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4720B1 - 콘텐츠 분석 시스템 및 콘텐츠 분석 방법 - Google Patents

콘텐츠 분석 시스템 및 콘텐츠 분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4720B1
KR101354720B1 KR1020120060934A KR20120060934A KR101354720B1 KR 101354720 B1 KR101354720 B1 KR 101354720B1 KR 1020120060934 A KR1020120060934 A KR 1020120060934A KR 20120060934 A KR20120060934 A KR 20120060934A KR 101354720 B1 KR101354720 B1 KR 101354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word
name
content
user terminal
prog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0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7381A (ko
Inventor
김응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Priority to KR1020120060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4720B1/ko
Publication of KR20130137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7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4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4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광고 관리 시스템은 광고 집행 효율성을 기초로 관리 대상 광고주를 선정하는 관리 대상 광고주 선정부, 복수의 키워드 중 관리 대상 키워드를 선정하는 관리 대상 키워드 선정부, 상기 관리 대상 키워드의 대체 후보군을 선정하는 대체 후보군 선정부, 그리고 상기 관리 대상 광고주의 광고비를 고려하여 상기 대체 후보군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 중 상기 관리 대상 키워드에 대한 대체 키워드를 결정하는 대체 키워드 결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콘텐츠 분석 시스템 및 콘텐츠 분석 방법{SYSTEM AND METHOD FOR ANALYSIS OF CONTENTS}
본 발명은 콘텐츠 분석 시스템 및 콘텐츠 분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발달로 사용자는 온라인 상에서 자신의 의견 또는 경험 등을 자유롭게 기재하고 이를 다른 매체로 전파하는 일이 빈번해졌다. 특히 온라인 상에서 불특정 타인과 관계를 맺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를 통하여 사용자는 다양한 콘텐츠를 웹 상에 게시할 수 있다.
이러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해당 주제에 대한 콘텐츠가 실시간으로 게재되고 전달되어 현재 이슈화되고 있는 주제를 파악하기에 유용하다. 따라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게재된 콘텐츠를 분석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대상에 대한 대중의 의견을 파악하는데 좋은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방영되고 있는 프로그램과 관련된 키워드를 기초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포함된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분석 시스템은 방송 프로그램의 명칭을 선정하는 프로그램 선정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입력 키워드를 수신하는 검색부, 상기 복수의 입력 키워드 중에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명칭을 포함하는 입력 키워드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입력 키워드에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명칭을 제거한 기준 키워드를 선정하는 추출부, 그리고 상기 기준 키워드를 기준으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개재된 콘텐츠를 분석하는 분석부를 포함한다.
상기 분석부는 상기 콘텐츠에서 상기 기준 키워드가 언급된 횟수를 산정하여, 상기 횟수의 상위 랭킹 순서로 적어도 하나의 이슈 키워드를 선정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슈 키워드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공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슈 키워드를 포함하는 상기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공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슈 키워드를 기초로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명칭은 메인 프로그램의 명칭 및 상기 메인 프로그램에 포함되어 있는 서브 프로그램의 명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명칭은 유사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부는, 상기 복수의 입력 키워드 중에서 특정 시간에 입력된 입력 키워드에서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준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분석 방법은 콘텐츠 분석 시스템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개재된 콘텐츠를 분석하는 방법으로서, 방송 프로그램의 명칭을 선정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입력 키워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입력 키워드 중에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명칭을 포함하는 입력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입력 키워드에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명칭을 제거한 기준 키워드를 선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기준 키워드를 기준으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개재된 콘텐츠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에서 상기 기준 키워드가 언급된 횟수를 산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횟수의 상위 랭킹 순서로 적어도 하나의 이슈 키워드를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슈 키워드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슈 키워드를 포함하는 상기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슈 키워드를 기초로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명칭은 메인 프로그램의 명칭 및 상기 메인 프로그램에 포함되어 있는 서브 프로그램의 명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명칭은 유사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입력 키워드 중에서 특정 시간에 입력된 입력 키워드에서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준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방영되고 있는 프로그램과 관련된 키워드를 기초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포함된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이슈 키워드 및 이슈 콘텐츠 등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분석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분석 시스템이 분석한 한 내용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분석 시스템이 분석한 다른 내용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분석 방법의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분석 시스템 및 콘텐츠 분석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분석 시스템의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분석 시스템이 분석한 한 내용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분석 시스템이 분석한 다른 내용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콘텐츠 분석 시스템(100)은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키워드를 기준으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에 개재된 콘텐츠를 분석하여 사용자 단말(200)에게 제공하는 서버이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200)은 광고를 제공받는 사용자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콘텐츠 분석 시스템(100)에 접속하고 통신하는 장치이며, 예를 들어 컴퓨터,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이동 통신 단말기 및 텔레비전(television, TV)등 다양한 통신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콘텐츠 분석 시스템(100)은 프로그램 선정부(110), 검색부(120), 추출부(130), 분석부(140) 및 제공부(150)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선정부(110)는 방송 매체를 통해 방영되는 방송 프로그램 중 어느 하나의 명칭을 선정한다. 방송 프로그램은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및 라디오 방송 등 모든 방송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프로그램 선정부(110)는 해당 프로그램이 서브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서브 프로그램의 명칭을 선정할 수도 있으며, 이때 해당 프로그램을 메인 프로그램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 선정부(110)는 "개그 콘서트"를 프로그램의 명칭으로 선정할 수 있으며, "개그 콘서트" 내부에 존재하는 서브 프로그램인 "꺽기도", "용감한 녀석들" 또는 "비상대책위원회" 등을 프로그램 명칭으로 선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선정부(110)는 해당 프로그램 명칭의 유사어를 선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 명칭이 "개그 콘서트"일 때에는 "개콘" 역시 프로그램 명칭으로 선정할 수 있다.
검색부(12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입력 키워드를 수신하여 검색 결과를 사용자 단말(200)에게 제공한다. 한편, 콘텐츠 분석 시스템(100)은 검색부(120)를 구비하지 않고, 별도의 검색 시스템(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입력 키워드를 수신할 수도 있다.
추출부(130)는 검색부(120)로부터 입력 키워드를 수신하고 입력 키워드 중에서 프로그램 선정부(110)가 선정한 프로그램 명칭을 포함하는 입력 키워드를 추출한다. 또한 추출부(130)는 추출한 키워드에서 프로그램 명칭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기준 키워드로서 출력한다.
추출부(130)는 특정 시간에 입력된 입력 키워드 중에서만 기준 키워드를 추출할 수도 있다. 즉, 해당 프로그램이 방영된 시간을 전후하여 특정 시간을 결정하고 해당 시간에 입력된 입력 키워드를 대상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 선정부(110)가 "개그 콘서트"를 프로그램 명칭으로 선정한 경우, 추출부(130)는 입력 키워드 중에서 "개그 콘서트"를 포함하는 입력 키워드 예를 들어 "개그 콘서트 감사합니다", "개그 콘서트 김대범" 및 "개그 콘서트 결방" 등을 추출하고, 추출한 입력 키워드에서 "개그 콘서트"를 제외한, "감사합니다", "김대범" 및 "결방"을 기준 키워드로 추출한다.
도 2를 참고하면, 특정 시간에 각 프로그램 명칭 별로 선정된 기준 키워드의 수가 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사랑비"라는 프로그램 명칭에 관련된 기준 키워드는 18개 이며, "무한도전"이라는 프로그램 명칭에 관련된 기준 키워드는 28개이며, "패션왕"이라는 프로그램 명칭에 관련된 기준 키워드는 59개이다.
분석부(140)는 기준 키워드를 기초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개재된 콘텐츠를 분석한다. 상세하게는 분석부(140)는 기준 키워드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개재된 콘텐츠에서 나타나는 횟수를 기초로 이슈 키워드를 선정한다. 분석부(140)는 기준 키워드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개재된 콘텐츠에서 언급된 횟수를 산정하여, 가장 높은 횟수를 가진 순서로 기준 키워드를 랭킹하고, 상위 순서에 따라 적어도 하나를 이슈 키워드로 선정한다.
도 3을 참고하면, "개그 콘서트"가 프로그램 명칭인 경우, 기준 키워드가 "9시 뉴스", "감사합니다", "개그맨', "개그 콘서트", "개콘", "결방", "교무회의", "김대범" 및 "김원효"가 될 수 있으며, 해당 기준 키워드가 시간 별로 언급된 수효를 기재하고 있다. 즉, 4월 10일 12시 55분에는 "개콘"이 이슈 키워드로 선정될 수 이으며, 4월 10일 9시 40분에는 "김원효"가 이슈 키워드로 선정될 수 있다.
제공부(150)는 분석부(140)가 선정한 이슈 키워드를 사용자 단말(200)에게 제공한다. 이때 제공 방법은 이슈 키워드를 순서대로 랭킹하여 제공하고, 사용자 선택에 따라 해당 콘텐츠를 상세히 제공하는 등 다양한 방법이 채택될 수 있다.
한편 제공부(150)는 선정된 이슈 키워드를 포함하는 콘텐츠의 내용을 감정 분석하여 긍정 또는 부정 등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를 기초로 해당 프로그램에 대한 대중의 평가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200)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의견 개진이 활발함에 따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개재된 콘텐츠를 분석하면 사용자 단말(200)의 관심도나 사회 이슈 등에 대해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콘텐츠 분석의 기준이 모호하여 이슈 키워드 선정 등에 어려움이 있었으나, 본 발명의 한 실시예와 같이 방송되고 있는 프로그램에 관한 키워드를 선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콘텐츠를 분석하면 더욱 효율적으로 이슈 키워드를 선정할 수 있다.
이제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분석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분석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콘텐츠 분석 시스템(100)은 콘텐츠 분석의 기준이 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명칭을 선정한다(S410). 방송 프로그램의 명칭은 유사어 및 서브 프로그램 명칭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콘텐츠 분석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입력 키워드를 수신한다(S420).
이어서 콘텐츠 분석 시스템(100)은 입력 키워드 중에서 선정된 프로그램 명칭을 포함하는 입력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입력 키워드에서 프로그램 명칭을 제거하여 기준 키워드를 추출한다(S430).
기준 키워드가 추출되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개재된 콘텐츠에서 기준 키워드가 언급된 횟수를 기준 키워드 별로 산정한다(S440). 즉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200)이 입력한 콘텐츠 중에서 해당 기준 키워드가 몇 번 나타나는지를 산정한다.
그런 후 콘텐츠 분석 시스템(100)은 기준 키워드의 언급 횟수별로 랭킹을 하여 상위 순서대로 적어도 하나의 이슈 키워드를 선정하고(S450), 이슈 키워드를 사용자 단말(200)에게 제공한다(S460). 이때, 선정된 이슈 키워드는 사용자 단말(200)에게 순서대로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200)의 선택에 따라 해당 이슈 키워드를 포함하는 콘텐츠 역시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6)

  1. 방송 프로그램의 명칭을 선정하는 프로그램 선정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입력 키워드를 수신하는 검색부,
    상기 복수의 입력 키워드 중에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명칭을 포함하는 입력 키워드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입력 키워드에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명칭을 제거한 기준 키워드를 선정하는 추출부, 그리고
    상기 기준 키워드를 기준으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개재된 콘텐츠를 분석하는 분석부
    를 포함하는 콘텐츠 분석 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콘텐츠에서 상기 기준 키워드가 언급된 횟수를 산정하여, 상기 횟수의 상위 랭킹 순서로 적어도 하나의 이슈 키워드를 선정하는 콘텐츠 분석 시스템.
  3. 제2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슈 키워드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제공부
    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분석 시스템.
  4. 제3항에서,
    상기 제공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슈 키워드를 포함하는 상기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콘텐츠 분석 시스템.
  5. 제3항에서,
    상기 제공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슈 키워드를 기초로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콘텐츠 분석 시스템.
  6. 제1항에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명칭은 메인 프로그램의 명칭 및 상기 메인 프로그램에 포함되어 있는 서브 프로그램의 명칭을 포함하는 콘텐츠 분석 시스템.
  7. 제1항에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명칭은 유사어를 포함하는 콘텐츠 분석 시스템.
  8. 제1항에서,
    상기 추출부는,
    상기 복수의 입력 키워드 중에서 특정 시간에 입력된 입력 키워드에서만 상기 기준 키워드를 추출하는 콘텐츠 분석 시스템.
  9. 콘텐츠 분석 시스템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개재된 콘텐츠를 분석하는 방법으로서,
    방송 프로그램의 명칭을 선정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입력 키워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입력 키워드 중에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명칭을 포함하는 입력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입력 키워드에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명칭을 제거한 기준 키워드를 선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기준 키워드를 기준으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개재된 콘텐츠를 분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콘텐츠 분석 방법.
  10. 제9항에서,
    상기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에서 상기 기준 키워드가 언급된 횟수를 산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횟수의 상위 랭킹 순서로 적어도 하나의 이슈 키워드를 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콘텐츠 분석 방법.
  11. 제10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슈 키워드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분석 방법.
  12. 제11항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슈 키워드를 포함하는 상기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콘텐츠 분석 방법.
  13. 제12항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슈 키워드를 기초로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콘텐츠 분석 방법.
  14. 제9항에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명칭은 메인 프로그램의 명칭 및 상기 메인 프로그램에 포함되어 있는 서브 프로그램의 명칭을 포함하는 콘텐츠 분석 방법.
  15. 제9항에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명칭은 유사어를 포함하는 콘텐츠 분석 방법.
  16. 제9항에서,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입력 키워드 중에서 특정 시간에 입력된 입력 키워드에서만 상기 기준 키워드를 추출하는 콘텐츠 분석 방법.
KR1020120060934A 2012-06-07 2012-06-07 콘텐츠 분석 시스템 및 콘텐츠 분석 방법 KR101354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0934A KR101354720B1 (ko) 2012-06-07 2012-06-07 콘텐츠 분석 시스템 및 콘텐츠 분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0934A KR101354720B1 (ko) 2012-06-07 2012-06-07 콘텐츠 분석 시스템 및 콘텐츠 분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7381A KR20130137381A (ko) 2013-12-17
KR101354720B1 true KR101354720B1 (ko) 2014-01-29

Family

ID=49983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0934A KR101354720B1 (ko) 2012-06-07 2012-06-07 콘텐츠 분석 시스템 및 콘텐츠 분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472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0996A (ja) * 2001-03-28 2002-10-04 Just Syst Corp 番組評価方法および番組評価システム
JP2007241889A (ja) * 2006-03-10 2007-09-20 Toshiba Corp 情報検索システム、情報検索方法及び情報検索プログラム
JP2011223571A (ja) * 2010-03-25 2011-11-04 Ntt Docomo Inc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0996A (ja) * 2001-03-28 2002-10-04 Just Syst Corp 番組評価方法および番組評価システム
JP2007241889A (ja) * 2006-03-10 2007-09-20 Toshiba Corp 情報検索システム、情報検索方法及び情報検索プログラム
JP2011223571A (ja) * 2010-03-25 2011-11-04 Ntt Docomo Inc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7381A (ko) 2013-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42584B2 (en) Server apparatus, information terminal, and program
US9008489B2 (en) Keyword-tagging of scenes of interest within video content
US20140358630A1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conducting social media analytics
KR102066030B1 (ko) 필터링된 인터넷 정보 스트림들의 디스플레이를 통한 라이브 브로드캐스트 시청 증대
KR101999389B1 (ko) 현재 재생되는 텔레비젼 프로그램들과 연관된 인터넷-액세스가능 컨텐츠의 식별 및 제시
US10621220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personalized snippet
CN103106267A (zh) 基于微博的众包问答系统信息采集方法
KR20120088650A (ko) 컴퓨터 실행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JP5577385B2 (ja) コンテンツ配信装置
US8994311B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segmenting a content stream
US2013006689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non-transitory information storage medium
CN105550277A (zh) 基于标签热度的智能电影排名和评价系统
JP5952711B2 (ja) 予測対象コンテンツにおける将来的なコメント数を予測する予測サーバ、プログラム及び方法
CN113315988A (zh) 直播视频推荐方法及装置
CN114417157B (zh) 一种数据推送方法、装置、计算机设备以及计算机介质
CN110297967B (zh) 兴趣点确定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210148573A (ko) Sns 사용자 채널에 대한 공개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공개 데이터를 기반으로 영향력을 측정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976056B1 (ko) 추천 시스템 및 추천 방법
KR101486924B1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미디어 콘텐츠 추천 방법
KR101354720B1 (ko) 콘텐츠 분석 시스템 및 콘텐츠 분석 방법
WO2014021229A1 (ja) 関連文書抽出装置、関連文書抽出方法及び関連文書抽出プログラム
CN113961677A (zh) 话题文本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101402339B1 (ko) 문서 관리 시스템 및 문서 관리 방법
JP5611853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Esmin et al. Real-time summarization of scheduled soccer games from twitter stre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