바일 폰(13)에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로 실현될 수 있고 이와 같은 경우 보청기 모듈(11)은 관련 장치 또는 프로그램을 가지지 않는다. 또한 아래의 설명에서 이와 같은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 않는다. 다만 별도로 설명되는 구성 요소에서 기능적 또는 구조적 특징을 가지는 경우 별도로 그에 대한 설명이 구체적으로 개시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보청기 모듈(11)은 하나의 보청기를 의미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귀에 착용될 수 있는 2개의 보청기를 의미한다.
리시버(111a, 111b)는 서로 다른 귀에 장착이 될 수 있도록 도 1a에 도시된 것처럼 2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측 신경성 난청이 있는 경우 양쪽 귀에 각각 보청기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리시버(111a, 111b)에 서로 다른 증폭 비율을 가지는 신호가 수신될 수 있고 한 쌍의 리시버(111a, 111b)에 수신되는 신호는 독립적으로 전달되거나 또는 관련성을 가지면서 전달될 수 있다.
마이크(112a, 112b, 113a, 113b)는 각각의 리시버(111a, 111b)에 대응되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이 될 수 있다. 제시된 실시 예에서 각각의 리시버(111a, 111b)에 대하여 각각 2개의 마이크(112a, 112b 및 113a, 113b)가 제시되어 있지만 예를 들어 각각의 리시버(111a, 111b)에 대하여 하나 또는 세 개의 마이크가 대응될 수 있다. 각각의 마이크(112a, 112b, 113a, 113b)는 전방향성(Omni-directional)이 되거나 또는 지향성(directional)이 될 수 있다. 각각의 리시버(111a, 111b)에 한 쌍의 마이크(112a, 112b, 113a, 113b)가 설치되는 경우 지향성과 신호 대 잡음비가 향상될 수 있다.
통신 커넥터(124)는 유선 통신을 위한 연결 잭 또는 예를 들어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블루투스 칩과 같은 것이 될 수 있다. 통신 커넥터(124)는 보청기 모듈(11)과 제어 모듈(12)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통신 커넥터(124)가 연결 잭이 되는 경우 서로 다른 귀에 착용될 수 있는 2개의 보청기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통신 커넥터(124)가 근거리 통신 칩이 되는 경우 2개의 보청기가 각각 통신 커넥터(124)를 통하여 제어 모듈(12)과 통신할 수 있다. 도 1a에 제시된 실시 예에서 통신 커넥터(124)가 각각의 보청기 또는 제어 모듈(12)과 분리된 독립된 장치로 개시되어 있지만 통신 커넥터(124)는 보청기 모듈(11) 또는 제어 모듈(12)에 포함될 수 있다. 통신 커넥터(124)는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유무선 장치 연결 수단이 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어 모듈(12)은 모바일 폰(13)과 기능적으로 연결되고 이를 위하여 제어 모듈(12)은 모바일 폰(13)과 신호 또는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모바일 폰(13)은 셀룰러 폰(cellular phone), 통신 가능한 휴대용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또는 스마트 폰을 포함한다.
제어 모듈(12)은 예를 들어 피팅(fitting) 기능, 신호 대 잡음비(S/R) 향상 기능, 빔 형성(beam-forming) 기능, 양이 제어 기능((Binaural Hearing Processing)) 또는 궤환 신호 제거 기능을 가질 수 있고 이와 같은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 또는 프로그램 형태의 알고리즘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12)은 개별적 피팅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재-피팅이 요구되는 시점에 재-피팅 경보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제어모듈(12)의 위와 같은 기능은 보청기 모듈(11) 또는 모바일폰(13)에서 처리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능의 실행을 위하여 제어 모듈(12)은 일정한 기능을 가진 알고리즘 또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신호 처리 프로세서(121) 및 신호의 입출력을 위한 입출력 소켓(122)을 가질 수 있다.
신호 처리 프로세서(121)는 보청기 모듈(11)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고 필요에 따라 입출력 소켓(122)을 통하여 모바일 폰(13)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폰(13)으로부터 전달되는 지시 또는 데이터를 입출력 소켓(122)을 통하여 수신하여 보청기 모듈(11)로 전달하거나 보청기 모듈(11)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추가로 신호 처리 프로세서(121)는 특정 기능이 모바일 폰 또는 스마트 폰(13)에서 실행이 되도록 할 수 있고 그와 같은 기능을 가진 신호가 보청기 모듈(11)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처리 프로세서는 모바일 폰 또는 스마트 폰(13)에서 각각의 보청기 모듈(11)에 적합한 양이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구동되도록 하고 그리고 그에 따른 제어와 관련된 실행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112a, 112b, 113a, 113b)를 통하여 외부 음성이 입력되는 경우 실행 프로그램을 작동시켜 리시버(111a, 111b)를 통하여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입출력 소켓(122)은 모바일 폰(13)으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수신하여 필요에 따라 제어 모듈(12)에서 처리 가능한 신호로 변환하거나 또는 잡음을 제거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입출력 소켓(12)은 신호 처리 프로세서(121)의 종류 또는 구조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연결 커넥터(123)는 예를 들어 모바일 폰(13)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 개의 통신 핀을 가진 잭(jack) 또는 젠더(gender)와 같은 것이 될 수 있고 모바일 폰(13)에 연결될 수 있는 임의의 형태의 커넥터가 될 수 있다. 연결 커넥터(123)가 모바일 폰(13)에 연결되면 제어 모듈(12)은 모바일 폰(13)과 통신 가능한 상태가 되고 이에 따라 모바일 폰(13)으로부터 제어 모듈(12)에 실행 가능한 각종 기능의 작동을 위한 명령 또는 지시가 입력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모바일 폰(13)에 의하여 제어 모듈(12)이 제어될 수 있고 그리고 보청기 모듈(11)에서 요구되는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 구조는 보청기 모듈(11)과 모바일 폰(13)을 연결시키는 제어 모듈(12)에 의하여 보청기 모듈(11)의 기능이 확장되거나 보청기 모듈(11)이 모바일 폰(13)을 통하여 제어될 수 있도록 한다.
아래에서 제어 모듈(12)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b의 (가)를 참조하면, 제어 모듈(12)은 위에서 설명을 한 것처럼, 통신 커넥터(124), 신호 처리 프로세서(121), 입출력 소켓(122) 및 연결 커넥터(123)를 포함할 수 있고 통신 커넥터(124)는 신호의 송출 또는 수신을 위한 안테나를 가질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도 1b의 (나)에 도시된 것처럼, 제어 모듈(12)은 입력되는 신호(SIG)를 제어 모듈(12)에서 처리 가능한 신호로 변환하거나 신호의 입력 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선-처리기(14), 제어 모듈(12)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중앙 처리 장치(C), 미리 설정된 음향 또는 음성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모바일 폰(13) 또는 제어 모듈(12)에 설치된 마이크로 폰(도시되지 않음) 또는 보청기 모듈(11)의 마이크로부터 유입된 음향, 음성 또는 모바일 폰(13)으로부터 입력된 신호와 비교하기 위한 비교기(151), 모바일 폰(13) 또는 마이크로 폰(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중앙 처리 장치(C)에서 처리 가능한 신호를 변환하거나 또는 제어 모듈(11)에서 처리된 신호를 모바일 폰(13) 또는 보청기 모듈(11)에서 처리 가능한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기(152) 및 처리된 신호(V)를 모바일 폰(13) 또는 보청기 모듈(11)로 출력하는 출력 유닛(15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b의 (가)에 제시된 각각의 장치는 도 1b의 (나)에 제시된 장치 또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선-처리기(14)는 예를 들어 모바일 폰(13)으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제어 모듈(12)에서 처리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하거나 또는 그 역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한다. 선-처리기(14)는 이와 같은 기능을 위하여 변환기(152)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선-처리기(14)는 신호가 입력되는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호가 모바일 폰(13) 또는 제어 모듈(12)로부터 수신되는지 여부에 따라 신호의 입력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선-처리기(14)는 수신되는 신호를 직접 비교기(151)로 전달할 수 있다. 선-처리기(14)는 반드시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변환기(152), 중앙 처리 장치(C) 또는 비교기(151)가 선-처리기(14)가 가진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담당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이와 같은 기능은 모바일 폰(13)에서 미리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이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비교기(151)에 다양한 형태의 미리 저장된 음향, 음성 또는 신호와 관련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관의 벨 소리, TV 소리, 화재 경보 음, 전화 착신 음, 사용자가 미리 특정 물체 또는 사람을 인식하기 위하여 저장한 특정한 신호, 음향 또는 음성과 같은 것이 저장될 수 있다. 만약 이와 같은 신호, 음향 또는 소리가 모바일 폰(13) 또는 제어 모듈(12)에 설치된 마이크로 폰(도시되지 않음)을 통하여 입력되면 비교기(151)는 미리 저장된 신호와 비교할 수 있고 그리고 비교 결과에 따라 관련 정보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보청기 모듈(11)로 전달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비교기(152)는 일정 데시벨(dB) 이상의 소리가 입력되는 경우에만 작동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어 모듈(12)은 다양한 기능을 가지도록 설정될 수 있고 도 1a 또는 1b에 제시된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한편으로 비교기(12)가 가진 일정 기능이 모바일 폰 또는 스마트 폰(13)에서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모바일 폰 또는 스마트 폰(13)이 연결된 경우 비교기(151)의 기능이 모바일 폰 또는 스마트 폰(13)에서 실행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어 모듈(12)에서 처리된 결과는 출력 신호(V)로 되어 출력 유닛(153)을 통하여 보청기 모듈(11) 또는 스마트 폰(13)으로 전달될 수 있다. 출력 방향은 중앙 처리 장치(C)에 의하여 미리 결정되거나 또는 신호 형태에 따라 출력 유닛(153)에서 자체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제시된 실시 예에서 제어 모듈(12)은 보청기 모듈(11)과 모바일 폰 또는 스마트 폰(13)을 연결시키면서 자체적으로 또는 모바일 폰(13)을 이용하여 보청기 모듈(11)의 기능이 확장될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하여 보청기 모듈(11)의 소형화 및 저-전력화가 가능하면서 보청기 모듈(11)이 구조적인 한계로 인하여 가질 수 없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아래에서 제어 모듈이 가진 기능이 실행되는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 구조에서 제어 모듈의 작동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모바일 폰으로 스마트 폰(23)을 제시하여 설명을 하지만 스마트 폰(23)을 대신하여 다양한 형태의 통신 가능한 휴대용 전자기기가 스마트 폰(23)을 대신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보청기 모듈(21)에 설치된 좌측 마이크(212a, 212b) 또는 우측 마이크(212a, 212b)는 주변 음향 신호가 보청기 모듈(21)을 통하여 입력이 되도록 한다. 보청기 모듈(21)을 경유하여 입력 신호는 위에서 설명한 제어 모듈(22)의 예를 들어 신호 처리 프로세서에서 처리될 수 있다(MR1, MR2). 입력된 신호(MR1, MR2)에 대하여 신호 처리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좌측 마이크(212a, 212b)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기반 신호로 하여 우측 마이크 신호를 기초로 빔 형성을 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입력된 신호(MR1, MR2)에 대하여 빔 형성 필터를 적용시켜 지향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추가로 유한 임펄스 응답(Finite Impulse Response: FIR) 필터를 적용하여 마이크(212a, 212b)를 통하여 입력되는 궤환 신호를 제거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입력된 신호(MR1, MR2)는 비교기로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입력된 신호(MR1, MR2)가 실질적으로 좌측에서 전달된 신호이며 우측에서 전달된 신호는 잡음에 지나지 않는 경우 우측 마이크(212a, 212b)를 통하여 전달되는 신호를 잡음으로 처리할 수 있다. 입력된 신호 (MR1, MR2)는 신호 처리되어 리시버(211a, 211b)로 전달될 수 있다. 입력된 신호(MR1, MR2)는 독립적으로 처리되거나 또는 상관성을 가지도록 처리될 수 있다. 독립된 신호로 처리되는 것은 어느 한쪽의 마이크(212a, 212b)로 입력이 되고 나머지 마이크(212a, 212b)로 입력되는 신호는 잡음에 해당하는 경우 나머지 마이크(212a, 212b)로부터 입력되는 소리를 제거하여 처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는 어느 한쪽의 마이크(212a, 212b)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와 나머지 마이크(212a, 212b)로 입력되는 신호가 별개의 음원에 해당되는 경우 각각 처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비하여 상관성을 가지도록 처리되는 것은 하나의 음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소리가 좌측 및 우측의 마이크(212a, 212a)로 동시에 또는 시간 차이를 가지고 입력이 되고 양쪽 리시버(211a, 211b)에 이와 같은 차이가 나타나도록 신호를 보내야 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입력되는 소리에 따른 시간 차이에 따라 소리 에너지를 조절하여 서로 다른 증폭 비율로 양쪽 보청기로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모듈(22)은 양쪽 보청기의 양쪽 마이크(212a, 212b)로부터 동시에 또는 시간 차이를 가지고 입력되는 신호를 독립적으로 또는 상관성을 가지도록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하여 필요에 따라 처리된 신호가 독립적으로 또는 상관성을 가지면서 리시버(211a, 211b)에 각각 수신이 되도록 한다.
제어 모듈(22)이 가지는 위와 같은 기능은 스마트 폰(23)에서 처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마이크(212a, 212b)에서 입력된 신호(MR1)는 제어 모듈(22)에서 처리되지 않고 스마트 폰(23)으로 전달될 수 있다(R1). 그리고 나머지 마이크(212a, 212b)에서 입력된 신호(MR2)도 동일하게 제어 모듈(22)을 거쳐 스마트 폰(23)으로 전달될 수 있다(R2). 그리고 스마트 폰(23)에서 처리된 신호(M)는 다시 제어 모듈(22)로 전달된다. 입력된 신호(MR1, MR2)가 제어 모듈(22)에서 처리되거나 또는 스마트 폰(23)에서 처리된 이후 모두 독립적으로 또는 상관성을 가지고 리시버(211a, 211b)로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모듈(22)은 입력된 신호(MR1, MR2)에 대하여 자체적으로 또는 스마트 폰(23)을 통하여 빔 형성 기능 또는 양이 제어가 된 형태로 리시버(211a, 211b)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모듈(22)은 보청기 모듈(21)에 대하여 개별 피팅이 가능하도록 한다. 개별 피팅(22)은 제어 모듈(22)에서 실행되거나 또는 위에서 설명을 한 것처럼 스마트 폰(23)에서 실행될 수 있다. 다만 제어 모듈(22)의 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바람직하게 스마트 폰(23)에서 관련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시켜 피팅이 진행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재-피팅의 시기만이 제어 모듈(22)로부터 사용자에게 알려주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청기가 스마트 폰(23)과 연결되어 사용되는 경우 또는 스마트 폰(23)으로부터 음악 또는 스마트 폰(23)과 연결된 예를 들어 TV, 음향기기와 같은 다른 전자 기기로부터 스마트 폰(23)을 통하여 보청기로 전달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 구조에서 제어 모듈(22)을 통하여 빔 형성 또는 양이 제어(Binaural Hearing Processing)가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스마트 폰(23)과 제어 모듈(22)이 블루투스 통신과 같은 무선 통신이 가능한 경우 주변의 소리를 듣기 위하여 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빔 형성 또는 양이 제어가 이루어지고 그에 따른 음성과 무선으로 전달된 소리가 제어 모듈(22)을 경유하여 보청기 모듈(21)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 구조는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빔 형성 기능, 피팅 기능 또는 양이 제어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가 스마트 폰(23)에서 처리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피팅 관련 응용프로그램이 스마트 폰(23)에서 실행될 수 있다면 그에 따른 결과를 저장하고 차후 보청기 모듈에 사용 과정에서 적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 구조에 적용되는 제어 모듈은 스마트 폰(23)과 기능 분담을 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아래에서 이와 같은 기능을 가지는 보청기 구조의 작동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 구조의 작동 과정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보청기 구조의 작동을 위하여 보청기 모듈이 제어 모듈을 통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모바일 폰과 연결될 수 있다(P31). 사용자에 의하여 보청기의 피팅 기능 또는 외부 전자 기기의 청취와 같은 기능이 선택될 수 있다(P32). 다른 한편으로 제어 모듈 또는 모바일 폰이 가지는 빔 형성 기능 또는 양이 제어 기능은 연결과 함께 자동으로 어느 하나에서 이루어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선택된 기능이 제어 모듈에서 실행될 것인지 또는 모바일 폰에서 실행될 것인지 여부가 판단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빔 형성 기능은 제어 모듈에서 실행되는 것이 유리하고 피팅 기능은 제어 모듈과 모바일 폰이 일정 영역을 부담하는 기능 분담 형태로 실행되는 것이 유리하다.
해당 기능이 제어 모듈에서 실행이 된다면(NO), 모바일 폰에서 해당 기능의 작동을 위한 기능 키 설정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P342). 이후 기능 키를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선택된 기능이 실행되고(P352) 이후 선택된 기능이 종료될 수 있다(P37).
다른 한편으로 모바일 폰에서 선택된 기능이 실행되거나 또는 제어 모듈과 함께 기능이 실행이 된다면(P341) 모바일 폰에서 관련 응용 프로그램이 구동이 될 수 있다(P341). 이후 모바일 폰에서 기능 키가 설정이 되고(P351), 기능 키의 조작에 의하여 선택된 기능이 실행될 수 있고(P361) 그리고 해당 기능이 완전히 실행되면 모바일 폰의 작동이 종료될 수 있다(P37).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 구조는 제어 모듈을 통하여 모바일 폰과 기능적으로 연계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보청기의 기능이 확장될 수 있도록 한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 구조의 작동 과정에 대한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 구조는 특정 외부 음이 유입되는 경우 관련 정보가 음성으로 보청기 모듈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외부 음은 보청기 모듈, 제어 모듈 또는 모바일 폰을 통하여 유입될 수 있다(P41). 유입된 음은 제어 모듈의 비교기 또는 모바일 폰에 설치된 비교기로 전달될 수 있고 비교기는 유입된 음이 미리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P42). 예를 들어 유입된 음이 일정 데시벨 이상이 되는지 여부가 비교기에 의하여 판단될 수 있다. 그리고 허용 범위 내에 있지 않다면(NO) 음의 유입에 따른 제어 모듈의 작동은 종료가 된다(P47).
다른 한편으로 유입된 음이 예를 들어 일정 데시벨 이상이 되는 것과 같이 미리 결정된 조건을 충족시킨다면(YES) 유입된 음은 제어 모듈에서 처리 가능한 신호로 변환되어 비교기에 특정 상황을 나타내기 위하여 미리 저장된 신호에 해당되는지 여부가 검색될 수 있다(P43). 비교기에서 저장된 신호를 검색하여(P43) 유입된 신호와 일치하는 신호가 발견된다면 미리 저장된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가 판단된다(P44). 실질적으로 검색 과정(P43)과 매칭 기능(P44)은 하나의 과정으로 진행될 수 있다. 그러나 검색 과정(P43)은 예를 들어 유입된 음의 패턴 또는 높낮이와 같은 대략적인 일치 여부만을 판단하는 것이며 매칭 과정(P44)은 정확하게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이라고 보아야 한다. 이와 같은 과정은 예를 들어 화재 경보음과 같이 외부 사람 또는 외부 기관의 행위를 필요로 하는 경우 오류를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매칭이 되지 않는 경우(NO) 외부 음의 유입에 따른 상황은 종료가 된다(P47). 이에 비하여 유입된 외부 음과 매칭이 되는 미리 저장된 정보가 존재한다면(YES) 미리 저장된 정보는 제어 모듈에서 처리 가능한 신호로 변환되어(P45) 음성 정보로 리시버에 전송될 수 있다(P46). 이후 모바일 폰 또는 제어 모듈의 작동이 종료될 수 있다(P47). 외부 음은 예를 들어 초인종 소리, 전화 착신 음 소리 또는 경보음과 같은 것이 될 수 있고 해당 유입 음과 관련되는 음성 신호는 상황을 전달하는 음성이 될 수 있다. 비교기는 제어 모듈에 설치되거나 또는 모바일에 설치될 수 있고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제시된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으로 모바일 폰에서 실행이 가능하면서 보청기의 작동에 유리한 다양한 기능이 제어 모듈을 이용하여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 구조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진 보청기 모듈이 다양한 기능을 가진 제어 모듈에 통하여 스마트 폰과 같은 모바일 폰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보청기의 기능이 확장될 수 있도록 한다. 제어 모듈은 보청기 모듈에 연결되어 사용되고 필요에 따라 스마트 폰과 같은 모바일 폰에 연결되어 보청기에 요구되는 다양한 기능이 실현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 구조는 모바일 폰 또는 스마트 폰이 가진 기능이 보청기의 작동 또는 제어에 활용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보청기를 소형화 및 저-전력 구조로 만들면서 기능이 확장될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 구조는 고성능의 스마트 폰에서 가능한 기능이 보청기에서 실현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보청기 구조를 단순화하면서 이와 동시에 필요한 기능이 보청기 구조에 제한되지 않고 발휘될 수 있도록 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 구조는 스마트 폰을 활용하는 것에 의하여 고기능을 가진 보청기의 제조비용이 감소되도록 하고 이로 인하여 빔 형성 기능 또는 양이 제어가 가능한 보청기 사용의 일반화가 가능하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 구조는 보청기 사용자가 자신에게 적합한 개별 기능을 설정하여 실행이 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위에서 본 발명의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1: 보청기 모듈 12: 제어 모듈
13: 모바일 폰 14: 선-처리기
112a, 112b:, 113a, 113b: 마이크
111a, 111b: 리시버
121: 신호 처리 프로세서 122: 입출력 소켓
123: 연결 커넥터 124: 통신 커넥터
151: 비교기 152: 변환기
21: 보청기 모듈 22: 제어 모듈
23: 스마트 폰
212a, 212b: 마이크
C: 중앙 처리 장치

Claims (5)

  1.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112a, 112b, 113a, 113b)와 적어도 하나의 리시버(111a, 111b)를 가진 보청기 모듈(11);
    보청기 모듈(11)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신호의 송신 또는 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 커넥터(124);
    통신 커넥터(124)를 통하여 보청기 모듈(11)과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한 신호 처리 프로세서(121) 및 입출력 소켓(122)을 가진 제어 모듈(12); 및
    제어 모듈(12)이 모바일 폰(13)과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연결 커넥터(123)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12)은 보청기 모듈(11)의 작동을 위하여 필요한 기능의 적어도 일부가 모바일 폰(13)에서 실행되도록 하는 부하 분산 처리를 위한 제어 기능을 가지고 그리고 모바일 폰(11)으로부터 제어 모듈(12)로 보청기 모듈(11)에서 실행 가능한 기능의 작동을 위한 명령 또는 지시가 입력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청기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프로세서(121)는 마이크(212a, 212b) 중 어느 하나로 입력되는 신호가 잡음에 해당되는 경우 제거하여 처리하거나 또는 양쪽 마이크(212a, 212b)로 입력되는 신호에 대하여 소리 에너지를 조절하여 서로 다른 증폭 비율로 양쪽 보청기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청기 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잡음 제거 또는 소리 에너지의 조절은 모바일 기기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청기 구조.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12)은 미리 설정된 음성 또는 음향 신호가 저장된 비교기(151)를 더 포함하고, 마이크로폰을 통하여 음향 또는 소리가 입력이 되는 경우 상기 비교기(151)는 미리 저장된 신호와 비교하고 그리고 비교 결과에 따라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보청기 모듈(11)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보청기 구조.
KR1020120034220A 2012-04-03 2012-04-03 모바일 폰과 기능 연계성을 가진 보청기 구조 KR1013549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220A KR101354902B1 (ko) 2012-04-03 2012-04-03 모바일 폰과 기능 연계성을 가진 보청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220A KR101354902B1 (ko) 2012-04-03 2012-04-03 모바일 폰과 기능 연계성을 가진 보청기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2096A KR20130112096A (ko) 2013-10-14
KR101354902B1 true KR101354902B1 (ko) 2014-01-23

Family

ID=49633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4220A KR101354902B1 (ko) 2012-04-03 2012-04-03 모바일 폰과 기능 연계성을 가진 보청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49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3064B1 (ko) * 2016-11-18 2017-07-03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 기반의 보청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11301A (ja) * 1995-06-07 1999-09-28 ジェームズ シー アンダーソン ワイヤレス遠隔プロセッサ付きの補聴器
JP2004527183A (ja) * 2001-04-27 2004-09-02 ドクター・リビック・ゲー・エム・ベー・ハー 補聴器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
JP2008533884A (ja) 2005-03-18 2008-08-21 ヴェーデクス・アクティーセルスカプ 補聴器用遠隔制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11301A (ja) * 1995-06-07 1999-09-28 ジェームズ シー アンダーソン ワイヤレス遠隔プロセッサ付きの補聴器
JP2004527183A (ja) * 2001-04-27 2004-09-02 ドクター・リビック・ゲー・エム・ベー・ハー 補聴器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
JP2008533884A (ja) 2005-03-18 2008-08-21 ヴェーデクス・アクティーセルスカプ 補聴器用遠隔制御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3064B1 (ko) * 2016-11-18 2017-07-03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 기반의 보청기
WO2018093019A1 (ko) * 2016-11-18 2018-05-24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 기반의 보청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2096A (ko) 2013-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57337B1 (en) A hearing system comprising a separate microphone unit for picking up a users own voice
EP3057340B1 (en) A partner microphone unit and a hearing system comprising a partner microphone unit
US10123134B2 (en) Binaural hearing assistance system comprising binaural noise reduction
JP4307083B2 (ja) 補聴器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
US9986346B2 (en) Binaural hearing system and a hearing device comprising a beamformer unit
US20050135644A1 (en) Digital cell phone with hearing aid functionality
US10951995B2 (en) Binaural level and/or gain estimator and a hearing system comprising a binaural level and/or gain estimator
CN103379412A (zh) 具有语音线圈通道和分离放大的拾音线圈通道的音频设备
US20160094921A1 (en) Bluetooth hearing aid system
KR20170012440A (ko) 적어도 하나의 보청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갖는 개인 통신 디바이스
US20110238419A1 (en) Binaural method and binaural configuration for voice control of hearing devices
KR100809549B1 (ko) 보청기 겸용 무선 헤드셋 및 그 제어방법
EP2865197B1 (en) A method for operating a hearing system as well as a hearing device
JP5167706B2 (ja) 放収音装置
KR101354902B1 (ko) 모바일 폰과 기능 연계성을 가진 보청기 구조
KR20170025495A (ko) 이동 단말과 통신하는 보청기
CN103181199B (zh) 具有电话和听力装置的通信系统以及传输方法
KR101376175B1 (ko) 유무선 보청 시스템
KR101528621B1 (ko) 분리형 보청기
KR101391855B1 (ko) 보청기 선택을 위한 시뮬레이터
KR101719779B1 (ko) 호환성이 개선된 텔레코일을 활용한 청력보조 시스템
US20230308814A1 (en) Hearing assistive device comprising an attachment element
KR20140030086A (ko) 유무선 보청 시스템
KR101425554B1 (ko) 모바일 디바이스 통합형 보청기
WO2011046297A2 (ko) 음향 송수신장치 및 그 송수신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