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3991B1 - 유연한 자화 에너지 전달 리본들 및 그 제조 공정 - Google Patents

유연한 자화 에너지 전달 리본들 및 그 제조 공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3991B1
KR101353991B1 KR1020097001630A KR20097001630A KR101353991B1 KR 101353991 B1 KR101353991 B1 KR 101353991B1 KR 1020097001630 A KR1020097001630 A KR 1020097001630A KR 20097001630 A KR20097001630 A KR 20097001630A KR 101353991 B1 KR101353991 B1 KR 101353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magnetizing
energy transfer
coating material
flexible energ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1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6802A (ko
Inventor
프랑소와 코르소
Original Assignee
데라쇼 소시에떼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라쇼 소시에떼아노님 filed Critical 데라쇼 소시에떼아노님
Publication of KR20090046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6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3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3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4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mounting or securing

Landscapes

  • Adhesive Tapes (AREA)
  • Soft Magnetic Materials (AREA)
  • Treatments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Hard Magnetic Materials (AREA)
  • Magnetic Treatment Device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Thin Magnetic Films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Decoration Of Textiles (AREA)

Abstract

유연한 에너지 전달 리본은, 자화 테이프(3)의 두께 방향으로 지향된 영구 자화를 엘라스토머 물질에 부여하는 입자들이 매입된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상기 엘라스토머 물질로 구성된 상기 자화 테이프(3), 상기 지지 테이프를 따라 배치된 1 이상의 에너지 전달 디바이스(2), 및 상기 (또는 각각의) 에너지 전달 디바이스가 매입되고 상기 자화 테이프에 부착되는 코팅 물질(1)을 포함한다.
상기 자화 테이프는, 상기 자화 테이프에 유도된 치수 변화 현상들이, 특히 온도 차이의 영향 하에서, 상기 자화 테이프와 상기 코팅 물질 간의 접착의 취약성을 방지하기에 충분히 작은 응력들을 상기 자화 테이프와 상기 코팅 물질 사이에 유도할 수 있는 길이의 연속 구간들(31)로 하위분할된다는 점에서 본 발명이 주목받을만하다.
특히, 본 발명은 이동 디바이스들, 특히 회전 디바이스들 간의 낮은 신호 광학적 또는 전기적 링크들에 적용된다.

Description

유연한 자화 에너지 전달 리본들 및 그 제조 공정{FLEXIBLE MAGNETIZATION ENERGY TRANSFER RIBBON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M}
본 발명은 영구 자화된 유연한 종방향(longitudinal) 지지 테이프, 및 적어도 어느 상대 횡방향(transverse) 이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테이프에 의해 유지되는 1 이상의 유연한 종방향 에너지 전달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유연한 에너지 전달 리본(flexible energy transfer ribbon)에 관한 것이다.
사람들은 흔히, 서로에 대해 이동하는 2 개의 고체(solid)들의 국부화된 구역들 사이에서 에너지(물론, 신호들도 포함)의 이동이 요구되는 경우, 다양한 기술 영역들에서, 그리고 다양한 구현 방법들을 이용하여, 영구 자화될 수 있거나 자화될 수 없는 유연한 리본을 수단으로 사용한다.
다른 유연한 리본 구조들, 및 다른 가능한 적용들은 출원인의 이름으로 공보 WO 2005/083724 A1에 설명되고, 또한 이전에 상세히 설명되며, 필요하다면 본 명세서에서 인용 참조 될 것이다.
이러한 공지된 유연한 리본들의 사용은 앞서 설명된 공보에 언급된 바와 같은 다수의 적용들에서 상당한 장점들을 갖는다.
이러한 리본의 특정한 일 예시는 수지와 같은 고착제(fixing agent)의 매스(mass) 내에 매입된(embedded) 일련의 에너지 전달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얻어진 조립체는, 예를 들어 자화 입자들이 제공된 엘라스토머 물질(elastomer material)로 만들어진 지지 테이프의 한쪽 면 상에 고착된다.
온도 변화에 따른 이러한 리본의 거동(behaviour)은 여러가지 문제들을 야기할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수지 매스 내에 매입된 에너지 전달 디바이스들로 구성된 조립체는 그 둘 사이에 본질적으로 전단 응력(shear stress)이 발생하여 지지 테이프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통상적으로 페라이트 미립자(ferrite grain)들을 통합하는 EPDM(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고무) 타입의 엘라스토머인 지지 테이프의 물질이 약 50 내지 80 °의 높은 온도에 노출될 때, 이 물질의 분자들은 상당한 비가역적인(no-reversible) 스웨이징 효과(swaging effect)를 생성하도록 그 자신들을 유기화한다. 이러한 조건들에서, 수지 내에 매입된 디바이스들로 형성된 조립체와 지지 테이프 간의 접착력은 그 둘의 분리를 방지할만큼 충분하지 않으며, 리본은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종래 설계들의 이러한 단점들을 극복하며, 에너지 전달 디바이스용 자화 지지 테이프를 갖거나, 유사한 제조의 공정들 및 물질들을 그대로 사용함에 따라, 리본의 생산 비용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상기에 설명된 여러가지 문제를 야기하는 거동을 회피하는 다른 부착 타입들을 갖는 새로운 리본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르면, 자화 테이프(magnetised tape)의 두께 방향으로 지향된 영구 자화를 엘라스토머 물질(elastomer material)에 부여하는 입자들이 매입된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상기 엘라스토머 물질로 구성된 상기 자화 테이프, 상기 지지 테이프를 따라 배치된 1 이상의 에너지 전달 디바이스, 및 상기 (또는 각각의) 에너지 전달 디바이스가 매입되고 상기 자화 테이프에 부착되는 코팅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자화 테이프는, 상기 자화 테이프에 유도된 치수 변화 현상들(dimensional change phenomena)이, 특히 온도 차이의 영향 하에서, 상기 자화 테이프와 상기 코팅 물질 간의 접착의 취약성을 방지하기에 충분히 작은 응력들을 상기 자화 테이프와 상기 코팅 물질 사이에 유도할 수 있는 길이의 연속 구간들로 하위분할(subdivide)되는 유연한 에너지 전달 리본이 제안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르면, 자화 테이프의 두께 방향으로 지향된 영구 자화를 엘라스토머 물질에 부여하는 입자들이 매입된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상기 엘라스토머 물질로 구성된 상기 자화 테이프, 상기 자화 테이프를 따라 배치된 1 이상의 에너지 전달 디바이스, 및 상기 (또는 각각의) 에너지 전달 디바이스가 매입되고 상기 자화 테이프에 부착된 코팅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자화 테이프는, 상기 자화 테이프에 유도된 치수 변화 현상들이, 특히 온도 차이의 영향 하에서, 취약 지점들의 위치에서의 상기 자화 테이프의 단절(rupture)을 유도하고, 테이프 구간들을 형성하기에 충분히 강하지만, 상기 자화 테이프와 상기 코팅 물질 간의 접착의 취약성을 방지하기에 충분히 작은 응력들을 상기 자화 테이프와 상기 코팅 물질 사이에 유도할 수 있는 거리들로 이격되어 상기 취약 지점들이 형성된 연속 자화 테이프인 유연한 에너지 전달 리본이 제안된다.
이러한 리본들의 몇몇 바람직한, 하지만 비-제한적인 실시형태들이 아래에 설명된다:
- 상기 코팅 물질은 유기 수지(organic resin)이다;
- 상기 코팅 물질은 상기 자화 테이프에 직접 접착되거나, 실제로 접착제를 수단으로 하여 상기 자화 테이프에 부착된다;
- 상기 자화 테이프는 페라이트 미립자들이 매입된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단량체(EPDM)의 매트릭스로 구성된다;
- 상기 고무는 상기 디바이스 또는 디바이스들을 에워싸는 상기 코팅 물질의 양면 상에 자화 테이프를 포함한다;
- 일 자화 테이프의 구간들은 그 각각의 절단부들이 일치하지 않도록 상기 자화 테이프(3) 맞은 편 구간들에 대해 어긋나 있다(offset);
- 상기 구간들은 약 3 mm 내지 약 15 mm, 바람직하게는 약 4 mm 내지 약 7 mm의 길이를 갖는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르면,
- 연속한 자화 테이프의 두께 방향으로 지향된 영구 자화를 엘라스토머 물질에 부여하는 입자들이 매입된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상기 엘라스토머 물질로 구성된 상기 연속한 자화 테이프를 제공하는 단계,
- 상기 테이프를 따라, 1 이상의 에너지 전달 디바이스를, 상기 (또는 각각의) 에너지 전달 디바이스가 매입되고, 상기 자화 테이프에 부착되는 코팅 물질을 수단으로 하여 고착시키는 단계; 및
- 상기 자화 테이프에 유도된 치수 변화 현상들이, 특히 온도 차이의 영향 하에서, 취약 지점들의 위치에서의 상기 테이프의 단절을 유도하고 테이프 구간들을 형성하기에 충분히 강하지만, 상기 자화 테이프와 상기 코팅 물질 간의 접착의 취약성을 방지하기에 충분히 작은 응력들을 상기 자화 테이프와 상기 코팅 물질 사이에 유도할 수 있는 거리들로 이격되어 상기 취약 지점들을 형성하는 노치들을 상기 자화 테이프 내에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연한 에너지 전달 리본의 제조 공정이 제안된다.
유익하게는, 상기 공정은 상기 취약 지점들을 형성하는 상기 노치들을 상기 구간들을 분리시키는 절단부로 변환시키도록, 치수 변화 현상 및 휨 응력(bending stress)을 동시에 유도하는 온도에 상기 조립체를 노출시키는 단계로 구성된 이후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들, 목적들 및 장점들은 비-제한적인 예시의 방식으로 제공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고,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함으로써 더 명확히 이해될 것이다.
-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리본의 단면도;
- 도 2는 도 1이 단면 라인 I-I를 따른 도면임을 나타내는, 도 1의 리본의 종단면도;
-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리본의 단면도;
- 도 4는 도 3이 단면 라인 Ⅲ-Ⅲ을 따른 도면임을 나타내는, 도 1의 리본의 종단면도;
-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리본의 제조 공정의 일 예시의 상이한 단계들을 나타내는 종단면도들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본은 그 두께(도 1에서 수직으로 측정)보다 폭(동일한 도면에서 수평으로 측정)이 더 넓은 거의 직사각형의 단면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리본은 그 주요 표면(major face)들에 수직인 종방향 평면에서 쉽게 휘는(favoured bending) 일 방향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리본은 그 두께 방향으로 영구 자화된 지지 형성 테이프(3)를 갖는다. 이 영구 자화는 폭 전체에 걸쳐 동일한 방향으로 있을 수 있지만 - 이는 상기 폭이, 예를 들어 약 1 mm 내지 2 또는 3 mm 미만으로 비교적 좁은 경우에 바람직함 -, 상기 폭에 걸쳐 교번 방향(alternating direction)들로 분포될 수도 있다 - 이는 더 넓은 폭들에 바람직할 수 있음 -.
또한, 상기 리본은, 예를 들어 자외선 경화 아크릴 수지(ultraviolet-cured acrylic resin)와 같은 유기 수지로 구성된 코팅 물질의 공통 매스(common mass: 1) 내에 매입된 다수의 에너지 전달 디바이스들(2)을 포함한다.
상기 전달 디바이스들(2)에 의해 전달되는 에너지는 광, 전기, 공 압(pneumatic), 유압(hydraulic) 및 강삭(funicular) 성질의 에너지들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 예시에서, 에너지 전달 디바이스들은 광섬유들이다.
여하간에, 당업자는 원하는 영구 자화를 제공하기 위해, 이용가능한 리본(1)의 다양한 실제 구현 방법들 사이에서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테이프(3)는 페라이트 미립자들이 매입된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단량체(EPDM) 고무의 매트릭스로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이는 높은 자화 레벨을 제공하기 위해, 약 90 중량%의 페라이트를 가질 것이다.
광섬유들과 같은 에너지 전달 디바이스들(2)은, 그 휨 특성들이 상기 리본에 도모된 적용들과 걸맞다면(compatible), 종래의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가능한 구현들에 관해 더 상세히 알고 싶다면, 이전에 언급된 공보 WO 2005/083724 A1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1은 단일 자화 테이프(3)와 연계된, 코팅 물질(1) 내에 나란히 배치된 4 개의 외장형(sheathed) 광섬유들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리본의 경우를 예시한다.
상기 코팅 물질(1)의 두께는, 상기 테이프(3) 쪽 상의 리본의 표면을 따라, 그리고 상기 테이프(3) 맞은편의 리본의 표면을 따라 이 물질(1)의 연속성을 보유하기 위해, 각각의 디바이스들(2)의 외경보다 더 크도록 선택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핵심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지지 테이프(3)는 국부화된 방식으로 주기적으로 절단됨에 따라, 서로 분리된, 연속적인 자화 구간들(31)을 생성한다. 이 경우, 상기 리본의 전체 점착성(cohesion)은, 그 당시에 선택되고, 바람직한 기계적 특성들을 갖도록 치수화(dimension)된 코팅 물질(1) 자체에 의해 부분적으로 보장된다.
그 결과로, 지지 테이프(3)와 코팅 물질(1)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일시적인 또는 영구적인 치수 변화 현상이 발생할 때, 상기 두 물질들 사이에는 그 두 물질들의 분리를 유도하기에는 불충분한 전단력들이 생성된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응력들은, EPDM 물질이 높은 온도로, 통상적으로 60 내지 80 ℃로 상승될 때, 스웨이징 효과를 유도하는 분자 재유기화(molecular reorganisation)에서 비롯될 수 있다.
실제로, 개별 구간들(31) 간의 각각의 절단부(break)에서는, 이러한 응력들이 해제되는데, 이는 상기 디바이스들(2)을 제외하고, 코팅 물질(1)만이 있기 때문이다.
도 3 및 도 4는, 여기서는 5 개인 디바이스들(2)을 에워싸는 코팅 물질(1)의 리본의 양쪽 상에 배치된 2 개의 지지 테이프들(3, 4)로 지지 테이프(3)가 이중으로 형성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를 예시한다.
이전과 같이, 각각의 지지 테이프(3, 4)는 각각의 개별 구간들(31, 41)을 형성하도록 절단된다. 유익하게는, 이들 절단부들은, 한쪽 상에 위치된 구간들 간의 절단부들이 다른쪽 상의 구간들 간의 절단부들과 일치하지 않는 방식으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테이프 상의 2 개의 구간들 간의 절단부가 상기 리본의 종방향으로 반대쪽 상의 테이프의 일 구간의 거의 중간과 마주하게 위치되도록, 거리(Δ)(도 4 참조)만큼 서로 어긋나 있다(offset). 그 결과로, 하며, 요구되는 모든 기계적 특성들을 가질 수 없는 코팅 물질(1)만이 존재하는 부분에 대응되는, 리본의 약한 지점들의 생성을 회피한다.
더욱이, 이중 지지 테이프를 갖는 이러한 장치(arrangement)는 리본의 거동을 향상시키며, 자화의 레벨은 그 두 표면들 상에서 거의 동일하다.
이제,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리본의 제조 공정의 일 예시가 설명될 것이다.
먼저, 리본을 형성하기 위해, 코팅 물질(1) 내에 한 세트의 디바이스들(2)을 매입한다(도 5a).
이 리본을 따라(상기 물질(1)의 접착 상태에서 곧바로, 또는 별도의 접착을 이용하여),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은 페라이트 미립자들이 제공된 EPDM으로 구성된 연속적인 자화 지지 테이프(3)가 접착된다(도 5b).
다음 단계는 블레이드 또는 유사한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테이프(3)의 두께 내에, 또는 디바이스들(2)을 에워싸는 코팅 물질(1)을 손상시킬 위험이 없도록 바람직하게는 그 두께의 실질적인 부분 내에만, 노치(notch: E)를 생성하는 단계로 구성된다(도 5c).
지지 테이프 내에 각각 취약한 부분들을 생성하는 이들 노치들은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5 mm의 거리만큼, 바람직하게는 약 4 내지 7 mm의 거리만큼 이격된다. 여기서, 노치들은 5 mm만큼 이격되어 있다.
다음 단계는 이에 따라 생성된 조립체를 약 2 내지 4 시간의 주기 동안에 약 60 내지 80 ℃의 온도에 노출시키고, 이와 동시에, 지지 테이프(3)를 포함하는 EPDM의 스웨이징 효과를 유도하기 위해, 작동 시(in service) 리본이 직면할 휨 응력들에 가까운 응력들을 상기 조립체에 인가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이 스웨이징 효과는 약 10%에 도달할 수 있으며, 따라서 노치 구역들이 약 0.5 mm로 폭이 더 넓어져, 테이프의 개별 구간들(31)을 분리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도 5d).
이 스웨이징 효과는 영구적이기 때문에, 이후 상기 리본을 사용 시 높은 온도에 노출시켜도, 함께 지지 테이프를 형성하는 구간들(31)에 대해, 조립체(1, 2)의 탈착(detachment)을 유도할 수 있는 더 큰 힘들을 리본 위에 유도하지 않을 것이다.
앞서 설명된 공정은 도 3 및 도 4에 따른 리본의 제조를 위해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다.
본질적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상기 공정의 다양한 변형들이 행해질 수 있도록 의도된다.
특히, 이 방향으로의 치수 변화 현상들이 유해할 수 있도록 리본의 폭이 형성되어 있다면, 리본의 폭 방향을 포함하여, 규칙적이거나 규칙적이지 않은 어느 패턴에 따른 구간들로 지지 테이프 또는 테이프들을 하위분할(subdivide)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어떤 원인이 그 성질이 무엇이든지, 지지 테이프 또는 테이프들과 코팅 물질 간의 응력들을 유도하기 쉬운 모멘트(moment)로부터 적용된다.

Claims (17)

  1. 유연한 에너지 전달 리본에 있어서,
    자화 테이프(magnetised tape: 3)의 두께 방향으로 지향된 영구 자화를 엘라스토머 물질(elastomer material)에 부여하는 입자들이 매입된(embedded)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상기 엘라스토머 물질로 구성된 상기 자화 테이프(3), 상기 자화 테이프를 따라 배치된 1 이상의 에너지 전달 디바이스(2), 및 상기 (또는 각각의) 에너지 전달 디바이스가 매입되고 상기 자화 테이프에 부착되는 코팅 물질(1)을 포함하고,
    상기 자화 테이프는, 상기 자화 테이프에 유도된 치수 변화 현상들(dimensional change phenomena)이, 온도 차이의 영향 하에서, 상기 자화 테이프와 상기 코팅 물질 간의 접착의 취약성을 방지하기에 충분히 작은 응력들을 상기 자화 테이프와 상기 코팅 물질 사이에 유도할 수 있는 길이의 연속 구간들(31)로 하위분할(subdivide)되는 유연한 에너지 전달 리본.
  2. 유연한 에너지 전달 리본에 있어서,
    자화 테이프(3)의 두께 방향으로 지향된 영구 자화를 엘라스토머 물질에 부여하는 입자들이 매입된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상기 엘라스토머 물질로 구성된 상기 자화 테이프(3), 상기 자화 테이프를 따라 배치된 1 이상의 에너지 전달 디바이스(2), 및 상기 (또는 각각의) 에너지 전달 디바이스가 매입되고 상기 자화 테이프에 부착되는 코팅 물질(1)을 포함하고,
    상기 자화 테이프는, 상기 자화 테이프에 유도된 치수 변화 현상들이, 온도 차이의 영향 하에서, 취약 지점(E)들의 위치에서의 상기 자화 테이프의 분리(separation) 및 테이프 구간들(31)의 형성을 유도하기에 충분히 강하지만, 상기 자화 테이프와 상기 코팅 물질 간의 접착의 취약성을 방지하기에 충분히 작은 응력들을 상기 자화 테이프와 상기 코팅 물질 사이에 유도할 수 있는 거리들로 이격되어 상기 취약 지점(E)들이 형성된 연속 자화 테이프(3)인 유연한 에너지 전달 리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물질(1)은 유기 수지(organic resin)인 유연한 에너지 전달 리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물질(1)은 상기 자화 테이프에 직접 부착되는 유연한 에너지 전달 리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물질(1)은 접착제를 수단으로 하여 상기 자화 테이프에 부착되는 유연한 에너지 전달 리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화 테이프(3)는 페라이트 미립자(ferrite grain)들이 매입된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단량체(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EPDM) 고무의 매트릭스로 구성되는 유연한 에너지 전달 리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또는 디바이스들을 에워싸는 상기 코팅 물질의 양쪽 상에 자화 테이프(3, 4)를 포함하는 유연한 에너지 전달 리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자화 테이프(3)의 상기 구간들(31)은, 그 각각의 절단부(break)들이 일치하지 않도록, 상기 자화 테이프(3) 맞은편의 구간들(41)에 대해 어긋나 있는(offset) 유연한 에너지 전달 리본.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들(31, 41)은 3 mm 내지 15 mm의 길이를 갖는 유연한 에너지 전달 리본.
  10. 유연한 에너지 전달 리본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 연속한 자화 테이프(3)의 두께 방향으로 지향된 영구 자화를 엘라스토머 물질에 부여하는 입자들이 매입된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상기 엘라스토머 물질로 구성된 상기 연속한 자화 테이프(3)를 제공하는 단계;
    - 상기 테이프를 따라, 1 이상의 에너지 전달 디바이스(2)를, 상기 (또는 각각의) 에너지 전달 디바이스가 매입되고, 상기 자화 테이프에 부착되는 코팅 물질(1)을 수단으로 하여 고착(fix)시키는 단계; 및
    - 상기 자화 테이프에 유도된 치수 변화 현상들이, 온도 차이의 영향 하에서, 취약 지점들의 위치에서의 상기 테이프의 단절(rupture)을 유도하고 테이프 구간들(31)을 형성하기에 충분히 강하지만, 상기 자화 테이프와 상기 코팅 물질 간의 접착의 취약성을 방지하기에 충분히 작은 응력들을 상기 자화 테이프와 상기 코팅 물질 사이에 유도할 수 있는 거리들로 이격되어 상기 취약 지점들을 형성하는 노치(notch: E)들을 상기 자화 테이프 내에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연한 에너지 전달 리본의 제조 공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물질(1)은 유기 수지인 유연한 에너지 전달 리본의 제조 공정.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물질(1)은 상기 자화 테이프에 직접 부착되는 유연한 에너지 전달 리본의 제조 공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물질(1)은 접착제를 수단으로 하여 상기 자화 테이프에 부착되는 유연한 에너지 전달 리본의 제조 공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자화 테이프(3)는 페라이트 미립자들이 매입된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단량체(EPDM) 고무의 매트릭스로 구성되는 유연한 에너지 전달 리본의 제조 공정.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자화 테이프 맞은편 쪽 상에서, 상기 코팅 물질에 또 다른 자화 테이프(4)를 고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취약 지점들을 형성하는 상기 노치들은 상기 또 다른 자화 테이프 내에도 생성되는 유연한 에너지 전달 리본의 제조 공정.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구간들(31, 41)은 3 mm 내지 15 mm의 길이를 갖는 유연한 에너지 전달 리본의 제조 공정.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취약 지점들을 형성하는 상기 노치들(E)을 상기 구간들(31; 31, 41)을 분리시키는 절단부로 변환시키도록, 치수 변화 현상 및 휨 응력(bending stress)을 동시에 유도하는 온도에 조립체를 노출시키는 단계로 구성된 후속 단계를 포함하는 유연한 에너지 전달 리본의 제조 공정.
KR1020097001630A 2006-07-27 2007-07-27 유연한 자화 에너지 전달 리본들 및 그 제조 공정 KR1013539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606877A FR2904466B1 (fr) 2006-07-27 2006-07-27 Rubans souples de transfert d'energie a aimantation, et procede pour leur fabrication
FR0606877 2006-07-27
PCT/EP2007/057741 WO2008012353A1 (fr) 2006-07-27 2007-07-27 Rubans souples de transfert d'energie a aimantation, et procede pour leur fabr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6802A KR20090046802A (ko) 2009-05-11
KR101353991B1 true KR101353991B1 (ko) 2014-01-22

Family

ID=37716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1630A KR101353991B1 (ko) 2006-07-27 2007-07-27 유연한 자화 에너지 전달 리본들 및 그 제조 공정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7923642B2 (ko)
EP (1) EP2050102B1 (ko)
JP (1) JP5496666B2 (ko)
KR (1) KR101353991B1 (ko)
CN (1) CN101496116B (ko)
AT (1) ATE489711T1 (ko)
BR (1) BRPI0714588A2 (ko)
DE (1) DE602007010786D1 (ko)
DK (1) DK2050102T3 (ko)
ES (1) ES2355308T3 (ko)
FR (1) FR2904466B1 (ko)
HK (1) HK1130560A1 (ko)
PL (1) PL2050102T3 (ko)
PT (1) PT2050102E (ko)
TW (1) TWI435339B (ko)
WO (1) WO20080123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50389B2 (en) 2013-03-05 2016-09-20 Yaroslav A. Pichkur Electrical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CA2997184C (en) 2014-09-05 2023-09-19 Yaroslav Andreyevitch Pichkur Transformer
FR3062967B1 (fr) * 2017-02-16 2019-04-19 Conductix Wampfler France Systeme de transfert d'un lien magnetiqu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44192A (en) 1968-02-29 1970-12-01 Decitron Communication Systems Shaped energy transmission arrays
JPS5990110U (ja) * 1982-12-09 1984-06-19 株式会社潤工社 電線
US4652772A (en) 1984-09-26 1987-03-24 Allied Corporation Electric cable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363104A (de) * 1957-02-09 1962-07-15 Baermann Max Dauermagnetisches Verschluss-, Dichtungs- oder Haftelemen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selben
US3413405A (en) * 1966-10-10 1968-11-26 Stauffer Chemical Co Electrical shielding tape
JPS5363574U (ko) * 1976-11-01 1978-05-29
US4678864A (en) * 1985-06-27 1987-07-07 Cooper Industries, Inc. Mass terminable flat cable assembly with readily separable ground plane
JPH0614326Y2 (ja) * 1988-10-24 1994-04-13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シールド付フラットケーブル
JP2594734Y2 (ja) * 1992-10-19 1999-05-10 住友電装株式会社 シールド付きフラットケーブル
JPH06231621A (ja) * 1993-02-01 1994-08-19 Murata Mfg Co Ltd フレキシブル配線ケーブル
EP0903757B1 (en) * 1997-09-19 2003-02-19 W.L. GORE & ASSOCIATES GmbH Electrical signal line cable assembly
AU2001294569A1 (en) * 2000-09-15 2002-03-26 Southwire Company Superconducting cable
JP4015061B2 (ja) * 2003-05-27 2007-11-28 矢崎総業株式会社 ワイヤーハーネス
JP2005150047A (ja) * 2003-11-20 2005-06-09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
FR2865860B3 (fr) * 2004-02-04 2005-12-23 Delachaux Sa Procede et dispositif de transfert d'energie par l'intermediaire d'un ruban soup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44192A (en) 1968-02-29 1970-12-01 Decitron Communication Systems Shaped energy transmission arrays
JPS5990110U (ja) * 1982-12-09 1984-06-19 株式会社潤工社 電線
US4652772A (en) 1984-09-26 1987-03-24 Allied Corporation Electric cab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435339B (zh) 2014-04-21
CN101496116B (zh) 2012-01-11
KR20090046802A (ko) 2009-05-11
JP5496666B2 (ja) 2014-05-21
BRPI0714588A2 (pt) 2013-05-07
EP2050102B1 (fr) 2010-11-24
EP2050102A1 (fr) 2009-04-22
WO2008012353A1 (fr) 2008-01-31
DK2050102T3 (da) 2011-03-07
ATE489711T1 (de) 2010-12-15
DE602007010786D1 (de) 2011-01-05
ES2355308T3 (es) 2011-03-24
TW200816238A (en) 2008-04-01
US7923642B2 (en) 2011-04-12
JP2009544994A (ja) 2009-12-17
PL2050102T3 (pl) 2011-05-31
US20090314543A1 (en) 2009-12-24
HK1130560A1 (en) 2009-12-31
FR2904466B1 (fr) 2008-09-26
PT2050102E (pt) 2011-02-04
CN101496116A (zh) 2009-07-29
FR2904466A1 (fr) 2008-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20159B2 (ja) ばね装置及びばね装置を製造する方法
KR101353991B1 (ko) 유연한 자화 에너지 전달 리본들 및 그 제조 공정
KR102345069B1 (ko) 수지 필름이 부착된 유리 롤
BR0207758B1 (pt) forro de liberação com uma superfície; artigo com reforço adesivo; camada adesiva com um arranjo de protuberâncias piramidais sobre a mesma; artigo gráfico; método para contactar o artigo gráfico com um substrato; e , método de transferir um artigo gráfico
US9857148B2 (en) Controlled fiber-matrix adhesion in polymer fiber composites
CY1109856T1 (el) Στοιχειο καλουπιου και μεθοδος κατασκευης και επισκευης του
KR910001412A (ko) 광섬유 리본의 결합 어레이
CO5060470A1 (es) Metodos para la fabricacion de laminados elasticos
US8309201B2 (en) Symmetric, spatular attachments for enhanced adhesion of micro- and nano-fibers
US7441380B2 (en) Tie anchor for a strip-type tension member
JP2008117978A (ja) リアクトルのスペーサおよびコアならびにリアクトル
JP2738025B2 (ja) 橋梁スラブ間の継目なし伸縮継手構造
EP1959223A3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Verbundpanzerungsplatte
NO20063362L (no) Fremgangsmate for fremstilling av en armering som omfatter minst en klebende overflate som kan omplasseres og selve armeringen
WO2010093668A1 (en)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system/method using electroactive polymer fibers
DE50204958D1 (de) Natursteinplatt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KR20150079696A (ko) 유리 웹 및 접합하는 방법
KR101864004B1 (ko) 슬라브에 에어볼이 구비된 라멘교량
JPS62298190A (ja) 圧電アクチユエ−タ
RU2133434C1 (ru) Бронеплита
JP5982164B2 (ja) 建物用接着剤の試験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7